KR20040055907A -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907A
KR20040055907A KR1020020082361A KR20020082361A KR20040055907A KR 20040055907 A KR20040055907 A KR 20040055907A KR 1020020082361 A KR1020020082361 A KR 1020020082361A KR 20020082361 A KR20020082361 A KR 20020082361A KR 20040055907 A KR20040055907 A KR 20040055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power
unit
communication network
remot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5911B1 (ko
Inventor
강영석
유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82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5911B1/ko
Publication of KR20040055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G08C19/025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using fixed values of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맨홀 내부의 상태를 감시하는 원격 감시 단말을 맨홀 내에 설치하여 원격 감시 단말에 의해 감지된 상태 정보를 센터 서버에서 전송 받아 맨홀을 관리하는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맨홀 내에 기 구축된 통신망으로부터 전력을 추출하는 통신망 전원 추출부와, 통신망 전원 추출부에서 얻어진 전력을 안정화시켜 안정된 전압을 원격 감시 단말로 제공하는 전원 안정화부와, 맨홀의 보안과 감시 및 관리를 위하여 맨홀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센서부의 감지값을 센터 서버로 전송하고 센터 서버로부터의 명령을 전달받아 센서부를 구동시키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며, 광범위하게 산재되어 있는 맨홀의 상태 감시를 위한 원격 감시 단말을 설치함에 있어서 기 구축된 통신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통신 회선 또한 기 구축된 통신망을 이용하므로 시스템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통신 맨홀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관리가 가능하고 통신 맨홀내의 이상사태 발생 시 사고내역의 파악과 처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SYSTEM FOR INVESTIGATING STATE OF MANHOLE}
본 발명은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거리에 산재되어 있는 중요 통신 맨홀을 원격으로 관리, 감시할 수 있도록 한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초고속 정보통신 시대를 맞이하여 정보통신의 품질 유지를 위한 통신 맨홀의 관리가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통신 기초시설에서 통신 맨홀 내 통신 시설의 고장은 서비스 중단과 직결되며 그 피해는 사회적/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그런데, 현재 지하에 설치된 통신 맨홀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출입자 관리나 작업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통신 맨홀 내부에서 발생 가능한 사고에 대한 사전 감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통신 맨홀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관리가 필요하고 통신 맨홀내의 이상사태 발생 시 사고내역의 파악과 처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통신 맨홀의 출입자 감지와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통신 맨홀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개발 과제가 부여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개발 과제에 의한 연구 노력의 한 결과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광범위하게 산재되어 있는 통신 맨홀에 설치되어 기 구축된 PSTN 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센터와의 통신을 위한 회선 또한 기 구축된 통신망을 이용하는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통신 맨홀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관리가 가능하고 통신 맨홀내의 이상사태 발생 시 사고내역의 파악과 처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은, 맨홀 내부의 상태를 감시하는 원격 감시 단말을 맨홀 내에 설치하여 상기 원격 감시 단말에 의해 감지된 상태 정보를 센터 서버에서 전송 받아 상기 맨홀을 관리하는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맨홀 내에 기 구축된 통신망으로부터 전력을 추출하는 통신망 전원 추출부와, 상기 통신망 전원 추출부에서 얻어진 전력을 안정화시켜 안정된 전압을 상기 원격 감시 단말로 제공하는 전원 안정화부와, 상기 맨홀의 보안과 감시 및 관리를 위하여 상기 맨홀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값을 상기 센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센터 서버로부터의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센서부를 구동시키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에서 원격 감시 단말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에서 원격 감시 단말을 맨홀 내부에 설치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맨홀 20 : 맨홀 뚜껑
100 : 원격 감시 단말 111 : 통신망 전원 추출부
113 : 전원 안정화부 121 : 배터리
123 : 배터리 충전부 130 : 센서부
131 : 뚜껑 개폐 감지부 133 : 침입 감지부
135 : 온도 측정부 137 : 침수 감지부
139 : 가스 측정부 140 : 중앙 처리부
141 : 전력 제어 모듈 142 : 충전 제어 모듈
143 : 배터리 구동 모듈 144 : 센서 인터페이스 모듈
145 : 동적 구동 모듈 146 : 통신 처리 모듈
150 : 화재 진압부 160 : 통신망
161 : PSTN 163 : 초고속 통신망
165 : 관리 전용망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은, 맨홀의 보안, 감시 및 관리를 수행하는 원격 감시 단말을 맨홀 최상단에 위치한 맨홀 입구의 바로 밑에 설치하며, 별도의 전원 공급이 없이 PSTN 망으로부터 전원을 추출하여 이용한다. 여기서 PSTN 망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최대 전력이 150mW 정도인데 반해 각종 센서들 중에는 최대 300mW 정도의 전력을 소모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전력을 제외한 모든 전력을 배터리에 충전하며, 센서 구동시에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사용한다. 이로서 원격 감시 단말은 추가의 전력공급이 없이도 산재해 있는 맨홀에 대한 감시동작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원격 감시 단말과 센터 사이의 통신을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맨홀 내부에 이미 구축되어 있는 PSTN 망을 이용하여 추가의 회선 구축 없이 DTMF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고, 초고속 통신망을 이용하여 각종 네트웍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TCP 통신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는, 맨홀 내부 상태 점검을 위한 관리 전용망을 구축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최소의 비용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통신 맨홀의 보안, 감시 및 관리를 이룰 수 있으며, 통신 맨홀의 관리뿐만 아니라 유사한 지하 시설물을 보유하고 있는 전력, 가스, 지방 자치단체 등의 시설 운용 기관에서도 공통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에서 원격 감시 단말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에서 원격 감시 단말을 맨홀 내부에 설치한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격 감시 단말(100)은, PSTN 망(161)으로부터 전력을 얻는 통신망 전원 추출부(111)와 전원 안정화부(113)가 있으며, 여기서 얻어진 전력을 이용하여 비상상황을 감지하는 센서부(130)가 구동된다. 센서부(130)는 맨홀 뚜껑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뚜껑 개폐 감지부(131), 맨홀 내부로의 외부 침입 여부를 판별하는 침입 감지부(133), 맨홀 내부의 작업 환경을 확인하는 온도 측정부(135) 및 침수 여부를 판별하는 침수 감지부(137), 유해 가스 및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측정부(139)로 이루어진다. 또한 센서부(130)에서 요구하는 최대 전력을 지원하기 위하여 배터리(121)와 배터리 충전부(123)를 구비하며, 온도 측정부(135)에 의하여 측정된 맨홀 내부 온도가 기준 온도를 초과하여 화재로 판단될 경우 화재 진압을 위한 가스 등의 진화 시료를 분출하는 화재 진압부(150)를 구비한다. 또한 전체 시스템을 통합하여 관리하고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 처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원격 감시 단말(10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맨홀(10)의 최상단에 위치한 맨홀 입구의 바로 밑에 설치되면 통신망 전원 추출부(111)가 PSTN 망(161)으로부터 전력을 추출하고, 뚜껑 개폐 감지부(131)는 맨홀 뚜껑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며, 중앙 처리부(140)는 맨홀 내부 감시 상황을 PSTN 망(161), 초고속 통신망(163), 또는 관리 전용망(165)을 통해 센터로 전송한다.
이하, 원격 감시 단말(100) 및 그 구성 요소들의 기능 및 역할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각 구성 요소들간의 유기적 연결 관계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통신망 전원 추출부(111)는 PSTN 망(161)에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원격 감시 단말(100)에서 사용할 전력을 획득한다. 이때 PSTN 망(161), 즉 전화선이 오프후크(Off-Hook) 상태가 되면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므로 전화선을 오프후크 상태로 만들고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을 추출한다. 이로서 항상 약 150mW 정도의 전원을 일정하게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때 원격 감시 단말(100)은 기존 통화회로에 영향을 최소화하여야 하며 PSTN 망(161)의 전력공급 가능 범위를 지켜야 한다.
통신망 전원 추출부(111)에서 얻어진 전력은 전압 안정화부(113)를 통해 원격 감시 단말(100)에서 사용할 안정된 전압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전원 안정화부(113)는 레귤레이터 혹은 DC/DC 컨버터를 사용하여 5V, 4.25V, 3.3V의 DC 전압을 만들어 낸다.
한편, 소모 전력이 많이 필요한 센서부(130)의 구동을 위하여 배터리 충전부(123)는 통신망 전원 추출부(111)에서 얻어진 전력 중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평상 전력을 제외한 모든 전력을 배터리(121)에 충전해야 한다. 즉 배터리 충전 전류는 공급최대 전원을 150mW로 산정하고, 시스템 동작 전류를 제외한 나머지 전류를 항상 충전시키며, 충전 중에 가끔씩 구동시켜야하는 센서의 구동 시에만 전원 공급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제공되는 전력으로 원격 감시 단말(100)에 있는 모든 소자들을 구동시킬 수가 없다. 따라서 중앙 처리부(140)의 동적 구동 모듈(145)은 각 구성부의 전력 소모를 고려하여 각 구성부를 하나의 타임 슬롯에 하나씩 구동하여 실제로는 매 시간 일정하게 적은 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처럼 시스템을 구동한다.
한편, 침입 감지를 위하여 뚜껑 개폐 감지부(131)는 맨홀 뚜껑(20)의 개폐 여부를 판별해 내기 위하여 마그네틱 센서를 사용한다. 맨홀 뚜껑(20)이 열리게 되면 일정량의 자장이 변화가 발생하고 이를 마그네틱 센서가 검지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내부로의 침입을 탐지하기 위하여 침입 감지부(133)로 움직임 감지 센서를 사용하여 맨홀 내부로의 침입을 검지하거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맨홀 안으로 들어오는 물체를 검지할 수 도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감시 단말(100)은 맨홀(10) 최상단에 위치한 맨홀 입구의 바로 밑에 장착되며 맨홀 뚜껑(20)이 열리면 이를 판별하고, 아래로 어떠한 물체가 떨어지게 되면 침입으로 간주한다. 뚜껑 개폐 감지부(131) 및 침입 감지부(133)는 항상 구동되어야 하며 적은 전력으로 구동 가능하다.
또, 유해 가스 탐지의 경우 가스를 탐지하기 위하여 가스 측정부(139)는 폭발성 가스를 감지하여 주는 센서를 사용한다. 밀폐된 공간에서 가스는 순간 있다가 없어지는 것이 아니고 대기 중에 오래 남아 있게 된다. 맨홀 내부도 밀폐된 공간이므로 가스가 오래 남아 있게 되고, 따라서 맨홀 내부의 가스의 검출시간은 촉박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특징과 가스 센서는 매우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는 특징을 고려하여 PSTN 망(161)으로 추출된 전력으로 구동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으리라 판단하고 가스 검출이 필요할 때마다 배터리(121)의 전원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가스센서의 구동 시간은 센터에서 명령이 왔을 때 한번씩 체크하면 되고, 만일 폭발성 가스를 검사하여 맨홀의 폭파 사고를 방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30분 내지는 1시간 주기로 한번씩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 측정의 경우도 이와 동일하다.산소측정은 맨홀 내부에 작업이 필요한 경우 내부의 환경을 안에 들어가 보지 않고 판단 가능하도록 내부의 산소량을 측정한다. 산소 역시 센터로의 명령이 왔을 때만 보고해 주면 되므로 배터리(121)의 전력을 이용하여 가스 측정부(139)를 구동시킨다.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 측정부(137)는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맨홀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며, 온도 측정을 위해서는 온도센서를 사용하며 측정 주기는 가스센서와 동일하면 된다. 맨홀 내부의 온도를 알아야 할 경우는 가스센서와 마찬가지로 내부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이다. 온도센서는 비록 적은 전력을 소모한다 하더라도 가스센서와 동일하게 센터로부터의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만 측정하게 된다.
또한, 온도가 올라가 화재로 판단될 경우에는 화재 진압부(150)를 구동하여 화재 진압을 위한 가스 등의 진화 시료를 분출시킨다.
침수 감지부(137)는 맨홀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거리센서를 사용한다. 맨홀 내부에 물이 차 오르게 되면 물과 원격 감시 단말(100)과의 거리가 좁혀지고 이때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침수를 측정하게 된다. 한편 침수 감지부(137)는 침수센서를 사용하거나 기계적인 수량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침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중앙 처리부(140)는 원격 감시 단말(100)의 모든 구성요소를 제대로 동작시키기 위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모듈, 즉 전원 안정화부(113)를 제어하는 전력 제어 모듈(141), 배터리 충전부(123)를 제어하는 충전 제어 모듈(142),배터리(121)를 제어하는 배터리 구동 모듈(143), 센서부(130)를 제어하는 동적 구동 모듈(145)을 포함하며, 센서부(130)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센서 인터페이스 모듈(144), 맨홀 내부의 상태를 통신망(160)을 통해 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처리 모듈(146)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통신망 전원 추출부(111)에서 PSTN 망(161)을 통하여 전원을 추출하고 이를 전압 안정화부(113)에서 전압을 안정시킨 후에 원격 감시 단말(100)로 공급한다. 중앙 처리부(140)의 동적 구동 모듈(145)은 시간을 나누어 동일한 시간에 하나의 센서만을 구동시키는 동적 구동으로 센서부(130)를 구동시킨다.
이때, 온도 측정부(137)에 의한 맨홀 내부 온도 측정, 침수 감지부(137)에 의한 맨홀 내부의 침부 여부 측정, 가스 측정부(139)에 의한 맨홀 내부의 유해 가스 및 산소 농도의 측정은 측정하는 시간 주기를 넓게 적용하여 전력 소모를 줄이며, 뚜껑 개폐 감지부(131)와 침입 감지부(133)의 구동은 매 순간이 중요하므로 시간 주기를 매우 빠르게 적용한다.
한편, 중앙 처리부(140)는 이렇게 센서를 구동하고 남는 전력으로 충전 제어 모듈(142)을 구동하여 배터리(121)를 충전시키며, 가스 측정부(139) 및 침수 감지부(137)를 구동하고자 할 때에 배터리 구동 모듈(143)을 이용하여 배터리(121)로부터 센서의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이렇게 얻어진 전력을 이용하여 센서는 맨홀 내부의 상태를 계속적으로 감시하게 된다.
뚜껑 개폐 감지부(131)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뚜껑 개폐 감지부(131)가 맨홀 투껑(20)의 개방을 감지하면 그 감지신호가 증폭되어 중앙 처리부(140)의 센서 인터페이스 모듈(144)로 입력된다. 센서 인터페이스 모듈(144)로 입력된 비상 신호는 중앙 처리부(140)에서 어떠한 종류의 비상 상황인지를 판별하고 이를 센터에 알린다.
이때, 센터에 알리기 위해서 센터 서버와 원격 감시 단말(100) 간의 미리 정해놓은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처리 모듈(146)에서 패킷을 만들고 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며, 센터 서버는 이를 받아 해당 맨홀(10)의 뚜껑이 개방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중앙 처리부(140)는 센터 서버로부터 맨홀의 내부 상태를 보고하라는 명령을 받으면 이를 위해 센서부(130)의 해당 센서를 구동하여 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통신 처리 모듈(146)에서 패킷화하여 다시 센터로 전송하여 상태를 알린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효율성 문제를 고려하여야 한다. 원격 감시 단말(100) 1대당 하나의 회선을 사용할 경우에는 10만 대의 맨홀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10만 회선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1회선에 여러 대의 원격 감시 단말(100)을 물려 구동시킨다. 1회선에 2대가 설치될 경우 효율성은 두 배로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기술했듯이 원격 감시 단말(100)은 외부에서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회선에 무작정 여러 대를 구동시킬 수는 없다. 바람직하기로 한회선 당 5대 정도의 원격 감시 단말(100)을 함께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여러 대의 원격 감시 단말(100)이 전력을 골고루 나누어 사용하여 회선에 일시적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전력 제어 모듈(141)의 제어가 가장 중요하다. 모든 원격 감시 단말(100)은 센터 서버로부터의 명령에 의거하여 자신의 차례가 왔을 때에 자신의 모든 장치를 동적 구동 모듈(145)을 통해 동적으로 구동하고 자신의 차례가 아닐 경우에는 전력 제어 모듈(141)의 제어를 통하여 자신의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고 다음 원격 감시 단말로 차례를 넘겨줌으로써 회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여러 대의 원격 감시 단말(100)이 나누어 사용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범위하게 산재되어 있는 맨홀의 상태 감시를 위한 원격 감시 단말을 설치함에 있어서 기 구축된 PSTN 망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통신 회선 또한 기 구축된 통신망을 이용하므로 시스템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통신 맨홀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관리가 가능하고 통신 맨홀내의 이상사태 발생 시 사고내역의 파악과 처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통신 맨홀뿐만 아니라 전력, 가스, 지방자치 단체의 지하 매설물 등을 포함한 맨홀 형태의 모든 지하 설치물의 사전 사고 예방과 관리에도 이용 가능하므로 국가 기반 시설에 대한 구축 비용의 절감과 아울러 운용 관리의 효율성을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맨홀 내부의 상태를 감시하는 원격 감시 단말을 맨홀 내에 설치하여 상기 원격 감시 단말에 의해 감지된 상태 정보를 센터 서버에서 전송 받아 상기 맨홀을 관리하는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맨홀 내에 기 구축된 통신망으로부터 전력을 추출하는 통신망 전원 추출부와,
    상기 통신망 전원 추출부에서 얻어진 전력을 안정화시켜 안정된 전압을 상기 원격 감시 단말로 제공하는 전원 안정화부와,
    상기 맨홀의 보안과 감시 및 관리를 위하여 상기 맨홀 내부의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값을 상기 센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센터 서버로부터의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센서부를 구동시키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하는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안정화부와 함께 상기 원격 감시 단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에 상기 통신망 전원 추출부에서 얻어진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 충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배터리 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력 충전 과정을 관장하는 충전 제어 모듈과, 상기 배터리를 제어하여 상기 원격 감시 단말로의 전력 공급 과정을 관장하는 배터리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측정된 상기 맨홀의 내부 온도값에 의거하여 화재로 판단될 경우 화재 진압을 위한 진화 시료를 분출하는 화재 진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전원 추출부는 상기 맨홀 내부에 기 구축된 PSTN 망의 전화선이 오프후크(Off-Hook) 상태일 때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맨홀 뚜껑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뚜껑 개폐 감지부와, 상기 맨홀 내부로의 외부 침입 여부를 판별하는 침입 감지부와, 상기 맨홀 내부의 작업 환경을 확인하는 온도 측정부와, 상기 맨홀 내부의 침수 여부를 판별하는 침수 감지부와, 상기 맨홀 내의 유해 가스 및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시간을 나누어 동일한 시간에는 상기 복수의 센서들 중 하나의 센서만을 구동시키는 동적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의 1회선에는 복수의 상기 맨홀에 각각 설치된 상기 원격 감시 모듈이 복수로 연결되고,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센터 서버로부터의 명령에 의거하여 자신의 차례가 왔을 때에 상기 동적 구동 모듈을 구동하며, 자신의 차례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전원 안정화부를 제어하여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는 전력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센터 서버와의 통신을 위하여 상기 맨홀 내에 기 구축된 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
KR1020020082361A 2002-12-23 2002-12-23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 KR100545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361A KR100545911B1 (ko) 2002-12-23 2002-12-23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361A KR100545911B1 (ko) 2002-12-23 2002-12-23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907A true KR20040055907A (ko) 2004-06-30
KR100545911B1 KR100545911B1 (ko) 2006-01-24

Family

ID=3734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361A KR100545911B1 (ko) 2002-12-23 2002-12-23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59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35B1 (ko) * 2005-09-21 2007-06-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광통신용 맨홀의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731494B1 (ko) * 2006-01-11 2007-06-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맨홀 내부 감시 장치
KR20190047240A (ko)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성우디엠씨 지하 맨홀을 활용한 지하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KR102474556B1 (ko) * 2021-11-01 2022-12-06 유예림 신도시 지중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551025B1 (ko) * 2022-02-04 2023-07-05 주식회사 하이원 변압기에 접속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선로화재 감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618B1 (ko) 2011-12-05 2012-07-19 주식회사 일흥산전 맨홀 내부 감시 시스템
KR101661513B1 (ko) 2016-03-24 2016-10-11 주식회사 보람 안전감시기능을 갖춘 상하수도 맨홀장치
KR102608175B1 (ko) 2021-12-29 2023-11-30 (주)아이엠알 전력계통 지중 맨홀용 안테나 구조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235B1 (ko) * 2005-09-21 2007-06-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광통신용 맨홀의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731494B1 (ko) * 2006-01-11 2007-06-2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맨홀 내부 감시 장치
AU2006252185B2 (en) * 2006-01-11 2009-02-05 Ls Cable Ltd An apparatus for monitoring an inside of a manhole
US7656289B2 (en) 2006-01-11 2010-02-02 Ls Cable Ltd. Apparatus for monitoring an inside of a manhole
KR20190047240A (ko)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성우디엠씨 지하 맨홀을 활용한 지하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KR102474556B1 (ko) * 2021-11-01 2022-12-06 유예림 신도시 지중변압기에 접속된 지중배전선로의 화재 감시 시스템
KR102551025B1 (ko) * 2022-02-04 2023-07-05 주식회사 하이원 변압기에 접속되는 지중 배전선로의 선로화재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5911B1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66413A1 (en) Monitor for Underground Infrastructure
TWI676373B (zh) 資料通訊裝置、系統及方法
US7073633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te maintenance of an elevator
KR101183587B1 (ko)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0545911B1 (ko) 맨홀 상태 감시 시스템
US8063763B2 (en) System for testing NAC operability using reduced operating voltage
KR102128676B1 (ko) 복합 센서 모듈
KR101932580B1 (ko) 초특고압 지중송전선로의 진단시스템
US11742159B2 (en) Switch
KR20220165906A (ko) 수배전반 원격감시 및 고장예보 관리 시스템
JP2022526852A (ja) フィールドデバイスのためのアドオンモジュール
KR101808752B1 (ko) 초고압 지중송전선로 진단시스템
CN111487426A (zh) 一种基于物联网的汇集分散污染源监控系统
KR20200074740A (ko) 산소농도분석기의 원격 고장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100236B1 (ko)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20190117844A (ko) IoT 네트워크 기반 모터밸브 불량검출 및 불량예측 모니터링 시스템
KR100191643B1 (ko) 통신구 집중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579046B1 (ko) 축전지 감시 시스템
KR100354524B1 (ko) 의료/연구 실험장비의 관리장치
CN112433488A (zh) 一种设备安全管理的系统
CN215912136U (zh) 基于分布式计算的智能井盖管控系统
KR101577807B1 (ko) 해양 플랫폼의 전력관리시스템
KR102415465B1 (ko) 스마트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KR102613195B1 (ko) PoE 기반의 자가진단 게이트웨이
CN212341230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汇集分散污染源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