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431A -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 - Google Patents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431A
KR20040055431A KR1020020082101A KR20020082101A KR20040055431A KR 20040055431 A KR20040055431 A KR 20040055431A KR 1020020082101 A KR1020020082101 A KR 1020020082101A KR 20020082101 A KR20020082101 A KR 20020082101A KR 20040055431 A KR20040055431 A KR 20040055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ite
sewage treatment
treatment facility
wall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2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주환
Original Assignee
청수환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수환경(주) filed Critical 청수환경(주)
Priority to KR1020020082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5431A/ko
Publication of KR20040055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43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3Processes of filtr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adsorb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오수처리시설은 정수제, 흡착제, 및 응집보조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일라이트를 충진한 여과장치를 더 설치한 것으로서, 오폐수의 정화능력을 크게 증대시켜 정수처리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SEWAGE DISPOSAL APPARATUS ENHANCING PURIFYING EFFICIENCY OF SEWAGE}
본 발명은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수제, 흡착제, 및 응집보조제 등으로 널리 사용되는 일라이트를 충진한 여과장치를 더 설치함으로써 오폐수의 정화능력을 크게 증대시켜 정수처리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전과 인구 증가로 인하여 산업 폐수 및 가정 오수가 급증하여 물고기 떼죽음, 생태계 파괴 등 각종 수질 재해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국가 및 지자체는 여러 가지 배출 규제 및 하수 종말 처리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한정된 하수종말 처리의 용량 때문에 점증하는 오폐수는 환경 오염의 주원인 중의 하나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오폐수 오염원을 차단하기 위해서 2002년 이후부터 수질 배출기준이 더욱 강화되어 상수보호구역, 환경보전구역 등 특정 지구의 배출 기준으로 모든 일반 지역도 확대 적용된다. 그리고 하수 종말 처리 시설이 없는 마을단위 하수처리 시설에는 질소, 인에 대한 규정 또한 추가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현재 기존의 오수처리시설의 처리 효율을 증대시키거나 기 설치되어 있는 오수 정화조에 대한 효율 개선 대책이 요구된다.
일반적인 오수처리시설로서 정화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수처리시설은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로부터 정화가 완료된 유출수가 배출되는 배출구(5)까지 순차적으로 제 1침전분리실(11), 제 2침전분리실(13), 제 1접촉폭기실(15), 제 2접촉폭기실(17), 및 최종침전조(19)가 설치되어 있고, 그들 사이에는 격벽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격벽 상부에는 이류관(9)이 설치되어 오폐수가 각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여과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접촉폭기실(15)과 제 2접촉폭기실(17)에는 접촉여재(7)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오수처리시설에 오폐수가 유입되면, 먼저 제 1 및 제 2침전분리실(11),(13)에서는 중력을 이용한 물리적 처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접촉폭기실(15),(17)에서는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최종침전조(19)에서는 접촉폭기 후에 월류된 처리수가 정류되고 슬러지가 발생되면 반송관(미도시)에 의해 상기 슬러지를 외부로 반송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오수처리시설은 오폐수의 처리 효율이 떨어지고 정화장치의 1차 및 2차 처리의 신뢰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그로 인해 전체적인 하수종말처리장의 부하를 증가시키고, 유출수의 수질악화로 인한 하천의 오염 및 정수처리 비용의 증대를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폐수의 처리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오수처리시설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오폐수의 처리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수처리시설을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처리시설을 도시한 반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처리시설의 여과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여과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b는 도 3의 여과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유입구 5 : 배출구
7 : 접촉여재 9 : 이류관
11 : 제 1침전분리실 13 : 제 2침전분리실
15 : 제 1접촉폭기실 17 : 제 2접촉폭기실
19 : 최종침전조 50 : 여과장치
51 : 본체 53 : 받침대
61 : 입구벽 62 : 슬릿홈
63 : 출구벽 64 : 슬릿홈
66 : 공간부 68 : 유출공
71 : 제 1일라이트층 73 : 제 2일라이트층
75 : 제 3일라이트층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로부터 정화가 완료된 유출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까지 순차적으로 제 1침전분리실, 제 2침전분리실, 제 1접촉폭기실, 제 2접촉폭기실, 및 최종침전조가 설치되어 있고, 그들 사이에는 격벽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격벽 상부에는 이류관이 설치되어 오폐수가 각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여과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접촉폭기실과 제 2접촉폭기실에는 접촉여재가 설치되어 있는 오수처리시설에 있어서, 일라이트 광물이 충진된 입상형 여과장치가 상기 최종침전조의 내부에 상기 배출구와 연통하도록 위치하여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여과장치는, 일라이트가 충진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로 구분되되, 상기 본체는 최하단에 다수의 슬릿홈이 형성된 입구벽을 구비하고, 상기 입구벽의 상단의 본체 내부에는 다수의 슬릿홈이 형성된 출구벽을 구비하며, 상기 출구벽과 본체의 최상단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벽에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방류수를 유출하기 위한 유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벽과 상기 출구벽 사이에는 일라이트 광물이 충진된다.
상기 일라이트 광물은 하단에 일라이트의 입자가 조대한 제 1일라이트층이, 중앙에는 일라이트의 입자가 작은 제 2일라이트층이, 상단에는 일라이트의 입자가 조대한 제 3일라이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주된 기술내용은 오수처리시설에 일라이트(Illite) 광물을 추가로 설치하여 오폐수의 정화처리능력을 크게 증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라이트에 대한 구조 및 물리적 성질은 다수 기존 연구(Grim, 1962; Lambe와 Whitman 등)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견운모와 더불어 운모형 점토광물 중 Al 함량이 많은 광물로서 두 개의 실리카 사면체판(tetrahedral silica sheet) 사이에 알루미나 팔면체판(octahedral alumina sheet)이 형성된 3층상 구조를 갖는다. 이 3층상 구조는 칼륨(K)이온에 의하여 이온 결합되어 있다. 일라이트의 두께는 30 nm정도, 직경은 10,000 nm되고 비표면적이 커서 80 m2/g 정도이다. 그리고 이온교환능력은 10∼40 meg/100g 정도 된다. 이와 같은 큰 비표면적과 이온교환 능력을 갖기 때문에 중금속 등의 흡착력과 탈취 능력을 갖는다. 그리고 또 다른 실험에 의하면 일라이트 투여한 다음 시간에 따라 대장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일라이트가 항균성을 갖는 것을 밝혀졌다.
또한, 일라이트는 성분비에 따라 표 1과 같이 White와 Yellow 일라이트로 분류된다. 여기서 White는 Yellow보다 항균능력은 큰 대신에 중금속 흡착력은 작게 평가되었다(김상순, 2000). 형태상으로는 분말형과 입상형이 있고 입상형에는 자연석과 세라믹 소결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 1] 일라이트의 성분비
성분 일라이트 성분비 (%)
White Yellow
SiO2 66.14 52.01
Al2O3 23.04 30.53
Fe2O3 1.31 2.30
TiO2 0.34 0.46
MgO 0.20 0.25
MnO 0.00 0.01
CaO 0.01 0.01
Na2O 0.07 0.43
K2O 5.92 7.26
P2O5 0.03 0.02
기타 2.94 6.72
이러한 일라이트(Illite)는 기존의 오수처리시설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존 처리시설의 최종 침전조에서 유출되는 유출수를 일라이트 처리과정을 통하여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대규모 하수종말처리시설에서 1,2차 처리 후에 고도처리하는 과정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기존 정화조의 유출수에 대하여 별도의 단위시설로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일라이트 중 분말형에 의한 처리 또한 폐수처리에 효과가 있기 때문에 보조처리제로서 공인되고 있지만 분말형에 의한 폐수처리는 슬러지를 다량으로 발생시키기 때문에 슬러지의 처리 시설 또는 비용이 추가되므로 이의 대안으로 입상형 여과방식을 택하였다. 그리고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입상형 중 소결형 대신 자연석을 택하였다. 즉, 흡착성있는 입상형 자연석 일라이트를 여재로 하는 여과장치를 기성 제품의 최종 침전조에 설치함으로서 1차, 2차 처리수를 고도 처리하도록 하여 제품의 처리효율을 증진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입상형 여과장치는 오수처리시설의 최종침전조에 설치되어 유출수를 최종적으로 정화하는데, 도 2는 상기 입상형 여과장치가 설치된 오수처리시설을 도시한 것이고, 도 3 내지 도 4b는 상기 입상형 여과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여과장치(50)는 오수처리시설의 최종침전조(19)에 설치되고, 배출구(5)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구(3)로 유입된 오폐수는 제 1 및 제 2침전분리실(11),(12)을 통과하면서 중력을 이용한 물리적 처리에 의해 1차 정화되고, 제 1 및 제 2접촉폭기실(15),(17)을 통과하면서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에 의해 2차 정화된다. 그 후에 최종침전조(19)로 월류된 처리수는 상기 여과장치(50)를 통과함으로써 최종 정화가 이루어진 방류수로 되어 배출구(5)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이러한 여과장치(50)는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상형 여과장치의 형태를 취하는데, 일라이트가 충진된 본체(51)와 상기 본체(51)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53)로 구분된다.
상기 본체(51)는 최하단에 다수의 슬릿홈(62)이 형성된 입구벽(61)이 구비되고, 상기 입구벽(61)의 상단의 본체(51) 내부에는 다수의 슬릿홈(64)이 형성된 출구벽(63)이 구비된다. 이런 구조에 의해, 상기 출구벽(63)과 본체(51)의 최상단부 사이에는 공간부(66)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66)의 일측벽에는 상기 배출구(5)와 연통되어 방류수를 유출하기 위한 유출공(6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입구벽(61)과 상기 출구벽(63) 사이에는 일라이트 광물이 충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하단에 일라이트의 입자가 조대한 제 1일라이트층(71)이, 중앙에는 일라이트의 입자가 작은 제 2일라이트층(73)이, 상단에는 일라이트의 입자가 조대한 제 3일라이트층(7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이 좋다. 즉, 제 1일라이트층(71) 및 제 3일라이트층(75)에는 각각 25% 정도의 일라이트가 충진되고, 제 2일라이트층(73)에는 나머지 50% 정도의 일라이트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일라이트층의 적층은 상기에 언급된 3층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적층구조로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여과장치(50)의 하단에 구비된 입구벽(61)의 다수의 슬릿홈(62)을 통해 유출수가 유입되어 상기 제 1, 2 및 3 일라이트층(71),(73),(75)을 통과하면서 최종 정화가 이루어지고, 출구벽(63)의 다수의 슬릿홈(64)을 통해 공간부(66)로 빠져나와 배출구(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처리시설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오수처리시설의 모형을 제작하여 여러 가지 실험을 하였으며, 그에 대한 실험예 및 그 결과들을 하기에 설명하도록 하겠다.
<실험예>
1. 모형의 구성 및 제작
실험 모형은 기존 오수처리시설 3톤의 처리실 용량에 대하여 15분의 1로 축소하여 모형화하였다. 이때 오수처리시설 원형은 원통형이고 불투명한 FRP 재질을 갖는 반면에 본 모형은 실험 과정의 투명화를 위하여 유리 재질의 육면체 형태로 제작하였다. 다만 침전조와 일라이트조는 같은 실에 만들었고 실험의 편리성을 위해서 그 축척은 다른 실보다 2배 크게 하였다. 이렇게 축척이 달리하여도 여과과정은 동일하므로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때 실험조의 수조는 원형의 높이가 일정함을 고려하여 75cm로 일정하고 폭을 조정하여 그 용량을 조절하였다. 그리고 수조를 연결하는 관은 유연한 관을 사용하였다. 실험조의 구성은 크게 침전분리실, 접촉폭기실, 침전실 및 일라이트조로 구성되고 이외에 원수(오폐수)를 공급하기 위한 원수조가 있다. 원수조와 각실 간에 유동은 통사이에 각 통의 바닥 위치를 조절함으로서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서 우선 접촉폭기조는 기존 오수처리시설과 같은 현수미생물법에 의해서 2차 처리가 안정적으로 되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침전조/일라이트여과조를 연결하여 여과전후의 수질시험을 통하여 일라이트 여과조의 효과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또한, 일라이트 여과조의 하단부에 입상형 일라이트 대급 25%를 채우고 그 위에 중급을 50% 넣고 상단부에 대급 25%를 넣어 여재부를 구성시켰다. 그리고 2차 처리가 정상적으로 되고 있는 접촉폭기실과 연결시켜서 2차 처리수가 여과부를 통과하여 처리되도록 하였다. 연결후 1일 경과후에 수질을 측정하기 시작하였다. 모형의 투명한 유리벽을 통하여 시험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고 비이커로 각실별로 수질을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시료를 채수하여 실험하도록 하였다.
모형의 수처리 효과규명을 위해서 유량 변동에 따른 수처리 분석, 여재투입 경과시간별 분석, 여재에 따른 결과 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치가 하기 표 2 내지 표 4에 나타나 있다.
[표 2] 유량별 수질 결과
통과유량 구 분 BOD COD SS T-N T-P 유량(㎖/s) 비고
큰 경우 처리전 A 18.8 29.1 46.0 4.80 0.61 - - 단위 : mg/ℓ- 여재 : 자연석 일라이트- 여재투입후1일 경과
처리후 B 15.1 21.5 28.0 4.08 0.36 38
A-B 3.7 7.6 18 0.72 0.25
(A-B)/A(%) 16 26 39 15 41
C 17.4 23.3 36.0 4.80 0.44 77
A-C 1.4 5.8 10 0 0.17
(A-C)/A(%) 7 20 22 0 28
작은 경우 처리전 D 16.3 35.1 39.0 4.08 1.03 -
처리후 E 12.2 30.7 30.0 3.28 0.68 3
D-E 4.1 4.4 9 0.8 0.35
(D-E)/D(%) 25 12.5 23 20 34
유량 변동에 따른 수질 처리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소유량 3㎖/s일 경우 처리 전후 수질을 평가하고 유량이 많은 경우로 동일한 원수 38㎖/s와 77㎖/s에 대하여 수질 처리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 경우 유량이 적을 경우 여과조의 수처리 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보여 준다. 전체적으로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질 평가항목 BOD, COD, SS, T-N, T-P 별로 각각 처리전보다 7∼16%, 20∼26%, 22∼39%, 0∼15%, 28∼41%가 감소됨을 보여준다.
유량이 작을 경우는 평가항목 BOD, COD, SS, T-N, T-P별로 각각 25%, 12.5%, 23%, 20%, 34%가 처리전보다 감소됨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BOD, T-N, T-P 항목은 유량이 많을 경우보다 처리율이 커짐을 보여준다. 반면에 COD와 SS는 처리율이 둔감함을 알 수 있다.
[표 3] 여재 투입 후 경과 시간별 측정결과
경과(일) 구 분 BOD COD SS T-N T-P 비 고
1 처리전(A) 16.3 35.1 39.0 4.08 1.03 - 여재 : 자연석 일라이트- 유량 : 3 ㎖/s
처리후(B) 12.2 30.7 30.0 3.28 0.68
비교 A-B 4.1 4.4 9 0.8 0.35
(A-B)/A(%) 25 12.5 23 20 34
7 처리전(C) 1.0 13.0 2.8 3.84 0.86 - 자연석 입상 일라이트- 유량 : 5 ㎖/s
처리후(D) 0.4 12.0 1.8 3.36 0.58
비교 C-D 0.6 1.0 1.0 0.48 0.28
(C-D)/C(%) 60 7 36 13 33
10 처리전(E) - 10.6 4.0 4.8 1.4 - 자연석 입상 일라이트- 유량 : 2.8 ㎖/s
처리후(F) - 7.9 2.0 3.8 1.1
비교 E-F - 2.7 2.0 1.0 0.3
(E-F)/E(%) - 25 50 21 21
평균 처리율(%) 43 15 36 18 29 유량 : 3.6 ㎖/s
투입후 경과 시간에 따라 수처리 효과는 각 시간별로 상대 비교할 수는 없지만 시간에 따라 물리적으로 여재가 여과조에서 안정화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수처리 효과의 추이를 보여준다. 실험결과 여과전후의 평균적인 처리율은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BOD, COD, SS, T-N, T-P가 각각 43, 15, 36, 18, 29 %으로 나타난다. 이때 처리율은 여과 전에 대비한 값이다.
[표 4] 여재별 측정결과
경과(일) 구 분 BOD COD SS T-N T-P 비 고
자연적 입상 처리전(A) 1.0 13.0 2.8 3.84 0.86 - 자연석 입상 일라이트- 여재투입후 7일 경과- 유량 : 5 ㎖/s
처리후(B) 0.4 12.0 1.8 3.36 0.58
비교 A-B 0.6 1.0 1.0 0.48 0.28
(A-B)/A(%) 60 7 36 13 33
소결 입상 처리전(C) 5.2 19.9 11.5 8.2 0.31 - 소결 입상 일라이트- 여재투입후 7일경과- 유량 : 3 ㎖/s
처리후(D) 2.1 11.0 10.5 6.5 0.16
비교 C-D 3.1 8.9 1.0 1.7 0.15
(C-D)/C(%) 60 45 9 21 48
여재에 따른 처리효과 비교는 처리 전 수질이 다르기 때문에 엄밀한 상대비교 분석은 될 수 없고 대체적인 비교를 위한 것이다. 이때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처리항목마다 그 처리율이 다소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입상형 일라이트는 자연석과 소결형 모두 현격한 차이가 없는 수처리 효과를 보여 준다. 따라서 자연석이 가격측면에서 10분의 1수준이므로 상대적으로 경제적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여재로서 입상형 일라이트 중에 자연석을 택하였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라이트를 이용한 오수처리시설에 따르면, 기업체가 생산하고 있는 소규모 오수처리시설의 처리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1) 처리능력의 신장으로 매출 증대, (2) 하수종말처리장의 부하 감소, (3) 유출수의 수질개선에 의한 하천 및 생태계 보호, (4) 수원의 수질 향상을 통한 정수처리 비용 감소, (5) 하천 수질 개선에 따른 저수지 2차 오염 방지 등 기업체의 편익 뿐만 아니라 환경보전에 기대 효과를 가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침체되어 있는 지역의 광산경기 활성화에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오수처리시설에 있어서,
    정화처리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오수처리시설 내부에 일라이트 광물을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설.
  2.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로부터 정화가 완료된 유출수가 배출되는 배출구(5)까지 순차적으로 제 1침전분리실(11), 제 2침전분리실(13), 제 1접촉폭기실(15), 제 2접촉폭기실(17), 및 최종침전조(19)가 설치되어 있고, 그들 사이에는 격벽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격벽 상부에는 이류관(9)이 설치되어 오폐수가 각 구역으로 순차적으로 여과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접촉폭기실(15)과 제 2접촉폭기실(17)에는 접촉여재(7)가 설치되어 있는 오수처리시설에 있어서,
    일라이트 광물이 충진된 입상형 여과장치(50)가 상기 최종침전조(19)의 내부에 상기 배출구(5)와 연통하도록 위치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50)는,
    일라이트가 충진된 본체(51)와 상기 본체(51)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53)로 구분되되,
    상기 본체(51)는 최하단에 다수의 슬릿홈(62)이 형성된 입구벽(61)을 구비하고, 상기 입구벽(61)의 상단의 본체(51) 내부에는 다수의 슬릿홈(64)이 형성된 출구벽(63)을 구비하며, 상기 출구벽(63)과 본체(51)의 최상단부 사이에는 공간부(66)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66)의 일측벽에는 상기 배출구(5)와 연통되어 방류수를 유출하기 위한 유출공(6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벽(61)과 상기 출구벽(63) 사이에는 일라이트 광물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일라이트 광물은 하단에 일라이트의 입자가 조대한 제 1일라이트층(71)이, 중앙에는 일라이트의 입자가 작은 제 2일라이트층(73)이, 상단에는 일라이트의 입자가 조대한 제 3일라이트층(75)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처리시설.
KR1020020082101A 2002-12-21 2002-12-21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 KR20040055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101A KR20040055431A (ko) 2002-12-21 2002-12-21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101A KR20040055431A (ko) 2002-12-21 2002-12-21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036U Division KR200308758Y1 (ko) 2002-12-21 2002-12-21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431A true KR20040055431A (ko) 2004-06-26

Family

ID=3734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2101A KR20040055431A (ko) 2002-12-21 2002-12-21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5431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7969A (zh) * 2012-09-24 2013-01-30 江门市三清环境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多功能复合污水净化器
KR101285180B1 (ko) * 2013-05-03 2013-07-10 김용섭 일라이트를 이용한 오수하수폐수의 처리 방법
CN103508576A (zh) * 2013-04-19 2014-01-15 周梅英 城市生活污水的处理办法
CN105836909A (zh) * 2016-05-04 2016-08-10 常州大学 一种含砷和铅的废水处理装置
CN105836938A (zh) * 2016-06-03 2016-08-10 常州大学 一种含重金属与氟离子冶炼废水的处理装置
CN105906145A (zh) * 2016-05-04 2016-08-31 常州大学 高硫酸根和高氟离子地下水处理装置
CN105923769A (zh) * 2016-06-12 2016-09-07 常州大学 一种垃圾渗滤液ro浓水处理装置
CN105948332A (zh) * 2016-06-28 2016-09-21 常州大学 刀削废液处理装置与方法
CN105948371A (zh) * 2016-05-23 2016-09-21 常州大学 移动式废水处理装置
CN106277631A (zh) * 2016-09-06 2017-01-04 常州大学 一种低浓度氨氮废水处理装置
CN106315976A (zh) * 2016-09-09 2017-01-11 常州大学 一种偶氮染料废水处理装置
CN106673247A (zh) * 2017-02-13 2017-05-17 常州大学 一种含铅染料废水预处理装置
CN112672800A (zh) * 2018-09-11 2021-04-16 曼·胡默尔有限公司 干燥系统、干燥器芯盒和干燥器芯盒的使用
KR102637078B1 (ko) * 2023-01-09 2024-02-15 윤종혁 일라이트를 이용한 방사능 오염수 제염 장치
KR102638051B1 (ko) * 2023-01-03 2024-02-21 윤종혁 파우더형 일라이트를 이용한 방사능 오염수 제염 방법 및 제염 성능 측정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97969A (zh) * 2012-09-24 2013-01-30 江门市三清环境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多功能复合污水净化器
CN103508576A (zh) * 2013-04-19 2014-01-15 周梅英 城市生活污水的处理办法
KR101285180B1 (ko) * 2013-05-03 2013-07-10 김용섭 일라이트를 이용한 오수하수폐수의 처리 방법
CN105836909A (zh) * 2016-05-04 2016-08-10 常州大学 一种含砷和铅的废水处理装置
CN105906145A (zh) * 2016-05-04 2016-08-31 常州大学 高硫酸根和高氟离子地下水处理装置
CN105948371A (zh) * 2016-05-23 2016-09-21 常州大学 移动式废水处理装置
CN105836938A (zh) * 2016-06-03 2016-08-10 常州大学 一种含重金属与氟离子冶炼废水的处理装置
CN105923769A (zh) * 2016-06-12 2016-09-07 常州大学 一种垃圾渗滤液ro浓水处理装置
CN105948332A (zh) * 2016-06-28 2016-09-21 常州大学 刀削废液处理装置与方法
CN106277631A (zh) * 2016-09-06 2017-01-04 常州大学 一种低浓度氨氮废水处理装置
CN106315976A (zh) * 2016-09-09 2017-01-11 常州大学 一种偶氮染料废水处理装置
CN106673247A (zh) * 2017-02-13 2017-05-17 常州大学 一种含铅染料废水预处理装置
CN112672800A (zh) * 2018-09-11 2021-04-16 曼·胡默尔有限公司 干燥系统、干燥器芯盒和干燥器芯盒的使用
KR102638051B1 (ko) * 2023-01-03 2024-02-21 윤종혁 파우더형 일라이트를 이용한 방사능 오염수 제염 방법 및 제염 성능 측정 방법
KR102637078B1 (ko) * 2023-01-09 2024-02-15 윤종혁 일라이트를 이용한 방사능 오염수 제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55431A (ko)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
Verma et al. Slow sand filtration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a review
García et al. A review of the adsorption-biological hybrid processes for the abatement of emerging pollutants: Removal efficiencies,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economic evaluation
US5178768A (en) Mixed filter bed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US3713543A (en) Activated sewage plant
US5733453A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6197193B1 (en) Drinking water filter
Tyagi et al. Slow sand filtration of UASB reactor effluent: A promising post treatment technique
US5190646A (en) Wastewater treating biological film tank
CN209210593U (zh) 一种城镇污水处理系统
KR200308758Y1 (ko) 오폐수의 정화효율을 증강시킨 오수처리시설
US63312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tewater nutrient recovery
CN109368941A (zh) 一种城镇污水处理装置及其应用
Garg Industrial wastewater: characteristics, treatment techniques and reclamation of water
CN107252586A (zh) 一种用于处理食品工业污水的滤料
JPH04193387A (ja) 汚水の浄化方法
KR970005251Y1 (ko) 정수기
KR100316688B1 (ko) 오수처리장치
Ngo et al. Advanced treatment technologies for recycle/reuse of domestic wastewater
JPH0711834Y2 (ja) 汚水浄化槽
KR19980011562U (ko) 활성자화수 필터
CN202099159U (zh) 复合固体载体生物膜曝气装置
KR20240020408A (ko) 상향류식여과장치의 여재교체시스템
KR19990018122U (ko) 현수 미생물 접촉 폭기 정화조
KR100997517B1 (ko) 분수조형물을 이용한 호소 폐수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