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296A -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296A
KR20040055296A KR1020020081938A KR20020081938A KR20040055296A KR 20040055296 A KR20040055296 A KR 20040055296A KR 1020020081938 A KR1020020081938 A KR 1020020081938A KR 20020081938 A KR20020081938 A KR 20020081938A KR 20040055296 A KR20040055296 A KR 20040055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remote controller
gateway
power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헌
Original Assignee
김성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헌 filed Critical 김성헌
Priority to KR102002008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5296A/ko
Publication of KR20040055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29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종래 전원어댑터 제어시스템은 전체 전원어댑터를 제어할 수 있는 하나의 리모트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공간내에 위치하는 전원어댑터를 각자 제어함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전원어댑터 및 스위치의 일부를 제어대상으로 등록하여, 그 등록된 전원어댑터 또는 스위치만을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중계 리모트 콘트롤러와; 상기 다수의 중계 리모트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중계하여 해당하는 전원어댑터 및 스위치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공간내에 위치하는 전기기기 및 조명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를 사용함에 있어서, 그 리모트 콘트롤러의 기능이 전체 전기기기 및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비하여 더 적으며, 이를 구현하는 하드웨어도 간단하고, 기능키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방법을 익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FOR POWER SWITCHING ADAPTOR USING GATEWAY}
본 발명은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체 전원어댑터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콘트롤러 이외에 일부의 전원어댑터 만을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와, 그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중계하는 게이트웨이를 구비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공간내에 위치하는 전원어댑터를 제어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시스템은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에 다수의 전원어댑터 각각의 고유 식별번호를 지정하고, 그 식별번호를 이용하여 각 전원어댑터를 제어하여,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줄이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시스템은 전체 전원어댑터를 제어할 수 있는 복잡한 기능을 가지는 하나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공간내에 위치하는 전원어댑터를 제어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이를 위해 전체 전원어댑터를 사용자의 수에 맞춰 구비하는 경우에는, 기능의 중복이 많고, 시스템의 구축 비용이 증가하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시스템의 중요 구성요소를 오동작 시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2002319210000를 들어, 종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시스템의 구성 및 그 구성에 따른 문제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100-1 ..... 100-n은 해당되는 전기기기들로 전원 공급을 이루도록 소정 위치로 설치되는 콘센트이다. 상기 콘센트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해당되는 전기기기로 공급하는 장치가 되며, 이는 미리 규격화된 형태로서 구현된다. 상기 콘센트는 통상 AC 110V 및 220V 전원을 공급하며, 라운드형 및 직각형의 홈이 패인 2구 형태로 구현된다. 상기 홈으로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서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참조부호 200-1 .....200-n은 종래 전원어댑터이다. 상기 전원어댑터는 일 측으로 전원인가가 이루어지는 플러그가 장착되며, 그 반대 다른 측으로는 해당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콘센트가 장착된다.
상기 플러그는 상기 참조부호 100-1...100-n의 콘센트로 삽입될 수 있도록 그 형태가 구현되며, 상기 콘센트는 상기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전원어댑터는 AC/AC 전원어댑터로서 사용되며, 해당 전기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의 인가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참조부호 201은 통상 사용되는 전원 스위치가 된다. 상기 스위치는 전등 등의 전원 온, 오프시 사용되는 고정형 스위치로서, 벽체로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구현된다. 그 내부로는 전원 스위치 박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원어댑터는 상기 전원 스위치 박스로 내장된다. 상기 고정형 스위치와 상기 전원 스위치 박스로 내장되는 전원어댑터는 전원 공급 경로를 상호 직렬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선택적인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른 구성이 된다.
참조부호 101은 상기 전원 스위치 박스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300은 종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로 상기 전원어댑터 각각의 전원인가 상태를 무선으로 제어한다. 상기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는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사용자의 키 입력 및 카드 인식 조작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전기기기의 전원인가 상태를 제어하도록 한다.
참조부호 400-1....400-n은 구비되는 전기기기들로서 통상 가정집에서 사용될 수 있는 TV, 냉장고 등이 있다. 이들은 전원어댑터로터 전원 공급을 받을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전원어댑터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여 전원어댑터의 구성 및 각 구성부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11)는 전원어댑터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스위칭 조작 결과에 따라 콘센트로부터 해당 전기기기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 상태의차단 제어, 수신되는 무선신호의 분석을 통한 해당 전기기기로의 전원 공급 상태의 차단 제어, 기타 사용자로부터의 예약 설정에 따른 예약 설정 등 전원 차단에 따른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전원 공급 상태의 표시 제어, 예약 설정에 따른 타이머의 구동 제어를 행한다. 그 외 이하 설명되는 각 구성의 제어 동작을 행한다.
타이머(212)는 상기 제어부(211)의 제어 하에 시간을 카운팅 하며, 카운팅 결과를 상기 제어부(211)로 다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211)는 상기 카운팅 결과를 통해 예약 설정 기능 등의 수행을 행한다.
전원 개폐 스위치(214)는 설치된 콘센트로 삽입되어 인가되는 전원이 해당 전기기기로 인가되도록 하는 전원 전달 경로의 스위칭을 행한다. 이는 인가되는 전원이 해당 전기기기로 공급 혹은 차단될 수 있도록 해당 전원 전달 경로를 스위칭 함으로서 실시된다.
상기 전원 개폐 스위치(214)는 상기 전원어댑터 일측으로 구비되는 플러그와 또 다른 일 측으로 구비되는 콘센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111)의 온/오프 스위칭 제어에 의해 상기 플러그로부터 인입되어 상기 콘센트를 통해 해당 전기기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이 차단 및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시간 설정부(216)는 상기 전원 개폐 스위치(214)의 전원 차단 및 공급에 따른 시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시간 정보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되어 저장된다. 상기 저장된 시간정보는 상기 제어부(211)로 전달되어 해당 시간 경과에 따른 전원 차단 제어가 행해진다.
ON/OFF/AUTO 스위치(219)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 개폐 스위치 스위칭동작의 온/오프, 그리고 무선 신호 수신모드 명령을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211)로 전달한다. 상기 스위치(219)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전원어댑터의 전원 차단, 공급, 무선신호 수신에 따른 전원 차단 및 공급 여부가 결정된다.
LED구동부(218)는 전원의 공급 여부 상태를 LED로서 표시한다. 실 예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LED가 ON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LED가 OFF상태가 될 수 있다. 그 반대의 표시도 실시자의 의도에 따라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LED 구동부(218)의 LED 구동 상태는 상기 전원 개폐 스위치의 스위칭 결과에 따른 동기하여 실시된다.
전원공급부(215)는 상기 전원어댑터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며, 각 구성의 구동 전압을 발생하여 공급한다. 상기 전원공급부(215)는 공급되는 AC 전원을 그대로 공급할 수 도 있으며, 기타 실시자의 의도에 따라 배터리를 통한 전원 공급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무선신호수신부(213)는 상기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이의 복조 및 복호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211)로 전달한다.
상기 각 구성들은 하나의 모듈로서 구현될 것이며, 상기 구현된 모듈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그 구비 개수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구비된 모든 전기기기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도 있으며, 필요한 몇 개에 한해서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사용자의 사용 상황에 따라 결정이 가능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어댑터는 구비된 플러그가 통상의 콘센트로 삽입된 상태로서 설치 가능하도록 구현되며, 그 상태에서 요구되는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구비되는 콘센트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한편, 상기 타이머(212), 시간설정부(216), LED 구동부(218)는 선택적으로 구비되면 된다.
도 3은 종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전원어댑터의 제어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를 참조하면, 222단계에서 ON/OFF/AUTO 스위치(219)의 조작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상기 전원어댑터가 고정 설치된 콘센트로 삽입된 상태에 있으며, 그 내부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실시되는 동작이 된다.
스위칭 조작이 있는 경우, 224단계에서 AUTO 모드로의 스위치 조작이 있었는지를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226단계에서 무선신호 수신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무선신호 수신 대기 모드 상태에 있어, 228단계에서는 무선 신호의 수신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228단계에서 무선신호의 수신이 있는 경우, 230단계에서는 수신된 무선신호의 복조 및 복호 처리를 행한다. 이는 수신된 무선신호 상으로 포함된 전원 개폐 스위치(214)의 스위칭 명령을 검출해 내기 위한 동작이 된다. 따라서, 232단계에서는 상기 복조 및 복호 된 신호 상에 상기 전원 개폐 스위치(214)의 스위칭 요구에 따른 전원 개폐 스위치 조작 명령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232단계에서 해당되는 조작 명령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234단계에서 상기 전원 개폐 스위치(214)의 구동을 수행한다. 이 경우 또한, 현재 상태가 전원의 차단 상태이면 전원의 공급 상태로 스위칭하고, 그 반대의 경우 전원의 차단 상태로 스위칭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전원 개폐 스위치(219)의 구동을 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236단계에서는 상기 LED구동부(218)의 제어를 통해 LED의 온/오프 구동을 행하며, 이 또한 상기 234단계의 스위칭 동작에 동기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224단계에 있어 AUTO 모드에 따른 스위칭 조작이 아닌 경우, 227단계에서 ON 혹은 OFF 모드에 따른 스위칭 조작이 있었는지를 판단한다. ON 모드에 따른 스위칭 조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229단계에서 상기 전원 개폐 스위치(219)의 구동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 있도록 한다. 즉, ON 상태로서 스위칭을 행한다. 그리고 231단계에서는 상기 LED구동부(218)의 제어를 통해 LED의 온 구동을 행한다.
반면, 상기 227단계에서 OFF 모드에 따른 스위칭 조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233단계에서 상기 전원 개폐 스위치(219)의 구동을 통해 전원이 차단되는 상태에 있도록 한다. 이 경우는 전원의 인가 경로가 OFF 상태가 되도록 하는 스위칭을 행한다. 또한 235단계에서는 상기 LED구동부(218)의 제어를 통해 LED의 오프 구동을 행한다.
정리하면,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인가되는 전원의 공급 경로를 차단하거나 유지시키며, 그 외 무선신호로서 수신되는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 경로의 유지 및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동시에 상기 전원 공급경로의 차단 및 유지는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 결과에 따라 행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종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의 내부 구성도이다.
상기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원격으로 상기 전원어댑터의 전원인가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조작 수단이 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311)는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스위칭 조작 결과에 따라 콘센트로부터 해당 전기기기로 인가되는 전원 공급 상태의 차단 제어, 그에 따른 명령을 포함하는 무선신호의 생성과 송신 제어, 사용자로부터의 예약 설정에 따른 예약 설정 등 무선을 통한 전원어댑터의 전원인가 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입력되는 키패드의 키입력 상태, 메모리의 억세스, 인식되는 카드의 판독, 설정된 시간의 경과 여부 판단 등 기타 제반 동작의 제어를 행한다. 마찬가지로 이하 설명되는 각 구성의 제어 동작을 행한다.
표시부(312)는 상기 제어부(311)의 제어에 따라, 전원어댑터의 전원 공급 차단 상태의 표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결과의 표시 등을 행한다. 상기 표시부(312)의 동작 결과를 통해 사용자는 전원 공급에 관련된 제반상황, 그리고 그와 관련된 기타 상황을 가시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통상 LCD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13)는 정보의 저장 소자로서 기능하며, 해당 전원어댑터와 전원어댑터의 전원 공급 경로 차단 요구를 위한 명령의 코드 값들을 저장한다.
키패드(315)는 다수의 키버튼들을 구비하며, 각 키버튼들은 전원 공급 경로의 차단 제어가 필요한 해당 전기기기들에 대응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키버튼들은 다수의 개수가 구비 가능하며, 해당 전기기기들이 구비되는 개수 이상 구비되어 구현된다. 상기 키패드 상의 키버튼 입력을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전기기기의 전원 공급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키버튼은 통상 사용되는 토글식 버튼으로 적용될 수 있다.
카드 인식부(316)는 사용 허여된 각 사용자로 지급된 카드를 인식하도록 한다. 인식 방식으로는 IC카드 방식, 혹은 바코드 방식, 그 외 마그네틱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전기기기의 전원 공급 상태를 제어하도록 함에 사용되는 구성이 된다. 사용자는 자신에게 지급된 카드를 읽힘으로 필요한 전원 공급 상태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타이머(317)는 상기 제어부(311)의 제어하에 시간을 카운팅 하며, 카운팅 결과를 상기 제어부(311)로 다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311)는 상기 카운팅 결과를 통해 예약 설정 기능 등의 수행을 행한다.
시간 설정부(318)는 상기 전원 개폐 스위치(314)의 전원 차단 및 공급에 따른 시간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시간 정보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입력되어 저장된다. 상기 저장된 시간정보는 상기 제어부(311)로 전달되어 해당되는 시간에 무선신호 형태로서 전원 개폐 스위치(314)의 전원 차단 및 공급 유지에 따른 명령이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
배터리(319)는 상기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의 동작 전원, 그리고 상기 각 구성들의 구동 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한다. 이는 통상 충전식 배터리 및 일반 배터리의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무선신호 송신부(314)는 사용자의 키입력 및 카드 인식 결과로서 생성된 전원 개폐 스위치(314)의 스위칭 제어 명령을 무선 신호로서 부호화 및 변조 처리하여 송신하도록 한다. 이 또한 디지털 복조 및 부호화 처리를 행하도록 하지만, 실시자의 응용에 의해 아날로그 복조, 기타 그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결정된 명령의 무선 신호 송신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종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320단계에서 대기 상태를 수행한다. 이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 있어 어떠한 조작 및 요구가 사용자로부터 없는 상태가 된다.
상기 대기상태에 있어, 322단계에서는 예약 설정 모드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322단계에서 예약 설정 모드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333단계에서 현재의 시간이 예약된 시간이 되는지를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335단계에서 예약 설정된 해당 기기의 검색, 보다 정확히 언급하며 예약 설정된 해당 전원어댑터의 검색을 행한다.
337단계에서는 상기 검색된 기기, 전원어댑터에 해당하는 상기 전원 개폐 스위치(214)의 구동 요구를 위한 소정 제어 신호를 무선신호로서 생성하여 전송한다. 상기 전송은 무선 상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해당되는 전원어댑터로 수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322단계에서 예약 설정 모드가 아닌 경우, 324단계에서 키패드 상의 키버튼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키버튼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326단계에서 입력된 키버튼을 검출한다. 328단계에서는 상기 검출된 키버튼, 혹은 입력 상태가 예약 설정 요구에 따른 입력이 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339단계에서 전원어댑터 상의 전원 개폐 스위치 구동에 따른 예약 설정 모드로 진입하여 소정 순서에 따라 예약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328단계에서 예약 설정 요구 관련 키 입력이 아닌 경우는, 330단계에서 상기 전원 개폐 스위치의 구동 요구에 따른 조작키의 입력이 되는지를 판단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341단계에서 입력된 키버튼에 해당하여 미리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330단계에서 전원 개폐 스위치 구동에 따른 조작키의 입력으로 판단되는 경우, 332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조작키에 해당하여 미리 설정된 전원 개폐 스위치의 구동 신호를 무선신호 형태로서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구동 신호를 무선 상으로 송신한다. 이 또한 해당되는 전원어댑터로 수신되어 처리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흐름도에서는 별도의 도시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상기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로 카드인식부가 구현되는 경우, 미리 등록된 카드의 인식과 인식 결과를 통해 전원어댑터의 무선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실시될 수 있다.
도 6은 종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의 실제 구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키패드 상의 각 키버튼들은 전원 공급 상태의 원격 제어가 요구되는 각 전기기기들이 할당되어 있을 알 수 있다. 실 예로, 'TV'로 할당된 버튼을 입력하면, TV에 연결된 전원어댑터의 전원 개폐 스위치 구동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로서, 상기 TV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 및 유지되게 된다.
또한, '전체'로 할당된 버튼을 입력하면 전원어댑터 전체의 전원 개폐 스위치 구동이 이루어지며, '스위치'로 할당된 버튼을 입력하면 전원 스위칭 박스로 내장된 전원어댑터의 전원 개폐 스위치의 구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키버튼의 입력상태, 입력된 결과 상태 등 기타 상황 정보가 표시창을 통해 적절한 형태로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시스템은 전체 전기기기 및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하나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자신의 공간 내에 위치하는 전기기기 및 조명을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전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다수로 구비하는 경우에는 비용이 증가하며, 기능들의 중복에 의해 사용자 일인의 오조작에 의해 전체 기기의 설정이 변경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사용자 마다 리모트 콘트롤러의 키마다 저장된 제어대상의 종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어, 다른 사람이 직관적으로 리모트 콘트롤러를 제어할 수 없어, 사용에 혼돈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각 사용자마다 자신의 공간내에 위치하는 개별적인 전기기기 및 조명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 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 이외에 실내외의 각 부분을 지정하여 제어 가능한 리모트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기능의 중복을 방지하고, 각 리모트 콘트롤러의 구성 및 기능 사용법을 단순화하여 용이하게 전기 및 조명기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전원어댑터의 내부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제어 흐름도.
도 4는 도 1에 있어서,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의 내부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제어 흐름도.
도 6은 종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의 실제 구현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도.
도 10은 리모트 콘트롤러를 게이트웨이에 등록하는 과정의 순서도.
도 11은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대상을 등록하는 과정의 순서도.
도 12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게이트웨이에서 인식하는 과정의 순서도.
도 13은 게이트웨이를 통해 중계되는 제어신호를 해석하여, 전기기기 또는 조명기기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어대상의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100-n:매립형 콘센트 200-1~200-n:전원어댑터
300, 710:리모트 콘트롤러 700:게이트웨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기기 및 조명기기의 일부에 연결된 전원어댑터의 일부를 제어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기능의 리모트 콘트롤러를 다수로 구비하고, 그 리모트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중계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웨이는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 각각을 등록하여, 등록되지 않은 리모트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는 중계하지 않도록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 게이트 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 각각이 제어대상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710)와; 상기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710)와는 별도로 전체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콘트롤러(300)와; 상기 다수의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제어신호를 중계하여,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제어대상을 제어하는 게이트웨이(700)와; 상기 게이트웨이(700)를 통해 중계되는 제어신호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시간을 카운팅하여 설정된 시간이 되면, 전기기기(400-1~400-n)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전원어댑터(200-1~200-n)와; 상기 게이트웨이(700)를 통해 중계되는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제어신호 또는 게이트웨이(7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전달되는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조명기기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500-1~500-n)와; 상기 게이트웨이(700)를 통해 중계되는 제어신호 또는 직접 인가되는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전기기기(400-1~400-n)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매립형 콘센트(100-1~100-n)와; 상기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가스레인지에 가스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가스차단기(450)와; 상기 무선 리모트 콘트롤러(300) 또는 게이트웨이(700)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커텐(4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도 7은 도어폰의 실내기를 게이트웨이(700)로 이용한 것이며, 도 8은 전화기 모기를 게이트웨이(700)로 이용한 것을 나타내며, 도어폰 실내기 또는 전화기를 게이트웨이(700)로 이용하는 구성 및 작용과 효과는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게이트웨이(700)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들 중의 하나는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710),(300)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710)는 각각 지정된 제어기만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710) 각각은 상기 게이트웨이(700)에 서로 다른 아이디로 등록된다.
이처럼,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300)를 사용할때의 장점은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리모트 콘트롤러(300)를 휴대하여, 필요한 영역 내에 있는 전기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방마다 사용하는 사람이 다르고, 그 방에 비치된 조명 또는 전기기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710) 각각은 하나의 리모트 콘트롤러를 사용할때 보다 그 제어 가능한 전기기기, 조명의 수가 적으며, 이에 따라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 보다 단순화 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710) 중 적어도 하나의 리모트 콘트롤러(300)는 종래와 같이 전체의 전기기기 또는 조명의 전원을 직접 제어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어야 한다.
이때의 리모트 콘트롤러(300)는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가스차단기(450)를 제어하는 등 실내외의 모든 제어 가능한 전기기기 및 조명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등록, 게이트웨이(700)의 리모트 콘트롤러(300) 인식 및 제어신호의 중계과정에서 필요한 무선통신 프로토콜의 일실시예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콘트롤러(710)에서 게이트웨이(700)로 전송되는 프로토콜은 시작 비트(START-BIT), 신호구분 아이디,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지정된 아이디, 제어대상의 그룹아이디, 제어대상의 지정아이디, 제어동작 데이터(DATA BIT), 에러 검사비트(ERROR CHECK BIT), 엔드비트(END BI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신호구분 아이디는 4비트로 구성할 수 있으며, 0000은 일반제어신호, 0001은 제어대상 엔트리, 0010은 중계 리모트 콘트롤러(710) 제어신호, 0011은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등록, 0100은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제어대상등록 엔트리, 0101는 종료의 비트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트의 설정은 일예이며, 그 기능적으로는 각 리모트 콘트롤러(710)에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대상인 전기기기 및 조명기기를 등록할 수 있고, 게이트웨이(700)에서 각 리모트 콘트롤러(710)를 인식할 수 있도록 등록하는 비트를 포함한다.
이는 게이트웨이(700)에서 혼선없이 지정된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제어를 중계하기 위한 것이며, 설정되지 않은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제어명령은 차단하여 권한없는 사용자의 사용을 방지한다.
또한, 도 9에 게이트웨이(700)에서 스위치, 전원어댑터, 매립형 콘센트를 제어하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함께 도시하였다.
상기 게이트웨이(700)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과 외형적으로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리모트 콘트롤러(710)에서 제어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일반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등 내부의 구성은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도 10은 상기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710) 각각을 게이트웨이(700)에 등록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게이트웨이(700)를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등록대기모드로 설정한다(S101).
그 다음, 사용자의 등록대기모드 설정에 의해 상기 게이트웨이(700)는 리모콘 등록대기모드임을 표시한다(S102).
그 다음, 사용자가 등록할 리모트 콘트롤러(710)를 동작시켜 상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출력하도록 조작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게이트웨이(700)는 무선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하여 수신되지 않았으면 상기 S102단계로 귀환하여 표시상태를 유지하며, 수신이 된 경우는 다음 단계로의 진행을 수행한다(S103).
그 다음, 상기 게이트웨이(700)는 S103단계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검사하여 에러 체크의 결과가 정상인가를 판단하고, 그 결과 오류가 있으면 상기 S102단계로 귀환하고, 그 결과가 정상인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S104).
그 다음, 상기 게이트웨이(700)는 수신받은 데이터가 리모트 콘트롤러(710)를 등록하는 데이터인가 판단하여, 등록의 데이터가 아니면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 등록 대기 모드 표시상태인 S102단계로 귀환하며, 수신받은 데이터가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등록 데이터이면 등록과정을 수행한다(S105).
상기 데이터의 종류의 판별은 상기 도 9의 신호구분 아이디의 4비트 데이터를 확인하여 이루어진다.
그 다음, 상기 데이터의 종류 판별 후, 그 데이터가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등록을 요청하는 데이터 이면, 상기 게이트웨이(700)는 이이피롬(EEPROM) 등의 메모리 수단에 수신된 리모트 콘트롤러의 아이디코드를 저장한다(S106).
상기와 같이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아이디를 저장하여, 그 리모트 콘트롤러(710)를 등록하면, 이후에 리모트 콘트롤러(710)를 사용하여 전기기기 또는 조명등을 제어하는 경우, 게이트웨이(700)는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아이디가 등록된 것인지 반드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등록된 것이 아닐때는 그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이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등록이 완료되면 등록대기 모드를 해지하며, 그 등록대기 모드 표시상태가 해지된다(S107).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710) 각각을 등록한 사용자 또는 사용자들은 각각의 리모트 콘트롤러(710)를 사용하여 제어할 전기기기 및 조명기기를 등록해야 한다.
이처럼 전기기기, 조명기기 등의 제어대상 중, 각 리모트 콘트롤러(710)에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대상만을 저장하는 이유는 모든 사용자들이 전체 제어대상을 제어할 수 없도록 하고, 할당된 공간 또는 영역내에 위치하는 제어대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리모트 콘트롤러(710) 각각이 제어할 수 있는 제어대상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 11에 도시하였다.
도 11은 리모트 콘트롤러(710)에 제어대상을 등록하는 과정의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제어대상을 등록대기 모드로 설정한다(S111).
그 다음, 상기의 동작에 의해 게이트웨이(700)는 제어대상의 등록대기 모드임을 표시한다(S112).
그 다음,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710)를 조작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 엔트리를 설정한다.
그 다음, 상기 게이트웨이(700)는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710)로 부터 무선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S113).
이때, 수신되지 않았으면 이전의 상태를 유지하고, 수신되었으면 그 수신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한다(S114).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S112단계로 귀환하고, 수신된 데이터가 정상인 경우에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그 다음,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리모트 콘트롤러(710) 마다 제어대상을 지정하는 데이터인지 확인하여 지정하는 데이터가 아니면 상기 S112단계로 귀환하며, 수신된 데이터가 제어대상을 지정하는 엔트리 모드 신호인 경우에는 그 리모트 콘트롤러(710)가 제어할 수 있는 제어대상을 설정할 수 있도록 그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제어대상의 아이디를 독출한다(S115).
그 다음, 상기 독출한 아이디를 이이피롬 등의 저장수단에 저장하여 각 리모트 콘트롤러(710)가 제어할 제어대상을 설정한다(S116).
그 다음, 상기 표시되던 등록대기 모드 표시를 해제함과 아울러 등록대기모드 상태에서 벗어나 일반 동작모드로 복귀한다(S117).
상기의 과정을 통해 각 리모트 콘트롤러(710)는 자신만의 아이디를 가지고 있으며, 게이트웨이(700)를 통해 제어가능한 제어대상들을 미리 설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들이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710)를 사용하여 자신이 제어하기를 원하는 전기기기 및 조명을 제어한다.
이때, 게이트웨이(700)의 동작과정을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12는 상기 게이트웨이(700)의 중계 동작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710)를 조작하여, 특정 전기기기 또는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121).
이처럼,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수신대기 상태의 게이트웨이(S122)는 그 리모트 콘트롤러(710)로 부터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하여,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대기 상태(S122)를 계속 유지 한다(S123).
이때, 무선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그 무선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하여 오류가 있으면, 상기 수신대기 상태(S122)로 귀환하며, 수신된 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S124).
그 다음,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리모트 콘트롤러(710)가 제어대상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인가를 판단한다(S125).
이때, 상기 제어신호인가의 여부는 도 9의 신호구분 아이디를 검출하여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제어신호인 경우, 제어신호를 송신한 리모트 콘트롤러(710)가 등록된 것인지 판단한다(S126).
상기의 판단결과 등록된 것이 아니면 상기 S122단계로 귀환하며,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710)가 등록된 것이면, 수신된 데이터를 일반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S127).
상기 송신동작이 완료되었으면 상기 수신대기상태(S122)로 귀환하여, 다음의 중계동작 처리를 위한 준비를 수행한다.
이처럼, 전화기 모기 또는 도어폰 실내기인 게이트웨이(700)는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710)로 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그 데이터를 해석하고, 정당한 사용자일 경우, 그 데이터를 일반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 각각이 제어하기를 원하는 제어대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있어서, 게이트웨이(700)가 중계하는 리모트 콘트롤러(71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 매립형 콘센트, 전원어댑터의 동작 순서도로서,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S131), 무선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주기적으로 검사한다(S132).
이때, 검사결과 무선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그 무선데이터의 오류를 검사한다(S133).
그 다음, 수신된 무선데이터에 오류가 있으면 상기 수신대기 상태(S131)로 귀환하고, 오류가 없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그 다음, 상기 수신된 무선데이터에 오류가 없는 경우, 수신된 데이터가 일반 제어신호인가를 판단하여, 제어신호가 아니면 처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시 수신대기 상태로 귀환하며, 수신된 데이터가 일반 제어신호이면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S134).
그 다음, 상기 수신된 데이터에 포함된 리모트 콘트롤러의 아이디를 검출하여 등록된 리모트 콘트롤러(710)인가를 확인한다(S136).
그 다음, 상기 리모트 콘트롤러(710)가 등록된 것이면, 수신된 데이터를 확인하여 정의된 작업, 즉 전기기기 또는 조명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체 전기기기 및 조명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 이외에 할당된 전기기기 및 조명기기만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공간내에 위치하는 전기기기 및 조명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리모트 콘트롤러를 사용함에 있어서, 그 리모트 콘트롤러의 기능이 전체 전기기기 및 조명기기를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비하여 더 적으며, 이를 구현하는 하드웨어도 간단하고, 기능키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방법을 익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무선 제어신호에 따라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다수의 전원어댑터와; 무선 제어신호에 따라 조명기기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다수의 스위치와;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상기 전체 전원어댑터 및 조명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원어댑터 및 스위치의 일부를 제어대상으로 등록하여, 그 등록된 전원어댑터 또는 스위치만을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중계 리모트 콘트롤러와;
    상기 다수의 중계 리모트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중계하여 해당하는 전원어댑터 및 스위치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웨이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전화기 모기 또는 도어폰의 실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다수의 중계 리모트 콘트롤러의 아이디를 먼저 등록받아, 제어신호를 중계할 때에 그 제어신호를 송신한 리모트 콘트롤러의 아이디를 확인하여, 등록된 중계 리모트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
KR1020020081938A 2002-12-20 2002-12-20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 KR200400552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938A KR20040055296A (ko) 2002-12-20 2002-12-20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938A KR20040055296A (ko) 2002-12-20 2002-12-20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296A true KR20040055296A (ko) 2004-06-26

Family

ID=3734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938A KR20040055296A (ko) 2002-12-20 2002-12-20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52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9424B1 (en) Power strip with control and monitoring functionality
EP1485894B1 (en) A remote control device with appliance power awareness
KR101222819B1 (ko) 비디오 인터폰 또는 쇼핑 단말기로부터 ac로 구동되는 전기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408666Y1 (ko) 전원제어 중계 콘센트장치
US20160063853A1 (en) Personalized home situation control system and personalized home situation control method
KR101725176B1 (ko) 조작 단말기 제어 시스템
US7784677B2 (en) Apparatus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within an unoccupied room
CN103518307A (zh) 用于功率管理的系统、装置和方法
KR101041432B1 (ko) 지그비를 이용한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28961B1 (ko) 건물의 통합 에너지 운용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0231921Y1 (ko) 무선 리모콘 이용 전원어댑터 시스템
KR100760280B1 (ko) 전원제어 중계 콘센트장치
KR20010069848A (ko) 무선리모콘을 이용한 전원어댑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55296A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전원어댑터 제어 시스템
KR101041410B1 (ko)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에서 전기 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40055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개폐회로 제어 및 자동화 장치
KR101142399B1 (ko) 전기기기 전원 무선제어시스템
KR100862059B1 (ko) 조명장치용 전원 스위칭 장치
KR100447702B1 (ko) 무선 전원 어댑터 시스템의 운용방법
KR20210081202A (ko) 콘센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콘센트 시스템
KR20050011926A (ko) 객실 관리 시스템
KR100970279B1 (ko) 원격 전력제어장치
KR101818707B1 (ko) EMS(Energy Management System)를 위한 대기 전류 제어 시스템
KR200320259Y1 (ko) 가전기기의 전원 온/오프 확인 및 단속 장치
KR20100041080A (ko) 전등 콘센트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