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009A -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009A
KR20040055009A KR1020020081573A KR20020081573A KR20040055009A KR 20040055009 A KR20040055009 A KR 20040055009A KR 1020020081573 A KR1020020081573 A KR 1020020081573A KR 20020081573 A KR20020081573 A KR 20020081573A KR 20040055009 A KR20040055009 A KR 20040055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call
call transfer
transfer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3445B1 (ko
Inventor
장성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1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445B1/ko
Publication of KR2004005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6Call controllers; Call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6Call signalling protocols; H.323 and re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포트(Multi-port)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H.323 VoIP)에서의 호 전환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의 호 전환 방법은, (a) 가입자가 다른 가입자와 통화 중 상태에서 후크 플레쉬 버튼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후크 플레쉬 버튼을 감지하여 호를 보류시키고 가입자에게 후크 플레쉬 버튼에 대응하는 음악을 플레이시키는 단계; (c) 가입자가 새로운 번호를 누르는 단계; (d) 상기 가입자가 누르는 번호를 라우팅 테이블을 검색하여 목적지 번호가 로컬 호 및 네트워크 호인지 호 전환 대상을 구분하는 단계; (e) 상기 구분된 결과 동일 시스템 가입자일 경우 인터넷 텔레포니 시그널링이 필요 없이 시스템 내부 메시지에 의해 호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f) 상기 구분된 결과 호 전환 대상이 다른 시스템 가입자일 경우 호 정보에 대한 복사만을 수행하고 RTP 전송 시작/정지를 통해 호 전환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Call transfer system and method in IP-PABX with multi-port}
본 발명은 다중포트(Multi-port)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H.323 VoIP)에 있어서, H.323 권고안의 점대점(point-to-point) 호 전환 서비스의 단점을 극복하고 사용자에게 인터넷 텔레포니(telephony) 시스템에 일반 교환기와 같은 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의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H.323은 인터넷 텔레포니 시스템(Internet Telephony System)에서 호를 연결하고 해제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제안되었으며, 그 중 H.450은 부가 기능 서비스에 대해 정의하고 있다. H.450은 인터넷 텔레포니(Internet Telephony) 시스템에서 일반 사설교환기(PBX)에서 제공되는 호 보류(Call Hold), 호 전환(Call Transfer), 호 전달(Call Forward)등에 대한 시그널링 및 메시지 포맷을 서술하고 있다. 그 중에서 H.450.2는 호 전환에 관한 것으로 점 대 점의 호 전환 서비스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으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서로 다른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 연결되는 제 1 가입자(USER A), 제 2가입자(USER B), 제 3가입자(USER C) 간의 통화 중 호 전환 서비스에 대해서, 회의 호 전환 처리 과정과 블라인드 호 전환 처리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회의 호 전환(Consultation Call Transfer, 통화중에 HOLD를 시키고 다른 가입자를 호출하여 교대로 통화하는 기능) 처리과정은 제 1가입자(USER A)와 제 2가입자(USER B)가 통화 중인 상태에서, 제 1가입자(USER A)가 제 3가입자(USER C)에게 호 전환 준비 메시지를 보내고, 제 3가입자(USER C)로부터 응답을 받고 다른 가입자(USER B)로 호 전환 초기화 메시지를 보내는 방법이다. 이때 제 2가입자(USER B)와 제 3가입자(USER C)는 새로운 호를 맺는다.
두 번째, 블라인드 호 전환(Blind Call Transfer)처리 과정은 회의 호 없이 처리하는 것으로, 제 1가입자(USER A)와 제 2가입자(USER B)가 통화 중인 상태에서, 제 1가입자(USER A)가 제 2가입자(USER B)로 호 전환 초기화 메시지를 보내고, 상기 메시지를 받은 제 2가입자(USER B)가 제 3가입자(USER C)와 새로운 호를 맺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회의 호 전환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제 1내지 제 3가입자(USER A,B,C)는 서로 다른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 연결된 가입자들로서, 제 1 및 제 2가입자 상호간에 통화 중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H.450.2에서는 호 전환 처리를 위해 제 1 가입자(USER A)가 후크 플레쉬 버튼을 이용하여 제 3가입자에게 H.225.0에서 정의하는 서비스 식별코드(Facility code)의 호 전환 준비 메시지(CtInitiate.Invoke)를 보낸다(S101).
제 1가입자는 제 3가입자로부터 호 전환 준비메시지에 대한 응답(Ctidentiry.returnresult)을 수신하고(S102), 제 1가입자는 제 3가입자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후, 통화중인 제 2가입자에게 호 전환 요청 메시지(CtInitiate)를 보낸다(S103).
호 전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 2가입자는 후크 플레쉬 버튼을 이용하여 제 3가입자에게 새로운 호 설정 요청 메시지(ctSetup.Invoke)를 보내며(S104), 제 3가입자는 제 2가입자의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응답으로 연결 메시지(ctSetup.ReturnResult)를 보낸다(S105). 그러면, 제 2가입자와 제 3가입자는 통화 가능 상태가 된다.
이때, 호 전환이 완료되면 제 2가입자는 제 1가입자에게 호 해제 메시지(Release Complete)를 보내며(S106), 제 3가입자도 제 1가입자에게 상기에서 연결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호 해제 메시지(Release Complete)를 보낸다(S107).
이러한 과정이 끝나면 제 1가입자와 제 2가입자, 제 1가입자와 제 3가입자 사이의 통화 중에 상태에서 제 2가입자와 제 3가입자간 통화로 호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도 1은 회의 호 전환(Consultation Call Transfer) 처리과정으로서, 제 1 내지 제 3가입자(USER A,B,C)는 서로 다른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 연결된 제 1 가입자(USER A)와 제 2 가입자(USER B)가 통화 중 상태에서 제 1가입자(USER A)가 현재의 호를 잠시 보류 상태로 두고 또 다른 시스템에 연결된 제 3사용자(USER C)에게 전화를 걸고, 제 3가입자(USER C)와 통화중 또는 제 2가입자(USER B)와 통화중(이는 보통 Hook flash버튼을 사용한다)이고, 제 1가입자가 전화를 끊는 경우이다(Consultation Call Transfer).
도 2는 종래 블라인드 호 전환(Blind Call Transfer)처리 과정으로서, 이러한 처리 절차에 대해서 H.450.2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가입자(USER A)와 제 2가입자(USER B)가 통화 중 상태에서, 제 1가입자(USER A)가 제 2가입자(USER B)에게 호 전환 요청 메시지(ctInitiate.Invoke)를 보내고(S111), 제 2가입자는 호 전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 응답으로 제 3가입자(USER C)에게 새로운 호 설정 요청 메시지(Setup)를 보낸다(S112).
제 3가입자(USER C)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제 2가입자에게연결(Connect)메시지를 보내고(S113), 제 2가입자는 제 1가입자에게 호 해제 메시지(Release Complete)를 보낸다(S114).
도 2는 블라인드 호 전환 절차를 통해서 제 1가입자와 제 2가입자가 통화 중 상태에서, 제 1가입자가 현재의 호를 보류하고 다른 시스템에 연결된 제 3가입자에게 전화를 걸어서 링 백톤(Ring backtone)을 들으면서 제 1가입자가 전화를 끓고, 제 2-제 3가입자가 서로 통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도 1 및 도 2와 같은 처리 절차는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지는 일-대-일 호 전환 서비스에 대해서만 언급할 뿐, 다중 포트(Multi-port)를 가진 인터넷 전화 게이트웨이 시스템일 경우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지는 일-대-일 호 전환 서비스에 대해서만 언급할 뿐, 다중 포트(Multi-port)를 가진 인터넷 전화 게이트웨이 시스템일 경우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
둘째, 호 전환시 착신측 사용자가 로컬 시스템의 사용자일 경우에는 인터넷 시그널링이 필요 없지만 종래의 방법에서는 이 시그널링을 수행함으로 인해 자원 낭비가 발생한다.
셋째, 회의 호 전환일 경우 링백 톤(Ringback tone)을 발생시키기 위한 메시지가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호 전환 동안 가입자가 아무 소리도 들을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입자에게 호 전환 처리 중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 동일 가입자간, 서로 다른 시스템 가입자간의 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다른 특징은 동일 시스템 가입자간의 호 전환시 인터넷 텔레포니 시그널링이 필요없이 시스템 내부 메시지에 의해 호 전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특징은 다른 시스템 가입자간의 호 전환시, 동일 시스템 가입자 간에는 호 정보에 대한 복사만을 수행하고 다른 시스템 가입자와의 RTP 전송 정지/스톱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특징은 서로 다른 시스템 가입자간의 호 전환시, 자기 자신의 IP로 셋업을 해 주고 블라인드 호 전환에 대해서 링 백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실시 예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호 전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종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호 전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다른 VoIP 게이트웨이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 제 2실시 예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 제 3실시 예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 제 4실시 예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장치를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 VoIP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 VoIP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VoIP 시스템 210...중계선 호 처리부
220...인터넷 호 처리부 230...음성압축 처리부
240...시스템 제어부 250...호 전환 처리 모듈
251...후크 플레쉬 이벤트 처리부 252...호 전환 처리부
253...호 정보 데이터베이스 254...호 전환 라우팅 테이블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 호 전환 시스템은,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아날로그/디지털 트렁크(analog/digital trunk)에 접속되어 중계선 호를 처리하는 중계선 호 처리부와;
인터넷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터넷 호 처리부와;
음성을 압축하는 음성 압축 처리부와;
호 라우팅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부와;
가입자의 후크 플레쉬 이벤트 및 가입자가 누르는 번호에 따라 로컬 시스템 및 다른 시스템 가입자간의 호 전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호 전환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호 전환 처리 모듈은 가입자로부터 입력되는 후크 플레쉬 버튼을 판단하여 이를 처리하기 위한 후크 플레쉬 이벤트 처리부와; 후크 플레쉬 버튼의 호 전환 종류에 따라 로컬 호 또는 네트웍 호에 대해 해당 목적지로 호 전환을 처리하기 위한 호 전환 처리부와; 호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호 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호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호 전환 라우팅 테이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은,
(a) 가입자가 다른 가입자와 통화 중 상태에서 후크 플레쉬 버튼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후크 플레쉬 버튼을 감지하여 호를 보류시키고 가입자에게 후크 플레쉬 버튼에 대응하는 음악을 플레이시키는 단계; (c) 가입자가 새로운 번호를 누르는 단계; (d) 상기 가입자가 누르는 번호를 라우팅 테이블을 검색하여 목적지 번호가 로컬 호 및 네트워크 호인지 호 전환 대상을 구분하는 단계; (e) 상기 구분된 결과 동일 시스템 가입자일 경우 인터넷 텔레포니 시그널링이 필요 없이 시스템 내부 메시지에 의해 호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f) 상기 구분된 결과 호 전환 대상이 다른 시스템 가입자일 경우 호 정보에 대한 복사만을 수행하고 RTP 전송 시작/정지를 통해 호 전환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다중포트를 갖는 VoIP 시스템(200)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아날로그/디지털 트렁크(analog/digital trunk)에 접속되어 중계선 호를 처리하는 중계선 호 처리부(210)와, 인터넷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터넷 호 처리부(220)와, 음성을 압축하는 음성 압축 처리부(230)와, 호 라우팅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부(240)과, 가입자의 후크 플레쉬 이벤트에 따라 호 전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호 전환 처리 모듈(2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호 전환 처리 모듈(250)은 가입자로부터 입력되는 후크 플레쉬버튼을 판단하여 이를 처리하기 위한 후크 플레쉬 이벤트 처리부(251)와, 후크 플레쉬 버튼의 호 전환 종류에 따라 해당 목적지로 호 전환을 처리하기 위한 호 전환 처리부(252)와, 호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호 정보 데이터 베이스(253)와, 호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호 전환 라우팅 테이블(25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200)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계선 호 처리부(TRCP)(210)는 아날로그 트렁크/디지털 트렁크와 접속되어 중계선 호를 처리하게 되며, 인터넷 호 처리부(ISP)(220)는 인터넷에 접속되어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 TCP/UDP/IP,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음성 압축 처리부(VP)(230)는 중계선 호 처리부(210) 및 인터넷 호 처리부(220)로부터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압축시켜 준다.
시스템 제어부(CMP)(240)는 상기 각 부로 유입되는 호에 대하여 로컬 호인지, 다른 시스템의 호인지를 구분하고, 사용자의 후크 플레쉬 이벤트에 따라 호 전환 처리 모듈(250)이 호 전환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호 전환 처리 모듈(250)은 후크 플레쉬 이벤트 처리부(251), 호 전환 처리부(252), 호 정보 데이터 베이스(253), 호 전환 라우팅 테이블(254)로 구성되며, 후크 플레쉬 이벤트 처리부(251)는 가입자에 의해 선택되는 후크 플레쉬버튼을 인식하고 이를 처리하여 호 전환 처리부(252)로 전달한다.
호 전환 처리부(252)는 후크 플레쉬 이벤트 처리부(251)로부터 처리된 후크 플레쉬 이벤트를 인식하여, 호 전환 종류에 따라 호 전환 라우팅 테이블(254) 및 호 정보 데이터 베이스(253)를 참조하여 로컬 시스템 또는 다른 인터넷 전화 시스템으로의 호 전환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호 전환 라우팅 테이블(254)에는 전환되는 호를 목적지로 라우팅하기위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호 정보 데이터 베이스(253)에는 현재 호 전환 중인 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가입자간의 호 전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설명을 위한 다중 포트를 가진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내지 제 3인터넷 전화 시스템(200,300,400)은 도 3에 도시된 VoIP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며, 시스템 상호 간은 인터넷(500)을 통해서 음성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제 1인터넷 전화 시스템(200)의 가입자는 제 1 내지 제 3가입자(A(201), B(202), C(203))로 하고, 제 2인터넷 전화 시스템(300)의 가입자는 제 4 및 제 5가입자(D(301), E(302))로 하고, 제 3인터넷 전화 시스템(400)의 가입자는 제 6가입자(F(401))가 존재한다.
즉, 제 1인터넷 전화 시스템(200)의 제 1내지 제 3가입자(201~203)는 로컬 시스템으로 또는 다른 인터넷 전화 시스템(300,400)으로 호 전환을 요청할 수 도 있으며, 또는 다른 인터넷 전화 시스템의 다른 가입자도 마찬가지로 호 전환 서비스를 로컬 시스템 또는 다른 인터넷 전화 시스템으로 요청할 수 있게 된다.
도 5내지 도 10은 도 4의 시스템을 기초로 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도 5, 도 7, 도 9는 회의 호에 의한 호 전환 서비스의 예이며, 도 6, 도 9, 도 10은 회의 호가 없는 호 전환 서비스(즉, 블리인드 호 전환)의 예이다.
도 5 및 도 6은 동일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간에 회의 호의 유무에 따라 호 전환 서비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호 전환 서비스 환경에서 제 1가입자-제 2가입자-제 3가입자의 경우(A-B-C) 호 전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5는 로컬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서비스 방법으로서, 제 1가입자(A, 201)가 제 2가입자(B, 202)와 통화중에 상태에서, 제 1가입자(201)가 현재의 호를 보류(Hold)하고, 제 3가입자(C, 203)로 호 전환하는 경우이다. 이때, 제 1 내지 제 3가입자(201~203)는 모두 같은 시스템(2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인터넷 텔레포니 시그널링(H.450.2)이 필요 없이 시스템 내부 메시지에 의해 호를 전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S201 단계 및 S202 단계는 제 1가입자(201)가 제 2가입자(202)로부터 수신한 프라이머리 호(PRIMARY CALL)에 의해 통화 중 상태에서, 호를 보류하고 제 3가입자(203)에게 세컨더리 호(SECONDARY CALL)를 전달하고 통화하게 된다(S201,S202).
이때, 제 1가입자(201)가 호를 보류하면 시스템이 인식하고(TRCP_ON_HOOK_REQ), 시스템이 호 전환 명령을 H.323을 통해서 내리고(S203,S204), 제 1가입자(201)는 H.323 가입자 전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메시지(H323_USER_TRANSFER_IND)로 제 2가입자에게 전달하고(S205), 제 2가입자(202)로부터 응답 메시지(H323_USER_TRANSFER_ACK_REQ)를 수신한다(S206).
이때, 제 2가입자(202)가 제 3가입자(203)에게 셋업을 요청한다(S207). 이를 수신한 제 3가입자(203)는 제 1가입자(201)에게 호 해제 완료 메시지를 전달하고(S208), 제 2가입자(202)에게 대기명령 메시지(ALERT)를 보낸다(S209).
상기 제 3가입자(203)로부터 대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한 제 2가입자(202)는제 1가입자에게 호 해제 완료 메시지를 보낸다(S210).
이후, 제 3가입자(203)는 제 2가입자(202)에게 연결 메시지를 보냄으로써(S211), 제 2가입자(202)와 제 3가입자(203)가 통화 상태가 된다(S212).
도 6은 본 발명에서 동일 전화 교환 시스템에서의 회의 호에 의한 전환 없이 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이다.
제 1가입자(201)와 제 2가입자(202)가 프라이머리 호를 통해서 통화 중 상태에서(S221), 제 2가입자에 의한 호 전환시 제 1가입자(201)가 제 3가입자(203)에게 호 전환을 위해 셋업 메시지를 보내면(S222), 제 3가입자는 대기명령(ALERT) 메시지를 제 1가입자에게 보낸다(S223).
그러면, 제 1가입자(201)의 후크 플레쉬에 따라 로컬 시스템인 중계선 호 처리부(TRCP_FXS)는 온 후크를 호 제어 프로세서(CMP_FXS)에 요청하고(S224), 호 제어 프로세서는 H.323 사용자 호 전환 요청을 H.323에 전달한다(S225).
그러면, 제 1가입자는 가입자 전달 식별 코드(H323_USER_TRANSFER_IND) 메시지를 제 2가입자에게 전달하고(S226), 제 2가입자는 제 3가입자에게 새로운 호 설정을 위한 셋업 메시지를 보낸다(S227).
그러면, 제 3가입자(203)는 제 1가입자에게 호 해제 완료 메시지를 보내고(S228), 제 2가입자에게 대기 명령을 내리게 된다(S229). 이때 제 2가입자는 호 해제 완료 메시지를 제 1가입자에게 보낸다(S230).
이때, 제 3가입자가 오프 후크하면(S231), 제 2가입자에게 연결 메시지를 보내어 제 2가입자와 제 3가입자 상호간은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S232,S233).
도 7 및 도 8은 두 개의 인터넷 전화 시스템 가입자 간의 회의 호 유무에 따른 호 전환 서비스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제 1가입자(201)와 제 2가입자(202) 사이에는 호 정보에 대한 복사만 일어나고, 제 2가입자(202)와 제 4가입자(301) 사이에는 RTP(real time protocol) 전송 멈춤/시작(stop/start)만 일어나도록 처리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인터넷 전화 시스템(200)의 제 1가입자(201) 및 제 2가입자(202)와, 제 2인터넷 전화 시스템의 제 4가입자(301) 간의 호 전환 서비스이다.
먼저, 제 1가입자(201)가 제 2가입자(202)와 통화 중 상태에서, 다른 인터넷 전화 시스템의 제 4가입자(301)로 호를 전환하는 경우이다.
제 1가입자(201)와 제 2가입자(202)는 H.323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호로 통화하며(S301), 이 상태에서 세컨더리 호를 이용하여 제 2인터넷 전화 시스템의 제 4가입자(301)와 통화하게 된다(S304).
이때, 제 1가입자 측에서, 제 1인터넷 전화 시스템의 중계선 호 처리부(TRCP_FXS)는 시스템 제어부(CMP_FXS)에 후크 플레쉬 버튼에 의한 온 후크 요청 메시지를 보내고(S303), 시스템 제어부(CMP)는 제 2인터넷 시스템의 제 4가입자에게 RTP 음성 패킷의 송/수신 정지 메시지(RTP VOICE TX/RX STOP)를 보낸다(S304).
또한 제 1가입자 측 시스템 제어부(CMP_FXS)는 제 2가입자에 대해서 프라이머리 호 제거하고, 제 1가입자의 세컨더리 호를 제 2가입자에 복사(Copy call)하고, 제 1가입자의 세컨더리 호를 제거한다(Delete A's secondary call)(S305).
그러면, 제 2가입자(202)는 세컨더리 호가 복사된 상태이므로, 제 4가입자(301)에게 RTP 음성 송신/수신을 시작하여 통화하게 된다(S306,S307).
도 8은 세컨더리 호(즉, Without Consultation call)가 없는 경우로서, 제 1가입자(201)와 제 2가입자 상호간은 프라이머리 호로 통화를 수행하고(S311), 제 1가입자가 제 4가입자(301)에게 호 전환을 위해서 상대방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셋업 메시지를 보내면(S312), 제 3가입자는 제 1가입자에게 대기 명령을 내린다(S313).
제 1인터넷 전화 시스템(200)의 중계선 호 처리부(TRCP_FXS)는 시스템 제어부(CMP_FXS)에 온 후크 요청 메시지를 보내고(S314), 상기 시스템 제어부(CMP_FXS)는 제 1가입자의 프라이머리 호를 제거하고, 제 1가입자의 세컨더리 호(즉, 선택된 상대방 전화번호)를 제 2가입자에게 복사하고(copy call), 복사한 세컨더리 호를 제거하게 된다(S315). 여기서의 세컨더리 호는 제 1가입자가 셋업 메시지를 보낼 대상인 제 3가입자의 전화번호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 4가입자가 오프 후크하면(S316), 제 2가입자에게 연결시켜 주고(S317), 제 2가입자와 제 4가입자 상호간은 통화(Conversation)를 수행하게 된다(S328).
도 9 및 도 10은 서로 다른 시스템 가입자 상호간에 회의 호 전환 여부에 따른 호 전환 서비스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 1인터넷 전화 시스템(200)의 제 1가입자(201)와 제 2인터넷 전화 시스템(300)의 제 4가입자(USER D, 301)가 통화 중 상태에서, 상기 제 1가입자(201)가 제 3인터넷 전화 시스템(400)의 제 6가입자(USER F, 401)에게 호 전환을 시도하는 경우이다.
도 9는 회의 호 전달하는 경우로서, 제 1가입자(201)와 제 4가입자(301)가 통화 중 상태에서(S401), 제 1가입자(201)가 제 6가입자(401)에게 세컨더리 호로 호 전환을 요청한다(S402).
이때, 제 1가입자의 호 전환 요청을 감지한 제 1인터넷 전화 시스템의 중계선 처리부(TRCP_FXS)는 온 후크 요청 메시지를 시스템 제어부(CMP_FXS)에 보내고(S403), 시스템 제어부는 H.323 프로토콜로 사용자 호 전달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S404).
이때, 제 1가입자 측에서 H.323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호 전환 요청 메시지(ctldentify. invoke)를 제 6가입자(401)에게 보내고 그 응답 메시지(ctldentify. return result)를 받는다(S405,S406). 다시 제 4가입자에게 호 전환 요청 메시지를 보내고(S407), 제 4가입자(301)는 제 6가입자(401)에게 셋업 메시지(ctsetup.Invoke)를 보낸다(S408).
그러면, 제 6가입자(401)가 제 4가입자(301)에게 대기 명령을 내리고(S409), 이때 제 4가입자(301)에게는 링 백톤 신호를 전달한다. 여기서의 링 백톤은 로컬 시스템 또는 상대방 시스템에서 가입자에게 전달해 주는 것으로 선택 사양이다.
그리고, 제 4가입자(301)는 제 1가입자에게 호 해제 메시지(ctliniate. ReturnResult)를 보내며(S410), 제 6가입자(401)는 제 4가입자에게 연결 메시지를 보내고(S411), 제 1가입자에게는 호 해제 완료 메시지를 보내게 되므로(S412), 제 4가입자와 제 6가입자는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S413).
도 8은 세컨더리 호가 없는 경우로서, 제 1가입자(201)와 제 4가입자(301)가프라이머리 호에 의해 통화 중 상태에서(S421), 수신측인 제 4가입자(301)의 호 전환에 의해 제 1가입자(201)가 호 전환을 위해 제 6가입자에게 셋업 명령을 내리며(S423), 제 6가입자는 제 1가입자에게 대기 명령을 내린다(S423).
이때, 상기 제 1인터넷 전화 시스템의 중계선 호 처리부(TRCP_FXS)는 시스템 제어부(CMP_FXS)에 온 후크 요청 메시지를 보내고(S424), 시스템 제어부는 가입자 호 전환 요청 메시지를 H.323 프로토콜에 전달한다(S425).
그러면, 제 1가입자(201)가 제 4가입자(301)에게 호 전환 요청 메시지를 보내고(S424), 제 4가입자는 제 6가입자(401)에게 셋 업 메시지를 보낸다(S427). 제 6가입자(401)는 제 4가입자에게 호 해제 메시지를 보내며(S428), 제 4가입자에게 대기 명령을 내리면서 링 백톤을 제공하게 된다(S429). 그리고, 대기 명령을 수신한 제 4가입자(301)는 제 1가입자(201)에게 호 해제 메시지를 전달한다(S430).
이후, 제 6가입자의 호프 후크를 할 경우(S431), 제 4가입자에게 연결 수락 메시지를 보냄으로써(S432), 제 4가입자와 제 6가입자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S433).
도 9 및 도 10은 서로 다른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 가입자들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H.450.2에 의한 호 전환 서비스로 전환되도록 구현된 것이다.
한편, 제 1 인터넷 전화 시스템의 제 1가입자와, 제 2인터넷 전화 시스템의 제 4 및 제 5가입자 간의 호 전환 시, 기존과 같이 로컬 호 스위치 방식으로 호 전환을 수행할 경우에는, 블라인드 호 전환 수행시에 제 4가입자로부터 제 1가입자에 링 백톤 메시지가 정의되지 않으므로 인해, 제 1가입자에서 링 백톤이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블라인드 호(without secondary call) 전환 수행시 제 4가입자가 제 6가입자로 세컨더리 호 셋업시 자기 자신의 IP로 셋업을 줌으로써, 링 백톤이 발생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전환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다중 포트(Multi-port) 인터넷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인터넷을 통한 음성 통화 도중 호 전환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가입자는 일반 PSTN교환기의 호 전환 기능을 사용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또한 회의 호 전환일 경우 링 백톤을 발생시키기 위한 메시지가 정의되지 않아도 링 백톤을 플레이 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 전환 착신측 가입자가 로컬 시스템의 사용자일 경우에는 H.450.2 호 절차를 수행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아날로그/디지털 트렁크(analog/digital trunk)에 접속되어 중계선 호를 처리하는 중계선 호 처리부와;
    인터넷 패킷 데이터를 처리하는 인터넷 호 처리부와;
    음성을 압축하는 음성 압축 처리부와;
    호 라우팅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부와;
    가입자의 후크 플레쉬 이벤트 및 가입자가 누르는 번호에 따라 로컬 시스템 및 다른 인터넷 전환 시스템 가입자 간의 호 전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호 전환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처리 모듈은 가입자로부터 입력되는 후크 플레쉬 버튼을 판단하여 이를 처리하기 위한 후크 플레쉬 이벤트 처리부와; 후크 플레쉬 버튼의 호 전환 종류에 따라 로컬 호 또는 네트웍 호에 대해 해당 목적지로 호 전환을 처리하기 위한 호 전환 처리부와; 호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호 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호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호 전환 라우팅 테이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시스템.
  3.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 있어서,
    가입자가 다른 가입자와 통화 중 상태에서 후크 플레쉬 버튼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후크 플레쉬 버튼을 감지하여 호를 보류시키고 가입자에게 후크 플레쉬 버튼에 대응하는 음악을 플레이시키는 단계;
    가입자가 새로운 번호를 누르는 단계;
    상기 가입자가 누르는 번호를 라우팅 테이블을 검색하여 목적지 번호가 로컬 호 및 네트워크 호인지 호 전환 대상을 구분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결과 동일 시스템 가입자일 경우 인터넷 텔레포니 시그널링이 필요 없이 시스템 내부 메시지에 의해 호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구분된 결과 호 전환 대상이 다른 시스템 가입자일 경우 호 정보에 대한 복사만을 수행하고 RTP 전송 시작/정지를 통해 호 전환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동일 인터넷 전화 시스템간의 호 전환 서비스에 있어서,
    제 1가입자가 제 2가입자로부터 수신한 프라이머리 호로 통화 중에, 호를 보류하고 동일 시스템의 제 3가입자와 세컨더리 호로 통화하는 단계;
    제 1가입자측 시스템이 온 후크를 인식하여 사용자 호 전환을 요청하면 제 2가입자에게 가입자 전환 식별 정보를 전달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제 2가입자가 호 전환 요청에 따라 제 3가입자에게 셋업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
    제 3가입자가 제 1가입자에게 호 해제 메시지를 보내고 제 2가입자에게 대기 명령을 전달하여, 제 2가입자와 제 1가입자 간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단계;
    제 2가입자와 제 3가입자 상호간이 연결되고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동일 인터넷 전화 시스템간의 호 전환 서비스에 있어서,
    제 1가입자가 제 3가입자로부터 수신한 프라이머리 호로 통화 중에, 제 2가입자에 의한 호 전환 수행시 제 1가입자가 셋업 메시지를 제 3가입자에게 전달하고 대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 1가입자측이 온 후크를 인식하여 가입자 호 전환을 요청하기 위해 가입자 식별자 정보를 제 2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제 2가입자가 제 3가입자에게 셋업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3가입자가 제 1가입자에게 호 해제 완료 메시지를 보낸 후, 대기 명령을 제 2가입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대기 명령을 수신한 제 2가입자가 호 해제 완료 메시지를 제 1가입자에게 전달하고, 제 3가입자의 오프 후크에 의해 제 2가입자와 제 3가입자가 연결 및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다른 인터넷 전화 시스템간의 호 전환 서비스에 있어서,
    동일 시스템의 제 1가입자가 제 2가입자로부터 수신한 프라이머리 호에 의해 통화 중 호를 보류하고, 다른 시스템의 제 4가입자에게 세컨더리 호로 연결하는 단계;
    제 1가입자의 온 후크를 인식하여 제 1가입자측이 제 4가입자에게 RTP 음성 송수신을 정지시키고, 제 1가입자의 프라이머리 호 제거, 제 2가입자에 세컨더리 호의 복사, 제 1가입자의 세컨더리 호 제거를 수행하는 단계;
    세컨더리 호가 복사된 제 2가입자가 제 4가입자에게 RTP 음성 송/수신을 시작하고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다른 인터넷 전화 시스템간의 호 전환 서비스 단계는,
    제 1가입자가 동일 시스템의 제 2가입자로부터 수신한 프라이머리 호에 의해 통화 중 제 2가입자의 호 전환 서비스를 위해 제 1가입자가 전화를 끓는 경우, 제1가입자가 셋업 메시지를 다른 시스템의 제 4가입자에게 요청하고 그 요청에 따른 대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 1가입자측이 온 후크를 인식하여 제 1가입자의 프라이머리 호 제거, 제 2가입자에 세컨더리 호 복사, 제 1가입자 세컨더리 호 제거를 수행하는 단계;
    제 4가입자의 호프 후크에 따라 제 4가입자와 제 3가입자가 연결되고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인터넷 전화 시스템의 호 전환 서비스에 있어서,
    서로 다른 두 시스템의 제 1 및 제 4가입자간에 프라이머리 호로 통화 중, 제 1가입자가 호를 보류하고 또 다른 시스템의 제 6가입자에게 세컨더리 호로 통화하는 단계;
    제 1가입자의 온 후크를 인식한 후, 가입자 호 전환을 요청하기 위해 제 6가입자에게 호 전환 준비 메시지를 보내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가입자가 제 4가입자에게 호 전환 준비 메시지를 보내면, 이를 수신한 제 4가입자가 제 6가입자에게 셋업 메시지를 보내어 대기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기 명령을 수신한 제 4가입자가 제 1가입자에게 호 해제 완료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
    제 6가입자가 제 4가입자간에게 연결 메시지를 보내고, 제 6가입자가 제 1가입자에게 호 해제 완료 메시지를 보내어, 제 4가입자와 제 6가입자 상호간에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9. 제 3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인터넷 전화 시스템간의 호 전환 서비스에 있어서,
    제 1가입자와 다른 시스템의 제 4가입자간의 프라이머리 호로 통화 중 제 4가입자의 호 전환 서비스시, 제 1가입자가 셋업 메시지를 또 다른 시스템의 제 6가입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제 1가입자측 시스템이 온 후크를 요청하여 가입자 호 전환 준비 메시지를 제 4가입자에게 전달하면, 제 4가입자가 제 6가입자에게 셋업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셋업 메시지를 수신한 제 6가입자가 제 1가입자에게 호 해제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 4가입자에게 대기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제 4가입자와 제 1가입자간의 호를 해제하고, 제 6가입자가 제 4가입자에 연결 메시지를 보내어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6가입자가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 4가입자에게 대기 명령을 보내면서, 해당 시스템이 링 백톤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 방법.
KR10-2002-0081573A 2002-12-20 2002-12-20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시스템 및방법 KR10049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573A KR100493445B1 (ko) 2002-12-20 2002-12-20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시스템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573A KR100493445B1 (ko) 2002-12-20 2002-12-20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시스템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009A true KR20040055009A (ko) 2004-06-26
KR100493445B1 KR100493445B1 (ko) 2005-06-07

Family

ID=3734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573A KR100493445B1 (ko) 2002-12-20 2002-12-20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488B1 (ko) * 2010-02-18 2013-09-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실시간 호 전환 단말기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488B1 (ko) * 2010-02-18 2013-09-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실시간 호 전환 단말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3445B1 (ko) 2005-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43057A1 (en) Method for forwarding call from cellular phone to IP phone
EP1179945B1 (en) Answer detection for ip based telephones using passive detection
US7415004B2 (en) Method for provid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all service
KR20030037135A (ko) 사설교환기의 내선가입자회로를 통해 접속되는브이오아이피 게이트웨이 장치
US20100266113A1 (en) Telephone call maintenance with single party for subsequent reconnection
JP2007082163A (ja) 電話交換装置及び電話交換装置の着信制御方法
KR100493445B1 (ko) 다중 포트를 갖는 인터넷 전화 시스템에서의 호 전환시스템 및방법
EP1179949B1 (en) Tone answer detection for IP telephones
WO2008138187A1 (fr) Procédé de réalisation pour un appel de nouvelle réponse
CA2532633A1 (en) Ip telephone exchange and ip telephone terminal
JP4906823B2 (ja) 呼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030027466A (ko) 인터넷 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설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40001204A (ko) 차세대 망에서 다자간 통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014762B2 (ja) 主装置および電話制御装置
JP2005303470A (ja) Ip電話装置、制御装置及び着信通知方法
JPH09162994A (ja) 電話端末装置及び通信センタ装置
JP2007088558A (ja) ルータ、ip電話システムおよびip電話通話中応答方法
JP2590296B2 (ja) 話中端末への音声呼着信方式
KR100397922B1 (ko) 브이오아이피 게이트웨이 운용방법
JP4152828B2 (ja) Ip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追加方法、それに用いる電話装置およびサーバ
JP2004357218A (ja) ネットワーク電話システム、このネットワーク電話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会議接続制御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電話システムの呼制御サーバ装置
JP2652827B2 (ja) Isdn電話装置
JPH04259157A (ja) 転送放棄方式
JPH066847A (ja) 着信制御方式
JP2004253990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アダプ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