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1020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연장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연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020A
KR20040051020A KR1020020078842A KR20020078842A KR20040051020A KR 20040051020 A KR20040051020 A KR 20040051020A KR 1020020078842 A KR1020020078842 A KR 1020020078842A KR 20020078842 A KR20020078842 A KR 20020078842A KR 20040051020 A KR20040051020 A KR 20040051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coming
cycle index
slot cycle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7062B1 (ko
Inventor
강우석
김병엽
이영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8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062B1/ko
Priority to US10/714,621 priority patent/US20040132425A1/en
Publication of KR20040051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0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착신 주기를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단말기의 대기 시간을 연장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해당 단말기의 착신 주기 결정을 위한 슬롯 사이클 인덱스 값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단말기 사용 용도에 따라 내부 착신 주기를 설정한 후 설정된 착신 주기를 시스템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착신 주기에 대기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여 페이징 채널을 검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추적용 단말기나 문자메시지 전송전용 단말기 같이 페이징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빨리 수신할 필요가 없는 단말기에 대해서는 착신주기를 길게 설정하여 단말기의 대기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연장 방법{Method for Increasing Sleep Tim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착신 주기를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단말기의 대기 시간을 연장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시스템에서 모든 단말기는 동일한 페이징 채널 검색주기(이하 '착신 주기'라고 칭함)를 가진다.
즉, 모든 단말기에는 동일한 슬롯 사이클 인덱스(Slot_Cycle_Index)값이 설정되어 있어 각 단말기는 동일한 시간에 대기(sleep) 상태에서 액티브(active) 상태로 천이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 슬롯을 검색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주기를 도시한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단말기의 슬롯 사이클 인덱스 값은 '2'로서 동일하다. 따라서, 각 단말기는 64 슬롯 주기로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 슬롯을 검색한다.
해당 슬롯 사이클 인덱스 값은 0에서 7내의 정수로 설정되는데, 해당 인덱스 값이 0인 경우 16 슬롯 주기로 타임 슬롯을 검색하고, 해당 인덱스 값이 1인 경우 32 슬롯 주기로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 슬롯을 검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모든 단말기들이 동일한 착신 주기를 가짐으로써 액티브 상태로 깨어있는 시간이 동일하여 배터리 소모량도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위치 추적용 단말기나 문자 메시지 전송 전용 단말기와 같이 페이징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필요가 없는 단말기의 경우 착신 주기가 필요 이상 짧게 설정되어 불필요하게 배터리를 소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 용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주기를 결정함으로써, 단말기의 대기 시간을 연장하여 배터리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이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주기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단말기에서 사용 용도에 따른 착신 주기를 설정하는 경우 메시지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착신 주기를 설정하는 경우 메시지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착신 주기를 도시한 도.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연장 방법은, 단말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해당 단말기의 착신 주기 결정을 위한 슬롯 사이클 인덱스 값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단말기 사용 용도에 따라 내부 착신 주기를 설정한 후 설정된 착신 주기를 시스템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착신 주기에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여 페이징 채널을 검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내부 착신 주기를 결정하는 경우, 시스템에서 결정된 착신 주기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에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착신 주기를 내부 착신 주기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의 착신 주기 등록은 시스템에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착신 주기를 단말기별 착신 주기 정보 테이블의 해당 필드에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페이징 채널을 검색하는 과정은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단말기에 전송하는 착신 주기를 최대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 전송 착신 주기와 시스템에 등록한 내부 착신 주기를 비교하여 내부 착신 주기를 자신의 착신 주기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착신 주기에 대기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여 페이징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대기(sleep) 상태로 동작하다가 자신의 착신 주기마다 액티브(active) 상태로 천이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 슬롯을 검색하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검사한다.
그리고, 자신에게 전송된 페이징 메시지가 없는 경우 대기 상태로 복귀하고, 자신에게 전송된 페이징 메시지가 있는 경우 해당 메시지를 수신한 후 다시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데, 단말기가 액티브 상태로 있는 동안에 단말기의 배터리가 소모된다.
따라서, 음성 호 서비스를 위한 단말기와 같이 실시간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처리할 필요가 없는 단말기, 예컨대 위치추적용 단말기나 문자메시지 전송전용 단말기의 경우 착신 주기를 길게 설정하여 대기 상태로 있는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의 착신주기는 해당 단말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코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 표준에 있는 슬롯 사이클 인덱스(Slot Cycle Index)값에 의해 아래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는 슬롯의 개수를 의미하고 슬롯 사이클 인덱스값은 0에서 7사이의 정수이며, 80(msec)는 하나의 슬롯 주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각 단말기는 초기 셋업시 자신의 사용 용도에 따라 내부에 적절한 슬롯 사이클 인덱스값을 설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착신 주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추적용 단말기의 경우 내부 슬롯 사이클 인덱스값을 4로 설정함으로써, 16×24의 슬롯 주기로 페이징 채널을 감시하고, 해당 시간동안은 대기 상태로 유지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의 착신 주기 결정 요소인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는 해당 착신 주기에 단말기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기지국 상위의 제어국이나 HLR(Home Location Register) 등(이하 '상위 시스템'이라고 칭함)에 등록되어야한다. 따라서, 상위 시스템은 단말기별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 테이블을 구비하고 각 단말기의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를 상기 테이블에 저장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상위 시스템은 페이징 메시지 전송시 상기 단말기별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 테이블에 저장된 해당 단말기의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의 착신 주기에 단말기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말기는 자신의 착신 주기에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 메지지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는 내부 착신 주기와 시스템이 전송해 주는 착신 주기, 다시 말하면 사용 용도에 따라 내부에 설정된 슬롯 사이클 인덱스 값과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해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최대 슬롯 사이클 인덱스(MAX_SLOT_CYCLE_INDEX)값 중 최소값을 선택하여 자신의 착신주기를 결정하므로, 상위 시스템에서는 해당 최대 슬롯 사이클 인덱스 값을 설정 가능한 최대값인 7로 설정하여 전송한다.
이하,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연장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최대 슬롯 사이클 인덱스(MAX_CYCLE_INDEX=7)를 수신하는 단말기에서 자신의 슬롯 사이클 인덱스를 설정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자신의 사용 용도에 적합한 착신 주기를 결정하기 위한 내부 슬롯 사이클 인덱스값을 설정한다(S21).
그리고, 상기 설정된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를 등록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지국을 통해 상위 시스템에 전송한다(S22,S23).
그러면, 상위 시스템에서는 상기 전송된 슬롯 사이클 인덱스값을 내부 단말기별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 테이블의 해당 필드에 저장하여 등록한다(S24).
그 후, 페이징 메시지 전송시 상기 등록된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달하고(S25), 기지국은 단말기의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단말기의 착신 주기를 확인한 후(S26), 해당 착신 주기에 단말기에 할당된 타임 슬롯을 통해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한다(S27).
이에, 단말기는 자신의 착신 주기에 대기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 슬롯을 검색하여 상기 기지국을 통해 전송되는 상위 시스템의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S28).
도 3은 단말기에 최대 슬롯 사이클 인덱스(MAX_CYCLE_INDEX=7)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상위 시스템에서 각 단말기의 슬롯 사이클 인덱스값을 설정하는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위 시스템은 단말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절한 슬롯 사이클 인데스값을 결정하고(S31), 결정된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달한다(S32).
그러면, 기지국은 상위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받은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를 소정 메시지를 통해 해당 단말기로 전송한다(S33).
상기 소정의 메시지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해당 단말기로 전송되는 메시지로서 해당 메시지에는 슬롯 사이클 인덱스값이 셋팅되는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 필드가 정의된다.
상기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를 수신한 해당 단말기는 내부 슬롯 사이클 인덱스를 수신된 슬롯 사이클 인덱스값으로 변경 설정하고(S34), 설정 완료를 보고하는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을 통해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35,S36).
이에, 상위 시스템에서는 해당 단말기에 설정된 슬롯 사이클 인덱스값, 즉 자신이 결정하여 내려보낸 슬롯 사이클 인덱스값을 단말기별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 테이블에 등록한다(S37).
그 후, 해당 단말기로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상위 시스템은 해당 단말기의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달한다(S38).
그러면, 기지국은 전달받은 슬롯 사이클 인덱스 정보를 이용해 해당 단말기의 착신 주기를 확인한 후(S39), 해당 착신 주기에 페이징 메시지를 단말기로 전송한다(S40).
이에, 단말기는 자신의 착신 주기에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 슬롯을 검색하여 상기 기지국을 통해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S4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주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에는 사용 용도에 따라 슬롯 사이클 인덱스값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해당 슬롯 사이클 인덱스값이 2인 단말기는 64(16×22) 슬롯 주기마다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 슬롯을 검색하여 자신에게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를 검사한다.
그리고, 해당 슬롯 사이클 인덱스값이 4인 단말기는 256(16×24) 슬롯 주기마다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타임 슬롯을 검색하여 페이징 메시지를 검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의 사용 용도별로 착신 주기를 결정함으로써, 위치추적용 단말기나 문자메시지 전송전용 단말기 같이 페이징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빨리 수신할 필요가 없는 단말기에 대해서는 착신주기를 길게 설정하여 단말기의 대기 시간을 연장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단말기 사용 용도에 따라 내부 착신 주기를 설정한 후 설정된 착신 주기를 시스템에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된 착신 주기에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여 페이징 채널을 검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연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내부 착신 주기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결정된 착신 주기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에서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착신 주기를 내부 착신 주기로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연장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착신 주기 등록은, 시스템에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착신 주기를 단말기별 착신 주기 정보 테이블의 해당 필드에 저장함으로써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연장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채널을 검색하는 과정은,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단말기에 전송하는 착신 주기를 최대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시스템 전송 착신 주기와 시스템에 등록한 내부 착신 주기를 비교하여 내부 착신 주기를 자신의 착신 주기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착신 주기에 대기 상태에서 액티브 상태로 천이하여 페이징 채널을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연장 방법.
  5. 단말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해당 단말기의 착신 주기 결정을 위한 슬롯 사이클 인덱스 값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연장 방법.
KR1020020078842A 2002-12-11 2002-12-11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연장 방법 KR100837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842A KR100837062B1 (ko) 2002-12-11 2002-12-11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연장 방법
US10/714,621 US20040132425A1 (en) 2002-12-11 2003-11-18 Method for increasing using time of a battery of a mobile s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842A KR100837062B1 (ko) 2002-12-11 2002-12-11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연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020A true KR20040051020A (ko) 2004-06-18
KR100837062B1 KR100837062B1 (ko) 2008-06-11

Family

ID=32677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842A KR100837062B1 (ko) 2002-12-11 2002-12-11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연장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40132425A1 (ko)
KR (1) KR1008370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6379A1 (en) * 2004-03-04 2005-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al mode of a mac lay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103446B1 (ko) * 2010-02-16 2012-01-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페이징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104B1 (ko) * 2006-09-27 2007-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저전력 동작 상태 제어 방법
US20090316869A1 (en) * 2007-02-01 2009-12-24 Ns Solutions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dvertising transmission method, program product, and system
US7844244B2 (en) * 2007-02-23 2010-11-30 Cellco Partnership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dynamic assignment of slot cycle index for network nodes
US8473013B2 (en) * 2008-04-23 2013-06-25 Qualcomm Incorporated Multi-level duty cycling
US20150065109A1 (en) * 2013-08-30 2015-03-05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idle mode mechanisms for power efficient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2287A (en) * 1992-03-05 1995-02-2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receiver
KR0164090B1 (ko) * 1995-12-20 1998-12-01 양승택 페이징 서비스 제공방법
US5842124A (en) * 1996-11-16 1998-11-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ser-programmable service programming of cellular telephones
US6044069A (en) * 1997-10-29 2000-03-28 Conexant Systems, Inc. Power management system for a mobile station
US6101394A (en) * 1997-12-24 2000-08-08 Nortel Networks Corporation CDMA multiple carrier paging channel optimization
US6560453B1 (en) * 2000-02-09 2003-05-06 Ericsson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ynamically adjusting the paging channel monitoring frequency of a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operating environment
US6738617B2 (en) * 2001-05-15 2004-05-1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er for reducing latency in a group dormancy-wakeup process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US7047005B2 (en) * 2001-12-18 2006-05-16 Motorola, Inc. Method and mobile station for enabling a preferred slot cycle
US6865398B2 (en) * 2002-02-04 2005-03-08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reducing call-setup latency through management of paging frequency and buffering of user speech in a wireless mobile st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6379A1 (en) * 2004-03-04 2005-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al mode of a mac layer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103446B1 (ko) * 2010-02-16 2012-01-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 페이징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32425A1 (en) 2004-07-08
KR100837062B1 (ko) 200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94982B (zh) 多模式无线通信设备及用于其中的方法
US60412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alancing power savings and call set up tim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678522B1 (ko) 다중 모드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US6101388A (en) Method for reducing registration traffic in a GSM system
US7366131B2 (en) Power sav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50181734A1 (en) Automatic connection of a mobile device to a wireless network
US20050032555A1 (en) Method of intermittent activation of receiving circuitry of a mobile user terminal
RU2010139467A (ru) Эффективное назначение частоты для моби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в совместно существующих системах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RU2007111751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RU2006131576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чим режимом мас-уровня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с широкополосным беспроводным доступом
CN101977420B (zh) 找网与业务冲突的解决方法及多卡多待手机
JP2005532011A (ja) 好ましいローミング・リストとローミング・インジケータの提供および同期化
KR20100031467A (ko) 전력관리장치 및 방법
WO2018177431A1 (zh) 一种用户终端省电方法、装置
KR1008370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 시간 연장 방법
EP4262254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3369562A (zh) 一种基于多待机移动终端的小区测量系统及方法
CN101467399B (zh) 更新统一接入终端标识的方法和接入终端
KR200300652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 전화 상태 인지 방법
KR20120029815A (ko) 이동통신 단말의 전원절감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절전 모드 제어 방법
US75326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broadcast slot of mobile station
KR100420599B1 (ko) 셀 방송 기술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보 검색 방법
JP2008060853A (ja) 位置管理方法、位置管理装置、無線基地局、及び、無線端末
KR10050769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네트웍 검색 방법
KR100240290B1 (ko) 디지탈휴대전화기의밧데리절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