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914A -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분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분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914A
KR20040050914A KR10-2004-7005387A KR20047005387A KR20040050914A KR 20040050914 A KR20040050914 A KR 20040050914A KR 20047005387 A KR20047005387 A KR 20047005387A KR 20040050914 A KR20040050914 A KR 20040050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s
gas
feed stream
tubular
cyc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리마틴존호킨즈
드리어스후베르투스빌헬름무스알베르투스
Original Assignee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filed Critical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40050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91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2Construction of the overflow ducting, e.g. diffusing or spiral exits
    • B04C5/13Construction of the overflow ducting, e.g. diffusing or spiral exits formed as a vortex finder and extending into the vortex chamber; Discharge from vortex finder otherwise than at the top of the cyclone; Devices for controlling the over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11/00Accessories, e.g. safety or control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gulators, valves in inlet or overflow du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02Construction of inlets by which the vortex flow is generated, e.g. tangential admission, the fluid flow being forced to follow a downward path by spirally wound bulkheads, or with slightly downwardly-directed tangential admission
    • B04C5/04Tangential inlets

Abstract

접선방향으로 위치된 공급물 입구와 위로부터 관형 사이클론 하우징과 연결되는 관형 가스 출구 도관이 제공된 사이클론 분리기에 의해, 고형물분과 가스분을 포함하는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은, 관형 가스 출구 도관의 외면과 관형 사이클론 하우징 내부에서, 고형물이 없는 공급물 스트림의 가스분의 밀도 보다 낮은 밀도를 갖는 제 2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PROCESS TO SEPARATE SOLIDS FROM A SOLIDS LADEN GASEOUS FEED STREAM}
접선방향 입구 사이클론이 공지되어 있는데, 예컨데 1973, 맥그루 - 힐 사의 페리 화공 엔지니어 핸드북, 제 5 판, 20 -83, 20 - 85 쪽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book, 5th edition, 1973, McGraw-Hill Inc., pages 20 - 83, 20 - 85) 에 개시되어 있다.
가스 유동 내의 고형물이 경우에 따라 작은 (촉매) 입자와 함께 오염 성분, 예컨데 타르, 습기, 코크스 전구체, 응집성 입자 또는 비산회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입자는 침전되고, 시간이 지나면 상기 오염 성분의 층이 가스 출구 도관의 외면에서 성장할 수 있다. 이 층은 사이클론의 분리 효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더욱이, 층의 일부가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이클론의 하단부로 떨어질 수 있어, 예컨데 사이클론 바닥 개구와 딥레그를 통한 입자의 유동을 방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고형물 함유 가스가 접선방향 사이클론에 공급되는 전형적인 공정에는, 유체 촉매 크랙킹 (FCC) 공정, 석탄 기화 공정, 철광석의 직접 환원 공정 그리고 코크스화 공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사이클론 분리기의 가스 출구 도관의 외면에 발생할 수 있는 이러한 오염을 회피하는 것이다.
US-A-5376339 는 FCC 반응기 라이저의 배출물로부터 FCC 촉매를 불리시키는 사이클론 분리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라이저 배출물 외에, 스팀, FCC 촉매 입자 및 탄화수소 증기의 혼합물이 관형 가스 출구 도관의 외면의 상단부와 부근의 지점과 내부 관형 사이클론 하우징 내부에서 공급된다. 이 제 2 혼합물은 상기 FCC 유닛의 스팀 스트리퍼의 증기 배출물이다.
WO-A-9809730 은 FCC 반응기 라이저의 배출물로부터 FCC 촉매를 분리시키는 사이클론 분리기를 개시하고 있는데, 고형물 함유 가스가 위로부터 사이클론 하우징 안으로 들어가도록 입구가 가스 출구 주위에 제공된다. 이 입구에는 와류 발생 수단이 제공된다. 이 제 2 혼합물은 상기 FCC 유닛의 스팀 스트리퍼의 증기 배출물이다.
US-A-5362379 는 FCC 반응기 라이저의 배출물로부터 FCC 촉매를 불리시키기 위해 개방 하단부가 제공된 사이클론 분리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서와 같이, 가스가 위로부터 사이클론 하우징에 들어가도록 입구가 가스 출구 주위에 제공된다. 이 제 2 혼합물은 상기 FCC 유닛의 스팀 스트리퍼의 증기 배출물이다.
지 스타우딩거 (G. Staudinger) 와 호프만 (Hoffmann) 의 논문 (VDI Berichte, Nr. 1290, 1996 년, 127 -139 쪽) 에, 고형물 함유 가스의 분리를 위한 실험 사이클론 요소가 개시되있는데, 접선방향 사이클론에 제 2 가스가 관형 가스 출구 도관의 외면의 상단부 부근의 지점과 관형 사이클론 하우징 내부에서 공급된다. 제 2 가스는 고형물 함유 가스분과 동일한 성분을 가졌다. 이러한 제 2 가스를 상기 위치에서 추가하는 것은 노출된 위치에서 분리 효율에 적어도 조금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US-A-4043899 는 FCC 반응기 라이저의 배출물로부터 FCC 촉매를 분리시키는 사이클론 분리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사이클론에 반응기 배출물에서 분리된 촉매의 사이클론 스트리핑을 발휘하기 위해 스팀이 사이클론 관형체의 하단부에 공급된다.
본 발명은, 접선방향으로 위치된 공급물 입구와 위로부터 관형 사이클론 하우징과 연결되는 관형 가스 출구 도관이 제공된 사이클론 분리기에 의해, 고형물분과 가스분을 포함하는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형 가스 출구 도관의 외면과 관형 사이클론 하우징의 내부에서 제 2 가스가 공급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선방향 사이클론 분리기의 가스 출구 도관의 외면의 오염을 회피하는 것이다.
다음 방법으로 이 목적이 이루어진다. 접선방향으로 위치된 공급물 입구와 위로부터 관형 사이클론 하우징과 연결되는 관형 가스 출구 도관이 제공된 사이클론 분리기에 의해, 고형물분과 가스분을 포함하는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은, 관형 가스 출구 도관의 외면과 관형 사이클론 하우징 내부에서, 고형물이 없는 공급물 스트림의 가스분의 밀도 보다 낮은 밀도를 갖는 제 2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인은 고형물 함유 가스의 가스분의 밀도 보다 실질적으로 낮은 밀도를 갖는 가스를 제 2 가스로서 이용하면, 일종의 보호 가스층이 가스 출구 튜브 주위에 형성됨을 알았다. 비교적 가벼운 가스에 작용하는 원심력으로 인해 이 보호층을 통과하는 성분이 없기 때문에, 그리고 제 2 가스는 이러한 잠재적 점착성분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오염 성분이 가스 출구 도관의 외면과 접촉하지 않고 오염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US-A-5376339, WO-A-9809730 및 US-A-5362379 에 개시된 방법과는 다른데, 이들 공지된 방법에서는 제 2 가스는 FCC 촉매 입자와 탄화수소 증기를 함유하기 때문이다. 이 성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오염은 여전히 발생될 수 있다. 본 방법은 전술한 US-A-4043899 에 개시된 방법과는 다른데, 스팀이 가스 출구 도관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공급되기 때문에, 사이클론에 추가된 스팀이 보호층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 2 가스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공급물 스트림의 가스분의 밀도의 50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제 2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고형물 함유 가스의 가스분의 일부인 가스 중에서 선택된다. 앞서 참조된 방법에서 상기 사이클론에 대한 공급물의 전형적인 가스분의 예로는 메탄, 에탄, 질소, 스팀 또는 이들 가스중 2 종 이상의 혼합물이 있다. FCC 공정에서, 유익하게는 제 2 가스는, 메탄 그리고 상기 FCC 공정의 생성물 회수 트레인에서 얻어진 것과 유사하거나 낮은 비등점을 갖는 성분을 포함하는 가벼운 가스일 수 있다. FCC 회수 트레인에서 스팀을 추가하면 큰 하류 용량 문제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스팀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 2 가스는 감지될 수 있는 양의 고형물 또는 코크스 전구체를 함유하지 않는다.
상기 사이클론에 공급된 제 2 가스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클론에 공급된 고형물 함유 공급물 스트림의 가스분의 10 vol %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 - 5 vol %,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3 vol % 이다.
제 2 가스가 제공되는 위치는, 가스 출구 도관 주위에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면 어떠한 위치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가스는, 예컨데 가스 출구 튜브와 관형 사이클론 하우징의 상단부를 덮는 커버 사이의 슬리브를 통해 가스 출구 도관의 상단부에서 공급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관형 가스 출구 도관의 중공벽에 존재하는 다수의 개구를 통해 제 2 가스가 공급되는 경우이다.
접선방향 사이클론에는, 예컨데 US-A-5376339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딥레그가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예컨데 US-5569435 또는 US-A-5362379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딥레그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은 바람직하게는 FCC 반응기 라이저의 배출물이다.

Claims (7)

  1. 접선방향으로 위치된 공급물 입구와 위로부터 관형 사이클론 하우징과 연결되는 관형 가스 출구 도관이 제공된 사이클론 분리기에 의해, 고형물분과 가스분을 포함하는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관형 가스 출구 도관의 외면과 관형 사이클론 하우징의 내부에서, 고형물이 없는 공급물 스트림의 가스분의 밀도 보다 낮은 밀도를 갖는 제 2 가스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가스의 밀도는 공급물 스트림의 가스분의 밀도의 5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2 가스의 밀도는 공급물 스트림의 가스분의 밀도의 3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가스는 스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가스는 가스 출구 도관의 상단부에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가스는 관형 가스 출구 도관의 중공벽에 존재하는 다수의 개구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가스는, 난류가 적은 표면에 오염을 일으키는 코크스 전구체, 입자 및/또는 고형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 분리하는 방법.
KR10-2004-7005387A 2001-10-12 2002-10-10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분리하는 방법 KR200400509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203873 2001-10-12
EP01203873.3 2001-10-12
PCT/EP2002/011375 WO2003033105A1 (en) 2001-10-12 2002-10-10 Process to separate solids from a solids laden gaseous feed stre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914A true KR20040050914A (ko) 2004-06-17

Family

ID=8181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387A KR20040050914A (ko) 2001-10-12 2002-10-10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분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40237783A1 (ko)
JP (1) JP2005537118A (ko)
KR (1) KR20040050914A (ko)
CN (1) CN1568216A (ko)
BR (1) BR0213051A (ko)
CA (1) CA2463417A1 (ko)
MX (1) MXPA04003351A (ko)
WO (1) WO20030331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8597A (ja) * 2008-04-28 2011-06-30 タタ ティー リミテッド 新鮮で温かい飲料の自動ポッドコンベア及び浸出アセンブリ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34489A (en) * 1957-04-02 1960-04-26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Heating of coker cyclone and outlet
US3996063A (en) * 1975-01-03 1976-12-07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Method for removing coke from fluid coker outlets
JPS5832192B2 (ja) * 1975-03-11 1983-07-11 三菱油化株式会社 コ−キングノボウシホウホウ
US4043899A (en) * 1976-02-27 1977-08-23 Mobil Oil Corporation Method and means for separating gasiform materials from finely divided catalyst particles
US4904281A (en) * 1988-07-15 1990-02-27 Engelhar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solids from a gaseous stream
US5362379A (en) * 1991-12-27 1994-11-08 Amoco Corporation Open-bottomed cyclone with gas inlet tube and method
BR9303773A (pt) * 1993-09-13 1995-10-10 Petroleo Brasileiro Sa Sistema para separar suspensões de partículas de catalisador e mistura reagida de hidrocarbonetos e processo de craqueamento catalítico
US5376339A (en) * 1993-11-15 1994-12-27 Texaco Inc. Direct-coupled FCC riser cyclone and plenum
EP0826425A1 (en) * 1996-09-02 1998-03-04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maatschappij B.V. Cyclone se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537118A (ja) 2005-12-08
CA2463417A1 (en) 2003-04-24
BR0213051A (pt) 2004-09-28
MXPA04003351A (es) 2004-07-08
US20040237783A1 (en) 2004-12-02
WO2003033105A1 (en) 2003-04-24
CN1568216A (zh) 200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6425A1 (en) Cyclone separator
FI20000262A (fi) Menetelmä ja laitteisto kiintoaineen erottamiseksi kaasuista
RU2003117009A (ru) Вертикальный циклонный сепаратор
SE8307085D0 (sv) Apparat och forfarande for separering av krackningskatalysatorpartiklar fran gasformiga kolveten
JPH11506148A (ja) 無秩序状態の減少したサイクロン分離装置
GB2051619A (en) Separation of gases from particle streams
US77087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solids from gas streams
CA2184613A1 (en) Fluid Catalytic Cracking Process and Apparatus with Contained Vortex Third Stage Separator
SE8502653D0 (sv)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 particles and gaseous materials
FI974263A0 (fi) Foerfarande och anlaeggning foer separering av fasta aemnen fraon gaser
ES2000172A6 (es) Un aparato y un procedimiento para separacion de solidos-fluido.
KR100492702B1 (ko) 사이클론 분리기
CN101678370A (zh) 气固分离器
AU765520B2 (en) Gas-solid separation process
CA2232069C (en) A fluidized catalytic cracking apparatus with contained vortex third stage separator
KR20040050914A (ko) 고형물 함유 가스 공급물 스트림으로부터 고형물을분리하는 방법
US5565020A (en) Process and arrangement for separating particulate solids
AU2004253305B2 (en) Process to separate solids from a solids laden gaseous flow
AU2002342812A1 (en) Process to separate solids from a solids laden gaseous feed stream
RU2003133729A (ru) Реактор fcc (для каталитического крекинга с псевдоожиженным катализатором)
US5198005A (en) Apparatus for solids-fluid separation
GB2011285A (en) Cyclone separator
IE42529L (en) Disengaging particles from gases
RU2268912C2 (ru) Реакционная камера для каталитического крекинга в псевдоожиженном слое и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каталитического крекинга в псевдоожиженном слое (варианты)
SU800493A1 (ru) Способ огневого обезвреживани РАзличНыХ пО АгРЕгАТНОМу СОСТО НиюОТХ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