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825A - 피부보호용 붕대 - Google Patents

피부보호용 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825A
KR20040050825A KR1020030039550A KR20030039550A KR20040050825A KR 20040050825 A KR20040050825 A KR 20040050825A KR 1020030039550 A KR1020030039550 A KR 1020030039550A KR 20030039550 A KR20030039550 A KR 20030039550A KR 20040050825 A KR20040050825 A KR 20040050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age
film
porous film
skin protection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4371B1 (ko
Inventor
편도기
이상은
윤형순
최윤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엘
Publication of KR20040050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4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38Flexibility, stretchability or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46Air-vapor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25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387Plasters use skin pro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보호용 붕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폼을 기준하여 상하면에 무공형 필름과 다공형 필름이 적층되고, 붕대 전체 면적에 걸친 열압착에 의해서 다수의 독립된 셀이 형성되며, 독립된 셀의 외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것으로써, 골절환자의 깁스 시술시 수경화형 캐스팅 테이프(casting tape)의 내부에 위치하여 투습 및 방수 기능에 의해서 골절환자의 샤워 후 빠른 건조를 가능하게 하고 신체에서 발산되는 땀의 배출을 원활히 함으로써 환부의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가려움과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피부보호용 붕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보호용 붕대{Skin protector bandage}
본 발명은 피부보호용 붕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폼을 기준하여 상하면에 무공형 필름과 다공형 필름이 적층되고, 붕대 전체 면적에 걸친 열압착에 의해서 다수의 독립된 셀이 형성되며, 독립된 셀의 외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것으로써, 골절환자의 깁스 시술시 수경화형 캐스팅 테이프(casting tape)의 내부에 위치하여 투습 및 방수 기능에 의해서 골절환자의 샤워 후 빠른 건조를 가능하게 하고, 신체에서 발산되는 땀의 배출을 원활히 함으로써 환부의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가려움과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피부보호용 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절환자의 시술시 피부와의 접촉부위에 피부보호용천(stockinet)을 씌우고, 그 상부에 솜붕대(cotton bandage)를 감고 석고붕대나 수경화형 캐스팅 테이프 등으로 시술한다. 그러나, 상기에 명시한 시술방법은 피부보호용천과 솜붕대의 높은 수분흡수율에 의해 샤워를 할 수 없는 점과 골절환자의 환부에 발생되는 땀의 배출을 원활히 하지 못하는 점 등으로 2차 감염과 가려움 및 답답함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미국특허 제5,102,711호에 명시된 피부보호용 붕대의 경우, 고가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필름을 사용하여 투습도를 높였으나, 사용된 원재료가 고가이기 때문에 골절환자에 적용시 가격적으로 상당한 부담을 가지게 된다. 미국특허 제5,720,714호에서 제안된 피부보호용 붕대의 경우, 필름의 내부에 공기만 충진시키거나, 하나의 독립된 형태의 셀 내에 폼이 잘려진 조각 형태로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이 외부의 충격으로 찢어졌을시 착용감을 상실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 제10-0232801호와 실용신안등록 제20-0236258호 및 제20-0273767호에 명시된 피부보호용 붕대의 경우, 피부보호용 붕대가 직물형태로 짜여져 있어 발수처리를 하여도 직물을 구성하는 원사 자체의 수분흡수율이 높으므로 샤워가 가능하기는 하나 수분의 배출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열린 셀(open cell) 구조의 폴리우레탄 폼을 기준하여 상하면에 투습 및 방수 기능을 보유한 무공형 또는 다공형의 필름을 적층하여 열압착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과 필름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독립된 셀이 붕대 전체 면적에 걸쳐 형성되도록 할 경우 환자의 환부에서 발생하는 땀의 배출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투습 및 방수기능에 의해서 물에 젖더라도 빠른 건조가 가능하여 샤워가 가능하게 됨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상기 열압착 부위에 펀칭을 가하여 기공을 형성시킬 경우 보다 높은 투습기능이 이루어져서 환자에게 보다 쾌적한 착용감을 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투습 및 방수 기능이 개선되어 골절환자의 샤워가 가능하게 되고, 신체에서 발산되는 땀의 배출을 원활히 할 수 있어서, 환부의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가려움과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피부보호용 붕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피부보호용 붕대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A와 A의 절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피부보호용 붕대
10 : 폴리우레탄 폼20 : 무공형 필름
30 : 다공형 필름40 : 기공
50 : 점착제60 : 셀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폼(10)을 기준하여 위아래로 무공형 필름(20)과 다공형 필름(30)이 적층되어 위치하며, 붕대 전체 면적에는 열압착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독립된 셀(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독립된 셀(60)의 외면에는 점착제(50)가 도포되어 있는 피부보호용 붕대(100)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피부보호용 붕대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우레탄 폼을 기준하여 상하면에 무공형 필름과 다공형 필름이 적층되어 위치하고, 붕대 전체 면적에 걸친 열압착에 의해서 다수개의 독립된 셀이 형성되며, 상기 독립된 셀의 외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피부보호용 붕대에 관한 것이다.
이로써, 골절환자의 깁스 시술시 수경화형 캐스팅 테이프(casting tape)의 내부에 위치하여 투습 및 방수 기능에 의해서 골절환자의 샤워 후 빠른 건조를 가능하게 하고 신체에서 발산되는 땀의 배출을 원활히 함으로써 환부의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가려움과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열압착 부분에 펀칭으로 인한 기공을 형성시킬 경우 상기 투습기능이 향상되어 환자에게 보다 쾌적한 착용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보호용 붕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피부보호용 붕대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A와 A를 연결하는 절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보호용 붕대는 땀과 물의 투습을 원활하게 하고 신축성과 유연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열린 셀(open cell)구조의 폴리우레탄 폼(10)을 중심부에 사용하며, 착용시 안락감을 주기 위하여 무공형 필름(20) 및 다공형 필름(30)과 폴리우레탄 폼(10)을 열압착(thermal sealing)하여 형성된 독립된 셀(60)이 붕대 전체 면적을 통하여 형성된다. 상기의 독립된 셀(60)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각형 또는 원형 등의 형태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
상기 셀(60)은 폴리우레탄 폼(10)을 기준하여, 외측의 상하면에 미세기공 구조로서 투습 방수 기능을 가지는 무공형 필름(20) 및 다공형 필름(30)이 적층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무공형 필름(20)과 다공형 필름(30)의 적층 순서 및 적층량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무공형 필름(20)과 다공형 필름(30)이 순차적으로 교대 적층될 경우 보다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두 종류의 무공형 필름(20) 및 다공형 필름(30)은 피부보호용 붕대의 신축성과 유연성을 가지며 또한 투습 및 방수기능을 가져야 하며, 이를 만족하기 위하여 각각 투습도가 1,000 ∼ 10,000 g/m2·day 범위에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무공형 필름(20)은 열압착 후 독립된 셀(60)의 내부에 공기가 충진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상기 다공형 필름(30)에 형성된 미세기공은 물은 통과할 수 없고 수증기만이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방수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필름으로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직물과 폴리우레탄이 합지(lamination)된 필름 등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열압착 부위에 펀칭을 가하여 기공(40)을 형성시킬 경우 보다 우수한투습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기공(40)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다각형 또는 원형 등의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독립된 다각형 형태의 셀(60)의 외면에 샤워시 물과 반응하지 않고 피부트러블이 없는 점착제(50)를 도포하여 본 발명의 피부보호용 붕대를 환부에 적용시 각 층간의 부착력을 높여서 시술의 용이함과 착용시 시술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점착제(50)는 필요에 따라 한면 또는 양면에 모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크릴(acryl)계, 러버(rubber)계 및 수성(aqueous)계 점착제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바,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2
폴리우레탄 폼(세림TTC사 제품, 상품명 SEW-1)을 기준으로 무공형 필름(코오롱글로텍사 제품, 상품명 Healspo-건식필름) 또는 다공형 필름(코오롱글레텍사 제품, 상품명 Healspo-습식필름) 또는 무공형과 다공형이 합지(lamination)된 필름(코오롱글레텍사 제품, 상품명 Healspo-건습식필름)을 적층한 다음 160 ∼ 200 ℃로 열압착하고, 점착제(National Starch사 제품, 상품명 NACOR 38-4509)를 도포하여 피부보호용 붕대를 제조하였으며, 사용된 필름의 적층순서, 펀칭에 의한 기공형성 유무와 점착제 도포방법은 다음 표 1에 간단하게 나타내었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 6 및 비교예 1 ∼ 2에 따라 제조된 피부보호용 붕대를 캐스팅 테이프 시술시 적용한 다음 투습성, 방수성, 착용감 및 건조시간(Drying Time)등에 대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1) 투습성(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
KS K 0594-1998에 의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g/㎡ㆍ24hr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때 투습컵의 면적은 0.00283 ㎡, 투습컵의 높이는 25 mm, 흡습제는 염화칼슘, 온도는 40±2 ℃, 상대습도는 90±5 %로 하였다.
2) 방수성(Waterproofness) :
일회용 스포이드를 사용하여 0.03 g의 물방울을 피부보호용 붕대의 독립 셀에 떨어뜨려 물이 흡수되는 시간을 측정하였으며, 5 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해 결과를 나타내었다.
3) 착용감 :
피부보호용 붕대를 숏암(Short Arm) 부위에 나선모양으로 감고 그 위에 캐스팅테이프를 감은 후 캐스팅테이프가 완전히 경화된 다음 피부보호용 붕대가 피부에 가해지는 쿠션감이나 밀착성을 체크하여 우수, 보통, 불량으로 구분하여 결과를 나타내었다.
4) 건조시간(Drying Time) :
피부보호용 붕대를 숏암(Short Arm) 부위에 나선모양으로 감고 그위에 캐스팅테이프를 감는다. 캐스팅테이프가 완전히 경화된 후 시술부위를 물에 침지시킨후 피부에 남아있는 물기가 완전히 없어질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깁스환자의 환부 부위의 샤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투습 및 방수 기능을 가진 필름을 사용하며, 열압착에 의하여 형성된 독립된 셀을 둘러싸는 열압착 부위에 펀칭을 가하여 다수개의 기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투습 기능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여, 깁스환자의 환부 내부로 물이 침투시 물이 빠르게 배출 및 건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신체에서 배출되는 땀의 배출을 원활히 하여 깁스환자가 가장 불편함을 가지는 환부의 가려움과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2차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폴리우레탄 폼(10)을 기준하여 위아래로 무공형 필름(20)과 다공형 필름(30)이 적층되어 위치하며, 붕대 전체 면적에는 열압착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독립된 셀(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독립된 셀(60)의 외면에는 점착제(50)가 도포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호용 붕대(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10)은 열린 셀(open cell) 구조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호용 붕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된 셀(60)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호용 붕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압착 부위에는 펀칭에 의한 다각형 또는 원형의 기공(40)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호용 붕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공형 필름(20) 및 다공형 필름(30)은 각각 투습도가 1,000 ∼ 10,000 g/m2·day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호용 붕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공형 필름(20) 또는 다공형 필름(30)은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무공형과 다공형이 합지(lamination)된 필름, 직물과 폴리우레탄이 합지(lamination)된 필름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호용 붕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10)을 기준하여 외면의 한면에 무공형 필름(20)이 적층되고, 다른 한면에 다공형 필름(30)이 적층되거나, 외면의 양면에 다공형 필름이 적층되거나, 외면의 양면에 무공형과 다공형이 합지된 필름이 적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호용 붕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10)을 기준하여 위아래로 무공형 필름(20)과 다공형 필름(30)이 순차적으로 교대 적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호용 붕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된 셀(60)은 외면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acryl)계, 러버(rubber)계 및 수성(aqueous)계 점착제 중에서 선택된 점착제(50)가 도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보호용 붕대.
KR1020030039550A 2002-12-10 2003-06-18 피부보호용 붕대 KR100564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451 2002-12-10
KR20020078451 2002-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825A true KR20040050825A (ko) 2004-06-17
KR100564371B1 KR100564371B1 (ko) 2006-03-27

Family

ID=3734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550A KR100564371B1 (ko) 2002-12-10 2003-06-18 피부보호용 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4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221B1 (ko) * 2005-01-06 2007-03-14 주식회사 티앤엘 피부보호대 및 이것을 이용한 깁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221B1 (ko) * 2005-01-06 2007-03-14 주식회사 티앤엘 피부보호대 및 이것을 이용한 깁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4371B1 (ko) 2006-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6217B2 (en) Wound dressing
US20180064843A1 (en) Wound dressing
US11911525B2 (en) Wound dressing
JPH0549301B2 (ko)
TW201622668A (zh) 長效型貼片敷料結構
JP2004130079A (ja) 接着ガーゼ包帯
US20030125680A1 (en) Hydrocolloid bandage
JP2018526099A (ja) 固定要素を有する外科用絆創膏
CN210991140U (zh) 医用敷料贴
KR100693221B1 (ko) 피부보호대 및 이것을 이용한 깁스 방법
KR100564371B1 (ko) 피부보호용 붕대
JPH0724001A (ja) 軟膏付救急絆創膏
CN209464182U (zh) 一种无菌纱布块
CN217245188U (zh) 多衬层保护的敷料
JP2008043421A (ja) 救急絆創膏
CN215459320U (zh) 用于伤口愈合的组合式水凝胶敷料
CN211911975U (zh) 一种医用脱脂棉纱布垫
CN212015952U (zh) 一种脸部水凝胶泡沫敷料
CN215821392U (zh) 防水创可贴
CN210991144U (zh) 一种含水胶体敷料芯的创可贴
CN217448233U (zh) 一种治疗压疮的医用碳纤维敷料
CN209751307U (zh) 一种洗澡贴
KR100887289B1 (ko) 창상면 접촉재 및 그를 사용한 창상 드레싱
KR100570900B1 (ko) 상처 드레싱재
CN210812021U (zh) 透气保健纸尿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