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362A -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된 건축물의 내,외장재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된 건축물의 내,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362A
KR20040050362A KR1020020078176A KR20020078176A KR20040050362A KR 20040050362 A KR20040050362 A KR 20040050362A KR 1020020078176 A KR1020020078176 A KR 1020020078176A KR 20020078176 A KR20020078176 A KR 20020078176A KR 20040050362 A KR20040050362 A KR 20040050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powder
functional
cao
m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융기
Original Assignee
한융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융기 filed Critical 한융기
Priority to KR102002007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0362A/ko
Publication of KR20040050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36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0Oxides other than 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04B20/026Comminuting, e.g. by grinding or breaking; Defibrillating fibres other than asbesto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25Aspects relating to the protection of the health, e.g. materials containing special additives to afford skin prot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258Electromagnetic wave absorbing or shield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건축물의 내,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SiO2가 58%이하, MgO가 24%이하, CaO가 14%이하이며, Fe2O3, Al203등의 금속성분을 5%이하 갖는 제 1무기복합체를 천연함수 규산염으로 분쇄하여 제 1기능성 분말을 얻고, SiO2가 65%이하, Al203가 17%이하, Na2O 및 K2O가 6%이하, FeO3및 CaO를 3%이하 갖는 제 2무기복합체를 볼밀로 분쇄하여 제 2기능성 분말을 얻고,상기 제 1기능성 분말과 제 2기능성 분말을 혼합기에 넣고 1∼2시간 혼합하여 복합 기능성 분말을 얻고,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얻어진 복합 기능성 분말을 공지의 건축용 내,외장재인 타일이나 장판 및 벽지에 첨가되는 재료와 첨가제에 대하여 0.1∼40.0wt%를 첨가시켜 실내의 오염물질과 세균 및 분진 그리고 악취등을 흡착 및 분해 그리고 중화시켜 깨끗하고 쾌적한 실내의 환경을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바닥이나 벽면 및 천정으로 부터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가운데 전자파나 수맥파등의 유해파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기능과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성인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건축물의 내,외장재{Decora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 which is manufactured the inside of the building and manufacture method and that method of the function characteristic material}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건축물의 내,외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축의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타일이나 그 마감재로 사용되는 벽지와 장판지 및 도료에 일정량의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과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칼슘 그리고 티탄과 기타 미량의 성분을 갖는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실내에 있는 각종 오염물질이나 세균, 분진, 악취등을 흡착하고, 이를 분해 및 중화시켜 쾌적한 실내의 환경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바닥이나 벽면 및 천정으로 부터 소정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가운데 전자파나 수맥파등의 유해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그로 인한 성인병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은 사람이나 물품 ·기계설비 등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재와의장재를 사용하여 시공된다.
상기 구조재는 건물 전반에 걸친 외력에 대한 변형이나 파괴 등 구조적인 이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건물의 골격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석재 ·벽돌 ·목재 ·철강재 ·콘크리트 등이 주로 쓰이고, 석재 ·벽돌 등은 마감재료로 사용된다.
상기 의장재는 구조체를 보호하고 건축물의 각부위의 성능과 그 기능에 적합하도록 장식하는 것으로서, 바닥재 ·천장재 ·마감재 등의 내장재와 외장재로 구성되며, 바닥재나 천장재로는 테라초(terrazzo) ·목재판류 ·석재 ·타일 ·고무류판 ·합성수지 제품류 등이 사용되고, 아울러 각종 칠과 융단 등도 바닥재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마감재는 건물 내외부의 바탕을 피복과 함께 단열성 ·방수성 ·흡음성 등을 고려한 미적 감각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며, 물리적 ·화학적 요구에도 견디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벽체의 마감재료는 모르타르 ·회반죽 등의 바름재료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타일 ·유리 ·금속판 ·합판 ·섬유판 ·벽지·장판지 ·도료 등의 붙임재료 및 본타일 ·각종 칠 등 뿜칠 바름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감재는 주로 휨강도 ·전단강도 ·내충격성 ·경도 등의 역학적 성질과, 방화성 ·방수성 ·단열성 ·내후성 ·흡음성 등의 물리적 성질 이외에 미감 ·시공성 ·경제성 등이 아울러 충족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석재 ·벽돌 ·목재 ·철강재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건물의 골격인 구조체를 시공하고, 구조체의 내외부에 모르타르 ·회반죽 등의 바름재료를이용하여 타일 ·유리 ·금속판 ·합판 ·섬유판 ·벽지 ·장판지 ·도료 등의 붙임재료나 본타일을 각각 시공하고, 각종 칠 등 바름재료를 이용하여 축조된 건물은 건물의 내부를 둘러싸고 있는 타일이나 벽지 및 도료 등은 단지 미감에 치중한 나머지 그 내부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에게 그 어떠한 영향, 즉, 장마철의 경우에는 습기를 제거하여 세균의 번식을 억제한다거나, 악취를 제거하여 쾌적한 실내 공간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자기기로 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나 수맥파 등도 차단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환경속에서 장기간 생활할 경우, 신체의 내분비가 불균일하게 됨으로써, 성인병이 발생할 수 있는 원인이 되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과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습기나 오존 발생기 및 전자파 차단기 그리고 수맥파 차단기를 실내에 설치 또는 시공할 경우, 특히 한정된 공간확보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지출이 늘어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일정량의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과 산화마그네슘 및 산화칼슘 그리고 티탄과 기타 미량의 성분을 갖는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 건축의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타일이나 그 마감재인 벽지와 장판지 및 도료에 섞어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기능성 물질로 인해 실내에 있는 각종 오염물질이나 세균, 분진, 악취 등을 흡착하고, 이를 분해 및 중화시켜 깨끗한 실내의 환경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바닥이나 벽면 및 천정에서 공간으로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가운데 전자파나 수맥파 등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기능과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건축물의 내,외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SiO2가 58%이하, MgO가 24%이하, CaO가 14%이하이며, Fe2O3, Al203등의 금속성분을 5%이하 갖는 제 1무기복합체를 천연함수 규산염으로 분쇄하여 제 1기능성 분말을 얻고, SiO2가 65%이하, Al203가 17%이하, Na2O 및 K2O가 6%이하, FeO3및 CaO를 3%이하 갖는 제 2무기복합체를 볼밀로 분쇄하여 제 2기능성 분말을 얻고, 상기 제 1기능성 분말과 제 2기능성 분말을 혼합기에 넣고 1∼2시간 혼합하여 복합 기능성 분말을 얻고,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얻어진 복합 기능성 분말을 공지의 건축용 내,외장재인 타일이나 장판 및 벽지그리고 도료에 첨가되는 재료와 첨가제에 대하여 0.1∼40.0(wt%)를 첨가시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SiO2가 58%이하, MgO가 24%이하, CaO가 14%이하이며, Fe2O3, Al203등의 금속성분을 5%이하 갖는 제 1무기복합체를 천연함수 규산염으로 분쇄하여 제 1기능성 분말을 얻고, SiO2가 65%이하, Al203가 17%이하, Na2O 및 K2O가 6%이하, FeO3및CaO를 3%이하 갖는 제 2무기복합체를 볼밀로 분쇄하여 제 2기능성 분말을 얻고, 상기 제 1기능성 분말과 제 2기능성 분말을 혼합기에 넣고 1∼2시간 혼합하여 복합 기능성 분말을 얻고,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얻어진 복합 기능성 분말을 공지의 건축용 내,외장재인 타일이나 장판 및 벽지 그리고 도료에 첨가되는 재료와 첨가제에 대하여 0.1∼40.0(wt%)를 첨가시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건축물의 내,외장재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건출물의 내,외장재는 SiO2, MgO, CaO, Fe2O3, Al203등의 금속성분을 갖는 제 1무기복합체를 천연함수 규산염으로 분쇄시켜 얻은 제 1기능성 분말과, SiO2, Al203, Na2O 및 K2O, FeO3및 CaO를 갖는 제 2무기복합체를 볼밀로 분쇄시켜 얻은 제 2기능성 분말을 혼합기에 넣고 1∼2시간 혼합하여 복합 기능성 분말을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복합 기능성 분말을 공지의 건축용 내,외장재인 타일에 첨가되는 재료와 첨가제에 첨가하고, 혼합시켜서 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 1기능성 분말을 이루는 성분비는 SiO2가 58%이하, MgO가 24%이하, CaO가 14%이하이며, Fe2O3, Al203등의 금속성분은 5%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기능성 분말은 SiO2, MgO, CaO, Fe2O3, Al203, Na2O, TiO2, K2O, 기타 미량성분을 갖는 연옥분으로서, 상기 연옥분은 SiO257.76wt%, MgO 23.42wt%, CaO 12.91wt%, Fe2O32.21wt%, Al2030.15wt%, Na2O 0.05wt%, TiO20.02wt%, K2O 0.02wt%, 기타 미량성분 3.64wt%와, SiO256.92wt%, MgO 23.11wt%, CaO 12.86wt%, Fe2O31.98wt%, Al2030.51wt%, Na2O 0.06wt%, TiO20.03wt%, K2O 0.02wt%, 기타 미량성분 4.6wt%와, SiO256.78wt%, MgO 22.66wt%, CaO 13.35wt%, Fe2O32.15wt%, Al2030.79wt%, Na2O 0.07wt%, TiO20.03wt%, K2O 0.02wt%, 기타 미량성분 4.15wt%로 구분되는 것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기능성 분말은 납 20.0ppm이하, 비소 5.0ppm이하, 산가용물 2.0%이하, 건조감량 2.0%이하 및 티탄 0.001∼0.005%가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기능성 분말은 그 입자의 크기를 약 300∼50,000 메쉬로 분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입도가 50,000 이상 될 경우,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면서 그 공정이 복잡해지는 원인으로 인해 원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있고, 입자의 크기가 300 메쉬보다 작아질 경우, 제품의 표면이 거칠거칠 해지는 원인이 있다.
상기 제 2기능성 분말을 이루는 성분비는 SiO2가 65%이하, Al203가 17%이하,Na2O 및 K2O가 6%이하, FeO3및 CaO를 3%이하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기능성 분말은 SiO2, Al203, Na2O, K2O, FeO3, CaO, MgO, P2O30.22, TiO2, MnO을 갖는 맥반석분말로서, 상기 맥반석분말의 성분량은 SiO264.67wt%, Al20316.78wt%, Na2O5.97wt%, K2O 5.88wt%, FeO32.99wt%, CaO 2.84wt%, MgO 0.23wt%, P2O30.22wt%, TiO20.21wt%, MnO 0.21wt%와, SiO264.78wt%, Al20316.87wt%, Na2O5.96wt%, K2O 5.97wt%, FeO32.98wt%, CaO 2.94wt%, MgO 0.12wt%, P2O30.14wt%, TiO20.16wt%, MnO 0.09wt%와, SiO264.98wt%, Al20316.88wt%, Na2O5.99wt%, K2O 5.98wt%, FeO32.99wt%, CaO 2.99wt%, MgO 0.04wt%, P2O30.05wt%. TiO20.04wt%, MnO 0.06wt%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기능성 분말은 그 입자의 크기를 약 300∼50,000 메쉬로 분쇄하도록 하고, 입도가 50,000 이상 될 경우,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며, 공정이 복잡해지는 원인으로 원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있고, 입자의 크기가 300 메쉬보다 작아질 경우, 제품의 표면이 매끈해지지 않게 되는 원인이 있다.
한편, 상기 제 1,2기능성 분말을 혼합기에 넣을 경우, 제 1기능성 분말과 제 2기능성 분말의 비율이 1:5∼10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의 비율이 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제 2기능성 분말의 주성분으로서 제습 및 흡입력이 높은 SiO2와 Al203가 제 1기능성 분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가령 1:1의 비율로 혼합할 경우, 제습력과 흡입력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 1,2기능성 분말이 혼합된 복합 기능성 분말은 공지의 건축용 내,외장재인 타일에 첨가되는 재료와 첨가제에 대하여 0.1∼40.0wt%를 첨가시켜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복합 기능성 분말을 내,외장재료인 타일에 첨가되는 재료와 첨가제에 혼합시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타일 이외에 실내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장판이나 벽지 및 도료 등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타일에 혼합하여 사용할 때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SiO2, MgO, CaO가 주성분으로 Fe2O3, Al203등의 금속성분을 갖는 제 1무기복합체를 천연함수 규산염으로 미세하게 분쇄하여 제 1기능성 분말을 얻는다.
이때, 제 1무기복합체를 이루는 성분은 SiO2가 58%이하, MgO가 24%이하, CaO가 14%이하이며, Fe2O3, Al203등의 금속성분을 5%이하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천연함수 규산염으로 분쇄하는 과정에서 산출된 제 1기능성 분말은SiO2, MgO, CaO, Fe2O3, Al203, Na2O, TiO2, K2O, 기타 미량성분을 갖도록 한 연옥분으로서, 각각 성분의 함량은 SiO257.76wt%, MgO 23.42wt%, CaO 12.91wt%, Fe2O32.21wt%, Al2030.15wt%, Na2O 0.05wt%, TiO20.02wt%, K2O 0.02wt%, 기타 미량성분 3.64wt%와, SiO256.92wt%, MgO 23.11wt%, CaO 12.86wt%, Fe2O31.98wt%, Al2030.51wt%, Na2O 0.06wt%, TiO20.03wt%, K2O 0.02wt%, 기타 미량성분 4.6wt%와, SiO256.78wt%, MgO 22.66wt%, CaO 13.35wt%, Fe2O32.15wt%, Al2030.79wt%, Na2O 0.07wt%, TiO20.03wt%, K2O 0.02wt%, 기타 미량성분 4.15wt%를 함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1기능성 분말은 그 입자의 크기를 약 300∼50,000 메쉬크기로 분쇄하도록 하고, 입도가 50,000 이상 될 경우,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며, 공정이 복잡해지는 원인으로 원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있고, 입자의 크기가 300 메쉬보다 작아질 경우, 제품의 표면이 매끈해지지 않게 되는 원인이 있다.
또한, 상기 제 1기능성 분말은 납 20.0ppm이하, 비소 5.0ppm이하, 산가용물 2.0%이하, 건조감량 2.0%이하 및 티탄 0.001∼0.005%가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 1기능성 분말을 얻은 후 다음의 공정을 통해 제 2기능성 분말을 얻는다.
즉, 제 2기능성 분말은 SiO2, Al203, Na2O 및 K2O, FeO3및 CaO를 포함하는 제2무기복합체를 분쇄기인 볼밀로 분쇄시켜 소정의 입도를 갖는 분말을 얻는다.
이러한 제 2기능성 무기체는 SiO2가 65%이하, Al203가 17%이하, Na2O 및 K2O가 6%이하, FeO3및 CaO를 3%이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기능성 무기체를 분쇄시켜 얻은 제 2기능성 분말의 성분은 상기 제 2기능성 분말은 SiO2, Al203, Na2가 주성분으로 K2O, FeO3, CaO, MgO, P2O3, TiO2, MnO를 갖는 맥반석분말로서, SiO264.67wt%, Al20316.78wt%, Na2O5.97wt%, K2O 5.88wt%, FeO32.99wt%, CaO 2.84wt%, MgO 0.23wt%, P2O30.22wt%, TiO20.21wt%, MnO 0.21wt%와, SiO264.78wt%, Al20316.87wt%, Na2O5.96wt%, K2O 5.97wt%, FeO32.98wt%, CaO 2.94wt%, MgO 0.12wt%, P2O30.14wt%, TiO20.16wt%, MnO 0.09wt%와, SiO264.98wt%, Al20316.88wt%, Na2O5.99wt%, K2O 5.98wt%, FeO32.99wt%, CaO 2.99wt%, MgO 0.04wt%, P2O30.05wt%. TiO20.04wt%, MnO 0.06wt%를 갖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기능성 분말은 그 입자의 크기를 약 300∼50,000 메쉬크기로 분쇄하도록 하고, 입도가 50,000 이상 될 경우,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며, 공정이 복잡해지는 원인으로 원가가 상승하는 요인이 있고, 입자의 크기가 300 메쉬보다 작아질 경우, 제품의 표면이 거칠게 되는 원인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얻어진 제 1기능성 분말과 제 2기능성 분말을 혼합기에 넣고 1∼2시간 혼합하되, 혼합기의 회전속도를 약 30∼90rpm 사이에서 가변되도록 함과 동시에 주기적인 진동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제 1,2기능성 분말이 미세하고도 균일하게 혼합된 복합 기능성 분말을 얻는다.
이때, 상기 제 1,2기능성 분말을 혼합기에 넣을 경우, 제 1기능성 분말과 제 2기능성 분말의 비율이 1:5∼10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의 비율이 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제 2기능성 분말의 주성분으로서 제습 및 흡입력이 높은 SiO2와 Al203가 제 1기능성 분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가령 1:1의 비율로 혼합할 경우, 제습력과 흡입력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다음, 복합 기능성 분말을 공지의 건축용 내,외장재인 타일에 첨가되는 재료와 첨가제에 대하여 약 0.1∼40.0wt%를 첨가시켜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에 있는 각종 오염물질이나 세균, 분진, 악취 등을 흡착하고, 이를 분해 및 중화시켜 깨끗하고 쾌적한 실내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정화기능과 아울러 바닥이나 벽면 및 천정으로 부터 공간으로 소정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가운데 전자파나 수맥파 등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유해파 차단기능 및 신진대사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성인병 예방기능을 갖는 타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따른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을 제조하고, 제조된 기능성 물질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많이 사용되는 타일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타일 뿐만 아니라, 실내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장판이나 벽지등에 첨가하여 사용할 경우, 타일에 혼합하여 사용할 때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SiO2, MgO, CaO가 주성분으로 Fe2O3, Al203등의 금속성분을 갖는 제 1무기복합체를 천연함수 규산염으로 분쇄시킨 제 1기능성 분말과, SiO2, Al203, Na2O가 주성분으로 K2O, FeO3및 CaO의 성분을 갖는 제 2무기복합체를 분쇄시킨 제 2기능성 분말의 비율이 약 1:5∼10이 되도록 혼합기로 혼합된 복합 기능성 분말을 얻고, 이러한 복합 기능성 분말을 공지의 건축용 내,외장재의 재료 및 첨가제에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기능성을 갖는 타일이나 장판 및 벽지 그리고 도료를 제조함으로써, 실내에 공기중에 있는 각종 오염물질이나 세균, 분진, 악취 등을 그 표면에 흡착시켜 분해 및 중화되도록 하여 쾌적하고도 깨끗한 실내의 환경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이나 벽면 및 천정으로 부터 공간으로 소정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가운데 전자파나 수맥파 등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체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도록 하여 성인병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SiO2가 58%이하, MgO가 24%이하, CaO가 14%이하이며, Fe2O3, Al203등의 금속성분을 5%이하 갖는 제 1무기복합체를 천연함수 규산염으로 분쇄하여 제 1기능성 분말을 얻고, SiO2가 65%이하, Al203가 17%이하, Na2O 및 K2O가 6%이하, FeO3및 CaO를 3%이하 갖는 제 2무기복합체를 볼밀로 분쇄하여 제 2기능성 분말을 얻고, 상기 제 1기능성 분말과 제 2기능성 분말을 혼합기에 넣고 1∼2시간 혼합하여 복합 기능성 분말을 얻고,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얻어진 복합 기능성 분말을 공지의 건축용 내,외장재인 타일이나 장판 및 벽지 그리고 도료에 첨가되는 재료와 첨가제에 대하여 0.1∼40.0wt%를 첨가시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능성 분말은 SiO257.76wt%, MgO 23.42wt%, CaO 12.91wt%, Fe2O32.21wt%, Al2030.15wt%, Na2O 0.05wt%, TiO20.02wt%, K2O 0.02wt%, 기타 미량성분 3.64wt%를 갖는 연옥분과, SiO256.92wt%, MgO 23.11wt%, CaO 12.86wt%, Fe2O31.98wt%, Al2030.51wt%, Na2O 0.06wt%, TiO20.03wt%, K2O 0.02wt%, 기타 미량성분4.6wt%를 갖는 연옥분과, SiO256.78wt%, MgO 22.66wt%, CaO 13.35wt%, Fe2O32.15wt%, Al2030.79wt%, Na2O 0.07wt%, TiO20.03wt%, K2O 0.02wt%, 기타 미량성분 4.15wt%를 갖는 연옥분 중 어느 하나의 연옥분을 포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능성 분말은 납 20.0ppm이하, 비소 5.0ppm이하, 산가용물 2.0%이하, 건조감량 2.0%이하 및 티탄 0.001∼0.005%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능성 분말은 SiO264.67wt%, Al20316.78wt%, Na2O5.97wt%, K2O 5.88wt%, FeO32.99wt%, CaO 2.84wt%, MgO 0.23wt%, P2O30.22wt%, TiO20.21wt%, MnO 0.21wt%를 갖는 맥반석분말과, SiO264.78wt%, Al20316.87wt%, Na2O5.96wt%, K2O 5.97wt%, FeO32.98wt%, CaO 2.94wt%, MgO 0.12wt%, P2O30.14wt%, TiO20.16wt%, MnO 0.09wt%를 갖는 맥반석분말과, SiO264.98wt%, Al20316.88wt%, Na2O5.99wt%, K2O 5.98wt%, FeO32.99wt%, CaO 2.99wt%, MgO 0.04wt%, P2O30.05wt%. TiO20.04wt%, MnO 0.06wt%를 갖는 맥반석분말 중 어느 하나의 분말을 포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성 분말은 제 1기능성 분말과 제 2기능성 분말이 1:5∼10의 비율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6. SiO2가 58%이하, MgO가 24%이하, CaO가 14%이하이며, Fe2O3, Al203등의 금속성분을 5%이하 갖는 제 1무기복합체를 천연함수 규산염으로 분쇄하여 제 1기능성 분말을 얻고, SiO2가 65%이하, Al203가 17%이하, Na2O 및 K2O가 6%이하, FeO3및 CaO를 3%이하 갖는 제 2무기복합체를 볼밀로 분쇄하여 제 2기능성 분말을 얻고, 상기 제 1기능성 분말과 제 2기능성 분말을 혼합기에 넣고 1∼2시간 혼합하여 복합 기능성 분말을 얻고,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얻어진 복합 기능성 분말을 공지의 건축용 내,외장재인 타일이나 장판 및 벽지 그리고 도료에 첨가되는 재료와 첨가제에 대하여 0.1∼40.0wt%를 첨가시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능성 분말은 SiO257.76wt%, MgO 23.42wt%, CaO 12.91wt%, Fe2O32.21wt%, Al2030.15wt%, Na2O 0.05wt%, TiO20.02wt%, K2O 0.02wt%, 기타 미량성분 3.64wt%를 갖는 연옥분과, SiO256.92wt%, MgO 23.11wt%, CaO 12.86wt%, Fe2O31.98wt%, Al2030.51wt%, Na2O 0.06wt%, TiO20.03wt%, K2O 0.02wt%, 기타 미량성분 4.6wt%를 갖는 연옥분과, SiO256.78wt%, MgO 22.66wt%, CaO 13.35wt%, Fe2O32.15wt%, Al2030.79wt%, Na2O 0.07wt%, TiO20.03wt%, K2O 0.02wt%, 기타 미량성분 4.15wt%를 갖는 연옥분 중 어느 하나의 연옥분을 포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능성 분말은 납 20.0ppm이하, 비소 5.0ppm이하, 산가용물 2.0%이하, 건조감량 2.0%이하 및 티탄이 0.001∼0.005%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능성 분말은 SiO264.67wt%, Al20316.78wt%, Na2O5.97wt%, K2O 5.88wt%, FeO32.99wt%, CaO 2.84wt%, MgO 0.23wt%, P2O30.22wt%, TiO20.21wt%, MnO 0.21wt%를 갖는 맥반석분말과, SiO264.78wt%, Al20316.87wt%, Na2O5.96wt%, K2O 5.97wt%, FeO32.98wt%, CaO 2.94wt%, MgO 0.12wt%, P2O30.14wt%, TiO20.16wt%, MnO 0.09wt%를 갖는 맥반석분말과, SiO264.98wt%, Al20316.88wt%, Na2O5.99wt%, K2O 5.98wt%, FeO32.99wt%, CaO 2.99wt%, MgO 0.04wt%, P2O30.05wt%. TiO20.04wt%, MnO 0.06wt%를 갖는 맥반석분말중 어느 하나의 분말을 포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성 분말은 제 1기능성 분말과 제 2기능성 분말이 1:5∼10의 비율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내,외장재.
KR1020020078176A 2002-12-10 2002-12-10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된 건축물의 내,외장재 KR200400503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176A KR20040050362A (ko) 2002-12-10 2002-12-10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된 건축물의 내,외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176A KR20040050362A (ko) 2002-12-10 2002-12-10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된 건축물의 내,외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362A true KR20040050362A (ko) 2004-06-16

Family

ID=3734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176A KR20040050362A (ko) 2002-12-10 2002-12-10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된 건축물의 내,외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03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163B1 (ko) * 2011-03-15 2013-03-13 엔에이취케이주식회사 네프라이트를 포함하는 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925A (ko) * 1996-04-19 1997-11-07 알란 엘, 슈랑 저투과율 유리
JPH10152343A (ja) * 1996-11-15 1998-06-09 Deyuaru Syst Dev:Kk 天然物、一般及び産業廃棄物、一般及び産業廃棄物の焼却灰 などを有効に利用した結晶化ガラスの製造方法
KR20000057443A (ko) * 1996-12-09 2000-09-15 티. 제이. 드쥐르 유리 조성물
JP2001122658A (ja) * 1999-10-22 2001-05-08 Inax Corp 調湿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37662A (ko) * 1999-10-19 2001-05-15 장용균 인열직선성을 갖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020003474A (ko) * 2000-07-05 2002-01-12 유경중 불연성제가 코팅된 내장용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03925A (ko) * 2000-06-26 2002-01-16 유경중 건축용 난연성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925A (ko) * 1996-04-19 1997-11-07 알란 엘, 슈랑 저투과율 유리
JPH10152343A (ja) * 1996-11-15 1998-06-09 Deyuaru Syst Dev:Kk 天然物、一般及び産業廃棄物、一般及び産業廃棄物の焼却灰 などを有効に利用した結晶化ガラスの製造方法
KR20000057443A (ko) * 1996-12-09 2000-09-15 티. 제이. 드쥐르 유리 조성물
KR20010037662A (ko) * 1999-10-19 2001-05-15 장용균 인열직선성을 갖는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1122658A (ja) * 1999-10-22 2001-05-08 Inax Corp 調湿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03925A (ko) * 2000-06-26 2002-01-16 유경중 건축용 난연성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03474A (ko) * 2000-07-05 2002-01-12 유경중 불연성제가 코팅된 내장용목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163B1 (ko) * 2011-03-15 2013-03-13 엔에이취케이주식회사 네프라이트를 포함하는 도포식 단열재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710B1 (ko) 폐연마재를 활용한 건축용 칼라 석재 도장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96470B1 (ko) 라돈 저감 물질을 이용한 접착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패널 및 패널의 접착방법
KR101361758B1 (ko) 무기질 복합체를 함유하는 건축물 내부 칸막이용 판재
JP2006291509A (ja) 壁材、及び塗り壁の施工方法
KR20110075338A (ko)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KR20100017003A (ko)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벽체 코팅 및 바름제 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KR101810089B1 (ko) 규조토를 이용한 벽마감재 조성물
CN103664053B (zh) 防辐射硅藻泥防火、环保内墙装饰涂料
KR20040050362A (ko)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기능성 물질의 제조방법 및 그방법으로 제조된 건축물의 내,외장재
KR101054068B1 (ko) 다공성 알루미나를 함유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51970B1 (ko) 천연 칼라 몰탈재
KR100805936B1 (ko) 건축 내장재용 조성물
KR101044239B1 (ko)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KR101415088B1 (ko) 흡음, 단열, 난연, 조습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펄프스프레이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20010062822A (ko) 건축 마무리용 도포재, 건축 마무리용 패널 및 이들의제조방법
KR101054067B1 (ko)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도료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81033A (ko) 국화석 및 송이석 분말을 이용한 테라조 타일의 제조방법
KR100465624B1 (ko) 수용성 무기질 분말 도장재 조성물
KR101628018B1 (ko) 천연 재료를 이용한 외장패널
JP2002348169A (ja) 建築用材料
KR100888700B1 (ko) 천연 무기광물계 불연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85525A (ko)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방음재
KR102423141B1 (ko) 불연 및 항균성 친환경 건축마감용 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마감 시공방법
KR20050038358A (ko) 건축용 실내 마감재 조성물
KR19990075690A (ko) 건축 내장판넬 및 벽돌 제조용 몰타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