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231A -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 - Google Patents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231A
KR20040050231A KR1020020078002A KR20020078002A KR20040050231A KR 20040050231 A KR20040050231 A KR 20040050231A KR 1020020078002 A KR1020020078002 A KR 1020020078002A KR 20020078002 A KR20020078002 A KR 20020078002A KR 20040050231 A KR20040050231 A KR 20040050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collecting
aquatic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6827B1 (ko
Inventor
명철수
최중기
Original Assignee
명철수
(주) 이엔씨기술연구소
학교법인 인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철수, (주) 이엔씨기술연구소, 학교법인 인하학원 filed Critical 명철수
Priority to KR10-2002-0078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827B1/ko
Publication of KR2004005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4Internal compartments or part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생 미세생물을 채집하기 위한 채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 상부가 개방되고 다수의 축방향 슬롯을 구비하며 다공성 발포체가 투입되는 다수의 채집용기와, 양단에 연결부가 구비된 중심지지축과, 채집용기가 기립상태로 올려지는 하부판 및 이 하부판을 지지하는 하부프레임과, 하나 이상의 출입구멍이 구비되는 상부판 및 이 상부판의 회전을 허용하는 가운데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채집용기를 하나 씩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구멍을 구비하는 중간배열판 및 이 중간배열판과 결합되는 중간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조류와 해류에 의한 영향이 미세생물 채집을 위해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다공성 발포체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것을 감소시켜 그 손상을 최소화되고 채집작업시에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여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미세생물의 채집이 가능하도록 하며, 나아가 미세생물의 군집 분석을 통한 오염정도 평가 및 해양 생태계의 건강성 평가에 대한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collecting device for aquatic microscopic-life}
본 발명은 수생 미세생물을 채집하기 위한 채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해양의 오염 정도 및 건강성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미세생물 군집 분석을 위한 효과적인 미세생물의 채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인공서식처형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의 환경을 평가함에 있어서 여러 해역의 오염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용존산소량 측정 등과 같은 화학적인자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수질을 측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화학적 수질 방법에 따른 수질 측정은 실제 해양의 오염 정도나 해양 생태계의 건강성을 평가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해양 생태계의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부 종의 독성을 검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 또한 종의 선정 및 내성에 따른 기준의 불일치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어 바람직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의 대안으로서, 해양 생태계의 건강성과 오염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화학적 수질인자를 측정하는 방법 이외에 원생동물과 같은 미세생물의 군집상태를 분석함으로써 해양 생태계의 건강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생물학적 접근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수생 생태계의 표층과 저층에 동시에 존재하면서 환경변화에 예민한 미세생물 군집을 채집하여, 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일 예로, 담수에 적용되어 온 형태로서, 미세생물 군집의 서식처가 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다공성 발포체를 포함한 채집수단을 검사대상이 되는 수역에 투입하고, 수일간이 될 수도 있는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채집수단을 수거하여, 물 밖에서 다공성 발포체를 짜서 내부에 포함된 형태로 존재하는 미세생물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채집을 완료한 다음, 채집된 미세생물의 군집을 분석하는 순서로 진행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다공성 발포체는 수괴내의 미세생물 군집을 채집할 수 있는 인공서식처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물의 출입이 자유로운 자루 형태의 그물코가 큰 그물망에 넣어 대상이 되는 수역에 투입되어 군집을 이룬 형태의 미세생물을 채집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은 부유생물(planktonic) 군집, 부착생물(periphytonic) 군집, 수생 원생동물(benthic protozoa) 군집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미세생물 군집을 위한 서식처로서 적합한 특성을 갖고 있다.
1970년대 들어 카린스(carins) 등은 담수의 오염 정도를 생물학적 방법으로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한 미세생물 채집방법을 발전시켜 왔으며, 또한 1983년 중국의 솅(shen)에 의해 소개된 이후 생물학 및 환경학 분야에서 수중 생태계 조사 및 담수의 오염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폭 넓게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다른 미세동물 군집 분석을 위한 채집방법과 비교했을 때, 이상과 같은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미세동물 군집 분석을 위한 채집방법은 생물학적평가(bio-assessment)를 위해 채계적이고, 실용적이며, 또한 기능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다공성 발포체를 이용한 미세생물 채집방법은 담수의 오염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폭 넓게 사용되어 온 반면에, 해수에서는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1999년 처음으로 다공성 발포체를 이용한 미세생물 채집방법을 연안 수역의 해수에 적용해 보고자 하였으나, 담수에는 없는 조류(tidal current)나 해류(nontidal current)와 같은 지속적인 해수의 순환으로 인한 문제점이 포착되었다. 즉, 채집을 위해 수중에 위치하게 되는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채집수단이 유동의 영향으로 인해 위치변동이 심하고, 장시간동안 직접적으로 유동에 대항하는 중에 마모로 인해 작아져 버려서 소기의 채집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항상 어느 정도의 파도를 감안해야 하는 작업환경을 고려했을 때, 작업자가 용이하게 취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극심한 유동에 노출된 상태에서도 내장되는 다공성 발포체의 마모로 인한 소형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열악한 작업환경에서도 취급이 용이하여 미세생물의 효율적인 채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집용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하부판10: 하부프레임
15: 상부판17: 출입구멍
20: 상부프레임25: 중간배열판
27: 고정구멍30: 중간프레임
35: 연결부40: 중심지지축
41, 42, 43, 44: 스페이서45: 베어링용 브라켓
50: 롤러베어링60: 충격흡수부재
65, 66, 67: 결합용브라켓70: 고정수단
80: 나비볼트100: 채집용기
110: 슬롯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 상부가 개방되고 외주부에 다수의 축방향 슬롯을 구비하며 내부에 다공성 발포체가 투입되는 다수의 채집용기;
양단에 연결부가 구비된 중심지지축;
상기 중심지지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채집용기가 기립상태로 올려지는 하부판 및 이 하부판의 저부를 지지하고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판과 상기 채집용기의 높이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출입구멍이 구비되는 상부판 및 이 상부판의 회전을 허용하는 가운데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채집용기를 하나 씩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형상과 배열규칙에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구멍을 구비하는 중간배열판 및 이 중간배열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중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과 상기 중간배열판 사이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중간배열판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중심지지축에 끼워져 판과 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두 개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중간프레임은 각각 서로대응하는 위치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결합용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각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용 브라켓의 위치를 상기 중심지지축을 기준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정렬된 결합용 브라켓을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다수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외주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베어링용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용 브라켓 각각의 중심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베어링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판을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방지하고 회전은 가능하도록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중간배열판의 상기 다수의 고정구멍은 각각 상기 채집용기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중심지지축을 기준으로 동심원 형태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괘도 상에 각각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판의 상기 출입구멍은 상기 중심지지축을 기준으로 한 상부판의 회전중에 상기 중간배열판에 구비된 각각의 고정구멍과 적어도 한번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중간배열판의 각 괘도와 중심거리와 동일한 동심원상에 각각 하나 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부재가 위치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적어도 한 위치에 베어링부재를 향해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부판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회전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사이의 외주측에 고정되는 다수의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집용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는, 크게 다수의 채집용기(100)와, 하나의 중심지지축(40) 및 이 중심지지축(40)에 상중하로 배치되어 상기 다수의 채집용기(100)를 일정한 배열상태에서 각각의 상하 및 측방향으로 움직임이 구속되도록 고정하는 세 개의 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채집용기는 각각,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외주부에 다수의 축방향 슬롯(110)을 구비하며 내부에 다공성 발포체가 투입된 상태로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다공성 발포체는 여러 종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으며 미세생물의 서식처로 적합한 폴리우레탄 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110)은 수중에서 채집용기 내외로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너무 크면 조류나 해류에 의한 영향이 직접적으로 폴리우레탄 폼에 전달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반대로 너무 작으면 충분한 물의 출입이 불가능하여 미세생물이 군집을 이루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여 적절한 크기로 조절되며, 그리고 그 수는 효율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로 채택된다.
상기 중심지지축(40)은 장치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뼈대의 역할 뿐만아니라 회전축 역할도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양단부에 각각 연결부(35)가 구비된다. 연결부(35)는 중심지지축(40)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 후크나 샤클 등과 같은 연결수단을 연결할 수 있도록 고리형으로 구비된다.
중심지지축 하단에 위치하는 연결부에는 장치의 위치를 해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닻과 같은 위치고정수단이 매달린 로프가 샤클과 같은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되고, 상단의 연결부에는 위치식별 및 인양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부표가 매달린 로프가 역시 샤클과 같은 연결수단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하부판(5)은 상기 채집용기(100)가 기립상태로 올려지는 것으로서, 투명플라스틱 재질의 원형판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판(5)은 자체의 아래에 위치하면서 구조적 지지역할을 수행하는 하부프레임(10)과 함께 구비된다. 하부프레임(10)은 또한 하부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판과 하부프레임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중심지지축(4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판(15)은 상기 하부판(5)과 상기 채집용기(100)의 높이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상기 중심지지축(4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하부판과 동일한 직경 및 재질로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출입구멍(17)을 구비한다. 상기 출입구멍(17)은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고정되는 채집용기(100)를 넣고 빼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는 세 개의 출입구멍(17)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판(15)은 자체의 회전은 허용하는 가운데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는 상부프레임(20)과 함께 구비되며, 상호 직접적으로 결합되지는 않는다. 상부프레임(20)의 고정은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중간배열판(25)은 상기 상부판과 상기 하부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간지지축(40)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역시 상기 하부판(5)과 동일한 직경 및 재질로 구비되며, 그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중간프레임(30)과 함께 구비된다. 그리고, 중간배열판(25)은 상기 채집용기(100)를 각각 하나 씩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형상과 배열규칙에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구멍(27)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중심지지축(40)의 상기 하부판(5)과 상기 중간배열판(25) 사이 및 상기 상부판(15)과 상기 중간배열판(25) 사이의 위치에 각각 끼워지는 스페이서(43)(44)를 구비하여 판과 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중심지지축(40)의 맨 아래와 맨 위 즉, 상부판 바로 위와 하부판 바로 아래의 위치에 각각 축방향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페이서(41)(42)가 구비되어 상기한 판들의 축방향 움직임을 억제한다.
상기 하부프레임(10), 상기 상부프레임(20), 및 상기 중간프레임(30)은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4개씩의 결합용 브라켓(65)(66)(67)을 구비한다. 상기 각 프레임(10)(20)(30)에 형성된 결합용 브라켓(65)(66)(67)은 상기 중심지지축(40)을 기준으로 정렬되어 일직선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70)에 의해 결합된다. 즉, 4개의 지점에서 각각 고정수단(70)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는 각각 하나의 긴볼트와 6개의 너트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70)이 사용되었으며, 간격유지를 위해 각 브라켓(65)(65)(67)의 아래와 위에 각각 너트가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20)은 외주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4개의 베어링용 브라켓(45)을 구비하며, 각 베어링용 브라켓(45)에는 중심측에 설치되는 각각 하나씩의 롤러베어링(50)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판(15)은 상기 상부프레임(20)과 상기 롤러베어링(45) 사이에 위치하며,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억제되고 회전은 가능한 상태로 구속되게 된다. 또한, 롤러베어링(50)은 상부판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중간배열판(25)에 구비되는 상기 다수의 고정구멍(27)은 각각 상기 채집용기(100)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도 1, 도 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지지축(40)을 기준으로 동심원 형태를 이루는 세 개의 괘도 상에 각 고정구멍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배열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판(15)의 상기 출입구멍(17)은 상기 중심지지축(40)을 기준으로 한 상부판(15)의 회전중에 상기 중간배열판(25)에 구비된 각각의 고정구멍(27)과 적어도 한번 위치가 일치되도록,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배열판(25)의 각 괘도와 중심거리와 동일한 동심원상에 각각 하나 씩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형상은 기본적으로 상기 고정구멍(27)과 동일한 원형이며 동일한 직경을 구비하지만,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채집용기(100)의 투입과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호 대향하는 두 부분이 채집용기가 투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파지가 용이하도록 확장된다.
더불어, 상기 롤링베어링(50) 중 하나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프레임(20)상에 회전방지용 나비볼트(80가 구비된다. 이 나비볼트(80)는 정회전시에 롤링베어링(50)에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부판(15)이 롤링베어링(50)의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반대로 역회전하면 상부판(5)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1, 도 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의 외주면측에 4개의 충격흡수부재(60)가 구비된다. 이는 본 발명의 장치가 주로 선박의 통행이 빈번한 연안 수역에서의 사용되는 것임을 감안할 때, 충돌로 인한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는 일반적인 소형선박에서 충돌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충격흡수부재를 사용하였다. 이 충격흡수부재는 또한 자체의 부력에 의해 장치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부판(15)를 조금씩 회전시켜 가며, 출입구멍(17)과 고정구멍(27)이 일치할 때마다, 각 고정구멍(27)에 폴리우레탄 폼을 내부에 담은 채집용기(100)를 하나 씩 투입한다.
그리고, 상부판(15)을 회전시켜 상부판(15)의 출입구멍(17)과 중간배열판(25)의 고정구멍(27)이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놓이도록 한 다음, 나비볼트(80)를 조여 상부판(15)의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한다. 즉, 어떤 상황에서도 상기채집용기(100)가 외부로 이탈할 수 없는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채집용기(100)의 투입이 완료되면 장치를 설치할 수역의 수심을 고려하여 닻을 매단 로프와, 부표를 매단 로프의 길이를 조절한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바다에 투입한다.
그리고, 미리 정한 시간이 지난 후 장치를 수면위로 끌어 올려, 나비볼트(80)를 풀고, 상부판(15)을 회전시켜 출입구멍과 고정구멍의 위치를 일치시켜 가면서 채집용기를 꺼내고, 이어서 채집용기에 넣어 둔 폴리우레탄 폼을 짜서 내용물을 표본용기에 담는 방법으로 일련의 채집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채집장치를 사용한 채집작업은 미세생물의 군집상태의 변화 및 추이를 분석하기 위해 시차를 두고 여러회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채집용기 배출작업이 한 번에 모든 채집용기(100)를 모두 꺼내는 것이 아니라 한 번에 일정한 개수 만큼씩 시차를 두고 여러 차례로 나누어 꺼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예를 들어, 한번에 일정한 개수의 채집용기(100)를 꺼내고, 다시 장치를 물속에 집어 넣었다가 일정시간이 시간이 지난 다음 다시 장치를 물 밖으로 끌어 올려, 또 다시 일정한 개수의 채집용기(100)를 꺼내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한편, 대상기간이 매우 긴 경우에는, 채집용기를 꺼낼 때 마다 비어있는 고정구멍에 다시 새로운 채집용기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는 조류와 해류에 의한 영향이 미세생물 채집을 위해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다공성 발포체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것을 감소시켜 그 손상을 최소화되고 채집작업시에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여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미세생물의 채집이 가능하도록 하며, 나아가 미세생물의 군집 분석을 통한 오염정도 평가 및 해양 생태계의 건강성 평가에 대한 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각각 상부가 개방되고 외주부에 다수의 축방향 슬롯을 구비하며 내부에 다공성 발포체가 투입되는 다수의 채집용기;
    양단에 연결부가 구비된 중심지지축;
    상기 중심지지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채집용기가 기립상태로 올려지는 하부판 및 이 하부판의 저부를 지지하고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판과 상기 채집용기의 높이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도록 상기 중심축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출입구멍이 구비되는 상부판 및 이 상부판의 회전을 허용하는 가운데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채집용기를 하나 씩 고정하기 위한 소정의 형상과 배열규칙에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구멍을 구비하는 중간배열판 및 이 중간배열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중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과 상기 중간배열판 사이 및 상기 상부판과 상기 중간배열판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중심지지축에 끼워져 판과 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두 개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중간프레임은 각각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결합용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각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용 브라켓의 위치를 상기 중심지지축을 기준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정렬된 결합용 브라켓을 일정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다수의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외주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다수의 베어링용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용 브라켓 각각의 중심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베어링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판을 축방향으로의 이동은 방지하고 회전은 가능하도록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재가 위치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적어도 한 위치에 베어링부재를 향해 가압력을 제공하여 상부판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회전방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배열판의 상기 다수의 고정구멍은 각각 상기 채집용기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중심지지축을 기준으로 동심원 형태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괘도 상에 각각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상기 출입구멍은 상기 중심지지축을 기준으로 한 상부판의 회전중에 상기 중간배열판에 구비된 각각의 고정구멍과 적어도 한번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중간배열판의 각 괘도와 중심거리와 동일한 동심원상에 각각 하나 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사이의 외주측에 고정되는 다수의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
KR10-2002-0078002A 2002-12-09 2002-12-09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 KR100456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002A KR100456827B1 (ko) 2002-12-09 2002-12-09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002A KR100456827B1 (ko) 2002-12-09 2002-12-09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231A true KR20040050231A (ko) 2004-06-16
KR100456827B1 KR100456827B1 (ko) 2004-11-10

Family

ID=3734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002A KR100456827B1 (ko) 2002-12-09 2002-12-09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8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3674A (zh) * 2019-08-19 2019-11-08 深圳市新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微生物析出扩繁输送装置
CN110423674B (zh) * 2019-08-19 2024-06-04 广东花猫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微生物析出扩繁输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47823B1 (fr) * 1983-06-24 1986-10-3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aroi transparente en mousse de polyurethane contenant eventuellement des microorganismes, procede pour sa preparation et utilisation de cette paroi dans un biophotoreacteur
KR930006345Y1 (ko) * 1991-10-29 1993-09-22 장민호 전복(패류)양식용 어초장치
US6284531B1 (en) * 2000-01-12 2001-09-04 Hong Zhu Multi-compartment device for cultivating microorganisms
KR100380043B1 (ko) * 2000-08-11 2003-04-18 박헌휘 미생물 검출용 중공사막 채집 캡슐
KR20040024635A (ko) * 2002-09-12 2004-03-22 김임석 오,폐수속의 영양분을 수집하여 미생물 증식을 용이하게 하는 폴리우레탄 지지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3674A (zh) * 2019-08-19 2019-11-08 深圳市新舟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微生物析出扩繁输送装置
CN110423674B (zh) * 2019-08-19 2024-06-04 广东花猫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微生物析出扩繁输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6827B1 (ko) 200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4543A (en) Aquatic biotal monitor
US5473952A (en) Benthic flux sampling device
CN110702855B (zh) 一种水环境原位生物暴露-被动采样联用装置与方法
CN109374684B (zh) 一种海水水质监测的探头组件
US20070122870A1 (en) Method for water testing and devices and kit of components for use in such a method
EP00456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toxicity of pollutants to aquatic living organisms
KR100456827B1 (ko) 수생 미세생물 채집장치
Grice et al. Introduction and description of experimental ecosystems
CN215218781U (zh) 一种在线水质监测装置
KR20150121310A (ko) 안정적인 해수 유출입을 위한 수질 측정 장치
CN214962007U (zh) 一种野外底栖动物的定植培养及观察装置
Roddie et al. Biological effects of contaminants: Corophium sp. sediment bioassay and toxicity test.
JPH10260178A (ja) 海底の酸素消費量測定装置
US6936463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different thickness of biofilms
CN218938257U (zh) 一种小龙虾养殖用水质监控装置
CN112461775A (zh) 食品硝酸盐和亚硝酸盐检测分析系统和检测分析方法
CN110849668A (zh) 一种水质检测用表层水体取样装置
KR101927307B1 (ko) 닫힌계에서의 물벼룩 유영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성 독성 평가 방법
CN206627445U (zh) 便携式移动监控设备
CN203941156U (zh) 一种水质检测试验的简易装置
Webb et al. The effects of two benthic chamber stirring systems on the diffusive boundary layer, oxygen flux, and passive flow through model macrofauna burrows
CN214150019U (zh) 一种环境监测用水质取样装置
CN206248656U (zh) 一种自发电水质监测装置
US5395568A (en) Feedback-controlled oxygen regulation system for benthic flux chambers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constant volume of oxygen therefor
CN214584218U (zh) 一种水池废水取样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