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9343A -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서스펜션 - Google Patents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서스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343A
KR20040049343A KR1020020076340A KR20020076340A KR20040049343A KR 20040049343 A KR20040049343 A KR 20040049343A KR 1020020076340 A KR1020020076340 A KR 1020020076340A KR 20020076340 A KR20020076340 A KR 20020076340A KR 20040049343 A KR20040049343 A KR 20040049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ever
actuator
rear suspension
control
bal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6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9343A/ko
Publication of KR20040049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34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60G3/26Means for maintaining substantially-constant wheel camber during suspension movement ; Means for controlling the variation of the wheel position during suspension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현가장치는 액추에이터의 직선 운동을 제어 레버를 원 운동으로 원활하게 변환시켜 상하 방향의 변위를 흡수함으로서 진동 및 노이즈를 저감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뒷바퀴의 너클에 연결되어 너클의 토우를 조절하는 리어 서스펜션 암(11), 이 리어 서스펜션 암을 제어하도록 리어 크로스 맴버에 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어 레버(13), 이 제어 레버를 작동시키도록 연결되어 직선 운동하는 액추에이터(15), 이 액추에이터의 선단과 제어 레버 사이에 개재되어 액추에이터의 직선 운동을 제어 레버에 원 운동으로 전달하면서 상하 방향의 변위를 흡수하도록 2개의 선회 점을 가진 제1, 2 볼 조인트(17a, 17b) 및 로드(17c)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서스펜션 {AUTOMATIC GEOMETRY CONTROLLING REAR SUSPENSION}
본 발명은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추에이터의 직선 운동을 제어 레버의 원운동으로 원활하게 변환시켜 상하 방향의 변위를 흡수하여 노이즈 및 내구성을 개선한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현가장치는 뒷바퀴의 토우를 변화시켜 주행에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리어 현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바퀴의 너클에 연결되어 너클의 토우를 조절하는 리어 서스펜션 암(1), 이 리어 서스펜션 암(1)을 제어하도록 리어 크로스 맴버(3)에 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어 레버(5), 그리고 이 제어 레버(5)를 작동시키도록 연결되어 직선 운동하는 액추에이터(7)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 상태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7)가 직선 운동(a)하게 되면 이 액추에이터(7)에 연결된 제어 레버(5)가 원 운동(b)하여 리어 서스펜션 암(1)을 제어함으로서 뒷바퀴의 토우를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이 액추에이터(7)의 직선 운동(a)을 제어 레버(5)의 원 운동(b)으로 변환시키면서 제어 레버(5)에 구비된 슬롯 홀(9)이 상하 방향의 유격(c)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이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현가장치는 슬롯 홀(9)이 상하 방향의 유격(c)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고 노이즈를 유발시키는 등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목적은 액추에이터의 직선 운동을 제어 레버를 원 운동으로 원활하게 변환시켜 상하 방향의 변위를 흡수함으로서 진동 및 노이즈를 저감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현가장치는 뒷바퀴의 너클에 연결되어 너클의 토우를 조절하는 리어 서스펜션 암, 이 리어 서스펜션 암을 제어하도록 리어 크로스 맴버에 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어 레버, 이 제어 레버를 작동시키도록 연결되어 직선 운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이 액추에이터의 선단과 제어 레버 사이에 개재되어 액추에이터의 직선 운동을 제어 레버에 원 운동으로 전달하면서 상하 방향의 변위를 흡수하도록 2개의 선회 점을 가진 연결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연결 수단은 액추에이터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제1 볼 조인트, 제어 레버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볼 조인트, 그리고 이 제1, 2 볼 조인트를 연결하는 로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액추에이터는 제어 레버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의 리어 서스펜션 암의 하측에 제공되어 수축 시 제1 볼 조인트가 상향 이동하고, 신장 시 제1 볼 조인트가 하향 이동하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서스펜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서스펜션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서스펜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서스펜션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리어 서스펜션 암13 : 제어 레버
15 : 액추에이터17 : 연결 수단
19 : 리어 크로스 맴버17a , 17b : 제1, 2 볼 조인트
17c : 로드
본 발명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서스펜션의 사시도로서, 리어 서스펜션 암(11), 제어 레버(13), 액추에이터(15), 그리고 연결 수단(17)으로 구성되어 리어 서스펜션 암(11)을 제어하면서 제어 레버(13)와 액추에이터(15) 사이의 상하 방향의 유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어 서스펜션 암(11)은 뒷바퀴의 토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 일측이 너클(미도시)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제어 레버(13)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제어 레버(13)는 리어 크로스 맴버(19)에 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면서 그 일측이 리어 서스펜션 암(11)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제어 레버(13)의 다른 일측에는 직선 운동하는 액추에이터(15)가 연결되어 있다. 이 액추에이터(15)의 직선 운동이 제어 레버(13)를 원 운동시킴으로서 이 제어 레버(13)에 연결되는 리어 서스펜션 암(11)이 뒷바퀴의 토우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동이 원활하도록 액추에이터(15)의 선단과 제어 레버(13) 사이에 상기한 연결 수단(17)이 개재되어 있다. 이 연결 수단(17)은 상하 방향의 변위를 흡수하도록 2개의 선회 점을 가지고 있다.
즉, 이 연결 수단(17)은 제1, 2 볼 조인트(17a, 17b) 및 로드(17c)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볼 조인트(17a)는 액추에이터(15)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제2 볼 조인트(17b)는 제어 레버(13)의 일측에 연결되며, 로드(17c)는 이 제1, 2 볼 조인트(17a, 17b)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 수단(17)에 연결되는 액추에이터(15)는 제어 레버(13)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의 리어 서스펜션 암(11)의 하측에 제공되어 수축 시(d), 제1볼 조인트(17a)를 상향 이동(e)시키고, 신장 시(f) 제1 볼 조인트(17a)를 하향 이동(g)시킨다.
액추에이터(15)의 작동에 따라 제1 볼 조인트(17a)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하 방향의 유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 제1 볼 조인트(17a)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은 로드(17c)를 통하여 제2 볼 조인트(17b)로 전달된다.
이 제2 볼 조인트(17b)는 선회 운동(h)하면서 제어 레버(13)에 연결된 리어 서스펜션 암(11)을 제어하여 뒷바퀴의 토우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현가장치는 액추에이터와 제어 레버 사이에 2개의 선회 점을 가진 연결 수단을 구비하여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른 제어 레버의 상하 방향의 유격을 흡수함으로서, 제어 레버에 형성된 슬롯 홀로 상하 방향의 유격을 흡수하던 종래기술에 비하여, 액추에이터의 직선 운동을 제어 레버를 원 운동으로 원활하게 변환시키므로 이때 발생되었던 진동 및 노이즈를 저감시키고 궁극적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뒷바퀴의 너클에 연결되어 너클의 토우를 조절하는 리어 서스펜션 암,
    상기 리어 서스펜션 암을 제어하도록 리어 크로스 맴버에 원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어 레버,
    상기 제어 레버를 작동시키도록 연결되어 직선 운동하는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선단과 제어 레버 사이에 개재되어 액추에이터의 직선 운동을 제어 레버에 원 운동으로 전달하면서 상하 방향의 변위를 흡수하도록 2개의 선회 점을 가진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현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액추에이터의 선단부에 연결되는 제1 볼 조인트, 제어 레버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볼 조인트, 그리고 이 제1, 2 볼 조인트를 연결하는 로드로 구성되는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현가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수축 시 제1 볼 조인트가 상향 이동되고 신장 시 제1 볼 조인트가 하향 이동하도록 상기 제어 레버의 하단보다 높은 위치의 리어 서스펜션 암의 하측에 제공되는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현가장치.
KR1020020076340A 2002-12-03 2002-12-03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서스펜션 KR20040049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340A KR20040049343A (ko) 2002-12-03 2002-12-03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서스펜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340A KR20040049343A (ko) 2002-12-03 2002-12-03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서스펜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343A true KR20040049343A (ko) 2004-06-12

Family

ID=37343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340A KR20040049343A (ko) 2002-12-03 2002-12-03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서스펜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93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374B1 (ko) * 2004-12-15 200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회시 안정도 향상을 위한 토우인 각도 제어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5204A (ja) * 1985-09-03 1987-03-10 Toyota Motor Corp ト−イン調整装置
KR950013760A (ko) * 1993-11-25 1995-06-15 전성원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100320501B1 (ko) * 1998-11-12 2002-06-20 이계안 4륜조향시스템차량의후륜현가장치
KR20030017668A (ko) * 2001-08-21 2003-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5204A (ja) * 1985-09-03 1987-03-10 Toyota Motor Corp ト−イン調整装置
KR950013760A (ko) * 1993-11-25 1995-06-15 전성원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KR100320501B1 (ko) * 1998-11-12 2002-06-20 이계안 4륜조향시스템차량의후륜현가장치
KR20030017668A (ko) * 2001-08-21 2003-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374B1 (ko) * 2004-12-15 2006-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회시 안정도 향상을 위한 토우인 각도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25485A1 (en) Extending and retracting device and vehicle step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807630B2 (en) Steering column having an energy absorption assembly
CA2418414A1 (en) Foldable access device
US4624152A (en) Clutch activating device
JP2008150034A (ja) 自動車用の空気案内装置
KR100558423B1 (ko) 스티어링 댐퍼 장치
US7412911B2 (en) Steering column apparatus
CN102216151A (zh) 两轮车辆(即自行车与摩托车)的连接式悬架系统
KR20040049343A (ko) 자동 지오메트리 컨트롤 리어 서스펜션
EP1642821A3 (en) Bycicle shift device having a linearly sliding shift lever operated by a pivoting interface member
KR100456881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의 범프 토우 제어장치
EP1199195A3 (en) Axle linkage for industrial vehicle
JP4426337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位置調整装置の支持構造
US4311064A (en) Transmission operating device
KR101777946B1 (ko) 로봇의 관절 구조물
CA2313900A1 (en) Suspension system for a work vehicle
RU168762U1 (ru) Подвеска гусеницы снегохода
JP2518174Y2 (ja) 産業用ロボットのフローティングユニット
CN108482506A (zh) 一种轮腿模式可切换机器人
KR100452207B1 (ko) 차량용 후륜 트레일링암
JPH04141337A (ja) マシニングセンタの横桁クランプ方法
US20230202251A1 (en) Height sensor and vehicle comprising same
CN114407647B (zh) 油门摆杆限位机构及作业机械
JP2007307966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211875007U (zh) 一种汽车避震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