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8955A - Indoor unit of packaged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packaged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8955A
KR20040048955A KR1020047005510A KR20047005510A KR20040048955A KR 20040048955 A KR20040048955 A KR 20040048955A KR 1020047005510 A KR1020047005510 A KR 1020047005510A KR 20047005510 A KR20047005510 A KR 20047005510A KR 20040048955 A KR20040048955 A KR 20040048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er
grill
impelle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5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56436B1 (en
Inventor
김정훈
황성만
엄윤섭
구정환
이성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700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436B1/en
Publication of KR2004004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9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436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Abstract

PURPOSE: 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to employ a cross flow fan at a proper position to reduce the system resistance,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and noise. CONSTITUTION: 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abinet(101), an evaporator(104), a cross flow fan(110), and a separator(106). The cabinet is formed with an outlet grill(103) and an inlet grill(102) at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for forming a room air circulation space. The evaporator is slantly provided to an upper part in the cabinet for cooling the room air by gasifying heat of a refrigerant. The cross flow fan is provided at a lower part in the cabinet for inhaling room air via the inlet grill and discharging the air to the evaporator, wherein the suction air and the discharge air are coexisting at the same height. The separator is provided on the cross flow fan for prevent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uction air and the discharge air.

Description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INDOOR UNIT OF PACKAGED AIR CONDITIONER}Indoor unit of packag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OF PACKAGED AIR CONDITIONER}

일반적으로 에어컨(air conditioner)이란 실내의 쾌적한 공기조화를 목적으로 냉방 및 공기의 순환과 정화를 하는 공기조절장치의 일종이다. 이러한 에어컨은 냉동사이클(cooling cycle)을 구성하는 부품이 하나의 유니트(unit)에 구비되는 일체형과 2개의 유니트에 분리되어 구비되는 분리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또한 제품형태에 따라 실내기를 벽에 거는 벽걸이형과 실내기를 바닥면에 설치하는 상치형과 실내기를 천장에 매달거나 천장 내부에 설치하는 천장형으로 나눌 수 있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type of air conditioner for cooling and circulating and purifying air for the purpose of air conditioning in a room. This air conditioner can be divided into a unit type that is part of the refrigeration cycle (one unit) is provided in one unit (unit) and a separate type that is provided separately in two units, and also the wall hanging to hang the indoor unit on the wall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The mold and the indoor unit can be divided into the upper mold and the indoor unit suspended from the ceiling or the ceiling type installed inside the ceiling.

이 중에서도 패키지 에어컨(packaged air conditioner)은 실내의 바닥면에 거치되어 비교적 넓은 실내공간을 냉방시키는 분리 상치형으로서, 최근 널리 보급되고 있는 에어컨의 일종이다. 이러한 패키지 에어컨은 압축기(compressor)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를 응축기(compressor)에서 실외공기와 열교환시켜 액화시킨 다음,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지난 냉매액을 증발기(evaporator)에서 실내공기와열교환시키며, 이 때 발생하는 냉매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Among them, a packaged air conditioner is a split-type type that is mounted on the floor of the room to cool a relatively large indoor space, and is a kind of air conditioner that is widely used in recent years. The package air conditioner liquefies the refrigerant gas compressed in the compressor by heat exchange with the outdoor air in the condenser, and then heat exchanges the refrigerant liquid past the expansion valve with the indoor air in the evaporator. The room is cooled by using the heat of vaporization of the refrigerant generated at this time.

이에 따라 상기 패키지 에어컨은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내장하여 냉매를 압축 및 액화시키는 실외기(outdoor unit)와, 증발기 등을 내장하여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실내기(indoor unit)로 분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ccordingly, the package air conditioner is generally divided into an outdoor unit for compressing and liquefying a refrigerant by incorporating a compressor and a condenser, and an indoor unit for cooling indoor air by evaporating the refrigerant by incorporating an evaporator. to be.

이하, 상기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1b는 각각 일반적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1A and 1B are front and side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 general package air conditioner.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하단 정면에 흡입그릴(inlet grill,2)이 구비되고 상단 정면에 토출그릴(outlet grill,3)이 구비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비스듬하게 경사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4)와, 상기 증발기의 하측에 구비되며 실내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증발기 측으로 토출하는 송풍기(blower,10)로 구성된다.1A and 1B,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includes a case 1 having an inlet grill 2 at the bottom front and an outlet grill 3 at the top front; It is composed of an evaporator (4) to be installed obliquely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to cool the indoor air, and a blower (blower) (10) provided below the evaporator to forcibly suck the indoor air and discharge it to the evaporator side.

상기 송풍기(10)는 실내공기의 원활한 흡입을 위해 흡입그릴(2)의 후방에 위치한다. 이 때, 상기 송풍기로 적용되는 것은 원심팬으로서 일반적으로 시로코 팬(sirocco fan)이 널리 사용된다. 상기 시로코 팬(1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회전축이 케이스(1)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끝단이 회전방향으로 굽은 다수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임펠러(impeller,11)와, 상기 임펠러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토출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스크롤 하우징(scroll housing,12)과,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에 결합되는모터(15)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스크롤 하우징(12)의 토출구는 상측의 증발기(4)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The blower 1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grill 2 for smooth suction of indoor air. In this case, as a centrifugal fan, a silocco fan is generally used as the blower. The sirocco fan 10 sucks air in the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it in the radial direction. For this purpose, the rotating shaft is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e 1, and an impeller (impeller) is formed of a plurality of blades bent in the rotational direction. 11), a scroll housing 12 which surroun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impeller and forms a flow path of discharge air, and a motor 15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impeller. At this time, the discharge port of the scroll housing 12 is open toward the upper evaporator 4.

이와 구성된 시로코 팬에 있어서, 임펠러(11)의 눈(eye)으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블레이드의 회전운동에 의해 임펠러의 반격방향으로 토출된 뒤, 스크롤 하우징(12)의 토출구를 통해 증발기(4)로 안내된다.In the sirocco fa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eye of the impeller 11 is discharg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the impeller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lade, and then the evaporator 4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of the scroll housing 12. You are guided to.

한편, 상기 증발기(4)의 하단에는 공기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증발기의 표면에서 생성된 다량의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팬(drain pan,5)이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팬의 하단에는 별도의 드레인 파이프(도시생략)와 연결되는 응축수 배출구(5a)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4) is provided with a drain pan (drain pan, 5) for collecting a large amount of condensat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in the process of cooling the air, a separate drain pipe at the lower end of the drain pan (Not shown) is formed with a condensate outlet 5a.

이와 같이 구성된 패키지 에어컨은 실내공기가 설정온도 이하이거나 아니면 사용자에 의한 강제 조작으로 상기 시로코 팬(10)이 전원이 인가되면서 운전된다. 상기 시로코 팬의 운전으로 실내공기는 흡입그릴(2)을 통해 시로코 팬(10)의 축방향으로 흡입되어 스크롤 하우징(12)의 토출구를 통해 증발기 측으로 토출된다. 이 때, 실내공기는 증발기(4)를 지나면서 냉매의 흡열 작용에 의해 냉각된 후, 토출그릴(3)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를 냉각시키게 된다.The package air conditio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while the sirocco fan 10 is powered by indoor air or under a set temperature or by a forced operation by a user. The indoor air is suck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irocco fan 10 through the suction grill 2 and discharged to the evaporator 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of the scroll housing 12 by the operation of the sirocco fan. At this time, the room air is cooled by the endothermic action of the refrigerant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4),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grill (3) to cool the room.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패키지 에어컨에 있어서 송풍기로서 시로코 팬을 적용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However, the following problems have been raised by applying the sirocco fan as a blower in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s described above.

첫째, 상기 시로코 팬(10)은 동일 풍량에 있어서 다른 형식에 비해 회전수가 상당히 적고 전체적인 크기가 작은 장점을 제공하는 반면에, 전술한 바와 같은 유로구조로 인해 고정압 대풍량을 생산하는데 상당히 불리하였다.First, while the sirocco fan 10 has the advantage that the rotational speed is considerably smaller and the overall size is smaller than the other types in the same air flow rate, the flow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considerably disadvantageous in producing a fixed pressure air flow rate. .

둘째, 전술한 바와 같은 시로코 팬의 유로구조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부적합한 유로구조로서 결국 시스템 저항을 크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즉, 상기 시로코 팬(10)은 임펠러(11)의 축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되는 유로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있어서 시로코 팬의 상측에 위치하는 증발기(4) 측으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해서, 토출공기는 스크롤 하우징(12)의 안내를 받아야 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의 유로저항이 상당히 발생하게 되었다. 결국, 이러한 유로저항은 소비전력을 증가시키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운전 중 상당한 소음을 야기하게 되었다.Second, the flow path structure of the sirocco fan as described above is an unsuitable flow path structure for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which causes the system resistance to increase. That is, the sirocco fan 10 has a flow path structure in which air is suck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impeller 11 and discharged radially, but toward the evaporator 4 located above the sirocco fan in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In order for the air to be discharged, the discharged air must be guided by the scroll housing 12, and in this process, the flow path resistance of the air is significantly generated. As a result, this flow resistance not only increases power consumption, but also causes considerable noise during operation.

이러한 문제는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삼면 흡입방식 패키지 에어컨에 있어서 더욱 대두되었다. 즉, 케이스의 정면과 양 측면 사이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흡입그릴을 통해 흡입되는 실내공기는 상당한 유로저항을 받으면서 시로코 팬의 축방향으로 흡입된다. 따라서, 동일 풍량에서 소비전력이 클 수 밖에 없으며 상당한 소음도 발생하게 되었다.This problem has been raised in the recent three-sided suction package air conditioner. That is,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ill located at the corner between the front and both sides of the case is suck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irocco fan while receiving a considerable flow resistance. Therefore, power consumption is inevitably high at the same amount of air and considerable noise is generated.

셋째, 종래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시로코 팬(10)을 적용함에 따라 시스템의 전체 폭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즉, 상기 시로코 팬(10)은 그 유로구조의 특성상 케이스(1)의 폭방향을 따라 임펠러(11)의 회전축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모터(15)가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서는 시로코 팬의 임펠러(11) 길이와 모터(15)의 크기에 의해 그 폭이 결정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일정 풍량을 얻기 위해는 시로코 팬의 임펠러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결국 케이스를 박형화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Third, the indoor unit of the conventional package air conditioner has a limitation in reducing the overall width of the system by applying the sirocco fan 10. That is, the sirocco fan 10 has a rotation shaft of the impeller 11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e 1 due to the nature of the flow path structure and the motor 15 should b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Therefore, in the indoor unit of the conventional package air conditioner, its width was inevitably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impeller 11 of the sirocco fan and the size of the motor 15. However, since the impeller length of the sirocco fan must be secured for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in order to obtain a certain amount of air, it was impossible to finally thin the case.

본 발명은 패키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증발기 측으로 토출하는 송풍기로 크로스플로우 팬을 적용함으로써, 시스템 저항을 줄여 소비전력과 소음을 함께 줄일 수 있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by applying a crossflow fan to a blower forcibly sucking indoor air and discharging it to an evaporator, thereby reducing system resistanc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noise. It is abou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도 보다 명확해지며, 상기 도면들 중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whereby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and

도 1a 및 1b는 각각 일반적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1A and 1B are front and side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 typical package air conditioner;

도 2a 및 2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2A and 2B are front and side views respectively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중 크로스플로우 팬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a crossflow fan in 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서 스태빌라이저의 설치상태에 따른 소비전력 및 소음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consumption and nois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tabilizer in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과 종래 시로코 팬을 적용한 패키지 에어컨의 풍량에 따른 소비전력을 비교한 그래프;5 is a graph comparing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air volume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ckage air conditioner to which a conventional sirocco fan is applied;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과 종래 시로코 팬을 적용한 패키지 에어컨의 시스템 저항을 비교한 그래프;6 is a graph comparing system resistance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ckage air conditioner to which a conventional sirocco fan is applied;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도시한 측면도;7 is a sid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또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or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이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bove objects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is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below.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크로스플로우 팬의 배치 형태에 따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3가지 형태의실시예가 나누어져 설명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crossflow fan, and among them, three exemplary embodiments are divided and described.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먼저, 도 2a 및 2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First, FIGS. 2A and 2B are front and side views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하단에 흡입그릴(inlet grill,102)이 구비되고 상단에 토출그릴(oulet grill,103)이 구비되는 케이스(101)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에 경사 설치되어 냉매의 기화열로서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04)와, 상기 캐비넷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강제 흡입한 후 증발기 측으로 토출하는 크로스플로우 팬(110)으로 구성된다.2A and 2B,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let grill 102 at the bottom and an outlet grill 103 at the top. A case 101, an evaporator 104 inclined above the inside of the case to cool the indoor air as heat of vaporization of the refrigerant, and a cross provided under the inside of the cabinet to forcibly suck the indoor air and discharge it to the evaporator side. It consists of a flow fan 110.

이 때, 상기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흡입그릴(102)이 케이스(101)의 정면과 양 측면 모서리에 모두 구비되는 삼면 흡입방식으로, 도 1b에 도시된 흡입그릴은 일측면 모서리에 형성된 것이다.At this time,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is a three-sided suction method in which the suction grill 102 is provided on both the front and both side edges of the case 101, the suction grill shown in Figure 1b is formed on one side edge.

그리고 상기 증발기(104)는 실외기의 응축기 및 압축기와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이루며, 그 상단은 케이스(101)의 후면에 하단은 케이스의 정면에 고정됨으로써 자연스럽게 경사 설치된다.And the evaporator 104 is connected to the condenser and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and the refrigerant pipe to form a refrigeration cycle, the upper end of the case 101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case by being inclined naturally.

상기 증발기(104)의 하단에는 공기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증발기의 표면에서 생성된 다량의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팬(drain pan,105)이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팬의 하단에는 별도의 드레인 파이프와 연결되는 응축수 배출구(105a)가 형성된다.The bottom of the evaporator 104 is provided with a drain pan 105 for collecting a large amount of condensat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while the air is cooled, and connected to a separate drain pipe at the bottom of the drain pan. The condensate outlet 105a is formed.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110)은 모터(120)에 축 결합되어 공기유동을 일으키는 임펠러(111)와, 상기 임펠러의 외측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팬 하우징과(112), 상기 팬 하우징의 일측에 임펠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경계면을 형성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115)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임펠러(111)는 경계판에 의해 다단으로 구분되며, 각 단은 회전방향으로 만곡된 다수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팬 하우징(112)은 흡입공기의 토출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 곡률을 갖는 리어가이드(rear guide,1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리어가이드(113)의 일측에 임펠러(111)까지 최단거리를 갖는 갭부(gap portion,114)가 형성되어 상기 스태빌라이저(115)와 함께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The crossflow fan 110 has an impeller 111 axially coupled to the motor 120 to cause air flow, a fan housing 112 disposed outside the impeller to form an air flow path, and the fan housing. It is composed of a stabilizer (stabilizer 115) provided on on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eller to form an interface between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 air. At this time, the impeller 111 is divided into multiple stages by the boundary plate, each stag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ades curved in the rotation direction. The fan housing 112 includes a rear guide 113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form a discharge passage of the intake air. In addition, a gap portion 114 having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impeller 1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guide 113 to form a boundary between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 air together with the stabilizer 115.

이와 같이 구성된 크로스플로우 팬(110)은 축방향으로의 흡입흐름이 없는 대신 임펠러(111)의 축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생긴다.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11)은 일반적으로 고정압 대풍량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축방향으로 고른 흐름이 발생되어 공조기기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그런데,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은 전술한 바와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창문형 에어컨에만 적용된 뿐 패키지 에어컨에 적용된 예가 없다. 이것은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의 공기흐름 특성상 흡입그릴과 토출그릴 사이에 상당한 거리가 있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는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있어서 크로스플로우 팬을 잘못 배치할 경우, 시스템 저항이 증가하여 시로코 팬보다 더 많은 소비전력과 소음을 야기하게 된다.The crossflow fan 1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have a suction flow in the axial direction, but intake and discharge of air occur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impeller 111. The crossflow fan 11 is not only capable of producing a fixed pressure large air flow in general, but also generates an even flow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suitable for an air conditioner or the like. By the way, although the crossflow fan has the advantage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example applied only to the window air conditioner, but also to the package air conditioner. This is because the airflow characteristics of the crossflow fan are not suitable for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where there is a considerable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grill and the discharge grill. Therefore, if the crossflow fan is incorrectly placed in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the system resistance increases, causing more power consumption and noise than the sirocco fan.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11)을 시스템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크로스플로우 팬이 갖는 특성을 살릴 수 있다.In view of this point,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rrang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ossflow fan by arranging the crossflow fan 11 to minimize the system resistanc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는 흡입그릴(102)을 통해 흡입되는 흡입공기와 증발기(104)측으로 토출되는 토출공기가 동일 높이상에 공존하도록 크로스플로우 팬(110)이 배치된다. 즉, 흡입그릴(102)을 통해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110)으로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흡입유로와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으로부터 증발기(104)측으로 토출되는 토출유로가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의 상단을 기준으로 좌우로 나란하게 배영된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110)은 그 상부공간을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이를 증발기(104)측으로 토출할 수 있는 유로구조를 갖는다. 이 때, 흡입공기와 토출공기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110)의 상부 공간을 구획하는 세퍼레이터(separator,106)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In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flow fan 110 is disposed such that the suction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ill 102 and the discharged air discharged to the evaporator 104 coexist on the same height. do. That is, the suction flow path of the indoor air sucked into the crossflow fan 110 through the suction grill 102 and the discharge flow path discharged from the crossflow fan to the evaporator 104 side are left and right relative to the upper end of the crossflow fan. Backstroke side by side. Therefore, the crossflow fan 110 has a flow path structure capable of inhaling indoor air using the upper space thereof and then discharging it to the evaporator 104 side. At this time, a separator (106) for partitioning the upper space of the crossflow fan 110 should be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 air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110)이 전술한 유로구조를 갖기 위해, 상기 임펠러(111)는 흡입그릴(102)의 후방에 그 축방향이 케이스(101)의 가로방향과 나란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리어가이드(113)는 임펠러의 하부에 캐비넷의 내부를 가로질러 위치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115)는 임펠러의 상부 일측에 위치한다.In order for the crossflow fan 110 to have the above-described flow path structure, the impeller 111 i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grill 102 so that its axial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ase 101, and the rear guide ( 113 is located across the inside of the cabinet at the bottom of the impeller, the stabilizer 115 is located on the upper one side of the impeller.

이 때, 상기 리어가이드에 형성되는 갭부(114)와 스태빌라이저(115)의 위치는 크로스플로우 팬(110) 유로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왜냐하면, 상기 갭부(114)와 스태빌라이저(115)의 위치에 따라 공기의 흡입방향과 토출방향이결정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임펠러(11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갭부와 스태빌라이저를 잇는 가상선(L)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공기가 흡입되는 저압부와 공기가 토출되는 고압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110)으로 향하는 흡입유로와 증발기(104)로 향하는 토출유로는 점차 확산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gap portion 114 and the stabilizer 115 formed in the rear guide serves as an important factor for determining the crossflow fan 110 flow path structure. This is because the suction and discharge directions of the air are determined by the positions of the gap portion 114 and the stabilizer 115. That is, a low pressure part for inhaling air and a high pressure part for discharging air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irtual line L connecting the gap part and the stabilize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impeller 111.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uction flow path toward the crossflow fan 110 and the discharge flow path toward the evaporator 104 gradually diffus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에 있어서 상기 리어가이드의 갭부(114)는 임펠러(111)의 회전축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Y)을 중심으로 그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115)는 상기 수직선의 후방에 위치한다.To this end, the gap portion 114 of the rear guide in the crossflow f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front of the virtual vertical line (Y) passing through the axis of rotation of the impeller 111, the stabilizer 115 is It is located behind the vertical line.

따라서, 상기 임펠러(11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갭부(114)와 스태빌라이저(115)를 잇는 가상선(L)을 기준으로 그 전방에 저압부가 형성되고 그 후방에 고압부가 형성되며, 따라서 흡입그릴(102)을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가 증발기(104)측으로 자연스럽게 토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태빌라이저(115)를 중심으로 그 전방의 흡입유로와 후방의 토출유로가 공기의 진행방향에 따라 점차 확산될 수 있다.Therefore, assuming that the impeller 111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 low pressure portion is formed in front of the virtual line L connecting the gap portion 114 and the stabilizer 115, and a high pressure portion is formed at the rear thereof. Therefore,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grill 102 may be naturally discharged to the evaporator 104 side. In addition, the suction passage in front of the stabilizer 115 and the discharge passage in the rear thereof may be gradually diffused along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air.

한편, 상기 스태빌라이저(115)는 크로스플로우 팬의 유동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다. 즉,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위치 및 경사정도에 따라 크로스플로우 팬의 풍량과 소비전력 및 소음 등이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서는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위치와 경사정도를 특정지음으로써, 풍량과 소비전력 및 소음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abilizer 115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crossflow fan. That is, the air flow rate, power consumption, and noise of the crossflow fan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 position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stabilizer. Therefore, in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pecifying the position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stabilizer, it provides the most advantageous advantages in terms of air volume, power consumption, and noise.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중 크로스플로우 팬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서 스태빌라이저의 설치상태에 따른 소비전력 및 소음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First,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crossflow fan of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the installation of the stabilizer in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consumption and noise according to the state.

도 3을 참고로 하여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위치 및 경사정도를 결정하는 몇가지 인자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3, several factor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and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stabilizer are defined as follows.

상기 스태빌라이저(115)의 하단이 임펠러의 회전축(0)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Y)과 이루는 각도를 세팅각(setting angle,α)이라 하고, 상기 세팅각이 결정되었을 때 스태빌라이저 자체가 흡입그릴 측으로(도면상 우측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확산각(diffusing angle,β)이라 한다. 이 때, 상기 세팅각(α)은 스태빌라이저(115)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게 되고, 상기 확산각(β)은 스태빌라이저와 리어가이드(113)가 함께 형성하는 토출공기의 유로가 어느 정도 확산되었는지를 결정하게 된다.The angle formed by the lower end of the stabilizer 115 and the imaginary vertical line Y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axis 0 of the impeller is called a setting angle, and when the setting angle is determined, the stabilizer itself moves to the suction grill side. The angle of inclination (to the right in the figure) is called the diffusing angle (β). At this time, the setting angle (α) determine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abilizer 115, the diffusion angle (β) is how much the flow path of the discharge air formed by the stabilizer and the rear guide 113 is diffused Will be decided.

여기서, 본 발명은 크로스플로우 팬이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도록 하는 스태빌라이저의 세팅각과 확산각의 범위를 제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팅각(α)은 좌우로 병행하는 흡입유로(도면상 우측)와 토출유로(도면상 좌측)의경계를 결정하는 바, 상기 세팅각이 범위에 따라 흡입유로와 토출유로의 폭이 결정된다. 즉, 상기 세팅각(α)이 너무 크게 되면 흡입유로는 확장되는 반면 토출유로는 좁아지게 되며, 상기 세팅각(α)이 0°에 가까울 경우(스태빌라이저(115)가 임펠러의 회전축(0)을 지나는 가상 수직선(Y)의 연장선 상에 설치되는 경우) 토출유로는 확장되는 반면 흡입유로가 좁아져 흡입공기가 상당한 저항을 받을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상기 세팅각(α)이 20° 내지 60°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함으로써 유로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는 흡입유로와 토출유로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세팅각이 전술한 범위 내에서 적정한 값으로 결정되면 상기 확산각(β)에 의해 좌우로 병행하는 흡입공기의 확산유로와 토출공기의 확산유로가 결정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확산각(β)이 0° 내지 40°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을 제시한다. 상기 확산각(β)이 0°라는 것은 스태빌라이저(115)가 임펠러의 회전축을 지나는 가상 수직선(Y)과 평행하게 설치됨을 의미하며, 상기 확산각(β)이 어느 정도 값을 갖는다는 것은 스태빌라이저(115)가 흡입그릴 측으로 경사짐으로써 토출유로와 흡입유로가 공기의 진행방향을 따라 확산됨을 의미한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range of setting angles and diffusion angles of the stabilizer to enable the crossflow fan to achieve optimal performance. As shown in FIG. 3, the setting angle α determines the boundary between the suction channel (right side in the drawing) and the discharge channel (left side in the drawing)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setting angle is the suction channel according to the range. And the width of the discharge passage are determined. That is, if the setting angle α is too large, the suction passage is expanded while the discharge passage is narrowed. When the setting angle α is close to 0 ° (the stabilizer 115 adjusts the rotation axis 0 of the impeller). When installed on the extension line of the passing virtual vertical line Y), the discharge flow path is expanded while the suction flow path is narrowed so that the suction air can be subjected to considerable resistance. In view of this point,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suction flow path and the discharge flow path where the flow path resistance can be minimized by allowing the setting angle α to fall within the range of 20 ° to 6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tting angle is determined to be an appropriate value within the above-described range, the diffusion channel of the intake air and the diffusion channel of the discharged air are determined in parallel by the diffusion angle β. Here,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that the diffusion angle β falls within the range of 0 ° to 40 °. The diffusion angle β of 0 ° means that the stabilizer 115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an imaginary vertical line Y passing through the axis of rotation of the impeller, and the diffusion angle β has a certain value. As the 115 is inclined toward the suction grille, it means that the discharge passage and the suction passage are diffused along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air.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세팅각과 확산각이 주어진 범위 내에서도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값을 제시한다. 일단, 상기 세팅각(α)이 주어진 범위 중에서 중간값인 40°일 때 동일 풍량 대비 소음값이 최소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세팅각(α)이 40°일 때, 상기 확산각(β)의 변화에 따른 풍량과 소비전력 및 소음값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value that can achieve the best performance even within the given range of the setting angle and diffusion angle.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noise value compared to the same air volume becomes minimum when the setting angle α is 40 °, which is the middle value among the given ranges. Accordingly, when the setting angle α is 40 °, the air volume, power consumption, and noise valu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ffusion angle β are measu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α, βα, β Flow rate(CMM)Flow rate (CMM) Rev.(rpm)Rev. (rpm) Power(Watt)Power (Watt) Noise(dBA)Noise (dBA) 40°, 0°40 °, 0 ° 17.217.2 977977 95.295.2 55.355.3 15.015.0 858858 71.471.4 52.552.5 14.014.0 807807 64.064.0 52.152.1 10.610.6 633633 43.143.1 42.942.9 40°, 20°40 °, 20 ° 17.717.7 940940 100.9100.9 55.755.7 15.015.0 808808 74.374.3 52.152.1 14.014.0 752752 66.966.9 49.949.9 10.610.6 613613 44.444.4 42.242.2

한편, 도 4는 표 1에 나타난 값을 도시한 것으로서, 가로축은 풍량을 나타내고 좌측 세로축은 소비전력을 나타내며 우측 세로축은 소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중실 사각형 점(■)으로 연결된 곡선은 세팅각(α)과 확산각(β)이 각각 40°와 0°일 때 소비전력 값을 나타낸 것이고, 중실 마름모 점(◆)으로 연결된 곡선은 세팅각(α)과 확산각(β)이 각각 40°와 20°일 때 소비전력 값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중공 사각형 점(□)으로 연결된 곡선은 세팅각(α)과 확산각(β)이 각각 40°와 0°일때 소음 값을 나타낸 것이고, 중공 마름모 점(◇)으로 연결된 곡선은 세팅각(α)과 확산각(β)이 각각 40°와 20°일 때 소음 값을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4 shows the values shown in Table 1,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air volume, the left vertical axis represents power consumption and the right vertical axis represents noise. And, the curve connected by the solid square point (■) shows the power consumption value when the setting angle (α) and the diffusion angle (β) are 40 ° and 0 °, respectively, and the curve connected by the solid rhombus point (◆) is set. The power consumption values are shown when the angle α and the diffusion angle β are 40 ° and 20 °,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urve connected by the hollow square point (□) shows the noise value when the setting angle (α) and the diffusion angle (β) are 40 ° and 0 °, respectively, and the curve connected by the hollow rhombus point (◇) indicates the setting angle (α). ) And noise at 40 ° and 20 ° respectively.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확산각(β)이 0°일 때에 소비전력 측면에서 유리한 결과가 나타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확산각(β)이 20°일 때에 소음 측면에서 유리한 결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례로, 풍량이 15CMM에서 스태빌라이저의 확산각(β)이 0°일 때는 소비전력이 71.4 Watt이고 소음이 52.5dBA인데 비해, 스태빌라이저의 확산각(β)이 20°일 때는 소비전력이 74.3 Watt이고 소음이 52.1dBA이다. 이것은 동일 풍량에서 스태빌라이저의 확산각이 적을수록 소비전력은 적은데 비해 소음은 다소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확산각(β)이 20°일 때 소음이 적게 발생하는 이유는 상기 스태빌라이저(115)와 리어가이드(113)가 함께 형성하는 토출공기의 유로가 자연스럽게 확산되어 유로저항이 줄어들기 때문이다.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diffusion angle β of the stabilizer is 0 °, the resul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and when the diffusion angle β of the stabilizer is 20 °, the resul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noise. Can be. For example, the power consumption is 71.4 Watts when the airflow angle (β) of the stabilizer is 0 ° and the noise is 52.5 dBA at 15CMM, while the power consumption is 74.3 Watts when the diffusion angle (β) of the stabilizer is 20 °. The noise is 52.1 dBA. This means that the smaller the diffusion angle of the stabilizer at the same airflow, the lower the power consumption but the higher the noise. At this time, the reason why the noise is less generated when the diffusion angle β of the stabilizer is 20 ° is because the flow path of the discharge air formed by the stabilizer 115 and the rear guide 113 is naturally diffused to reduce the flow path resistance. Because.

따라서,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확산각은 소음의 감소가 목적이냐 아니면 소비전력의 절감이 목적이냐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diffusion angle of the stabilizer should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the purpose is to reduce noise o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확산각(β)이 0°인 것과 20°인 것을 모두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스태빌라이저(115)를 임펠러의 회전축(0)을 지나는 가상의 수직선(Y)과 평행하게 설치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스태빌라이저를 흡입그릴 측으로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소음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that the diffusion angle β of the stabilizer is both 0 ° and 20 °.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installing the stabilizer 115 in parallel with the virtual vertical line (Y) passing through the axis of rotation (0) of the impeller, and also inclined the stabilizer by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suction grill side By installing it, the generation of noise can be suppressed as much as possible.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스태빌라이저(115)의 상단에 흡입공기와 토출공기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106)가 구비된다. 상기 세퍼레이터(106)는 스태빌라이저(115)의 상단으로부터 증발기(104)의 하단 사이의 공간을 좌우로 구분짓는 판형 부재이다. 이 때, 상기 세퍼레이터(106)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흡입그릴(1023)측으로 다소 비스듬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세퍼레이터(106)를 따라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유로가 형성되는 바, 상기 유로가 공기의 진행방향에 따라 확산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B, a separator 106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stabilizer 115 to prevent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 air from interfering with each other. The separator 106 is a plate-shaped member that divides the spa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104 from the upper end of the stabilizer 115 to the left and right. At this time, the separator 106 is preferably installed obliquely toward the suction grill 1023 side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This is because the flow paths of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 air are formed along the separator 106,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w path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 paths diffuse along the air.

여기서, 상기 세퍼레이터(106)는 스태빌라이저의 확산각(β)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세퍼레이터(106)가 스태빌라이저의 확산각(β)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질 경우, 상기 세퍼레이터(106)와 스태빌라이저(115)로 형성되는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경계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공기의 진행에 유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Here, the separator 106 is most preferably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diffusion angle β of the stabilizer. Because, when the separator 106 i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diffusion angle β of the stabilizer, the interface between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 air formed by the separator 106 and the stabilizer 115 is formed smoothly, and the air travels. This is because it works in favor of.

한편, 상기 세퍼레이터(106)는 스태빌라이저(115)의 상단으로부터 증발기 하단의 드레인팬(105)까지 설치되거나, 아니면 스태빌라이저의 상단으로부터 흡입그릴(102)의 상단까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세퍼레이터(106)가 자연스럽게 경사 설치됨에 까라, 흡입공기와 토출공기는 서로 구획될 뿐만 아니라 진행방향을 따라 확산되는 유로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parator 106 may be installed from the top of the stabilizer 115 to the drain pan 105 at the bottom of the evaporator, or may be installed from the top of the stabilizer to the top of the suction grill 102. Even in this case, since the separator 106 is naturally inclined,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 air may not onl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but may also have a flow path that spread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110)의 설치 높이는 증발기(104)와 크로스플로우 팬 사이의 거리에 의존한다. 즉, 상기 증발기(104)와 크로스플로우 팬(110) 사이가 너무 가까울 경우 오히려 증발기 자체가 큰 유로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점을 고려하여 양자 사이에 충분한 거리가 확보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이 설치되어야 한다. 이 경우, 흡입그릴(102)이 케이스(101)의 하단까지 구비될 필요가 없다. 실제 흡입공기는 리어가이드(113)의 상부 영역을 통해 임펠러(111)로 흡입되는 바, 상기 흡입그릴(102)의 하단은 리어가이드(113)의 하단은 리어가이드(113)가 형성되는 높이까지 위치하면 충분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crossflow fan 110 depends on the distance between the evaporator 104 and the crossflow fan. That is, when the evaporator 104 and the crossflow fan 110 are too close, the evaporator itself may act as a large flow path resistance, so that the cross is positioned at a position where a sufficient distance can be secured between them in consideration of the advantage. The flow fan must be installed. In this case, the suction grill 102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to the lower end of the case 101. The actual suction air is sucked into the impeller 111 through the upper region of the rear guide 113, and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grill 102 to the height of the rear guide 113 is formed It is enough to be located.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와 시로코 팬을 적용한 종래 실내기의 성능을 서로 비교하면 아래 표 2와 같다.Hereinafter,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indoor unit to which the sirocco fan is applied as shown in Table 2 below.

TypeType Flow rate(CMM)Flow rate (CMM) Rev.(rpm)Rev. (rpm) Power(Watt)Power (Watt) Sirocco FanSirocco fan 18.918.9 561561 151.0151.0 15.215.2 461461 121.9121.9 12.512.5 383383 105.5105.5 Crossflow FanCrossflow fan 17.717.7 940940 100.9100.9 15.015.0 808808 74.374.3 14.014.0 752752 66.966.9 10.610.6 613613 44.444.4

표 2에 나타난 값은 시스템의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한 상태에서 서로 유사한 풍량을 생산하는 시로코 팬과 크로스플로우 팬을 서로 대체하여 실험한 수치이다. 이 때.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저의 세팅각과 확산각을 각각 40°와 20°로 설정하고, 세퍼레이터는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확산각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 설치된 상태이다.The values shown in Table 2 have been tested by replacing Sirocco fans and crossflow fans that produce similar airflows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the system.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crossflow fan sets the setting angle and the diffusion angle of the stabilizer to 40 ° and 20 °, respectively, and the separator i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diffusion angle of the stabilizer.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과 종래 시로코 팬을 적용한 패키지 에어컨의 풍량에 따른 소비전력을 비교한 그래프로서, 표 2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때, 도 5의 가로축은 풍량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소비전력을 나타내며, 중실 사각형 점(■)으로 연결된 곡선은 시로코 팬의 소비전력 곡선을 나타내고 중실 마름모 점(◆)으로 연결된 곡선은 크로스플로우 팬의 소비전력 곡선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Figure 5 is a graph comparing th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air volume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ckage air conditioner to which the conventional sirocco fan, based on the data in Table 2. At this time, the horizontal axis of Figure 5 represents the air volume,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power consumption, the curve connected by a solid square point (■) represents the power consumption curve of the sirocco fan and the curve connected by a solid rhombus point (◆) is the crossflow fan The power consumption curve is shown.

표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가 종래의 실내기에 비해 소비전력 측면에서 훨씬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일례로, 시로코 팬이 15.2 CMM의 풍량을 생산하는데 121.9 Watt의 전력을 소비하는데 반해, 본 발명의 크로스플로우 팬이 15.0 CMM의 풍량을 생산하는데 겨우 74.3 Watt의 전력만을 소비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가 시로코 팬을 적용한 종래의 실내기가 소비하는 전력의 60%에 해당하는 전력만으로도 종래와 동일한 풍량을 생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을 다르게 표현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가 종래와 동일한 전력을 소비한다면 월등히 많은 풍량을 생산함으로써 냉각효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Referring to Table 2 and Figure 5, it can be seen that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uch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than the conventional indoor unit. In one example, the sirocco fan consumes 121.9 Watts of power to produce 15.2 CMM of air, whereas the crossflow fa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consumes 74.3 Watts of power to produce 15.0 CMM of air. This means that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the same amount of air as the conventional electric power only by 60% of the power consumed by the conventional indoor unit using the sirocco fan. In other words, if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umes the same power as in the prior art, it means that the cooling efficiency can be considerably increased by producing a great amount of air volume.

이러한 결과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보다 개선된 유로구조를갖는 크로스플로우 팬을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적용함으로써, 시스템 저항이 줄이든 결과에 기인한다.This result is due to the result of applying the crossflow fan having a more improved flow path structure to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s described above, thereby reducing the system resistance.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과 종래 시로코 팬을 적용한 패키지 에어컨의 시스템 저항을 비교한 그래프로서, 가로축은 풍량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정압(static pressure)을 나타낸다. 이 때, 상기 그래프에 도시된 'a'곡선은 시로코 팬을 적용한 패키지 에어컨에 있어서 풍량 대비 정압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b'곡선은 크로스플로우 팬을 적용한 패키지 에어컨에 있어서 풍량 대비 정압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c'곡선은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된 크로스플로우 팬의 풍량 대비 정압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곡선 중 'a'곡선은 시로코 팬을 적용한 패키지 에어컨의 시스템 저항을 나타내고, 'b'곡선은 크로스플로우 팬을 적용한 패키지 에어컨의 시스템 저항을 나타내며, 'c'곡선은 크로스플로우 팬의 단품 성능곡선을 나타낸다.6 is a graph comparing the system resistance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ackage air conditioner using a conventional sirocco fan, in which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air volu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static pressure. In this case, the 'a' curve shown in the graph represents the change in the static pressure versus the air volume in the package air conditioner to which the sirocco fan is applied, and the 'b' curve represents the change in the static pressure to the air volume in the package air conditioner to which the crossflow fan is applied. The 'c' curve represents the change in static pressure versus airflow of the crossflow fan separated from the system. In other words, the 'a' curve represents the system resistance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using the sirocco fan, the 'b' curve represents the system resistance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to which the crossflow fan is applied, and the 'c' curve represents the crossflow. The fan's individual performance curve is shown.

이 때, 상기 'c'곡선이 'a'곡선 및 'b'곡선과 만나는 지점이 각각 작용점(operating point)이 된다. 즉, 상기 'c'곡선이 'a'곡선과 만나는 지점은 시로코 팬을 적용한 패키지 에어컨의 작용점(0s)이고, 상기 'c'곡선이 'b'곡선과 만나는 지점은 크로스플로우 팬을 적용한 패키지 에어컨의 작용점(0c)이 된다.At this time, the point where the 'c' curve meets the 'a' curve and the 'b' curve becomes an operating point, respectively. That is, the point where the 'c' curve meets the 'a' curve is a functioning point (0 s )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using the sirocco fan, and the point where the 'c' curve meets the 'b' curve is the package to which the crossflow fan is applied. It is the operating point (0 c ) of the air conditioner.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크로스플로우 팬을 적용한 패키지 에어컨의 시스템 저항곡선이 시로코 팬을 적용한 그것보다 완만함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이 동일한 정압하에서 종래보다 더 많은 풍량을 생산할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양 저항곡선의 작용점((0s,0c)을 비교하면, 크로스플로우 팬이 적용된 패키지 에어컨의 경우 시로코 팬을 적용한 패키지 에어컨보다 풍량은 큰데도 불구하고 정압이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경우 소비전력 대폭적으로 줄어들게 된다.As shown in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system resistance curve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with crossflow fan is gentler than that with the sirocco fan, and this indicates that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more air volume than before under the same static pressure. It means you can. On the other hand, comparing the operating points ((0 s , 0 c ) of both resistance curves, it can be seen that the package air conditioner with a crossflow fan has a lower static pressure, although the air volume is larger than tha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with a sirocco fan.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ption is greatly reduced.

이제까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이 종래보다 소비전력이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것을 여러 가지 실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과 종래 패키지 에어컨의 소음을 비교한 데이터는 제시되지 않았으나, 보다 개선된 유로구조를 갖는 크로스플로우 팬이 적용된 본 발명에 있어서 공기의 유로저항으로 발생하는 소음 역시 현저하게 줄어든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So fa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ly reduced than before, using various experimental data.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data comparing the noise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package air conditioner is no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a crossflow fan having a more improved flow path structure is applied to the air flow path resistanc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noise level is also significantly reduced.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크로스플로우 팬(110)이 적용됨에 따라, 전체 시스템의 디자인이 보다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즉,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의 임펠러(111)가 케이스(101)의 가로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관계로 인해, 상기 임펠러의 직경을 줄임으로써 시스템의 폭을 줄일 수 있어 얼마든지 박형화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임펠러(111)의 직경이 줄어든 만큼 풍량이 줄어들 수 있으나, 상기 임펠러의 길이를 충분의 확보한다면 원하는 풍량을 얼마든지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crossflow fan 110 is applied to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 of the entire system can be designed in various ways. That is, due to the relationship that the impeller 111 of the crossflow fan is install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ase 101, the width of the system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diameter of the impell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course, in this case, the air volume may be reduced as the diameter of the impeller 111 is reduced. However, if the length of the impeller is sufficiently secured, the desired air volume may be obtained.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먼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rst,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하단에 흡입그릴(inlet grill,202)이 구비되고 상단에 토출그릴(oulet grill,203)이 구비되는 케이스(201)와, 상기 흡입그릴의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스의 내부에 경사 설치되어 냉매의 기화열로서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204)와, 상기 증발기와 토출그릴 사이에 구비되어 하부에서 공기를 강제 흡입한 후 상부로 토출하는 크로스플로우 팬(21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having an inlet grill 202 at a lower end thereof and an outlet grill 203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201), an evaporator 204 which is inclined inside the case located behind the suction grill and cools the indoor air as heat of vaporization of the refrigerant, and is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discharge grill to forcibly suck air from the bottom. Afterwards is composed of a crossflow fan 210 to discharge to the top.

이 때, 상기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흡입그릴(202)이 케이스(201)의 정면과 양 측면 모서리에 모두 구비되는 삼면 흡입방식으로, 도 7에 도시된 흡입그릴은 일츨면 모서리에 형성된 것이다.In this case,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is a three-sided suction method in which the suction grill 202 is provided at both the front and both side edges of the case 201, and the suction grill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증발기(204)는 실외기의 응축기 및 압축기와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이루며, 그 상단은 케이스(201)의 정면에 하단은 케이스의 후면에 고정됨으로써 자연스럽게 경사 설치된다.And the evaporator 204 is connected to the condenser and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and the refrigerant tube to form a refrigeration cycle, the upper end of which is naturally inclined by being fixed to the front of the case 201 and the lower end of the case.

상기 증발기(204)의 하단에는 공기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증발기의 표면에서 생성된 다량의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팬(drain pan,205)이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팬의 하단에는 별도의 드레인 파이프와 연결되는 응축수 배출구(205a)가 형성된다.The lower end of the evaporator 204 is provided with a drain pan (205) for collecting a large amount of condensat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while the air is cooled, connected to a separate drain pipe at the bottom of the drain pan The condensate outlet 205a is formed.

이 때,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210)이 증발기(201)와 토출그릴(203) 사이에 위치하는 관계로 인해,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의 저압부는 하부에 형성되어야 하고, 고압부는 상부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210)은 증발기와 토출그릴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임펠러(211)와, 흡입공기의 토출경로를 형성하도록 소정 곡률을 가지며 상기 임펠러의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가이드(213)와,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경계면을 형성하며 상기 임펠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태빌라이저(215)로 구성된다.At this time,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ossflow fan 210 and the evaporator 201 and the discharge grill 203, the low pressure part of the crossflow fan should be formed at the bottom, and the high pressure part should be formed at the top. To this end, the crossflow fan 210 has an impeller 211 positioned horizontally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discharge grill, and a rear guid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impeller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so as to form a discharge path of the intake air. 213 and a stabilizer 215 which forms an interface between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 air and is located above the impeller.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210)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에 고압부와 저압부가 형성되기 위해, 상기 스태빌라이저(215)는 임펠러(21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 상부에 위치되어야 하고, 상기 리어가이드의 갭부(214)는 임펠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방 하부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 때, 상기 스태빌라이저(215)의 위치 및 경사정도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절한 세팅각과 확산각에 의해 결정된다.In the crossflow fan 210, in order to form the high pressure portion and the low pressure portion at the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abilizer 215 should be located in the upper front with respect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impeller 211, The gap portion 214 should be located at the rear lower portion abou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impeller. At this time, the position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stabilizer 215 is determined by the appropriate setting angle and diffusion angle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상기 임펠러(21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스태빌라이저(215)와 리어가이드 갭부(214)를 잇는 가상선(L)을 중심으로 그 하부에 저압부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고압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assuming that the impeller 211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 low pressure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irtual line L connecting the stabilizer 215 and the rear guide gap portion 214, and a high pressure portion is formed thereon. Can be formed.

물론, 이 경우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210)을 중심으로 흡입공기와 토출공기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바, 이들을 임의로 분리시키기 위한 별도의 세퍼레이터는 필요치 않다.Of course, in this case,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 air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crossflow fan 210, and a separate separator for arbitrarily separating them is not necessary.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와 종래 시로코 팬을 적용한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소비전력 측면에서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to which the conventional sirocco fan is applied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are as follows.

TypeType Flow rate(CMM)Flow rate (CMM) Rev.(rpm)Rev. (rpm) Power(Watt)Power (Watt) Sirocco FanSirocco fan 18.918.9 561561 151.0151.0 15.215.2 461461 121.9121.9 12.512.5 383383 105.5105.5 Crossflow FanCrossflow fan 11.311.3 10131013 94.294.2 10.610.6 932932 77.177.1

표 3의 데이터는 시스템의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과 종래 시로코 팬을 각각 적용하여 얻어낸 수치이다.The data in Table 3 are numerical values obtained by applying the crossflow fan and the conventional sirocco fa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ll other conditions of the system are the same.

표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의 경우, 회전수가 너무 높아 시로코 팬과 같은 풍량을 생산할 수는 없으나 소비전력 측면에서는 상당부분이 절감됨을 알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이 11.3 CMM의 풍량을 생산하기 위해 94.2 Watt의 전력을 소비하는데 비해, 종래 시로코 팬의 경우 12.5 CMM의 풍량을 생산하기 위해 105.5 Watt의 전력을 소비한다. 비록 동일한 풍량에서 양자의 소비전력을 비교할 수는 없지만, 대략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이 시로코 팬보다 적은 소비전력으로 비슷한 풍량을 생산할 수 있다.According to Table 3, in the case of the crossflow fa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speed is too high to produce the same air volume as the sirocco fan, but it can be seen that a considerable portion is reduced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As an example, the crossflow fa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umes 94.2 Watt of power to produce 11.3 CMM of air, whereas the conventional sirocco fan uses 105.5 Watt of power to produce 12.5 CMM of air. To consume.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compare the power consumption of both at the same air flow rate, the crossflow fa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similar air flow amount with less power consumption than the sirocco fan.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있어서, 풍량이 적은 것은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210)과 증발기(204)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크로스플로우 팬 자체가 흡입공기의 유로저항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 점을 고려하여,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의 설치 높이를 적절히 한다면 적은 소비전력으로 충분한 풍량을 생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low is small, the distance between the crossflow fan 210 and the evaporator 204 is close to the crossflow fan itself is the flow resistance of the intake air Because it works.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f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crossflow fan is appropriate, a sufficient amount of air can be produced with low power consumption.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먼저,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rst,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하단에 흡입그릴(inlet grill,3102)이 구비되고 상단에 토출그릴(oulet grill,303)이 구비되는 케이스(301)와, 상기 흡입그릴의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스의 내부에 경사 설치되어 냉매의 기화열로서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304)와, 상기 토출그릴의 후방에 구비되어 하부에서 공기를 강제 흡입한 후 토출그릴에 대향하는 측부로 토출하는 크로스플로우 팬(31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having an inlet grill 3102 at a lower end thereof and an outlet grill 303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301, an evaporator 304 inclined inside the case locat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grill, for cooling the indoor air as heat of vaporization of the refrigerant, and provided to the rear of the discharge grill to forcibly suck air from the lower part. And a crossflow fan 310 for discharging to the side opposite to the discharge grill.

이 때, 상기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흡입그릴(302)이 케이스(301)의 정면과 양 측면 모서리에 모두 구비되는 삼면 흡입방식으로, 도 8에 도시된 흡입그릴은 일측면 모서리에 형성된 것이다.In this case,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is a three-sided suction method in which the suction grill 302 is provided at both the front and both side edges of the case 301, and the suction grill shown in FIG. 8 is formed at one side edge.

상가 증발기(304)는 실외기의 응축기 및 압축기와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이루며, 그 상단은 케이스(301)의 정면에 하단은 케이스의 후면에 고정됨으로써 자연스럽게 경사 설치된다.The mall evaporator 304 is connected to the condenser and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by a refrigerant pipe to form a refrigeration cycle, and the upper end is naturally inclined by being fixed to the front of the case 301 and the lower end to the rear of the case.

상기 증발기(304)의 하단에는 공기가 냉각되는 과정에서 증발기의 표면에서 생성된 다량의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팬(drain pan,305)이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팬의 하단에는 별도의 드레인 파이프와 연결되는 응축수 배출구(305a)가 형성된다.The bottom of the evaporator 304 is provided with a drain pan (305) for collecting a large amount of condensat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while the air is cooled, and connected to a separate drain pipe at the bottom of the drain pan The condensate outlet 305a is formed.

이 때,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310)이 토출그릴(303)의 후방에 위치하는 관계로 인해,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의 저압부는 하부에 형성되어야 하고, 고압부는 상기 토출그릴에 대향하는 측부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310)은 토출그릴(303)의 후방에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임펠러(311)와, 흡입공기의 토출경로를 형성하도록 소정 곡률을 가지며 상기 임펠러의 후방을 따라 토출그릴 측까지 위치하는 리어가이드(313)와,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경계면을 형성하며 상기 임펠러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태빌라이저(315)로 구성된다.At this time, due to the relationship that the crossflow fan 310 is located behind the discharge grill 303, the low pressure portion of the crossflow fan should b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high pressure portion should be formed at the side opposite to the discharge grill. do. To this end, the crossflow fan 310 has an impeller 311 positioned laterally behind the discharge grill 303, and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so as to form a discharge path of the intake air, and discharge grill along the rear of the impeller. The rear guide 313 positioned up to the side, and the stabilizer 315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impeller to form an interface between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 air.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310)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에 고압부와 저압부가 형성되기 위해, 상기 스태빌라이저(315)는 임펠러(31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방 상부에 위치되어야 하고, 상기 리어가이드의 갭부(314)는 임펠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후방 하부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 때, 상기 스태빌라이저(315)는 토출그릴(303)의 하단과 나란한 높이에 위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태빌라이저(315)의 위치 및 경사정도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절한 세팅각과 확산각에 의해 결정된다.In the crossflow fan 310, in order to form the high pressure portion and the low pressure portion at the pos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abilizer 315 should be located at the front upper part abou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impeller 311, The gap portion 314 should be located at the rear lower part about the axis of rotation of the impeller. At this time, the stabilizer 315 is most preferably located at a height parallel to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grill (303). 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and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stabilizer 315 is determined by the appropriate setting angle and diffusion angle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상기 임펠러(31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스태빌라이저(315)와 리어가이드의 갭부(314)를 잇는 가상선(L)을 중심으로 그 하부에 저압부가 형성되고 그 좌측부에 고압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assuming that the impeller 311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 low pressure portion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irtual line L connecting the stabilizer 315 and the gap portion 314 of the rear guide. The high pressure portion may be formed.

물론, 이 경우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310)을 중심으로 흡입공기와 토출공기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바, 이들을 임의로 분리시키기 위한 별도의 세퍼레이터는 필요치 않다.Of course, in this case,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 air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crossflow fan 310, and a separate separator is not required to separate them arbitrarily.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와 종래 시로코 팬을 적용한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소비전력 측면에서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to which the conventional sirocco fan is applied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are as follows.

TypeType Flow rate(CMM)Flow rate (CMM) Rev.(rpm)Rev. (rpm) Power(Watt)Power (Watt) Sirocco FanSirocco fan 18.918.9 561561 151.0151.0 15.215.2 461461 121.9121.9 12.512.5 383383 105.5105.5 Crossflow FanCrossflow fan 15.515.5 910910 103.1103.1 14.014.0 825825 82.482.4

표 4의 데이터는 시스템의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과 종래 시로코 팬을 각 적용하여 얻어낸 수치이다.The data in Table 4 are numerical values obtained by applying each of the crossflow fan and the conventional sirocco fa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ll other conditions of the system are the same.

표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의 경우, 종래 시로코 팬보다 동일 풍량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훨씬 적은 소비전력이 소요됨을 알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을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이 15.5 CMM의 풍량을 생산하기 위해 103.1Watt의 전력을 소비하는데 비해, 종래 시로코 팬의 경우 15.2 CMM의 풍량을 생산하기 위해 121.9 Watt의 전력을 소비한다. 비록 동일한 풍량에서 양자의 소비전력을 비교할 수는 없지만, 대략적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플로우 팬이 시로코 팬보다 훨씬 적은 소비전력으로 비슷한 풍량을 생산할 수 있다. 이것을 다르게 표현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은 종래와 같은 소비전력으로 훨씬 많은 풍량을 생산함으로써, 냉각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able 4, in the case of the crossflow fa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much less power consumption is required to produce the same air volume than the conventional sirocco fan. As an example, the crossflow fa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umes 103.1 Watts of power to produce 15.5 CMM of air volume, whereas the conventional sirocco fan consumes 121.9 Watts of power to produce 15.2 CMM of air. To consume.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compare the power consumption of both at the same airflow, the crossflow fa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similar airflow at a much lower power consumption than the sirocco fan. In other words,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cooling efficiency by producing much more air volume with power consumption as in the prior ar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여 설명하였다. 앞에서 설명한 세 가지 실시예는 모두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에 구비되는 송풍기로서 크로스플로우 팬을 적용하고 시스템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을 배치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소비전력을 절감하고 소음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제공함과 더불어 크로스플로우 팬 자체가 갖는 특성을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을 박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hre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ll apply the crossflow fan as the blower provided in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nd arrange the crossflow fan to minimize the system resistance. Accordingly, although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s a difference in degree, it provides an advantag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noise, and thinning the entire system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ossflow fan itself. To provid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풍량과 소비전력 및 소음 측면에서 서로 비교하여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것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hen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ed with each other in terms of air volume, power consumption, and noise,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TypeType Flow rate(CMM)Flow rate (CMM) Rev.(rpm)Rev. (rpm) Noise(dBA)Noise (dBA) Power(Watt)Power (Watt) AA 15.015.0 808808 52.152.1 74.374.3 14.014.0 752752 49.949.9 66.966.9 BB 11.311.3 10131013 55.755.7 94.294.2 10.610.6 932932 53.853.8 77.177.1 CC 15.515.5 910910 59.559.5 103.1103.1 14.014.0 825825 56.656.6 82.482.4

표 5에 있어서, A형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이고, B형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것이며, C형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것이다. 이 때, 각 항목마다 제시된 데이터는 모두 동일한 크기의 케이스 내부에 각 실시예별로 크로스플로우 팬과 증발기가 배치된 상태에서 측정된 값이다.In Table 5, the form A is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 B i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rm C i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t this time, the data presented for each item are all measured in a state in which the crossflow fan and the evaporator are disposed in each case in the case of the same size.

표 5에 따르면, 비록 B형태의 경우 A형태나 C형태만큼의 풍량을 생산하지 못하는 관계로 인해 세 가지 형태를 동일 풍량에서 대비할 수는 없으나, 대략 유사한 풍량을 기준으로 세 가지 형태를 동일 풍량에서 대비할 수는 없으나, 대략 유사한 풍량을 기준으로 세 가지 형태를 대비하면 A형태가 다른 형태에 비해 소비전력 및 소음 측면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다. 일례로, A형태의 경우 14.0 CMM의 풍량을 생산하는데 66.9 Watt의 전력을 소비하고 49.9 dBA의 소음을 야기하는 반면, B형태의 경우 11.3 CMM의 풍량을 생산하는데 94.2 Watt의 전력을 소비하고 55.7 dBA의 소음을 야기하며, C형태의 경우 14.0 CMM의 풍량을 생산하는데 82.4 Watt의 전력을 소비하고 56.6 dBA의 소음을 야기한다.According to Table 5, although three types cannot be prepared at the same amount of air due to the inability to produce the same amount of air in the form of type A or C, in the case of type B, the three types can be prepared at the same amount of air based on approximately the same amount of air.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prepare, it can be seen that A type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and noise compared to other types when the three types are compared based on approximately similar air flows. For example, type A consumes 66.9 Watts of power to produce 14.0 CMM of air and produces 49.9 dBA, while type B consumes 94.2 Watts of power to produce 11.3 CMM of air and 55.7 dBA. In the case of the C type, it produces 82.4 Watts of power and produces 56.6 dBA of noise.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제1 실시예에 제시된 것이 소비전력과 소음 측면에서 가장 유리하고, 제3 실시예에 제시된 것이 그 다음으로 유리하다. 물론, 전술한 세 가지 형태 모두 종래 시로코 팬을 적용한 것보다 소비전력과 소음 측면에서 훨씬 유리하며, 이것은 이미 앞에서 설명하였다.Based on these results,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st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and noi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next in the third embodiment. Of course, all three types described above are far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and noise than the conventional sirocco fan, which has already been described above.

상기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범위 및 이의 동등범위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포함된다.Although several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thereof. Accordingly,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all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증발기 측으로 토출하는 송풍기로서 크로스플로우 팬을 적용함과 더불어 이를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써, 시스템 저항을 줄여 소비전력과 소음을 함께 줄일 수 있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crossflow fan as a blower for forcibly sucking indoor air and discharging it to an evaporator, and by appropriately arranging the crossflow fan, reducing system resistance and consumption It is to provide indoor unit of package air conditioner which can reduce power and noise togeth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크로스플로우 팬을 송풍기로 적용함으로써 박형화된 크기를 갖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having a thinned size by applying a crossflow fan to a blow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상하단에 각각 토출그릴(oulet grill)과 흡입그릴(inlet grill)이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내부 상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실내공기를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증발기(evaporator)와, 상기 캐비넷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며 흡입그릴을 통해 실내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증발기 측으로 토출하며 상기 흡입그릴을 통한 흡입공기와 증발기 측으로 향하는 토출공기가 동일 높이상에 공존하는 크로스플로우 팬(crossflow fan)과,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의 상부에 구비되며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간섭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separat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discharge grill (inlet grill) and the inlet grill (inlet grill), the cabinet to form a circulation space of the indoor air, and An evaporator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cabinet to be inclined to cool the indoor air by the heat of vaporization of the refrigerant, and an inside evaporator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cabinet to forcibly suck the indoor air through the suction grill, and discharge the indoor air to the evaporator side. A crossflow fan in which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 air directed toward the evaporator side coexist on the same height, and a separato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rossflow fan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intake air and the discharge air. It is configured by.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를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상하단에 각각 토출그릴과 흡입그릴이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흡입그릴의 후방에 위치하는 캐비넷의 내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실내공기를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토출그릴 사이에 구비되며 하부에 증발기를 지난 공기가 흡입되는 저압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토출그릴 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고압부가 형성되는 크로스플로우 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grill and a suction grill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to form a circulating space of the indoor air, and the inclined inside the cabinet located behind the suction grill. A cross flow provided between an evaporator for cooling indoor air by the heat of vaporization of a refrigerant, a low pressure part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a discharge grill, and a high pressure part formed at a lower part to suck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and a high pressure part disposed at an upper part to discharge the ai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an.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상하단에 각각 토출그릴과 흡입그릴이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흡입그릴의 후방에 위치하는 캐비넷의 내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실내공기를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토출그릴의 후방에 위치하는 캐비넷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부에 증발기를 지난 공기가 흡입되는 저압부가 형성되고 토출그릴의 후방에 상기 토출그릴 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고압부가 형성되는 크로스플로우 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nally,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d discharge grill and the suction grill is formed in the cabinet to form a circulation space of the indoor air, and inclined inside the cabinet located behind the suction grill And an evaporator for cooling the indoor air by the heat of vaporization of the refrigerant, and a low pressure part provided inside the cabinet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discharge grill and having suctione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at a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gril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rossflow fan is formed with a high-pressure section for discharging air to the sid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송풍기로서 고정압 대풍량을 생산할 수 있는 크로스플로우 팬을 시스템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이고 공기 유동에 따른 소음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크로스플로우 팬의 특성상 임펠러를 케이스의 가로방향으로 설치시에 그 크기를 박형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refore,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a crossflow fan capable of producing a fixed pressure large air flow as a blower to minimize the system resistanc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significantly reducing noise due to air flow. do. In addition,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reduced in size when the impeller is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as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ossflow fan.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실내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증발기측으로 토출하는 송풍기로서 크로스플로우 팬을 적용함과 더불어 이를 시스템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보다 많은 풍량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과 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crossflow fan as a blower which forcibly sucks indoor air and discharges it to the evaporator side, and arranges it to minimize system resistance, thereby producing more air volum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It offers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noi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는 송풍기로서 크로스플로우팬을 적용함에 따라, 전체 사이즈를 박형화시킬 수 있는 등 시스템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vantage that the design of the system can be variously designed such that the overall size can be reduced by applying a crossflow fan as a blower.

Claims (18)

상하단에 각각 토출그릴(oulet grill)과 흡입그릴(inlet grill)이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A cabinet configured to form a circulating space of indoor air by forming an outlet grill and an inlet grill at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상기 캐비넷의 내부 상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실내공기를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증발기(evaporaotr);An evaporator (evaporaotr) provided at an inclined upper side of the cabinet and cooling indoor air by heat of vaporization of a refrigerant; 상기 캐비넷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며 흡입그릴을 통해 실내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증발기 측으로 토출하며, 상기 흡입그릴을 통한 흡입공기와 증발기 측으로 향하는 토출공기가 동일 높이상에 공존하는 크로스플로우 팬(crossflow fan);Crossflow fan provided in the lower side of the cabinet and forced to suck the indoor air through the suction grill to discharge to the evaporator side, the air flow to the side and the suction air through the suction grill coexist on the same height (crossflow fan) ;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의 상부와 증발기 사이에 구비되어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간섭을 방지하는 세퍼레이터(separator)를 포함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separator provided between an upper portion of the crossflow fan and an evaporator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intake air and discharge ai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은The crossflow fan is 흡입그릴의 후방 소정 높이에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임펠러(impeller)와,An impeller positioned later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behind the suction grill, 상기 임펠러의 하부에 위치하며 흡입된 실내공기의 토출경로를 형성하도록 일정 곡률을 갖는 리어가이드(rearguide)와,A rear guide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impeller and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form a discharge path of the sucked indoor air; 상기 임펠러의 상부와 세퍼레이터 사이에 위치하며 임펠러로 흡입되는 공기와 임펠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경계면을 형성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를 더 포함하는 패키지 에어컨 실내기.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of the package further comprising a stabilizer positioned between an upper part of the impeller and a separator and forming an interface between the air sucked into the impeller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mpell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임펠러의 회전축을 지나는 가상 수직선을 중심으로, 그 후방에 스태빌라이저가 위치하고, 그 전방에 임펠러까지 최단거리를 갖는 리어가이드의 갭부가 위치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wherein a stabilizer is positioned at a rear of the virtual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and a gap portion of the rear guide having a shortest distance to the impeller is located at the front thereof.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은 리어가이드의 갭부와 스태빌라이저를 잇는 가상선을 중심으로, 그 전방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저압부가 형성되고, 그 후방에 실내공기가 증발기 측으로 향하는 고압부가 형성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The crossflow fan is a room air conditioner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having a low pressure part in which indoor air is sucked in front of a virtual line connecting a gap portion of a rear guide and a stabilizer, and a high pressure part in which an indoor air is directed toward an evaporato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하단과 임펠러의 회전축을 지나는 가상 수직선이 이루는 세팅각(setting angle)이 20°~60° 범위 내에 있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having a setting angle formed by a virtual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a lower end of the stabilizer and an axis of rotation of the impeller.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세팅각이 40°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wherein the setting angle of the stabilizer is 40 °.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스태빌라이저가 흡입그릴 측으로 기울어진 확산각(diffusing angle)이0° ~ 40°범위 내에 있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in which a diffusing angle in which the stabilizer is inclined toward the suction grill is in a range of 0 ° to 40 °.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확산각이 20°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having a diffusion angle of the stabilizer of 20 °.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확산각과 동일한 각도로 세퍼레이터가 경사 설치되어 토출공기의 확산유로를 형성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the separator is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diffusion angle of the stabilizer to form a diffusion flow path of the discharged ai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세퍼레이터는 스태빌라이저의 상단으로부터 증발기 하단의 드레인팬까지 경사 설치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The separator is an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clined from the top of the stabilizer to the drain pan of the bottom of the evaporato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세퍼레이터는 스태빌라이저의 상단으로부터 흡입그릴의 상단까지 경사 설치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The separator is an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clined from the top of the stabilizer to the top of the suction gril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흡입그릴은 그 하단이 크로스플로우 팬의 리어가이드가 형성되는 높이까지 위치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The suction grill is 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the lower end of which is positioned to a height at which a rear guide of a crossflow fan is formed. 상하단에 각각 토출그릴과 흡입그릴이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Cabinets for discharging grill and suction grill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to form a circulation space of the indoor air; 상기 캐비넷의 내부 상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실내공기를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증발기;An evaporator provided at an inclined upper side of the cabinet and cooling indoor air by heat of vaporization of a refrigerant;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구비되며 흡입그릴을 통해 실내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증발기 측으로 토출하는 크로스플로우 팬;A crossflow fan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forcibly sucking indoor air through a suction grill and discharging the indoor air to an evaporator;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은 흡입그릴의 후방 소정 높이에 위치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하부에 캐비넷의 내부를 가로질러 위치하며 흡입된 실내공기의 토출경로를 형성하도록 일정 곡률을 갖는 리어가이드와, 상기 임펠러의 상부에 위치하며 캐비넷의 전후벽 사이에 형성되는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The crossflow fan includes an impeller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rear height of the suction grill, a rear guid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so as to form a discharge path of the suctioned indoor air located across the inside of the cabinet at a lower portion of the impeller, and the impeller 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bilizer is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walls of the cabinet. 상하단에 각각 토출그릴과 흡입그릴이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Cabinets for discharging grill and suction grill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to form a circulation space of the indoor air; 상기 캐비넷의 내부 상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실내공기를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증발기;An evaporator provided at an inclined upper side of the cabinet and cooling indoor air by heat of vaporization of a refrigerant;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구비되며 흡입그릴을 통해 실내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증발기 측으로 토출하는 크로스플로우 팬;A crossflow fan provided inside the cabinet and forcibly sucking indoor air through a suction grill and discharging the indoor air to an evaporator;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형성되며 흡입그릴을 통해 크로스플로우 팬으로 실내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유로;A suction flow path formed inside the cabinet and allowing indoor air to flow into the crossflow fan through the suction grill;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형성되며 크로스플로우 팬으로부터 증발기 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유로를 포함하고,A discharge passage formed in the cabinet and configured to discharge air from the crossflow fan to the evaporator; 상기 흡입유로와 토출유로가 병렬 배열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uction passage and the discharge passage. 상하단에 각각 토출그릴과 흡입그릴이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Cabinets for discharging grill and suction grill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to form a circulation space of the indoor air; 상기 흡입그릴의 후방에 위치하는 캐비넷의 내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실내공기를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증발기;An evaporator provided inclined in the cabinet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grill and cooling the indoor air by the heat of vaporization of the refrigerant; 상기 증발기와 토출그릴 사이에 구비되며 하부에 증발기를 지난 공기가 흡입되는 저압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토출그릴 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고압부가 형성되는 크로스플로우 팬을 포함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An indoor unit of a packag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crossflow fan provid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discharge grill and having a low pressure portion through which an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is sucked, and a high pressure unit configured to discharge air toward the discharge grill.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은The crossflow fan is 증발기와 토출그릴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임펠러와,An impeller positioned transversely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discharge grill, 상기 임펠러의 후방 하부에 위치하는 갭부로부터 흡입된 실내공기의 토출경로를 형성하도록 임펠러의 후방을 따라 일정 곡률을 갖는 리어가이드와,A rear guid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long the rear of the impeller so as to form a discharge path of the indoor air sucked from the gap portion located at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impeller; 상기 임펠러의 전방 상부에 위치하며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경계면을 이루는 스태빌라이저를 더 포함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The indoor unit of the package air conditioner further comprises a stabilizer position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impeller and forming an interface between intake air and discharge air. 상하단에 각각 토출그릴과 흡입그릴이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순환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Cabinets for discharging grill and suction grill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ends to form a circulation space of the indoor air; 상기 흡입그릴의 후방에 위치하는 캐비넷의 내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며 실내공기를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시키는 증발기;An evaporator provided inclined in the cabinet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grill and cooling the indoor air by the heat of vaporization of the refrigerant; 상기 토출그릴의 후방에 위치하는 캐비넷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부에 증발기를 지난 공기가 흡입되는 저압부가 형성되고, 토출그릴의 후방에 상기 토출그릴 측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고압부가 형성되는 크로스플로우 팬을 포함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And a crossflow fan provided inside the cabinet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discharge grill, and having a low pressure portion for sucking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under the discharge grill, and a high pressure portion for discharging air toward the discharge grill at the rear of the discharge grill. Indoor unit of package air conditioning.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크로스플로우 팬은The crossflow fan is 토출그릴의 후방에 가로방향으로 위치하는 임펠러와,An impeller positioned laterally behind the discharge grill; 상기 임펠러의 후방 하부에 위치하는 갭부로부터 흡입된 실내공기의 토출경로를 형성하도록 임펠러의 후방을 따라 일정 곡률을 갖는 리어가이드와,A rear guid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along the rear of the impeller so as to form a discharge path of the indoor air sucked from the gap portion located at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impeller; 상기 임펠러의 전방에 위치하며 흡입공기와 토출공기의 경계면을 이루는 스태빌라이저를 포함하는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An indoor unit of a packaged air conditioner including a stabiliz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impeller and forming a boundary between an intake air and an discharge air.
KR1020047005510A 2004-04-14 2001-10-15 Indoor unit of packaged air conditioner KR1005564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05510A KR100556436B1 (en) 2004-04-14 2001-10-15 Indoor unit of packaged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05510A KR100556436B1 (en) 2004-04-14 2001-10-15 Indoor unit of packaged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955A true KR20040048955A (en) 2004-06-10
KR100556436B1 KR100556436B1 (en) 2006-03-03

Family

ID=37343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510A KR100556436B1 (en) 2004-04-14 2001-10-15 Indoor unit of packaged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43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289B1 (en) * 2007-03-21 200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20090051600A (en) * 2007-11-19 200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110160143A (en) * 2019-06-25 2019-08-2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A kind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289B1 (en) * 2007-03-21 200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20090051600A (en) * 2007-11-19 200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110160143A (en) * 2019-06-25 2019-08-2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A kind of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6436B1 (en)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860B1 (en) The fan structure of air-conditioner inner door unit
KR20050118506A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20120061512A (en) Brower for air conditioner
KR20180044165A (en) Air conditioner
JP3082453B2 (en) Air conditioner
KR101362320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9980021184U (en) Indoor unit of separate air conditioner
KR100556436B1 (en) Indoor unit of packaged air conditioner
KR100652805B1 (en) Installing structure for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90074373A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0789817B1 (en) centrifugal fan of air-conditioner
KR100584269B1 (en) A cold air circulating structure of a refrigerator
KR20070113897A (en) Two-in-one super slim air-conditioner
KR100381435B1 (en) Fan assembly of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20030063876A (en) air conditioner
KR100584268B1 (en) A cold air circulating structure of a refrigerator
KR20070039327A (en) Air conditioner
KR20040001102A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with Bidirectional Ventilator
KR100556949B1 (en) Airflow guide device for window type air-conditioner
KR20050089274A (en) 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KR100833849B1 (en) Ceiling-installed air conditioner
KR100820807B1 (en) Air conditioner
KR20020027791A (en) Convertible type indoor device of air-conditioner
KR0118966Y1 (en) The air folw diffusive assembly of the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20000001854U (en) Sirocco fan static pressure loss prevention device of window type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