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165A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165A
KR20180044165A KR1020160137929A KR20160137929A KR20180044165A KR 20180044165 A KR20180044165 A KR 20180044165A KR 1020160137929 A KR1020160137929 A KR 1020160137929A KR 20160137929 A KR20160137929 A KR 20160137929A KR 20180044165 A KR20180044165 A KR 20180044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flow fan
fan
flow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라선욱
정창우
홍진우
김권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4165A/en
Priority to EP17196206.1A priority patent/EP3315785B1/en
Priority to US15/786,447 priority patent/US20180112888A1/en
Priority to CN201710969878.XA priority patent/CN107975868A/en
Publication of KR2018004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1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2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having non-centrifugal stages, e.g. centripetal
    • F04D17/04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having non-centrifugal stages, e.g. centripetal of transverse-flo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Discharge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means of rotor construction or layout, e.g. unequal distribution of blades or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24F2001/004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7Active noise-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 stabiliz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reduce air-blowing noise. The air conditioner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 crossflow fan configured to discharge air heat-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r to the discharge port; and a stabilizer located adjacent to the crossflow fan, and comprising a guide section having a first guide portion configured to guide airflow flowing in the main body by the crossflow fan to a suction region and a second guide portion configured to guide the airflow to a discharge region, and a flow separation section connected to the guide section, wherein a location of the flow separation section varies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and in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송풍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스태빌라이져를 갖춘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an improved stabilizer structure so as to reduce air noise.

공기 조화기는 비교적 큰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기 위해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스탠드 형 공기 조화기 및 작은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기 위해 실내의 벽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 등을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 stand-type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the floor of a room for cooling or heating a relatively large indoor space and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room for cooling or heating a small indoor space .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열교환기, 전자 팽창밸브 등으로 구성되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내부에 장착하고,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Th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internally mounts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 capillary tube, a heat exchanger, and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sucks and discharges the air in the room to cool or heat the room.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구비되는 일체형 및 실내기와 실외기가 따로 구비되는 분리형이 있고, 최근에는 분리형 공기 조화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The air conditioner has an integrated type in which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are integrally provided, and a separate type in which an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are separately provided. In recent years,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has been used.

분리형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소음 발생이 많은 압축기, 응축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내기는 열교환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 및 배수시키는 배수 트레이 유닛, 횡류팬 및 스태빌라이져 등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The indoor unit includes a drainage tray unit for collecting and drain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r, a transverse fan, and a stevia gasifier. The outdoor unit includes a compressor, a condenser, .

공기 조화기는 전원이 인가되면, 횡류팬의 회전에 의해 실내 공기가 본체의 내부로 흡입되고, 횡류팬에 의해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에 의해 열 교환된 후 다시 횡류팬에 의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air conditioner, the room air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by the rotation of the cross flow fan, the air sucked into the main body by the cross flow fan is heat-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r, And is discharged.

공기 조화기를 통한 냉방의 경우, 실내로 토출되는 열교환기에 의해 열 교환된 찬 공기는 실내를 순환하고, 다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로 흡입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In the case of cooling through the air conditioner, the cold air heat 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r discharged into the room is circulated inside the room, and the room is kept in a pleasant state by repeating the process of being sucked into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에 설치되므로 토출되는 기류가 안정되어야 하고, 토출되는 풍량이 많아야 하며, 무엇보다 정숙한 특성이 요구된다.Sinc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 the room, the discharged air stream must be stable, the air volume to be discharged must be large , and moreover, a quiet characteristic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횡류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특성을 고려하여, 스태빌라이져의 단면의 구조를 개선한 공기 조화기를 개시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ir conditioner that improves the structure of a cross section of a stator vane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characteristics of air discharged by a cross flow fan.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리어가이드에 의한 유동 변동으로 발생하는 유동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스태빌라이져의 배열 및 위치를 개선한 공기 조화기를 개시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ir conditioner that improves the arrangement and position of the stator vane so as to reduce the flow loss caused by flow fluctuations caused by the rear guid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횡류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횡류팬의 복수의 단위팬 상호 간의 간섭으로 발생하는 송풍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스태빌라이져의 형상을 개선한 공기 조화기를 개시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shape of the stabilizer is improved so that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can reduce the noise generated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fans of the cross flow fan.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 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하는 횡류팬 및 상기 횡류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횡류팬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류를 흡입영역으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와 토출영역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되는 유동분리부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져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and a discharge port,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 cross flow fan discharging air heat-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r to the discharge port, A guide portion including a first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airflow flowing in the main body of the transverse fan to the suction region and a second guide portion for guiding to the discharge region by the transverse fan, And a stator vane having a flow dividing portion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stator vane is changed i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상기 유동분리부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으로 복수의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low dividing portion may have a plurality of curved shap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상기 유동분리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팬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팬대응부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 및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로 배치될 수 있다.Wherein the fan separa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an engaging portions that ar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and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transverse fan, Can be arranged in different lengths.

상기 횡류팬은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팬 및 상기 복수의 단위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팬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팬대응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팬의 중심에 대응하는 제1부분 및 상기 복수의 연결판에 대응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의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제1부분의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길 수 있다.Wherein the cross flow fan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fans connec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late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fans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unit fans, And a seco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wherein a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is greater than a length of the cross- As shown in FIG.

상기 팬대응부의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부분으로 갈수록 길어질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an corresponding portion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may become longer from the first portion to the second por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상기 팬대응부는 상기 횡류팬으로부터 상기 횡류팬의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The fan counterpart may have a predetermined gap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from the cross-flow fan.

상기 팬대응부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으로 복수의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an corresponding portion may have a plurality of curved shap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상기 횡류팬의 중심과 상기 제1부분을 연결하는 제1가상의 선과 상기 횡류팬의 중심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는 제2가상의 선 사이의 동일 평면 상에서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에 따른 각도는 최대 15도일 수 있다.And a second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ross-flow fan and the first portion, and an angl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cross- Can be up to 15 degrees.

상기 유동분리부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separat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ribs arrang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ibs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ribs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기울어져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ibs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 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하고, 복수의 단위팬 및 상기 복수의 단위팬을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판을 포함하는 횡류팬 및 상기 횡류팬에 의해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의 흡입영역으로 유동하는 기류를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 토출영역으로 유동하는 기류를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유동분리부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져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분리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팬의 중심에 대응하는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연결판에 대응하는 제2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으로 길이가 길어지는 팬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팬대응부는 상기 횡류팬의 복수의 블레이드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횡류팬의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and a discharge port,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air heat-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r to the discharge port, A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for connecting the unit fan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and a first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air flow flowing into the suction region of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by the cross flow fan, And a flow separat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connecting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to each other, Wherein the flow separa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and extends from a firs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unit fans, And the fan corresponding portion extends from one end of the plurality of blades of the cross-flow fan toward the seco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ross-flow fan, It can have a certain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an.

상기 유동분리부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separation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ribs arranged at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횡류팬 및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되는 유동분리부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 transverse fan discharg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 stator vibrator including a plurality of ribs and having a flow dividing portion whose position changes in a rotating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along an ax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상기 유동분리부는 상기 횡류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횡류팬의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로 상기 횡류팬과 이격될 수 있다.The flow dividing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ross-flow fa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from the center of the cross-flow fan.

상기 유동분리부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으로 복수의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low dividing portion may have a plurality of curved shap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스태빌라이져의 단면의 구조를 개선하여, 횡류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변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tator vane, thereby suppressing the flow fluctuation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to the utmos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스태빌라이져의 배열 구조를 개선하여, 횡류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손실을 감소하여 유량을 확보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tator vane to reduce the flow loss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to secure the flow rate.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스태빌라이져의 형상을 개선하여, 횡류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횡류팬의 복수의 단위팬 상호 간에 발생하는 간섭을 감소함으로써 송풍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hape of the stabilizer and reduces the interference generated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fans of the air cross-flow fan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thereby reducing the blow no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횡류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횡류팬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횡류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스태빌라이져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횡류팬과 스태빌라이져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횡류팬과 스태빌라이져의 횡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져의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oss flow fan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cross-flow fan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flow characteristics of air discharged by a cross flow fan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vetore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ross-flow fan and a stabilizer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oss flow fan and a stator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and 9B are views of a stabilizer including a plurality of ribs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1)는 상부에 흡입구(11) 및 하부에 토출구(12)가 형성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는 본체(10)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air conditioner 1 may include a main body 10 having a suction port 11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discharge port 12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본체(10)의 일 측에는 공기 조화기(1)의 운전상태를 나타내고, 사용자가 공기 조화기(1)의 동작을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to indicate the operating state of the air conditioner 1 and allow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1. [

흡입구(11)는 본체(10)의 상부에 본체(10)의 해당 부분 면적에 상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본체(10)의 상부뿐만 아니라, 본체(10)의 전면에도 해당 부분 면적에 상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uction port 11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to correspond to a corresponding area of the main body 10. The suction port 11 may be provided not only on the top of the main body 10 but also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artial area.

흡입구(11)는 그릴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체(10)의 상부 전체 면적에 상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흡입구(11)는 본체(10)의 가로 길이에 대응하고, 본체(10)의 세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흡입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11)는 열교환기(20)로 최대한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uction port 11 may have a shape of a grill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total area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 The suction port 11 corresponds to the lateral length of the main body 1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ction van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 [ The inlet port 11 may be provided to suck up the maximum amount of air to the heat exchanger 20. [

토출구(12)는 본체(10)의 하단에 대략 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토출구(12)는 스태빌라이져(50)와 리어가이드(4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2)의 하단에는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토출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port 12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The discharge port 12 may be formed by the stabilizer 50 and the rear guide 40.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12, a discharging guide (not shown) capable of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may be form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내부는 냉각 또는 가열을 통해 공기를 열 교환하는 열교환기(20) 및 본체(10)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어 와류(vortex)를 발생시키는 횡류팬(30)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 includes a heat exchanger 20 for exchanging the air through cooling or heating, and a heat exchanger 20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to generate a vortex, (30).

본체(10)의 내부는 횡류팬(30)에 의해 형성된 와류를 일정한 정압으로 회복시키는 리어가이드(40) 및 리어가이드(40)와 함께 본체(10)의 내부영역을 흡입영역(A)과 토출영역(B)으로 구분하는 스태빌라이져(50, stabilize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connected to a suction region A and a discharge region A through an inner region of the main body 10 together with a rear guide 40 and a rear guide 40 which restore a vortex formed by the cross- And a stabilizer 50 (50) that divides into regions (B).

리어가이드(40)와 스태빌라이져(50)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는 토출구(12)와 연통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50)는 토출구(12)의 안쪽에 구비될 수 있다.The flow path formed by the rear guide 40 and the stabilizer 50 can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ort 12. [ The stabilizer (50) may be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port (12).

열교환기(20)는 공기가 그 표면과 접촉하여 열 교환되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냉각시키거나 가열할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흡입구(11)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 20 can cool or heat the air by causing the air to contact and heat exchange with its surface. The heat exchanger 20 may be installed at an angl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11.

열교환기(20)는 냉방 운전 시에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고, 난방운전 시에는 응축기로 기능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20 can function as an evaporator during cooling operation and as a condenser during heating operation.

열교환기(2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두 개 또는 세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열교환기(20)는 본체(10)의 제한된 내부영역에서 최대한의 열 교환의 효율을 위하여 상호 간에 절곡되어 위치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heat exchangers 20 may be provided. The heat exchanger 20 may be composed of two or three. The plurality of heat exchangers 20 can be bent and mutually positioned for maximum heat exchange efficiency in the limited internal area of the main body 10. [

열교환기(20)는 냉매가 유동하는 튜브(미도시)와 튜브(미도시)에 접촉하여 방열 면적을 확대하는 열교환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실내로부터 횡류팬(3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20)의 튜브(미도시) 및 열교환핀(미도시)과 접촉하여 열 교환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 20 may include a heat exchange pin (not shown) for contacting a tub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s and a tube (not shown) to enlarge the heat dissipation area. The air sucked by the cross-flow fan 30 from inside the room can be heat-exchanged by coming into contact with a tube (not shown) and a heat exchange pin (not shown) of the heat exchanger 20.

열교환기(20)는 필터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필터부(미도시)는 횡류팬(30)에 의해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되는 오염된 공기의 먼지,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다. 필터부(미도시)는 근래에는 단일 필터뿐만 아니라, 목적에 맞게 여러 필터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heat exchanger 20 may include a filter unit (not shown). The filter unit (not shown) can remove dust, bacteria, and the like of the contaminated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 by the cross flow fan 30. The filter unit (not shown) has recently been used not only as a single filter but also as a combination of various filters according to the purpose.

공기 조화기(1)의 팬은 공기의 토출 압력에 따라 저압용 팬과 고압용 팬으로 구분될 수 있고, 블레이드(310, blade)의 형상에 따라 원심형 공기 조화기, 축류형 공기 조화기, 횡류형 공기 조화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fan of the air conditioner 1 can be divided into a low-pressure fan and a high-pressure fan according to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air, and the centrifugal air conditioner, the axial flow type air conditioner, A crossflow type air conditioner, and the like

횡류팬(30, crossflow fan)은 횡류팬(30)의 축 방향(Y)으로 공기의 흡입 흐름이 없는 대신, 횡류팬(30)의 축 방향(Y)에 수직한 평면 내에서 공기의 흡입과 토출이 모두 발생할 수 있다.The crossflow fan 30 does not have a suction flow of air in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flow fan 30 but has a function of sucking air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flow fan 30 All of the discharging may occur.

횡류팬(30)은 일반적으로 일정한 공기의 정압, 공기의 많은 풍량을 생산하는데 유리하며, 횡류팬(30)의 축 방향(Y)으로 규칙적인 흐름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횡류팬(30)은 공기 조화기(1), 특히 창문형 공기 조화기나 천장형 공기 조화기등의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The cross flow fan 30 is generally advantageous in producing a constant air pressure and a large amount of air, and a regular flow can be generated in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flow fan 30. Accordingly, the cross-flow fan 30 can be widely used in the air conditioner 1, particularly in a wall-mounted type air conditioner such as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or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열교환기(20)의 하측에 위치하는 횡류팬(30)은 공기를 흡입할 때 와류(vortex)를 형성하게 되고, 흡입된 와류를 형성한 공기를 실내로 바로 토출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The cross flow fan 30 positioned below the heat exchanger 20 forms a vortex when sucking air and it may not be suitable to discharge the air having formed the sucked vortex directly into the room.

따라서, 와류에 의한 공기의 압력을 떨어 뜨려 일정한 압력이 되게 하는 리어가이드(40)가 공기 조화기(1)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a rear guide 40 for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air by the vortex to a constant pressure can be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1. [

리어가이드(40)는 횡류팬(30)이 하나의 팬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역할과 토출하는 역할 모두를 수행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내측 배면에 걸쳐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어가이드(40)는 중간에 돌출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곡면 형상은 변곡점(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The rear guide 40 may be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over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cross-flow fan 30 can perform both the function of sucking air by the one fan and the function of discharging the air. The rear guide 40 may have a curved shape protruding in the middle, and a curved shape may form an inflection point (not shown).

리어가이드(40)는 스태빌라이져(50)와 함께 본체(10)의 내부영역을 흡입영역(A)과 토출영역(B)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리어가이드(40)의 변곡점(미도시)의 상단 부는 흡입영역(A)이 될 수 있고, 하단 부는 토출영역(B)이 될 수 있다.The rear guide 40 can divide the inside area of the main body 10 into the suction area A and the discharging area B together with the stabilizer 50 so that the inflection point (not shown) of the rear guide 40 May be the suction region A and the lower end portion may be the discharge region B. [

열교환기(20)의 하부에는 배수트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배수트레이는 횡류팬(3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열 교환하는 과정에서 열교환기(20)로부터 흘러 내리는 응축수를 모아 배출시킬 수 있다. 배수트레이는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토출구(12)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 drain tray may be disposed below the heat exchanger 20. The drain tray can collect and discharge the condensed water flowing from the heat exchanger (20) during the heat exchange of the air sucked by the cross flow fan (30). The drain tray can function to guide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to the discharge port (12).

배수트레이는 본체(10)의 내면으로부터 횡류팬(30)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수트레이의 상부에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트레이는 사출 성형을 통하여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본체(10)와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The drain tray may exten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ward the cross flow fan 30.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 tray may include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condensed water. The drainage tray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10 through injection molding, and may be formed independently of the main body 10.

스태빌라이져(50)는 배수트레이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50)는 리어가이드(40)와 함께 본체(10)의 내부영역을 횡류팬(30)에 의해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의 흡입영역(A)와 토출영역(B)으로 구분할 수 있다. The stabilizer 50 may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drain tray. The stabilizer 50 can divide the inside region of the main body 10 into the suction area A and the discharge area B of the air sucked and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together with the rear guide 40 .

스태빌라이져(50)는 횡류팬(30)의 원주면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50)는 토출구(12)의 긴 가로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stabilizer 50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ansverse fan 30. [ The stabilizer (50) may be formed along the long side of the discharge port (12).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횡류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횡류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횡류팬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특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oss-flow fan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a cross-flow fan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flow characteristics of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20)의 하부에는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역할을 하는 횡류팬(30)이 구비될 수 있다. 횡류팬(30)은 소음이 적고 풍량이 크며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과 토출하는 방향을 일정 각도로 구비할 수 있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cross-flow fan 30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 exchanger 20 to serve to suck and discharge air. The cross-flow fan (30) can be widely used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1) because the cross-flow fan (30) has low noise and high airflow and can provide a direction in which air is sucked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air is sucked.

횡류팬(30)은 반경 방향(R)으로 배치된 복수의 블레이드(310)를 구비할 수 있다. 횡류팬(30)의 일 단부에는 횡류팬(30)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모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The cross-flow fan 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lades 310 arranged in the radial direction R. [ A driving motor (not shown) capable of rotating the cross-flow fan 30 at a high speed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cross-flow fan 30. [

횡류팬(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횡류팬(30)은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따라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팬(31) 및 복수의 단위팬(31)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단위팬(31)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판(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ross-flow fan 30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cross-flow fan 30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fans 31 connec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flow fan 30 and a plurality of unit fans 31 arranged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32.

복수의 블레이드(310)가 복수의 연결판(32)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블레이드(310)의 양 단부에는 삽입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연결판(32)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10)의 삽입돌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Insertion protrusions (not shown)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blades 310 so that the plurality of blades 310 can b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lates 32, (Not shown) into which insertion protrusions (not shown) of the plurality of blades 310 can be inserted can be formed.

복수의 단위팬(31)은 복수의 단위팬(31)의 복수의 블레이드(310)가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도록, 복수의 연결판(3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렬로 배열된 횡류팬(30)의 복수의 블레이드(310)는 횡류팬(30)에 의해 공기가 토출될 때 집중적인 공기의 토출로 인한 송풍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32 so that the plurality of blades 310 of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Can be connected. The plurality of blades 310 of the transverse fan 30 arranged in a line can cause blow noise due to intensive discharge of air when the air is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

송풍 소음을 줄이기 위해, 복수의 단위팬(31)은 상호 간에 횡류팬(30)의 회전 방향(W)을 따라 일정 각도 회전한 위치로 복수의 연결판(32)을 통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may be 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32 at position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W of the cross flow fan 30 to reduce the noise of the blowing air.

복수의 단위팬(31) 상호 간에 일정 각도 회전한 위치로 연결된 횡류팬(30)의 복수의 블레이드(310)는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집중적인 풍량을 분산할 수 있어 송풍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310 of the cross flow fan 3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at a position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can disperse the intensive air volume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Can be reduc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류팬(30)의 복수의 단위팬(31)은 각각 횡류팬(30)의 회전 방향(W)으로 만곡된 복수의 블레이드(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10)는 횡류팬(30)의 회전 방향(W)으로 횡류팬(30)의 원주 상에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4,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of the cross flow fan 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lades 310 curv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W of the cross flow fan 30,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blades 310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on the circumference of the cross-flow fan 30 in the rotational direction W of the cross-flow fan 30.

복수의 블레이드(310)는 동일 원주 상에 등 간격 또는 부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10)가 등 간격으로 상호 간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경우, 횡류팬(30)에서는 복수의 블레이드의 수(N)와 회전 수(Z)의 곱으로 표현되는 특정 주파수 소음(NZ소음)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lades 310 may be equally spaced or equally spaced on the same circumference. When the plurality of blades 31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from one an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 cross-flow fan 30 generates a specific frequency noise NZ expressed by a product of the number N of blades and the number of rotations Z Noise) may be caused to a large extent.

따라서, 특정 주파수 소음 등의 송풍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블레이드(310)는 부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us, in order to reduce blow noise such as specific frequency noise, the plurality of blades 310 can be arranged at unequal intervals.

복수의 블레이드(310)의 부등 간격 배치로 인하여, 횡류팬(30)의 복수의 단위팬(31)의 내부에는 복수의 블레이드(310) 상호 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제1간격(G1) 및 복수의 블레이드(310) 상호 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은 제2간격(G2)이 형성될 수 있다.Due to the uneven spacing of the plurality of blades 310, the plurality of blades 3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first gap G1 and a plurality of A second gap G2 having a relatively large gap between the blades 310 may be formed.

제1간격(G1)에서는 공기의 토출 유속이 상대적으로 느리게 형성될 수 있고, 제2간격(G2)에서는 공기의 토출 유속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횡류팬(30)의 복수의 단위팬(31) 각각 마다 최대 유속이 발생하는 위치가 달라지게되어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변동이 커질 수 있다.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air can be relatively slow in the first gap G1 and the discharge flow velocity of the air can be formed relatively quickly in the second gap G2. As a result, the position at which the maximum flow velocity is generated vari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of the cross-flow fan 30, and the flow fluctuation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can be increas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류팬(30)은 복수의 단위팬(31)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짐으로 인하여, 복수의 단위팬(31) 각각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복수의 단위팬(31) 상호 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5, the cross-flow fan 3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fans 31 are connected in series, so that air discharg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is supplied to a plurality of unit fans 31),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can be changed.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은 복수의 단위팬(31)의 중심에서 가장 빠르고, 복수의 연결판(32)에서 가장 느린 분포를 가질 수 있다.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은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따라 복수의 연결판(32)으로부터 복수의 단위팬(31)의 중심으로 갈수록 빨라질 수 있다. The flow velocity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is the fastest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and can have the slowest distribution i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lates 32. [ The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can be increased from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32 toward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along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flow fan 30.

복수의 단위팬(31) 각각의 위치별 유동 특성은 곡면 형상을 이룰 수 있고, 복수의 단위팬(31)이 연결된 횡류팬(30)의 전체 유동 특성은 곡면 형상이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따라 연결되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The overall flow characteristics of the cross flow fan 30, to which the unit fans 31 are connected, are determined such that the curved shape of the cross flow fan 30 is parallel to the axis of the cross flow fan 30, (Y) along the Y direction.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유속이 느린 복수의 연결판(32) 주위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유속이 빠른 복수의 단위팬(31) 주위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유동 간섭을 받을 수 있다.Therefore, the air discharged arou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lates 32 having a relatively low flow rate can be subjected to the flow interference by the air discharged around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having a relatively high flow velocity.

횡류팬(30)의 복수의 단위팬(31)과 복수의 연결판(32) 사이에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 차이에 의한 유동 간섭으로,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상당히 불안정해질 수 있다. 불안정한 공기의 유동은 송풍 소음을 야기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횡류팬(30)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By the flow interference caused by the speed difference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32 of the cross flow fan 30, The flow of air can be significantly unstable. The unstable air flow may cause blow noise and may ultimately lower the performance of the cross flow fan 30. [

횡류팬(30)의 복수의 단위팬(31)이 배열되는 위치에 따라 복수의 단위팬(31)의 상호 간에도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각각 다를 수 있다.The speeds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arranged in the cross flow fan 30. [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따른 배열 중 중심부에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팬(31)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횡류팬(30)의 양 단부에 배열되는 복수의 단위팬(31)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A plurality of unit fans (31)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cross-flow fan (30) are arranged at both ends of the cross-flow fan (30) 31). ≪ / RTI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스태빌라이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횡류팬과 스태빌라이져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횡류팬과 스태빌라이져의 횡단면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vetoreer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a cross flow fan and a stator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ross flow fan and a stator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져(50)는 두께가 얇고 속이 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태빌라이져(50)는 플라스틱과 같이 탄성을 가진 가벼운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stabilizer 50 may have a thin and hollow shape. The stabilizer 50 may be made of a lightweight material, such as plastic, resilient.

스태빌라이져(50)는 본체(10)의 내부영역을 횡류팬(30)에 의해 흡입 또는 토출되는 공기의 흡입영역(A)과 토출영역(B)로 구분할 수 있는 유동분리부(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bilizer 50 includes a flow dividing portion 52 capable of dividing an internal region of the main body 10 into a suction region A and a discharge region B of air sucked o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

유동분리부(52)는 횡류팬(30)의 축 방향(Y)으로 복수의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동분리부(52)는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따라 횡류팬의 회전 방향(W)으로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분리부(52)는 3차원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low separating section 52 may have a plurality of curved shapes in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flow fan 30. [ The position of the flow separating section 52 can be changed along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flow fan 30 in the rotational direction W of the cross flow fan. Therefore, the flow separation portion 52 can have a three-dimensional curved surface shap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분리부(52)는 횡류팬(30)과 이격되어 대응되는 팬대응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팬대응부(520)는 복수의 단위팬(31)의 중심에 대응하는 제1부분(521) 및 복수의 연결판(32)에 대응하는 제2부분(522)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flow separation unit 52 may include a fan counterpart 520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cross flow fan 30. The fan counterpart 52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521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and a second portion 522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32. [

유동분리부(52)의 제1부분(521) 및 제2부분(522)는 복수의 단위팬(31)과 복수의 연결판(32)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특성을 고려하여, 위치를 다르게 배치할 수 있다. 유동분리부(52)와 횡류팬(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되면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The first portion 521 and the second portion 522 of the flow dividing portion 52 are arranged in a pos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32 Can be arranged differently. The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low separation section 52 and the cross flow fan 30. [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복수의 단위팬(30)의 중심에 대응하는 제1부분(521)과 횡류팬(30) 사이의 대응되는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흐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낮출 수 있다. By increasing the corresponding intervals between the first portion 521 and the cross-flow fan 30 corresponding to the centers of the plurality of unit fans 30, the speed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flow fan 30 is relatively fast, A space in which the flow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fan 30 can flow can be secured and the speed of the discharged air can be lowered.

이와 반대로,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복수의 연결판(32)에 대응하는 제2부분(522)과 횡류팬(30) 사이의 대응되는 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손실을 억제하고 공기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On the contrary, by making the corresponding intervals between the second portion 522 and the transverse fan 30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lates 32 relatively slow in speed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transverse fan 30, The flow loss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can be suppressed and the speed of the air can be increased.

제2부분(522)의 횡류팬(30)의 회전 방향(W)을 따른 길이는 제1부분(521)의 횡류팬(30)의 회전 방향(W)에 따른 길이보다 길 수 있다. 팬대응부(520)의 횡류팬(30)의 회전 방향(W)을 따른 길이는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따라 제1부분(521)으로부터 제2부분(522)으로 갈수록 길어질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522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W of the cross flow fan 30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portion 521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W of the cross flow fan 30. [ The length of the fan-accommodating portion 520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W of the cross-flow fan 30 increases from the first portion 521 to the second portion 522 along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transverse fan 30 It can be lon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태빌라이져(50)의 형상은 대략 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단면이 정확한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은 아니고, 횡류팬(30)에 의한 공기의 와류를 안정시키고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부드러운 곡선을 구비하며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shape of the stabilizer 50 may have a substantially triangular cross-section. However, the cross section is not formed in a precise triangular shape, but may be formed with a smooth curve in order to stabilize vortex of the air by the cross-flow fan 30 and reduce noise.

곡면을 이루는 유동분리부(52)는 횡류팬(30)에 의해 편심된 와류의 BPF소음(Blade Passing Frequency Noise)과 유동 난류 소음을 저감할 수 있고, 스태빌라이져(50)의 횡류팬(30)과 마주보는 면에 채용되어 난류 유동을 교란시킬 수 있다. The flow separating section 52 forming the curved surface can reduce the BPF noise and the turbulent flow noise of the vortex eccentrically formed by the cross flow fan 30 and reduce the cross flow fan noise of the cross flow fan 30 ) And can disturb the turbulent flow.

스태빌라이져(50)는 횡류팬(30)에 의해 본체(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류를 안내하는 가이드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51)는 횡류팬(30)에 의해 본체(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류를 흡입영역(A)으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511) 및 횡류팬(30)에 의해 본체(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류를 토출영역(B)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bilizer 50 may include a guide portion 51 for guiding a flow of air that flows inside the main body 10 by the cross flow fan 30. The guide section 51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 section 511 for guiding the airflow flowing inside the main body 10 to the suction area A by the cross flow fan 30 and the cross flow fan 30, And a second guide part 512 for guiding the airflow flowing in the discharge area B to the discharge area B.

유동분리부(52)는 가이드부(51)와 연결되고, 횡류팬(30)에 의해 토출영역(B)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다시 흡입영역(A) 측으로 재 유입되지 않고 토출구(1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횡류팬(3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low separating portion 52 is connected to the guide portion 51 and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region B by the cross flow fan 30 is not re-introduced to the suction region A again, An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ross flow fan 30 so as to be discharged into the room.

유동분리부(52)는 제1가이드부(511)와 연결되고 횡류팬(30)의 축 방향(Y)으로 연장되는 팬대응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팬대응부(520)는 횡류팬(30)의 축 방향(Y)으로 서로 다른 위치를 가질 수 있다. 팬대응부(520)는 횡류팬(30)의 회전 방향(W)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팬대응부(520)는 횡류팬(30)의 축 방향(Y)으로 복수의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low separating portion 52 may include a fan corresponding portion 520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511 and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flow fan 30. The fan counterpart 520 may have different positions in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flow fan 30. The fan counterparts 520 may be arranged to have different length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W of the cross-flow fan 30. [ The fan counterpart 520 may have a plurality of curved shapes in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flow fan 30.

팬대응부(520)의 길이는 동일 평면 상에서 횡류팬(30)의 중심(O)과 제1부분(521)을 연결하는 제1가상의 선(L1)과 횡류팬(30)의 중심(O)과 제2부분(522)을 연결하는 제2가상의 선(L2) 사이의 횡류팬(30)의 회전 방향(W)에 따른 각도(

Figure pat00001
)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fan counterpart 520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first imaginary line L1 connecting the center O of the cross-flow fan 30 and the first portion 521 on the same plane and the center O of the cross- Of the cross-flow fan 30 between the second imaginary line L2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522 and the second portion 522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direction W of the cross-
Figure pat00001
)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the signal.

동일 평면상에서 제1가상의 선(L1)과 제2가상의 선(L2) 사이의 횡류팬(30)의 회전 방향(W)에 따른 각도(

Figure pat00002
는 0도에서 최대 15도를 가질 수 있다. 동일 평면상에서 제1가상의 선(L1)과 제2가상의 선(L2) 사이의 횡류팬(30)의 회전 방향(W)에 따른 각도(
Figure pat00003
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약 10도를 가질 수 있다.An angle (?)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W of the cross-flow fan 30 between the first imaginary line L1 and the second imaginary line L2 on the same plane
Figure pat00002
Lt; RTI ID = 0.0 > 15 degrees. ≪ / RTI > An angle (?)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W of the cross-flow fan 30 between the first imaginary line L1 and the second imaginary line L2 on the same plane
Figure pat00003
May preferably have a maximum of about 10 degrees.

스태빌라이져(50)의 위치는 횡류팬(30)과의 간격을 적절히 고려하여 배치할 필요가 있다. 스태빌라이져(50)와 횡류팬(30) 사이의 간격에 따른 영향은 횡류팬(30)과 유동분리부(52)의 위치관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stabilizer 50 in consideration of the spacing with the cross-flow fan 30. The influenc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tabilizer 50 and the cross flow fan 30 can be determined by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ross flow fan 30 and the flow separation portion 52. [

유동분리부(52)와 횡류팬(30)의 간격이 작으면 송풍 효과가 향상되지만 송풍 소음이 생기기 쉽고, 유동분리부(52)와 횡류팬(30)의 간격이 넓으면 송풍 소음은 저감될 수 있으나, 송풍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유동분리부(52)와 횡류팬(30)의 간격은 횡류팬(30)의 크기 및 동작 속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If the interval between the flow dividing section 52 and the cross flow fan 30 is small, the blowing effect is improved but the blow noise is apt to occur. If the interval between the flow separation section 52 and the cross flow fan 30 is wide, However, the blowing effect may be reduced. The interval between the flow dividing section 52 and the cross flow fan 30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operating speed of the cross flow fan 30 and the like.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 유동 분리부(52)가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따라 곡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 복수의 단위팬(31)과 대응되는 부분 및 복수의 연결판(32)과 대응되는 부분이 횡류팬(30)과 가지는 간격이 서로 크게 다를 수 있다.When the flow dividing section 52 has a curved shape along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flow fan 30 in order to consider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And the interval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32 and the cross-flow fan 30 may be grea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복수의 단위팬(31)과 대응되는 부분 및 복수의 연결판(32)과 대응되는 부분과 횡류팬(30)과의 간격이 서로 크게 다를 경우,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특성은 고려되었으나,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위치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When the space betwee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32 and the space between the transverse fan 30 are grea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low of air discharged by the transverse fan 30 The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may be influenced by the position.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특성을 고려하면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팬대응부(520)는 횡류팬(30)이 축 방향(Y)을 따라 횡류팬(30)의 회전 방향(W)으로 길이가 변화할 수 있다.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flow rate of the air to be discharged while considering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the fan counterpart 520 causes the cross flow fan 30 to move along the axial direction Y The length can be chang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W of the cross-flow fan 30. [

즉, 팬대응부(520)와 횡류팬(30)은 횡류팬(30)의 반경 방향(R)으로 일정한 간격의 제1공간(H)을 가질 수 있다. 팬대응부(520)는 횡류팬(30)의 복수의 블레이드(310)의 일 단부로부터 횡류팬(30)의 반경 방향(R)으로 일정한 간격의 제1공간(H)을 가질 수 있다. 팬대응부(520)는 횡류팬(30)의 중심(O)으로부터 횡류팬(30)의 반경 방향(R)으로 일정한 거리를 가지는 제1공간(H)을 두고 횡류팬(3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fan counterpart 520 and the cross-flow fan 30 may have a first space H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radial direction R of the cross-flow fan 30. The fan counterpart 520 may have a first space H spaced from the one end of the plurality of blades 310 of the cross-flow fan 30 in the radial direction R of the cross- The fan counterpart 520 is separated from the cross flow fan 30 by a first space H hav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center O of the cross flow fan 30 in the radial direction R of the cross flow fan 30 .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서,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져 도면이다.9A and 9B are views of a stevia comprising a plurality of ribs in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분리부(52)는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리브(500)를 포함할 수 있다. 횡류팬(30)에 의해 생성된 와류의 일부는 스태빌라이져(50)의 복수의 리브(500)의 부드러운 곡선부를 타고 유동하며, 나머지 일부는 복수의 리브(500) 사이의 간격으로 흐르게 되어 와류가 훨씬 안정화되고 소음도 저감될 수 있다.9A and 9B, the flow separation portion 52 may include a plurality of ribs 500 arranged along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flow fan 30. As shown in FIG. A part of the vortex generated by the cross flow fan 30 flows along the smooth curv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ribs 500 of the stabilizer 50 and the remaining portion flows at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500, Can be much stabilized and noise can be reduced.

복수의 단위팬(31)의 중심에 대응되는 유동분리부(52)는 복수의 리브(50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리브(500)는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500)는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따라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고 배열될 수도 있다. The plurality of ribs 500 may not be formed in the flow separation part 52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unit fans 31. [ The plurality of ribs 500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flow fan 30. [ The plurality of ribs 500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flow fan 30. [

복수의 리브(500)는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따라 각각의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500)는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고 배열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ribs 500 may be arranged with the same thickness along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transverse fan 30. The plurality of ribs 500 may be arranged with different thicknesses along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flow fan 30. [

즉, 복수의 리브(500)의 크기와 두께 및 복수의 리브(500) 사이의 간격 등은 각 공기 조화기(1)의 형상과 횡류팬(30)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plurality of ribs 500,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500, and the like can be various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each air conditioner 1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oss- have.

복수의 리브(500)는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따라 직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리브(500)는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배열될 수도 있다. The plurality of ribs 500 may be arranged at right angles along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transverse fan 30. The plurality of ribs 500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flow fan 30.

복수의 리브(500)가 횡류팬(30)의 축 방향(Y)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각도가 생기면, 복수의 리브(500)가 횡류팬(30)의 축 방향(Y)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열되는 경우에 비하여 횡류팬(30)에 의해 형성된 와류가 횡류팬(30)의 축 방향(Y)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열된 복수의 리브(500)와 맞부딪혀 발생하는 소음을 더욱 줄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ribs 500 are arranged at right angles to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flow fan 30 when the plurality of ribs 500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 flow fan 30,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vortex formed by the cross-flow fan 30 hits against the plurality of ribs 500 arranged at right angles to the axial direction Y of the cross-flow fan 30 can be further reduced.

즉,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기울어져 일정한 각도로 배열되는 복수의 리브(500)의 완만한 곡선형상과 복수의 리브(500)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면서 난류를 교란시켜 더욱 유동이 안정화되어 토출구(12)로 안내되므로, BPF소음이 줄어들고 유동난류소음도 줄어드는 등 전체적으로 소음이 감소할 수 있다.That is,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flow fan 30 is tilted and passes through the gently curved shape of the plurality of ribs 500 arranged at a constant angle and the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ribs 500, Is guided to the discharge port 12, so that the BPF noise is reduced and the turbulent flow noise is reduced, so that the overall noise can be reduced.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의 동작과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전원이 인가되면, 횡류팬(30)이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기 시작하고, 횡류팬(30)에 의해 흡입구(11)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rts to be driven by a driving motor (not shown) when the power is applied and the air is blown by the cross flow fan 30 through the suction port 11 And can be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횡류팬(30)에 의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0)의 전면에 구비된 필터(미도시)를 통과하면서, 먼지와 세균 등이 걸러진 후 열교환기(20)을 통과하면서 열 교환될 수 있다.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by the cross flow fan 30 passes through a filter (not shown) provided on the front face of the heat exchanger 20, and dust, bacteria, and the like are filtered and then the heat exchanger 20 And can be heat ex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열교환기(20)에 의해 열 교환된 공기는 횡류팬(30)을 통과하면서 와류를 생성하고, 와류는 공기 조화기(1)의 배면에 형성된 리어가이드(40)에 의해 유동이 다소 안정되어 정압으로 회복될 수 있다.The air that has been heat-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r 20 passes through the cross-flow fan 30 to generate vortex. The vortex is stabilized by the rear guide 40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air conditioner 1, .

횡류팬(30)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리어가이드(40)를 지나, 스태빌라이져(50)와 리어가이드(40)에 의해 형성되는 토출구(1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The air discharged by the cross flow fan 30 can be discharged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guide 12 formed by the stabilizer 50 and the rear guide 40 through the rear guide 40. [

스태빌라이져(50)의 구조, 배열,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횡류팬(30)에 의해 발생한 동압의 와류를 정압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유동 손실과 유동 변동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고, 동일 풍량 기준으로 송풍 소음을 최대 약 1.5dBA까지 저감할 수 있다.By improving the structure, arrangement, and shape of the stabilizer 5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due to the flow loss and the flow fluctuation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the swirling flow of the dynamic pressure generated by the cross flow fan 30 into the static pressure, The noise level can be reduced up to about 1.5 dBA as a standard.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 : 공기 조화기 10 : 본체
11 : 흡입구 12 : 토출구
20 : 열교환기 30 : 횡류팬
31 : 복수의 단위팬 32 : 복수의 연결판
310 : 블레이드 40 : 리어가이드
50 : 스태빌라이져 51 : 가이드부
511 : 제1가이드부 512 : 제2가이드부
52 : 유동분리부 521 : 제1부분
522 : 제2부분 500 : 복수의 리브
A : 흡입영역 B : 토출영역
G1 : 제1간격 G2 : 제2간격
Y : 횡류팬의 축 방향 W : 횡류팬의 회전 방향
R : 횡류팬의 반경 방향 O : 횡류팬의 중심
L1 : 제1가상의 선 L2 : 제2가상의 선
H : 제1공간

Figure pat00004
: 제1각도1: air conditioner 10: main body
11: inlet 12: outlet
20: heat exchanger 30: cross flow fan
31: plural unit fans 32: plural connection plates
310: Blade 40: Rear guide
50: Stabilizer 51: Guide part
511: first guide part 512: second guide part
52: flow separation part 521: first part
522: second part 500: plural ribs
A: Suction area B: Discharge area
G1: first spacing G2: second spacing
Y: Axial direction of cross-flow fan W: Direction of rotation of cross-flow fan
R: Rad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O: Center of the cross flow fan
L1: first virtual line L2: second virtual line
H: First space
Figure pat00004
: First angle

Claims (17)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 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하는 횡류팬; 및
상기 횡류팬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횡류팬에 의해 상기 본체의 내부를 유동하는 기류를 흡입영역으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와 토출영역으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되는 유동분리부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져;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 cross flow fan for discharging air heat-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r to the discharge port; And
A first guide portion positioned adjacent to the cross-flow fan and configured to guide airflow flow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to the suction region by the cross-flow fan, and a second guide portion guiding to the discharge region; And a stator having a flow divi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cross flow fan and having a position varying in a rotating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along an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분리부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으로 복수의 곡면 형상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dividing section has a plurality of curved shap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분리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팬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팬대응부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 및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로 배치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separating portion includes a fan correspon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Wherein the fan counterparts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and in different lengths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횡류팬은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팬 및 상기 복수의 단위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팬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팬대응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팬의 중심에 대응하는 제1부분 및 상기 복수의 연결판에 대응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의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제1부분의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긴 공기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ross-flow fan includes a plurality of unit fans connec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late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unit fans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unit fans,
Wherein the fan correspond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unit fans and a seco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Wherein the length of the second portion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portion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팬대응부의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을 따른 길이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부분으로 갈수록 길어지는 공기 조화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length of the fan-accommodating portion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becomes longer from the first portion to the second por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대응부는 상기 횡류팬으로부터 상기 횡류팬의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an counterpart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ross-flow fan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대응부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으로 복수의 곡면 형상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an corresponding portion has a plurality of curved shap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횡류팬의 중심과 상기 제1부분을 연결하는 제1가상의 선과 상기 횡류팬의 중심과 상기 제2부분을 연결하는 제2가상의 선 사이의 동일 평면 상에서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에 따른 각도는 최대 15도인 공기 조화기.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econd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ross-flow fan and the second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cross-flow fan and the first portion, and an angle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cross- Is an air conditioner with a maximum of 15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분리부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ow separa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ibs arrang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열되는 공기 조화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lurality of ribs are arranged at different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공기 조화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lurality of ribs have different thicknesse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기울어져 배열되는 공기 조화기.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plurality of ribs are arranged to be inclin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 교환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토출하고, 복수의 단위팬 및 상기 복수의 단위팬을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판을 포함하는 횡류팬; 및
상기 횡류팬에 의해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의 흡입영역으로 유동하는 기류를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 토출영역으로 유동하는 기류를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 및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제2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유동분리부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져;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분리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팬의 중심에 대응하는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연결판에 대응하는 제2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으로 길이가 길어지는 팬대응부를 포함하고,
상기 팬대응부는 상기 횡류팬의 복수의 블레이드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횡류팬의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 heat exchanger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 cross flow fan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fans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lates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unit fan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And
A first guide portion for guiding a flow of air to the suction region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by the cross flow fan, a second guide portion for guiding a flow of air to the discharge region, And a flow separat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and connecting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Wherein the flow separa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and extends from a firs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unit fans to a seco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lates, And a fan corresponding portion having a longer length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an,
Wherein the fan counterpart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plurality of blades of the cross-flow fan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분리부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low separat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ibs arranged at intervals along an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한 공기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는 횡류팬; 및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배열되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횡류팬의 회전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되는 유동분리부를 가지는 스태빌라이져;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A main body having a suction port and a discharge port;
A cross flow fan for discharg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And a stator having a plurality of ribs arranged with an interval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the sta- bilizer having a flow dividing portion whose position is chang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Air conditione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분리부는 상기 횡류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횡류팬의 반경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로 상기 횡류팬과 이격되는 공기 조화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low separating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cross-flow fa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ross-flow fan from the center of the cross-flow fa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분리부는 상기 횡류팬의 축 방향으로 복수의 곡면 형상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low dividing section has a plurality of curved shap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ross flow fan.
KR1020160137929A 2016-10-21 2016-10-21 Air conditioner KR20180044165A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929A KR20180044165A (en) 2016-10-21 2016-10-21 Air conditioner
EP17196206.1A EP3315785B1 (en) 2016-10-21 2017-10-12 Air conditioner
US15/786,447 US20180112888A1 (en) 2016-10-21 2017-10-17 Air conditioner
CN201710969878.XA CN107975868A (en) 2016-10-21 2017-10-18 Air-conditio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929A KR20180044165A (en) 2016-10-21 2016-10-21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165A true KR20180044165A (en) 2018-05-02

Family

ID=6008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929A KR20180044165A (en) 2016-10-21 2016-10-21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112888A1 (en)
EP (1) EP3315785B1 (en)
KR (1) KR20180044165A (en)
CN (1) CN107975868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69522B2 (en) * 2016-11-21 2018-08-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107166496A (en) * 2017-06-30 2017-09-15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Ducting assembly and warm-air drier
KR20210062846A (en) * 2019-11-22 2021-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USD1006203S1 (en) 2020-12-02 2023-11-28 Vornado Air, Llc Window fan
USD1006202S1 (en) 2020-12-02 2023-11-28 Vornado Air, Llc Window fan
CN113310008B (en) * 2021-06-07 2022-09-06 何育林 Street lamp provided with negative ion purific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66053A (en) * 1963-04-22 1967-04-19 Hoover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cross-flow machines for inducing flow of fluids
CN1196894C (en) * 2000-09-29 2005-04-13 三菱电机株式会社 Air conditioner
JP3593106B2 (en) * 2001-03-26 2004-11-2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Indoor units and air conditioners
KR100830454B1 (en) * 2002-01-24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crossflow fan
KR101116675B1 (en) * 2004-04-08 2012-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Air conditioner
JP2007120880A (en) * 2005-10-28 2007-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Cross flow fan
JP2012225573A (en) * 2011-04-20 2012-11-15 Panasonic Corp Air conditioner indoor unit
JP5533969B2 (en) * 2012-09-28 2014-06-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Air conditioner
JP5716766B2 (en) * 2013-02-12 2015-05-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Air conditioner
JP6472625B2 (en) * 2014-09-01 2019-02-20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Air conditioner
CN105258215B (en) * 2015-09-23 2017-12-22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Vertical indoor 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12888A1 (en) 2018-04-26
EP3315785A1 (en) 2018-05-02
CN107975868A (en) 2018-05-01
EP3315785B1 (en)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4165A (en) Air conditioner
JP6434152B2 (en) Centrifugal blower, air conditione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CN111279085B (en) Centrifugal blower, blower device, air condition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JP4906555B2 (en) Sirocco fan and air conditioner
US10465697B2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2379031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304441B1 (en) Cross flow type blower an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blower
KR20030035328A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5744209B2 (en) Air conditioner
CN109073266B (en) Air conditioner
CN108291727B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30109515A (en) Axial fan of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6695403B2 (en) Centrifugal blower and air conditioner
CN209877170U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KR100545985B1 (en) Air conditioner
KR100789817B1 (en) centrifugal fan of air-conditioner
KR100382522B1 (en) Convertible type indoor device of air-conditioner
KR100556436B1 (en) Indoor unit of packaged air conditioner
KR102058859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01221457A (en) Refrigeration apparatus
JPH09269139A (en) Air-conditioner
KR20220095968A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312467Y1 (en) Structure of grill to Air-conditioner filled in ceiling
KR100444923B1 (en) Air conditioner
KR20110001122A (en) Fan assembly, ventil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the fan assembly an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the ventil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