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7913A - 비재습윤성 다섬유 핸드 타월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비재습윤성 다섬유 핸드 타월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7913A
KR20040047913A KR10-2004-7005467A KR20047005467A KR20040047913A KR 20040047913 A KR20040047913 A KR 20040047913A KR 20047005467 A KR20047005467 A KR 20047005467A KR 20040047913 A KR20040047913 A KR 20040047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s
absorbent
layer
multilayer web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러셀 프레데릭 로스
수잔 일레인 스미스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4004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91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8Multi-ply at least one of the sheets having a fibrous composition differing from that of other 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10Organic non-cellulose fibres
    • D21H13/12Organic non-cellulose fibre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3/14Polyalkenes, e.g. polystyrene polyethylen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4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59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Landscapes

  • Nonwoven Fabrics (AREA)
  • Pap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다층웹은 제1 섬유 및 제2 섬유가 그 위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친수성인 제1 섬유와 소수성인 제2 섬유를 포함하는 상부 표면층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을 포함한다. 흡수성 다층 웹의 제조 방법은 친수성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 소수성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친수성 및 소수성 섬유의 제1 웹층을 형성하는 단계, 적어도 제2 웹층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층을 상기 제2 웹층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재습윤성 다섬유 핸드 타월 및 그의 제조 방법{NON-REWETTING MULTI-FIBER HAND TOWEL AND METHODS OF MAKING SAME}
손을 씻은 후, 일반적으로 종이 기재 핸드 타월이 특히 공중 화장실에서 손을 건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종종, 상기 타월은 외부층(들)이 젖은 촉감이 들 때까지 사용되어 때때로 사용자의 손에 습기가 잔존하고, 건조한 느낌이 불충분하게 된다. 이때, 젖은 타월은 버려지고, 손을 계속 건조시키기 위해 다른 타월을 사용할 수 있다. 불운하게도, 이러한 행위는 종종 핸드 타월의 충분한 흡수 용량을 사용하지 못한다. 사용된 타월의 외부층(들)이 젖은 느낌이 있어도, 타월은 이용할 수 있는 흡수 용량을 계속 보유할 수 있다. 그러나, 핸드 타월이 젖었고 이를 계속 사용하면 타월의 수분이 사용자의 손에 다시 전달될 것 (즉, 재습윤)이라는 사용자의 인식 때문에 사용자는 타월을 버리고 건조한 새 타월을 사용한다. 그 결과, 타월의 충분한 흡수 용량을 이용하지 못함으로써 건조한 촉감을 얻기 위해사용자가 추가의 타월을 사용하거나 젖은 촉감을 보완하기 위해 타월의 제조시에 과량의 원료를 첨가하여야 하고, 상기 과량의 원료는 적절한 수분 흡수를 보장하지만 건조 목적을 보장하기 위해 실제로 필요한 것보다 큰 흡수 용량을 갖는 핸드 타월을 제조함으로써 사실상 과도하게 보완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개인 위생 용품, 예를 들어 기저귀, 여성 생리대 및 배변연습용 팬티는 셀룰로스계 또는 부직 물질의 흡수 능력을 증강시키기 위해 초흡수제를 사용하여 종종 제조되어 왔다. 상기 물질은 흡수 제품의 피부 접촉 표면으로부터 유체를 유인하는 데 매우 효과적일 수 있지만, 상기 초흡수제는 구조적으로 비실용적이거나 핸드 타월의 제조시에 복잡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초흡수제는 종종 고가이고, 소비자에게 종이 타월의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과거에 소수성 물질이 종이 타월에 사용되었지만, 종이 타월의 표면 전체에 걸쳐서 일정하게 건조한 느낌을 생성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물질을 사용하였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1,122,959호 (리틀 (Little), Paper Towel)에는 강도 보강 특성을 위해 종이 타월의 표면 상에 인쇄되는 소수성 물질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강도 보강은 종이 타월 표면 상의 특정한 좁은 선을 따라 수행된다.
미국 특허 제5,389,202호 (에버하르트 (Everhart) 등, Process for Making a High Pulp Content Nonwoven Composite Fabric)에는 연속 필라멘트 기재에 펄프 섬유를 수엉킴시켜 제조한 70 중량% 초과의 펄프를 효과적으로 제조하는 복합 부직패브릭이 기재되어 있다. 연속 필라멘트 기재는 한면에 하나의 펄프층으로, 필요한 경우 다른 면에는 상이한 펄프층으로 수엉킴되어 2개의 펄프 풍부면을 갖는 복합재를 생성시킬 수 있다. 고함량 펄프는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흡수층으로의 유체 수송을 개선시켜 흡수 코어의 수분과 사용자의 피부 사이의 분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분배층으로서 헤비 듀티 (heavy duty) 와이퍼 내에 및 흡수성 개인 위생용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그 전부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990,377호 (첸 (Chen) 등, Dual-Zoned Absorbent Webs)에는 습윤 특성을 변경시키기 위해 소수성 섬유가 종이 외부에 존재하는 웹이 기재되어 있다. 이 웹은 소수성 물질이 피크 상에 퇴적된, 피크와 밸리를 모두 갖는 3차원 흡수웹이다. 이 웹은 유체 유동과 건조 촉감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웹은 3차원 친수성 웹 상의 최상부 신체 접촉 영역 상에 소수성 물질을 퇴적시키켜 제조된다.
따라서, 전체 타월 표면에 걸쳐서 균일하게 건조한 촉감을 보유하면서 손을 건조시키는 동안 수분을 계속 흡수하는 적절한 핸드 타월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상기 타월은 "재습윤" 느낌을 사용자가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상기 타월은 타월의 전체 흡수 용량을 실질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허용하여 타월 소비율 및(또는) 원료 소비율을 저하(타월 기초 중량의 저하를 유도)시킴으로써 폐기되는 물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타월은 또한 1장의 핸드 타월의 이용성을 개선시키고, 궁극적으로 소비자의 총 비용을 개선시킬 수 있다.
<발명의 개요>
흡수성 다층 웹은 제1 섬유 및 제2 섬유가 그 위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친수성인 제1 섬유와 소수성인 제2 섬유를 포함하는 상부 표면층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제2 섬유는 상부 표면층의 약 10 내지 약 50%의 양으로 포함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소수성 섬유는 화학적으로 처리된 셀룰로스계 섬유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소수성 섬유는 아미노 폴리실록산으로 화학적으로 처리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추가의 층은 친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서, 흡수성 다층 웹은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외부층은 제1 및 제2 섬유를 포함한다. 제1 섬유는 친수성이고, 제2 섬유는 소수성이다. 상기 제1 및 제2 섬유는 웹의 제1 및 제2 외부층 상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한다. 제3의 중간층은 제1 및 제2 외부층 사이에 배치되고, 친수성 섬유로 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태양의 변형 실시태양에서, 제2 섬유는 제1 및 제2 외부층의 약 10 내지 약 50%를 구성한다.
흡수성 다층 웹의 제조 방법은 친수성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 소수성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친수성 및 소수성 섬유의 제1 웹층을 형성하는 단계, 적어도 제2 웹층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층을 상기 제2 웹층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수성 및 친수성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핸드 타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타월이 건조한 상태라고 느끼고 또한 수분을 흡수하는 핸드 타월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핸드 타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플라이 (single-ply)에 두개의 층을 갖는 종이 타월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플라이에 세개의 층을 갖는 종이 타월의 다른 실시태양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월의 비재습윤 성능 대 소수성 섬유 농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정의
본 발명의 웹 및 그의 유체 처리 특성의 설명에 있어, 많은 용어 및 시험이 아래에서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고수율 (high-yield) 펄프 섬유"는 약 65% 이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75% 이상,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75 내지 약 95%의 수율을 제공하는 펄프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펄프의 제지 섬유이다. 수율은 초기 목재 질량의 백분율로서 표현되는 처리된 섬유의 생성량이다. 고수율 펄프의 예는 표백된 화학열기계적 펄프 (BCTMP), 화학열기계적 펄프 (CTMP), 압력/압력 열기계적 펄프 (PTMP), 열기계적 펄프 (TMP), 열기계적 화학적 펄프(TMCP), 고수율 술파이트 펄프 및 고수율 크라프트 (Kraft) 펄프를 포함하고, 이들 펄프는 모두 고수준의 리그닌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고수율 펄프 섬유는 또한 여수도 (freeness)가 250 Canadian Standard Freeness (CSF)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CSF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0 CSF 이상이고 낮은 미세섬유 함량 (브리트 자 (Britt jar) 시험에 의해 2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을 갖는, 비교적 통합적이고 비교적 손상되지 않은 섬유로 이루어진다는 사실로 특징지울 수 있다. 통상의 제지 섬유 이외에, 고수율 펄프 섬유는 또한 밀크위드 종자 (milkweed seed) 명주 섬유, 마닐라삼, 대마, 케나프 (kenaf), 바가시 (bagasse), 면 등과 같은 다른 천연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섬유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친수성"은 물의 전개를 허용하는 섬유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물질은 약 50 dynes/cm 초과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물리적 특성을 보인다.
용어 "소수성"은 일반적으로 물의 전개를 촉진하지 않는 표면을 갖는 섬유를 의미한다. 그 대신에, 물은 3상 경계선 (공기-물-섬유)에서 물 표면에 접하는, 섬유 표면의 평면으로부터 측정될 수 있는 접촉각 및 액적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접촉각은 40-110도이고, 종종 90도를 초과한다. 또한, 섬유는 약 50 dynes/cm 미만, 예를 들어 약 10-50 dynes/cm의 표면 에너지를 보인다. 소수성 물질에 대한 다른 설명은 문헌 [Hydrophobic Surfaces, edited by F. M. Fowkes of the Academic Press, New York, 1969, page 1]에 기재되어 있다. 소수성 섬유는 본래 소수성인 물질 또는 소수성이 되도록 특정 방식으로 처리된 친수성 섬유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접촉각은 표준 측정 기술, 예를 들어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문헌 [Introduction to Colloid and Surface Chemistry by Duncan J. Shaw, Third Edition, Butterworths 1980, pages 131-13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표면 에너지는 다인 펜 (dyne pen) 세트, 예를 들어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소재의 UV 프로세스 서플라이, 인크. (UV Process Supply, Inc.)에서 시판하는 것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펜은 본원에 기재된 많은 실험에 이용되었다. 그러나, 추가의 표면 에너지 측정 방법은 비틀림 저울 (Torsion Balance) 장치 및 백금 링을 이용하는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영국 소재의 토션 밸런스 서플라이즈 (Torsion Balance Supplies)에서 시판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비압축 건조"는 압축 닙 또는 건조 과정 동안 웹의 일부의 상당한 치밀화 또는 압축을 야기하는 다른 단계를 수반하지 않는, 셀룰로스계 웹의 건조 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의 예는 통기 건조, 공기 제트 충돌 건조, 비접촉식 건조, 예를 들어 공기 부양 건조 [E. V. Bowden, E. V., Appita J., 44(1): 41 (1991)]; 초가열 스팀의 유동 (through-flow) 또는 충돌, 마이크로파 건조 및 다른 무선 주파수 또는 유전체 건조 방법, 초임계 유체에 의한 물 추출, 비수성의 저표면장력 유체에 의한 물 추출, 적외선 건조, 용융 금속의 필름과의 접촉에 의한 건조 및 다른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베이스 시트는 상기 임의의 비압축 건조 수단으로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 건조 크레이핑 (creping) 기술은 웹이 건조 표면의 일부 상에 기계적으로 압축되어 가열된 양키 (Yankee) 실린더 상에 압축되는 영역의 상당한 치밀화를 야기하여야 하기 때문에 압축 건조 방법으로서 판단된다. 공기 압축 및 임의로 크레이핑 처리 없이 작동되는 양키 건조기를 사용하여 비압축 방식으로 탈수시키고 티슈를 건조시키는 기술은 그 전부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6,187,137호 (드루에케 (F. G. Druecke) 등), 제6,197,154호 (첸 (S. Chen) 등) 및 미국 특허 제6,306,257호 (에프. 하다 (F. Hada) 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유용한 종이 타월 제조 공정에 유용한 것은 미국 특허 제5,230,776호 (앤더슨 (I. A. Andersson) 등)에 개시된 초지기 및 그 전부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598,643호 및 제4,556,450호 (두 특허 모두 추앙 (S. C. Chuang) 등)에 개시된 모세관 탈수 기술이다. 문헌 [J. D. Lindsay in "Displacement Dewatering to Maintain Bulk, "Paperi ja Puu, 74(3): 232-242 (1992)]에 기재된 탈수 개념도 상기 분야에 대한 추가의 지침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비재습윤"은 사용 동안 사용자 손의 재습윤 느낌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 방식으로 기능하는 타월을 의미하기 위한 것이다.
"재습윤"은 함수(moistened) 웹으로부터 인접한 건조 여과지 내로 위킹(wicking)될 수 있는 액상 물의 양의 척도이고, 피부를 습윤시키는 함수 웹의 경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재습윤 시험은 티슈웹의 샘플을 약 4 인치 x 6 인치 치수의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수행할 수 있다. 시험은 타피 (Tappi) 컨디셔닝 룸 (50% 상대습도, 73 ℉)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험에서, 컨디셔닝된 샘플의 초기 공기 건조 중량이 기록되고, 티슈 샘플을 균일하게 습윤화시켜 티슈의 총 습윤 중량이 이전에 기록된 샘플의 초기 공기 건조 중량의 4배가 되도록 만들어 샘플의 "겉보기 수분 비율"을 컨디셔닝된 공기 건조 섬유의 g당 첨가된 물의 3.0 g (±0.15 g)의 값이 되도록 티슈 샘플의 양면에 탈이온수가 분무될 수 있다. 적합한 질량에 도달할 때까지 샘플의 반복 분무 및 칭량 과정은 2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샘플이 습윤화되면, 질량이 측정되어 기록되는 하나의건조 와트만 (Whatman) #3 필터를 습윤 티슈 샘플의 중앙에 배치할 수 있고, 필터 디스크 상에 하중체를 즉시 부가시킨다. 하중체는 직경이 4.5 인치이고 두께가 1 인치인 질량 723 g의 원통형 알루미늄 디스크이다. 알루미늄 디스크는 필터 디스크 중앙에 위치하여야 한다. 습윤 샘플 상의 여과지는 20초 동안 하중체 하에 유지되고, 상기 시점에서 하중체와 여과지가 즉시 제거된다. 이어서, 피터 종이를 칭량하고, 초기 공기 건조 질량에 대한 추가의 질량을 재습윤치로서 g으로 보고한다. 아래 실시예에 기재된 것과 같은 상기 시험의 변형을 사용할 수 있다.
"표준화 재습윤"은 샘플의 재습윤치를 샘플의 전조 질량으로 나눈 값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은 웹 표면의 일부 영역에만 분포하고 다른 영역에는 분포하지 않는 것과는 달리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웹층의 전체 표면에 걸쳐 전체적으로 분포된 것을 의미한다. "균일한 분포" 또는 "균일하게 분포된"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웹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친수성 및 소수성 섬유상 물질 모두의 전체적인 이종성 분포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상부 표면층", "웹의 상부 표면", "외부 표면층" 및 "외부층"은 상호 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웹 또는 핸드 타월의 일부의 층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합성" 또는 "합성 섬유"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블렌드 및 공중합체로 제조된 섬유, 또는 다른 공지된 열가소성 물질로 제조된 섬유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웨트-레이드 (wet-laid)"는 예를 들어 섬유의 수성현탁액으로부터 부직 물질이 형성되는 제지 등의 공정을 나타내는 "습식 형성(wet-forming)"과 동등한 의미이다. 웨트-레이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제품의 예는 종이, 인공 가죽, 사포용 안감 및 안면 마스크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종이 타월/티슈/웹을 포함한다. 상기 타월 제조 방법은 그 전부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4,166,001호, 제5,494,554호 및 제5,885,697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습윤 탄성 펄프 섬유"는 고수율 섬유, 화학적으로 강화된 (stiffened) 섬유 및 가교결합된 섬유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지 섬유이다. 화학적으로 강화된 섬유 또는 가교결합된 섬유의 예는 머서가공 (mercerized) 섬유, 바이에르호이저 코포레이션 (Weyerhaeuser Corp.)에서 제조한 HBA 섬유 및 미국 특허 제3,224,926호 (베르나르딘 (L. J. Bernardin)) 및 미국 특허 제3,455,778호 (베르나르딘)에 기재된 섬유를 포함한다. 습윤 탄성 펄프 섬유의 임의의 블렌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고수율 펄프 섬유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원칙에 따라 사용될 때 낮은 비용 및 우수한 유체 처리 성능 때문에 본 발명의 많은 실시태양에서 선택되는 습윤 탄성 섬유이다.
(혼합된 친수성 및 소수성 섬유를 갖는 외부층(들)과는 반대로) 추후 설명되는 특정 흡수층 또는 친수성 부분 내의 베이스 시트 내의 고수율 또는 습윤 탄성 펄프 섬유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10 건조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건조 중량% 이상,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30 건조 중량%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50 건조 중량%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100 중량%이다. 적층 베이스 시트의 경우, 상기와 동일한 양이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층에 적용될 수 있다. 습윤 탄성 펄프 섬유는 일반적으로 다른 제지 섬유보다 연성(softness)이 작기 때문에, 이들 섬유를 최종 제품의 중앙층(들)에만 포함시키는 것이, 예를 들어 이들 섬유를 3층의 베이스 시트의 중앙층 내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다중 플라이 제품의 경우에 이들 섬유를 각각의 플라이의 내부에 면하는 층에 위치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섬유가 타월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 상기 섬유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지 않는 타월의 영역에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영역에서 보다 부드러운 섬유, 예를 들어 당업계의 숙련인에게 공지된 상이한 티슈 제품에서 통상 발견되는 것과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문제 및 필요성은 베이스 시트 상부 표면 (즉, 웹의 상부 표면층)을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친수성 및 소수성 섬유 모두를 포함하는 흡수성 다층 웹의 베이스 시트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핸드 타월은 유체를 포함하지 않거나 유체를 밀어내는, 피부와 접촉하는 영역을 생성시키는 이종의 표면 화학/섬유 구조를 갖는다. 상기 상부 표면층을 포함시킨 타월은 유체를 계속 흡수 및 보유하면서,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웹의 상부 표면에서 건조한 느낌을 유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월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타월 (10)의 베이스 시트는 제1층 (20) 및 제2층 (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층은 하나 또는 두개의 층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기 위한 상부 표면층을 구성하는 단일 플라이를 형성한다. 한 실시태양에서, 한 층이 상부 표면층을 형성할 때 다른 층은 주로 친수성/흡수성 셀룰로스계 섬유이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타월의 다른 실시태양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층 (50) 및 제2층 (70)은 타월 (40) 내의 제1층 및 제2층과 상이한 섬유 또는 상이한 특성을 갖는 제3층 (60)을 실질적으로 샌드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은 예를 들어 이전에 설명한 고수율 섬유/습윤 탄성 펄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제1 및 제2층 (50 및 70)은 타월의 상부 표면층을 형성할 수 있다. 3층은 모두 단일 플라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태양에서, 고수율 친수성/흡수성 펄프 섬유 (또는 습윤 탄성 펄프 섬유)는 특정 층에 전략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티슈 용도에 통상 사용되는 것과 같은 보다 부드러운 친수성 셀룰로스계 섬유를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다른 영역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보다 부드러운 섬유의 예로는 흰색 가문비나무 및 소나무와 같은 목재 및 미루나무, 오크, 물푸레나무, 느릅나무, 단풍나무 및 유칼리나무와 같은 경목을 언급할 수 있다.
보다 부드러운 친수성 섬유와 함께 이용되는 소수성 섬유는 소수성이 되도록 화학적으로 처리된 셀룰로스계 섬유이거나 또는 별법으로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이들의 블렌드 및 공중합체와 같은 본래 소수성인 합성 물질로 형성된 섬유 또는 다른 공지의 열가소성 소수성 물질로 형성된 섬유일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소수성 섬유로서 사용하기 위한 열가소성 물질은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소수성 섬유가 처리된 셀룰로스계 섬유인 경우, 이들은 예를 들어 폴리실록산, 불소 화합물, 실리콘 화합물, 폴리테트라플로오로에틸렌 (PTFE), 왁스, 폴리우레탄 에멀젼, 지방 및 지방산 유도체와 같은 물질로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단일 플라이 제품은 상부 표면층에 약 10 내지 약 50%의 소수성 섬유 및 나머지 성분으로서 친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2중 플라이 제품은 또한 상부 표면층에 약 10 내지 약 50%의 소수성 섬유 및 나머지 성분으로서 친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별법으로, 단일 플라이 제품은 약 10 내지 약 50%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플라이는 피부와 접촉하는 표면 영역을 추가로 감소시키기 위해 높은 로프트 (high loft) 통기 건조 (TAD)로 제조된다. 통기 건조 기술에 대한 설명은 그 전부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990,377호에 제공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3층의 단일 플라이 제품은 고흡수성 (친수성) 셀룰로스계 섬유, 예를 들어 상기 설명한 고수율 섬유로 이루어지는 내층, 및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외부층 모두가 약 10 내지 약 50%의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친수성 섬유로 이루어진 외부층을 포함한다. 다른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3층 실시태양의 내층은 초흡수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3층 실시태양에서, 또한 내층의 공극 크기 분포는 공극 공간에 존재하는 유체를 외부 시트 표면으로부터 유인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상기 공간 내의 유체가 재습윤 현상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화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보다 작은 공극 크기가 바람직하고, 이것은 물질 내의 모세관력을 최대화한다. 다른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3층 실시태양은 사용자의 손에 대한 시트의 소수성 영역의 접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2개의 상부 표면층 상에 3차원 패턴을 갖는다. 통상 종이 제품에 포함되고 제지 기술에 널리 알려진 다른 첨가제가 섬유상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첨가제는 습윤 강도 강화제 (예를 들어 폴리아민 에피클로로히드린) 및 건조 강도 강화제, 예를 들어 전분 및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뿐만 아니라 연화제 및 탈결합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2 이상의 중간 내층이 구조체에 포함된다.
설명한 각각의 실시태양에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외부층 또는 상부 표면층은 이종성 층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소수성 및 친수성 섬유를 포함한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소수성 섬유는 셀룰로스계 섬유로 처리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소수성 섬유는 합성 섬유이다.
단일 플라이 및 다중 플라이 종이 타월에 적합한 베이스 시트는 공지의 제지 기술을 사용하여 제지 섬유의 수성 슬러리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친수성 섬유는 목재, 목재 비함유 펄프 또는 셀룰로스의 다른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고, 고수율 또는 다른 습윤 탄성 펄프 섬유의 일부 및 유효량의 습윤 강도 강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재 및 목재 비함유는 각각 기계적 및 화학적 펄프 섬유를 의미하고, 기계적 펄프 제조시에 전체 나무는 분쇄되어 섬유를 생성시키고, 화학적 펄프 제조시에는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나무의 단편을 용해시켜 개개의 섬유를 생성시킨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소수성 섬유는 변형 목재 및 목재 비함유 펄프 섬유 및 합성 석유계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펄프 섬유 변형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표면 화학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섬유의 표면에 다양한 화합물을 결합시켜 보다 소수성으로 만들 수 있다. 결합은 간단한 판 데르 발스 인력, 이온 또는 공유결합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공유 결합은 일반적으로 그라프팅 (grafting)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된다. 상기 화학은 사이징제 (sizing agent), 예를 들어 AKD (알킬 케톤 이량체), Kymene (에피클로로히드린), 폴리실록산 및 비닐 단량체의 사용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소수성 합성 섬유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불소를 포함하는 혼합 성분 섬유를 포함한다.
베이스 시트는 3차원 직물에 대한 통기 건조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수단에 의해 텍스쳐링 (texturing)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압축 건조되어 3차원 구조를 생성시킨다. 습윤 탄성 펄프 섬유의 고유 강성은 필요한 경우 적합한 가소화제, 예를 들어 글리세롤의 첨가 또는 기계적 처리, 예를 들어 마이크로스트레이닝 (microstraining), 건조 크레이핑 또는 칼렌더링 (calendering)에 의해 저하시킬 수 있다.
3차원 웹의 형성에 적합한 통기 건조 직물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5,429,686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방법, 예를 들어 습식 성형, 3차원 형성 직물에 대한 성형, 부직 기재에 대한 건조, 엠보싱 직물 상으로의 신속한 이동, 엠보싱, 스탬핑 (stamping) 등을 사용하여 유용한 3차원 구조체를 생성시킬 수 있다.
베이스 시트는 상이한 플라이가 잘 결합되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는 단일 다층 구조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일 다층 베이스 시트는 2 이상의 완성지료 (furnish)가 헤드박스의 별개의 챔버 내에 공급되는 적층 또는 층상 헤드박스를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거나, 별법으로 이들은 건조 동안 광범한 수소 결합이 플라이 사이에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건조 전에 습윤 웹을 함께 카우칭(couching)시켜 별개의 헤드박스를 사용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는 섬유의 조성 및 웹에 첨가되는 첨가제를 변경시켜 에어-레이잉 (air-laying) 동안 형성시킬 수 있다.
다층 시트는 각 층의 물질 조성을 적합화시킴으로써 물리적 특성의 보다 우수한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유용한 단일 다층 베이스 시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의 상부 표면에 대응하는 보다 위의 상부 표면층, 및 건조 동안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스계 섬유 사이에 형성된 수소 결합을 통해서 상기 상부 표면층 아래에서 상부 표면층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표면층은 물질 조성 측면에서 베이스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층과 상이하다. 물질 조성의 차이는 섬유 종류의 차이 (예를 들어 경목 대 연목의 비율 또는 소수성 대 친수성 섬유의 비율), 섬유 길이, 섬유 수율, 섬유 형태 또는 화학을 변경시키는 공정, 예를 들어 기계적 정제, 섬유 분별화, 컬 (curl)을 부여하기 위한 분산, 스팀 폭발, 효소 처리, 화학적 가교결합, 오존 처리, 표백, 충전제 또는 다른 화학물질을 사용한 루멘 로딩 (lumen loading), 섬유 내 물질의 초임계 유체 추출 또는 세포벽 상 및 내로의 용질의 초임계 유체 침적을 포함한 초임계 유체 처리 등을 사용한 섬유 처리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상부 표면층과 베이스 시트 내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층 사이의 물질 조성의 차이도 첨가된 화학물질의 종류, 특성 또는 첨가량을 포함하여 첨가된 화학물질의 차이에 기인할 수 있다. 웹의 적어도 하나의 층에 차별적으로 첨가된 화학물질은 탈결합제, 항박테리아제, 습식 강화 수지, 전분, 단백질, 초흡수성 입자, 섬유 가소화제, 예를 들어 글리콜, 착색제, 불투명화제, 계면활성제, 아연 산화물, 베이킹 소다, 실리콘 화합물, 제올라이트, 활성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월은 웨트-레이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소수성 섬유는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박스에서 제1층 또는 제2층 중의 적어도 한층의 친수성 섬유와 혼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층은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술파이트 펄프 또는 BCTM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월의 총 기초 중량은 약 25 gsm (평방미터당 그램) 내지 약 60 gsm이지만, 타월의 기초 중량은 물질의 의도하는 최종 용도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소수성 섬유의 섬유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60 미크론 직경, 약 0.5 내지 3 mm 길이이다. 친수성 섬유의 섬유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섬유와 동일한 범위이다. 한 실시태양에서, 친수성 섬유는 연목 셀룰로스계 물질, 예를 들어 북부 연목 크라프트 (Northern Softwood Kraft)로 이루어지고, 소수성 섬유는 처리된 셀룰로스계 물질로 이루어진다. 소수성 섬유가 부직 기술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용융방사 부직 기술에 의해 제조될 경우, 섬유는 통상의 제지 단계 동안 친수성 섬유 슬러리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3 중간층이 (단일 플라이 구조의 일부로서) 포함될 경우, 제3층은 친수성 물질의 보다 큰 비율을 통해 보다 큰 흡수성을 가질 수 있고, 제1 및 제2층보다 큰 위킹을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서, 타월은 친수성 섬유 및 소수성 섬유를 갖는 제1 상부 표면층 및 제1층보다 큰 흡수성을 갖는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제2층을 포함하는 제1 플라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층은 제1층에 인접하게 위치하여야 한다. 제2 플라이는 제1 플라이에 결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제1 플라이의 거울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타월의 상부 표면층 상에 친수성 섬유와 함께 소수성 섬유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분포가 피부와 접촉하거나 건조 동안 피부에 다시 유동할 수 있는 유체의 양을 저하시켜 건조한 촉감을 개선시키고 건조 동안 손을 재습윤시키지 않는 타월의 느낌을 생성시킴으로써 손 건조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타월의 적합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한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목적상, 용어 "OD"는 오븐 건조(105℃ ± 2℃에서)를 의미한다. 시험된 핸드 시트 샘플의 중량은 3.11 내지 3.89 g이었다. 2층 및 3층 베이스 시트 상의 내층은 800 ㎖의 0.3% 점성 (consistency) 셀룰로스 슬러리로부터 제조하였다. 실시예의 목적상 내층은 비처리 흡수층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내층은 또한 핸드 시트 몰드 상의 스크린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였다. 외부층은 100 ㎖의 0.3% 점성 셀룰로스 슬러리로부터 제조하였다. 외부층은 처리된 층 (처리 및 비처리 셀룰로스계 섬유를 모두 포함)이고, 또한 스크린으로부터 멀리 존재하는 핸드 시트 몰드 상의 층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소수성 섬유상 물질을 생성시키기 위해 셀룰로스를 처리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1 내지 15% 폴리실록산 (NuDry 30, 오에스아이-위트코 코포레이션 (OSI-Witco Corporation))을 이용하였다 (퍼센트는 총 고형물 비율임). 폴리실록산 은 용액 중의 아미노 폴리실록산이었다. 용액의 부피는 실시예에 따라 50 ㎖ 내지 300 ㎖이었다. 보다 큰 총 고형물 비율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보다 큰 농도의 잇점을 얻을 수 없었다. 사실상, 10% 내지 15%의 보다 큰 비율은 최종 제품에서 처리 섬유의 보다 높은 비율에서 재습윤이 완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균일하게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전형적으로, 섬유는 1-5%의 폴리실록산 용액 (50 ㎖의 양)을 원액에 첨가하고 5분 동안 혼합한 후 비처리 섬유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과량을 제거함으로써 처리하였다. 이어서, 상이하게 처리된 섬유를 비처리 섬유 (즉, 원액)에 블렌딩하였다. 처리 섬유의 비처리 섬유에 대한 블렌딩은 하기 표 1의 비율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핸드 시트는 타피 시험법 (Tappi Test Method) T205 sp-95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핸드 시트는 200 메시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 상부에 배치된 통기 건조기 직물을 모두 이용하여 표준 TAPPI 핸드 시트 몰드에서 제조하였다. 사용된 섬유는 북부 연목 크라프트, 남부 연목 크라프트 및 유칼리나무이었다. 처리된 셀룰로스계 섬유와 달리 합성 섬유를 사용할 경우, 이들 섬유는 1-2 mm의 길이로 절단된 2-3 데니어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같은 시트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층들은 습윤 상태로 조합된 후 속박 고리에서 건조되어 적층 핸드 시트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모든 핸드 시트는 압축하지 않았다.
<실시예 1>
초기 실험은 내층 및 외부층 (2층)을 갖는 핸드 시트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핸드 시트 몰드 내의 스크린으로부터 가장 먼) 외부층은 그 내부에 화학적으로 처리된 셀룰로스 섬유를 포함하였다. 내층 (코어)은 유칼리나무 (Eucalyptus) 원액 800 ㎖ (0.3% 점성)로 이루어졌다. 상기 제제는 우수한 흡수성 내부 코어가 확립되도록 허용하였다.
외부층은 100% 연목 셀룰로스 섬유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섬유 중 일부는 소수성 화학제로 처리한 반면 다른 일부는 처리하지 않았다. 상기 층은 0.3% 점성에서 총 0.3 g 섬유 (100 ㎖)로 이루어졌다. 복수개의 상이한 백분율을 외부층 내의 처리 섬유와 비처리 섬유의 비로서 사용하였다. 이는 하기 표 1에 처리 섬유 대 비처리 섬유의 비로서 나타냈다. 이들은 각각의 "%" 및 ㎖ 뿐만 아니라 각각의 gF로서 나타냈으며, gF는 건조 섬유의 그램이다.
샘플 # 처리 (% 및 ㎖) 처리 (gF) 비처리 (% 및 ㎖) 비처리 (gF)
1 100 0.30 0 0.00
2 80 0.24 20 0.06
3 60 0.18 40 0.12
4 40 0.12 60 0.18
5 20 0.06 80 0.24
6 (대조군) 0 0.00 100 0.30
섬유를 처리하는 방법은 처리할 섬유를 화학 처리제 (폴리실록산)와 혼합하고, 부흐너 (Buchner) 깔때기에서 과량의 액체를 제거하고, 섬유를 세척하고 깔때기 처리를 반복하는 것이었다. 첫번째 시도는 600 ㎖ 0.3% 점성 원액을 사용하고15% 고형물 화학 처리제 (확인된 폴리실록산) 300 ㎖을 첨가하고, 여과하고, 세척하고, 여과하고 건조(OD)시킴으로써 처리 섬유의 큰 배치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였다. 생산된 소수성 섬유는 이들 백분율과 부피에서 물 중에 잘 분산되지 않을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 다음 실시예에서 이후 절차를 수행하였다.
<실시예 2>
건조 감촉이 개선된 흡수성 웹의 예를 일반적으로 증명하기 위해, British Handsheet Mold에서 Tappi 표준 절차를 이용하여 핸드 시트를 제조하였다. 셀룰로스계 및 합성 섬유를 모두 함유하는 블렌드로부터 뿐만 아니라 처리 및 비처리 셀룰로스계 섬유의 블렌드로부터 핸드 시트를 제조하였다. 처리 또는 개질 셀룰로스계 섬유는 아미노 폴리실록산으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이들 핸드 시트를 비처리 핸드 시트의 상부에 놓아 다중 플라이 구조를 생산하였다. 재습윤은 물을 시트 위에 붓고, 이를 건조 여과지로 덮고, 압력을 가하고, 여과지의 습기 흡수 (pick-up)를 측정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실시예 3>
실험은 내층/비처리층 및 외부층/처리층 (2층)을 갖는 핸드 시트를 생성시키는 것을 포함하였다. 내층은 800 ㎖의 유칼리나무 섬유 슬러리로부터 0.3% 점성에서 생성하였다. 외부층은 화학 비처리 및 처리 연목 셀룰로스 섬유의 혼합물로부터 생성하였다. 외부층은 아래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하였다. 0.3% 점성 연목 섬유 슬러리의 600 ㎖ 샘플을 더 큰 0.3% 점성 연목 섬유 슬러리로부터 분리시켰다. 5% 총 고형물 화학 처리제의 50 ㎖ 샘플을 연목 섬유 슬러리 샘플에 첨가하였다. 섬유 슬러리 상의 화학물질의 균일도를 보장하기 위해 상기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이어서, 과량의 화학제는 혼합물로부터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제거하여다. 부가적인 과량의 화학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섬유를 물로 세척하고 다시 깔대기에 부었다. 상기 시점에서, 핸드 시트를 제조하기 이전에 연목 샘플의 총 점성율을 결정하기 위해 처리 섬유 샘플의 점성율을 아는 것이 요구된다. 핸드 시트가 목적하는 중량으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연목 샘플의 총 점성율을 아는 것이 중요하였다. 처리 섬유의 점성율 [(섬유 (g)/(섬유 (g) + 물 (g))) x 100]는 처리 섬유의 공지 샘플을 취하고, 상기 샘플을 사용하여 핸드 시트를 제조하고, 오븐 내에서 오븐 건조될 때까지 샘플을 건조시킨 다음 핸드 시트를 칭량함으로써 결정하였다. 처리 연목 섬유를 정확한 비로 비처리 연목 섬유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상기 연목 섬유 슬러리는 시험용 핸드 시트 제조시에 내층과 함께 사용하였다.
이어서 핸드 시트의 샘플을 아래 절차를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핸드 시트를 4-인치 여과지의 상부에 놓았다. 물 2 ㎖을 핸드 시트의 상부에 부었다. 약 15초가 경과하도록 하였다. 다른 4-인치 여과지를 샘플의 상부에 놓았다. 균등하게 분포된 200 g 추를 상부 필터 패드 상에 놓았다. 약 30초가 경과하도록 하였다. 이어서 추를 제거하고 상부 여과지를 칭량하였다. 초기 여과지 중량과 최종 여과지 중량 (물을 갖는) 사이의 차이는 샘플로부터 다시 "재습윤"된 물의 양이다. 이 값은 "재습윤"값 또는 "물"값 (표 2에 설명된 바와 같이)으로 알려질 수 있으며 그램으로 표시된다. 섬유 중량의 매 그램당 샘플로부터 다시 재습윤시킬 물의 양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샘플은 동일한 중량이 아니며 핸드 시트 내로 흡수될수 있는 물의 양은 샘플 내의 섬유의 양에 따른다. 따라서, 각 샘플 내의 섬유의 양 또는 별법으로 샘플의 중량을 고려하는 "표준화 재습윤"값이 확립된다. 표준화 재습윤값은 물 중량 (g)을 웹 중량 (g)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이제 샘플로부터 재습윤시킬 물의 양은 웹 샘플당이 아니라 섬유의 그램당으로 확인된다. 표준화 재습윤값을 보다 유의한 수치로 얻기 위해, "감소된 재습윤" 또는 "비재습윤 성능"값을 계산하였다. 비재습윤 성능값은 대조 샘플 (샘플 #6)의 표준화 재습윤값을 실험 샘플 (샘플 #1-5)의 표준화 재습윤값보다 작은 대조군의 표준화 재습윤값의 양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상기 값은 실험 샘플에서 대조 샘플에 비해 "재습윤"이 감소된 백분율을 나타낸다.
핸드 시트는 TAPPI 표준 핸드 시트 몰드에서 펄프의 물리적 시험을 위한 TAPPI Test Method T 205 sp-95 Forming Handsheets (미국 아틀란타 소재의 타피 프레스 (TAPPI Press))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다양한 소수성/친수성 비율에 대한 비재습윤 성능을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샘플# 처리%+ ㎖ 처리 (gF) 비처리%+ ㎖ 비처리 (gF) 웹(g) 필터초기 (g) 필터최종 (g) 물(g) 표준화재습윤 감소된재습윤(%)
1 100 0.30 0 0.00 3.64 1.39 1.41 0.02 0.005 82
2 80 0.24 20 0.06 3.11 1.44 1.46 0.02 0.006 79
3 60 0.18 40 0.12 3.79 1.39 1.42 0.03 0.008 74
4 40 0.12 60 0.18 3.37 1.39 1.43 0.04 0.012 62
5 20 0.06 80 0.24 3.29 1.43 1.49 0.06 0.018 41
6 0 0.00 100 0.30 3.89 1.43 1.55 0.12 0.031 --
상기 표에서, 약어 "샘플 #"는 샘플 번호를 의미하고, "처리 %"는 처리된셀룰로스계 섬유 백분율이고, "처리 (gF)"는 처리된 셀룰로스 건조 섬유 (g)를 나타내고, "비처리 %"는 비처리된 셀룰로스 섬유 백분율을 나타내고, "비처리 (gF)"는 비처리된 건조 섬유 (g)를 나타내고, "펄터 초기"는 초기 필터 중량을 나타내고, "필터 최종"은 최종 필터 중량을 나타내고, "물"은 필터지 상의 물 중량 (또는 재습윤)을 나타내고, "표준화 재습윤"은 표준화된 재습윤값을 나타내고, "감소된 재습윤 (%)" 또는 "감소된 재습윤"은 감소된 재습윤 성능 백분율 또는 4 인치 여과지로 전달된 습기의 감소율을 나타낸다. 샘플 #6은 대조군이었다.
상기 표의 데이타는 시험된 종이 타월로부터 다른 표면 상으로 습윤도를 재전달시키지 않는 능력인 비재습윤 성능 백분율 대 상기 제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핸드 타월의 상부 표면층 내의 소수성 섬유의 백분율을 설명하는 도 3에 반영된다. 그 결과는 처리 셀룰로스 섬유의 양이 증가할수록, 감소된 재습윤값이 증가하는 것을 증명한다.
용품의 표면 전체에서 친수성 및 소수성 섬유의 블렌딩이 또한 티슈, 와이프, 기저귀 라이너에서와 같은 다른 개인 위생용품 또는 다른 흡수성 소비자 제품 성분에서 일어날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을 그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상기 분명하게 언급한 것 이외에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많은 변형 및 부가가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31)

  1. 제1 섬유 및 제2 섬유가 그 위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친수성인 제1 섬유와 소수성인 제2 섬유를 포함하는 상부 표면층,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층을 포함하는 흡수성 다층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가 상기 상부 표면층의 약 10% 내지 약 50%를 구성하는 것인 흡수성 다층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섬유가 합성 섬유인 흡수성 다층웹.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가 폴리프로필렌 섬유인 흡수성 다층웹.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길이가 약 1.0 내지 2.0 mm인 흡수성 다층웹.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섬유가 화학적으로 처리된 셀룰로스계 섬유인 흡수성 다층웹.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섬유가 아미노 폴리실록산으로 화학적으로 처리된 것인 흡수성 다층웹.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 폴리실록산의 농도가 약 1 내지 5% 고형물인 흡수성 다층웹.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다층웹이 웨트-레이드 티슈 시트인 흡수성 다층웹.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층이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다층웹.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가 상기 추가의 층의 주성분인 흡수성 다층웹.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가 고수율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다층웹.
  13. 제1항의 흡수성 다층웹을 포함하는 흡수성 타월.
  14. 제1항의 흡수성 다층웹을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품.
  15. a) 친수성인 제1 섬유와 소수성인 제2 섬유를 포함하는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 (여기서, 제1 섬유 및 제2 섬유는 흡수성 다층웹의 제1 외부층 및 제2 외부층 상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됨) 및
    b) 상기 제1 외부층과 제2 외부층 사이에 배치된, 친수성 섬유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제3 중간층
    을 포함하는 흡수성 다층웹.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과 상기 제1 외부층 또는 제2 외부층 사이에 위치하는 추가의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다층웹.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가 상기 제1 및 제2 외부층의 약 10% 내지 약 50%를 구성하는 것인 흡수성 다층웹.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섬유가 합성 섬유인 흡수성 다층웹.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섬유가 폴리프로필렌 섬유인 흡수성 다층웹.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길이가 약 1.0 내지 2.0 mm인 흡수성 다층웹.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섬유가 화학적으로 처리된 셀룰로스계 섬유인 흡수성 다층웹.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섬유가 아미노 폴리실록산으로 화학적으로 처리된 것인 흡수성 다층웹.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 폴리실록산 농도가 약 1 내지 5% 고형물인 흡수성 다층웹.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다층웹이 웨트-레이드 티슈 시트인 흡수성 다층웹.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이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다층웹.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가 상기 중간층의 주성분인 흡수성 다층웹.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섬유가 고수율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것인 흡수성 다층웹.
  28. 제15항의 흡수성 웹을 포함하는 흡수성 타월.
  29. 제15항의 흡수성 웹을 포함하는 개인 위생용품.
  30. 제1 섬유 및 제2 섬유가 그 위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친수성인 제1 섬유와 소수성인 제2 섬유를 포함하는 표면을 갖는 흡수성 웹.
  31. a) 친수성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
    b) 소수성 섬유를 제공하는 단계,
    c)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친수성 및 소수성 섬유의 제1 웹층을 형성하는 단계,
    d) 적어도 제2 웹층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제1층을 상기 제2 웹층과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흡수성 다층웹이 제조 방법.
KR10-2004-7005467A 2001-11-01 2002-03-26 비재습윤성 다섬유 핸드 타월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0479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655201P 2001-11-01 2001-11-01
US60/336,552 2001-11-01
US10/026,400 2001-12-21
US10/026,400 US6607636B2 (en) 2001-11-01 2001-12-21 Non-rewetting multi-fiber hand towel and methods of making same
PCT/US2002/009520 WO2003037394A1 (en) 2001-11-01 2002-03-26 Non-rewetting multi-fiber hand towel and methods of mak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913A true KR20040047913A (ko) 2004-06-05

Family

ID=2670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467A KR20040047913A (ko) 2001-11-01 2002-03-26 비재습윤성 다섬유 핸드 타월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607636B2 (ko)
EP (1) EP1439865B1 (ko)
JP (1) JP2005509097A (ko)
KR (1) KR20040047913A (ko)
AR (1) AR037025A1 (ko)
BR (1) BR0213371A (ko)
CA (1) CA2463886A1 (ko)
DE (1) DE60236365D1 (ko)
MX (1) MXPA04003423A (ko)
RU (1) RU2004111791A (ko)
WO (1) WO20030373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583A (ko) * 2019-06-07 2020-12-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44065A0 (en) * 2001-06-28 2002-04-21 Polgat Textiles Co 1960 Ltd Differential-function woven outwear fabric
US7029756B2 (en) * 2002-11-06 2006-04-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oft tissue hydrophilic tissue products containing polysiloxane and having unique absorbent properties
US20040084162A1 (en) 2002-11-06 2004-05-06 Shannon Thomas Gerard Low slough tissue product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300547B2 (en) 2002-11-07 2007-11-27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lc Absorbent sheet exhibiting resistance to moisture penetration
WO2006133259A2 (en) * 2005-06-06 2006-12-14 Blue Ridge Micro-Perf, Llc Micro-perforated laminae and method
US7147752B2 (en) * 2003-12-19 2006-12-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ydrophilic fibers containing substantive polysiloxanes and tissue products made therefrom
US20050136773A1 (en) * 2003-12-22 2005-06-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reated nonwoven material
US7799169B2 (en) * 2004-09-01 2010-09-21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Multi-ply paper product with moisture strike through resistan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988824B2 (en) * 2005-12-15 2011-08-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issue product having a transferable additive composition
TWM333909U (en) * 2007-09-27 2008-06-11 Ct Healthcare Technology Co Ltd Gauze mask structure
FR2928383B1 (fr) 2008-03-06 2010-12-31 Georgia Pacific France Feuille gaufree comportant un pli en materiau hydrosoluble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e telle feuille.
EP2286011B1 (en) 2008-06-11 2018-05-02 GPCP IP Holdings LLC Absorbent sheet prepared with papermaking fiber and synthetic fiber exhibiting improved wet strength
US8426031B2 (en) * 2011-09-21 2013-04-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oft tissue product comprising cotton
US10433700B2 (en) 2013-11-27 2019-10-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purpose tough stain removal articles
US8801901B1 (en) 2013-12-30 2014-08-12 Weyerhaeuser Nr Company Sized fluff pulp
MX2018005884A (es) 2015-11-30 2018-08-15 Kimberly Clark Co Estructuras que contienen geles termosensibles.
JP6611651B2 (ja) * 2016-03-30 2019-11-27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不織布、および吸収性物品用不織布
WO2018063240A1 (en) 2016-09-29 2018-04-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oft tissue comprising synthetic fibers
CA3101552C (en) 2016-10-17 2022-1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containing articles that exhibit consumer relevant properties
WO2018075508A1 (en) * 2016-10-17 2018-04-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fferential cellulose content articles
PL3526406T3 (pl) 2016-10-17 2021-12-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oby zawierające struktury włókniste
MX2019008745A (es) 2017-02-22 2019-09-11 Kimberly Clark Co Papel tisu suave que comprende fibras sinteticas.
US11035078B2 (en) 2018-03-07 2021-06-15 Gpcp Ip Holdings Llc Low lint multi-ply paper products having a first stratified base sheet and a second stratified base sheet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959A (en) 1912-09-23 1914-12-29 Little Inc A Paper towel.
US3563241A (en) 1968-11-14 1971-02-16 Du Pont Water-dispersible nonwoven fabric
US3934975A (en) 1971-12-10 1976-01-27 Diamond Shamrock Corporation Leather treating process
US3770575A (en) 1972-05-26 1973-11-06 Westavco Corp Method of making a hydrophobic fibrous product
US3838692A (en) 1972-11-27 1974-10-01 Johnson & Johnson Hydrophobic sheet with hydrophilic passages
US3968066A (en) 1974-04-18 1976-07-06 Ciba-Geigy Corporation Oil and water repellent textile composition containing a fluorochemical polyurethane resin and a quaternary ammonium salt
CA1057600A (en) 1975-01-06 1979-07-03 Dexter Corporation (The) Disposable nonwoven wet wipe
GB1581486A (en) 1977-10-20 1980-12-17 Kimberly Clark Co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4360015A (en) * 1981-05-14 1982-11-23 Hartford Corporation Multilayer absorbent structure
US5102501A (en) * 1982-08-18 1992-04-07 James River-Norwalk, Inc. Multiple layer fibrous web products of enhanced bul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4631273A (en) 1984-11-05 1986-12-23 Dow Corning Corporation Aqueous emulsions using cationic silanes
JPS61275355A (ja) 1985-05-29 1986-12-05 Kao Corp 吸収性物品
US5032122A (en) 1987-04-24 1991-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op fastening material for fasten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808467A (en) 1987-09-15 1989-02-28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High strength hydroentangled nonwoven fabric
US4775579A (en) * 1987-11-05 1988-10-04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Hydroentangled elastic and nonelastic filaments
DE3877910T2 (de) 1987-11-19 1993-05-19 British Petroleum Co Konditionierungsmittel fuer textilmaterialien.
US4902564A (en) 1988-02-03 1990-02-20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Highly absorbent nonwoven fabric
EP0373974A3 (en) 1988-12-15 1990-09-05 Fiberweb North America, Inc. Method of preparation of a highly absorbent nonwoven fabric
US4986882A (en) * 1989-07-11 1991-01-22 The Proctor & Gamble Company Absorbent paper comprising polymer-modified fibrous pulps and wet-laying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5273596A (en) 1990-03-21 1993-12-28 Fiberweb North America, Inc. Nonwoven fabric for diaper top shee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112690A (en) 1990-11-01 1992-05-12 Kimberly-Clark Corporation Low hydrohead fibrous porous web with improved retentive wettability
US5102738A (en) 1990-11-01 1992-04-07 Kimberly-Clark Corporation High hydrohead fibrous porous web with improved retentive absorption and acquision rate
CA2048905C (en) 1990-12-21 1998-08-11 Cherie H. Everhart High pulp content nonwoven composite fabric
US5139841A (en) 1991-03-27 1992-08-18 James River Corporation Of Virginia Superabsorbent towel with scrim reinforcement
GB2269602A (en) * 1992-08-13 1994-02-16 Courtaulds Plc Absorbent nonwoven fabric
US5445746A (en) 1992-08-28 1995-08-29 Cer-Wat Corporation Method for dewatering a porous wet web
US5466513A (en) * 1992-12-18 1995-11-14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absorbent composite
US5294478A (en) * 1992-12-18 1994-03-15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absorbent composite
US5433715A (en) 1993-10-29 1995-07-18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hich includes superabsorbent material located in discrete pockets having water-sensitive and water-insensitive containment structures
US5615460A (en) 1994-06-06 1997-04-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ale component for refastenable fastening device having regions of differential extensibility
US5547531A (en) 1994-06-06 1996-08-20 The Proctor & Gamble Company Nonwoven female component for refastenable fasten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505719A (en) * 1994-06-30 1996-04-09 Mcneil-Ppc, Inc. Multilayered absorbent structures
US5595567A (en) 1994-08-09 1997-0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female component for refastenable fastening device
USH1575H (en) 1994-09-19 1996-08-06 Daugherty; Thomas H. Apertured hydrophilic polymer film topsheet with improved absorbency and comfort properties
US5840403A (en) 1996-06-14 1998-1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elevational tissue paper containing selectively disposed chemical papermaking additive
USH1704H (en) 1996-12-13 1998-0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odified cellulose fiber having improved curl
US5990377A (en) 1997-03-21 1999-11-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ual-zoned absorbent webs
AU3002899A (en) 1998-03-13 1999-09-27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Nonwoven composite laminate for cleaning pads and wipes
US6573203B1 (en) 1998-07-15 2003-06-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igh utility towel
WO2000034567A2 (en) 1998-12-10 2000-06-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 absorbent structure including a thin, calendered airlaid composite and a process for making the composite
MXPA02006601A (es) 2000-11-01 2002-09-30 Procter & Gamble Substrato de capas multiples para un pano prehumedecido capaz de realizar liberacion controlada de fluido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0583A (ko) * 2019-06-07 2020-12-1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 구조의 먼지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213371A (pt) 2005-01-11
RU2004111791A (ru) 2005-04-20
WO2003037394A1 (en) 2003-05-08
EP1439865B1 (en) 2010-05-12
AR037025A1 (es) 2004-10-20
DE60236365D1 (de) 2010-06-24
EP1439865A1 (en) 2004-07-28
US20030098135A1 (en) 2003-05-29
US6607636B2 (en) 2003-08-19
CA2463886A1 (en) 2003-05-08
JP2005509097A (ja) 2005-04-07
MXPA04003423A (es) 200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7636B2 (en) Non-rewetting multi-fiber hand towel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6911114B2 (en) Tissue with semi-synthetic cationic polymer
KR101029658B1 (ko) 종이를 위한 2-성분 강화계
US5094717A (en) Synthetic fiber paper having a permanent crepe
US6306251B1 (en) Multi-ply cellulosic products using high-bulk cellulosic fibers
EP1456472B2 (en) A method of making a paper product comprising a polyvinylamine polymer
CA2020566C (en) Absorbent paper comprising polymer-modified fibrous pulps and wet-laying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4853086A (en) Hydrophilic cellulose product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AU693252B2 (en) Wet-resilient webs
US6074524A (en) Readily defibered pulp products
MXPA05005505A (es) Productos de tisu que tienen resistencia mejorada.
MXPA05004175A (es) Productos de tisu suave que contienen fibras selectivamente tratadas.
JP4719158B2 (ja) 実質的にポリシロキサンを含有する親水性繊維及びそれから作られるティッシュ製品
JPH09500691A (ja) 三成分の生物分解性柔軟剤の混合物で処理されたティッシュペーパー
AU2005292652A1 (en)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thermosplastic resin pretreated fibers
US20030111196A1 (en) Tissue product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issue products
AU707581B2 (en) Absorbent material and production thereof
AU2002258638A1 (en) Non-rewetting multi-fiber hand towel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6083347A (en) Absorbent material and production thereof
JP2006514177A (ja) セルロース繊維及び合成繊維を含む繊維構造体とその作成方法
JPH11303000A (ja) 多層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