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7050A - 타격밸런스 유지를 위한 운동화 바닥창 - Google Patents

타격밸런스 유지를 위한 운동화 바닥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7050A
KR20040047050A KR1020020075118A KR20020075118A KR20040047050A KR 20040047050 A KR20040047050 A KR 20040047050A KR 1020020075118 A KR1020020075118 A KR 1020020075118A KR 20020075118 A KR20020075118 A KR 20020075118A KR 20040047050 A KR20040047050 A KR 20040047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edge portion
sneaker
inner edge
h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태
Original Assignee
(주)팩터스 코리아
김희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팩터스 코리아, 김희태 filed Critical (주)팩터스 코리아
Priority to KR102002007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7050A/ko
Publication of KR20040047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705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01Golf sho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격밸런스 유지를 위한 운동화의 바닥창(1)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모서리부(3)와; 상기 내측모서리부(3)의 두께보다 큰 두께의 부분을 갖는 외측모서리부(5)와; 상기 내측모서리부(3)로부터 상기 외측모서리부(5)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발바닥의 모지구 부근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6)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경사면(6)은 수평면(y)에 대해 1~15°의 경사각도(α)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격밸런스 유지를 위한 운동화 바닥창{sports shoes sole for hitting valance}
본 발명은 운동화 바닥창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골프화, 권투화, 축구화 또는 야구화 등의 바닥을 이루어, 타격준비자세에서 타격자의 발을 안쪽으로 모이게 하도록 구성되어 타격밸런스를 바람직하게 유지시키는 운동화 바닥창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용어 "바닥창"은 운동화의 최하층을 이루는 아웃소울의 상부에 미드소울 및 인소울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운동화의 바닥구조를 의미한다.
골프, 권투, 축구, 야구 또는 골프, 특히, 골프와 같이 소정객체를 타격하기 위해 신체의 일부를 크게 움직이는 스포츠에 있어서, 타격밸런스를 바람직하게 유지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권투, 축구, 야구, 골프 등의 스포츠를 행하는 타격자가 타격을 위한 스윙을 할 때, 타격자의 하중이 발뒤축으로부터 발앞꿈치로 이동되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이러한 하중이동은 정확한 타격을 저해하는 큰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스포츠학자들은 선수들에게 타격밸런스를 항상 염두에 두고 스윙을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선수들은 타격밸런스의 유지에 너무 집착하여 게임에 전념할 수 없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따라서, 무의식적으로 타격밸런스를 유지시킬 수 있는 운동화가 종래에 제안되어졌다.
그러한 종래의 운동화는 발가락에 상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발뒷축에 상응하는 부분까지 이어지는 운동화바닥의 경사도에 의해 자연스럽게 타격밸런스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운동화는 발바닥 중에서 가장 많은 하중이 걸리는 부분이 발바닥의 모지구라는 것과, 두발이 안쪽으로 모아질 때 가장 바람직한 타격밸런스가 유지된다는 것을 간과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다양한 운동화의 바닥에 구비된 채 발이 안쪽으로 모아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운동화 바닥창을 제안하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모지구 부근이 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발이 안쪽으로 모아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타격밸런스 유지를 위한 운동화의 바닥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화 바닥창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도시한 도 1 운동화 바닥창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창의 여러 응용예를 도시한 단면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타격밸런스 유지를 위한 운동화의 바닥창을 제공하며, 상기 바닥창은 내측모서리부와; 상기 내측모서리부의 두께보다 큰 두께의 부분을 갖는 외측모서리부와; 상기 내측모서리부로부터 상기 외측모서리부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발바닥의 모지구 부근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경사면은 수평면에 대해 1~15°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경사면의 각도가 1°미만인 경우, 발을 안쪽으로 모아주는 효과가 미미하여 타격자의 스윙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며, 그 경사면의 각도가 15°를 초과하는 경우, 타격자는 보행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화 바닥창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여기에서, 도 1에 도시된 운동화 바닥창은 오른발용 운동화에 이용되는 것이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왼발용 운동화 바닥창이 상기 오른발 바닥창과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가진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화 바닥창(1)은 장방향의중심선(x)을 기준으로 내측부분(2) 및 외측부분(4)으로 나뉘어지며, 본 명세서에서, 내측부분(2)은 엄지발가락 및 그 아래의 모지구가 위치되는 도면의 좌측부분이고, 외측부분(4)은 상기 중심선(x)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부분(2)에 대해 대칭을 이루는 도면의 우측부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부분(2)의 좌측에는 내측모서리부(3)가 존재하며, 상기 외측부분의 우측에는 외측모서리부(5)가 존재한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도시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창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화 바닥창은 아웃소울, 미드소울 및 인소울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하의 실시예에서, 아웃소울, 미드소울 및 인소울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한 설명은 피해질 것이며, 그들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운동화 바닥창 전체의 형상만이 특히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외측모서리부(5)의 적어도 일부분이 내측모서리부(3), 바람직하게는 모지구와 가까운 내측모서리부(3)의 두께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두께 차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창(1)은 하나의 경사면(6)을 포함하며, 그 경사면(6)은 상술한 외측모서리부(5)로부터 내측모서리부(3)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화 바닥창(1)은 상기의 경사면(6)에 의해 적어도 발바닥의 모지구 부근이 운동화 바닥에 안쪽으로 경사지도록 놓여지게 하며, 이는 운동화 착용자의 두 발이 안 쪽으로 모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 수평면(y)에 대한 경사면(6)의 각도(α)는 운동화 착용자의 타격밸런스를 향상시키면서도 보행에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1~15°로 정해진다. 이 때, 상기의 경사면(6)이 모지구 부근만을 경사지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발바닥 전체를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
하기 표 1은 10명의 고등학생 골퍼에게 본 실시예에 따른 운동화 바닥창(1)의 성능, 즉 타격밸런스 및 보행시 느낌을 설문하여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다.
신뢰성 있는 평가를 위해, 경사각도만 다른 골프화를 10명의 골퍼에게 각각 지급하여 실험을 행하였고, 타격밸런스는 어드레스, 스윙, 피니시 자세로 나뉘어 평가되어졌다.
경사면각도 13° 15° 17°
어드레스 보통 양호 우수 우수 우수 양호
스윙 보통 양호 양호 우수 우수 양호
피니시 보통 양호 양호 우수 우수 양호
보행 우수 우수 양호 양호 보통 불안정
도 3의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바닥창의 다양한 응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바닥창의 최상층에 있는 인소울 부분(A)만이 경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수평면에 대한 전체 바닥창의 경사면이 1~15°의 각도를 이루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도 3의 (b)는 바닥창의 중간층에 있는 미드소울 부분(B)만이 경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수평면에 대한 전체 바닥창의 경사면이 1~15°의 각도를 이루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마직막으로, 도 3의 (c)는 바닥창의 최하층에 있는 아웃소울 부분(C)만이 경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수평면에 대한 전체 바닥창의 경사면이 1~15°의 각도를 이루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에서 인소울, 미드소울 및 아우소울 중 하나의 단면에 의해 바닥창의 경사면이 결정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실제로는, 상기 인소울, 미드소울 및 아웃소울 중 2 개이상이 경사진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그 단면형상의 조합에 의해 상기 바닥창의 경사면 각도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화 바닥창은 착용자의 발이 자연스럽게 안쪽으로 모이게 하여, 타격을 행하는 착용자에게 보다 안정된 타격밸런스 및 타격자세를 제공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운동화의 바닥창(1)에 있어서,
    내측모서리부(3)와;
    상기 내측모서리부(3)의 두께보다 큰 두께의 부분을 갖는 외측모서리부(5)와;
    상기 내측모서리부(3)로부터 상기 외측모서리부(5)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발바닥의 모지구 부근이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면(6)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경사면(6)은 수평면(y)에 대해 1~15°의 경사각도(α)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밸런스 유지를 위한 운동화 바닥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6)은 수평면(y)에 대해 9~13°의 경사각도(α)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밸런스 유지를 위한 운동화 바닥창.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도(α)는 상기 바닥창(1)의 적층구조를 이루는 인소울(A), 미드소울(B), 및 아웃소울(C) 중 적어도 하나가 경사진 단면을 가짐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밸런스 유지를 위한 운동화 바닥창.
KR1020020075118A 2002-11-29 2002-11-29 타격밸런스 유지를 위한 운동화 바닥창 KR20040047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118A KR20040047050A (ko) 2002-11-29 2002-11-29 타격밸런스 유지를 위한 운동화 바닥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118A KR20040047050A (ko) 2002-11-29 2002-11-29 타격밸런스 유지를 위한 운동화 바닥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7050A true KR20040047050A (ko) 2004-06-05

Family

ID=3734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118A KR20040047050A (ko) 2002-11-29 2002-11-29 타격밸런스 유지를 위한 운동화 바닥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70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79Y1 (ko) * 2011-06-24 2013-06-18 정주영 키높이와 휜다리 교정기능이 있는 신발깔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0403A (ja) * 1987-12-26 1989-07-05 Shuichi Sato ゴルフシューズ
JPH0254402U (ko) * 1988-10-14 1990-04-19
JPH0443105U (ko) * 1990-08-13 1992-04-13
JPH0928408A (ja) * 1995-07-24 1997-02-04 Asics Corp スポーツ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
KR200200035Y1 (ko) * 2000-05-19 2000-10-16 주식회사용진유화 자세 교정용 골프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0403A (ja) * 1987-12-26 1989-07-05 Shuichi Sato ゴルフシューズ
JPH0254402U (ko) * 1988-10-14 1990-04-19
JPH0443105U (ko) * 1990-08-13 1992-04-13
JPH0928408A (ja) * 1995-07-24 1997-02-04 Asics Corp スポーツシューズのソール構造
KR200200035Y1 (ko) * 2000-05-19 2000-10-16 주식회사용진유화 자세 교정용 골프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79Y1 (ko) * 2011-06-24 2013-06-18 정주영 키높이와 휜다리 교정기능이 있는 신발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1315A (en) Shoe outsole having a stability ridge
US11490689B2 (en) Golf shoes having multi-surface traction outsoles
US11058177B2 (en) Footwear ground engaging members having concave portions
US11497272B2 (en) Golf shoe outsole
US11844394B2 (en) Rapid-entry footwear comprised of a unified material
US11490677B2 (en) Golf shoe having outsole with multi-surface traction zones
US8677657B2 (en) Golf shoe outsole
JP4870172B2 (ja) 可撓性のフットサポート構造ならびにおよびそのようなサポート構造を含む製品
US20080098624A1 (en) Athletic shoe for improved traction and rotational movement
US20090056169A1 (en) Golf shoe outsole
US11540595B2 (en) Athletic cleat
US20090293315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cleated sole assembly
US20120297645A1 (en) Minimalist golf shoe
KR100266925B1 (ko) 골프화
US6845575B1 (en) Golf shoes
US9743707B2 (en) Footwear cleat particularly for soccer
KR20040047050A (ko) 타격밸런스 유지를 위한 운동화 바닥창
US10736382B2 (en) Pair of asymmetrical footwear articles
KR20210093178A (ko) 골프화 바닥창
US5718069A (en) Football kicking shoe
US11758983B2 (en) S-shaped cleat structures and intermixed cleat patterns for articles of footwear
US20220175080A1 (en) Golf shoes having multi-surface traction outsoles
KR100557344B1 (ko) 타격밸런스 유지용 운동화의 아웃소울 및 미드소울,그리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운동화
KR200381557Y1 (ko) 축구화 밑창용 패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