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797A -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797A
KR20040044797A KR1020020072974A KR20020072974A KR20040044797A KR 20040044797 A KR20040044797 A KR 20040044797A KR 1020020072974 A KR1020020072974 A KR 1020020072974A KR 20020072974 A KR20020072974 A KR 20020072974A KR 20040044797 A KR20040044797 A KR 20040044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oice
language learning
sentence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4797A/ko
Publication of KR20040044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7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을 핸드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기저장되어 있는 원어민의 단어 또는 문장의 음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핸드폰의 출력수단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어학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학 학습을 위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음성신호에 대한 올바른 구어법을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핸드폰에 있어서, 음성 인식 기능을 갖으며, 특정 언어의 원어민 구어체 단어 또는 문장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상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상기 원어민 구어체 단어 또는 문장 음성신호의 차이점이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되도록 하는 어학 학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tudying language using mobile}
본 발명은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의 단어 또는 문장을 핸드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기저장되어 있는 원어민의 단어 또는 문장의 음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핸드폰의 출력수단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어학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언어학습은, 특정 언어의 구어체 문장이 상호 대화식으로 저장되어 있는 테이프 또는 CD 등의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청취하여 외우는 획일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렇지 않으면 학원에서 수개월 동안 정해진 시간에 학습을 하는데, 여러 사람이 한 사람의 강사와 학습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일대일 학습이 불가능했다.
또한, 컴퓨터를 통해 대화 학습을 할 수도 있는데, 이 방식은 학습자의 오답에 대한 정답만을 확인해 주는 등, 학습자가 원어민 수준의 발음에 도달하기에는 효과를 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핸드폰 사용자가 핸드폰을 이용하여 어학 학습을 할 때, 사용자의 음성에 대해 원어민 발음 및 강세, 억양 등과 비교하여 교정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원어민 수준의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학 학습을 위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음성신호에 대한 올바른 구어법을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핸드폰에 있어서, 음성 인식 기능을 갖으며, 특정 언어의 원어민 구어체 단어 또는 문장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상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상기 원어민 구어체 단어 또는 문장 음성신호의 차이점이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되도록 하는 어학 학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어학 학습을 위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 음성 수신과정;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기저장된 원어민의 구어체 단어 또는 문장의 음성데이터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출력수단에 출력하는 언어 교정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어학 학습을 위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문장)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 음성 수신과정;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음성인식하고, 기저장된 원어민의 구어체 단어를 조합하여 상기 문장을 구성하는 음성 인식과정; 음성 출력을 위한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조합된 문장을 출력하는 원어민 발음 출력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키패드 20: 제어부
30: 무선주파 송/수신부 40: 표시부
50: 메모리 60: 어학 학습모듈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로써, 핸드폰 구성 중 일부만을 도시하였음을 명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핸드폰은, 다수의 숫자 및 기능키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20)로 전송하는 키패드(10)와, 핸드폰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0)와, 핸드폰의 동작을 위한 알고리즘 및 전화번호 또는 문자 메시지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50), 핸드폰 동작 운용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40), 음성 신호 또는 문자 메시지 등을 기지국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 송/수신부(30) 및 사용자의 어학 학습을 위한 어학 학습모듈(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어학 학습모듈(60)은, 사용자의 음성파(음성신호)를 주파수 분석하여 모음을 특징짓는 음역(音域)을 추출해서 분리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갖으며, 원어민의 구어체 단어 또는 문장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음성 데이터는 사용자의 상황별 대화 학습을 위해 상황별로 분리되어 저장된다.
예를 들어, 공항, 호텔, 은행, 전화, 쇼핑 등과 같이 상황별 학습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부분을 선택하고, 사용자가 해당 상황에 적합한 문장을 이야기하면 저장되어 있는 상기 문장에 대한 다양한 대답 또는 질문 등의 문장이 출력된다.
상기와 같은 상황별 대화 학습 시에 사용자가 이야기한 문장에 대한 교정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특정 문장을 이야기(출력)하면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핸드폰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고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음성 인식 기능을 갖는 어학 학습모듈(60)로 전송된다.
상기 어학 학습모듈(60)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주파수 분석하고, 분석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상기 문장에 대한 기저장되어 있는 원어민의 문장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검출한다.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원어민의 음성 데이터를 비교할 때에는 어학 학습에 있어서 중요한 문장의 강세(accent), 발음기호, 억양(intonation) 등을 중점으로 비교한다.
비교 후에는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원어민 음성 데이터와 다른 부분을 핸드폰의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상기 출력수단은 핸드폰의 표시부(40), 스피커를 의미하며, 사용자가 자신이 이야기한 문장을 원어민의 음성 데이터와 근접할 때까지 연습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교정 작업이 실시된다.
사용자가 이야기한 문장에 대해 잘못된 부분은 스피커를 통해 원어민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며, 특히 스피커를 통해 원어민의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면서 동시에 사용자가 이야기한 문장 중 잘못된 부분을 표시하여 표시부(40)에 출력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이야기한 하나의 문장에 대해 상기와 같은 교정 작업이 여러 번 실행되면 사용자는 상기 문장에 대해서는 원어민의 발음에 근접하게 구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상기 어학 학습모듈(60)은 핸드폰에 탈착이 가능한 소정의 저장수단에 탑재될 수 있다.
즉, 일반 핸드폰을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어학 학습을 원할 경우에 상기와 같은저장수단을 핸드폰에 장착하면 어학 학습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저장수단을 핸드폰에 장착하면 제어부(20)가 이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어학 학습을 시작할 수 있는 메뉴가 실행되도록 한다.
그러면, 어학 학습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핸드폰에서 어학 학습을 위한 메뉴를 선택한다(S1). 상술한 바와 같이, 어학 학습모듈(60)이 저장수단에 탑재되어 있어, 사용자가 핸드폰에 상기 저장수단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어학 학습을 위한 메뉴가 실행된다.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학 학습을 하고자 하는 때에 휴대폰에서 어학 학습을 위한 메뉴를 선택하면 된다.
사용자는 어학 학습을 위한 메뉴를 선택한 후, 학습하고자 하는 특정 상황을 선택한다(S2).
상술한 바와 같이, 공항, 호텔, 은행, 전화, 쇼핑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황별 학습을 할 수 있다.
특정 상황을 선택한 후 해당 상황에서 나올 수 있는 문장을 사용자가 이야기하면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다(S3).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어학 학습모듈(60)에서 음성 인식되는데, 상기 문장이 어학 학습모듈(60)에 기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4).
상기 어학 학습모듈(60)에는 각 상황에서 야기될 수 있는 수많은 문장이 저장되어 있는데, 해당 상황에 전혀 적합하지 않는 문장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어학 학습모듈(60)에 해당 문장이 저장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는 에러 메시지가 출력수단을통해 출력된다(S7).
상기 S4 과정에서 사용자가 이야기한 문장이 어학 학습모듈(60)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문장의 음성신호와 기저장되어 있는 원어민의 음성 데이터가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한다(S5).
이때, 문장이 완전히 동일하지 않더라도 유사한 문장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표현하고자 추측되는 올바른 문장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문장을 습득하여 이야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S5 과정에서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원어민의 음성 데이터와 강세(accent), 발음, 억양(intonation), 어법 면에서 차이가 있으면 차이가 있는 부분을 표시하여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한다(S6).
특히, 발음이나 강세, 억양 등은 스피커를 통해 원어민의 문장을 출력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원어민의 문장을 청취한 후 따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S6 과정에서 출력되는 원어민의 음성 데이터를 청취하고 S3 과정으로 되돌아가서 사용자가 다시 상기 문장을 이야기하면, 다시 이야기한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원어민의 음성 데이터의 차이가 출력된다.
상기와 같은 S3 과정에서 S6 과정이 반복되면서 사용자는 원어민의 음성 데이터에 점점 근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한 문장의 교정이 끝나면 사용자가 이야기한 문장에 대한 대답이 출력되므로, 사용자는 상호 대화식 어학 학습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로써 다음과 같은 어학 학습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어학 학습모듈(60)에는 다수의 단어가 저장되어 있는데 각 단어에 대한 원어민의 발음이 조합되어 있다.
사용자가 마이크에 대고 특정 문장을 이야기하면, 상기 어학 학습모듈(60)은 상기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음성인식하여 각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단어에 대한 원어민 단어를 조합하여 사용자가 이야기한 문장과 동일한 문장을 구성한다.
그 후, 사용자가 원어민의 발음을 듣고자 음성 출력을 위한 키를 누름에 따라 상기에서 구성된 문장 즉, 원어민의 발음이 조합된 단어로 구성된 문장이 원어민 발음으로 출력되게 된다.
이 때, 구성된 문장의 종류에 따라 억양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어학 학습모듈(60)에서 구성된 문장의 종류를 판단하여 동사 또는 조동사가 문장의 맨 앞에 오는 경우에는 의문문으로 판단하는 등, 해당 문장에 맞는 억양을 갖는 단어가 조합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I am boy.'라는 문장을 이야기하는 경우, I, am, boy 세 개의 단어가 조합되는데, 상기 문장은 평서문이므로 단어 boy는 내림 억양을 갖는 단어로 조합한다.
따라서, 상기 어학 학습모듈(60)에는 하나의 단어에 대해 올림 억양과 내림 억양의 발음이 조합된 단어가 모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사용자가 어학 학습 시 상황별로 구분하지 않고 학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어학 학습을 지원하는 핸드폰은, 어학 학습 과정 중에 전화가오면 어학 학습을 중단하고 호가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야기하는 음성신호와 기저장되어 있는 원어민의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원어민의 음성 데이터와 차이가 있는 부분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어학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핸드폰을 이용하여 어학 학습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시간과 공간에 제약이 없이 어학 학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어학 학습을 위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음성신호에 대한 올바른 구어법을 출력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핸드폰에 있어서,
    음성 인식 기능을 갖으며, 특정 언어의 원어민 구어체 단어 또는 문장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상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상기 원어민 구어체 단어 또는 문장 음성신호의 차이점이 상기 출력수단에 출력되도록 하는 어학 학습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 학습모듈은
    소정의 저장수단에 탑재되고, 상기 저장수단은 핸드폰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 학습모듈은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원어민의 음성 데이터와의 차이가 있는 단어 또는 문장의 강세(accent), 발음, 억양(intonation), 어법이 상기 출력수단에 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
  4. 어학 학습을 위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 음성 수신과정;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기저장된 원어민의 구어체 단어 또는 문장의 음성데이터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출력수단에 출력하는 언어 교정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교정과정은
    사용자의 음성신호와 원어민의 음성 데이터와의 차이가 있는 단어 또는 문장의 강세(accent), 발음, 억양(intonation), 어법이 상기 출력수단에 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
  6. 어학 학습을 위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문장)를 마이크를 통해 수신하는 사용자 음성 수신과정;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음성인식하고, 기저장된 원어민의 구어체 단어를 조합하여 상기 문장을 구성하는 음성 인식과정;
    음성 출력을 위한 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조합된 문장을 출력하는 원어민 발음 출력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방법.
KR1020020072974A 2002-11-22 2002-11-22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040044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74A KR20040044797A (ko) 2002-11-22 2002-11-22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74A KR20040044797A (ko) 2002-11-22 2002-11-22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797A true KR20040044797A (ko) 2004-05-31

Family

ID=37340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974A KR20040044797A (ko) 2002-11-22 2002-11-22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47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543B1 (ko) * 2005-10-05 2007-07-25 (주)인피니티 텔레콤 다국어 지원 독서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이용한 독서방법
WO2008017188A1 (fr) * 2006-07-17 2008-02-14 Luntang Liu Système et procédé pour réaliser un support d'enseignement de cours de langu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543B1 (ko) * 2005-10-05 2007-07-25 (주)인피니티 텔레콤 다국어 지원 독서프로그램이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이용한 독서방법
WO2008017188A1 (fr) * 2006-07-17 2008-02-14 Luntang Liu Système et procédé pour réaliser un support d'enseignement de cours de lang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2093B2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language education through a voice portal
RU2294565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инамической адаптации синтезатора речи для повышения разборчивости синтезируемой им речи
US20060247932A1 (en) Conversation aid device
KR101819459B1 (ko) 음성 인식 오류 수정을 지원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 및 장치
WO2008007688A1 (fr) Terminal téléphonique ayant une fonction de reconnaissance vocale, dispositif de support de mise à jour de dictionnaire de reconnaissance vocale, et procédé de support associé
JP2005513619A (ja) リアルタイム翻訳機および多数の口語言語のリアルタイム翻訳を行う方法
KR101904455B1 (ko) 학습자 적응형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JP2013020220A (ja) 音声認識装置、自動応答方法及び、自動応答プログラム
JP2011253389A (ja) 端末および擬似会話用返答情報作成プログラム
CN1902682B (zh) 口语系统
KR101959439B1 (ko) 통역방법
US98816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from textual and pre-recorded responses
JP5510069B2 (ja) 翻訳装置
KR100566280B1 (ko) 무선 통신기기에서 음성인식 기능을 통한 어학 학습 방법
WO2023096274A1 (ko) 다국어 동시 학습 시스템
KR20040044797A (ko) 핸드폰을 이용한 어학 학습 장치 및 방법
US2004018459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90055167A1 (en) Method for translation service using the cellular phone
JP2017021245A (ja) 語学学習支援装置、語学学習支援方法および語学学習支援プログラム
JP2000101705A (ja) 無線電話機
KR20010076517A (ko) 대화식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5994A (ko) 의미단위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교육 학습장치 및 방법
KR100326759B1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학습 시스템
KR102496398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 페어링되어 음성-텍스트를 변환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3597398B2 (ja) 音声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204

Effective date: 200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