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235A -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235A
KR20040044235A KR1020020072195A KR20020072195A KR20040044235A KR 20040044235 A KR20040044235 A KR 20040044235A KR 1020020072195 A KR1020020072195 A KR 1020020072195A KR 20020072195 A KR20020072195 A KR 20020072195A KR 20040044235 A KR20040044235 A KR 20040044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ertical synchronization
input
period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2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4235A/ko
Publication of KR20040044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23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면이 바뀔 때 무신호시 최종 신호를 지속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화면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전, 광고용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할 때, 광고 프로그램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신호 기간에 관람자로 하여금 신호가 계속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이전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신호를 다음 광고 프로그램의 신호 인가 전까지 계속해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관람자가 광고 프로그램을 관람 시 프로그램이 이어지지 못한다는 느낌을 받고, 주의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관람자의 광고 집중도를 높임으로써 상기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 프로그램 사이의 2~3초간의 무신호 기간에 이전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신호를 다음 광고 프로그램의 신호 인가 전까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있어서 이전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신호의 휘도를 점차 감소시켜 페이드 아웃(fade-out)효과를 냄으로써 자연스럽게 화면이 연결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screen change device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면이 바뀔 때 무신호시 최종 신호를 지속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PDP(Plasma Display Panel), Projection TV, Projector, LCD(Liquid Crystal Display), 대형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전시, 광고용으로 점차 각광 받고 있으며 옥내/외 광고 등에 활용되면서 이미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광고(advertising)는 기업이나 개인·단체가 상품·서비스·이념·신조·정책 등을 세상에 알려 소기의 목적을 거두기 위해 투자하는 정보 활동으로서, 글·그림·음성·메일·화면·그래픽 등 시청각 매체가 동원된다.
광고의 정의는 다양하나, 미국 마케팅 협회가 1963년에 "광고란 누구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광고주가 하는 일체의 유료 형태에 의한 아이디어, 상품 또는 서비스의 비대개인적(nonpersonal) 정보 제공 또는 판촉 활동이다."라고 정의 한 바 있다.
현재,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전광판을 이용하여 빌딩 등에서 옥외 광고를 한다든지, LCD 및 PDP 등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나 지하철 등에서 옥내 광고를 한다든지, 공항의 전광판 또는 백화점의 광고판 등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광고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옥내/외 광고 매체는 초기에 TV/라디오/신문/잡지 등의 4대 매체의 보완 측면에서 이용되었는데 점차 사회가 복잡 고도화되면서 이제는 옥내/외 광고가 독립적인 분야로 자리잡아 가고 있으며, 지하철, 버스, 엘리베이터 등 다양한 장소와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화장실이나 자판기 등 고객이 지루하게 기다리는 자투리 시간을이용하는 광고 방법이나 엘리베이터에 설치하여 탑승하는 인원끼리의 어색함을 없애주면서 주목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광고 방법이나 백화점에서 외관으로도 인테리어 효과를 주면서 소비자의 소비 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광고 방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이러한 전시 및 광고는 관람자들이 지속적으로 화면에 주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어야 비로소 광고의 효과가 극대화되고 거기에서 여러가지 부수적인 상업상의 이익을 올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화면의 평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시, 광고의 경우에는 관람자들로 하여금 잠시라도 주의를 흐뜨러뜨릴 여유를 주지않고 계속 주의를 끌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나, 많은 전시, 광고 대행업체에서 자체 제작한 전시, 광고용 방송 신호는 대부분 짧은 방송 시간을 가지는 신호를 연속해서 돌려주는 실정이므로 앞의 프로그램이 끝나고 새로운 프로그램의 신호가 나오기 전 잠깐동안 무신호 상태에서 2~3초간 진행되므로써 관람자들의 주의를 분산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무신호 상태동안 관람자들의 주의가 분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일정한 패턴(pattern)을 미리 저장하여 두었다가 새로운 신호가 나오기 전 무신호시에 상기 패턴을 디스플레이해 줌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시도는 관람하고 있던 프로그램과 전혀 연관성이 없는 일련의 저장된 패턴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관람자는 화면이 이어지지 못하고 단절된다는느낌을 받게 되므로 관람자의 주의를 흐뜨러뜨려 역시 광고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광고 프로그램의 프레임과 수직 동기 신호의 신호도이다.
(a)는 광고 프로그램의 프레임 입력신호이고, (b)는 수직 동기 신호이다.
상기 광고 프로그램이 끝나고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들어오지 않는 순간부터 무신호 기간이 2~3초간 지속된 후 다음 광고 프로그램의 입력 신호가 입력되게 되므로 광고를 방송중이던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고 프로그램 사이에 까만 화면 또는 일정한 패턴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때, 광고를 관람하던 관람자는 광고가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않고 사이 사이에 광고와 동떨어진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므로 그 동안 주의가 분산되게 되고 광고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역에서 지하철을 기다리는 승객들이 기다리는 동안 지루하지 않도록 플랫폼의 몇 군데에 PDP 또는 LCD 등을 설치하여 여러 가지 방송과 광고 방송 등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대한 승객들의 반응은 좋아서 상기 PDP 또는 LCD등의 전광판이 있는 플랫폼쪽으로 사람들이 모이는 경향이 있다.
이 때, 광고 프로그램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사이 사이에 광고와 상관 없는 무신호 구간이 발생함에 따라 화면에 주목하고 있던 승객들은 주의가 흐뜨려지고 다른 곳으로 시선을 보낸다던가 지하철이 오는 지 확인하기 위하여 지하철 운행 전광판으로 시선을 돌리는 등 승객들의 광고에 대한 집중도는 상당히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서 광고를 제공하고자 하는 옥내/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광고 프로그램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신호 기간에도 관람자가 화면을 주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대화면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전,광고용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할 때, 광고 프로그램 사이에서 발생하는 무신호 기간에 관람자로 하여금 신호가 계속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이전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신호를 다음 광고 프로그램의 신호 인가 전까지 계속해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 프로그램 사이의 2~3초간의 무신호 기간에 이전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신호를 다음 광고 프로그램의 신호 인가 전까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있어서 이전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신호의 휘도를 점차 감소시켜 페이드 아웃(fade-out) 효과를 냄으로써 자연스럽게 화면이 연결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고 프로그램의 프레임과 수직 동기 신호의 신호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면 전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이전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입력 신호의 휘도를 무신호 구간동안 한 프레임마다 이전 프레임의 90% 밝기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무신호 구간동안의 입력 신호의 휘도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전환 방법에 관한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수직 동기 신호 판단부110 : 메모리
120 : 스케일러 130 : 출력부
140 : 마이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면 전환 장치에 있어서, 수직 동기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수직 동기 신호 판단부와, 상기 수직 동기 신호 판단부에서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현재 화면의 최종 입력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무신호 구간동안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최종 입력 신호의 휘도를 수직 동기 구간마다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와, 상기 스케일링된 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출력부와,상기 수직 동기 신호 판단부와 메모리와 스케일러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신호 구간은 연속되는 하나의 프로그램과 다음 프로그램 사이에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소정의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케일러에서 최종 입력 신호의 휘도를 수직 동기 구간마다 이전 신호의 90%의 밝기로 스케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면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직 동기 신호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여 무신호 구간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무신호 구간으로 판단되면 최종 입력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와, 상기 저장되어 있는 최종 입력 신호를 무신호 구간의 매 수직 동기 구간마다 소정 비율로 스케일링하여 출력하는 스케일링 및 출력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면 다음 신호를 계속해서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케일링 및 출력 단계에 있어서, 이전 수직 동기 구간의 90%의 휘도값으로 스케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면 전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블럭도이다.
상기 화면 전환 장치는 수직 동기 신호 판단부(100)와 , 메모리(110)와 , 스케일러(120)와 , 출력부(130)와 , 마이컴(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 동기 신호 판단부(100)는 광고 프로그램의 각 프레임마다 수직 동기 신호를 확인하여 수직 동기 신호가 들어오지 않는 순간을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를 마이컴으로 전송한다.
상기 메모리(110)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 판단부(100)에서 수직 동기 신호가 들어오지 않는 순간을 판단하면 상기 마이컴(140)의 제어를 받아 상기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입력 신호를 저장한후 상기 최종 입력 신호를 스케일러(120)로 전송한다.
상기 스케일러(120)는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최종 입력 신호를 입력받아 이전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입력 신호를 수직 동기 구간마다 그 전 수직 동기 구간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90%의 밝기로 스케일링해 준다.
상기 출력부(130)는 상기 스케일링된 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해 준다.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수직 동기 신호 판단부(100)와 상기 메모리(110)와 상기 스케일러(120)를 제어하여 광고 프로그램 사이의 2~3초간의 무신호 구간동안 이전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이미지 프레임이 다음 광고 프로그램의 입력 신호가 들어오기 전까지 점차로 어둡게 페이드 아웃되도록 해준다.
상기 화면 전환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당 30프레임의 이미지를 뿌려주는 광고 프로그램에서 각 프레임 사이에는 수직 동기 신호가 발생하며 한 광고 프로그램이 종료하면 상기 프레임과 수직 동기 신호는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 매 프레임마다 수직 동기 신호를 확인하는 수직 동기 신호 판단부(100)에서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들어오지 않는 순간을 인식하여 판단 결과를 마이컴(140)으로 전송한다.
상기 마이컴(140)에서는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들어오지 않는 순간을 무신호 구간으로 인식하여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최종 입력 신호를 계속해서 스케일링하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최종 입력 신호는 스케일러(120)로 전송되어 무신호 구간 동안 매 수직 동기 구간에서 이전 수직 동기 구간에서의 신호보다 90%의 밝기가 되도록 스케일링된다.
상기와 같이 스케일링된 광고 프로그램의 마지막 이미지 프레임은 점차 어두워지게 되고 상기 수직 동기 신호 판단부(100)에서 다음 광고 프로그램의 신호가 입력되어 수직 동기 신호가 인식되면 상기 다음 광고 프로그램의 신호가 계속해서 인가되어 신호가 끊어진다는 느낌을 주지 않고 디스플레이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이전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입력 신호의 휘도를 무신호 구간동안 한 프레임마다 이전 프레임의 90% 밝기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무신호 구간 동안의 입력 신호의 휘도 파형도이다.
이전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입력 신호의 휘도가 1이라고 하면, 이전 광고 프로그램의 각 프레임마다 수직 동기 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순간부터를 무신호 구간으로 인식한다.
상기 최종 입력 신호의 다음 신호부터는 최종 입력 신호의 휘도를 수직 동기 구간마다 1회씩 이전 입력 신호의 90%의 밝기로 출력한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3을 참조하면, 가로축은 입력 신호에 있어서 수직 동기 구간마다 입력되는 프레임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입력 신호의 휘도값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최종 입력 신호의 처음 휘도값을 1이라고 하면, 다음 수직 동기 구간 사이의 입력 신호는 처음 휘도값의 90%인 0.9 만큼의 밝기로 출력하고 그 다음 수직 동기 구간 사이의 입력 신호는 처음 휘도값의 0.9 ×0.9 = 0.81 만큼의 밝기로 출력하고 그 다음 수직 동기 구간 사이의 입력 신호는 처음 휘도값의 0.9 ×0.9 ×0.9 = 0.73 만큼의 밝기로 출력한다.
통상 , PDP 나 LCD 나 프로젝션 TV 같은 디지털 TV의 경우 초당 30프레임의 이미지를 뿌려주므로 광고 프로그램 사이의 2~3초 간의 무신호 구간에는 대략 60~90 프레임의 입력 신호가 입력되어야 관람자로 하여금 신호가 계속되고 있다는 느낌을 주어서 관람자의 주의가 분산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 이전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입력 신호를 상기 무신호 구간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매 수직 동기 구간마다 그 전 수직 동기 구간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90%만큼의 밝기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광고 영상의 페이드 아웃 효과를 낼 수 있다.
즉, 이전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이미지 프레임이 점차적으로 어두워져 사라지게 되고 다음 광고 프로그램의 이미지 프레임이 입력되기 시작하면 관람자는 상기 광고 프로그램간에 신호가 끊어진다는 느낌을 받지 않고 연속적인 광고를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화면 전환 방법에 관한 플로우 챠트이다.
일단, 수직 동기 신호 판단부에서 광고 프로그램의 각 프레임마다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여 무신호 구간인지를 판단한다(S10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더 이상 입력되지 않아 무신호 구간으로 판단되면 메모리는 최종 입력 신호를 저장한다(S110).
상기 판단 결과 수직 동기 신호가 계속해서 입력되면 광고 프로그램이 계속해서 방송중인 것으로 판단되어 입력되는 다음 신호를 출력한다(S140).
상기 무신호 구간으로 판단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최종 입력 신호를 스케일러로 전송하여 무신호 구간의 매 수직 동기 구간마다 이전 수직 동기 구간의 입력 신호의 90%의 휘도값으로 스케일링하여 출력한다(S120).
수직 동기 신호 판단부에서는 다음 광고 프로그램의 신호가 입력되어 수직 동기 신호가 인식되는지를 판단한다(S130).
상기 판단 결과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계속해서 이전 수직 동기 구간의 입력 신호의 90%의 휘도값으로 스케일링하여 출력한다(S120).
상기 판단 결과 수직 동기 신호가 인가되면 다음 입력 신호를 출력하여 다음광고 프로그램을 방송한다(S140).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광고, 선전용으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대화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광고 프로그램 사이에 화면이 전환될 때 발생하는 무신호 구간 동안 이전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입력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상기 입력 신호가 없는 무신호 구간 동안 최종 입력 신호의 휘도값을 점차 줄이면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관람자가 광고 프로그램을 관람 시 프로그램이 이어지지 못한다는 느낌을 받고,주의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관람자의 광고 집중도를 높임으로써 상기 광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광고 프로그램의 최종 입력 신호를 다음 광고 프로그램의 입력 신호가 인가되기 전까지 계속 내줌으로써 관람자는 상기 광고가 연속되어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되므로 관람자는 중간에 다른 곳으로 주의를 돌리지 않고 지속적으로 광고 화면에 주목하게 되므로 광고를 방송하는 광고주들은 그에 따라 여러가지 부수적인 상업적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수직 동기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수직 동기 신호 판단부와;
    상기 수직 동기 신호 판단부에서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현재 화면의 최종 입력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무신호 구간동안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최종 입력 신호의 휘도를 수직 동기 구간마다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와;
    상기 스케일링된 신호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해주는 출력부와;
    상기 수직 동기 신호 판단부와 메모리와 스케일러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전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신호 구간은 연속되는 하나의 프로그램과 다음 프로그램 사이에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소정의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전환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에서 최종 입력 신호의 휘도를 수직 동기 구간마다 이전 신호의 90%의 밝기로 스케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전환 장치.
  4. 수직 동기 신호의 입력 여부를 확인하여 무신호 구간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무신호 구간으로 판단되면 최종 입력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 단계와;
    상기 저장되어 있는 최종 입력 신호를 무신호 구간의 매 수직 동기 구간마다 소정 비율로 스케일링하여 출력하는 스케일링 및 출력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수직 동기 신호가 입력되면 다음 신호를 계속해서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전환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링 및 출력 단계에 있어서, 이전 수직 동기 구간의 90%의 휘도값으로 스케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전환 방법.
KR1020020072195A 2002-11-20 2002-11-20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040044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195A KR20040044235A (ko) 2002-11-20 2002-11-20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195A KR20040044235A (ko) 2002-11-20 2002-11-20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235A true KR20040044235A (ko) 2004-05-28

Family

ID=3734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195A KR20040044235A (ko) 2002-11-20 2002-11-20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42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501B1 (ko) * 2007-10-31 2010-07-16 (주)비욘위즈 셋탑박스 및 상기 셋탑박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501B1 (ko) * 2007-10-31 2010-07-16 (주)비욘위즈 셋탑박스 및 상기 셋탑박스를 이용한 광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83518A (zh) 图像显示装置及其方法
EP1008927A4 (en) DISPLAY DEVICE AND WORKING METHOD FOR THE USE THEREOF
CN111083548B (zh) 一种实现同屏多显和双屏异显的视频播放方法
EP180423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636867B1 (ko) 디지털 사이니지 및 그 제어 방법
US6814443B2 (en) Image projection system and its method of use
US20040140999A1 (en) Theatrical advertising display
US20040257369A1 (en) Integrated video and graphics blender
KR20040044235A (ko)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WO2002007138A3 (de) Interaktives werbedisplay
JPH10124003A (ja) マルチ画面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AU6934894A (en) Retail display apparatus
KR101506030B1 (ko)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화면 구현 방법
US7046159B2 (en) Marketing display
KR102545823B1 (ko) 상호명 및 상호설명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간판
KR102308520B1 (ko) 엘이디(led) 전광판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60091777A (ko) 양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정보 또는 광고에 대한 이미지,문자(텍스트) 전달 방법.
KR20070012009A (ko) Pat 기능을 갖는 피디피 티비의 경계 잔상제거방법
KR100972237B1 (ko) 스크린을 이용한 광고장치
JP2005201997A (ja) 表示装置
KR200274987Y1 (ko) 간판 및 브라운관을 응용한 동영상 광고 시스템
JP2001025583A (ja) 劇場用の画像・文字情報表示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40032312A (ko) 웨딩프로필영상시스템
KR200382545Y1 (ko) 영업매장이나 비즈니스 건물에서 사용되는 각종 pop 또는 인포메이션용 인쇄/게시물들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동영상 표시 장치
Castellano et al. Projection display industry market and technology tre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