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900A -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 및 그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 및 그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900A
KR20040042900A KR1020030080637A KR20030080637A KR20040042900A KR 20040042900 A KR20040042900 A KR 20040042900A KR 1020030080637 A KR1020030080637 A KR 1020030080637A KR 20030080637 A KR20030080637 A KR 20030080637A KR 20040042900 A KR20040042900 A KR 20040042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ownload
software
middlewar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596B1 (ko
Inventor
방건
신기선
최진수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40042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3Implementing client middleware, e.g. Multimedia Home Platform [MH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 및 그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서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형태에 맞춰 언제든지 수신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에 적용되는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에 있어서, 다운로드 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해, 순방향 호환 처리부가 방송스트림내의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 존재 유무를 감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순방향 호환 처리부가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로부터 데이터 형식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다운로드 데이터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순방향 호환 처리부가 다운로드 결정된 업그레이드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여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따라 업그레이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서비스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 및 그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Data broadcasting apparatus and its method of supporting a forward compatibility}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서비스시 지상이나 위성 방송망에 관계없이 데이터 방송 시청중에 언제든지 방송망을 통해 전송된 업그레이드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기 위한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 및 그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시대에는 지상파, 위성, 유선 등의 매체나 각기 다른 지역에 따라 다양한 규격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나 사업자의 요구에 의해 그 규격이 점차적으로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면서 발전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는 미국의 표준방식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유럽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오픈케이블(OpenCable) 등 여러 가지 표준이 현존한다. 이러한 규격들은 엠펙-4, 엠펙-7, 엠펙-21 등 새로운 표준이 등장함으로써 이러한 기술들을 수용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런데,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한번 보급되는데 매우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할 때마다 그 기능을 갖는 방송 수신장치를 사용자가 추가로 구입해야 한다면 서비스 도입 속도가 너무 느려져 사업성이 악화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방송 수신장치에 새로운 서비스로 인해 추가되어야 할 소프트웨어를 방송망이나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한 후 업그레이드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 다운로더블 구조를 갖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는 새로운 서비스 도입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플랫폼으로 여러 가지 매체와 지역에 쉽게 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매체나 지역에 따라 방송 수신장치를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추가 비용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사업자 입장에서는 대규모의 방송 수신장치들을 기반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성이 강화된다.
이와 관련하여 기본적인 디지털 A/V(Audio/Video)를 처리하면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에 의한 업그레이드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에 대한 수신장치는 존재하지만, 이들 수신장치는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를 지원하거나 성능 향상을 위한 추가 업그레이드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정리해 보면, 최근 디지털 방송에서는 고품질의 AV 프로그램과 함께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데이터 방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이를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방송 매체 및 방식에 따라 다양한 표준이 존재하는 데이터 방송 환경에서 새로운 기술과 서비스의 등장이 가속화됨에 따라,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수신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한번 가정내에 보급된 디지털 수신장치는 업그레이드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방송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현재의 기술분야에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새로운 방송기술과 서비스를 쉽게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가 필요하다. 특히, 지상파 방송망을 통하여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의 성능 및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서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형태에 맞춰 언제든지 수신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그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순방향 호환성을 지원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1의 순방향 호환 처리부와 프로세서부의 상호 동작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프로세서부 12 : RF 튜너/역다중화부
13 : MPEG-2 A/V 복호화부 14 : 기억장치부
15 : 그래픽 처리부 16 : 비디오 출력부
17 : 오디오 출력부 18 : 주변장치부
19 : 순방향 호환 처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지상파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여 동조/복조 처리하고, 각 비트스트림별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및 다운로드 데이터로 분류하기 위한 RF 튜닝/역다중화수단; 상기 RF 튜닝/역다중화수단에서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및 다운로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장치의 각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RF 튜닝/역다중화수단에서 분리된 컨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RF 튜닝/역다중화수단에서 분리된 엠펙 오디오/비디오(A/V)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엠펙 A/V 복호화수단; 상기 엠펙 A/V 복호화수단에서 복호화된 엠펙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수단; 상기 엠펙 A/V 복호화수단에서 복호화된 엠펙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제어수단에서 처리된 컨텐츠 데이터를 합성하여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수단;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하기 위한 그래픽 처리수단; 다운로드 데이터를 통해 업그레이드될 소프트웨어 모듈을 판별하고, 각 모듈의 상태에 따라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순방향 호환 처리수단; 및 입력장치나 외부 접속을 위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주변장치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에 적용되는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에 있어서, 다운로드 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해, 순방향 호환 처리부가 방송스트림내의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 존재 유무를 감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순방향 호환 처리부가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로부터 데이터 형식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다운로드 데이터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순방향 호환 처리부가 다운로드 결정된 업그레이드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여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따라 업그레이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순방향 호환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에, 다운로드 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해, 순방향 호환 처리부가 방송스트림내의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 존재 유무를 감시하는 제 1 기능; 상기 순방향 호환 처리부가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로부터 데이터 형식에 대한식별정보를 확인하여, 다운로드 데이터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순방향 호환 처리부가 다운로드 결정된 업그레이드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여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따라 업그레이드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언제라도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의 성능 및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하여 지상이나 위성 방송망에 관계없이 전송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하고자 한다. 즉, 데이터 방송 시청중에 언제라도 시스템 재부팅 과정없이 데이터 방송 미들웨어나 플러그인, 수신장치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모두 고려한 업그레이드 과정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먼저 RF 튜너/역다중화부에서 지상파 RF 신호를 수신하여 동조 및 복조 과정을 거쳐 각 비트스트림별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및 다운로드 데이터로 분류한다. 이때, 분류된 비디오/오디오는 MPEG-2 A/V 복호화부를 통해 각각 비디오 출력부와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고, 컨텐츠는 프로세서(소프트웨어 동작부)를 통해 처리되어 그래픽 처리부, 비디오 출력부 및 오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다. 마지막으로, 다운로드 데이터를 통해 순방향 호환 처리부에서 업그레이드될 소프트웨어 모듈을 판별하고 각 모듈의 상태에 따라 업그레이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방송 서비스에서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형태에 맞춰 수신장치의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순방향 호환성을 지원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순방향 호환성(Forward compatibility)을 지원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는, 지상파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여 동조/복조 처리하고, 각 비트스트림별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및 다운로드 데이터로 분류하기 위한 RF 튜너/역다중화부(12)와, RF 튜너/역다중화부(12)에서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및 다운로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장치부(14)와, 수신장치의 각 모듈을 제어하며, RF 튜너/역다중화부(12)에서 분리된 컨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부(소프트웨어 동작부)(11)와, RF 튜너/역다중화부(12)에서 분리된 MPEG-2 오디오/비디오(A/V)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MPEG-2 A/V 복호화부(13)와, MPEG-2 A/V 복호화부(13)에서 복호화된 MPEG-2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17)와, MPEG-2 A/V 복호화부(13)에서 복호화된 MPEG-2 비디오 데이터와 프로세서부(11)에서 처리된 컨텐츠 데이터를 합성하여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부(16)와, 프로세서부(11)를 통해 기억장치부(14)에 저장된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하기 위한 그래픽 처리부(15)와, 다운로드 데이터를 통해 업그레이드될 소프트웨어 모듈을 판별하고, 각 모듈의 상태에 따라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순방향 호환 처리부(19)와, 키보드, 마우스, 리모콘등의 입력장치나 모뎀, 랜 등을 통한 외부 접속을 위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주변장치부(18)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순방향 호환성을 지원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RF 튜너/역다중화부(12)는 지상파 RF 신호를 수신하여 동조(tuning) 및 복조(demodulation) 과정을 거쳐 각 비트스트림별로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컨텐츠(contents) 및 다운로드(download) 데이터로 분류한다. 이때, 분류된 비디오/오디오는 MPEG-2 A/V 복호화부(13)를 통해 각각 비디오 출력부(16)와 오디오 출력부(17)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컨텐츠는 프로세서부(소프트웨어 동작부)(11)를 통해 처리되어, 그래픽 처리부(15)와 비디오 출력부(16), 오디오 출력부(17)를 거쳐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해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다운로드 데이터를 통해, 순방향 호환 처리부(19)에서 업그레이드될 소프트웨어 모듈을 판별하고 각 모듈의 상태에 따라 업그레이드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순방향 호환 처리부(19)의 동작을 다르게 하여 업그레이드 과정을 수행한다.
구분 다운로드 데이터 종류
미들웨어 업그레이드 미들웨어 모듈
미들웨어 플러그인 플러그인 소프트웨어
운영체제 업그레이드 운영체제 모듈
즉, 순방향 호환성을 지원하는 수신장치는 방송망을 통하여 성능 및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한다. 이때, 업그레이드용 소프트웨어는 수신장치의 미들웨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미들웨어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플러그인 소프트웨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운영체제 모듈의 일부를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이 순방향 호환성을 지원하는 수신장치는 방송망 뿐만 아니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성능 및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고, 다운로드시 전원이 오프(off)된 후 전원이 온(on)되면 이전 다운로드받은 부분부터 연속하여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기반의 방송망을 사용한 경우 순방향 호환 처리부(19)에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순방향 호환 처리부(19)에서는 수신장치에 수신되고 있는 데이터가 순방향 호환성 처리를 위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방송망을 통해 수신되는 MPEG-2형식의 방송스트림내에서 PMT(Program Map Table)를 검사한다. MPEG-2 system 규격(ISO 13818-1)에 따라 PMT는 하기의 [표 2]와 같이 정의된다.
이는 방송스트림내에 DST(Data Service Table)가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PMT내에서 DST가 존재하는지에 대한 검사는 ATSC 규격인 A/90 Data broadcasting Specification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검사할 수 있다. 상기 [표 2]의 NO. 2의 stream_type이 0x95의 값을 갖고 있으면 DST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있다. 또한, elementary_PID를 통해 실제 DST가 존재하는 section을 찾아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만약, DST가 없다면 PMT 자체내에 이를 검사할 수 있는 decriptor를 정의하고 이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DST가 없을 경우 사용되는 descriptor는 하기의 [표 3]에서의 DSMCC_DownloadSoftware_descriptor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본 descriptor의 위치는 상기 [표 2]상에서 NO. 9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의 MPEG-2 system 규격(ISO 13818-1)에 따라 stream_type은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실려 오는 DSM-CC section을 나타내는 값을 사용하게 된다.
상기 [표 3]에서, "descriptorTag"는 수신된 방송스트림내에서 DSMCC_DownloadSoftware_descriptor를 구분할 수 있는 유일한 값을 갖는다.
또한, "descriptorLength"는 아래 나타나는 정보의 길이를 나타내기 위한 값을 갖는다.
또한, "OUI"는 IEEE 802-1990에 정의되어 있는 기관의 고유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값을 나타내며, 이는 단말 제조 회사를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값을 갖는다.
또한, "Update_version"은 수신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값을 갖는다.
또한, "DownloadSoftware_Type"은 수신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값을 갖게 되며, 이 값은 하기의 [표 4]와 같이 구분되어 사용되어 질 수 있다.
또한, PMT내에 DST와 관련된 정보가 있을 경우 수신기는 DST를 찾아 그 정보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소프트웨어를 판별하고 설치하게 된다.
그 방법은 우선 DST내의 application_id_description 필드를 참조한다. 이 필드는 수신된 방송스트림내에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있을 경우, 하기의 [표 5]에서 사용자 정의로 되어 있는 부분인 0x8000 - 0xFFFF 사이의 값을 정해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임을 구분한다.
다음으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DST내의 정보중 action_type 필드를 참조한다. 이 필드는 하기의 [표 6]에서 사용자 정의값을 통해 구분하게 된다. 이 사용자 정의값은 상기 [표 4]로 구분된다.
본 발명에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를 전송하는 방식은 ATSC 다운로드 프로토콜인 DSM-CC 다운로드 프로토콜 기반인 비동기 데이터 카루셀을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순방향 호환 처리부(19)의 분석 내용에 따라 다운로드 소프트웨어는 DSM-CC 섹션 처리를 거쳐 기억장치부(14)에 저장된다. 그리고, 저장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는 순방향 호환 처리부(19)에서 처리된다.
그럼,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수신되었을 때, 수신장치에서 순방향 호환성 처리가 이루어지는 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순방향 호환 처리부(19)에서 방송스트림의 DST를 계속 감시하다가 다운로드 소프트웨어 정보가 있을 경우 그 내용을 검색한다. 본 발명에서의 기본적인 다운로드 소프트웨어 정보는 DST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PMT내의 DSMCC_DownlaodSoftware_Descriptor와 DST가 존재하는 경우 DST내의 application_id_descriptor, action_type, protocol_encapsulation 에 서술된다.
일예로, PMT내에 DST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 DSMCC_DownloadSoftware_Descriptor의 DescriptorTag로 DSMCC에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실려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DownloadSoftware_Type으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의 종류를 판단하고, DST내의 정보를 이용할 경우에는 protocol_encapsulation가 0x0D와 application_id_descriptor가 0x8001일 경우 이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소프트웨어로 인식되며, action_type에 따라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의 종류를 판단한다.
상기 [표 4]에서는 다운로드 소프트웨어 종류에 따라 값을 정한다.
만약, DownloadSoftware_Type 또는 action_type이 0x41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미들웨어 모듈인 경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미들웨어 모듈의 버전 정보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다운로드할 미들웨어 모듈과 기존의 미들웨어 모듈의 버전이 같으면, 다운로드 처리를 중지한다.
검사 결과, 다운로드할 미들웨어 모듈의 버전이 기존 미들웨어 모듈의 버전보다 높을 경우, 방송스트림으로부터 미들웨어 모듈을 추출하고, 기억장치부(14)에저장한다. 이때, 순방향 호환 처리부(19)는 미들웨어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없을 경우 미들웨어 모듈을 설치하고,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을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일시 중지시키고 미들웨어 모듈을 설치한다. 이후에, 미들웨어 설치가 끝나면 어플리케이션 상태를 검사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일시 중지 상태이면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시작한다.
한편, DownloadSoftware_Type 또는 action_type이 0x42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미들웨어 플러그인 데이터인 경우, 플러그인 데이터에 사용될 응용 데이터의 형태를 알리기 위해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형식을 순방향 호환 처리부(19) 내에 있는 MIME 형식 리스트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기존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플러그인 처리는 중지된다. 반대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새로운 MIME 형식을 가지는 경우, 방송스트림으로부터 미들웨어 플러그인을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억장치부(14)에 저장한다. 이후에, 순방향 호환 처리부(19)는 플러그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새로운 MIME 형식으로 등록한 후 처음 단계로 다시 돌아간다.
다른 한편, DownloadSoftware_Type 또는 action_type이 0x43인 경우, 이는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운영체제 모듈이며, 순방향 호환 처리부(19)는 운영체제 모듈의 버전 정보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운영체제 모듈의 버전보다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높을 경우, 방송스트림으로부터 운영체제 모듈을 추출하고 기억장치부(14)에 저장한다. 이후에, 순방향 호환 처리부(19)는 운영체제 업그레이드 모드인지를 판단하여 업그레이드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수신장치를 업그레이드 모드로 전환시킨 후 운영체제 모듈을 설치한다. 이렇게 운영체제 모듈의 설치가 끝나면 수신장치를 재가동시킨다.
설치된 미들웨어 및 운영체제 모듈에 대한 버전 정보 및 다운로드 소프트웨어를 처리할 수 있는 수신장치에 대한 정보들은 compatibility_descriptor 형식의 필드에 서술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순방향 호환성 수신장치는 플러그인 기능을 통해 방송망에서 수신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나 운영체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하여 새롭게 바뀔 수 있는 데이터 방송 규격을 쉽게 수용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각 다운로드 데이터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는 순방향 호환 처리부(19)와 프로세서부(11)와의 상호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프로세서부(소프트웨어 동작부)(11)는 미들웨어부(21)와 운영체제부(22)로 구분되어, 순방향 호환 처리부(19)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순방향 호환 처리부(19)는 미들웨어부(21)로부터 제어신호(201)를 받고 메모리에서 미들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한 모듈(202)과 플러그인(plug_in)을 위한 소프트웨어(203)를 미들웨어부(21)로 전달한다.
이때, 미들웨어부(202)를 업그레이드시킬 때, 순방향 호환 처리부(19)는 미들웨어부(21)가 동작하고 있는지를 제어신호(201)를 통해 확인한다. 그래서, 만약미들웨어부(21)가 동작하고 있을 경우 이를 휴지(suspend)시키고, 미들웨어부(21)는 제어신호(206)를 운영체제부(22)로 보내 미들웨어가 동작을 위해 할당받았던 자원들을 휴지시킨다. 이에 대해, 운영체제부(22)가 운영체제 자원의 휴지 상태를 다시 제어신호(206)를 통해 미들웨어부(21)로 통보하면, 완전히 미들웨어부(21)가 휴지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미들웨어부(21)는 제어신호(201)를 통해 순방향 호환 처리부(19)에 휴지 상태를 알리고, 순방향 호환 처리부(19)는 미들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한 모듈(202)을 미들웨어부(21)로 전달하여 업그레이드를 한다.
한편, 미들웨어부(21)에 미들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한 모듈(202)의 전송이 끝나면, 순방향 호환 처리부(19)는 제어신호(201)를 통해 미들웨어부(21)의 동작을 재개(resume)하기 위한 신호를 보낸다.
또한, 미들웨어 플러그인(plug_in)을 위한 plug_in 소프트웨어(203)를 설치할 경우, 순방향 호환 처리부(19)는 미들웨어부(21)의 상태와는 무관하게 미들웨어 plug_in을 전달하여, 설치를 미들웨어부(21)에서 수행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운영체제 모듈 업그레이드일 경우, 순방향 호환 처리부(19)는 운영체제를 업그레이드 모드로 설정할 수 있게 제어신호(204)를 운영체제부(22)로 보내고, 운영체제의 상태를 확인받는다. 이후에, 업그레이드 모드가 된 운영체체부(22)에 운영체제 모듈(205)을 전달하여 운영체제부(22)의 업그레이드가 완료되면, 운영체제부(22)에 동작 모드로 설정할 수 있게 제어신호(204)를 보내어 운영체제가 다시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방송망을 통해 전송된 업그레이드용 소프트웨어를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로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는 순방향 호환성 처리부(19)의 동작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순방향 호환성 처리부(19)는 방송스트림을 계속 감시하다가(301),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downloadable data information descriptor)가 있을 경우(302) 그 내용을 검색한다(303).
여기서, 방송스트림내의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는 데이터 방송을 위한 규격에 엠펙-2 시스템의 P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ATSC 데이터 방송의 DST(Data Service Table), DVB-MHP(Multimedia Home Platform)의 AIT(Service Descriptor Table) 등을 포함한다.
만약,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가 존재하지 않으면(302), 다시 방송스트림 감시 단계(301)로 돌아간다.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를 검색하여(303),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의 데이터 형식에 대한 식별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304), 만약 다운로드 데이터의 식별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다시 방송스트림 감시 단계(301)로 돌아가고, 식별정보가 존재하면 그 정보를 기억장치부(14)에 저장한다(305).
이후, 저장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한다(306).
판단 결과,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미들웨어 모듈인 경우,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미들웨어 모듈의 버전 정보를 검사한다(307).
검사 결과, 다운로드할 미들웨어 모듈과 기존의 미들웨어 모듈의 버전이 같으면, 다운로드 처리를 중지하고 방송스트림 감시 단계(301)로 돌아간다.
검사 결과, 다운로드할 미들웨어 모듈의 버전과 기존 미들웨어 모듈의 버전이 같지 않으면(특히, 다운로드할 미들웨어 모듈의 버전이 기존 미들웨어 모듈의 버전보다 높은 경우), 방송스트림으로부터 미들웨어 모듈을 추출하고 기억장치부(14)에 저장한다(308).
다음으로, 미들웨어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하여(309),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없을 경우 미들웨어 모듈을 설치하고(310),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을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일시 중시한 후(311) 미들웨어 모듈을 설치한다(310).
이렇게 미들웨어 설치가 끝나면(310),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검사하여(312) 어플리케이션이 일시중시 상태이면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시작한 후(313) 방송스트림 감시 단계(301)로 돌아간다.
상기 판단 결과,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운영체제 모듈인 경우, 운영체제 모듈의 버전 정보를 검사한다(314).
검사 결과, 운영체제 모듈의 버전이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의 버전과 같을 경우, 다운로드 처리를 중지하고 방송스트림 감시 단계(301)로 돌아간다.
검사 결과, 운영체제 모듈의 버전정보와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다를경우(특히, 운영체제 모듈의 버전보다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높을 경우), 방송스트림으로부터 운영체제모듈을 추출하고 기억장치부(14)에 저장한다(315).
다음으로, 수신장치가 운영체제 업그레이드 모드로 되어있는지를판단하여(316), 업그레이드 모드가 아니면 수신장치를 업그레이드 모드로 전환시킨 후(317) 운영체제 모듈을 설치하고(318), 업그레이드 모드이면 즉시 운영체제 모듈을 설치한다(318). 이렇게 운영체제 모듈의 설치가 끝나면(318) 운영체제 모드로 전환한 후(319) 다시 방송스트림 감시 단계(301)로 돌아간다.
상기 판단 결과,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미들웨어 플러그인 데이터인 경우, 플러그인 데이터에 사용될 응용 데이터 형태를 알리기 위해 서술된 포맷(예를 들면,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형식을 수신장치내 있는 포맷 형식 리스트(예를 들면, MIME 형식 리스트)와 비교한다(320).
비교 결과,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기존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플러그인 처리를 종료하고 방송스트림 검사 단계(301)로 돌아간다.
비교 결과,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새로운 MIME 형식을 갖는 경우, 방송스트림으로부터 미들웨어 플러그인을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기억장치부(14)에 저장한다(321). 이후에, 플러그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새로운 MIME 형식으로 등록한 후(322) 방송스트림 검사 단계(301)로 돌아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에서 플러그인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방송망을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면서 미들웨어나 운영체제를 업그레이드하여 언제든지 새롭게 바뀔 수 있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 규격에 쉽게 적응될 수 있는 순방향 호환성(Forward Compatibility)을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인해 경제적인 측면에서 사용자, 방송사, 수신장치 사업자의 각각 세가지 측면에서 아래와 같이 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첫째, 수신장치가 빈번한 업그레이드가 요구된다면, 사용자에게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구입 비용에 대한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방송사 입장에서는 다양한 데이터방송 서비스를 통해 방송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면, 이를 지원하는 수신장치 보급에 걸리는 시간적 손해를 줄여 많은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셋째, 수신장치 사업자적인 측면에서는 지속적인 수신장치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해서 많은 인적 물적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Claims (12)

  1.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에 적용되는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에 있어서,
    다운로드 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해, 순방향 호환 처리부가 방송스트림내의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 존재 유무를 감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순방향 호환 처리부가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로부터 데이터 형식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다운로드 데이터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순방향 호환 처리부가 다운로드 결정된 업그레이드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여,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따라 업그레이드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호환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에 수신되고 있는 데이터가 순방향 호환성 처리를 위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방송망을 통해 수신되는 동영상 방송스트림내에서 프로그램맵테이블(PMT)을 검사하여, 방송스트림내에 데이터서비스테이블(DST)이 있는지를 검사하고,
    상기 PMT내에 상기 DST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PMT내에 이를 검사할수 있는 디스크립터(DSMCC_DownloadSoftware_descriptor)를 정의하고, DescriptorTag로 디지털 방송 규격(ATSC) 다운로드 프로토콜(DSM-CC)에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실려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DownloadSoftware_Type으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PMT내에 상기 DST가 존재하는 경우, protocol_encapsulation가 0x0D와 application_id_descriptor가 0x8001일 경우 이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소프트웨어로 인식되며, action_type에 따라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다운로드하는 데이터가 미들웨어 모듈인 경우(즉, DownloadSoftware_Type 혹은 action_type이 0x41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미들웨어 모듈인 경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미들웨어 모듈의 버전 정보를 검사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검사 결과, 다운로드할 미들웨어 모듈과 기존의 미들웨어 모듈의 버전이 같으면 다운로드 처리를 중지하고, 버전이 같지 않으면 방송스트림으로부터 미들웨어 모듈을 추출하는 제 5 단계;
    미들웨어상에서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없을 경우 미들웨어 모듈을 설치하고,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을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일시 중시한 후 미들웨어 모듈을 설치하는 제 6 단계; 및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검사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일시 중시 상태이면 어플리케이션을 다시 시작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장치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다운로드하는 데이터가 운영체제 모듈인 경우(즉, DownloadSoftware_Type 혹은 action_type이 0x43으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운영체제 모듈인 경우),
    운영체제 모듈의 버전 정보를 검사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검사 결과, 운영체제 모듈의 버전이 다운로드 소프트웨어의 버전과 같으면 다운로드 처리를 중지하고, 버전이 같지 않으면 방송스트림으로부터 운영체제 모듈을 추출하는 제 5 단계; 및
    수신장치가 운영체제 업그레이드 모드로 되어있는지를 판단하여, 업그레이드 모드가 아니면 수신장치를 업그레이드 모드로 전환시킨 후 운영체제 모듈을 설치하고, 업그레이드 모드이면 즉시 운영체제 모듈을 설치한 후, 운영체제 모드로 전환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다운로드하는 데이터가 미들웨어 플러그인 모듈인 경우(즉, DownloadSoftware_Type 혹은 action_type이 0x42로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미들웨어 플러그인 데이터인 경우),
    플러그인 데이터에 사용될 응용 데이터 형태를 알리기 위해 서술된 포맷 형식을 수신장치내 있는 포맷 형식 리스트와 비교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 단계의 비교 결과,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기존의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플러그인 처리를 종료하고, 다운로드 소프트웨어가 새로운 포맷 형식을 갖는 경우 방송스트림으로부터 미들웨어 플러그인을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5 단계; 및
    플러그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새로운 포맷 형식으로 등록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는,
    방송망을 통한 소프트웨어 다운로드시, 전원이 오프(off)된 후 전원이 온(on)되면, 전원 오프시 다운로드받은 부분부터 연속하여 다운로드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성능 및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
  8.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지상파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수신하여 동조/복조 처리하고, 각 비트스트림별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및 다운로드 데이터로 분류하기 위한 RF 튜닝/역다중화수단;
    상기 RF 튜닝/역다중화수단에서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컨텐츠 및 다운로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장치의 각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RF 튜닝/역다중화수단에서 분리된 컨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수단;
    상기 RF 튜닝/역다중화수단에서 분리된 엠펙 오디오/비디오(A/V)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엠펙 A/V 복호화수단;
    상기 엠펙 A/V 복호화수단에서 복호화된 엠펙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수단;
    상기 엠펙 A/V 복호화수단에서 복호화된 엠펙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제어수단에서 처리된 컨텐츠 데이터를 합성하여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출력수단;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그래픽 처리하기 위한 그래픽 처리수단;
    다운로드 데이터를 통해 업그레이드될 소프트웨어 모듈을 판별하고, 각 모듈의 상태에 따라 업그레이드를 수행하기 위한 순방향 호환 처리수단; 및
    입력장치나 외부 접속을 위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주변장치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순방향 호환성을 지원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데이터 방송을 처리하며, 상기 순방향 호환 처리수단과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받고, 운영체제부와 제어신호를 주고받는 미들웨어부; 및
    상기 수신장치를 운영하며, 상기 순방향 호환 처리수단과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받고, 상기 미들웨어부와 제어신호를 주고받는 운영체제부
    를 포함하는 순방향 호환성을 지원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는,
    미들웨어 전체 혹은 미들웨어 모듈 일부, 미들웨어 플러그인 모듈,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운영체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방향 호환성을 지원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호환성 처리수단은,
    다운로드 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해 방송스트림내의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 존재의 유무를 감시하고,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로부터 데이터 형식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다운로드 데이터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한 후, 다운로드 결정된 업그레이드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여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따라 업그레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방향 호환성을 지원하는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
  12. 순방향 호환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에,
    다운로드 데이터를 판별하기 위해, 순방향 호환 처리부가 방송스트림내의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 존재 유무를 감시하는 제 1 기능;
    상기 순방향 호환 처리부가 상기 다운로드 데이터 정보기술자로부터 데이터 형식에 대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다운로드 데이터의 종류 및 상태에 따라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순방향 호환 처리부가 다운로드 결정된 업그레이드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여, 다운로드한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따라 업그레이드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080637A 2002-11-15 2003-11-14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 및 그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 KR100534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200 2002-11-15
KR20020071200 2002-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900A true KR20040042900A (ko) 2004-05-20
KR100534596B1 KR100534596B1 (ko) 2005-12-07

Family

ID=3733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637A KR100534596B1 (ko) 2002-11-15 2003-11-14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 및 그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5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177B1 (ko) * 2004-12-09 2006-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방송망을 이용한 범용 플러그앤플레이 지원가전기기의 업그레이드 장치와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8013393A1 (en) * 2006-07-24 2008-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oftware upgrade
WO2008025275A1 (fr) * 2006-08-31 2008-03-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édé de configuration de dispositif et système correspondant
KR20100078217A (ko) * 2008-12-30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위한 컴포넌트 제공 서버 및 컴포넌트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856B1 (ko) 2006-09-26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KR101078128B1 (ko) 2008-12-19 2011-10-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호환성 보장을 위한 미들웨어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177B1 (ko) * 2004-12-09 2006-12-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방송망을 이용한 범용 플러그앤플레이 지원가전기기의 업그레이드 장치와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8013393A1 (en) * 2006-07-24 2008-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oftware upgrade
WO2008025275A1 (fr) * 2006-08-31 2008-03-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édé de configuration de dispositif et système correspondant
KR20100078217A (ko) * 2008-12-30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위한 컴포넌트 제공 서버 및 컴포넌트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596B1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967B1 (ko) 방송 송신기, 방송 수신기 및 케이블 방송의 소프트웨어수신 방법
CN102081532B (zh) 一种机顶盒功能动态升级的方法
US20060194535A1 (en) Broadcast delivery to a wireless device
CN100527679C (zh) 数字广播系统、广播信号接收设备及其软件下载方法
US200801413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d executing function of application appropriate to broadcast-receiving device
CN101667208A (zh) 数字电视接收机及其节目搜索、节目切换方法
US8255969B2 (en) Upgrading software of set-top box
CN101472051B (zh) 一种机顶盒软件升级的方法
JP5309103B2 (ja) 移動体通信網の接続を支援するデータ放送サービス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WO2011027504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US20060041925A1 (en) Method of obtaining additional network information in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and a satellite broadcast receiver using the same
US7693148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KR100534596B1 (ko) 데이터 방송 수신장치 및 그의 순방향 호환성 지원 방법
US20070046816A1 (en) Method of processing data broadcast application and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KR100505518B1 (ko) 데이터통신시스템,데이터통신방법,데이터수신기및데이터수신방법
KR100736095B1 (ko) 실시간 동영상 스트림의 화면 크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방법
US9176724B2 (en) Firmware update method and apparatus of set-top box for digital broadcast system
MXPA05007198A (es) Dispositivos y metodos para la realizacion de decision de ejecucion condicional en relacion a servicios recibidos, y la creacion de mensajes de informacion asociados con los servicios, y productos asociados.
JP2004187216A (ja) ディジタルデータ放送受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ディジタルデータ放送受信プログラム
KR10067901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업그레이드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53747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셋탑박스의 펌웨어 갱신 방법 및 장치
US20060025093A1 (en) Broadcast metadata plug-in model
KR20070115195A (ko) 케이블 방송 수신기와 인-밴드 채널 인터페이스 방법 및데이터 구조
KR20080006864A (ko)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수신하는 방송 수신기
KR100812950B1 (ko)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간 단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