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454A -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454A
KR20040042454A KR1020020070756A KR20020070756A KR20040042454A KR 20040042454 A KR20040042454 A KR 20040042454A KR 1020020070756 A KR1020020070756 A KR 1020020070756A KR 20020070756 A KR20020070756 A KR 20020070756A KR 20040042454 A KR20040042454 A KR 20040042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verized coal
temperature
purge
dust collecto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세
김창오
윤재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2454A/ko
Publication of KR20040042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45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1Injecting additional fuel or reducing agents
    • C21B5/003Injection of pulverulent co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8Bell-and-hoppe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1.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집진기에서 저장호퍼를 연결하는 구간에서 미분탄의 누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서 미분탄에 의한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막힘 현상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
본 발명에 의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는 집진기와 저장호퍼 사이의 배관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퍼지노즐와, 상기 다수의 퍼지노즐로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배관과, 상기 다수의 퍼지노즐로의 질소 공급/차단을 제어하는 다수의 퍼지제어밸브와, 상기 다수의 퍼지노즐로의 질소 공급유량을 검출하는 다수의 유량검출기와, 상기 집진기와 저장호퍼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다수의 온도검출기와, 상기 다수 온도검출기로 측정된 배관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지를 감시하는 온도감시부와, 미분탄 취입 설비의 공정신호를 입력받아, 미분탄 제조 중단시나 온도저하시 다수의 퍼지제어밸브를 단계적으로 소정 시간씩 오픈시키고, 이때, 다수 질소 공급 유량을 체크하여 막힘여부를 판단하는 밸브제어부로 구성된다.
3. 발명의 효과
상기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미분탄이 집진기 하부에 누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막힘상태를 조기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CLOGGING BY PULVERIZED COAL IN PULVERIZED COAL INJECTION PROCESS}
본 발명은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집진기에서 저장호퍼를 연결하는 구간에서 미분탄이 누적되지 않도록 하여 미분탄에 의한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막힘 현상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분탄 취입 공정은, 석탄저장호퍼(13)에 저장된 저품위의 석탄(coal)을 급탄기(1)를 통해 일정량 파쇄기(5)로 공급하고, 고로(12)의 배가스나, COG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가스를 팬(3)을 통해 파쇄기(5)로 공급하면, 상기 파쇄기(5)의 온도가 소정 온도(약, 80℃)로 유지되어, 파쇄기(5)에서 석탄을 건조하면서 200 mesh 의 미립자로 파쇄시킨다. 상기와 같이 파쇄된 미분탄은 팬(3)에서 공급되는 열풍유량에 의해 집진기(6)로 수송되고, 집진기(6)에서 회수되어 저장호퍼(7)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저장호퍼(7)에 저장된 미분탄은 미분탄 취입 절차에 따라 피더호퍼(8-1 ~ 8-3)에 충진된 후, 고로(12)에서 설정 량씩 취입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도 2는 상기 미분탄 취입 설비에서 미분탄 집진 및 저장 계통을 더 상세하게 보인 것으로서, 상기 집진기(6)에는 열풍에 실려온 미분탄을 수집하는 필터백(14)이 설치되고, 상기 집진기(6)와 저장호퍼(7)의 사이에는 로터리밸브(16) 및 이물제거기(17)가 구비된다.
이렇게 구성된 미분탄 취입 설비의 종래 운전 절차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퀀스에 의하여, 초기에 집진기(6)와, 로터리밸브(16)와, 팬(3)을동작시켜(401), 미분탄없이 열풍만을 공급하여 파쇄기(5)의 출구온도를 80℃ 정도로 유지시킨 후, 집진기(6)의 출구온도가 70℃ 이상으로 유지되면(402), 소정 시간 후에 파쇄기(5)를 가동시키고(403), 파쇄기(5) 가동후 소정시간 후에 급탄기(1)를 동작시켜(403), 정상적으로 석탄을 공급하며, 이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분탄이 제조되기 시작한다.
이렇게 제조된 미분탄은 저장호퍼(7)에 지속적으로 저장되고, 피더호퍼(8-1 ~ 8-3)에 충진되어 고로(12)로 취입되는데, 취입량 만큼의 석탄을 계속 공급하여, 미분탄 재고량을 일정하게 보충한다.
상기에서, 고로에서 미분탄은 열연으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미분탄의 취입량은 생산량의 증감과 고로 노열의 과부족에 따라 수시로 변경된다. 따라서, 미분탄 취입량과 그에 대응한 미분탄 제조량의 관계에 따라, 안정된 미분탄 취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호퍼(7)의 미분탄 재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제조계통이 정지한 상태에서 전체적인 온도는 대기온도 수준이므로, 가동을 위해 초기 동작시 팬(3)을 먼저 동작시켜, 배가스로 제조 계통의 배관 및 파쇄기(5), 집진기(6)의 분위기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파쇄기(5)의 출구온도를 80 ℃로 승열시킨 후, 급탄기(1)로 석탄을 공급하는 순간 파쇄기(5)의 온도가 급저하되고, 내부 분위기 온도가 급저하하여 입자운동이 활발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종래에는 상기 미분탄 췽비 설비의 제조 계통 정지 상태에서, 집진기(6)의 필터백(14)에서 탈락되어 누적된 미분탄이 집진기(6)의 하부 철피와연결 배관에 쌓이게 되고, 그 결과, 집진기(6)의 하부가 막히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정상 운전의 경우에도, 석탄의 공급계획에 따라 석탄 종류가 변경될 경우, 석탄의 성상(수분함유량, 입도, 파쇄성, 휘발분 함량등) 변화에 따라 급탄기(1)에 설정된 석탄 공급량 대비 실공급량의 편차가 발생하고, 계절적인 요인에 의한 수분함유량의 변화에 따라 파쇄기(5)의 출구온도 편차가 발생하게 되어, 제조된 미분탄의 품질에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제조된 미분탄의 수분함유량, 입도, 입자운동이 변화되어 집진기(6) 하부 연결배관이 막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 운전시, 파쇄기(5)의 출구온도가 60℃ 까지 저하되어야 배가스를 공급하는 팬(3)의 가동을 정지시키는데, 정상운전시 80℃의 온도를 정지를 위해 60℃ 까지 저하시키는 과정에서, 미분탄은 지속적으로 집진기(6)로 공급되어, 입자운동의 저하가 발생하고, 집진기(6)에서 질소로 탈진되어 회수되면 미분탄이 하부로 탈락되어 집진기(6)의 철피와 연결배관(31)에 누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집진기(6)의 하부 및 연결배관(31)에 미분탄의 누적이 발생하면, 저장호퍼(7)로 공급되는 미분탄이 적어지게 되고,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호퍼(7)의 중량(W2)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되고, 미분탄이 쌓이면서, 집진기(6)의 내부온도(T2)는 점진적으로 저하되며, 동시에 미분탄이 집진기(6)의 하부를 막게 되면 열풍가스가 대기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해 집진기의 차압(P2)은증가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종래에는 운전자가 상기와 같이 복합적으로 발생되는 현상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문제에 대처하게 되는데, 1차적으로는 집진기(6) 하부에 설치된 바이브레이타(18)를 기동하여 막힘을 관통시키는데, 이때는 대부분 막힌 정도가 상당히 진행된 상태이기 때문에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특히 연결배관(31)에는 전혀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방법에 효과를 보지 못한 경우, 운전자는 2차적으로 함마등의 도구로 연결배관(31)의 임의 부분을 가격하여, 그 충격에 의해 누적된 미분탄의 자연낙하를 유도하지만, 보통 연결배관(31)이 길고 고소작업이라 충격을 충분히 가하기 어렵고, 집진기 하부까지 누적된 미분탄이 저장호퍼(7)까지 유입되는데 과다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관이 길어 전체적인 관통이 확실히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미분탄 취입설비를 비상 정지시킨 후, 연결배관을 해체하여 관통을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정상적인 미분탄 제조가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미분탄 제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집진기의 하부에서 연결배관을 거쳐 로타리밸브에 이르는 구간에 미분탄이 누적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켜 막힘 현상의 원인을 제거하고, 미분탄 제조시 막힘 현상이 발생되면 이를 조기에 감지하여 신속히 제거할 수 있는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미분탄 취입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미분탄 집진 및 회수 계통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의 상세구성도이다.
도 4a ~ 도 4b는 종래의 미분탄 취입 설비의 운전 플로우를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미분탄 취입 절차를 보인 플로우 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퍼지동작부
200 : 퍼지제어부
210 : 온도감시부
220 : 밸브제어부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파쇄기에서 제조된 미분탄을 집진기로 모아 저장호퍼에 저장시킨 후 고로에 소정량씩 취입하는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와 저장호퍼를 연결하는 배관상에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퍼지노즐;
상기 다수의 퍼지노즐로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배관;
상기 다수의 퍼지노즐로의 질소 공급/차단을 제어하는 다수의 퍼지제어밸브;
상기 다수의 퍼지노즐로의 질소 공급유량을 검출하는 다수의 유량검출기;
상기 집진기와 저장호퍼를 연결하는 배관상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다수의 온도검출기;
상기 다수 온도검출기로 측정된 배관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지를 감시하는 온도감시부; 및
미분탄 취입 설비의 공정신호를 입력받아, 미분탄 제조가 정지되거나, 미분탄 정상운전중 상기 온도감시부로부터 온도저하검출신호가 인가될때, 상기 다수의 퍼지제어밸브를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소정 시간씩 오픈시킴과 동시에 이때 질소 공급유량을 체크하여 막힘상태를 감지하여 경보하는 밸브제어부;
로 구성되는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미분탄 막힘 제거장치에서는 상기 다수의 퍼지노즐은 분사각도가 집진기와 저장호퍼간의 연결배관의 내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치의 밸브제어부는 미분탄 취입 설비의 초기 가동시 집진기와 집진기하부의 로터리 밸브가 온될 때, 또는, 미분탄 취입 설비의 정지시 급탄 및 파쇄가 정지될 때, 다수 퍼지제어밸브 및 유량검출기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로서, 상기 장치는 크게 구분하여 퍼지동작부(100)와, 퍼지제어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퍼지동작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기(6)와 저장호퍼(7)를 연결하는 연결배관(31)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질소가 공급되는 4 개의 퍼지질소배관(26)을 설치하고, 연결배관(31)의 원주방향으로 상기 퍼지질소배관(26)의 선단부와 연결배관(31)을 연결되는 다수의 퍼지노즐(37)을 설치하고, 각 단별로 퍼지질소의 공급/차단을 제어하는 퍼지질소제어밸브(22 ~ 25)를 설치하고, 각 단별로 퍼지질소의 유량을 검출하는 검출기(18 ~ 21)를 설치하며, 상기 연결배관(31)의 각 단별로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다수의 온도검출기(27 ~ 30)를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다수의 퍼지노즐(37)은 연결배관(31)의 내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분사 각도가 형성되도록 설치함으로서, 연결배관(31)의 하부 방향으로 퍼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퍼지제어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퍼지동작부(100)의 다수 온도검출기(27~30)로부터 측정된 연결배관(31)의 각 단별 내부 온도를 표시하는 다수의 온도지시부(27-1, 28-1, 29-1, 30-1)와, 상기 다수의 온도지시부(27-1, 28-1, 29-1, 30-1)로부터 인가되는 온도검출값이 연결배관(31)의 내부 적정온도값(예를 들어, 65℃) 이하로 떨어지는 지는 검출하는 온도감시부(210)와, 미분탄 취입 설비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취입공정신호를 입력받아 미분탄 취입 설비에서 미분탄 제조계통의 가동시와 정지시점에서 그리고 제조계통의 정상 동작중에는 상기 온도감시부(210)의 비교신호를 체크하여 연결배관(31)의 내부온도가 적정치 이하로 떨어질때 다수 퍼지밸브(22~25)를 하부단부터 단계적으로 온/오프시키킴과 동시에 대응하는 유량검출기(18~21)의 질소 공급량 검출값을 체크하여 막힘현상을 감지하여 알리는 밸브제어부(220)로 구성된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가 적용된 미분탄 취입 설비의 운전 절차를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해 이루어지는 미분탄 막힘 제거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플로우에서, 단계 501 ~ 단계 511은 일반적인 미분탄 제조 및 취입 절차이며, 단계 512 ~ 단계 521는 본 발명에 의하여, 미분탄 취입 설비에서 초기 가동시 집진기(6)가 온되고, 집진기(6) 하부의 로터리밸브(16)가 온되어집진기(6)의 잔류 미분탄이 낮은 분위기 온도의 연결배관(31)으로 배출되기 시작하는 시점(P1)과, 미분탄 취입 설비의 정지시 급탄기(1)의 정지에 의해 미분탄 제조가 중지되는 시점(P3)와, 미분탄의 정상 제조중인데 상기 연결배관(31)의 온도가 저하된 경우 실행되어, 연결배관(31)의 미분탄 누적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절차이다.
그 구체적인 작용을 미분탄 취입 설비의 가동, 정지, 정상 운전상태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미분탄 취입설비의 가동시
미분탄 취입 설비의 가동이 시작되면, 가동절차에 따라서, 먼저 집진기(6)가 온되고, 이어서 로타리밸브(16)가 온된다(501). 이에, 집진기(6)의 하부에서 연결배관(31) 사이에 잔류하는 미분탄이 저장호퍼(7)로 배출되기 시작한다.
이때, 열풍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연결배관(31)의 분위기 온도는 대기온도로서, 이때문에, 미분탄이 연결배관(31) 사이에 누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퍼지제어부(220)는 초기 가동시 집진기(6)가 온되고, 로터리밸브(16)가 온된 시점에서, 퍼지동작부(100)를 동작시킨다.
즉, 연결배관(31)의 가장 하부단에 설치된 제1퍼지밸브(25)를 소정 시간(예를 들어, 20초 정도) 오픈시킨다(513). 이에, 연결배관(31)의 가장 하부단으로 질소가 공급되고, 퍼지를 실시한다. 이때, 제1유량검출기(21)를 통해 질소 공급유량을 체크하여, 질소가 공급되지 못하는 경우 연결배관(31)상에 미분탄 막힘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한다(515).
그 다음,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그 상부의 제2퍼지제어밸브(24)를 오픈시키고, 제1퍼지제어밸브(25)는 클로즈시킨다(514). 상기 제2퍼지제어밸브(24)의 오픈상태도 소정 시간 유지시켜, 연결배관(31)의 두번째 단으로 퍼지질소를 공급한다.
상기 제2퍼지제어밸브(24)의 오픈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이어서 그 상부의 제3퍼지제어밸브(23)을 오픈시키고, 상기 오픈상태인 제2퍼지제어밸브(25)는 클로즈시켜, 보다 높은 곳에서 질소를 공급한다(516).
상기 과정중에는 제2유량검출기(20)를 통한 질소공급유량을 체크하여 정상적인 질소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막힘현상발생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시킨다(517).
상기 제3퍼지제어밸브(23)의 오픈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마지막으로 가장 상부에 설치된 제4퍼지제어밸브(22)를 오픈시키고, 오픈상태인 제3퍼지제어밸브(23)는 클로즈시킨다(518).
그리고, 제4퍼지제어밸브(22)의 오픈상태를 설정시간동안 유지한 후, 상기 제4퍼지제어밸브(22)도 클로즈시킨다(520).
이때, 마찬가지로, 제3유량검출기(19) 및 제4유량검출기(18)를 감시하여, 질소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배관이 막혀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로를 발생시킨다(519).
그 동안, 미분탄 취입 설비는 집진기(6)와 로터리밸브(16) 만을 온시킨 상태로 소정 시간(상기 질소 퍼지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지연처리한다.
그 다음, 정상적인 가동절차에 따라서, 배가스팬(3)을 온시켜 취입설비의 분위기온도를 상승시키고(502), 파쇄기(5)의 출구온도가 설정범위에 도달되면 이어 파쇄기(5)를 기동시킨다(503).
상기 파쇄기(5) 기동후 소정 시간 후에 급탄기(1)를 동작시킨다(504).
이에, 파쇄기(5)로 석탄이 급탄되기 시작되면, 가동절차를 중단하고 정상적인 미분탄 제조 및 취입이 시작된다(506).
2. 미분탄 설비 정지
미분탄 취입 설비가 정지되는 경우, 중지지령이 인가되면(507), 급탄량을 최소치로 설정하여 급탄량을 감소시키다가 최종적으로 급탄기(1)를 정지시켜 제조계통을 정지시키고(508), 그 다음 소정 시간 지연 후 파쇄기(5)를 정지시키고, 팬(3)을 정지시킨다(510).
이렇게, 미분탄의 제조가 정지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513 ~ 단계521가 수행되어, 연결배관(31)의 내부 하부 방향으로 질소를 분사하여 잔류 미분탄의 누적을 방지시킨다.
상술한 퍼지 질소 공급과정은 앞서 미분탄 초기 가동시의 절차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이로서, 미분탄 제조 중지로 인해 온도가 저하되더라도 집진기(6)의 잔류 미분탄은 공급된 퍼지질소에 의해 누적되는 일 없이 저장호퍼(7)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잔류 미분탄의 처리를 마친후, 로터리밸브(16) 및 집진기(6)를 정지시켜 미분탄 취입 설비를 완전히 정지시킨다.
3. 정상운전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동된 미분탄 취입 설비는 팬(3)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열풍로 배가스, 또는 COG 연소가스로 파쇄기(5)의 온도를 80℃로 유지하면서 미분탄 제조를 실시하는데, 보통 후단의 집진기(6) 온도는 설비 위치상 파쇄기(5)의 설정온도보다 다소 낮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미분탄 제조중에는 연결배관(31)의 내부 온도를 온도검출기(27~30) 및 온도지시부(27-1 ~ 30-1)을 통해 감시하여, 설정된 온도 65℃ 보다 낮아지면, 이를 밸브제어부(220)로 알린다(512).
이에, 상기 밸브제어부(220)가 동작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계 513 ~ 단계 521을 수행함으로서, 연결배관(31)의 내부 하부방향으로 질소를 분사시킴으로서, 온도저하에 따른 미분탄 누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밸브제어부(220)의 퍼지밸브(22~25) 및 유량검출기(18~21) 제어동작은 앞서 초기 가동시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분탄 제조 정지시나, 정상운전상태에서 연결배관의 온도저하시, 미분탄이 연결배관에 누적되지 않도록 연결배관 내부로 질소를 분사함으로서, 집진기 하부 및 연결배관의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미분 탄의 안정된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미분탄 재고량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고로의 열원인 미분 탄의 부족에 의한 고로 생산량 감산, 고로 노열변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분탄에 의한 막힘 현상을 초기에 검출하여 알림으로서, 운전자의 적절한 조취를 유도하여, 미분탄 설비의 생산효율을 증가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파쇄기에서 제조된 미분탄을 집진기로 모아 저장호퍼에 저장시킨 후 고로에 소정량씩 취입하는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와 저장호퍼를 연결하는 배관상에 상하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퍼지노즐;
    상기 다수의 퍼지노즐로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배관;
    상기 다수의 퍼지노즐로의 질소 공급/차단을 제어하는 다수의 퍼지제어밸브;
    상기 다수의 퍼지노즐로의 질소 공급유량을 검출하는 다수의 유량검출기;
    상기 집진기와 저장호퍼를 연결하는 배관상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다수의 온도검출기;
    상기 다수 온도검출기로 측정된 배관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은지를 감시하는 온도감시부; 및
    미분탄 취입 설비의 공정신호를 입력받아, 미분탄 제조가 정지되거나, 미분탄 정상운전중 상기 온도감시부로부터 온도저하검출신호가 인가될, 상기 다수의 퍼지제어밸브를 소정 시간씩 단계적으로 오픈시킴과 동시에, 이때의 질소공급량을 다수 유량검출기로 체크하여 막힘여부를 판단하는 밸브제어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퍼지노즐은 분사각도가 집진기와 저장호퍼간의 연결배관의 내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제어부는
    미분탄 취입 설비의 초기 가동시 집진기와 집진기하부의 로터리 밸브가 온될때, 또는, 미분탄 취입 설비의 정지시 급탄 및 파쇄가 정지될때, 다수 퍼지제어밸브 및 유량검출기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
KR1020020070756A 2002-11-14 2002-11-14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 KR20040042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756A KR20040042454A (ko) 2002-11-14 2002-11-14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756A KR20040042454A (ko) 2002-11-14 2002-11-14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454A true KR20040042454A (ko) 2004-05-20

Family

ID=3733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756A KR20040042454A (ko) 2002-11-14 2002-11-14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245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582B1 (ko) * 2008-11-06 2011-01-07 (주)서경테크 진열담배 시선유도용 광고 사인
KR20110074152A (ko) * 2009-12-24 2011-06-30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집진기 제어장치
CN111793730A (zh) * 2020-07-13 2020-10-20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解决料罐料空值异常的方法及装置
CN115138468A (zh) * 2022-07-06 2022-10-04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磨煤机煤粉管道堵塞预警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6109A (en) * 1980-10-31 1982-05-13 Nippon Kokan Kk <Nkk> Injection of fine powder coal into blast furnace and device therefor
KR920004089U (ko) * 1990-08-21 1992-03-25 삼성전관 주식회사 함침형 음극의 다공질 텅스텐 제조장치
JPH05320726A (ja) * 1992-05-26 1993-12-03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への微粉炭吹込管の詰まり防止装置
KR200277337Y1 (ko) * 1997-12-29 2002-10-19 주식회사 포스코 용광로의미분탄취입지관막힘검출및방지장치
KR100376516B1 (ko) * 1999-08-26 2003-03-17 주식회사 포스코 미분탄 취입라인의 막힘 예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6109A (en) * 1980-10-31 1982-05-13 Nippon Kokan Kk <Nkk> Injection of fine powder coal into blast furnace and device therefor
KR920004089U (ko) * 1990-08-21 1992-03-25 삼성전관 주식회사 함침형 음극의 다공질 텅스텐 제조장치
JPH05320726A (ja) * 1992-05-26 1993-12-03 Sumitomo Metal Ind Ltd 高炉への微粉炭吹込管の詰まり防止装置
KR200277337Y1 (ko) * 1997-12-29 2002-10-19 주식회사 포스코 용광로의미분탄취입지관막힘검출및방지장치
KR100376516B1 (ko) * 1999-08-26 2003-03-17 주식회사 포스코 미분탄 취입라인의 막힘 예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582B1 (ko) * 2008-11-06 2011-01-07 (주)서경테크 진열담배 시선유도용 광고 사인
KR20110074152A (ko) * 2009-12-24 2011-06-30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집진기 제어장치
CN111793730A (zh) * 2020-07-13 2020-10-20 广东韶钢松山股份有限公司 一种解决料罐料空值异常的方法及装置
CN115138468A (zh) * 2022-07-06 2022-10-04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磨煤机煤粉管道堵塞预警方法、装置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9004B (zh) 排灰系统
JP4835335B2 (ja) 電気集じん機
JP2010216721A (ja) ショットクリーニング装置の鋼球回収装置及び鋼球回収方法
CN102031321B (zh) 高炉炉顶均压煤气回收方法及回收装置
US5165236A (en) Detection of particles in a hot gas flow upstream of a gas turbine
KR20040042454A (ko) 미분탄 취입 설비에 있어서 미분탄 막힘 제거 장치
JPH11140464A (ja) 石炭ガス化装置及び該装置のスラグ排出方法
KR20030085467A (ko) 순환 유동층 로
CN106984102A (zh) 一种布袋除尘器在线故障检测、保护方法及系统
KR100862774B1 (ko) 미분탄 제조 장치
KR100489033B1 (ko) 고로 미분탄 취입라인의 픽업부 막힘관통장치
CN211997909U (zh) 一种用于省煤器的输灰管道系统
CN103736339B (zh) 煤粉收集的方法
KR100376516B1 (ko) 미분탄 취입라인의 막힘 예방장치
JP4129703B2 (ja) 脱塵装置
KR200320159Y1 (ko) 집진기의 필터백 파손검지장치
CN213314309U (zh) 一种用于防止排气圆顶阀卡涩的装置
KR100963095B1 (ko) 공기압을 이용한 막힘 광석 제거용 스크린 매트
KR100916040B1 (ko) 미분탄 제조설비에서 백필터의 열화 방지장치
CN216744397U (zh) 一种锅炉灰渣去除系统
KR200308395Y1 (ko) 더스트 리사이클링 시스템의 라인막힘 방지장치
CN218944571U (zh) 一种重力除尘卸灰氮气反吹装置
JP4696970B2 (ja) ガス化装置におけるチャー充填層吹抜防止装置
KR100913045B1 (ko) 미분탄 제조 설비의 미파쇄탄 재활용시스템
KR100286671B1 (ko) 미분탄 취입라인의 막힘 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