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1743A - Device for a warrior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 - Google Patents

Device for a warrior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1743A
KR20040041743A KR1020020069605A KR20020069605A KR20040041743A KR 20040041743 A KR20040041743 A KR 20040041743A KR 1020020069605 A KR1020020069605 A KR 1020020069605A KR 20020069605 A KR20020069605 A KR 20020069605A KR 20040041743 A KR20040041743 A KR 20040041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information
control
driving
rob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6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수
하인용
Original Assignee
(주)로보티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보티즈 filed Critical (주)로보티즈
Priority to KR1020020069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1743A/en
Publication of KR20040041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743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3Manipulators for entertai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Abstract

PURPOSE: A fight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is provided to freely control the driving of the robot by using communication data and outer physical data memorized in a memory unit. CONSTITUTION: A fight robot is composed of a data detecting unit(130) for detecting outer physical data(190), a communication unit(140) having a transmitting unit and a receiving unit, a memory unit(120) memorizing the detected data and the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a control unit(110), and a driving unit(160).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on the basis of the memorized data.

Description

대전형 로봇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EVICE FOR A WARRIOR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Chargeable robot device and control method {DEVICE FOR A WARRIOR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

본 발명은 로봇 장치, 특히 기억된 정보를 연산하여 이를 이후의 구동에 반영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로봇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device, in particular a robot device having control means for calculating stored information and reflecting it on subsequent driving.

전기적 또는 자기적 작용을 이용하여 인간의 동작과 닮은 운동을 행하는 기계 장치를 로봇이라고 한다. 로봇의 어원은 노예라는 의미의 슬라브어의 "로보타(ROBOTA)"에서 유래한다고 전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 말부터 간단한 형태의 로봇이 등장한 바 있고 현재 산업용 로봇은 점차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또한, 1990년대에는 일정한 자극에 스스로 반응하도록 제조된 완구용 로봇이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완구용 로봇은 인간 대신 효율적으로 작업을 하는 산업용 로봇과 달리 인간의 관심을 끌기 위한 목적의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수행한다.A mechanical device that uses electric or magnetic action to perform a motion similar to human motion is called a robot. The etymology of the robot is said to come from the Slavic "ROBOTA" meaning slave. In Korea, simple robots have emerged since the late 1960s, and industrial robots are gradually spreading. Also, in the 1990s, toy robots manufactured to respond to certain stimuli by themselves began to appear. Unlike toy robots that work efficiently instead of humans, such toy robots perform entertainment functions for the purpose of attracting human attention.

이러한 완구용 로봇은 일반적으로 유선 또는 무선의 조종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나 소정의 센서 등을 통해 입력된 정보에 반응하도록 제조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개발된 디지털 토이의 원조격인 "퍼비"나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인터랙티브 인형인 "바니" 또는 일본의 세가 토이가 제작하여 시판한 바 있는 강아지형 로봇인 "푸치"와 같은, 사람의 음성, 사람의 터치 등에 반응하여 간단한 감정 표현이나 엔터테인먼트용 구동을 하도록 제작된 로봇들이 있다. 이러한 로봇들은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정보를 인식하여 일정한 제어 수단에 의해 구동하지만, 다른 로봇을 인식하여 구동하거나 다른 로봇과 통신함으로써 로봇의 구동이 제어되는 특징은 갖고 있지 않다.Such toy robots are generally manufactured to respond to signals input by wired or wireless control or information input through a predetermined sensor. For example, "Purby", the origin of digital toys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Bani", an interactive doll developed by Microsoft Corporation, or "Pucci," a dog-type robot manufactured and marketed by Sega Toy of Japan. There are robots designed to drive simple emotions or entertain entertainment in response to human voices and human touches. Although these robots recognize physical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and are driven by a certain control means, they do not have the feature of driving the robot by recognizing and driving other robots or communicating with other robots.

또한, 상기 예로서 제시된 로봇들과 달리 로봇 간의 전투를 목적으로 제조되는 "배틀봇(battlebot)"이 알려져 있다. "배틀봇"은 2개 이상의 로봇이 서로 톱니,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다른 로봇을 망가뜨리는 방식의 로봇 대전으로서이에 사용되는 로봇 자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이러한 "배틀봇"은 서로 상대방 로봇이 파손되도록 구동되고 이러한 파손에 따라 승부가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배틀봇"의 제어를 위해서 유선 또는 무선의 조종기가 사용되며 인간이 이를 직접 조종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배틀봇"은 불과 수 킬로그램 정도의 경량급부터 수백 킬로그램 정도의 중량급까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배틀봇"은 파손의 정도에 따라 승부가 결정되는 특징 때문에 필연적으로 로봇의 손상으로 인한 수명 단축이 야기되고 완구용 로봇이 요구하는 어린이의 정서적 보호를 위한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2개 이상의 로봇이 공간적으로 함께 사용될 뿐, 로봇 상호 간에 정보를 교환하거나 서로를 검출하는 특징은 갖고 있지 않다.Also known as "battlebots" are produced for the purpose of combat between robots, unlike the robots presented as examples above. "Botbot" is a robot battle in which two or more robots destroy each other by using a tool such as a tooth, a hammer, etc., and also refers to the robot itself. These "battlebots" are driven to break each other's robots, and the victory is gener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amage. A wired or wireless controller is used to control the "Botbot" and is used in a manner in which a human directly controls it. "Battlebots" range from light weights of just a few kilograms to heavy weights of hundreds of kilograms. Such "Botbot" is inevitably shortened due to the damage of the robo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mage, and is also undesirable in terms of the emotional protection of children required by the toy robot. In addition, two or more robots are used together spatially, and do not have the feature of exchanging information or detecting each other.

보다 발전된 형태의 로봇으로는 일본의 소니사가 제작하여 판매하고 있는 "아이보"가 있다. 이 로봇은 본격적인 엔터테인먼트용 강아지형 로봇으로서, 카메라 열 감지기, 적외선 거리측정기, 촉각 감지기, 속도 감지기, 마이크, 스피커 등의 상대적으로 복잡한 전자 장비와 64비트 CPU를 갖춰 실제의 강아지와 유사하게 움직이고 짖는 구동을 하는 것처럼 인식되도록 제작되었다. 아이보는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열이나 촉각 등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구동을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아이보"와 같은 로봇은 "배틀봇"과는 달리 외부의 정보를 다각도로 인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퍼비"나 "푸치"와 같이 이에 반응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아이보"는 로봇이 스스로 획득한 정보를 연산하여 반응을 나타낼 뿐, 다른 로봇과의 통신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구동 제어에 반영하거나, 상기 획득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연산하는 특징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A more advanced type of robot is "Aibo," manufactured and sold by Sony of Japan. The robot is a full-fledged entertainment doggy robot that features relatively complex electronics such as camera heat detectors, infrared rangefinders, tactile detectors, speed sensors, microphones, speakers, and a 64-bit CPU that drives and moves like a real dog. It is designed to be recognized as if To achieve this, Aibo has a built-in control program that controls the drive to respond to external stimuli such as heat and tactile sensations. Unlike "Battlebot", a robot such as "Aibo" has a means of recognizing external information from various angles, and has a characteristic of responding to it, such as "Purby" and "Pucci". Such "Aibo" not only expresses the reaction by calculating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obot itself, but also discloses the feature of reflecting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 robots in the driving control or continuously calculating the obtained information. not.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로봇들이 갖는 특징들을 개선하고, 전술한 로봇들이 갖는 문제점들이 보완된 로봇 장치를 구현하고자 의도되었다. 즉,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바탕으로 로봇을 제어하는데 그치지 않고, 반복적 통신/반복적 검출/연속적 상호 작용을 수반하는 특징을 갖는 로봇 장치를 구현하고자 의도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mprove the features of the above-mentioned robots and to implement a robotic device in which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robots are complement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control the robot based on the recognition of physical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and is intended to implement a robot device having a feature involving repeated communication / repetitive detection / continuous interaction.

본 발명은 특히, 대전형 로봇에 있어서 유리한 로봇 장치를 구현하고자 의도되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2 이상의 로봇이 이동하면서 서로의 상대 로봇이 일정 거리 내에 있을 때 타격을 가하기 위해 접근하고, 상기 로봇 중 어떤 로봇이 일정 회수의 유효한 타격을 받았을 때, 이에 따라 체력이 소진되도록 함으로써 승부가 결정되는 방식의 대전형 로봇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로봇 장치의 구현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intended to implement an advantageous robotic device in a charging robot. For example, when the two or more robots move while approaching each other's opponent robots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 present invention approaches, and when any one of the robots has received a certain number of effective hits, the physical strength is thus increased. It can be used in a charging robot of a manner in which the game is decided by being exhaust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robot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본 발명의 목적은 검출 수단 및/또는 통신 수단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기억된 정보를 이용하여 그 구동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는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bot which can stor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detection means and / or the communication means, and which can control variously its driving using the stored information.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객체, 특히 다른 로봇과 접촉하거나 통신한 정보 등을 이용함으로써 그 상호 작용에 따라 로봇의 구동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that variously controls the driving of a robot according to its interaction by using information, such as contact or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object, in particular, another robot.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상호 작용에 의해 획득한 정보를 연산하여 이를 이후의 구동에 반영하는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that calculates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interaction and reflects it on subsequent driving.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획득한 정보의 지속적인 연산 및 누적으로 인해 로봇의 인공지능을 향상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그 구동의 제어를 개선시키는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bot that improve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e robot and improves the control of its driving by using the continuous calculation and accumulation of the obtained information.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2 이상의 로봇이 서로 승부를 가리는 대전형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ed robot in which two or more robots fight each other.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2 이상의 로봇이 서로 승부를 가리는 대전형 로봇에 있어서 로봇의 파손 없이 승부 결과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that can easily recognize the result of the game without damage to the robot in a charging robot that two or more robots screen each other.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장치인 2 이상의 로봇을 이용함으로써 대전 및/또는 훈련 모드를 구현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for implementing a charging and / or training mode by using two or more robots which are robotic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장치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2 and 3 are flowcha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정면도 및 입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and an elevation view of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팔을 이용한 타격 감지를 위한 장치(로봇 팔 검출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aratus (robot arm detector) for hit detection using a robot a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종 모드 로봇의 제어 개요도이다.6 is a control schematic diagram of the user control mod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모드 로봇의 제어 개요도이다.7 is a control schematic diagram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로봇들 간의 대전의 개요도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ttle between a plurality of robo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타격 대상에의 접근을 예시하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roach to the hitting target of th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과제를 참작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robo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로봇(100)은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정보(190)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30) 및/또는 발신 수단 및/또는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수단(140)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130) 및/또는 상기 통신 수단(140)에 의해 획득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120), 상기 기억 수단(120)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의 구동 및 연산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10), 및 상기 제어 수단(11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수단(16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110)은 상기 기억된정보를 연산하여 이를 로봇(100)의 이후의 구동에 반영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100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comprises a communication means 140 comprising a detection means 130 for detecting physical information 190 from the outside and / or a transmission means and / or a reception means. A control means for storing information obtained by the detection means 130 and / or the communication means 140,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robot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120. Control means 110, and drive means 160 driven by the control means 110, wherein the control means 110 calculates the stored information to drive the robot 100 afterwards. It may include programs to reflect on.

한편,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로봇(100)은 그 본체부(100)를 다른 로봇의 동작으로 인해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강한 강도를 갖도록 제조하고, 별도의 외피부를 다른 로봇의 동작으로 인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약한 강도를 갖도록 부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bo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100 has a strong enough strength not to be damaged by the operation of the other robot, an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other outer skin portion It can be made by adding to have a relatively weak strength that can easily break.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로봇 간의 대전을 위한 로봇 제어 방법이 있다.Further,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robot control method for charging between robots.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의 특징, 각 구성 요소 간의 유기적 관계 및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and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로봇은 검출 수단 및/또는 통신 수단, 기억 수단, 제어 수단, 및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The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comprises a detection means and / or a communication means, a memory means, a control means, and a drive means.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1. 검출 수단(130) 1 . Detection means 130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은 외부 객체와의 접촉, 외부 객체로부터의 광 신호, 외부 객체로부터의 음향 신호 등의 물리적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검출한다. 상기 검출을 위한 센서의 예로는 누름 스위치 등의 접촉식 센서 및 적외선 센서, 마이크, C-MOS 이미지 센서 등의 비접촉식 센서를 들 수 있다.Th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one or more of physical information such as a contact with an external object, an optical signal from the external object, an acoustic signal from the external object, and the like. Examples of sensors for the detection include contact sensors such as push switches and non-contact sensors such as infrared sensors, microphones, and C-MOS image sensors.

상기 예의 누름 스위치는 로봇의 각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누름스위치는 로봇이 다른 객체와 접촉하는 경우 받는 압력이 일정한 수치 이상일 때 눌려지고, 이에 따라 발생한 신호를 로봇의 기억 수단에 기억하게 된다.The push switch of the above example may be arranged in each part of the robot. Such a push switch is pressed when the pressure received when the robot comes into contact with another object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thus stores the signal generated in the storage means of the robot.

또한, 상기 예의 적외선 센서는 파의 반사 작용을 이용한다. 이것은 로봇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객체를 검출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rared sensor of the said example uses the reflection effect of a wave. This can be useful when detecting an object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obot.

한편, 상기 예의 마이크는 외부로부터의 음향 정보를 검출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마이크는 대전형 로봇 등에 있어서 발생하는 서로 다른 음향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를 검출하고 이는 로봇의 기억 수단에 기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icrophone of the above example is used when detecting sound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Such a microphone detects different information according to different acoustic information generated in a charging robot or the like, which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of the robot.

이러한 센서 외에도 구동 수단(160)과 연결될 수 있는, 소위 로봇 팔 등의 구동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검출 수단도 구현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로봇은 로봇 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봇 팔은 항상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 내에서 일정한 주기로 구동된다. 그러나, 상기 로봇 팔이 어떤 외부 객체로 인해 원래의 구동 경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로봇 팔은 구동 주기보다 일반적으로 긴 시간 동안 운동(예를 들면, 대전형 로봇에 있어서는 일종의 타격을 가하는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가 상기 검출 수단에 포함될 수 있는 로봇 팔 검출부(예를 들면, 대전형 로봇에 있어서는 일종의 타격 감지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상기 검출된 변화는 하기 통신 수단을 통해 발신 신호의 형태로 일정 거리 범위 내의 다른 로봇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를 수신한 로봇은 수신된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다시 신호를 발신한 로봇에 송출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유효한 검출을 확인해 준다. 예를 들어, 이러한 완결된 검출 동작이 대전형 로봇에 응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로봇 팔을 통해 다른 로봇을 검출한 로봇에는 타격이 성공했다는 정보가 기억되고, 검출 대상이 된 로봇에는 타격을 당했다는 정보가 기억된다. 이와 유사한 기능을 위해서 본 발명의 검출 수단은 상기 로봇 팔이 외부 객체와 접촉할 때 발생하는 음향을 별도로 검출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such a sensor, a detection means for obtaining information through driving of a so-called robotic arm, which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eans 160, may be implemented. More specifically, the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obotic arm. The robot arm is always driven at regular intervals within an acceptable error range. However, if the robot arm is unable to maintain its original drive path due to some external object, the robot arm will generally move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an the drive cycle (e.g., a kind of striking motion in a charging robot). . Such a change can be detected by a robot arm detection unit (for example, a type of hit detection sensor in a charging robot) that can be included in the detection means. The detected change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robot within a certain distance range in the form of an outgoing signal through the following communication means. Receiving such a signal confirms the valid detection of itself by sending a response signal to the robot that sent the signal in response to the received signal. For example, when such a complete detection operation is applied to a charging robot, information that a hit is successful is stored in a robot that detects another robot through the robot arm, and a robot that has been detected is hit. The information is stored. For a similar function, the detec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vice for separately detecting a sound generated when the robot arm contacts an external object.

2. 통신 수단(140) 2 . Communication means 140

상기 로봇의 통신 수단은 발신 수단 및/또는 수신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 수단은 로봇이 주체가 되는 통신 과정에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로봇은 상기 발신 수단을 통하여 다른 로봇에게 일정한 정보를 전달하는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송출된 신호를 전달 받은 로봇은 그 신호에 따라 신호를 송출한 로봇의 상태 정보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른 로봇으로부터 획득한 정보도 제어 수단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로봇 간의 통신은 일방향 또는 쌍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보다 많은 로봇 간의 통신의 형태로도 유효할 것이다. 이러한 통신, 특히 로봇 간의 통신에 의해 획득한 정보를 본 발명의 제어 수단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로 하는 것은 로봇의 구동 제어에 보다 우수한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eans of the robot comprises a transmitting means and / or a receiving means. This communication means can be used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the main subject of the robot. For example, the robot may transmit a signal for transmitting certain information to the other robot through the transmitting means. The robot which has received the transmitted signal through the receiving means can know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robot which has transmitted the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Therefore, information obtained from another robot can also be a parameter influencing the control means. Such robot-to-robot communication may be unidirectional or bidirectional, and may be effective in the form of communication between more robots as needed. Making the information obtained by such communication, in particular, communication between robots, as a parameter influencing the contro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better variety in driving control of the robot.

3. 기억 수단(120) 3 . Storage means 120

상기 기억 수단은 획득한 정보의 효율적이고 누적적인 관리를 위해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를 통해 저장된 정보는로봇의 전원이 일단 꺼진 다음에도 유효하게 로봇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는 로봇의 상태를 시간에 따라 또는 외부로부터 받은 영향 등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로봇 내에서 지속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The storage means may include volatile and / or nonvolatile memory for efficient and cumulative management of the obtaine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stored through this memory can remain in the robot even after the robot is powered off.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can be continuously used in the robot so that the state of the robot can be changed over time or influenced from the outside.

4. 제어 수단(110) 4 . Control means 110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를 반영하여 로봇의 구동을 결정하기 위한 연산을 행한다. 이러한 연산을 실현하는 제어 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연산은 로봇의 인공지능을 보다 높은 차원으로 구현하도록 자가 발전적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자가 퇴보적인 학습 프로그램을 포함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따라서, 로봇의 구동은 즉시성 외부 입력이나 단발적인 통신에만 의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획득한 정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어될 수 있고, 사용자는 로봇의 제어 수단에 포함할 수 있는 상기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로봇의 구동 양식을 발전시켜 나갈 수도 있다. 이러한 로봇의 학습에 의한 진화 방법은 본 출원인의 한국특허출원 제 2001-0073380 호, "학습에 의한 로보트의 진화 방법"에 상세하게 제시된 바 있으며, 본 명세서에 그 내용이 통합된 것으로 한다. 상기 출원의 요지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ontrol means reflect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performs calculation for determining the driving of the robot. The control means for realizing this operation can be programmed in various forms. More specifically, these operations can be programmed to include self-development or, if necessary, self-development learning programs to implement the robot's artificial intelligence to a higher level. Therefore, the driving of the robot is not only based on instantaneous external input or one-time communication, but can be controll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btain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and the user can be included in the control means of the robot. It is also possible to develop the driving mode of the robot. Such a method of evolution by learning of the robot has been presented in detail in the applicant'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1-0073380, "Evolution of the robot by learning",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riefly, the gist of the application is as follows:

로봇이 이동하면서 하나 이상의 방향 센서부 및 거리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입력 정보별로 로봇의 행동 정보를 저장한 학습 테이블을 생성한다. 그 다음에, 상기 학습 테이블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연산하여 센서 입력 정보별 평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습성 정보를 생성한다. 그 다음에, 상기 로봇이 사용자에 의해 조종되지 않는 인공지능 모드일 때 센서 입력 정보를 우선 학습 테이블 정보와 비교하여 이를 토대로 로봇을 구동하고, 만약 일치하는 학습 테이블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연산된 습성 정보를 토대로 로봇을 구동한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로봇의 진화가 가능하다.As the robot moves, a learning table storing the robot's behavior information for each input information is generated based on information input from at least one direction sensor unit and a distance sensor unit. Thereafter, the information of the learning table is continuously calculated to generate habit information for providing average information for each sensor input information. Next, when the robot is in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 not controlled by the user, the sensor input information is first compared with the learning table information, and the robot is driven based on this. If there is no matching learning table information, the calculated behavior information Drive the robot based on this.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evolution of the robot.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를 반영하여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로봇 장치에, 상기 출원에 제시된 내용의 제어 방법을 도입함으로써 인공 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봇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다양하고 예측 불가능한 구동을 할 것이 요구되는 완구용 로봇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lement a robot capable of improving artificial intelligence by introducing a control method of the contents set forth in the above application to the robot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driving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see that. This would be more desirable for toy robots that require a variety of unpredictable driving.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을 구동하거나 로봇의 상태를 외부로부터 인식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봇의 이동, 즉,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고, 로봇 팔 등과 같은 로봇의 일부분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의 구동 제어를 통해 로봇의 움직임을 중단시키거나 로봇의 구동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에 일정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수단은 로봇 장치에 부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표시 수단 역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수단은 시각 신호, 음향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수단의 제어는 로봇의 상태를 사용자 또는 다른 로봇에게 인식시키는 방식(예를 들면, 대전형 로봇에 있어서는 로봇이 받은 타격 회수 또는 남은 체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표시 수단의 제어는 로봇의 상태와 무관하게도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eans can be programmed in a manner to drive the robot or to recognize the state of the robot from the outside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robot, that is, the movement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control the driving of a part of the robot such as the robot arm. 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 of the robot may interrupt the movement of the robot or give a constant weight to a parameter that affects the driving of the robot.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eans may also control the display means that can be additionally included in the robot device. Such display means may emit one or more of a visual signal, an acoustic signal and a vibration signal. The control of the display means may be used in a manner of recognizing the state of the robot to the user or another robo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harged robot, the number of hits received by the robot or the remaining stamina). However, the control of the display means can be made irrespective of the state of the robot.

5. 구동 수단(160)5. Drive means 160

본 발명의 구동 수단은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그 구동 태양이 결정된다. 이러한 구동 수단은 로봇의 2차원적 이동을 위한 이동 수단 및/또는 로봇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공간적으로 동작하게끔 하기 위한 동작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로봇 팔 구동에 의해 접촉을 감지하는 로봇 팔 검출부는 로봇 팔의 구동에 따른 검출 수단으로서 로봇 팔의 구동 효과와 함께 위에서 간단히 설명한 바 있다. 도 5의 로봇 팔은 위ㆍ아래로 구동된다. 로봇 팔은 구동 시 회전 각도를 한정하는 접점(504)에 접촉한다. 로봇 팔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접점들에 접촉하는, 미리 결정된 구동 주기가 일정하게 주어질 수 있다. 로봇 팔이 상기 구동 주기보다 긴 시간 동안 구동되는 경우 이는 어떤 타격을 가하였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시간 간격의 변화는 상기 로봇 팔 검출부(502)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As for the drive means of this invention, the drive aspect is determined by control of the said control means. Such driving means may comprise moving means for two-dimensional movement of the robot and / or operating means for spatially oper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obot body. In particular, the robot arm detector for detecting a contact by driving the robot arm has been briefly described above along with the driving effect of the robot arm as a detection mean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obot arm. The robotic arm of FIG. 5 is driven up and down. The robot arm contacts the contact 504 which defines the angle of rotation when drive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obot arm, a predetermined driving period, which contacts the contacts, may be given constantly. If the robot arm is driven for a longer time than the driving period, this indicates that some impact has been made. Therefore, the change in the time interval may be detected by the robot arm detector 502.

또한, 전체적인 구동 수단(160)의 특징적인 상세 내용은 본 출원인의 한국특허출원 제 000 호 "로봇용 구동장치"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 그 내용이 통합된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details of the overall driving means 160 is disclosed in the applicant'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000 "Driver for Robot",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한편, 본 발명의 제 2 측면으로서, 상기 제 1 측면의 특징을 갖는 로봇에 있어서, 로봇의 본체부와 로봇의 외피부를 갖는 로봇을 상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robot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id 1st side surface as a 2nd side surface of this invention, the robot which has a main body part of a robot and the outer skin part of a robot can be assumed.

6. 로봇의 외피부의 부가6. The addition of the outer skin of the robot

본체부와 외피부를 포함하는 로봇들은 특히 대전형 로봇에 있어서, 바람직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로봇의 본체부는 일반적으로 로봇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으로서 로봇을 지지하기 위한 골격 및 로봇의 부품들을 보호하고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기 위한 외장을 포함하는 부분이다. 이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재료, 즉, 금속성 재료 또는 세라믹 재료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비해 로봇의 외피부는 로봇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치 않은 부분으로서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재료, 즉, 플라스틱, 스티로폼, 종이, 목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봇의 본체부 또는 로봇의 외피부에 사용되는 재료는 같은 물질(강도나 연성이 다른 플라스틱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료가 같은 강도의 재료인 경우에도 그 두께나 결합 형태를 달리하여 파손될 외피부와 로봇의 본체부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대개는 상기 로봇 본체부와 로봇 외피부는 강도면에서 차이를 갖는데, 로봇 본체부의 강도는 다른 로봇의 동작으로 인해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도이고, 로봇 외피부의 강도는 다른 로봇의 동작으로 인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정도의 강도이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외피부는 로봇의 구동 제어에 필수적인 부분이 아니므로, 대전형 로봇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하도록 제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 중 적어도 일부분은 특히, 대전형 로봇에 있어서, 다른 로봇의 외피부의 파손을 보다 쉽게 일으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날카롭거나 강도가 높은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 중적어도 일부분은 다른 로봇의 외피부의 파손을 보다 쉽게 일으키기 위한 상대적으로 날카롭거나 강도가 높은 재료를 장착할 수 있도록 제조될 수 있다.Robots comprising a body portion and an outer shell can provide a preferred configuration, particularly for charging robots. The main body of the robot is generally a part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s of the robot, and includes a skeleton for supporting the robot and an exterior for protecting and not exposing the parts of the robot to the outside. Materials used for this may include materials of relatively high strength, that is, metallic materials or ceramic materials. In contrast, the outer skin of the robot is a part which is not necessary to implement the function of the robot, and may include a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strength, that is, plastic, styrofoam, paper, and wood. In addition, the material used for the main body of the robot or the outer skin of the robot may be the same material (plastic, etc. having different strengths or ductility). In addition, even when the material is a material of the same strength,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outer skin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robot to be broken by varying the thickness or coupling form. Usually, the robot body part and the robot skin part have a difference in strength. The strength of the robot body part is such that it is not damaged by the operation of other robots, and the strength of the robot skin part is easily due to the operation of other robots. It would be desirable to have a degree of strength that could break. In addition, since the outer shell is not an essential part of the driving control of the robot, it may be manufactured to be detachable as necessary in the charging robot.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may be made of a relatively sharp or high strength material, in particular in electrified robots, to more easily cause breakage of the outer skin portion of other robots.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body portion may be manufactured to accommodate a relatively sharp or high strength material to more easily cause damage to the outer skin portion of another robot.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은 특히 2 이상의 로봇이 서로 전투하는 대전형 로봇의 구현을 위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로봇을 이용함으로써, 로봇 간의 상호 접촉 시에도 상기 외피부만이 손상되기 때문에 로봇 자체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고, 손상된 외피부만 교환함으로써 로봇의 본체 중 일부 또는 로봇 본체 자체를 교환할 필요가 없게 된다.This aspect of the invention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the implementation of a charging robot in which two or more robots battle each other. By using the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outer skin is damaged even when the robots contact each other, it may not affect the life of the robot itself, and by replacing only the damaged outer skin, a part of the main body of the robot or the robot body itself may be replaced. There is no need to exchange.

이하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에 따른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대전형 로봇으로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로봇 장치의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A description will now be given of an embodiment of a robotic device of the invention for use as a charged robot, comprising one or more of the featur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spects of the invention as mentioned above.

7. 로봇 장치의 실시예7. Embodiment of the robotic device

사용자 조종 모드 및/또는 인공지능 모드를 갖는 대전형 완구용 로봇을 예로서 들 수 있다. 이러한 완구용 로봇은 사용자 조종 모드인 2 이상의 로봇이 서로 대전하거나, 사용자 조종 모드인 로봇과 인공지능 모드인 2 이상의 로봇이 서로 대전하거나, 인공지능 모드인 2 이상의 로봇이 서로 대전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이러한 로봇은 도 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칼(402), 로봇 팔(404), 이동용 바퀴(406), 적외선 검출 세트(408), 및 HP(health power, 로봇 체력) 게이지(4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칼(402)은 기타 다른무기로 대체될 수 있고, 상기 로봇 팔(404) 및/또는 상기 이동용 바퀴(406)도 다른 형태의 구동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적외선 검출 세트(408) 및 HP 게이지(410)도 다른 형태의 검출 수단 및 표시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로봇은 인간형 완구로서 인식될 수 있고, 인간의 전투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자세한 상기 로봇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다.An example may be a charging toy robot having a user steering mode and / or an AI mode. Such a toy robot may be used in a form in which two or more robots in a user control mode battle each other, a robot in a user control mode and two or more robots in an AI mode, or a two or more robots in an AI mode. have. As a preferred embodiment, such a robot includes a knife 402, a robot arm 404, a wheel for moving 406, an infrared detection set 408, and a health power (HP) gauge 410, as shown in FIG. 4. ) May be included. The knife 402 may be replaced with other weapons, and the robot arm 404 and / or the wheel 406 may be replaced with other types of driving means. In addition, the infrared detection set 408 and the HP gauge 410 may also be replaced by other types of detection means and display means. A robo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n be recognized as a humanoid toy, and can perform a function similar to human combat.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for implementing the robot in detail.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로봇은 외부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적외선을 이용한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검출 수단은 구체적으로는 적외선 발생기 및 적외선 감지기를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 발생기와 적외선 감지기는 효율적인 감지를 위해 하나의 적외선 검출 세트로서 이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세트는 적어도 한 방향 이상의 객체를 감지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외선 검출 세트의 예로서, 적외선 검출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 독창적으로 제조된 적외선 검출 세트가 본 출원인의 출원번호 제 000000 호의 "광 검출장치"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 그 내용이 통합된 것으로 한다. 이러한 적외선 검출 세트의 특징으로는 적외선 발생기와 적외선 감지기의 다양한 방향에 따른 배치로 인한 다방향 검출 기능과 함께 적외선 발생기로부터 적외선 감지기로의 직접적인 적외선 입사를 막기 위한 요철부를 구비한 적외선 검출 세트 수납 장치를 들 수 있다.In detail, the robot includes a detection means using infrared rays that can recognize an external object. The detection means specifically includes an infrared generator and an infrared detector. The infrared generator and the infrared detector may be used as one infrared detection set for efficient sensing, and two or more of these sets may be arranged in different directions to detect objects in at least one direction. As an example of such an infrared detection set, an infrared detection set which is uniquely manufactured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infrared detection is disclosed in the "light detecting apparatus" of the applicant's application number 000000,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Shall be. The infrared detection set features a multi-directional detection function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infrared generator and the infrared detector in various directions, and an infrared detection set storage device having an uneven portion for preventing direct infrared incidence from the infrared generator to the infrared detector. Can be mentioned.

또한, 다른 로봇에 가한 타격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언급된 로봇 팔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타격을 가하는 로봇의 입장에서설명한다. 로봇의 이동(202) 중에 다른 로봇을 인식할 수 있다(204). 이때 로봇 팔이 제어 수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206). 로봇 팔이 구동 중에 다른 로봇에 타격을 가하는 경우 로봇 팔에 연결된 검출 수단(502)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는 구동 주기보다 긴 시간 동안 로봇 팔이 구동되었음이 인식되므로 로봇이 외부 객체에 타격을 가했다는 정보가 검출된다(208). 로봇은 다른 로봇에 타격을 가했음을 확인하기 위해 타격이 가능한 거리 내에서 유효한, 로봇 간의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이하, 타격 신호)를 발신한다(210). 이러한 신호는 하기 설명될 타격을 받은 로봇에 의해 수신되고, 타격을 받은 로봇은 타격을 받았음을 의미하는 응답 신호(이하, 타격 응답 신호)를 타격을 가한 로봇에게 발신할 수 있다. 타격을 가한 로봇이 상기 타격 응답 신호를 유효하게 수신할 수 있다(212). 이는 곧 타격의 성공을 로봇에게 인지시킨다. 여기서 이러한 타격 성공의 인지를 위해, 상기 적외선 검출 세트를 통해 획득한 정보(예를 들면, 로봇 간의 거리 및 방향)도 상기 타격 성공을 판단하는 근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1회의 타격의 성공에 이어서 타격을 가한 로봇은 같은 위치에서 계속적인 타격 동작을 행할 수 있다(214). 또한, 성공적인 타격을 가한 로봇은 유효한 타격을 가했다는 정보를 기억 수단에 기억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정보의 누적적인 관리를 통해 상기 로봇의 레벨 정보를 상승시킬 수 있다(216). 또한, 타격을 가한 로봇은 하기 설명될 타격을 받은 로봇에 의해 발신된 전적 기록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이를 승전한 전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 이러한 승전 신호 수신에 의해서도 레벨 정보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격 응답 신호 수신 단계(212)에서 타격을 가한 로봇이 상기 타격 응답신호를 유효하게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로봇은 이를 로봇 외의 다른 객체에 대한 타격으로 인식하여 타격 성공 이후의 단계를 밟지 않고 다시 이동을 시작한다(202).In addition, as a means for detecting a hit on another robot, it may include the above-mentioned robot arm. First, the robo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Other robots may be recognized during the movement 202 of the robot (204). The robot arm can then be driven by the control means (206). When the robot arm hits another robot while driving, the detection means 502 connected to the robot arm recognizes that the robot arm has been driven for a longer time than a predetermined driving period, so that the robot has hit the external object. Is detected (208). The robot transmits a wireless signal (hereinafter, a hit signal)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robots, which is valid within a strikeable distance to confirm that the robot has hit another robot (210). Such a signal may be received by a hit robot,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hit robot may transmit a response signal (hereinafter, hit response signal) indicating that the hit has been hit to the hit robot. The robot that has applied the hit may receive the hit response signal effectively (212). This immediately informs the robot of the success of the blow. In order to recognize the hitting success,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infrared detection set (for example, distance and direction between robots) may also be used as a basis for determining the hitting success. Following the success of this one-time hit, the robot that has hit the hit may perform a continuous hitting action at the same location (214). In addition, the successful hitting robot can store in the storage means the information of the effective hitting. This may increase the level information of the robot through cumulative management of the information (216). In addition, the hitting robot can memorize wholly victorious by receiving the total recording signal sent by the hitting robot,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e level information can also be raised by receiving the victory signal. In addition, when the robot that has hit in the hit response signal receiving step 212 does not receive the hit response signal effectively, the robot recognizes this as a hit on an object other than the robot and does not take a step after the hit is successful. And start moving again (202).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타격을 받은 로봇의 입장에서 설명한다. 로봇이 상기 설명된 타격을 가한 로봇에 의해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타격을 받은 로봇은 타격을 가한 로봇에 의해 발신된 타격 신호를 수신한다(302). 타격을 받은 로봇이 상기 타격 신호를 수신한 경우, 타격을 받은 로봇은 타격을 받았다는 타격 응답 신호를 발신한다(304). 이후 타격을 받은 로봇은 타격을 받았다는 정보(이하, 타격 감지 정보)를 누적하여 그 회수만큼 자신의 HP를 감한다(306). 이 경우 로봇의 표시 수단(예를 들면, LED 배열, 스피커 또는 진동용 모터)을 통하여 로봇의 HP의 감소를 표시해 줄 수 있다(308). 그 다음에 타격을 받은 로봇은 자신의 HP가 모두 소진된 경우(HP = 0)(310)에는 타격을 가한 로봇에게 자신이 패전하였음을 알리는 전적 기록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이러한 패전한 전적은 타격을 받은 로봇에 기억될 수 있다. 그 다음에 타격을 받은 로봇은 구동이 중단될 수 있다(312). 그리고, 상기 HP 감지 단계(306)에서 타격을 받은 로봇의 HP가 모두 소진되지 않은 경우(HP ≠0)에는 타격을 받은 로봇은 이동함으로써 회피 동작을 할 수 있다(314). 상기 패전한 전적의 기억 및/또는 타격 감지 정보의 기억을 통해 타격을 받은 로봇의 레벨 정보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회피 동작(314) 수행 후에는 다시 타격 신호가 수신된 경우(302)에 지금까지 언급된 단계를 밟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the robot hit. The robot may be hit by the robot that hit the hit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hit robot receives the hit signal sent by the hit robot (302). When the hit robot receives the hit signal, the hit robot sends a hit response signal indicating that the hit robot has been hit (304). After that, the hit robot accumulates the hit information (hereinafter, hit detection information) and reduces its HP by the number of times (306). In this case, the reduction of HP of the robo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eans of the robot (for example, an LED array, a speaker, or a vibration motor) (308). Then, when the hit robot is exhausted (HP = 0) (310), the robot can send a record signal indicating that he has lost to the hit robot. These lost achievements can be remembered by the hit robot. The robot that is hit can then be stopped 312. When the HPs of the robots hit by the HP detection step 306 are not exhausted (HP ≠ 0), the robots hit by the hit may move to avoid the movement (314). The level information of the hit robot may be lowered through the memory of the lost whole record and / or the memory of the hit detection information. After performing the avoidance operation 314, if the hit signal is received again 302, the steps mentioned so far will be taken.

상기 단계를 통한 승패의 전적 또는 타격 성공 정보(즉, 다른 로봇에 타격을 가했다는 정보) 및 타격 감지 정보는 로봇의 기억 수단의 메모리 내에 기억되어 로봇의 이후의 전체적인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컨대, 로봇들은 서로 간의 통신을 통해 상대 ID를 확인하여 상대적으로 패전이 많은 로봇이 승전이 많은 로봇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동작(회피)할 수도 있고, 승전이 많은 로봇은 구동될 때 로봇 팔의 구동 속도가 증가하거나 이동 속도가 빨라지는 등과 같은 일정한 가중치를 부여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가중치는 사용자가 관찰 가능하도록 로봇의 표시 수단에 의해 보여질 수도 있다.Through this step, the whole or the hit success information (ie, the information of hitting another robot) and the hit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win and lose can be stored in the memory of the robot's storage means and affect the overall function of the robot later. For example, the robots may check the relative IDs through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elatively defeated robots may move away from the victorious robots. It may be given a constant weight, such as increasing or moving speed. In addition, this weight may be viewed by the display means of the robot so that the user can observe it.

또한, 본 실시예의 로봇은 이동의 제어의 측면에 있어서도 누적적으로 기억된 정보에 영향을 받는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의 한국특허출원 제 2001-0073380 호, "학습에 의한 로보트의 진화 방법"에는 로봇이 다른 로봇에 타격을 가하기 위해 이동할 때 기억된 패턴을 자가 발전적으로 학습하여 다시 이용하는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 이를 참조하면, 로봇의 기억 수단에 로봇의 사용자 조종 모드 또는 인공지능 모드 어느 쪽에서건 성공적인 타격을 하였을 때의 이동 패턴을 기억시킴으로써, 이후의 인공지능 모드의 경우 보다 발전된 이동 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학습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장치의 진화도 역시 가능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robo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lso influenced by the information stored cumulatively in terms of control of movement. As mentioned above, the applicant'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1-0073380, "Method of evolving a robot by learning", uses a pattern that is self-developed and reused when the robot moves to strike another robot. An example is disclosed. Referring to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memory pattern of the robot stores the movement pattern when a successful strike is performed in either the user control mode or the AI mode of the robot, thereby representing a more advanced movement pattern in the subsequent AI mode. Can be.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evolution of the robo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ossible by learning.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라 상기 로봇 장치가 본체부와 외피부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로봇 간의 상호 접촉에 의해 대전의 승패를 결정하는 방식이 본 실시예에서 부가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bot apparatus includes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outer skin portion, whereby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winning or losing is determined by mutual contact between the robots may additionally be selected in this embodiment. have.

이하, 본 발명에 제 3 측면에 따라, 상기 실시예에 따른 로봇 장치를 실제로 대전 및/또는 훈련 모드에 응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actually applying the robot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o the competitive and / or training mode will be described.

8. 대전형 로봇의 응용 방법8. Application method of charging robot

여기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대전형 로봇 장치를 이용하는 응용 방법을 제시하도록 한다. 대전에 로봇을 이용하기 위한 가능한 모드는 다음과 같다:Here, an application method using a charging robot apparatus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presented. Possible modes for using a robot in a match include:

- 로봇 간의 1:1 대전 모드(3가지)-1: 1 battle mode between robots (3 types)

- 사용자 조종 모드의 로봇 vs 사용자 조종 모드의 로봇-Robot in User Control Mode vs Robot in User Control Mode

- 인공지능 모드의 로봇 vs 인공지능 모드의 로봇-Robot in AI Mode vs Robot in AI Mode

- 사용자 조종 모드의 로봇 vs 인공지능 모드의 로봇-Robot in user control mode vs robot in AI mode

- 다수의 로봇 간의 대전 모드-Battle mode between multiple robots

- 로봇의 훈련 모드-Training mode of the robot

- 로봇의 슬립(sleep) 모드.The robot's sleep mode.

이하, 상기 모드를 차례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odes will be described in turn.

8-1. 로봇 간의 1:1 대전 모드8-1. 1: 1 battle mode between robots

8-1-1. 사용자 조종 모드의 로봇 vs 사용자 조종 모드의 로봇8-1-1. Robot in User Control Mode vs Robot in User Control Mode

편의상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각각 자신의 로봇을 사용하는 것으로한다.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는 로봇의 전원을 켠 후, 로봇의 본체부에 부착되어 있는 스위치 조작 또는 조종기 조작을 통해 사용자 조종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두 로봇은 모두 상기 적외선 검출 세트에 의한 검출에 의해 획득한 정보와 관계 없이, 사용자에 의해 이동용 바퀴가 구동됨으로써 전후좌우로 이동되며, 칼을 든 로봇 팔이 구동될 수 있다. 각 사용자는 자신의 로봇을 이동시켜 상대방 로봇과 가까운 거리 내에 접근하였을 때에, 칼을 든 팔을 내리치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의 로봇(이하, 제 1 로봇이라고 함)이 제 2 사용자의 로봇(이하, 제 2 로봇이라고 함)에 타격을 가한 경우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로봇은 타격을 가하는 동작을 수행할 때 일반적인 로봇 팔의 구동 주기보다 긴 시간 동안의 팔의 운동을 감지하고 타격 신호를 제 2 로봇에 발신하며, 상기 타격 신호를 수신한 제 2 로봇은 타격 응답 신호를 발신한다. 상기 타격 응답 신호를 수신한 제 1 로봇은 이를 통해 타격 성공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로봇은 타격 감지 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정보 획득 과정의 상호 반복을 통하여 제 1 로봇 또는 제 2 로봇 중 어느 하나가 일정 회수(HP 크기)의 타격 감지 정보를 누적한 경우, 그 로봇은 대전에서 패하게 되고 패전한 로봇은 구동이 중단될 수 있다.For convenience,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each use their own robots. After turning on the robot,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may select a user control mode through a switch operation or a remote controller operation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robot.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6. Both robots are moved back, front, left, and right by driving the wheel for movement by the user regardless of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detection by the infrared detection set, the robot arm with a knife can be driven. Each user can execute an operation of lowering the arm with a knife when the user moves his robot to approach the opponent robot within a short distance. For example, when the robot of the first us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robot) hits the robot of the second us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robot),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When the robot performs a striking motion, the robot senses the movement of the arm for a longer time than the driving period of the general robot arm and sends a hit signal to the second robot. The second robot receiving the hit signal receives the hit response signal. To send. The first robot receiving the hit response signal acquires hit success information, and the second robot obtains hit detection information. When one of the first robot or the second robot accumulates a certain number of hit detection information (HP size) through mutual repetition of the information acquisition process, the robot is lost in the battle and the lost robot is stopped from driving. Can be.

또다른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타격 신호 및 타격 응답 신호 통신 과정과 달리, 타격을 가한 로봇은 모든 타격을 성공으로 간주하여 타격 성공 정보를 획득하고, 타격을 받은 로봇은 외부로부터의 모든 타격을 스스로 감지하여 타격 감지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타격을 가한 로봇의 타격 성공 정보 획득 시점과 상기 타격을 받은 로봇의 타격 감지 정보 획득 시점의 비교를 통해 타격을 실질적 성공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For another example, unlike the hit signal and hit response signal communication process described above, the hitting robot regards all hits as success and acquires hitting success information, and the hitting robot receives all hits from outside itself. By detecting the detec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hit is substantially successful by comparing the hitting time of obtaining the hitting success information of the hitting robot with the hitting time of obtaining hit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hitting robot.

8-1-2. 인공지능 모드의 로봇 vs 인공지능 모드의 로봇8-1-2. Robots in AI Mode vs Robots in AI Mode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로봇의 전원을 켠 후, 로봇의 본체부에 부착되어 있는 스위치 조작 또는 조종기 조작을 통해 인공지능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8-1-1의 경우와 달리, 두 로봇은 모두 상기 적외선 검출 세트에 의한 검출에 의해 획득한 정보에 따라 이동용 바퀴 및 로봇 팔이 구동됨으로써 전후좌우로 이동되며 칼을 든 로봇 팔이 구동될 수 있다. 우선, 최초 제어 시에 제 1 로봇과 제 2 로봇은 서로를 검출하지 못한 채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이동 제어는 미리 학습되어 기억된 테이블에 의하거나 제어 프로그램에 저장된 이동 방식에 따를 수 있다. 그 다음에, 이동 중의 상기 두 로봇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봇이 먼저 다른 로봇을 상기 적외선 검출 세트에 의해 검출하게 된다. 이하에서, 먼저 상대 로봇을 검출한 로봇이 제 1 로봇이라고 하자. 제 1 로봇은 상기 검출된 정보에 따라 제어되어 제 2 로봇을 추적하게 된다. 이 경우의 이동 제어 역시 미리 학습되어 기억된 테이블에 의하거나 제어 프로그램에 저장된 이동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제 1 로봇은 제 2 로봇과 가까운 거리 내에 접근한 경우 칼을 든 로봇 팔을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은 제 2 로봇과 일정 거리 내에 있는 동안 계속 된다. 상기 로봇 팔의 구동으로 인해 타격이 성공한 경우, 이 두 로봇 간에는 8-1-1의 경우와 같은 타격에 관련된 정보의 교환이 일어나고, 이는 마찬가지로 로봇 대전에서의 승패에 영향을 미친다.After the first and second users turn on the robot, the AI mode may be selected through a switch operation or a remote controller operation attached to the main body of the robot.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7. Unlike the case of 8-1-1, both robots are moved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by driving the wheel and the robot arm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detection by the infrared detection set and the robot arm with the knife can be driven. have. First, during the initial control, the first robot and the second robot can move without detecting each other. The movement control in this case may be based on a table that has been learned and stored in advance or according to the movement method stored in the control program. Then, at least one of the two robots in motion will first detect another robot by the infrared detection set. Hereinafter, suppose that the robot which first detected the opponent robot is a first robot. The first robo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rack the second robot. Movement control in this case may also be based on a previously learned and stored table or a movement method stored in the control program. The first robot drives the robotic arm with the knife when approaching within a close distance to the second robot. This drive continues while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second robot. If the hit is successful due to the driving of the robot arm, the two robots exchan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hit as in the case of 8-1-1, which likewise affects the win or lose in the robot battle.

8-1-3. 사용자 조종 모드의 로봇 vs 인공지능 모드의 로봇8-1-3. Robot in User Control Mode vs. Robot in AI Mode

제 1 사용자는 제 1 로봇을 사용자 조종 모드로 하여 조종하고, 제 2 로봇은 인공지능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위의 두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1 로봇은 사용자의 조종에 의해 이동 제어 및 로봇 팔 구동 제어가 결정되고, 제 2 로봇은 미리 학습되어 기억된 테이블에 의하거나 제어 프로그램에 저장된 이동 방식에 따라 행동한다. 이 경우에는 제 1 로봇은 8-1-1 경우와 같은 메커니즘을 갖고, 제 2 로봇은 8-1-2의 경우와 같은 메커니즘을 갖는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Consider a case where the first user operates the first robot in the user control mode and the second robot is set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 As in the above two cases, the first robot determines the movement control and the robot arm driving control by the user's manipulation, and the second robot acts according to the movement method stored in the control program or the table which has been previously learned and stored. . In this case it will be readily seen that the first robot has the same mechanism as in the case of 8-1-1 and the second robot has the same mechanism as in the case of 8-1-2.

8-2. 다수의 로봇 간의 대전 모드8-2. Battle mode between multiple robots

1:1 대전 모드의 확장으로서 N개의 로봇이 서로 대전하는 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첫번째로, N개의 로봇이 사용자 조종 모드에 동작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판단에 따른 조종이 행해지므로, 검출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의 수정을 요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 자신의 로봇을 조종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주파수의 분할 사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비교적 넓은 대역의 RF 신호를 필요한 N개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채널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각 조종기와 각 로봇에는 1부터 N까지의 주파수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 조정 장치가 부착된다. 각 사용자는 자신의 로봇을 조종하기 위하여 대전에 들어가기 전에, 자신의 로봇과 자신의 조종기의 주파수 채널을 동기화하는 단계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로써 각 로봇은 각 조종기에 의해 조종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자신을 로봇을 조종하여 대전에 임할 수 있다. 이경우에 하나의 조종기에 2 이상의 로봇들을 동기화시킴으로써 1 사용자가 다수의 로봇을 조종할 수도 있다.As an extension of the 1: 1 charging mode, N robots can be charged with each other. First, it is assumed that N robots operate in the user control mode. In this case, since the manipul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user, it will not require modification of the control program according to the detection. 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a large number of users to control their own robots, it is necessary to use divided frequency. To this end, it is required to divide a relatively wide band RF signal into N frequency bands and channelize them. Therefore, each manipulator and each robot are attached with a channel adjusting device for selecting any one of frequency channels 1 to N. Each user must perform a step of synchronizing the frequency channels of his robot and his controller before entering a match to control his robot. This allows each robot to be controlled by each manipulator, so that the users can control themselves and compete in the game. In this case, by synchronizing two or more robots to one remote controller, one user may control multiple robots.

두번째로, N개의 로봇이 인공지능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타격을 가하려는 로봇이 복수의 로봇을 검출할 때, 현재 가장 가까운 로봇을 추적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추가를 요할 수 있다. 또한, 로봇 간의 통신을 통해 같은 편으로 인식되는 로봇은 추적하여 타격을 가하지 않고, 상대 편의 로봇만을 추적하여 타격을 가하는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Second, it may be assumed that N robots operate in the AI mode. In this case, when the robot to be hit detects a plurality of robots, it may require the addition of a control program that tracks the nearest robot. In addition, a robot that is recognized on the same side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robots may be controlled to track and strike only the opponent's robot without hitting.

세번째로, 사용자 조종 모드의 로봇들과 인공지능 모드의 로봇들이 대전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조종 모드의 로봇들은 상기 첫번째의 특징으로 갖고 인공지능 모드의 로봇들은 상기 두번째의 특징을 가짐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ird, it may be assumed that the robots in the user steering mode and the robots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 are fighting. In this case, it will be easy to see that the robots in the user control mode are the first features and the robots in the AI mode have the second feature.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서 왼쪽 편의 4개의 로봇들은 서로 다른 주파수(f1, f2, f3, f4)로 조종된다. 이 4개의 로봇들은 서로 통신함으로써 서로를 같은 편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대 편 로봇을 향하여 이동하여 타격을 가하게 되고, 만약 왼쪽 편 로봇들이 사용자 조종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상대 편 로봇에 대하여 감지 및 타격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로봇들에 각각 ID를 부여함으로써 상호 식별 및 통신 정보 송수신의 정확성을 기할 수도 있다.Hereinafter, an exemplary ca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In FIG. 8, the four left robots are controlled at different frequencies f1, f2, f3, and f4. These four robots can recognize each other on the same side b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robot moves toward the opponent robot and strikes it. If the robots on the left side are not in the user control mode, the robot robot detects and strikes the opponent robot. In this case, by assigning IDs to the robots, accuracy of mutual identification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y be ensured.

8-3. 로봇의 훈련 모드8-3. Robot training mode

대전 모드가 아닌 자가 발전적 학습을 위한 훈련 모드를 상정할 수 있다.훈련을 위한 대상으로는 타격을 받을 수 있는 크기의 외부 객체로 충분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단 사용자 조종 모드의 훈련 로봇의 왼쪽 전방에 외부 객체가 놓여 있다고 하자. 사용자는 일정한 패턴(예를 들어, 도 9에서와 같이 1의 위치로부터 2, 3의 위치를 거쳐 4의 위치로 이동하여 외부 객체에 접근한 후, 외부 객체에 타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상기 로봇을 조종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조작이 계속적으로 반복되는 경우 상기 로봇은 왼쪽 전방에 있는 외부 객체에 타격을 가하기 위한 동작 정보를 누적하여 기억하게 될 것이다. 이는 상기 설명된 자가 발전적 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 테이블의 이용을 통해, 로봇이 대전에 임할 때 사용자가 훈련 모드에서 훈련시킨 습성 정보에 따라 행동하게끔 할 수 있다.You can assume a training mode for self-development learning, rather than a competitive mode, which will be enough external objects to be hit. For example, suppose an external object lies in front of the left side of a training robot in user-controlled mode. The user moves the robot in a predetermined pattern (for example, by moving from the position of 1 to the position of 4 through the positions of 2 and 3 to approach the external object and then hitting the external object as shown in FIG. 9). I can control it. If such user manipulation is repeated continuously, the robot will accumulate and store motion information for hitting an external object on the left front side. This may enable the user to act according to the habit information trained by the user in the training mode when the robot is in the battle through the use of the learning table through the self-developed learning program described above.

이러한 훈련은 인공지능 모드에서도 가능할 것이다. 인공지능 모드의 로봇의 경우 이미 누적된 학습 테이블에 의해 또는 제어 프로그램에 내장된 동작 지시에 의해 행동할 것이다. 따라서, 인공지능 모드에서의 훈련은 기존의 학습 테이블의 평균치가 보다 습성 정보에 가깝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로봇에 새로운 습성 정보를 입력하고 싶은 경우 또는 로봇이 상대적으로 복잡한 동작을 하게끔 하고 싶은 경우에는 사용자 조종 모드를 통한 훈련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This training will also be possible in AI mode. In the case of an AI mode robot, it will be acted on by a learning table already accumulated or by a motion instruction embedded in a control program. Therefore, training in the AI mode may serve to bring the average value of the existing learning table closer to the habit information. If you want to enter new behavior information into the robot or if you want the robot to perform relatively complex movements, training through the user control mode may be more desirable.

8-4. 로봇의 슬립 모드8-4. Sleep mode of the robot

상기 로봇은 전원을 절약하기 위한 슬립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은 사용자 조종 모드 또는 인공지능 모드에서 이동하면서 타격을 가하기 위한 외부 객체를 찾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은 외부 객체를 찾지 못한 채로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조종 모드인 경우에는 일정 시간 동안 조종기로부터 신호 입력이 없는 경우, 그리고 인공지능 모드인 경우에는 일정 시간 동안 다른 로봇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 제어 수단에 의해 스스로 이동을 중단하여 전원을 절약하는 슬립 모드에 들어갈 수 있다.The robot may include a sleep mode to save power. The robot finds an external object to hit while moving in the user control mode or the AI mode, which can be continued without finding the external object. Therefore, in the user control mode, when there is no signal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for a certain time, and in the AI mode, when no other robot is detected for a certain time, the control means stops moving itself to save power. The sleep mode can be entered.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검출 수단 및/또는 통신 수단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기억된 정보를 이용하여 그 구동 및 연산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는 로봇이 제공된다. 특히, 이것은 다른 로봇과의 통신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유용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bot which can stor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detection means and / or the communication means, and can control the driving and calculation variously using the stored information. In particular, this would be useful when using information obtained by communication with other robots.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획득한 정보를 연산하여 이를 이후의 구동에 반영하고, 상기 정보의 지속적인 연산 및 누적으로 인해 로봇의 레벨을 변화시키고, 그 인공지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cquired information and reflect it in subsequent driving, change the level of the robot due to the continuous calculation and accumulation of the information, and improv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of.

상기 특징은 특히 2 이상의 로봇이 서로 승부를 가리는 대전형 로봇에 있어서 더욱 유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형태의 대전 및/또는 훈련 모드의 구현이 가능하다.The above feature may be particularly useful for a competitive robot in which two or more robots are over each other, thereby enabling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types of competitive and / or training modes disclosed herein.

그 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에서 의도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effects intended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Claims (32)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physical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상기 검출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detected information;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의 구동 및 연산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robot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a driving means driven by said control means. 발신 수단 및/또는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수단,Communication means comprising originating means and / or receiving means, 상기 발신 및/또는 수신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sent and / or received information;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의 구동 및 연산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robot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a driving means driven by said control mean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된 정보를 연산하여 이를 로봇의 이후의 구동에 반영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the control means includes a program for calculating the stored information and reflecting the stored information to subsequent driving of the robo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로봇이 다른 로봇의 동작으로 인해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강한 강도를 갖도록 제조된 로봇 본체부와 다른 로봇의 동작으로 인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약한 강도를 갖도록 제조된 로봇 외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The robot has a robot body manufactured to have a strength so as not to be damaged by the operation of other robots and a robot skin manufactured to have a relatively weak strength that can be easily damaged by the operation of other robots. Robotic devic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로봇 외피부는 상기 로봇 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The robot outer shell is a robo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sily removable from the robot body.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로봇 외피부는 플라스틱, 스티로폼, 종이, 목재 중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The robot shell is a robo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t least one material of plastic, styrofoam, paper, wood.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로봇 본체부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대적으로 날카롭거나 다른 로봇의 외피부를 쉽게 파손할 수 있을 정도로 강도가 높은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robot body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relatively sharp or of high strength so as to easily break the outer skin of another robo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로봇 본체부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대적으로 날카롭거나 다른 로봇의 외피부를 쉽게 파손할 수 있을 정도로 강도가 높은 재료를 장착할 수 있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robot body is a portion capable of mounting a material that is relatively sharp or of high strength so as to easily break the outer skin of another robo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정보가 일정 시간 동안 갱신되지 않는 경우 로봇의 구동 제어를 멈추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the control means can stop driving control of the robot when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means is not upd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일정 시간 동안 갱신되지 않는 경우 로봇의 구동 제어를 멈추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the control means can stop driving control of the robot when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means is not upd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외부로부터 인식 가능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display means recognizable from the outside,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시각 신호, 음향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the display means can emit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coustic signal and a vib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eans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외부로부터의 물리적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physical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발신 수단 및/또는 수신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수단,Communication means comprising originating means and / or receiving means,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정보,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발신 또는 수신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Storage means for stor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ng means and information sent or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means,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의 구동 및 연산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robot based o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Drive means driven by the control means,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억된 정보를 연산하여 이를 로봇의 이후의 구동에 반영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the control means includes a program for calculating the stored information and reflecting the stored information to subsequent driving of the robot.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외부로부터 인식 가능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고,Further comprising display means recognizable from the outside,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시각 신호, 음향 신호 및 진동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방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the display means can emit at least one of a visual signal, an acoustic signal and a vib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eans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검출 수단이 접촉식 센서 및/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Said detecting means comprising a contact sensor and / or a non-contact sensor.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구동 수단이 로봇 팔을 포함하고,The driving means comprises a robotic arm,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검출 수단 및/또는 상기 통신 수단에 의해 다른 로봇과 일정한 거리 내에 있는지를 판별하며,Determine whether the control means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other robot by the detection means and / or the communication means, 상기 일정한 거리 내에 다른 로봇이 있는 경우 상기 로봇 팔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Robo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riving the robot arm when there is another robot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로봇 팔이 다른 로봇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소리를 검출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the detecting means includes a device for detecting a sound generated when the robot arm is in contact with another robot.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검출 수단이 접촉 대상 로봇의 접촉부의 재질에 따라 서로 다른 소리가 발생되는 경우 서로 다른 정보를 검출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the detecting means includes a device for detecting different information when different sounds are generated according to materials of the contact portion of the robot to be contacted.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구동 수단이 로봇 팔을 포함하고,The driving means comprises a robotic arm,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로봇 팔이 구동될 때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다른 로봇과의 접촉을 검출하는 로봇 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the detecting means includes a robot arm detecting unit which detects contact with another robot by measuring a time taken when the robot arm is driven.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로봇 팔 검출부에 의해 다른 로봇과의 접촉이 검출된 경우 상기 통신 수단이 상기 다른 로봇에 일정 신호를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when the contact with the other robot is detected by the robot arm detector, the communication means send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other robot.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발신 신호는 일정 거리 범위 내에서만 유효하게 다른 로봇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The outgoing signal is a robo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reach the other robot effectively only within a certain distance range.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기억 수단이 상기 기억된 정보를 누적하여 기억할 수 있고,The storage means can accumulate and store the stored information,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누적된 정보에 기초하는 자가 발전적인 학습 프로그램 및/또는 자가 퇴보적인 학습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the control means comprises a self-developed learning program and / or a self-degenerating 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accumulated information.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자가 발전적 학습 프로그램이 다른 로봇을 추적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the self-developed learning program is a program for tracking another robot.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의 구동 제어에 일정한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로봇의 구동 제어를 멈추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the control means can give a predetermined weight to the drive control of the robot or stop the drive control of the robot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로봇의 구동 제어에 일정한 가중치를 부여하며,The control means gives a constant weight to the drive control of the robot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상기 부여된 가중치가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도록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외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the assigned weight is displayed externally by the display means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weight.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정보 및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 시간 동안 갱신되지 않는 경우 로봇의 구동 제어를 멈추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the control means can stop driving control of the robot whe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ng means and the signal received by the receiving means are not upd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로봇이 다른 로봇의 동작으로 인해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강한 강도를 갖도록 제조된 로봇 본체부와 다른 로봇의 동작으로 인해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약한 강도를 갖도록 제조된 로봇 외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장치.The robot has a robot body manufactured to have a strength so as not to be damaged by the operation of other robots and a robot skin manufactured to have a relatively weak strength that can be easily damaged by the operation of other robots. Robotic device.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로봇 외피부는 상기 로봇 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The robot outer shell is a robo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sily removable from the robot body. 제 1 항, 제 2 항 및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12, 상기 기억 수단이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the storage means comprises a memory. 무기를 장착할 수 있는 로봇 팔 및 이동용 바퀴를 포함하고,Includes a robotic arm and wheels for carrying weapons, 사용자를 위한 조종기와,With remote controller for users, 외부 객체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부와,An infrared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external object, 로봇 간의 통신을 위한 통신 수단과,Communication means for communication between robots, 메모리, 및Memory, and 전후좌우 이동 및 로봇 팔 구동을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며,It includes a drive unit for moving back and forth and left and right and driving the robot arm, 제어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장치.And a control unit incorporating a control program. 제 29 항의 상기 로봇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30.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ic device of claim 29, 상기 적외선 센서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Stor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frared sensor unit in a memory; 상기 기억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단계,Driv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stored information; 다른 로봇에 타격을 가하는 단계,Hitting another robot, 상기 타격에 관한 정보를 발신 및/또는 수신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and / or receiv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hit; and 상기 정보를 이후의 제어에 반영하도록 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And storing the information in a memory to reflect the information in subsequent control. 제 29 항의 상기 로봇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30.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ic device of claim 29, 상기 조종기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단계,Driv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조종기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다른 로봇에 타격을 가하는 단계,Hitting another robo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타격에 관한 정보를 발신 및/또는 수신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and / or receiv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hit; and 상기 정보를 이후의 제어에 반영하도록 메모리에 기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And storing the information in a memory to reflect the information in subsequent control. 제 29 항의 상기 로봇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30.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ic device of claim 29, 상기 조종기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는 단계,Driving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구동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단계,Repeatedly performing the driving;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반복적 구동에 의한 학습 테이블을 형성하는 단계, 및The control program forming a learning table by the iterative driving, and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상기 학습 테이블로부터 일정한 습성 정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And controlling, by the control program, to form certain habit information from the learning table.
KR1020020069605A 2002-11-11 2002-11-11 Device for a warrior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 KR2004004174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605A KR20040041743A (en) 2002-11-11 2002-11-11 Device for a warrior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605A KR20040041743A (en) 2002-11-11 2002-11-11 Device for a warrior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743A true KR20040041743A (en) 2004-05-20

Family

ID=3733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605A KR20040041743A (en) 2002-11-11 2002-11-11 Device for a warrior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1743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805B1 (en) * 2006-06-22 2009-06-25 혼다 리서치 인스티튜트 유럽 게엠베하 Evaluating visual proto-objects for robot interaction
KR100918464B1 (en) * 2008-03-04 2009-09-24 한상균 System for proceeding game using robot controlled by mobile unit
KR101370645B1 (en) * 2007-04-26 2014-03-06 주식회사 로보빌더 Robot management system and robot management server
KR101497141B1 (en) * 2007-04-26 2015-03-30 주식회사 로보빌더 Fighter robot and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805B1 (en) * 2006-06-22 2009-06-25 혼다 리서치 인스티튜트 유럽 게엠베하 Evaluating visual proto-objects for robot interaction
KR101370645B1 (en) * 2007-04-26 2014-03-06 주식회사 로보빌더 Robot management system and robot management server
KR101497141B1 (en) * 2007-04-26 2015-03-30 주식회사 로보빌더 Fighter robot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0918464B1 (en) * 2008-03-04 2009-09-24 한상균 System for proceeding game using robot controlled by mobile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32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haptic remote control game
JP3561463B2 (en) Virtual camera viewpoint movement control method and 3D video game apparatus in 3D video game
US20210321854A1 (en) Mobile robot
JP4553917B2 (en) How to get input to control the execution of a game program
JP41791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game device, image generation method, and game image generation method
US10744405B2 (en) Video game incorporating safe live-action combat
JP458222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1986243B (en) Stereoscopic image interactive system and position offset compensation method
JP6437566B2 (en) Robot toy
KR20020038454A (en) A 3-dimensional confronting video game device and a controllor thereof
US6918829B2 (en) Fighting video game machine
US8206195B2 (en) Shooting toy used in game for two or more players
US20080004111A1 (en) Non Impact Video Game Controller for Dancing Games
KR20130057200A (en) Haptic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N1676184A (en) Image generation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product
US8808052B2 (en) Interactive electronic toy
JP4867586B2 (en) Game device
KR20190059234A (en) Haptic accessory apparatus
KR101817736B1 (en) Robot for playing with pets
JP2009000286A (en) Game system and game robot operated by remote control
KR20040041743A (en) Device for a warrior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robot
KR20160025087A (en) Hitting point detecting apparatus for racket sports equipment and hitting point detecting method thereof
JPH0722611B2 (en) Boxing game machine
JP3440602B2 (en) Battle robot toy system
KR20080095969A (en) Fighter robot and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