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976A - 정수기용 관로조립체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관로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976A
KR20040040976A KR1020020069365A KR20020069365A KR20040040976A KR 20040040976 A KR20040040976 A KR 20040040976A KR 1020020069365 A KR1020020069365 A KR 1020020069365A KR 20020069365 A KR20020069365 A KR 20020069365A KR 20040040976 A KR20040040976 A KR 20040040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nnector port
port
valv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528B1 (ko
Inventor
강원석
권혁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티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티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티맥
Priority to KR10-2002-0069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528B1/ko
Publication of KR20040040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5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용 관로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관로조립체는 도입된 원수를 필터의 도입포트로 공급하고, 필터의 배출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회수하는 정수기용 관로조립체에 있어서, 필터의 도입포트와 접속되는 제 1컨넥터포트 및 필터의 배출포트와 접속되는 제 2컨넥터포트를 가지며, 제 1컨넥터포트에는 밸브실이 형성되는 몸체와; 필터의 탈거 시에는 제 1컨넥터포트를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고, 필터의 장착 시에는 제 1컨넥터포트에 접속되는 필터 부분에 의해 눌려져 제 1컨넥터포트를 개방할 수 있도록 밸브실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밸브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로조립체로부터 필터를 분리하였을 때, 원수의 도입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관로조립체에 필터를 결합하였을 때, 차단된 원수의 흐름을 자동으로 허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터의 교환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간단한 구성과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원수를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정수기의 제조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정수기용 관로조립체{PIPE LINE ASSEMBLY FOR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정수기용 관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의 교환시 도입되는 원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정수기용 관로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수질 오염으로 인하여 각 가정 또는 각 업소로 공급되는 수돗물은 그대로 음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각 가정과 각 업소에서는 오염된 물(이하, "원수[源水]"라 약칭함.)을 음용하기에 적합한 물(이하, "정수[淨水]"라 약칭함.)로 정화시키는 정수기를 비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정수기는 원수를 여과하는 복수의 필터와, 복수의 필터를 직렬로 연결하는 연결호스 또는 관로조립체들을 갖추고 있다. 필터는 원수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포트와, 도입된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링요소와, 여과된 정수를 배출하기 배출포트를 갖춘 것으로, 원수를 여과하여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연결호스 또는 관로조립체는 외부로부터 도입된 원수를 필터로 공급하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인접한 다른 필터로 안내하거나 또는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회수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정수기는 필터의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하는 바, 필터를 연결호스 또는 관로조립체로부터 분리하여 교환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정수기 내로 도입되는 원수를 차단한 상태에서 필터를 교환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만약, 원수의 도입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결호스 또는 관로조립체로부터 필터를 분리하게 되면, 연결호스 또는 관로조립체로부터 원수가 누수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 뿐만 아니라 원수의 차단을 위해서는 고가(高價)의 전자식 또는 수동식 차단밸브를 구비해야 하는 바, 고가의 차단밸브 구입에 따른 비용의 증가가 발생되는 단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필터를 교환하고자 정수기의 관로조립체로부터 필터를 분리할 때, 도입되는 원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원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용 관로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성과 보다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원수를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정수기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정수기용 관로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관로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관로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정수기 본체10: 관로조립체
11: 몸체12: 원수도입통로
14: 제 1컨넥터포트14a: 밸브실
16: 제 2컨넥터포트16a: 밸브실
18: 정수배출통로20, 40, 50: 밸브체
30: 필터32: 도입포트
32a: 푸셔34: 배출포트
34a: 푸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입된 원수를 필터의 도입포트로 공급하고, 상기 필터의 배출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회수하는 정수기용 관로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도입포트와 접속되는 제 1컨넥터포트 및 상기 필터의 배출포트와 접속되는 제 2컨넥터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 1컨넥터포트에는 밸브실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필터의 탈거 시에는 상기 제 1컨넥터포트를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고, 상기 필터의 장착 시에는 제 1컨넥터포트에 접속되는 필터 부분에 의해 눌려져 상기 제 1컨넥터포트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실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밸브체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관로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관로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관로조립체(10)는 정수기 본체(1)에 설치되는 몸체(11)를 갖는다. 몸체(11)는 원수를 도입하기 위한 원수도입통로(12)와, 원수도입통로(12)와 연통되는 제 1컨넥터포트(14)를 갖는다. 원수도입통로(12)는 외부의 원수공급원과 연결되는 도입관(3)과 접속되어 원수를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제 1컨넥터포트 (14)는 필터(30)의 도입포트(32)에 연결접속되는 것으로, 원수도입통로(12)로 도입된 원수를 필터(30)의 도입포트(32)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11)는 제 2컨넥터포트(16)와, 제 2컨넥터포트(16)와 연통되는 정수배출통로(18)를 갖추고 있다. 제 2컨넥터포트(16)는 필터(30)의 배출포트(34)에 연결접속되는 것으로, 필터(30)의 배출포트(34)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도입한다. 정수배출통로(18)는 제 2컨넥터포트(16)로 도입된 정수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정수배출통로(18)는 인접한 다른 관로조립체(10)의 원수도입통로(12)와 연통되어 배출되는 정수를 인접한 다른 관로조립체(10)에 도입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몸체(11)의 제 1컨넥터포트(14)에는 밸브실(1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밸브실(14a)에는 밸브시트(14b)가 형성된다. 특히, 밸브시트(14b)는 고무재질의 오링(O-ring)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밸브시트(14b)는 리테이너(14c)에 의해 상기 제 1컨넥터포트(14)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리테이너(14c)는 상기 커넥터포트(14)와는 별개의 부품으로 조립된다. 즉, 밸브실(14a)에 후술하는 밸브체(20)와 밸브시트(14b)를 끼운후, 리테이너(14c)를 조립(끼워 돌리거나, 나사식으로 돌려끼움)함으로 커넥터포트(14)에 일원으로 구성된다. 한편, 밸브실(14a)에는 밸브체(20)가 배치된다. 밸브체(20)는 구형의 볼(ball)로서, 원수도입통로(12)를 따라 밸브실(14a)로 도입되는 원수의 압력에 의해 밸브시트(14b)에 안착되어 제 1컨넥터포트(14)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즉 통상적인 체크밸브의 작동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밸브체(20)는 밸브시트(14b)에 안착되어 제 1컨넥터포트(14)를 차단함으로써 필터(30)를 교환하고자 상기 필터(30)를 관로조립체(10)로부터 분리시켰을 때, 도입되는 원수를 자연스럽게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원수의 도입을 자연스럽게 차단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필터(30)를 교환하기전에 별도의 차단밸브를 조작하여 원수의 도입을 차단해야 하는 불편함을 덜어준다. 한편, 밸브체 (20)는 밸브실(14a)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야 한다. 특히, 밸브실(14a)의 내벽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야 한다. 이는 밸브체(14a)가 밸브시트(14b)로부터 이격되었을 때, 밸브실(14a)로 도입된 원수가 제 1컨넥터포트(14)로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밸브실(14a)의 내벽 둘레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유통홈(14d)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관로조립체(10)에 결합되는 필터(30)를 살펴보면, 필터(30)는 도입된 원수를 여과처리하기 위한 필터링요소(도시하지 않음)를 갖춘 것으로, 도입포트(32)와 배출포트(34)를 갖추고 있다. 도입포트(32)는 관로조립체(10)의 제 1컨넥터포트(14)와 연결접속되는 것으로, 제 1컨넥터포트(14)로부터 배출되는 원수를 내부로 도입한다. 그리고 배출포트(34)는 관로조립체(10)의 제 2컨넥터포트(16)와 연결접속되는 것으로, 여과된 정수를 제 2컨넥터포트(16)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필터(30)의 도입포트(32)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푸셔(32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푸셔(32a)는 필터(30)의 도입포트(32)가 관로조립체(10)의 제 1컨넥터포트(14)에 끼워져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 1컨넥터포트(14)에 삽입되어 제 1컨넥터포트(14)의 밸브체(20)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푸셔(32a)는 제 1컨넥터포트(14)의 밸브체(20)를 가압하여 밸브시트 (14b)로부터 밸브체(20)를 이격시킴에 따라 상기 제 1컨넥터포트(14)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관로조립체(10)에 필터(30)를 장착함과 동시에 관로조립체(10)의 제 1컨넥터포트(14)를 개방시킴으로써 별도의 밸브 조작을 시행하지 않고도 도입된 원수를 필터(30)로 도입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푸셔(32a)는 제 1컨넥터포트(14)의 직경보다 휠씬 작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며, 리브(32b)에 의해 도입포트(32)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원수의 압력을 받는 밸브체(20)로 하여금 통상의 체크밸브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관로조립체(10)의 제 1컨넥터포트(14)를 폐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터(30)를 관로조립체(10)로부터 분리시켰을 때, 도입되는 원수를 자연스럽게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필터(30)의 푸셔(32a)로 하여금 밸브체(20)를 가압하여 상기 제 1컨넥터포트(14)를 개방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필터 (30)를 관로조립체(10)에 결합시켰을 때, 관로조립체(10)의 제 1컨넥터포트(14)가 자연스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필터(30)의 교환하고자 관로조립체(10)로부터 필터(30)를 분리한 다음, 새것의 필터(30)를 관로조립체(1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도입된 원수를 차단하고, 자동으로 차단된 원수의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터(30)의 교환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관로조립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축(10a)을 중심으로 양쪽의 지지브라켓(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정수기 본체(1)에 고정된다. 이같이 피봇축(10a)을 중심으로 지지브라켓(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관로조립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본체(1)에 대해 "필터사용위치" (A)와 "필터교환위치"(B)사이에서 회동가능하며, 이에 따라 필터(30)의 교환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 4와 도 5와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에서의 다른 실시예는 관로조립체(10)의 제 1컨넥터포트(14)를 폐쇄하기 위한 밸브체(20)를, 포핏으로 구성한 특징을 갖는다. 포핏(20)은 밸브시트 (14b)와 접촉될 수 있도록 테이퍼진 포핏페이스(22)와, 말단으로부터 제 1컨넥터포트(14)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로드(24)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포핏페이스(22)는 밸브시트(14b)의 둘레와 밀착하여 제 1컨넥터포트(14)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돌출로드(24)는 필터(30)의 푸셔(32a)에 눌려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돌출로드(24)는 푸셔(32a)에 눌려짐으로써 밸브시트(14b)에 안착된 포핏(20)이 상기 밸브시트(14b)로부터 이격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제 1컨넥터포트(14)가 개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의 다른 실시예는 제 1컨넥터포트(14)를 폐쇄하기 위한 밸브체 (20)를, 포핏으로 구성함으로써 밸브시트(14b)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증대시켜 제 1컨넥터포트(14)의 폐쇄 효율을 향상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밸브체(20)를 포핏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고무재질의 오링(14b)을 밸브시트(14b)로 구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는 포핏(20)의 포핏페이스(22)가 보다 넓은 접촉면적으로 밸브시트 (14b)와 접촉하기 때문에 고무재질의 오링(14b)으로 밸브시트(14b)를 구성하지 않아도 제 1컨넥터포트(14)를 충분히 폐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포핏(20)을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연질플라스틱, 연성금속 등의 재질로 구성하면, 제 1컨넥터포트(14)의 폐쇄효율을 더욱 증강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5에서의 또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또다른 실시예는 관로조립체 (10)의 제 2컨넥터포트(16)에도 밸브시트(16b)를 갖는 밸브실(16a)을 형성하고, 이 밸브실(16a)에도 제 2컨넥터포트(16)를 폐쇄하기 위한 밸브체(40)를 배치하는 구성을 갖는다. 물론, 제 2컨넥터포트(16)에 연결접속되는 필터(30)의 배출포트(34)에도 밸브체(40)를 가압하기 위한 푸셔(34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또다른 실시예는 제 2컨넥터포트(16)에 설치되는 밸브체(40)로 하여금 통상의 체크밸브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 2컨넥터포트(16)를 폐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터(30)를 관로조립체(10)로부터 분리시켰을 때, 정수배출통로(18)로부터 역류하는 원수를 자연스럽게 차단할 수 있게 한다. 결국, 또다른 실시예는 필터(30)를 교환하고자 관로조립체(10)로부터 필터(30)를 분리하였을 때, 정수배출통로(18)로부터 역류하는 원수를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제2컨넥터포트(16)로부터 원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끝으로, 도 6에서의 또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또다른 실시예는 관로조립체 (10)에 제 3컨넥터포트(19)를 형성한 다음, 제 3컨넥터포트(19)에 밸브시트(19b)를 갖는 밸브실(19a)을 형성하고, 이 밸브실(19a)에는 제 3컨넥터포트(19)를 폐쇄하기 위한 밸브체(50)를 배치한 구성을 갖는다. 물론 관로조립체(10)에 결합되는 필터 (30)에는 상기 관로조립체(10)의 제 3컨넥터포트(19)와 연결접속되는 보조배출포트 (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보조배출포트(36)에는 제 3컨넥터포트(19)의 밸브체 (50)를 가압하기 위한 푸셔(36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필터(30)의 보조배출포트(34)는 역삼투압식 필터를 사용할 경우, 역삼투압식 필터링수단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관로조립체(10)의 제 3컨넥터포트(19)는 필터(30)로부터 배출되는 유출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물론, 제 3컨넥터포트(19)는 보조배출통로(19c)와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또다른 실시예는 제 3컨넥터포트(19)에 설치되는 밸브체(50)로 하여금 통상의 체크밸브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 3컨넥터포트(19)를 폐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터(30)를 관로조립체(10)로부터 분리시켰을 때, 보조배출통로(19c)로부터 역류하는 원수를 자연스럽게 차단할 수 있게 한다. 결국, 또다른 실시예는 필터(30)를 교환하고자 관로조립체(10)로부터 필터(30)를 분리하였을 때, 보조배출통로(19c)로부터 역류하는 원수를 자동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제 3컨넥터포트(19)로부터 원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정수기 본체(1)의 관로조립체(10)로부터필터(30)를 분리하였을 때 원수의 도입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관로조립체(10)에 필터(30)를 결합하였을 때 차단된 원수의 흐름을 자동으로 허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터(30)의 교환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도면에서는 돌출된 형태로 된 관로조립체(10)의 제 1 내지 제 3컨넥터포트(14, 16, 19)에 밸브실(14a, 16a, 19a)과 밸브체(20, 40, 50)를 설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홈 형태로 된 관로조립체(10)의 제 1 내지 제 3컨넥터포트(14, 16, 19)에 밸브실(14a, 16a, 19a)과 밸브체(20, 40, 50)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관로조립체는 정수기 본체의 관로조립체로부터 필터를 분리하였을 때, 원수의 도입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정수기 본체의 관로조립체에 필터를 결합하였을 때, 차단된 원수의 흐름을 자동으로 허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터의 교환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가의 차단밸브나 별도의 장치등으로 원수를 차단하는 종래의 정수기와는 달리 간단한 구성과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원수를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정수기의 제조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도입된 원수를 필터의 도입포트로 공급하고, 상기 필터의 배출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정수를 회수하는 정수기용 관로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도입포트와 접속되는 제 1컨넥터포트 및 상기 필터의 배출포트와 접속되는 제 2컨넥터포트를 가지며, 상기 제 1컨넥터포트에는 밸브시트를 갖는 밸브실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필터의 탈거 시에는 상기 제 1컨넥터포트를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고, 상기 필터의 장착 시에는 제 1컨넥터포트에 접속되는 필터 부분에 의해 눌려져 상기 제 1컨넥터포트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실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밸브체를 포함하는 정수기용 관로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 2컨넥터포트에 밸브시트를 갖는 밸브실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실에는 상기 필터의 탈거 시에는 상기 제 2컨넥터포트를 자동으로 폐쇄할 수 있고, 상기 필터의 장착 시에는 제 2컨넥터포트에 접속되는 필터 부분에 의해 눌려져 상기 제 2컨넥터포트를 개방할 수 있는 밸브체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관로조립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의 내벽 둘레면에는 복수의 유통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관로조립체.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를 밸브실에 장착하기 위한 리테이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컨넥터포트에 착탈이 되는 별도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관로조립체.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조립체가 피봇축을 중심으로 필터사용위치와 필터교환위치사이에서 회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관로조립체.
KR10-2002-0069365A 2002-11-08 2002-11-08 정수기용 관로조립체 KR100525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365A KR100525528B1 (ko) 2002-11-08 2002-11-08 정수기용 관로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365A KR100525528B1 (ko) 2002-11-08 2002-11-08 정수기용 관로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976A true KR20040040976A (ko) 2004-05-13
KR100525528B1 KR100525528B1 (ko) 2005-11-02

Family

ID=37338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365A KR100525528B1 (ko) 2002-11-08 2002-11-08 정수기용 관로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5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096B1 (ko) * 2002-12-12 2005-03-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
GB2443678A (en) * 2006-11-07 2008-05-14 Jonathan Owen A combined particle filter and water trap for waste wa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889B1 (ko) * 2006-04-18 2007-11-02 주식회사 위닉스 정수필터, 정수필터 어셈블리 연결구 및 이들이 설치된정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348A (ko) * 1999-10-18 2000-07-05 이태희 정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096B1 (ko) * 2002-12-12 2005-03-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
GB2443678A (en) * 2006-11-07 2008-05-14 Jonathan Owen A combined particle filter and water trap for waste water
GB2443678B (en) * 2006-11-07 2011-05-11 Jonathan Owen Filter trap for waste w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5528B1 (ko)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3884B1 (en) Dripless purification manifold and cartridge
US7491321B1 (en) Oxidation tank control valve assembly and systems and methods for replenishing a charge of oxygen-containing gas within an oxidation tank
KR200384558Y1 (ko)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US20010011557A1 (en) Backwash valve
KR100498668B1 (ko) 정수기의 원수 차단 장치
US20060000754A1 (en) Water shut-off device for a water purifier
CN201593626U (zh) 滤网清洗阀
KR100525528B1 (ko) 정수기용 관로조립체
US6413423B1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with backwash flow control valve
KR200304283Y1 (ko) 정수기용 필터
KR20090002858A (ko) 정수기의 누수 차단장치
KR200391700Y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 연결구조
CN111140671A (zh) 一种多功能流体控制阀及其水处理装置
CN209872574U (zh) 一种纯水废水共用一管的水路板结构
CN110870994B (zh) 一种水龙头及净水机
KR200285193Y1 (ko) 정수기용 필터
KR200190745Y1 (ko) 정수기용 필터어셈블리
CN218474961U (zh) 一种家用龙头净水器
CN211779149U (zh) 一种多功能流体控制阀及其水处理装置
CN101844838A (zh) 反冲洗净水器的机座装置
CN220176294U (zh) 水龙头组件及净水系统
CN113264626B (zh) 二次精密过滤杀菌系统
CN113264625B (zh) 一种二次精密过滤杀菌系统
KR100515643B1 (ko) 정수기용 급수밸브
JP4085727B2 (ja) 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7 Request for trial to grant non-exclusive licence

Free format text: TRIAL TO GRANT NON-EXCLUSIVE LICENSE FOR GRANT OF NON EXCLUSIVE LICENSE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100000665; TRIAL TO GRANT NON-EXCLUSIVE LICENSE FOR GRANT OF NON EXCLUSIVE LICENSE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GRANT OF NON EXCLUSIVE LICENSE REQUESTED 20060317

Effective date: 2007020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100000665; REJECTION OF TRIAL FOR GRANT OF NON EXCLUSIVE LICENSE REQUESTED 20060317

Effective date: 200702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