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947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947A
KR20040039947A KR1020020068206A KR20020068206A KR20040039947A KR 20040039947 A KR20040039947 A KR 20040039947A KR 1020020068206 A KR1020020068206 A KR 1020020068206A KR 20020068206 A KR20020068206 A KR 20020068206A KR 20040039947 A KR20040039947 A KR 20040039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tag
receptacle
cable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무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9947A/ko
Publication of KR20040039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9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JTAG(Joint Test Action Group) 신호 입력단을 리셉터클 신호 입력단에 포함시켜 기구의 간편화 및 하나의 데이터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 통신/핸즈프리/배터리 충전/빠른 SW 다운로드/SW 디버깅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에 JTAG 포트의 신호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에 연결하는 커넥터 및 케이블의 핀 수를 리셉터클에 맞게 증가시키고, 상기 핀 수를 증가시킨 케이블을 케이블 어댑터에 접속하고, 상기 케이블 어댑터에 JTAG 연결 포트를 더 추가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DATA TRANSMISSION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JTAG(Joint Test Action Group) 신호 입력단을 리셉터클 신호 입력단에 포함시켜 기구의 간편화 및 하나의 데이터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 통신/핸즈프리/배터리 충전/빠른 SW 다운로드/SW 디버깅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JTAG(Joint Test Action Group)은 IEEE 표준 1149.1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드-레벨 연결을 테스트하는 방법을 정의해 놓았으며, 'Boundary Scan'이라고도 불리는데, 처음에는 보드의 연결이 잘 되었는지 검사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JTAG을 지원하는 장치(칩)는 JTAG 표준에서 정한 핀(TDI : Test Data In, TDO : Test Data Out, TMS : Test Mode Select, TCK : Test Clock)을 구비하고 있게 된다.
도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리셉터클과 이에 연결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리셉터클(100)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01)는 18핀 및 24핀 커넥터가 주로 사용되어 지며, 이 커넥터를 통해서 데이터 통신/핸즈프리/배터리 충전/AS 센터의 SW 업그레이드 기능을 사용한다.
또한, 개발자 및 생산자 용도의 JTAG 포트(102)는 조립성 검토를 위한 바운더리 스캔(Boundary Scan), SW 디버깅 및 빠른 SW 다운로드 기능으로 사용되어 지는데, JTAG 관련 신호는 리셉터클(100)과 따로 분리하여 JTAG 용 연결 부위를 리어 케이스(Rear Case)에 따로 기구 홀(102)을 만들어 사용하였는데, 이 홀을 통해 이물질이 쉽게 침투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 상기 리셉터클(100) 및 JTAG 포트(102)에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핸즈프리/배터리 충전/AS 센터의 SW 업그레이드 등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장치는, 데이터 케이블의 일측을 PC 본체(108)의 통신 포트(Com Port)에 연결하고, 다른 일측을 단말기의 리셉터클에 연결하여 PC에서 단말기에 RS-232 방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트래블 챠져(Travel Charger, 109)를 리셉터클에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핸즈프리 킷을 리셉터클에 연결하여 핸즈프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기능 케이블은 케이블 어댑터(106)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다른 기능 케이블 연결을 위해 리셉터클의 커넥터를 자주 착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2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구성을 보인 회로도로서, LDO(Low Drop-Out Voltage Regulator)(300)는 2.7볼트에서 3.0볼트의 정전압 레귤레이터이고, VPWR는 단말기에 연결된 배터리에서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이고, 'VPWR ON_SW'는 단말기의 키 패드를 통해 전원을 온/오프 스위칭 하는 스위치로서, 일단 LDO를 인에이블 시키면 'PS_HOLD'에 의해 LDO의 인에이블 상태가 유지되고, HFS(Hands Free Kit)가 연결될 경우에도 LDO는 온 상태로 정전압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JTAG 기능을 이용한 SW 디버깅 및 빠른 SW 다운로드 기능은 리셉터클을 통해서 연결할 수 없고 별도의 케이블과 커넥터(103 ~ 107)를 통해 JTAG 포트에 연결하기 때문에, JTAG 신호 관련 커넥터 연결부를 리어 케이스(Rear Case)에 기구적으로 홀을 만들어 주어야 하고, 이 홀로 인한 인쇄회로기판(PCB)에 이물질 침투 가능성이 존재하며, 리셉터클을 사용할 때는 데이터 케이블을 사용하고, JTAG기능을 사용할 때는 JTAG 커넥터를 따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AS 센터에서 SW 업그레이드를 할 때 JTAG 포트를 통하여 SW 업그레이드를 하면 빠른 업그레이드가 가능한데, JTAG 포트가 따로 분리되어 있어 AS 센터에서는 사용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JTAG(Joint Test Action Group) 신호 입력단을 리셉터클 신호 입력단에 포함시켜 기구의 간편화 및 하나의 데이터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 통신/핸즈프리/배터리 충전/빠른 SW 다운로드/SW 디버깅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에 JTAG 포트의 신호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에 연결하는 커넥터 및 케이블의 핀 수를 리셉터클에 맞게 증가시키고, 상기 핀 수를 증가시킨 케이블을 케이블 어댑터에 접속하고, 상기 케이블 어댑터에 JTAG 연결 포트를 더 추가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리셉터클과 이에 연결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리셉터클과 이에 연결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부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 : 리셉터클 202 : 커넥터
203 ~ 206 : JTAG 포트용 커넥터/케이블
207 : 케이블 어댑터 208 : PC 본체
209 : 트래블 챠져
본 발명은 기존에 별도의 포트를 통해 입력되던 JTAG 관련 신호와 리셉터클 관련 신호를, 리셉터클 포트를 통해 JTAG 관련 신호까지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 통신/핸즈프리/배터리 충전/JTAG 기능을 이용한 빠른 SW 다운로드/바운더리 스캔(Boundary Scan) 등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셉터클 포트에 JTAG 포트의 신호 단자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하며, 상기와 같이 단자 수가 더 증가된 리셉터클에 연결하는 커넥터도 그에 따라 핀 수가 증가된 커넥터를 연결하며, 케이블 어댑터에는 JTAG 포트를 더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케이블 어댑터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을 연결하는 커넥터 및 케이블만 25핀 또는 31핀의 커넥터와 케이블로 연결되고, 케이블 어댑터와 PC, 트래블 챠저 등을 연결하는 커넥터 및 케이블의 핀 수는 변함없이 이용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리셉터클과 이에 연결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리셉터클(201)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02)는 25핀 및 31핀 커넥터가 사용되어 지며, 이 커넥터를 통해서 데이터 통신/핸즈프리/배터리 충전/JTAG 기능을 이용한 빠른 SW 다운로드/바운더리 스캔(Boundary Scan) 기능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201)을 통해 데이터 통신/핸즈프리/배터리 충전/JTAG 기능을 이용한 빠른 SW 다운로드/바운더리 스캔(Boundary Scan)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장치는, 데이터 케이블의 일측을 PC 본체(208)의 통신 포트(Com Port)에 연결하고, 다른 일측을 단말기의 리셉터클에 연결하여 PC에서 단말기에 RS-232 방식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트래블 챠져(Travel Charger, 209)를 리셉터클에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핸즈프리 킷을 리셉터클에 연결하여 핸즈프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기능 케이블은 케이블 어댑터(207)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다른 기능 케이블 연결을 위해 리셉터클의 커넥터를 자주 착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블 어댑터(207)에 JTAG 포트를 구비하고, 기존에 JTAG 포트와 PC 본체(208)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및 케이블(203 ~ 206)을 그대로 연결하면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을 JTAG 포트를 포함할 수 있도록 확장하고, 케이블 어댑터에 JTAG 포트를 더 추가하고, 케이블 어댑터와 리셉터클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및 케이블을 확장된 리셉터클에 맞도록 변경해 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방식에서 생산자용 빠른 다운로드 기능/바운더리 스캔/SW 디버깅 기능을 위한 JTAG 포트와 데이터 통신/핸즈프리/배터리 충전/SW 다운로드 기능을 위한 데이터 케이블의 리셉터클 케이블을 하나로 합치면서 하나의 데이터 케이블로 위에 열거한 모든 기능을 간편한 커넥션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리어 케이스(Rear Case)에 별도의 JTAG 포트용 홀을 만들지 않음으로 인하여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JTAG 신호를 리셉터클 케이블에 포함시킴으로서, JTAG 기능을 사용할 때는 기존의 리셉터클로 이용하던 데이터 통신 및 핸즈프리 기능을 디스에이블(Disable) 시켜야 하므로 도4와 같은 전원부 회로를 고려해야 한다.
즉, JTAG 기능을 사용할 때는 JTAG의 TRST(Test Reset) 신호(JTAG을 연결하면 '논리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논리 로우'를 출력한다)를 앤딩 수단(AND1)을 통해 JTAG 기능을 이용할 때는 도4처럼 모든 LDO(Low Drop-Out Voltage Regulator)(300)를 디스에이블(Disable) 시키도록 회로를 구성해야 한다. 단, JTAG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터리 충전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생산자/개발자/AS 센터에서 하나의 리셉터클로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AS 센터에서도 리셉터클을 통한 JTAG 기능을 이용하여 빠른 SW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어서 고객에게 빠른 AS를 서비스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는, JTAG 신호 입력단을 리셉터클 신호 입력단에 포함시켜 기구의 간편화 및 하나의 데이터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 통신/핸즈프리/배터리 충전/빠른 SW 다운로드/SW 디버깅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JTAG 관련 신호를 리셉터클을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리어 케이스에 JTAG 포트관련 홀을 만들지 않아도 되므로, 홀을 통해 이물질이 PCB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방식에서 단말기마다 JTAG 포트의 위치가 달라서 단말기 모델마다 JTAG 신호 바이패스 인터페이스를 새로 만들어 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존재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25 or 33핀 커넥터로 모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에 JTAG 포트의 신호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에 연결하는 커넥터 및 케이블의 핀 수를 리셉터클에 맞게 증가시키고,
    상기 핀 수를 증가시킨 케이블을 케이블 어댑터에 접속하고,
    상기 케이블 어댑터에 JTAG 연결 포트를 더 추가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에 JTAG 신호를 입력받도록 구성하는 단말기의 전원부는, JTAG 기능을 이용할 경우 정전압 레귤레이터(LDO)를 디스에이블(Disable) 시키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JTAG 기능을 이용하는지 여부는 TRST(Test Reset) 신호에 의해 검출하고, 그 TRST 신호를 반전시킨 신호를 정전압 레귤레이터(LDO)를 인에이블 시키는 신호와 앤딩하여, 디스에이블 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
KR1020020068206A 2002-11-05 2002-11-0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 KR20040039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206A KR20040039947A (ko) 2002-11-05 2002-11-0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206A KR20040039947A (ko) 2002-11-05 2002-11-0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947A true KR20040039947A (ko) 2004-05-12

Family

ID=3733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206A KR20040039947A (ko) 2002-11-05 2002-11-05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99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08198A1 (de) * 2012-04-26 2013-10-3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r Verbinder und dessen Verwend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08198A1 (de) * 2012-04-26 2013-10-3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r Verbinder und dessen Verwendung
DE102012008198B4 (de) * 2012-04-26 2013-12-0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r Verbinder und dessen Verwend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66524A1 (en) Methods for invoking testing using reversible connectors
US200801678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configuration of electronic connections
EP1509847B1 (en) On the fly configuration of electronic device with attachable sub-modules
CN106597143B (zh) 一种测试设备以及测试方法
JP2011258219A (ja) 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WO2005048582A3 (en) Portable automatic test instrument for video displays and generators
CN111239617A (zh) 充放电测试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系统
CN114740339A (zh) 基于独立仪器仪表的集成电路的快速集成测试方法
KR20070045501A (ko)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모듈 검사용 테스터기
KR2004003994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장치
CN117706322A (zh) 一种芯片测试方法及系统
KR20080002344A (ko) Jtag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1998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중 레벨 변환 장치
CN211375588U (zh) 一种多调试接口切换电路
EP1968292A2 (en) Remote access integrated tester
Whetsel Proposal to simplify development of a mixed signal test standard
KR20050030253A (ko) 국제 공동 테스트 액션 그룹에 의한 입출력 테스트를 위한인터페이스 장치
CN111782247A (zh) 烧录器供电的升级系统
CN219204488U (zh) 一种用于多模信号侦收设备的调试电路、设备及系统
CN106841973B (zh) 逻辑测试装置及方法
KR20050001949A (ko) 휴대폰의 디버깅 장치
CN221056559U (zh) 一种小电流接地选线装置测试仪
CN220650856U (zh) 一种usb3.0测试波形触发电路
CN116413632B (zh) 一种漏电流测试装置及漏电流测试方法
CN210380848U (zh) 一种卫星通信模块测试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