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698A -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 - Google Patents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698A
KR20040039698A KR1020020067843A KR20020067843A KR20040039698A KR 20040039698 A KR20040039698 A KR 20040039698A KR 1020020067843 A KR1020020067843 A KR 1020020067843A KR 20020067843 A KR20020067843 A KR 20020067843A KR 20040039698 A KR20040039698 A KR 20040039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cuum
switching
pressure tub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1391B1 (ko
Inventor
정응규
Original Assignee
정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응규 filed Critical 정응규
Priority to KR10-2002-0067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3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39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8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of the flexible-diaphragm type
    • G01L7/08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of the flexible-diaphragm type 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phrag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1/00Vacuum gaug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7Measurements
    • G05B2219/37414By microswi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라인 등에 설치되는 압력 게이지 내에 압력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압력 재설정을 위해 진공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종래 진공펌프 구동용 진공스위치의 설치를 배제할 수 있어 구성 단가를 절약할 수 있고, 또한 진공라인내의 압력변화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진공펌프를 수시로 구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 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압력 게이지는 소정 압력의 진공상태가 요구되는 진공라인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진공라인 내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도록, 진공라인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결합부재, 단면이 타원 또는 원형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존재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중공부와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밀폐된 형상을 가지는 압력튜브, 그 압력튜브의 타단과 고정되며 압력 지시용 지시침을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회전아암이 구비된 로터리형 압력 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중공부와 일단이 연계되어 결합되고 타단은 밀폐된 상태에서 끝 부위에 관통홀을 통해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스위칭 작동간을 가지며 상기 압력튜브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와, 상기 진공라인내의 진공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압력튜브 및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의 곡률 변화가 이루어지면 진공압력 재설정을 위한 진공펌프 가동용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스위칭 작동간과 연계되어 동작되는 스위칭 접점이 구비된 마이크로스위치가 하우징배면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PRESSURE GAUGE HAVING A SWITCHING FUNCTION}
본 발명은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배관 시스템에서 진공압력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된 압력 게이지에 상기 진공압력의 상태변화에 따라 진공펌프의 온·오프상태를 제어 가능하게 스위치 작동간이 일체로 구비된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 진공포장과 같이 내부의 잔류공기를 완전하게 배출시키거나, 또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공정 중 진공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할 때에는 절대적인 진공시스템이 요구되는데, 그러한 진공시스템은 잔류공기를 배출시키거나 공정 챔버내의 진공을 유지하기 위하여 진공펌프가 제공되며, 진공펌프의 연결 배기관에는 복수개의 밸브 및 진공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게이지들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배관도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환경과 차단된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진공펌프(10)가 진공라인(20)의 일단에 연결되며, 그 진공라인(20)의 적정 위치에는 진공상태를 수치로서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게이지(30)가 설치되는 한편, 진공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하로 떨어질 때 이를 감지하고 자동적으로 진공펌프(10)를 운전시키기 위한 진공스위치(50)가설치된다. 상기 압력게이지(30)나 진공스위치(50)는 진공라인(20)에 설치시에 테프론 테이프와 같은 밀봉매체를 이용하여 결합부분의 나사부에 감아 완전한 밀봉작업을 해야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진공라인(20) 또는 진공작업실 내에 요구되는 일정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진공펌프(10)를 온 구동시키면, 상기 진공라인(20) 등에 설치된 압력게이지(30)의 지시침(48)이 변화되고, 작업자는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요구된 진공상태가 되며 진공펌프(10)의 구동을 오프(off)시키게 된다.
그와 같이 적정 진공작업에 필요한 진공압력이 제공된 상태에서 작업 도중에, 진공라인(20) 등의 내부 진공압력이 기 설정한 진공압력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진공스위치(50)에서 일방향으로 구동되는 스위칭 작동간(54)이 스위칭 접점에 접촉되어 회로적으로 연결된 진공펌프(10)를 재 가동시키게 된다. 그러한 진공펌프(10)의 재 가동에 따라 떨어진 진공압력을 다시 복귀시키는 작업을 반복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 진공라인(20) 등에는 압력게이지(30) 또는 도면에 미도시 되었지만 다수개의 밸브 등이 결합되는데, 그러한 압력게이지(30) 또는 밸브 결합시에는 완전한 밀봉 작업을 통해 기밀을 유지하고 있지만, 상기 진공 압력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진공펌프를 온·오프 운전하는 진공스위치(50)인 경우, 압력 변화에 따라 진공펌프(10)에 전기적 신호를 가하기 위해 구성되는 실린더 및 피스톤 부분이 완전하게 밀폐된 구조를 제공하지 않아, 공기통로(60)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틈새(예컨대 도 2에서 A부분)를 통해 누설되기 때문에 진공 작업 초기에 설정한 진공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초기 설정한 진공압력을 맞추기 위해 진공펌프(10)를 온 구동시켜야 하는바 그 구동 빈도수가 많아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정밀 작업을 요하는 경우에는 불량률이 많아 경쟁력 제고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진공라인 내의 진공압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설치되는 압력게이지에 진공 압력변화에 따라 진공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기능을 일체로 제공함으로써, 종래 진공스위치 사용시에 진공 라인의 압력변화에 따라 진공펌프 운전이 빈번하게 수행되었던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 게이지는, 소정 압력의 진공상태가 요구되는 진공라인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진공라인 내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도록, 진공라인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결합부재, 단면이 타원 또는 원형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존재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중공부와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밀폐된 형상을 가지는 압력튜브, 그 압력튜브의 타단과 고정되며 압력 지시용 지시침을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회전아암이 구비된 로터리형 압력 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중공부와 일단이 연계되어 결합되고 타단은 밀폐된 상태에서 끝 부위에 관통홀을 통해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스위칭 작동간을 가지며 상기 압력튜브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와, 상기 진공라인내의 진공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압력튜브 및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의 곡률 변화가 이루어지면 진공압력 재설정을 위한 진공펌프 가동용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스위칭 작동간과 연계되어 동작되는 스위칭 접점이 구비된 마이크로스위치가 하우징 배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게이지내에 지시침과 연동되어 압력 수치를 지시하기 위해 구비되는 압력튜브 이외에 그 압력튜브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를 더 제공하고, 압력 저하시 상기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에 의해 진공펌프를 구동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배관도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진공배관도에 장착되는 진공스위치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압력 변화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게이지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압력게이지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게이지가 진공라인에 설치된 개략적인 진공배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진공펌프, 20 : 진공라인,
100 : 압력게이지, 120 : 압력튜브,
122 : 회전아암, 124 : 구동기어,
126 : 지지브라켓트, 130 :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
132 : 스위칭 작동간, 140 : 마이크로스위치,
142 : 스위칭 접점, 144 : 간격 조절부재,
150 : 가변 브라켓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게이지가 진공라인에 설치된 개략적인 진공배관도이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라인(20)과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결합부재(110), 상기 결합부재(110)의 중공부와 연통되어 일단에 고정되며 타단은 밀폐된 형상을 가지는 대략 링 모양의 압력튜브(120), 상기 압력튜브(120)의 타단과 고정되며 압력 지시용 지시침(108)을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 기어(124)와 치합되는 회전아암(122), 상기 구동 기어(124)와 회전아암(122)을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2) 후방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트(126),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10)의 중공부와 일단이 연계되어 결합되며 타단은 밀폐된 상태에서 압력게이지 수납용 하우징(106)의 배면에 장착된 마이크로 스위치(140)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칭 작동간(132)이 관통홀(134)을 통해 돌출 형성되는 대략 링 모양의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130)로 구성된다.
즉, 일반적으로 압력 크기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압력튜브(120) 이외에 그 압력튜브(120)와 동일한 형상을 하며 마찬가지로 일단이 밀폐되고 타단이 결합부재(110)의 중공부와 연결되는 압력튜브(130)가 더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압력튜브(120) 및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130)는 모두 단면이 타원 또는 원형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존재하며, 통상 브르동(Bourdon) 튜브·스파이럴(spiral) 튜브와 같은 탄성의 압력튜브가 압력 변화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통해 압력을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상부방향에 스위칭 접점(142)이 구비되며, 상기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130)와 스위칭 접점(142)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동작시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 작동간(132)의 단면에 형성된 홀에 간격조절부재(144)가 구성된다. 예컨대, 스위칭 작동간(132)을 어느 정도 높이로 결합했느냐에 따라 스위칭 접점(142)과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작동간(132)에 간격조절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마이크로스위치(14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그 마이크로스위치(140)의 배면에 가변브라켓트(150)를 구성할 수 있다. 그 가변브라켓트(150)는 하우징(106)에 형성된 홀과 장공(152)에 일치시킨 다음 볼트(154)를조여 원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술한 스위칭 작동간(132)과 함께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2) 전방에는 투명재질의 덮개(104)가 하우징(106)과 결합된다.
미설명 부호 125는 상기 지시침(108)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나선형태의 리턴스프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 게이지의 작용을 도 3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100)를 진공라인(20)의 소정 위치에 설치한 상태에서, 진공작업에 필요한 진공상태를 만들기 위해 진공펌프(10)를 구동시킨다. 상기 진공펌프(10) 구동에 따라 진공라인(20) 내부가 점차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압력튜브(120)는 진공라인(20)의 압력에 의해 링의 곡률반경 변화와 아울러 끝단에 고정된 회전아암(122)이 움직이게 되고, 그 회전아암(122)과 치합되는 구동 기어(124)의 회전에 의해 압력게이지(100)의 지시침(108)이 변화하게 된다. 그 변화에 의해 진공라인(20) 내부의 압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와 같이 진공펌프(10)가 구동되어 압력튜브(120)의 곡률반경이 변화될 때, 결합부재(110)의 중공부와 연계되어 결합된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130) 또한 상기 압력튜브(120)의 변화와 같이 동일 방향으로 그 변화가 발생되는데, 상기 진공펌프(10)의 구동에 따라 진공라인(20) 내부가 적정 진공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130)의 일단에 위치한 스위칭 작동간(132)이 하방향으로이동되어 스위칭 접점(142)에 밀착되고,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진공펌프(10)의 구동을 오프(Off)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진공펌프(10)로 보내게 된다.
그러면, 진공펌프(10)는 구동을 멈추게 되며 적정 진동압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진공펌프(10) 구동에 따라 진공라인(20) 내부가 적정 진공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스위칭 작동간(132)이 스위칭 접점(142)과 접촉되며, 진공펌프(10)는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따라서, 초기에 마이크로스위치(140)는 스위칭 작동간(132)과 스위칭 접점(142)이 접촉되었을 때에는 진공펌프(10)를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보내게 되며, 이와 반대로 상호 이격되었을 때에는 진공펌프(10)를 온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적정 진공압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일련의 관련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만약 진공라인(20) 또는 진공 작업실 등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새어나가 초기 설정한 진공압력과 비교하여 설정값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진공압력 저하로 인하여 상기 압력튜브(120)의 곡률이 점차 커지게 되고, 이와 아울러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130)의 일단에 설치된 스위칭 작동간(132)이 스위칭 접점(142)과 이격되게 된다.
그러면, 마이크로스위치(140)는 스위칭 작동간(132)과 스위칭 접점(142)의 이격상태를 감지한 후 진공압력을 높이기 위해 진공펌프(10)로 운전 구동을 위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진공펌프(10)의 재 가동이 이루어져 상기 진공라인(20)내의 공기 흡입에 따라 다시 진공상태를 맞추게 되는 것이다.
이후, 진공펌프(10)의 구동에 따라 진공라인(20)내의 진공압력이 점차 높아지게 되어 상기 압력튜브(120)의 곡률반경이 작아지게 되면 스위칭 작동간(132)이 스위칭 접점(142)에 다시 접촉하게 되고, 마이크로스위치(140)는 진공펌프(10) 구동을 오프 시키도록 한다.
즉, 상기 진공압력 변화에 따라 압력게이지(100)의 압력튜브(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된 스위칭 접점용 압력튜브(130)의 변위가 변화되며, 그 변화 발생에 따라 진공펌프(10)의 구동을 온·오프 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스위칭 접점(142)단자 측에 간격 조절부재(144)를 제공할 수 있는데, 그 간격 조절부재(144)를 이용하여 스위칭 접점(142)의 간격을 조정하여 진공압력 설정을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진공펌프(10)의 구동여부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변 브라켓트(150)를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변화에 따라 진공펌프(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바, 상기 가변 브라켓트(150)가 제공된 상태에서의 진공펌프(10)의 운전 제어 역시 스위칭 작동간(132)과 동일하게 작용함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압력 변화에 따라 온/오프 제어되는 진공펌프(10)는 상기 스위칭 작동간(132) 또는/ 및 가변 브라켓트(150)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모두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 편의에 따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압력튜브는 그 형상이 고압을 견딜 수 있도록 가는 관형태로서 중간부분이 스프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최대한 압력튜브의 길이를 길게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마이크로 스위치는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130)의 스위칭 작동간(132)의 하부방향이 아닌 상부방향에 형성되며, 이때 마이크로 스위치(140)는 스위칭 작동간(132)과 스위칭 접점(142)이 밀착되어 있을 때 오프(off) 상태, 떨어져 있을 때 온(on) 상태가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스위칭 작동간(132) 뿐만 아니라 가변 브라켓트(150)를 적용함으로써, 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설명하면, 진공라인(20)이나 또는 진공실 등에 압력게이지(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진공펌프(10)를 구동시켜 소정 작업에 필요한 진공상태로 변화시키게 되며, 작업자는 압력게이지(100)의 지시침(108)을 통해 진공압력을 확인하게 된다.
상기 진공펌프(10) 구동에 따라 진공라인(20)이나 진공실 등의 압력이 변화될 때 압력튜브(120) 및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130)는 하방향으로 이동되며, 요구된 진공 압력 이상으로 변하게 될 때 상기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130)의 스위칭 작동간(132)이 스위칭 접점(142)으로부터 이격되면 진공펌프(10)의 구동이 중지된다. 다시말해 적정 진공압력상태에 도달되었기 때문에 진공펌프(10) 구동을 자동적으로 멈추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도 3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력 게이지(100)에 기 제공된 압력튜브(120) 외에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압력튜브(130)를 더 제공하고, 그 압력 튜브(130)의 밀폐된 부분에는 압력 게이지(100)의 하우징(106) 배면에 장착된 마이크로 스위치(140)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 작동간(142) 또는/ 및 가변브라켓트(150)을 제공함으로써, 진공라인(20) 등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진공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상기 스위칭 작동간(142) 또는 가변 브라켓트(150)에 의해 진공펌프(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진공압력을 복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과 같이 진공라인(20)에 압력게이지(100)만을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 진공 스위치(50; 도 1참조) 설치에 따라 빈번하게 발생되는 압력 변화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140)의 스위칭 접점(142)과 스위칭 작동간(132)의 접촉 또는 이격에 따라 진공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가 상이하게 발생되었지만, 스위칭 작동간(132)의 형태에 따라 어느 하나로 통일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압력튜브 형상이 링 형태 및 중간 부분에 스프링 형상을 가지는 관 형태의 압력튜브만이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압력게이지 내에 설치되는 압력튜브의 형상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으나, 기 제공된 압력튜브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가 설치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진공압력변화에 의해서 압력튜브의 변위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진공펌프의 운전을 제어하고 있지만, 공기 압축시스템 등과 같이 게이지가 설치되어 압력 변화가 발생되는 모든 시스템에 본 발명의 압력게이지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칭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에 따르면, 진공압력을 확인하기 위해 제공되는 압력게이지의 내부에 진공 압력변화에 따라 곡률 변화가 발생되는 또 다른 압력튜브를 제공함과 아울러, 진공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부재를 그 압력튜브 일단에 설치함으로써, 진공라인 등에서 압력 변화가 발생되면 압력 수치를 지시하도록 지시침과 연동되어 제공되는 압력튜브 및 다른 압력튜브가 동시에 위치 변화가 발생되고, 스위칭 부재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진공펌프가 구동되기 때문에, 종래 진공펌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진공스위치에서 완전하게 기밀유지가 되지 않아 압력 변화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압력 재 설정을 위해 진공펌프를 수시로 재가동시켜야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 압력의 진공상태가 요구되는 진공라인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진공라인 내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도록, 진공라인에 나사결합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결합부재, 단면이 타원 또는 원형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존재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중공부와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밀폐된 형상을 가지는 압력튜브, 그 압력튜브의 타단과 고정되며 압력 지시용 지시침을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회전아암이 구비된 로터리형 압력 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의 중공부와 일단이 연계되어 결합되고 타단은 밀폐된 상태에서 끝 부위에 관통홀을 통해 일정 길이 돌출되도록 스위칭 작동간을 가지며 상기 압력튜브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와,
    상기 진공라인내의 진공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압력튜브 및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의 곡률 변화가 이루어지면 진공압력 재설정을 위한 진공펌프 가동용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스위칭 작동간과 연계되어 동작되는 스위칭 접점이 구비된 마이크로스위치가 하우징 배면에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튜브 및 스위칭 구동용 압력튜브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작동간의 일단에는 마이크로스위치의 스위칭 접점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간격 조절부재가 더 장착되거나, 또는 일정 길이의 장공을 통해 원하는 높이를 조절한 후 하우징의 배면과 나사결합하는 가변 브라켓트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 후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
KR10-2002-0067843A 2002-11-04 2002-11-04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 KR100451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843A KR100451391B1 (ko) 2002-11-04 2002-11-04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843A KR100451391B1 (ko) 2002-11-04 2002-11-04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698A true KR20040039698A (ko) 2004-05-12
KR100451391B1 KR100451391B1 (ko) 2004-10-06

Family

ID=3733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843A KR100451391B1 (ko) 2002-11-04 2002-11-04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3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24B1 (ko) * 2006-07-31 2008-01-24 주식회사 협성히스코 압력계
KR200484124Y1 (ko) * 2017-01-26 2017-08-02 문제완 축산용 진공펌프의 진공압력 게이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96B1 (ko) 2005-08-16 2007-07-27 주식회사 협성히스코 압력계
KR101221005B1 (ko) 2011-04-26 2013-01-10 주식회사 인트로팩 압력 센서
CN103764501B (zh) 2011-04-26 2015-07-08 李杰柱 具有水分感测能力的真空包装装置
KR101472779B1 (ko) 2013-09-16 2014-12-15 최진호 경보기능을 가지는 압력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5435A (ja) * 1987-05-18 1988-11-22 Asahi Keiki Kogyo Kk ブルドン管圧力計
KR200158137Y1 (ko) * 1995-09-27 1999-10-15 전주범 헛불안전스위치가 내장된 압력계
JP2000348581A (ja) * 1999-06-04 2000-12-15 Omron Corp スイッチ
KR100414148B1 (ko) * 2001-05-16 2004-01-07 신영천 압력계용 태엽형 부르돈관을 이용한 압력 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324B1 (ko) * 2006-07-31 2008-01-24 주식회사 협성히스코 압력계
KR200484124Y1 (ko) * 2017-01-26 2017-08-02 문제완 축산용 진공펌프의 진공압력 게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1391B1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167B1 (ko) 흡출밸브
US5950923A (en) Suck back valve
US4037994A (en) Pressure unloading valve device for compressor
KR100451391B1 (ko) 스위칭 기능을 갖는 압력게이지
EP2235489A1 (en) Pressure sensor and device for preventing air inflow into the pressure sensor
JPH11353987A (ja) 差圧スイッチ
JPH10281335A (ja) サックバックバルブ
CN111623921A (zh) 现场式自动真空疏压压力仪表检定装置
US6695278B2 (en) Proportional flow control valve
WO2004009379A2 (en) Pneumatic tire air pressure gauge assembly
US2471838A (en) Pressure switch
JP2001153261A (ja) 薬液用エアオペレイトバルブ
JP4768244B2 (ja) 薬液供給システム及び薬液供給用ポンプ
CN107610974B (zh) 一种风压开关
US5918810A (en) Suck back valve
JP4721807B2 (ja) 稼動回数表示器搭載油圧シリンダ
CN208880752U (zh) 一种工装更换装置
US4273976A (en) Pressure responsive switch device
CN110371489A (zh) 真空罐
SU798752A1 (ru) Реле давлени
JPH0374023A (ja) 温度依存性圧力検出スイッチ及びその圧力検出スイッチを用いた液圧制御システム
KR100796324B1 (ko) 압력계
JPS6324486Y2 (ko)
US5159832A (en) Indicating device
KR950007452Y1 (ko) 액화 석유 가스용 압력 조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