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9132A - 목백일홍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의 주름 및 거친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목백일홍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의 주름 및 거친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9132A
KR20040039132A KR1020020067906A KR20020067906A KR20040039132A KR 20040039132 A KR20040039132 A KR 20040039132A KR 1020020067906 A KR1020020067906 A KR 1020020067906A KR 20020067906 A KR20020067906 A KR 20020067906A KR 20040039132 A KR20040039132 A KR 20040039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rinkles
wrinkle
weeks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7915B1 (ko
Inventor
박창훈
윤은숙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2-0067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9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39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주름 및 거친 피부를 개선시키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목백일홍 추출물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목백일홍의 꽃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면 자연노화와 광노화의 복합적 작용으로 인해 생성된 잔주름, 깊은 주름은 물론 거친 피부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목백일홍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의 주름 및 거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lagerstroemia indica flower extract for repairing wrinkle and roughness of the skin}
본 발명은 목백일홍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 개선 및 거친 피부를 개선시켜주는 효과를 주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 또는 자연노화라고도 함)와 광노화(actinic aging)가 합쳐져 나타난다. 두 가지의 노화 사이에는, 주름이 생성되고 피부면역세포인 랑거한스 세포와 진피세포성분이 줄어드는 등 공통점이 많이 있으나 광노화에서는 피부가 두꺼워지고 탄력섬유가 증가하는데 반하여 자연노화는 피부가 얇아지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자연노화와 광노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주름을 형성시키게 된다. 그런데 많은 연구 결과, 대부분의 피부 노화는 연령적인 요소보다는 햇빛에 의해 더 많이 진행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어떤 학자는 80퍼센트 이상의 주름은 햇빛에 의해 생긴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적도 있다.
노화에 관한 화장품 영역에서의 주된 관심 대상은 표피 조직에서 각질의 미세한 주름이나 각질형성세포가 편평상피세포로 전환되는 것에 있다. 그러나 자연노화와 관련된 주된 조직학적 변화는 진피영역에서 일어난다.
자외선에 만성적으로 노출될 때의 영향을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농부나 어부들의 피부이다. 외관적으로 피부가 거칠고 깊은 주름이 있으며 자외선에 노출되기 쉬운 목덜미 부분에서 특징적인 마름모 꼴의 주름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화를 자연적인 노화와 구별하여 광노화라고 하며, 이런 증상이 크게 나타나는 부위가 항상 햇빛에 노출되는 안면부위이다.
근래 환경오염에 의해 지표 상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이 증가하고 있으며 레저 및 야외활동 등의 증가로 자외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광노화로 인해 피부가 거칠어지고 주름이 생긴 것에 대한 케어가 더욱 더 중요해지게 되었다.
시기적으로 가을은 여름철에 있었던 많은 야외 활동에서 자외선 등의 영향을 받아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피부가 거칠어져 있으며 잔주름도 많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건조해지는 가을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피부는 점점 더 거칠어지고 잔주름이 급격히 늘어나게 된다.
한편, 겨울이 되면 기온이 급격하게 떨어져 운동량도 적어질 뿐 아니라, 우리 몸속의 혈액이 원활하게 순환되지 못하여 피부의 신진대사 주기가 길어지기 때문에 피부가 거칠어지고 잔주름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찬바람에 직접 맞닿는 피부는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각질층을 두껍게 하여 피부를 거칠게 만든다. 그 중에서도 외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피부는 건조화가 심화되어 각질이 생기기도 하며, 피부가 찬바람에 맞서기 위해 두껍고 뻣뻣해지게 되며 피부색이 죽게 된다.
피부는 약 28일을 주기로 새로운 피부 세포를 만들어내며 묵은 세포들을 각질층으로 밀어 올린다. 이것을 세포재생 회전주기(CELL TURN-OVER CYCLE)라고 한다. 여성의 연령이 25세 이후부터 여러 가지 이유로 세포재생 회전주기가 길어지면서 피부 트러블이 발생되며 피부가 칙칙해지고 수분 보유력이 저하되어 거칠어지고 급기야 잔주름이 많아지면서 노화가 시작된다. 특히 환절기에는 차갑고 건조한 바람에 피부는 수분을 다량 빼앗겨 거칠고 메마르게 된다. 게다가 신진대사가 둔화되어 땀과 피지의 분비량이 급격히 줄어들기 때문에 피부가 더욱 건조해지면서 피부 표면에 불필요한 각질도 더욱 증가하고 건조해 진다.
상기와 같이 야외 활동으로 인한 광노화가 건조하고 찬 가을 및 겨울의 시기적 요인과 자연노화로 인한 요인들과 맞물리면 피부가 급격히 거칠어지며 이로 인해 잔주름이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해 특히 25세 이후부터는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피부가 거칠어지며 잔주름이 급격히 늘어나게 된다. 피부관리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러한 거친 피부와 잔주름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품에 대한 요구 또한 절실하였다. 특히 잔주름 및 거친 피부를 개선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안전성이 입증되어 소비자들이 거부감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에 대한 수요가 있었다.
근래의 외부 환경을 살펴보면 광우병 등의 파문으로 광우병을 유발할 수 있는 동물성원료의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아울러 동물성 원료에 대한 사용을 선호하지 않는 추세가 되었으며 따라서 식물성 원료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서 주름 및 거칠어진 피부를 케어할 수 있는 물질도 식물성 원료에서 얻을 필요성을 얻게 되었으며 특히 소비자에게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쉬운 꽃에서 추출한 원료의 사용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지적으로나 효과가 뛰어날 것으로 보이는 꽃들을 조사하여 그 중에서 목백일홍 꽃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 및 피부의 거친 피부를 개선시켜주는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름철 피부에 자외선이 과도하게 조사됨으로써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거칠어진 피부를 부드럽고 매끈한 피부로 개선하는 것이다. 또한, 가을철부터 겨울에 이르기까지 차갑고 건조한 바람에 의해 피부의 수분이 다량 손실되어 생성된 잔주름을 개선하고 거친 피부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25세부터 피부의 세포재생 주기가 길어지면서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건조해지며 이로 인해 피부가 거칠어지고 잔주름이 많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며 또한 이러한 잔주름과 거친 피부의 상태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과 대조군을 각각 4주간 피부에 사용한 결과를 수평 분석 방법(horizontal analysis)을 이용하여 주름 레플리카 평균값으로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과 대조군을 각각 4주간 피부에 사용한 결과를 수평 분석 방법(horizontal analysis)을 이용하여 주름 개선 정도 델타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과 대조군을 각각 4주간 피부에 사용한 결과를 써클 분석 방법(circle analysis)을 이용하여 주름 레플리카 평균값으로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과 대조군을 각각 4주간 피부에 사용한 결과를 써클 분석 방법(circle analysis)을 이용하여 주름 개선 정도 델타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목백일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백일홍 추출물을 수중유형에멀젼에 함유하여 피부의 주름 및 거친 피부를 개선시켜 주는 효과를 갖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백일홍 추출물은 수중유형에멀젼에 대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30.0중량%, 바람직하게는 1.0~10.0중량%의 농도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목백일홍은 부처꽃과에 속하며 다 자라면 나무 높이가 6미터 정도 되며 나무둘레가 40센티미터 정도 된다. 가지가 옆으로 넓게 퍼져서 나무모양이 불균형을 이룬다. 꽃인 백일홍은 꽃이 백일 간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목백일홍(배롱나무)의 꽃 또한 7월 하순부터 가을까지 아래서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약 백일 간다하여 목백일홍이라 한다. 한 꽃이 백일 가는 것은 아니고 수많은 꽃이 차례차례 백일 동안 핀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목백일홍 추출물을 0.001~30.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1중량% 미만에서는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소한 0.001중량% 이상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목백일홍 추출물에는 극소량의 염(salt)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목백일홍 추출물의 함량이 많아짐에 따라 그 염 성분이 증가하게 된다. 목백일홍 추출물이 30.0중량% 초과하는 경우에는 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됨에 따라 조성물의 장기 안정도가 나빠지게 되며 사용하는 점증제의 역할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점도가 떨어지게 되며 당연히 점도를 높이기 위해서 과량의 점증제가 투입하게 됨으로써 화장품으로서의 감성적 측면도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목백일홍 추출물의 함량은 30.0중량%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1.0~10.0중량%로서 주름 및 거친 피부 개선 효과를 최대한 나타내면서도 점증제 없이 조성물을 안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최적 범위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목백일홍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의 주름 및 거친 피부를 개선시켜 주는 효과를 지니는 화장료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1 및 비교예1>
하기 표1의 조성을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이와 비교하기 위하여 목백일홍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것만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같은 조성을 동일한 제조방법을 거쳐 비교예1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1 및 비교예1의 제형들은 모두 O/W 제형이다. 하기 표1의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1 비교예1
유 상 성 분 메도우폼시드오일 3.0 3.0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스디스테아레이트 1.2 1.2
해바라기종자유 3.0 3.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0.5 0.5
하이드로제네이티드C6-14올레핀폴리머 3.0 3.0
디메치콘코폴리올크로스폴리머/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페닐트리메치콘 1.0 1.0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3.0 3.0
디메치콘 2.5 2.5
사이클로메치콘 3.0 3.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5 0.5
수상성분 1 정제수 To 100 To 100
글리세린 5.0 5.0
부틸렌글리콜 5.0 5.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티타네이티드마이카 0.5 0.5
방부제 적량 적량
베타인 4.0 4.0
색소 적량 적량
목백일홍 추출물(LAGERSTROEMIA INDICA FLOWER EXTRACT) 3.0 -
수상성분 2 폴리아크릴아마이드/C13-C14이소파라핀/라우레스-7 1.0 1.0
알콜성분 에탄올 4.0 4.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시예1 및 비교예 1의 제조방법
(1) 유상성분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수상성분 1을 가열(70~75℃)하여 균일하게 용해 및 혼합하였다.
(3) 상기 (2)에 상기 (1)을 교반하에 온도(70~75℃)를 유지한 상태에서 투입하여 에멀젼을 만들었다.
(4) 상기 (3)에 수상성분2를 교반하에서 서서히 투입한 후 점증을 시 킨 후에 연속적으로 알콜 성분을 투입한 후 28-30도까지 냉각하였다.
상기 표 1에 따라 제조한 각 화장료 조성물을 가지고 피부의 주름 및 거친 피부를 개선시켜 주는 효과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실험예 1: 인체 실험, 피부 주름 이미지 분석>
25∼60세의 성인 여성중에서 얼굴에 주름을 가지고 있는 사람 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1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좌,우로 나누어 매일 2회씩 4주간 얼굴에 도포하였다. 도포 개시전과 도포후 4주 경과한 시점에서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주름의 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1. 피부 주름 레플리카(replica) 제작
주름 레플리카(replica) 제작은 항상 항온항습(22±2℃, 50±5% humidity)실에서 제작하도록 하였다. 이는 외부의 조건에 따라 피부의 상태가 변하게 되며 피부의 상태에 따라 레플리카 제작이 변형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레플리카 제작을 위해 먼저 피험자가 깨끗이 세안 후 항온항습실에 들어와 미용침대에 누워서 안정을 취하도록 하였다. 약 20분간 안정을 취한후 주름 레플리카를 제작함으로 일정한 상태에서의 피부 레플리카 제작을 통해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① Silflo(Flexico LTD., England)를 사용한다.
② 피검자가 자연스럽게 눈을 감도록 한다.
③ 피험자의 고개를 약 15도 돌려 레플리카 제작시 제작 용액이 흐르지 않게 한다.
④ 실리콘 폴리머 약 5그람에 촉매제를 3방울 떨어뜨린 다음 골고루 혼합한다.
⑤ 납작한 것으로 혼합용액을 떠서 눈꼬리 쪽 부위(눈썹부터 광대뼈까지)를 발라 눈가 주름 본을 뜬다.
⑥ 혼합과정 및 본뜨기 위해 용액을 눈가에 얹는 과정중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기포의 발생을 없애기 위해 납작한 것으로 도포한 부위를 다시 한번 더 눌러준다.
⑦ 약 10분 경과후 폴리머 재질이 경화되면 광대뼈쪽의 끝부분을 가볍게 잡아 떼어낸다.
⑧ 좌우 동일한 방법으로 주름 형상을 제작하여 완성된 것은 실온에서 정리, 보관한다.
⑨ 사용 전, 사용 4주 후 주름을 위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 제작한 후 분석을 위해 실온에서 정리, 보관한다.
2. 이미지 분석기(Image analyzer)의 분석을 통한 주름 개선 평가
① 피부 주름의 레플리카를 제작하고 이것을 컴퓨터 영상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름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② 레플리카 주름 분석은 레플리카 주름에 일정한 각도의 빛을 조사하여 발생하는 그림자의 명함에 의해 주름의 깊이 정도를 파악하는 시스템이다.
③ 주름 레플리카 이미지 분석은 실온에서 보관중인 사용 전, 4주후 제작된 레플리카를 일정한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조건으로는 빛의 각도, 빛의 조도 및 주위환경을 일정하게 고정한다.
④ 레플리카 분석은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레플리카가 향하도록 고정해 두어야 한다. 즉 모든 레플리카 분석은 레플리카 주름이 세로방향으로 되도록 고정시킨 상태에서 분석을 시작하였다.
⑤ 주름 레플리카에 약 38도 각도의 빛을 조사하면 주름의 굴곡에 따라 그림자 명암의 정도 차이가 발생한다. 3차원인 주름의 굴곡 정도를 그림자 명암을 이용한 2차원 영상으로 변화되는 것이다. 주름 그림자 명암 영상을 CCD카메라로 찍어 이미지 파일화시켜 컴퓨터 영상 분석 시스템으로 주름 그림자 명암의 정도를 주름 깊이의 정도로 변환하여 평가하였다.
⑥ 빛의 각도가 17도 혹은 20도 정도는 어린아이와 같이 아주 미세하고 규칙적인 피부를 측정하는데 적당하며 반면에 38도에서 45도 정도는 약간 깊은 주름을 측정하는데 적당하다. 일반적으로 피부를 측정할 경우엔 17도에서 26도가 최적이며 까마귀발 주름(crow's feet)을 측정할 경우엔 38도가 최적이다(p 92-93, Handbook of Non-Invasive Methods and the Skin. Jorgen Serum, G.B.E. Jemec. CRC Press, 1995).
⑦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는 컴퓨터 영상시스템은 C+K사의 Skin-Visiometer SV600 softwar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로 데이타(raw data)로 R1-R5의 값으로 표시된다.)
3. 레플리카에 의한 이미지 분석(image analysis)
① Skin-Visiometer SV 600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름을 측정하는 인위적인 단위로서 빛을 조사하여 주름의 굴곡에 따른 그림자의 크기 및 명암정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주름의 깊이를 측정하는 원리이다. R1은 주름 굴곡의 가장 높은 꼭대기 수치와 가장 낮은 계곡 수치 사이의 차이값이며 R2는 주름 등고선을 자동적으로 5개씩 나눈 후 나눈 R1값들의 평균이며 이는 R1값의 오차(artifacts)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다. 또한 R3은 이런 5개의 R1값중 가장 큰 값의 R1이 R3이다. R1∼R3는 깊은 주름의 깊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R4는 주름 등고선의 위, 아래 평균선에서 각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으로 피부의 거친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며 R5는 주름 등고선의 평균선에서 주름의 윤곽을 뺀 값의 평균값으로 잔주름의 깊이를 나타낸다.
② R1∼R5의 값이 작을수록 주름의 깊이가 작음을 의미하며 R1∼R5의단위는 임의의 단위(arbitrary unit)이다.
③ C+K사의 Visiometer SV 60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영상 분석할 때 레플리카의 분석 크기는 즉, 측정 직사각형 크기(measurement rectangle size)는 주름 레플리카의 이미지 크기에 따라 변동가능하지만 동일한 조건의 실험에서는 크기를 동일하게 하여 측정, 분석하여야 한다. 본 실험에서는 0으로 고정한 후 분석하였다. 이는 직사각형 크기(rectangle size)의 최대분석 크기로 넓은 영역의 주름을 분석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작은 크기로 분석할 경우의 실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결과 해석에 유익한 방법이다.
④ 주름 분석 파라미터로는 써클 라인(circle line), 수평 라인(horizontal lines), 수직 라인(vertical line), 평균 라인(mean line) 이렇게 4종류가 있으며, 이 중 수평 라인(horizontal line)과 써클 라인(circle line)을 이용하여 R1∼R5값을 계산하였다. 이는 주름이 세로방향으로 이미지가 찍혔기 때문에 주름에 대한 깊이 계산은 수평 및 써클로 분석하는 것이 다른 변수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정확한 값을 낼 수 있다.
4. 주름 변화량 측정 공식
(ATZW4-ATZW0) - (PTZW4-PTZW0)
ATZW4: 4주후 실시예1 도포부위에서 구한 파라미터값
ATZW0: 0주차 실시예1 사용전 도포부위에서 구한 파라미터값
PTZW4: 4주후 비교예1 도포부위에서 구한 파라미터값
PTZW0: 0주차 비교예1 사용전 도포부위에서 구한 파라미터값
5. 결과 해석을 위한 통계 분석법
① 레플리카 이미지 분석기(Replica Image analyzer)를 통한 주름 레플리카 분석은 대상 인원이 12명이어서 정규분포를 하지 않으므로 Nanparametric 테스트인Mann Whitney rank-sum 테스트를 통해 좌, 우(비교예1, 실시예1)간의 유의성 여부를 생물학적 통계기준(p<0.05)에 맞추어 확인하였다.
② 주름 파라미터인 R1∼R5값중 R1,R2,R3는 깊은 주름에 대한 값으로 3가지 파라미터 중 2가지 이상 파라미터가 유의성 있게 나올 경우 깊은 주름에 대하여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③ R4와 R5는 얕은 주름 및 피부의 거친 정도에 대한 값으로 R4나 R5값중 하나라도 유의성 있게 나올 경우 얕은 주름 및 거친 피부 개선에 대하여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④ 통계 분석 프로그램은 SPSS 8.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 대상들의 주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직 분석 방법(Horizontal analysis)
먼저 상기 비교예1과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과, 사용 4주후 피부 주름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레플리카를 이용하여 수직 분석 방법(Horizontal analysis)을 통해 주름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2는 사용전 주름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이고 표 3은 사용 4주후 주름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이다.
사용 0주 비교예1 실시예1
NUMBER HR1 HR2 HR3 HR4 HR5 HR1 HR2 HR3 HR4 HR5
1 3.410 3.380 1.690 0.200 0.400 1.970 1.930 1.010 0.150 0.310
2 3.140 3.120 1.590 0.210 0.400 2.140 2.110 1.110 0.170 0.350
3 2.340 2.290 1.120 0.140 0.310 1.740 1.710 1.000 0.150 0.350
4 3.960 3.910 1.740 0.250 0.400 4.770 4.760 2.430 0.300 0.450
5 2.000 2.170 0.990 0.140 0.300 2.540 2.510 1.300 0.180 0.380
6 1.700 1.650 0.950 0.130 0.320 5.010 5.010 2.420 0.310 0.390
7 1.960 1.910 1.080 0.170 0.410 3.480 3.460 1.640 0.220 0.350
8 4.900 4.890 2.490 0.290 0.450 4.590 4.550 2.240 0.240 0.450
9 3.740 3.700 1.490 0.200 0.360 4.230 4.180 1.490 0.210 0.440
10 1.370 1.310 0.660 0.110 0.300 1.910 1.880 0.780 0.120 0.310
11 2.530 2.480 1.160 0.140 0.330 4.180 4.150 1.770 0.220 0.410
12 5.300 5.290 2.940 0.350 0.500 3.440 3.420 1.510 0.200 0.340
MEAN 3.046 3.008 1.492 0.194 0.373 3.333 3.306 1.558 0.206 0.378
사용 4주 비교예1 실시예1
NUMBER HR1 HR2 HR3 HR4 HR5 HR1 HR2 HR3 HR4 HR5
1 2.910 2.880 1.420 0.180 0.370 1.110 1.050 0.630 0.100 0.290
2 2.300 2.280 1.150 0.170 0.350 1.650 1.640 0.980 0.160 0.330
3 2.990 2.940 1.430 0.190 0.390 1.100 1.070 0.680 0.130 0.270
4 5.070 5.040 3.020 0.460 0.650 5.220 5.210 2.610 0.310 0.450
5 4.950 4.940 2.470 0.290 0.420 3.070 3.050 1.530 0.210 0.340
6 1.290 1.250 0.750 0.120 0.280 3.660 3.640 1.560 0.210 0.330
7 3.760 3.720 2.010 0.250 0.470 2.520 2.510 1.150 0.170 0.290
8 1.660 1.620 0.890 0.140 0.330 2.170 2.130 1.110 0.150 0.330
9 2.920 2.880 1.180 0.180 0.340 5.410 5.390 1.830 0.340 0.510
10 1.980 1.930 0.930 0.150 0.350 2.240 2.200 0.760 0.130 0.290
11 2.800 2.770 1.320 0.160 0.370 3.150 3.120 1.410 0.180 0.340
12 3.430 3.430 1.410 0.190 0.260 3.030 2.990 1.370 0.180 0.370
MEAN 3.005 2.973 1.498 0.207 0.382 2.861 2.833 1.302 0.189 0.345
도 1은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4주 사용전후 주름 레플리카 평균값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주름 레플리카 평균값은 아래와 같이 구하였다.
비교예 1의 4주사용전후 주름 레플리카 평균값=
MEAN[HRin(4주후)-HRin(0주)](i=1-5,n=1-12)
실시예 1의 4주사용전후 주름 레플리카 평균값=
MEAN[HRin(4주후)-HRin(0주)](i=1-5,n=1-12)
도 1을 보면 실시예 1과 비교예 1 모두에서 주름 개선 효능을 나타내고 있지만 비교예 1에서는 그 효과가 약한 반면에 실시예 1에서 주름 개선 효능이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1 내지 R5 모두에서 비교예 1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가 나타났으므로 깊은 주름, 잔주름 및 거친 피부 모두를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도 2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4주 사용후 주름 개선 정도의 결과를 양 데이타의 델타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4주 사용후 주름개선 정도 평균값=
MEAN[△실시예 1 HRin(4주-0주)-△비교예 1 HRin(4주-0주)]
(i=1-5,n=1-12)
도 2에서 비교예 1에 대한 실시예 1의 4주 사용후의 주름 개선 정도를 보면 깊은 주름 파라미터인 R1∼R3과 얕은 주름 파라미터인 R4∼R5 모두에서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이 결과를 통하여 거친 피부가 개선되었다고 할 수 있다.
2. 써클 분석 방법(Circle analysis)
비교예1과 실시예 1의 사용 전, 사용 4주후 피부 주름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레플리카를 이용하여 써클 분석 방법(Circle analysis) 방법을 통해 주름 이미지를 분석하여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4는 사용 전의 주름 상태에 관한 결과이고 표 5는 사용 4주후의 주름 상태에 관한 결과이다.
사용 0주 비교예1 실시예1
NUMBER CR1 CR2 CR3 CR4 CR5 CR1 CR2 CR3 CR4 CR5
1 3.360 3.290 1.510 0.190 0.400 2.220 2.170 1.100 0.160 0.320
2 2.810 2.780 1.390 0.200 0.400 2.060 2.030 1.090 0.170 0.360
3 2.560 2.510 1.150 0.140 0.310 1.960 1.910 1.070 0.170 0.380
4 3.430 3.370 1.600 0.210 0.380 4.070 4.040 2.060 0.270 0.440
5 2.770 2.720 1.210 0.140 0.320 2.540 2.490 1.270 0.170 0.380
6 1.800 1.750 0.950 0.130 0.320 4.730 4.720 2.390 0.300 0.380
7 1.940 1.890 1.070 0.170 0.400 2.930 2.900 1.430 0.210 0.330
8 5.470 5.460 2.640 0.390 0.550 4.300 4.240 1.960 0.220 0.440
9 3.130 3.080 1.390 0.200 0.370 2.870 2.810 1.130 0.160 0.380
10 1.180 1.100 0.630 0.110 0.310 1.470 1.420 0.670 0.110 0.320
11 2.880 2.830 1.300 0.160 0.360 3.400 3.360 1.440 0.190 0.380
12 4.440 4.420 2.420 0.340 0.470 4.010 3.980 1.710 0.230 0.370
MEAN 2.981 2.933 1.438 0.198 0.383 3.047 3.006 1.443 0.197 0.373
사용 4주 비교예1 실시예1
NUMBER CR1 CR2 CR3 CR4 CR5 CR1 CR2 CR3 CR4 CR5
1 2.930 2.890 1.430 0.190 0.370 1.350 1.240 0.720 0.110 0.340
2 1.880 1.850 1.010 0.160 0.340 1.580 1.530 0.950 0.190 0.360
3 3.400 3.350 1.620 0.190 0.400 1.290 1.220 0.740 0.130 0.280
4 5.200 5.130 2.930 0.410 0.600 4.580 4.560 2.190 0.290 0.420
5 5.130 5.090 2.610 0.340 0.470 2.850 2.820 1.380 0.200 0.340
6 1.270 1.220 0.750 0.120 0.270 3.160 3.130 1.410 0.190 0.320
7 3.690 3.640 1.910 0.250 0.470 2.160 2.150 1.090 0.170 0.290
8 1.600 1.560 0.900 0.160 0.340 2.360 2.300 1.120 0.140 0.330
9 2.510 2.470 1.160 0.180 0.340 3.570 3.530 1.350 0.240 0.420
10 1.740 1.680 0.930 0.150 0.350 1.690 1.650 0.650 0.110 0.270
11 2.860 2.810 1.470 0.170 0.380 2.780 2.730 1.240 0.170 0.330
12 3.170 3.150 1.330 0.200 0.250 3.080 3.040 1.370 0.180 0.380
MEAN 2.948 2.903 1.504 0.210 0.382 2.538 2.492 1.184 0.177 0.340
도 3은 비교예 1과 실시예 1의 4주 사용전후 주름 레플리카 평균값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주름 레플리카 평균값은 아래와 같이 구하였다.
비교예 1의 4주사용전후 주름레플리카 평균값=
MEAN[CRin(4주후)-CRin(0주)](i=1-5,n=1-12)
실시예 1의 4주사용전후 주름레플리카 평균값=
MEAN[CRin(4주후)-CRin(0주)](i=1-5,n=1-12)
도 3에 따르면 실시예 1은 모두에서 비교예 1은 CR1을 제외하고 주름 개선 효능을 보였으며, 비교예 1에서는 그 효과가 약한 반면에 실시예 1에서는 주름 개선 효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도 4는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4주 사용후 주름 개선 정도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주름 개선 정도 델타값은 다음과 같이 구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4주 사용후 주름개선 정도 평균값=
MEAN[△실시예 1 CRin(4주-0주)-△비교예 1 CRin(4주-0주)]
(i=1-5,n=1-12)
도 4에 따르면,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실시예1의 4주 사용후의 주름 개선 정도를 보면 깊은 주름 파라미터인 R1∼R3과 얕은 주름 파라미터인 R4∼R5 모두에서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이 결과를 통하여 거친 피부가 개선되었다고 할 수 있다.
<실험예 2: 주름 개선효과에 관한 설문 조사>
상기 실험예 1에서와 같이, 25∼60세의 성인 여성중에서 얼굴에 주름을 가지고 있는 사람 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1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좌, 우로 나누어 매일 2회씩 4주간 얼굴에 도포하였다. 도포 개시전과 도포후 4주 경과한 시점에서 자신이 느끼는 피부 주름 개선 정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도포군 응답자수
매우만족 만족 보통 미흡
실시예 1 1 8 3 0
비교예 1 1 0 9 2
상기 표 6의 결과를 보면 비교예 1을 바른 부위보다 실시예 1을 바른 부위가 상대적으로 주름 개선 효과가 더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 결과가 나왔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백일홍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여름철 피부에 자외선이 과도하게 조사됨으로써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거칠어진 피부를 부드럽고 매끈한 피부로 개선시켜줄 수 있으며, 가을철부터 겨울에 이르기까지 차갑고 건조한 바람에 의해 피부의 수분이 다량 손실되어 생성된 잔주름을 개선하고 거친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25세부터 피부의 세포재생 주기가 길어지면서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건조해지며 이로 인해 피부가 거칠어지고 주름이 많이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주름과 거친 피부의 상태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연노화와 광노화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생성된 깊은 주름까지도 개선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잔주름과 거친 피부도 함께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목백일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및 거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백일홍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30.0중량%의 농도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및 거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백일홍 추출물은 목백일홍의 꽃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및 거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2-0067906A 2002-11-04 2002-11-04 목백일홍 꽃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07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906A KR100507915B1 (ko) 2002-11-04 2002-11-04 목백일홍 꽃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906A KR100507915B1 (ko) 2002-11-04 2002-11-04 목백일홍 꽃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132A true KR20040039132A (ko) 2004-05-10
KR100507915B1 KR100507915B1 (ko) 2005-08-09

Family

ID=3733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906A KR100507915B1 (ko) 2002-11-04 2002-11-04 목백일홍 꽃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9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0611A (zh) * 2014-01-16 2014-06-18 河南大学 一种紫薇提取物及其提取方法、应用
KR101445642B1 (ko) * 2012-11-02 2014-09-2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4B1 (ko) * 2014-07-17 2015-01-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5B1 (ko) * 2014-07-17 2015-01-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157859A (zh) * 2017-07-04 2017-09-15 龚亚妍 一种具有祛斑、美白及滋养作用的中药面膜及其制备方法
KR20220114397A (ko) * 2021-02-08 2022-08-17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8913A (ja) * 1991-10-30 1993-08-20 Nippon Kigyo Kaihatsu Kk 角質層の除去剤の製造方法および角質層の除去剤
JP3235922B2 (ja) * 1993-11-05 2001-12-04 御木本製薬株式会社 化粧料
JP2000302634A (ja) * 1999-04-27 2000-10-31 Ichimaru Pharcos Co Ltd 化粧料組成物
JP2002241299A (ja) * 2001-02-13 2002-08-28 Ichimaru Pharcos Co Ltd メイラード反応修復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642B1 (ko) * 2012-11-02 2014-09-2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3860611A (zh) * 2014-01-16 2014-06-18 河南大学 一种紫薇提取物及其提取方法、应用
KR101479244B1 (ko) * 2014-07-17 2015-01-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79245B1 (ko) * 2014-07-17 2015-01-0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157859A (zh) * 2017-07-04 2017-09-15 龚亚妍 一种具有祛斑、美白及滋养作用的中药面膜及其制备方法
KR20220114397A (ko) * 2021-02-08 2022-08-17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배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7915B1 (ko) 2005-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0870B1 (ko) 해조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투명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4666236B (zh) 一种保湿护肤面膜
CN104010662B (zh) 使皮肤回春的组合物和方法
CN111686029A (zh) 一种抗衰祛皱组合物
CN105560119B (zh) 一种牡丹保湿液及其制备方法
CN107714559A (zh) 一种无防腐深层补水护肤品
CN111728917A (zh) 一种护肤品及其制备方法
CN106236691A (zh) 一种抗氧化保湿精华露及其制备方法
KR101932839B1 (ko) 피부 각질 제거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N100477983C (zh) 一种使用岩茶提取物和羊胎素配制的化妆品
KR100507915B1 (ko) 목백일홍 꽃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91B1 (ko)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14306165A (zh) 一种保湿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081942A (zh) 一种含有苹果干细胞的多维水合霜
CN113116753B (zh) 一种玫瑰精油面霜及其制备方法
KR100738434B1 (ko)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CN110151632B (zh) 一种护理眼部肌肤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3476374A (zh) 一种抗皱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10946776A (zh) 一种含有金蝉提取物成分的肌肤保养霜及其制备方法
US11071695B2 (en) Cosmetic anti-blemish composition, use of the composition and anti-blemish treatment method
CN110279647A (zh) 一种祛斑、亮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20088004A (ko) 수세미 성분과 비타민을 이용한 피부미용 화장품 조성물
US20220331223A1 (en) Hair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100863940B1 (ko) 스노우 드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US20230201094A1 (en) Personal Care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