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8123A -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8123A
KR20040038123A KR1020020066999A KR20020066999A KR20040038123A KR 20040038123 A KR20040038123 A KR 20040038123A KR 1020020066999 A KR1020020066999 A KR 1020020066999A KR 20020066999 A KR20020066999 A KR 20020066999A KR 20040038123 A KR20040038123 A KR 20040038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roxy gateway
proxy
inform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3741B1 (ko
Inventor
임승혁
차경찬
이재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2-006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741B1/ko
Publication of KR20040038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741B1/ko

Link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의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에 상기 서비스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리 저장된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으로부터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대한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방법{MULTI PROXY GATEWAY INTERLOCKING METHOD FOR MOBILE INTERNET SERVICE}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텐츠 제공 업체가 자체 프록시 게이트웨이를 두어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포탈 서비스 업체나 컨텐츠 제공 업체들이 보다 쉽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특정 이동 통신사(SKT, KTF, LGT 등)의 프록시 게이트웨이를 통해서만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종래의 무선 인터넷 시스템 구조에서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이동 통신사의 프록시 게이트웨이로 접속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컨텐츠 제공 업체들이 제공하는 컨텐츠 사용에 대한 요금 부과도 이동 통신사가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대행한 후 요금 정산을 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컨텐츠 제공 업체들의 자유로운 시장 진입에 큰 장애물이 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사의 경우 과금 대행을 위한 과금 서버 설치의 부담이 있으며, 다양한 컨텐츠 제공을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를 확보해야 하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이동 통신사의 프록시 게이트웨이를 거쳐야만 하는 유연하지 못한 시스템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이용하려고 하는 다수의 컨텐츠들을 신속하게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10), 통신망 접속 장치(120), 프록시 게이트웨이(130),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고 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장치로서, 휴대폰이나 개인 휴대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등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서비스 요청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망 접속 장치(120)로 전송하고, 요청된 서비스에 상응하는 컨텐츠를 통신망 접속 장치(120)로부터 제공받아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망 접속 장치(120)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이 별도의 무선 모뎀 없이 사용자 단말기(110)만으로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 단말기(110)가 인터넷, 컴퓨터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망 연동 장치(IWF: Inter-Working Function)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통신망 접속 장치(120)와 사용자 단말기(110)는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기본이 되는 망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인 기지국 및 교환기 등을 통해 결합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프록시 게이트웨이(130)는 통신망 접속 장치(120) 및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140)와 결합되어 프로토콜 변환 장치(Gateway)와 프록시 기능을 겸하는 장치로서, 컨텐츠 이용료 등을 부과하는 과금 장치의 기능,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속도를 보정하기 위한 중간 장치의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140; Contents Provider Server Group)는 제1 컨텐츠 제공 서버(142), 제2 컨텐츠 제공 서버(144), ... , 제N 컨텐츠 제공 서버(14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컨텐츠 제공 서버는 인터넷 기반으로 표현 가능한 모든 컨텐츠를 이용해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문자 중심의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는 물론 그래픽과 음성, 동영상 등이 가미된 컨텐츠가 기본 단위인 멀티미디어 정보에 대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음악, 영화, 사진, 멜로디, 그림, 멀티미디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제공 업체가 자체 프록시 게이트웨이를 두고 과금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여 이동 통신사들이 과금을 대행할 필요가 없도록 하고, 컨텐츠 제공 업체들이 보다 쉽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사용자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2는 TCP/IP의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사용자 단말기와 응용 프로그램 서버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TCP/IP의 프로토콜별 세션에 따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을 위한 서비스 정보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각각 결합된 프록시 게이트웨이로 구성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간 연동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미리 저장된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을 검색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에 상기 서비스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해 제1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에 상기 서비스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리 저장된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나 통신망 접속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방법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은 상기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 중 일부에 해당될 수 있고,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와 결합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과 상기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은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내에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다만,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만을 저장하더라도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 중의 일부인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이 함께 저장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방법에서,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은 상기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각각 결합된 프록시 게이트웨이의 주소 및 상기 각각 결합된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방법에서 추출된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에 상응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나 상기 통신망 접속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을 검색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에 상기 서비스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해 제2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방법에서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된 서비스의 종류, 이용 시간, 과금 방식 중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생성될 수 있음)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상기 과금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를 결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결합된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로 구성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간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른 부하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된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예를 들어,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되는 경로에 과중한 부하가 걸려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미리 저장된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 목록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대한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나 통신망 접속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간의 부하 조절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간의 부하 조절 방법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간의 부하 조절 방법에서 상기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나 상기 통신망 접속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간의 부하 조절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결합된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대하여 각각의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와 접속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프록시 정보 목록을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결합된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결합되는 경로에 걸리는 부하량이 변경되어 상기 접속 가능 유무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여 상기 프록시 정보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간의 부하 조절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결합된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대하여 각각의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와 접속 가능 유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결합된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결합되는 경로에 걸리는 부하량이 변경되어 상기 접속 가능 유무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그레이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의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사용자 단말기와 응용 프로그램 서버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 과정을 TCP/IP의 프로토콜별 세션에 따라 나타낸 도면이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되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플랫폼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에 대한 내용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TCP/IP 프로토콜은 RLP(210; Radio Link Protocol), PPP(220; Point-to-Point Protocol), IP(230; Internet Protocol), TCP 및 UDP(240;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및 User Datagram Protocol)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TCP 및 UDP가 최상위 프로토콜인 프로토콜 스택 구조를 가진다.
RLP(210)는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무선 구간에서 전송된 데이터 중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에 대해 재전송을 요구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신뢰성을 갖는 무선 채널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고, PPP(220)는 IP 패킷의 전송뿐 아니라 다수의 프로토콜을 하나의 링크를 통하여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또한 IP(230)는 호스트의 주소 지정(Addressing)과 패킷의 분리(Fragmentation)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이고, TCP 및 UDP(240)에서 TCP는 데이터의 분실, 중복, 에러 등을 해결해 주고 데이터의 순서를 바로 잡아 주는 프로토콜이며, UDP는 이러한 과정 없이 일정 방향으로 데이터의 전송만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10)는 TCP/IP에 따라 패킷 제어 장치(320; Packet Control Function), 데이터 교환 장치(330; Packet Data Service Node), 응용 프로그램 서버(340) 등의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패킷 제어 장치(320)는 네트워크에서 전송될 비트를 인코드하는 방법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데이터 교환 장치(330)는 이동 통신망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초고속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프록시 게이트웨이(130)는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응용 프로그램 서버(340)는 TCP/IP나 UDP를 이용해 구현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서버로서, 앞서 설명한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140) 중 어느 하나의 서버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RLP와 PPP를 이용해 각각 패킷 제어 장치(320) 및 데이터 교환 장치(3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이러한 하부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TCP/IP 및 UDP의 통신 규약을 이용해 프록시 게이트웨이(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10), 통신망 접속 장치(120),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 접속 장치(120)와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140)의 각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시스템 상에 구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통신망을 통하여 결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사용자 단말기(110), 통신망 접속 장치(120)의 기능은 이미 도 1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는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414), ... , 제N 프록시 게이트웨이(416)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프록시 게이트웨이는 앞서 설명한 도 1에 도시된 프록시 게이트웨이(13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각각 상응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된다.
그리고,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 목록과 각각의 프록시 게이트웨이별로 제공 가능한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이하, 서비스 정보 목록으로 칭함)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도 6b와 관련된 설명 부분 참조)와 연동될 수 있다. 혹은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140)에 포함된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각각 해당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에 포함되는 각각의 프록시 게이트웨이는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가 변경, 삭제, 추가되는 등의 동작이 일어나면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이 변경되고, 프록시 게이트웨이들이 각각 해당되는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변경된 내용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혹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사용을 요청한 서비스가 유료 서비스인 경우, 과금을 위해 각각의 프록시 게이트웨이에서 관리하는 서비스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텐츠 제공 서버(142), 제2 컨텐츠 제공 서버(144), ... , 제N 컨텐츠 제공 서버(146)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컨텐츠 제공 서버는 앞서 설명한 도 1의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140)에 포함된 서버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각각의 컨텐츠 제공 서버는 게임, 영화, 음악 등 인터넷 기반으로 제공되는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4와 같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에서 수행되는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들간의 연동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과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10),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사용자 단말기(110)와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간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은 통신망 접속 장치(120)(도 4와 관련된 설명 부분 참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 및 다수의 컨텐츠 제공서버(140)의 기능은 앞서 도 4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컨텐츠 제공 서버(142)는 '매직앤' 서버,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는 '매직앤' 서버의 자체 프록시 게이트웨이이고, 제2 컨텐츠 제공 서버(144)는 '다음' 서버,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414)는 '다음' 서버의 자체 프록시 게이트웨이이며,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의 주소는 '155.230.156.0',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414)의 주소는 '155.230.156.2'인 경우를 가정한다.
여기서, '매직앤' 서버는 벨소리 다운로드 서비스, 문자 메시지 전송, 음악 서비스, 게임 서비스, 영화 서비스 등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직앤' 사이트를 관리하는 서버를 예시한 것이고, '다음' 서버는 이메일 서비스, 음악 서비스, 게임 서비스, 영화 서비스 등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음' 사이트를 관리하는 서버를 예시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10)의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이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의 주소인 '155.230.156.0'으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은 사용자 단말기(110)가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고자 할 때 처음 접속할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를 지정하는 값이다.
이러한 가정 하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해 '다음' 사이트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단계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540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디폴트로 설정된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로 '다음' 사이트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단계 542에서,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는 '다음' 서버의 자체 프록시 게이트웨이인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414)의 주소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을 변경하라는 의미의 명령어와 변경될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44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수신된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에 상응하여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을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에서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414)로 변경하고,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414)로 접속한다.
단계 546에서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414)는 제2 컨텐츠 제공 서버(144)에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다음'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을 위한 서비스 정보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서비스 정보 목록 데이터베이스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명칭(601),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603), 사이트 명칭(605), 서비스 명칭(607), 서비스 코드(60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록시 게이트웨이 명칭(601)은 프록시 연동 시스템(410) 중 어느 하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의 명칭이고,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604)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명칭(601)에 해당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의 주소이다.
사이트 명칭(605)은 해당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와 결합되어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명칭이고, 서비스 명칭(607)은 당해 인터넷 사이트에서제공하는 여러 서비스를 상위 항목별로 분류한 명칭, 서비스 코드(609)는 분류된 서비스 명칭(607)의 하위 항목이 되는 서비스의 종류이다.
이하, 프록시 게이트웨이 명칭(601),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603)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로, 사이트 명칭(605), 서비스 명칭(607), 서비스 코드(609)는 서비스 정보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프록시 설정값이고, 서비스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요청하는 서비스에 대한 목록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6b를 참조하여, 도 5에서 설명한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과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b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10),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 제N 프록시 게이트웨이(416)의 각각의 기능은 앞서 도 5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를 참조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과정을 설명함에 있어,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해 '매직앤'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벨소리 다운로드 서비스를 사용한 후, '한게임'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컨텐츠 제공 서버(142)는 '매직앤' 서버,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는'매직앤' 서버의 자체 프록시 게이트웨이, 제N 컨텐츠 제공 서버(146)는 '한게임' 서버, 제N 프록시 게이트웨이(414)는 '한게임' 서버의 자체 프록시 게이트웨이이고,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의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는 '155.230.156.0', 제N 프록시 게이트웨이(416)의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는 '155.230.156.N'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매직앤' 사이트의 벨소리 다운로드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 데이터가 'MAGICNMUSIC011', '한게임' 사이트의 게임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 데이터가 'HANGAMGAME008'로 가정하며, 사용자 단말기(110)의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이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 주소인 '155.230.156.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우선, 단계 610에서 사용자 단말기(110)가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에 따라 '매직앤' 서버의 자체 프록시 게이트웨이인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에 서비스 정보 데이터 'MAGICNMUSIC011'을 전송하여 벨소리 다운로드 서비스를 요청한다. 여기서 서비스 정보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간의 통신을 위해 미리 지정되어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
만일,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가 아닌 다른 프록시 게이트웨이라 하더라도, 일단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에 의해 설정된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차후 과정에 의해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을 변경한 후에 실제로 서비스 제공 가능한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접속할 수 있다.
단계 615에서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142)는 서비스 정보 목록을 검색하여 서비스 제공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단계 620으로 진행한다.
즉,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142)는 서비스 정보 목록에서 'MAGICNMUSIC011'인 서비스 정보 데이터 유무를 검색하여 벨소리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 후, '매직앤'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벨소리 다운로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서비스 정보 목록을 검색하는 경우,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142)로 서비스 요청이 전송되면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 목록을 먼저 검색하여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142)를 찾아내고,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142)의 서비스 정보 목록을 검색하여 서비스 제공 유무를 확인한다. 그 후,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142)에서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경우, 서비스 정보 목록을 검색하여 해당되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6b에서는 한 가지 서비스를 요청하고 나서 이에 대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까지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벨소리 다운로드 서비스가 제공되고 난 후, '한게임' 사이트의 게임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는 다시 단계 610으로 볼 수 있다.
다시, 단계 610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로 서비스 정보 데이터 'HANGAMGAME008'을 전송하여 '한게임' 사이트의 게임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는 현재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이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로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으로 지정된 프록시 게이트웨이로 전송되기 때문이다.
단계 615에서,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는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의 서비스 정보 목록에서 'HANGAMGAME008'의 유무를 검색하여 요청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음을 확인한다. 이는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가 '매직앤' 서버의 자체 프록시 게이트웨이라고 가정하였으므로, '한게임'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단계 620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프록시 게이트웨이를 알아내기 위하여 서비스 정보 목록에서 서비스 정보 'HANGAMGAME008'을 검색한 후, 상응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의 주소를 추출한다. 가정에 따라, 제N 프록시 게이트웨이(416)와 해당되는 주소인 '155.230.156.N'이 추출된다.
단계 625에서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는 제N 프록시 게이트웨이(416) 주소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는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타입 데이터로 설정하여 송수신 할 수 있다.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 타입 데이터는 서버가 클라이언트 브라우저로 어떤 자원(어떤 형태의 파일이나 문서 등)을 보내기 전에 미리 송신하는 자원의 컨텐츠 타입에 대한 정보이고, MIME 타입 데이터를 살펴봄으로써 자원을 수신하는 측의 브라우저는 수신될 데이터가 어떤 종류의 데이터인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625에서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Content-Type: application/Proxy_info\r'과 같은 형태의 MIME 타입 데이터를 정의하여 사용자단말기(110)로 전송하면, 단계 630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수신된 MIME 타입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지정된 방법으로 상응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로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10)와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간에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 양측이 수신될 데이터가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임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일정 규격의 데이터를 미리 보내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단계 630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수신된 프록시 정보에 상응하여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의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 '155.230.156.0'으로 설정되어 있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을 제N 프록시 게이트웨이(416)의 주소인 '155.230.156.N'으로 변경한다.
단계 635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변경된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에 따라 제N 프록시 게이트웨이(416)로 서비스 정보 데이터 'HANGAMGAME008'을 전송하여 '한게임' 사이트의 게임 서비스를 요청한다.
단계 640에서 제N 프록시 게이트웨이(416)는 서비스 정보 목록을 검색하여 수신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서비스 정보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제N 컨텐츠 제공 서버(146)로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한다.
단계 645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해 게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기(110)와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간에 송수신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와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을 상응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로 변경하라는 의미의 명령어는 반드시 위에서 예시한 형태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미리 지정된 방식으로 코드화되거나 암호화된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로 대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유료 서비스(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 전송, 벨소리 다운로드, 쇼핑, 게임 등)를 제공받은 경우, '한게임' 사이트의 자체 프록시 게이트웨이인 제N 프록시 게이트웨이(416)는 제공된 서비스 이용 요금에 대한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벨소리 다운로드 서비스를 다운로드받은 경우 다운로드받은 건수에 대해 건당 과금 방식을 적용하거나, 사용자가 게임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접속한 순간부터 당해 게임 서비스를 종료한 순간까지의 시간당 과금 방식을 적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과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N 프록시 게이트웨이(416)는 생성된 상기 과금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결제 시스템이 이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 요금을 결제하는 방법은 신용카드, ARS 결제 방법, 이동 통신 서비스 이용 요금에 통합 과금하는 방법, 무통장 입금 방법, 선불 카드를 이용한 구매방법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 결제 시스템은 각각에 해당되는 방법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과금 및 결제 과정이 수행되는 경우, 이러한 과정이 신용카드의 비밀번호 확인이나 결제 계좌 문의, 결제 확인 메시지 등 사용자 인증 과정과 결제 승인 과정을 포함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위의 과정에서는 단계 630에서 사용자 단말기(110)가 수신된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에 상응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로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을 변경하여 해당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로 접속하는 방식이 설명되어 있으나,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10)까지 전달될 필요 없이 사용자 단말기(110)와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간의 중간 장치인 통신망 접속 장치(120)까지만 전달되는 방식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의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을 변경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110)와 프록시 연동 시스템(410)간의 중간 장치인 통신망 접속 장치(120)의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만이 변경된다.
통신망 접속 장치(120)는 변경된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에 따라 해당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사용자 단말기(110)로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과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10),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 컨텐츠 제공 서버(7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장치들의 기능은 앞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710)는 도 5에 도시된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140)에 포함되는 제1 컨텐츠 제공 서버(142), 제2 컨텐츠 제공 서버(144), ... , 제N 컨텐츠 제공 서버(146)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는 다수의 서비스에 대해 구성되었던 도 5에서와 달리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710)와 관련하여 구성된다. 즉,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410)에 포함되어 있는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414), 제N 프록시 게이트웨이(416) 등은 동일한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710)에 결합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140)에 대한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만이 아니라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710)와 결합된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하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 군) 중에서 특정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대해 사용자 접속이 많을 경우, 다른 프록시 게이트웨이로 접속하게 함으로써 부하 조절(Load Balancing)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도 7에 도시된 하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 군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당해 프록시 게이트웨이 군 이외의 다른 모든 프록시 게이트웨이 군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각 프록시 게이트웨이의 접속 주소 정보, 서비스 정보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 목록)를 보유하지 않더라도, 당해 프록시 게이트웨이 군에 공통적으로 연동되는 하나의 서비스 정보 목록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프록시 게이트웨이 군들에 관한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프록시 게이트웨이는 부하 조절(Load Balancing)을 위하여 당해 프록시 게이트웨이 군에 포함된 모든 프록시 게이트웨이들(또는 자신을 제외한 프록시 게이트웨이들)의 접속 주소 정보와 각각의 프록시 게이트웨이의 접속 가능 유무를 포함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 목록을 보유할 수 있고, 사용자 접속이 많아 서비스 제공이 어려운 경우,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 목록을 검색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를 추출할 수도 있다.
단계별로 살펴보면, 단계 730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디폴트 프록시 게이트웨이로 설정된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로 서비스를 요청한다.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412)로 사용자 접속이 몰려 상응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없는 경우, 프록시 정보 목록을 검색하여 현재 서비스가 가능한 프록시 게이트웨이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대한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예를 들어,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732로 진행하여 추출된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단계 734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수신된 응답을 확인해 상응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주소로 프록시 게이트웨이 설정값을 변경하여 해당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로 접속하게 된다. 도 7에서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414)인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하였다.
단계 736에서 사용자 단말기(110)와 접속된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414)는 컨텐츠 제공 서버(710)로 접속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방법은 컨텐츠 제공 업체가 자체 프록시 게이트웨이를 두어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포탈 서비스 업체나 컨텐츠 제공 업체들이 보다 쉽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다수의 사용자 확보가 가능하다.

Claims (9)

  1.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각각 결합된 프록시 게이트웨이로 구성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간 연동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와 상응하는 임의의 서비스는 인터넷 기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이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서비스 정보를 포함함-;
    미리 저장된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을 검색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에 상기 서비스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해 제1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에 상기 서비스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미리 저장된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나 통신망 접속 장치로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은 상기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 중 일부에 해당되고,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와 결합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과 상기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은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내에 저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은 상기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와 각각 결합된 프록시 게이트웨이의 주소 및 상기 각각 결합된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추출된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에 상응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나 상기 통신망 접속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을 검색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에 상기 서비스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해 제2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과금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된 서비스의 종류, 이용 시간, 과금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생성되는 정보임-;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상기 과금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 요청 메시지를 결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 방법.
  5.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결합된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로 구성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간에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청에 따른 부하를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와 결합된 제1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와 상응하는 임의의 서비스는 인터넷 기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이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서비스 정보를 포함함-;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되는 경로에 과중한 부하가 걸려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미리 저장된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 목록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 목록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대한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나 통신망 접속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간의 부하 조절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나 상기 통신망 접속 장치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간의 부하 조절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결합된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대하여 각각의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대한 접속 주소 정보와 접속 가능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프록시 정보 목록을 유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결합된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가 결합되는 경로에 걸리는 부하량이 변경되어 상기 접속 가능 유무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상응하여 상기 프록시 정보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록시 정보 목록은 상기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와 결합된 하나의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거나, 각각의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에 공통적으로 저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간의 부하 조절 방법.
  8.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요청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와 상응하는 임의의 서비스는 인터넷 기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이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서비스 정보를 포함함-;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을 저장하는 수단;
    상기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 중에서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상응하는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을 검색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수단;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에 상기 서비스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기 위해 제1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접속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
    상기 내부 서비스 정보 목록에 상기 서비스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을 검색하는 수단;
    상기 전체 서비스 정보 목록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나 통신망 접속 장치로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
  9. 컨텐츠 제공 서버에서 제공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요청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수단-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와 상응하는 임의의 서비스는 인터넷 기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이고,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서비스 정보를 포함함-;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 목록을 저장하는 수단-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 목록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결합된 다수의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대하여 각각의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와 접속 가능 유무를 포함함-;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결합되는 경로에 과중한 부하가 걸려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 목록을 검색하는 수단;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 목록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에 상응하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프록시 게이트웨이에 대한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추출하는 수단;
    상기 프록시 게이트웨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나 통신망 접속 장치로 전송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프록시 게이트웨이.
KR10-2002-0066999A 2002-10-31 2002-10-31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방법 KR100483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999A KR100483741B1 (ko) 2002-10-31 2002-10-31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999A KR100483741B1 (ko) 2002-10-31 2002-10-31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123A true KR20040038123A (ko) 2004-05-08
KR100483741B1 KR100483741B1 (ko) 2005-04-19

Family

ID=3733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999A KR100483741B1 (ko) 2002-10-31 2002-10-31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7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04630B (zh) * 2008-11-25 2011-12-1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互联网业务接入网关的实现方法和系统
KR102449118B1 (ko) * 2022-04-27 2022-09-30 프라이빗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프록시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파일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460696B1 (ko) * 2022-05-13 2022-10-31 프라이빗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컨트롤러 기반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731A (ko) 2018-12-21 2019-10-02 주식회사 린피니티 반사 타입 면 발광 조명
KR20220111594A (ko)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린피니티 집광 장치를 활용한 무도광판 면 발광 장치
KR20220111596A (ko)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린피니티 형압 성형으로 성형된 종이 반사시트를 갖는 무도광판 면 발광 조명
KR20220111595A (ko) 2021-02-02 2022-08-09 주식회사 린피니티 굴절 반사 구조를 활용한 무도광판 면 발광 장치
KR20230023497A (ko) 2021-08-10 2023-02-17 주식회사 린피니티 집광 장치를 활용한 무도광판 면 발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8157A (en) * 1997-03-18 1999-06-29 Globalstar L.P.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distributed user assignment and resource assignment with terrestrial gateways
JP2001086167A (ja) * 1999-09-13 2001-03-30 Kenwood Corp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KR100364186B1 (ko) * 2000-09-08 2002-12-12 주식회사데이콤 Wap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 다중 프록시 서버 시스템연결방법
US7325030B2 (en) * 2001-01-25 2008-01-29 Yahoo, Inc. High performance client-server communication system
JP3948278B2 (ja) * 2001-12-27 2007-07-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外部ネットワーク接続のための設定情報割当方法
KR100878079B1 (ko) * 2001-12-27 2009-0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인터넷용 게이트웨이 통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04630B (zh) * 2008-11-25 2011-12-1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互联网业务接入网关的实现方法和系统
KR102449118B1 (ko) * 2022-04-27 2022-09-30 프라이빗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프록시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파일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WO2023211120A1 (ko) * 2022-04-27 2023-11-02 프라이빗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프록시에 기반하여 애플리케이션의 파일 송신 및 수신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460696B1 (ko) * 2022-05-13 2022-10-31 프라이빗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컨트롤러 기반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3741B1 (ko) 200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79081B (zh) 用于下载服务的热点处的高速缓存服务器
CN100438516C (zh) 网络连接系统、网络连接方法、及所使用的交换机
CA2308467C (en) Push-typ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fer device thereof
EP1026853B1 (en) Charging method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US20050153683A1 (en) Plug and play mobile services
CN1599910A (zh) 用于向移动设备提供订购内容服务的系统和方法
US82555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IP multimedia subsystem services
CN103188260A (zh) 在网关使用基于ip的网络实现ccn的方法及网关
US8797943B2 (en) Providing private access point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232340B2 (en) Application store system and application development method using the application store system
KR20040040709A (ko) Aaa 프로토콜 기반의 배치처리 과금방법
KR100420668B1 (ko) 무선 인터넷 사용에 대한 차등 과금 적용 방법 및 시스템
KR100483741B1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다중 프록시 게이트웨이 연동방법
WO2006090233A1 (en) Provision of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596592B2 (en) Method and a system of remotely controlling data transfer via a data transfer network
CN100372254C (zh) 无线互动式通信系统
KR100694871B1 (ko) 무선 개방망에서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게이트웨이 시스템및 그 서비스 방법
Ralph et al.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overview
US200800865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portal services
CN102571899A (zh) Java业务的应用处理方法与系统
EP12697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plurality of mobile nodes in a network
JP200533321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ゲートウェイサーバ装置
NZ502690A (en) Push-typ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fer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