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504A - 포터블 컴퓨터 닥킹 스테이션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구조 - Google Patents

포터블 컴퓨터 닥킹 스테이션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504A
KR20040037504A KR1020020066017A KR20020066017A KR20040037504A KR 20040037504 A KR20040037504 A KR 20040037504A KR 1020020066017 A KR1020020066017 A KR 1020020066017A KR 20020066017 A KR20020066017 A KR 20020066017A KR 20040037504 A KR20040037504 A KR 20040037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computer
connector
drive
cradle
driv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6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7504A/ko
Publication of KR20040037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50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9Arrangements for locking plugged peripheral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 중 크래들부에 장착된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고정 돌기부 내면 소정위치에 상기 커넥터 PCB가 안착될 수 있게 소정높이로 돌출 형성된 커넥터 안착돌기와, 상기 커넥터 안착돌기 상단에 소정높이로 돌출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가 플렉시블하게 유동하면서 상기 드라이브 소켓과 결합되도록 하는 커넥터 PCB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크래들부의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에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거치시,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의 고정 돌기부 내에 삽착된 드라이브 커넥터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저면의 드라이브 소켓에 플렉시블하게 결합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터블 컴퓨터 닥킹 스테이션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Structure for flexible of drive connector of docking station using portable computer}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이하, 휴대용 컴퓨터이라 함)를 거치시켜 책상이나 탁자 등에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닥킹 스테이션의 구성요소 중 크래들부의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에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거치시,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의 고정 돌기부 내에 삽착된 드라이브 커넥터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저면의 드라이브 소켓에 플렉시블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터를 책상이나 탁자 등에 올려놓고 편리하게 데이터 등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를 거치할 수 있는 닥킹 스테이션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 닥킹 스테이션의 경우,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연결 커넥터가 나사에 의해 완전히 고정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연결 커넥터가 접촉되는 부위에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닥킹 스테이션의 연결 커넥터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연결 커넥터와의 결합 위치가 동일선상에 있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컴퓨터를 상기 닥킹 스테이션에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닥킹 스테이션에 완전 고정된 연결 커넥터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연결 커넥터에 의해 파손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닥킹 스테이션의 연결 커넥터의 파손에 따른 닥킹 스테이션 전체를 수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상기 닥킹 스테이션의 수리비에 대한 소비자의 부담이 매우 커지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 연결되는 상기 닥킹 스테이션의 연결 커넥터 구조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 상기 닥킹 스테이션간의 결합위치가 동일선상을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가 상기 닥킹 스테이션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유동적인 플렉시블 구조로 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휴대용 컴퓨터의 연결 커넥터가 결합될 수 있게 닥킹 스테이션의 소정위치에 나사로 완전히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발생된 것이다.
이리하여, 근래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가 결합되는 닥킹 스테이션의 연결 커넥터 구조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컴퓨터와 상기 닥킹 스테이션간의 결합위치가 동일선상을 벗어난 상태에서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닥킹 스테이션의 연결 커넥터가 파손되지 않도록 유동적인 구조의 연결 커넥터 개발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를 거치시켜 책상이나 탁자 등에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닥킹 스테이션의 구성요소 중 크래들부의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에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거치시,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의 고정 돌기부 내에 삽착된 드라이브 커넥터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저면의 드라이브 소켓에 플렉시블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 돌기부 내면 소정위치에 상기 커넥터 PCB가 안착될 수 있게 소정높이로 돌출 형성된 커넥터 안착돌기와, 상기 커넥터 안착돌기 상단에 소정높이로 돌출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가 플렉시블하게 유동하면서 상기 드라이브 소켓과 결합되도록 하는 커넥터 PCB로 구성된 본 발명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가 적용된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 사시도 및 상세도.
도 2 는 본 발명의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드라이브 소켓과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의 드라이브 커넥터와의 결합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닥킹 스테이션에 거치되는 복합형 컴퓨터인 휴대용 컴퓨터의 분해 사시도 및 휴대용 컴퓨터의 작동 상태도.
도 4 는 크래들부에 휴대용 컴퓨터가 거치된 상태의 닥킹 스테이션의 사시도.
도 5 는 아암부 회전을 통해 스위치 접촉홈과 슬라이딩 스위치가 스위칭되어 스타일러스 팬의 쓰기 기능이 인식되도록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화면으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아암부의 작용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크래들부의 분해 사시도.
도 7 은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8 은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거치대 리어커버의 평면 사시도.
도 9 는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회전 가이드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0 은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a 는 크래들부를 회전시키기 전(前) 상태.
도 10b 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가 회전되는 상태.
도 10c 는 크래들부가 소정각도로 회전된 상태.
도 11 은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의 소정각도 회전에 따라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모드가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1a 는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모드가 전환되기 전(前)인 포트레이트 모드 상태.
도 11b 는 크래들부의 소정각도 회전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화면모드가 포트 레이트에서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된 상태.
도 12 는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3 은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가 크래들부에서 분리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3a 는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의 작동 전(前) 상태.
도 13b 는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를 체결하고 있는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상태.
도 13c 는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휴대용 컴퓨터가 탈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웹 패드200. 스타일러스 팬
300. 키보드부400. 닥킹 스테이션
410. 크래들부420.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
421. 거치 플레이트425. 거치 홀더부
429. 고정 돌기부434. 드라이브 커넥터
436. 각도 제한 돌기부437. 오리엔테이션 스위치
440. 거치대 리어커버441. 커버부재
450. 회전 가이드 부재460.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
500. 스텐드부570. 확장기기
600. 아암부700. 휴대용 컴퓨터
도 1 은 본 발명의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가 적용된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 사시도 및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의 드라이브 소켓과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의 드라이브 커넥터와의 결합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는, 드라이브 커넥터(434)가 고정된 커넥터 PCB(435)를 통해 크래들부(410)의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 형성된 고정 돌기부(429)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 휴대용 컴퓨터(700)를 거치시,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 저면의 드라이브 소켓(140)에 플렉시블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드라이브 커넥터의 플렉시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의 단부가 상기 고정 돌기부(429) 내면에 면착되면서 상기 커넥터 PCB(435)가 소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돌기부(429) 내면에 소정높이로 돌출 형성된 커넥터 안착돌기(432)와;
상기 커넥터 안착돌기(432) 상단에 소정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커넥터 PCB(435)를 고정시킬 수 있게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433)와;
상기 암나사부(433)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와 상기 드라이브 소켓(140)과의 결합시,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가 플렉시블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PCB 외주변에 다수의 관통홀(435a)이 형성된 커넥터 PCB(435)로 구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100) 은 휴대용 컴퓨터(700) 중 웹 패드(100)를 나타낸 것이고, (180)은 웹 패드(100)에 내장된 메인보드(180)를 나타낸 것이며, (300)은 상기 웹 패드(100)와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를 이루는 키보드부(300)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S)는 휴대용 컴퓨터(700)의 드라이브 소켓(140)과 결합시, 드라이브 커넥터(434)가 플렉시블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 PCB(435)에서부터 암나사부(433)에 체결된 나사 머리부 저면까지의 여유공간(S)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는, 크래들부(410)의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 휴대용 컴퓨터(700)가 거치될 때,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의 고정 돌기부(429) 내에 삽착된 드라이브 커넥터(434)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 저면의 드라이브 소켓(140)에 플렉시블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우선 닥킹 스테이션(400)의 구성요소 중 상기 크래들부(410)에 거치되는 휴대용 컴퓨터(700)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닥킹 스테이션에 거치되는 복합형 컴퓨터인 휴대용 컴퓨터의 분해 사시도 및 휴대용 컴퓨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패널 및 메인 시스템을 갖는 웹 패드(100)와; 후단 중심부에 결합되는 회전부재(330)를 갖고 상기 회전부재(330)에 의해 상기 웹 패드(100)와의 중첩 및 상기 중첩된 웹패드(100)를 지점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며 키 패드(320)를 갖는 키보드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컴퓨터(700)의 경우, 상기 키보드부(300)가 결합 중첩된 상태에서는 스타일러스 팬(200)을 입력장치로 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에 데이터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이 웹 패드(100)에 중첩 결합된 키보드부(300)를 지점으로 상기 웹 패드(10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웹 패드(100)의 입력장치가 스타일러스 팬(200)에서 키보드부(300)로 전환되면서 종래 노트북과 같이 책상이나 탁자 등에 올려놓고 많은 양의 데이터 등을 입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의 경우, 상기 웹 패드(100)와 상기 키보드부(300)가 중첩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웹 패드 형태와 같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를 손쉽게 가지고 다시면서 스타일러스 팬(200)이나 키보드부(300)를 통해 데이터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컴퓨터(700)를 데스크 탑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크래들부(410), 스텐드부(500), 아암부(600)로 이루어진 닥킹 스테이션(400)에 거치시키는데, 이에 대한 상기 닥킹 스테이션(400)의 구성요소 중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가 거치되는 크래들부(410)를 지지하는 스텐드부(500) 및 아암부(600)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도 4 는 크래들부에 휴대용 컴퓨터가 거치된 상태의 닥킹 스테이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는 아암부 회전을 통해 스위치 접촉홈과 슬라이딩 스위치가 스위칭되어 스타일러스 팬의 쓰기 기능이 인식되도록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화면으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아암부의 작용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스텐드부(500)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 중심 플레이트(미도시)를 통해 상기 크래들부(410)의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700)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베이스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스텐드부(500) 내에 CD-ROM이나 FDD 디스크 등 확장기기(570)를 내삽시켜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의 기능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아암부(600)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크래들부(410) 저면 및 상기 스텐드부(500) 상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가 거치된 크래들부(410)를 지지함과 동시에, 아암부(600)의 회전을 통해 상기 크래들부(410)가 스텐드부 상단에 밀착시, 상기 스텐드부(500)의 슬라이딩 스위치(535)가 상기 아암부(600) 하단의 스위치 접촉홈(630)에 의해 스위칭 되면서 상기 크래들부(41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700)의 화면이 상기 스타일러스 팬(200)으로 쓰기 입력이 가능하도록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화면으로 변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아암부(600)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스텐드부(500)에 지지되어 휴대용 컴퓨터(7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닥킹 스테이션(400)의 구성을 이루는 크래들부(410)의 경우,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를 거치하여 데스크 탑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내에는 상기 크래들부(41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70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460)가 장착되어 있어상기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460)의 다단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기 크래들부(41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이 적용된 크래들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 은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 은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거치대 리어커버의 평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9 는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회전 가이드 부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크래들부(410)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가 안치되는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의 배면에 고정되는 거치대 리어커버(440)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 및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의 소정위치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422)(442)에 삽착 고정되며,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 착설된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를 소정각도로 회전(원주방향)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 가이드 부재(450)와;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 내측에 고정되며, 분리 손잡이(461)에 작용된 외부 힘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단 캠 운동을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 착설된 휴대용 컴퓨터(700)를 탈리시켜 상호 분리되도록 하는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46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는, 도 8 및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가이드 상판(451)이 삽착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4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가 면착되는 사각판상의 거치 플레이트(421)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가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에 거치될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플레이트(421) 외주변에 다수 형성된 거치 홀더부(425)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 저면에 삽착되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가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돌기부(429)와;
상기 고정 돌기부(429) 내측에 삽착 고정되며, 디스크 드라이브(확장기기)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 저면의 드라이브 소켓(140)과 결합되는 드라이브 커넥터(434)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700)가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를 통해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 배면의 관통홀(422) 외주면에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각도 제한 돌기부(436)와;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 배면의 관통홀(422)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의 회전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의 화면모드를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시켜주는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로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에 형성된 관통홀(422)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에 의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링 형태의 가이드 레일(424)이 착설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 배면의 관통홀(422) 외주면 선단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를 통한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 내에 위치한 커넥터 PCB(435) 선들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홀(422)에 착설된 링 형태의 가이드 레일(424)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길이가 절개된 곡면 돌출부(42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거치 홀더부(425)의 일측 내/외부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의 거치시, 고무재질의 마찰력 및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크래들부(410)를 잡아당겨 바닥면에 밀착시킬 경우, 상기 크래들부(410)가 밀착된 바닥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탄성밴드(426)가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특히 하단 거치 홀더부(425)내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를 완전히 고정시킬 있도록 훅크 형태의 고정돌기(427)가 삽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단 거치 홀더부(425) 내에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의 키보드부(300)를 가이드 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키보드부(300)와 결합된 웹 패드(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웹 패드 안착돌기(428)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웹 패드 안착돌기(428)의 경우, 상기 키보드부(300)가 분리된 웹 패드(100)와상기 키보드부(300)가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700)간의 안착높이가 상호 수평을 이룰 수 있게 상기 고정 돌기부(429)와 동일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돌기부(429) 내측에는 과전류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를 접지시키는 접지부재(430)가 내삽되어 있고, 상기 고정 돌기부(429) 소정위치엔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460)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 거치된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를 분리시키는 상기 분리장치(460)의 체결부재(468) 및 탈리부재(472)가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43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 돌기부(429)의 경우, 그 내면에는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 삽착시,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 단부가 상기 고정 돌기부(429) 내면에 면착되면서 상기 커넥터 PCB(435)가 소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 단부와 동일한 높이의 커넥터 안착돌기(432)가 돌출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커넥터 안착돌기(432) 상단에 돌출된 암나사부(433)는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 삽착시, 상기 커넥터 PCB(435)의 두께보다 다소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더욱이 상기 암나사부(433)에 삽입되어 나사로 고정되는 커넥터 PCB(435)의 경우, 그 외주변에 상기 돌출된 암나사부(433)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관통홀(435a)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암나사부(433)에 나사 체결된 드라이브 커넥터(434)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 내의 드라이브 소켓(140)과의 체결시,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가 상기 커넥터 PCB(435) 보다 다소 높게 형성된암나사부(433)의 여유공간(S)만큼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하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 내의 드라이브 소켓(140)과 자연스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는, 도 6 및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의 관통홀(4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가이드 하판(452)이 삽착될 수 있도록 관통홀(4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 배면에 나사로 고정되는 커버부재(441)와;
상기 관통홀(442) 일측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를 통한 상기 크래들부(410)가 소정각도만큼 회전된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타격음을 발생시키는 타격부재(444)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커버부재(441)에 형성된 관통홀(442)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에 의해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가 원할히 회전될 수 있도록 링 형태의 가이드 레일(443)이 착설되어 있으며, 상기 타격부재(444)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가이드 하판(452)이 삽착되는 관통홀(442)의 외주면 선단 일측에 위치되도록 결착부재(448)에 의해 고정되게 되는데, 이러한 타격부재(444)의 경우,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에 의한 압입 또는 스프링(44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 원주면에 형성된 타격홈(456)을 타격할 수 있도록 결착부재(448) 일측 요입홈(449)엔 전방 돌기부(445)가 삽착 고정되고, 상기 결착부재(448) 타측요입홈(449a)엔 스프링(447)에 의해 상기 전방 돌기부(445)를 지지하는 지지대(445a)가 삽착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전방 돌기부(445) 외주면에는 상기 스프링(447)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원위치로 돌출 복원될 때 상기 전방 돌기부(445)가 상기 결착부재(448)의 일측 요입홈(449)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44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착부재(448)에 의해 고정된 타격부재(444)가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을 통해 압축/복원되면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 원주면에 형성된 타격홈(456)을 타격하므로서 발생된 타격음을 통해 상기 크래들부(410)가 소정각도만큼 회전된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는, 도 6 및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의 관통홀(422)에 삽착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의 회전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 가이드 상판(451)과;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의 관통홀(442)에 삽착되어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의 회전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 가이드 하판(452)과;
상기 회전 가이드 상판(451)과 상기 회전 가이드 하판(452) 사이로 돌출된 상기 커넥터 PCB(435) 선들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상호 맞닿은 원주면에 소정길이로 절개 형성된 절개홈(453)과;
상기 회전 가이드 상판(451) 및 하판(452)의 원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크래들부(410)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의 화면모드가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 배면에 고정된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를 스위칭하는 원주 돌기부(454)와;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 배면의 각도 제한 돌기부(436)에 걸려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700)가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원주 돌기부(454) 일측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 돌기부(455)와;
상기 크래들부(410)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 일측 상단에 장착된 타격부재(444)의 타격작용을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가 소정각도만큼 회전됨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 원주면에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타격홈(456)과;
상기 회전 가이드 하판(452) 중앙에 일정길이로 절개 형성된 아암 장착홈(459) 내부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가 거치된 크래들부(410)가 상기 아암부(60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아암부(600) 상단 타측과 나사로 고정되는 크래들 힌지부(457)와;
상기 아암 장착홈(459)을 통해 유출된 커넥터 PCB(435) 선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크래들부(410)의 회전력이 한쪽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크래들 힌지부(457)와 대향되는 상기 아암 장착홈(459) 일측에 고정되는 원통 힌지부(45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주 돌기부(454)는 상기 크래들부(410) 소정회전각도의 1/3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크래들부(410)의 회전시, 상기 크래들부(410)가 소정된각도 이전인 2/3 지점까지는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 배면에 고정된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가 오프(off)상태로 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의 화면모드가 원래 상태인 포트레이트 모드 그대로 유지되게 되고, 상기 크래들부(410)의 회전각도가 상기 원주 돌기부(454) 접촉지점인 2/3 이상부터는 상기 원주 돌기부(454)에 의해 상기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가 온(on) 되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의 화면모드가 포트레이트에서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미 설명 부호(458a)는 상기 원통 힌지부(458)을 고정시키는 원통 힌지부 고정부재(458a)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 가이드 부재(450)를 통해 상기 크래들부(410) 즉,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 및 거치대 리어커버(440)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는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은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a 는 크래들부를 회전시키기 전(前)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b 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c 는 크래들부가 소정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은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의 소정각도 회전에 따라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모드가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1a 는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모드가 전환되기 전(前)인 포트레이트 모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b 는 크래들부의 소정각도 회전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 화면모드가 포트 레이트에서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 포트레이트 모드로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700)을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도 10a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10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에 의해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의 관통홀(442) 외주면 선단 일측에 장착된 타격부재(444)의 전방 돌기부(445)가 압입되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가 회전하게 되고, 이후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가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에 형성된 일측 타격홈(456)에 도달하게 되면, 도 10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에 의해 압입되었던 타격부재(444)의 전방 돌기부(445)가 스프링(44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출 복원되면서 상기 타격홈(456)을 타격함에 따라 발생된 타격음을 통해 상기 크래들부(410)가 소정각도만큼 회전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어 더 이상 상기 크래들부(410)를 회전시키지 않게 된다.
이를 불문하고, 상기 크래들부(410)를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 배면의 관통홀(422) 외주면에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각도 제한 돌기부(436)에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걸림 돌기부(455)가 걸리게 되면서 상기 크래들부(410)의 회전이 더 이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더불어, 도 1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래들부(410)에 휴대용 컴퓨터(700)가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를 통한 상기크래들부(41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에 형성된 원주 돌기부(454)에 의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 배면의 관통홀(422) 외주면에 고정된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가 스위칭되면서 상기 스위칭된 신호가 드라이브 커넥터(434)를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로 전송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의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화면 즉, 포트레이트 모드로 형성된 화면이 도 1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형성된 화면을 포트레이트 모드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크래들부(410)를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 돌기부(454)에 의해 스위칭된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가 해제되면서 랜드 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도 12 는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460)는, 도 6 및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700)를 분리시키기 위해 외부 힘을 작용시키는 분리 손잡이(461)와;
상기 분리 손잡이(461)와 결합되어 상기 분리 손잡이(461)를 통한 외부 힘 작용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700)가 분리될 수 있도록 캠 작용이 실행되고, 하중 제거시 스프링(46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연동부재(462)와;
상기 연동부재(462) 작동에 의한 상기 연동부재(462) 측면 캠(463)과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를 체결하고 있는 체결부재(468)를 압압하여 체결력을 해제시키는 작용캠 부재(466)와;
상기 작용캠 부재(466) 하단의 결합돌기(475)에 삽착되며, 상기 연동부재(462)와의 캠 작용을 통해 하방으로 연동된 작용캠 부재(466)의 타측 돌기부(467)에 의해 압입되면서 체결력이 해제되거나, 또는 외부 힘 제거시 스프링(4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를 체결하도록 상단에 걸림돌기(469)가 형성된 체결부재(468)와;
상기 연동부재(462)의 돌출캠(465)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연동부재(462) 돌출캠(465)과의 캠 작용을 통해 상승하면서 상기 체결부재(468)의 체결력이 해제된 휴대용 컴퓨터(700)를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서 분리시키는 탈리부재(47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468)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부재(468)가 상기 작용캠 부재(466)의 하단 즉,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 내측에 형성된 결합돌기(475)에 삽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삽입홀(471)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삽입홀(471)의 경우, 상기 연동부재(462)와의 캠 작용을 통해 하방으로 연동되는 작용캠 부재(466)의 타측 돌기부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468)가 하방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소정길이의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리부재(472)는 전체형상이 요철형태 즉, 부재 상측에 사각기둥체 돌기부(473)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기둥체 돌기부(473) 양측에는 상기연동부재(462) 돌출캠(465)과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탈리부재(472)가 원할히 상승/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봉(474)이 삽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탈리부재(472)의 경우, 상기 연동부재(462)의 일측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동부재(46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연동부재(462)와 동일방향으로 이동되는 돌출캠(465)과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사각기둥체 돌기부(473)가 상승/하강 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캠(465)이 내삽된 상태로 상기 연동부재(462) 일측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460)의 캠 작용을 통한 휴대용 컴퓨터(700)의 분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3 는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가 크래들부에서 분리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3a 는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의 작동 전(前)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b 는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휴대용 컴퓨터를 체결하고 있는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c 는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휴대용 컴퓨터가 탈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 거치된 휴대용 컴퓨터(700)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도 13a 에 도시된 상태에서 분리 손잡이(461)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분리 손잡이(461)와 결합된 연동부재(462)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동부재(462)의 측면 캠(463)과 작용캠 부재(466)와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작용캠 부재(466)의 일측 즉, 상기 연동부재(462)의 측면 캠(463)과 캠 작용이 이루어지는작용캠 부재(466)의 일측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상기 작용캠 부재(466)의 타측 돌기부(467)는 상기 체결부재(468) 측으로 연동되면서 상기 체결부재(468)를 압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작용캠 부재(466)의 타측 돌기부(467)에 의해 압압된 체결부재(468)는 스프링(470)이 압축되면서 상기 연동부재(462)가 이동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하방으로 압입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체결부재(468)의 걸림돌기(469) 역시 하방으로 밀리게 되면서 도 1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를 체결하고 있는 상기 걸림돌기(469)의 체결력이 해제되게 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700)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서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부재(468)의 체결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연동부재(462)가 더욱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1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부재(462)의 일측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캠(465)과 탈리부재(472)와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사각기둥체 돌기부(473)가 양측의 가이드봉(474)을 타고 상승하면서 상기 체결부재(468)의 체결력이 해제된 휴대용 컴퓨터(700)를 밀어 올리므로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420)에서 휴대용 컴퓨터(700)를 분리시키게 된다.
이 후, 상기 분리 손잡이(461)에 작용하였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인장력이 작용하였던 상기 연동부재(462)의 스프링(464)과 상기 압축력이 작용하였던 체결부재(468)의 스프링(470)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동부재(462)와 상기 체결부재(468)가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460)의 캠 작용을 통한 휴대용 컴퓨터(700)의 분리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된 휴대용 컴퓨터(700)는 웹 패드(100) 및 PDA, 터블릿 PC 등으로 지칭되며, 특히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로 웹 패드(100) 및/또는 웹 패드(100)와 키포드(300)가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700)를 적용 기술하였으나, 이 때 본 발명에서의 실시예는 웹 패드(100)만을 국한하지 않고, 전술한 PDA나 또는 터블릿 PC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는,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 즉, 휴대용 컴퓨터를 거치시켜 책상이나 탁자 등에서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닥킹 스테이션의 구성요소 중 크래들부의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에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거치시,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의 고정 돌기부 내에 삽착된 드라이브 커넥터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저면의 드라이브 소켓에 플렉시블하게 결합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드라이브 커넥터가 고정된 커넥터 PCB를 통해 크래들부의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에 형성된 고정 돌기부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 거치대에 휴대용 컴퓨터의 거치시,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가 상기 휴대용 컴퓨터 저면의 드라이브 소켓에 플렉시블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드라이브 커넥터의 플렉시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는,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의 단부가 상기 고정 돌기부 내면에 면착되면서 상기 커넥터 PCB가 소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돌기부 내면에 소정높이로 돌출 형성된 커넥터 안착돌기와;
    상기 커넥터 안착돌기 상단에 소정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삽입된 상기 커넥터 PCB를 고정시킬 수 있게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와 상기 드라이브 소켓과의 결합시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가 플렉시블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PCB 외주변에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커넥터 PC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컴퓨터 닥킹 스테이션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안착돌기는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 단부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컴퓨터 닥킹 스테이션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는 상기 커넥터 PCB의 두께보다 다소 높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컴퓨터 닥킹 스테이션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부 내면에 고정된 드라이브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PCB 보다 다소 높게 돌출된 암나사부의 여유공간만큼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하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 저면의 드라이브 소켓과 플렉시블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컴퓨터 닥킹 스테이션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에 삽입될 수 있게 커넥터 PCB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관통홀은 상기 돌출된 암나사부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컴퓨터 닥킹 스테이션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 구조.
KR1020020066017A 2002-10-29 2002-10-29 포터블 컴퓨터 닥킹 스테이션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구조 KR20040037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017A KR20040037504A (ko) 2002-10-29 2002-10-29 포터블 컴퓨터 닥킹 스테이션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017A KR20040037504A (ko) 2002-10-29 2002-10-29 포터블 컴퓨터 닥킹 스테이션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504A true KR20040037504A (ko) 2004-05-07

Family

ID=37335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017A KR20040037504A (ko) 2002-10-29 2002-10-29 포터블 컴퓨터 닥킹 스테이션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75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0153A (ko)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
KR100488012B1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101850818B1 (ko) 모바일 기기
US10437291B2 (en) Engaging mechanism, transmission dock equipped with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788532B2 (en) Portable computer of multifunction type
US8199476B2 (en) Notebook computer
CN100381028C (zh) 显示装置
US20060256516A1 (en) Portable computer with detachable display
KR101539465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CN102544860A (zh) 转接盒
CN100410838C (zh) 显示装置
US6859356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monitor
KR100195868B1 (ko) 확장시스템과의 결합전 전원차단기능을 갖는 컴퓨터 및 컴퓨터시스템
KR100873261B1 (ko) 닥킹 스테이션의 휴대용 컴퓨터 고정구조
KR20040037504A (ko) 포터블 컴퓨터 닥킹 스테이션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구조
KR100858608B1 (ko) 닥킹 스테이션의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
KR100891863B1 (ko)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착탈장치
KR20040037506A (ko) 닥킹 스테이션의 크래들부 회전인식구조
KR100858607B1 (ko) 닥킹 스테이션의 힌지구조
KR20040034197A (ko) 휴대용 컴퓨터의 스타일러스 착탈장치
CN216352028U (zh) 一种扩展坞
KR20040033793A (ko) 닥킹 스테이션의 휨 방지용 스텐드 커버구조
CN111107288B (zh) 一种用于显示设备的ops模块自锁开关装置及平板电视
KR20040034199A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20040037940A (ko) 닥킹 스테이션을 이용한 휴대용 컴퓨터의 화면 모드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