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153A -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153A
KR20040020153A KR1020020051611A KR20020051611A KR20040020153A KR 20040020153 A KR20040020153 A KR 20040020153A KR 1020020051611 A KR1020020051611 A KR 1020020051611A KR 20020051611 A KR20020051611 A KR 20020051611A KR 20040020153 A KR20040020153 A KR 20040020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pad
cradle
arm
pad system
docking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989B1 (ko
Inventor
양명규
박종서
최동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1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989B1/ko
Priority to US10/375,118 priority patent/US7052296B2/en
Priority to EP03006227A priority patent/EP1394659A1/en
Priority to CNB031577571A priority patent/CN100501633C/zh
Publication of KR20040020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9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를 거치시킬 수 있는 닥킹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웹 패드 시스템이 거치되는 크래들부와,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이 거치된 크래들부를 지탱하는 스텐드부와,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이 거치된 크래들부를 지지하는 아암부로 구성되어 있어,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를 거치시켜 데스크 탑 형태의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책상이나 탁자 등에서 데이터 등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복합형 컴퓨터를 거치한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복합형 컴퓨터의 화면모드를 전환시키므로서, 사용자의 작업상태나 작업위치, 또는 특정장소에 관계없이 상기 복합형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 of computer complex-type possibility portable}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를 거치시켜 데스크 탑 형태의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책상이나 탁자 등에서 데이터 등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복합형 컴퓨터를 거치한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복합형 컴퓨터의 화면모드를 전환시키므로서, 사용자의 작업상태나 작업위치, 또는 특정장소에 관계없이 상기 복합형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닥킹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컴퓨터를 책상이나 탁자 등에 올려놓고 편리하게 데이터 등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를 거치할 수 있는 닥킹 스테이션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닥킹 스테이션은 각 제조회사에서 제조된 휴대용 컴퓨터의 형태 또는 특수한 사용목적, 구동상태에 맞게 별도의 닥킹 스테이션을 설계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각각의 제조회사에서 제조된 닥킹 스테이션 구조의 경우 서로 다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와 같이 각 제조회사에 의해 제조된 닥킹 스테이션 중 일예로, 일본 도시바에서 제조된 전자기기의 기능확장장치(특개평 5-189086호, 이하 닥킹 스테이션이라 함)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일본 도시바에서 제조된 닥킹 스테이션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이하, 휴대용 컴퓨터라 함)(1)가 장착된 장착부(22)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휴대용 컴퓨터(1)의 기능을 확장한 확장수단(17)을 갖는 본체(16)와, 상기 확장수단(17)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6)에 설치되고, 상기 장착부(22)에 장착된 컴퓨터 커넥터(12)가 착탈 가능하게 돌출 형성된 본체 커넥터(26)와, 상기 본체 커넥터(26)가 좌우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컴퓨터 커넥터(12)의 계탈 방향(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커넥터(26)가 고정되는 커넥터 홀더(28)와, 상기 커넥터 홀더(28)를 상기 컴퓨터 커넥터(12)의 계탈 방향에 따라서 대기 위치와 밀어 넣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본체(16)에 고정된 커넥터 홀더(28)를 상기 대기 위치로 향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에 의해 상기 커넥터 홀더(28)가 고정 지지되는 지지 브라켓(32)과, 상기 가압수단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 브라켓(32)과 대향되게 고정되며, 상기 가압수단을 통해 커넥터 홀더(28)가 고정된 상기 지지 브라켓(32)이 상기 계탈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브라켓(32)의 지지역할을 하는 지지 프레임(40)과, 상기 지지 브라켓(32)의 제 1 수직부(32b)에 다수 관통된 가이드 홀(38)에 삽착되어 나사에 의해 상기 지지 프레임(40)과 고정되는 가이드 슬리브(5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수단은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형태로 형성된 판 스프링(46)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본체(16) 장착부(22) 소정위치에는 과전류시 상기 본체 장착부(22)에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1)의 부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어스 유닛(70)이 다수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6) 내에는 상기 본체 장착부(22)에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1)를 분리시키기 위한 이젝트 기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젝터 기구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커넥터(26) 좌/우측 하단부에 설치된 압박 레버(58)에 연결되어 있어, 상기 이젝터 기구의 조작 손잡이(60)를 X 방향으로 작동시킬 경우, 상기 이젝터 기구의 기구적 연동에 의한 압박 레버(58)가 작동하면서 상기 본체 장착부(22)에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1)가 본체(16)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체(16)와 휴대용 컴퓨터(1)와의 결합과정 및 분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16)에 휴대용 컴퓨터(1)를 결합시키는 과정으로, 상기 본체(16)에 휴대용 컴퓨터(1)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휴대용 컴퓨터(1)를 상기 본체(16)의 재치면(18)에 안치시킨 다음, 상기 재치면(18)의 좌/우측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21a)(21b)을 통해 슬라이딩시키는데, 이 때 상기 컴퓨터 커넥터(12)는 본체 커넥터(26)와 정렬되게 되고, 상기 본체 커넥터(26)를 고정하고 있는 지지 브라켓(32)은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 위치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컴퓨터 커넥터(12)와 상기 본체 커넥터(26)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휴대용 컴퓨터(1)를 상기 본체(16)의 커넥터(26)부분까지 밀어 상기 컴퓨터 커넥터(12)와 상기 본체 커넥터(26)와의 결합을 통한 상기 닥킹 스테이션이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컴퓨터(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후, 상기 본체 커넥터(26)를 고정하고 있는 지지 브라켓(32)은 상기 지지 프레임(40) 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52)의 테이퍼 원통부 즉, 상기 테이퍼 원통부의 대경부가 상기 지지 브라켓(32)의 가이드 홀(38)에 결착됨에 따라 상기 지지 브라켓(32)이 상기 지지 프레임(40)에 근접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본체(16)에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1)를 분리시키는 과정으로, 상기 본체(16)에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1)를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16)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이젝터 기구의 조작 손잡이(60)를 X 방향으로 작동시킬 경우, 상기 이젝터 기구의 기구적 연동에 의한 압박 레버(58)가 작동하면서 상기 본체 장착부(22)에 장착된 휴대용 컴퓨터(1)가 본체(16)에서 분리되게 되고, 상기 결합과정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40)에 근접 고정된 지지 브라켓(32)의 경우, 상기 지지 브라켓(32)과 상기 지지 프레임(40) 사이에 장착 고정된 판스프링(4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 브라켓(32)의 원래 위치인 대기 위치 상태로 이동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본체(16)와 휴대용 컴퓨터(1)가 전술한 결합과정을 통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할 경우, 상기 가이드 슬리브(52)의 테이퍼 원통부와 상기 지지 브라켓(32)의 가이드 홀(38)간에 형성된 일정 간극에 의해 상기 컴퓨터 커넥터(12)와 결합된 본체 커넥터(26)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되면서 외력이 상쇄되어 상기 컴퓨터 커넥터(12) 및 본체 커넥터(26)의 손상이 방지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상기 휴대용 컴퓨터(1)와 닥킹 스테이션이 상호 인터페이스 되도록하는 본체 커넥터(26)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1)의 접지역할을 하는 어스 유닛(70) 등이 외부로 노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닥킹 스테이션의 본체 커넥터(26)와 어스 유닛(70)에 먼지 등 미세한 오염물질 등이 쌓일 경우, 상기 휴대용 컴퓨터(1)와 닥킹 스테이션간의 인터페이스가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닥킹 스테이션 내에 장착된 하드 디스크나, CD-ROM, 플로피 디스크 등의 확장장치(기기) 및 USB 포트로 연결된 모든 기기부품들을 상기 휴대용 컴퓨터(1)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등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닥킹 스테이션의 본체 커넥터(26)와 어스 유닛(70)에 물이나 음료수 등이 유입될 경우, 이를 깨끗이 제거한 후 상기 닥킹 스테이션에 휴대용 컴퓨터(1)를 연결하여 사용하더라도 잔량의 수분이 상기 본체 커넥터(26)나 어스 유닛(70)에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휴대용 컴퓨터(1)를 구동시킬 경우, 상기 휴대용 컴퓨터(1)와 상기 닥킹 스테이션과의 연결부위 즉, 상기 본체 커넥터(26) 또는 어스 유닛(70)부위에서 숏트가 발생하게 되면서 손상된 고가의 휴대용 컴퓨터(1)나 닥킹 스테이션 부품을 수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상기 휴대용 컴퓨터(1)나 닥킹 스테이션의 수리비에 대한 소비자의 부담이 매우 커지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전술한 닥킹 스테이션 구조의 경우, 단지 휴대용 컴퓨터(1)를 거치하고 상기 본체 커넥터(26)를 통해 휴대용 컴퓨터(1)가 상기 닥킹 스테이션의 확장장치(기기)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만 있을 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기구적 작동에 의한 휴대용 컴퓨터(1)의 화면모드 즉,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모드 형태로 전환되는 화면전환모드 및 별도의 입력장치(PDA 단말기의 입력장치인 스타일러스 팬)의 입력기능이 가능한 특정화면모드로 전환시켜주는 기능이 전무한 상태로서, 상기 닥킹 스테이션에 결합된 휴대용 컴퓨터(1)를 사용하는데 극히 제한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를 거치시켜 데스크 탑 형태의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책상이나 탁자 등에서 데이터 등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복합형 컴퓨터를 거치한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복합형 컴퓨터의 화면모드를 전환시키므로서, 사용자의 작업상태나 작업위치, 또는 특정장소에 관계없이 상기 복합형 컴퓨터(이하, 웹 패드 시스템이라 함)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웹 패드 시스템이 거치되는 크래들부와,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이 거치된 크래들부를 지탱하는 스텐드부와,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이 거치된 크래들부를 지지하는 아암부로 구성된 본 발명인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 휴대용 컴퓨터가 결합되는 닥킹 스테이션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 닥킹 스테이션의 구성요소 중 지지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종래 닥킹 스테이션의 구성요소 중 지지 브라켓의 위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종래 휴대용 컴퓨터가 닥킹 스테이션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인 닥킹 스테이션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인 닥킹 스테이션의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닥킹 스테이션에 거치되는 복합형 컴퓨터인 웹 패드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및 웹 패드 시스템의 작동 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크래들부의 분해 사시도.
도 9 는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웹 패드 거치대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10 은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거치대 리어커버의 평면 사시도.
도 11 은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회전 가이드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2 는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2a 는 크래들부를 회전시키기 전(前) 상태.
도 12b 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가 회전되는 상태.
도 12c 는 크래들부가 소정각도로 회전된 상태.
도 13 은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의 소정각도 회전에 따라 웹 패드 시스템의 화면모드가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3a 는 웹 패드 시스템의 화면모드가 전환되기 전(前)인 포트레이트 모드 상태.
도 13b 는 크래들부의 소정각도 회전에 따른 웹 패드 시스템 화면모드가 포트 레이트에서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된 상태.
도 14 는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5 는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에 의해 웹 패드 시스템이 크래들부에서 분리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5a 는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의 작동 전 상태.
도 15b 는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웹 패드 시스템을 체결하고 있는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상태.
도 15c 는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웹 패드 시스템이 탈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상태.
도 16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스텐드부의 분해 사시도.
도 17 은 스텐드부의 구성요소 중 스텐드 힌지부와 원통 힌지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
도 18 은 스텐드부의 구성요소 중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9 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에 의해 확장기기가 스텐드 내에서 분리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9a 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작동 전 상태.
도 19b 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확장기기를 체결하고 있는 확장기기 고정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상태.
도 19c 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체결력이 해제된 확장기기가 확장기기 탈리부재에 의해 분리된 상태.
도 20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아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1 은 스텐드부에 크래들부를 밀착시 아암부의 스위치 접촉홈에 의해 스텐드부의 슬라이딩 스위치가 스위칭되어 스타일러스 팬의 쓰기 기능이 인식되도록 웹 패드 시스템의 화면모드가 전환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1a 는 크래들부에 웹 패드 시스템이 거치된 상태.
도 21b 는 아암부 회전을 통해 스위치 접촉홈과 슬라이딩 스위치가 스위칭되어 스타일러스 팬의 쓰기 기능이 인식되도록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화면으로 전환된 상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웹 패드 140. 드라이브 소켓 200. 스타일러스 팬
300. 키보드부 400. 닥킹 스테이션
410. 크래들부 420. 웹 패드 거치대 421. 거치 플레이트
425. 거치 홀더부 429. 고정 돌기부 434. 드라이브 커넥터
436. 각도 제한 돌기부 437. 오리엔테이션 스위치
440. 거치대 리어커버 441. 커버부재 444. 타격부재
450. 회전 가이드 부재 451. 회전 가이드 상판
452. 회전 가이드 하판 453. 절개홈 454. 원주 돌기부
455. 걸림 돌기부 456. 타격홈 457. 크래들 힌지부
458. 원통 힌지부 460.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
461. 분리 손잡이 462. 연동부재 466. 작용캠 부재
468. 체결부재 472. 탈리부재
500. 스텐드부 510. 스텐드 케이스 520. 무게 중심 플레이트
525. 스텐드 힌지부 530. 원통 힌지부 535. 슬라이딩 스위치
540. 확장기기 분리장치 541. 분리레버 544. 연동부재
549. 확장기기 고정부재 551. 확장기기 탈리부재
560. 스텐드부 메인보드 570. 확장기기
600. 아암부 610. 전면 아암 플레이트
620. 후면 아암 플레이트 630. 스위치 접촉홈
700. 웹 패드 시스템
도 5 는 본 발명인 닥킹 스테이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 은 본 발명인 닥킹 스테이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인 닥킹 스테이션(400)은, 웹 패드 시스템(700)이 거치되는 크래들부(410)와;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를 통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이 거치된 크래들부(410)의 무게를 지탱하는 스텐드부(500)와;
상기 크래들부(410) 저면 및 상기 스텐드부(500) 상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이 거치된 크래들부(410)를 지지하는 아암부(600)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닥킹 스테이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닥킹 스테이션(400)은, 키보드(300)가 결합된 웹 패드(100)(이하, 웹 패드 시스템(700)이라 함.)를 거치시켜 데스크 탑 형태로 책상이나 탁자 등에서 작업을 할 때 사용되며, 특히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웹 패드 시스템(복합형 컴퓨터)(700)을 거치한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의 화면모드를 전환시키므로서, 사용자의 작업상태나 작업위치, 또는 특정장소에 관계없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우선 본 발명의 닥킹 스테이션(400)에 거치되는 웹 패드 시스템(700)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닥킹 스테이션에 거치되는 복합형 컴퓨터인 웹 패드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및 웹 패드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패널 및 메인 시스템을 갖는 웹 패드(100)와; 후단 중심부에 결합되는 회전부재(330)를 갖고 상기 회전부재(330)에 의해 상기 웹 패드(100)와의 중첩 및 상기 중첩된 웹 패드(100)를 지점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며 키 패드(320)를 갖는 키보드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웹 패드 시스템(700)의 경우, 상기 키보드부(300)가 결합 중첩된 상태에서는 스타일러스 팬(200)을 입력장치로 하여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에 데이터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이 웹 패드(100)에 중첩 결합된 키보드부(300)를 지점으로 상기 웹 패드(10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웹 패드(100)의 입력장치가 스타일러스 팬(200)에서 키보드부(300)로 전환되면서 종래 노트북과 같이 책상이나 탁자 등에 올려놓고 많은 양의 데이터 등을 입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의 경우, 상기 웹 패드(100)와 상기 키보드부(300)가 중첩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웹 패드 형태와 같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을 손쉽게 가지고 다시면서 스타일러스 팬(200)이나 키보드부(300)를 통해 데이터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웹 패드 시스템(700)을 데스크 탑 형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크래들부(410), 스텐드부(500), 아암부(600)로 이루어진 닥킹 스테이션(400)에 거치시키는데, 이에 대한 상기 닥킹 스테이션(400)의 세부구성을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크래들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 는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웹 패드 거치대의 평면 및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0 은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거치대 리어커버의 평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1 은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회전 가이드 부재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크래들부(410)는, 도 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이 안치되는 웹 패드 거치대(420)와;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의 배면에 고정되는 거치대 리어커버(440)와;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 및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의 소정위치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422)(442)에 삽착 고정되며,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착설된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을 소정각도로 회전(원주방향)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 가이드 부재(450)와;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 내측에 고정되며, 분리 손잡이(461)에 작용된 외부 힘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단 캠 운동을 통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착설된 웹 패드 시스템(700)을 탈리시켜 상호 분리되도록 하는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46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는, 도 8 및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가이드 상판(451)이 삽착될 수 있도록 중앙에관통홀(4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이 면착되는 사각판상의 거치 플레이트(421)와;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이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에 거치될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플레이트(421) 외주변에 다수 형성된 거치 홀더부(425)와;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 저면에 삽착되며,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이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돌기부(429)와;
상기 고정 돌기부(429) 내측에 삽착 고정되며, 디스크 드라이브(확장기기)와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 저면의 드라이브 소켓(140)과 결합되는 드라이브 커넥터(434)와;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거치된 웹 패드 시스템(700)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를 통해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 배면의 관통홀(422) 외주면에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각도 제한 돌기부(436)와;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 배면의 관통홀(422)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의 회전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의 화면모드를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시켜주는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에 형성된 관통홀(422)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에 의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가 원할히 회전될 수 있도록 링 형태의 가이드 레일(424)이 착설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 배면의 관통홀(422) 외주면 선단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를 통한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 내에 위치한 커넥터 PCB(435) 선들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홀(422)에 착설된 링 형태의 가이드 레일(424)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길이가 절개된 곡면 돌출부(42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거치 홀더부(425)의 일측 내/외부에는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의 거치시, 고무재질의 마찰력 및 탄성력에 의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크래들부(410)를 잡아당겨 바닥면에 밀착시킬 경우, 상기 크래들부(410)가 밀착된 바닥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탄성밴드(426)가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특히 하단 거치 홀더부(425)내에는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을 완전히 고정시킬 있도록 훅크 형태의 고정돌기(427)가 삽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단 거치 홀더부(425) 내에는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의 키보드부(300)를 가이드 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키보드부(300)와 결합된 웹 패드(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웹 패드 안착돌기(428)가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웹 패드 안착돌기(428)의 경우, 상기 키보드부(300)가 분리된 웹 패드(100)와 상기 키보드부(300)가 결합된 웹 패드 시스템(700)간의 안착높이가 상호 수평을 이룰 수 있게 상기 고정 돌기부(429)와 동일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돌기부(429) 내측에는 과전류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을 접지시키는 접지부재(430)가 내삽되어 있고, 상기 고정 돌기부(429) 소정위치엔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460)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거치된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을 분리시키는 상기 분리장치(460)의 체결부재(468) 및 탈리부재(472)가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43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고정 돌기부(429)의 경우, 그 내면에는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 삽착시,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 단부가 상기 고정 돌기부(429) 내면에 면착되면서 상기 커넥터 PCB(435)가 소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 단부와 동일한 높이의 커넥터 안착돌기(432)가 돌출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커넥터 안착돌기(432) 상단에 돌출된 암나사부(433)는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 삽착시, 상기 커넥터 PCB(435)의 두께보다 다소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더욱이 상기 암나사부(433)에 삽입되어 나사로 고정되는 커넥터 PCB(435)의 경우, 그 외주변에 상기 돌출된 암나사부(433)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관통홀(435a)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암나사부(433)에 나사 체결된 드라이브 커넥터(434)와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 내의 드라이브 소켓(140)과의 체결시, 상기 드라이브 커넥터(434)가 상기 커넥터 PCB(435) 보다 다소 높게 형성된 암나사부(433)의 여유공간만큼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하면서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 내의 드라이브 소켓(140)과 자연스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는, 도 8 및 도 1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의 관통홀(4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가이드 하판(452)이 삽착될 수 있도록 관통홀(4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 배면에 나사로 고정되는 커버부재(441)와;
상기 관통홀(442) 일측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를 통한 상기 크래들부(410)가 소정각도만큼 회전된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타격음을 발생시키는 타격부재(444)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커버부재(441)에 형성된 관통홀(442)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에 의해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가 원할히 회전될 수 있도록 링 형태의 가이드 레일(443)이 착설되어 있으며, 상기 타격부재(444)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가이드 하판(452)이 삽착되는 관통홀(442)의 외주면 선단 일측에 위치되도록 결착부재(448)에 의해 고정되게 되는데, 이러한 타격부재(444)의 경우,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에 의한 압입 또는 스프링(44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 원주면에 형성된 타격홈(456)을 타격할 수 있도록 결착부재(448) 일측 요입홈(449)엔 전방 돌기부(445)가 삽착 고정되고, 상기 결착부재(448) 타측 요입홈(449a)엔 스프링(447)에 의해 상기 전방 돌기부(445)를 지지하는 지지대(445a)가 삽착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전방 돌기부(445) 외주면에는 상기 스프링(447)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원위치로 돌출 복원될 때 상기전방 돌기부(445)가 상기 결착부재(448)의 일측 요입홈(449)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44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착부재(448)에 의해 고정된 타격부재(444)가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을 통해 압축/복원되면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 원주면에 형성된 타격홈(456)을 타격하므로서 발생된 타격음을 통해 상기 크래들부(410)가 소정각도만큼 회전된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는, 도 8 및 도 1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의 관통홀(422)에 삽착되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의 회전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 가이드 상판(451)과;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의 관통홀(442)에 삽착되어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의 회전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 가이드 하판(452)과;
상기 회전 가이드 상판(451)과 상기 회전 가이드 하판(452) 사이로 돌출된 상기 커넥터 PCB(435) 선들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상호 맞닿은 원주면에 소정길이로 절개 형성된 절개홈(453)과;
상기 회전 가이드 상판(451) 및 하판(452)의 원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크래들부(410)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의 화면모드가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 배면에 고정된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를 스위칭하는 원주 돌기부(454)와;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상기 거치 플레이트(421) 배면의 각도 제한돌기부(436)에 걸려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거치된 웹 패드 시스템(700)이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원주 돌기부(454) 일측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 돌기부(455)와;
상기 크래들부(410)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 일측 상단에 장착된 타격부재(444)의 타격작용을 통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이 소정각도만큼 회전됨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 원주면에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타격홈(456)과;
상기 회전 가이드 하판(452) 중앙에 일정길이로 절개 형성된 아암 장착홈(459) 내부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이 거치된 크래들부(410)가 상기 아암부(60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아암부(600) 상단 타측과 나사로 고정되는 크래들 힌지부(457)와;
상기 아암 장착홈(459)을 통해 유출된 커넥터 PCB(435) 선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크래들부(410)의 회전력이 한쪽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크래들 힌지부(457)와 대향되는 상기 아암 장착홈(459) 일측에 고정되는 원통 힌지부(45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주 돌기부(454)는 상기 크래들부(410) 소정회전각도의 1/3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크래들부(410)의 회전시, 상기 크래들부(410)가 소정된 각도 이전인 2/3 지점까지는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 배면에 고정된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가 오프(off)상태로 되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의 화면모드가 원래 상태인 포트레이트 모드 그대로 유지되게 되고, 상기 크래들부(410)의 회전각도가 상기 원주 돌기부(454) 접촉지점인 2/3 이상부터는 상기 원주 돌기부(454)에 의해 상기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가 온(on) 되면서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의 화면모드가 포트레이트에서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미 설명 부호(458a)는 상기 원통 힌지부(458)을 고정시키는 원통 힌지부 고정부재(458a)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회전 가이드 부재(450)를 통해 상기 크래들부(410) 즉, 웹 패드 거치대(420) 및 거치대 리어커버(440)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는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 는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2a 는 크래들부를 회전시키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2b 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c 는 크래들부가 소정각도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 은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크래들부의 소정각도 회전에 따라 웹 패드 시스템의 화면모드가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3a 는 웹 패드 시스템의 화면모드가 전환되기 전인 포트레이트 모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3b 는 크래들부의 소정각도 회전에 따른 웹 패드 시스템 화면모드가 포트 레이트에서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포트레이트 모드로 거치된 웹 패드 시스템(700)을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도 12a 상태에서 상기 웹 패드거치대(4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1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에 의해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의 관통홀(442) 외주면 선단 일측에 장착된 타격부재(444)의 전방 돌기부(445)가 압입되면서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가 회전하게 되고, 이후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가 소정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에 형성된 일측 타격홈(456)에 도달하게 되면, 도 12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에 의해 압입되었던 타격부재(444)의 전방 돌기부(445)가 스프링(447)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출 복원되면서 상기 타격홈(456)을 타격함에 따라 발생된 타격음을 통해 상기 크래들부(410)가 소정각도만큼 회전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어 더 이상 상기 크래들부(410)를 회전시키지 않게 된다.
이를 불문하고, 상기 크래들부(410)를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 배면의 관통홀(422) 외주면에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각도 제한 돌기부(436)에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걸림 돌기부(455)가 걸리게 되면서 상기 크래들부(410)의 회전이 더 이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더불어, 도 1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래들부(410)에 웹 패드 시스템(700)이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를 통한 상기 크래들부(41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면에 형성된 원주 돌기부(454)에 의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 배면의 관통홀(422) 외주면에 고정된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가 스위칭되면서 상기 스위칭된 신호가 드라이브 커넥터(434)를 통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으로 전송되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의 디스플레이에 형성된 화면 즉, 포트레이트 모드로 형성된 화면이 도 1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형성된 화면을 포트레이트 모드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상기 크래들부(410)를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원주 돌기부(454)에 의해 스위칭된 오리엔테이션 스위치(437)가 해제되면서 랜드 스케이프 모드에서 포트레이트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도 14 는 크래들부의 구성요소 중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460)는, 도 8 및 도 1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거치된 웹 패드 시스템(700)을 분리시키기 위해 외부 힘을 작용시키는 분리 손잡이(461)와;
상기 분리 손잡이(461)와 결합되어 상기 분리 손잡이(461)를 통한 외부 힘 작용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거치된 웹 패드 시스템(700)이 분리될 수 있도록 캠 작용이 실행되고, 하중 제거시 스프링(46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연동부재(462)와;
상기 연동부재(462) 작동에 의한 상기 연동부재(462) 측면 캠(463)과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을 체결하고 있는 체결부재(468)를 압압하여 체결력을 해제시키는 작용캠 부재(466)와;
상기 작용캠 부재(466) 하단의 결합돌기(475)에 삽착되며, 상기연동부재(462)와의 캠 작용을 통해 하방으로 연동된 작용캠 부재(466)의 타측 돌기부(467)에 의해 압입되면서 체결력이 해제되거나, 또는 외부 힘 제거시 스프링(47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을 체결하도록 상단에 걸림돌기(469)가 형성된 체결부재(468)와;
상기 연동부재(462)의 돌출캠(465)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연동부재(462) 돌출캠(465)과의 캠 작용을 통해 상승하면서 상기 체결부재(468)의 체결력이 해제된 웹 패드 시스템(700)을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서 분리시키는 탈리부재(47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468)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부재(468)가 상기 작용캠 부재(466)의 하단 즉,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440) 내측에 형성된 결합돌기(475)에 삽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삽입홀(471)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삽입홀(471)의 경우, 상기 연동부재(462)와의 캠 작용을 통해 하방으로 연동되는 작용캠 부재(466)의 타측 돌기부에 의해 상기 체결부재(468)가 하방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소정길이의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탈리부재(472)는 전체형상이 요철형태 즉, 부재 상측에 사각기둥체 돌기부(473)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기둥체 돌기부(473) 양측에는 상기 연동부재(462) 돌출캠(465)과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탈리부재(472)가 원할히 상승/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봉(474)이 삽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탈리부재(472)의 경우, 상기 연동부재(462)의 일측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동부재(46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연동부재(462)와 동일방향으로 이동되는 돌출캠(465)과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사각기둥체 돌기부(473)가 상승/하강 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캠(465)이 내삽된 상태로 상기 연동부재(462) 일측 상단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460)의 캠 작용을 통한 웹 패드 시스템(700)의 분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5 는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에 의해 웹 패드 시스템이 크래들부에서 분리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5a 는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5b 는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웹 패드 시스템을 체결하고 있는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5c 는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체결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웹 패드 시스템이 탈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 거치된 웹 패드 시스템(700)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도 15a 에 도시된 상태에서 분리 손잡이(461)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분리 손잡이(461)와 결합된 연동부재(462)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연동부재(462)의 측면 캠(463)과 작용캠 부재(466)와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작용캠 부재(466)의 일측 즉, 상기 연동부재(462)의 측면 캠(463)과 캠 작용이 이루어지는 작용캠 부재(466)의 일측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상기 작용캠 부재(466)의 타측 돌기부(467)는 상기 체결부재(468) 측으로 연동되면서 상기 체결부재(468)를 압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작용캠 부재(466)의 타측 돌기부(467)에 의해 압압된 체결부재(468)는 스프링(470)이 압축되면서 상기 연동부재(462)가 이동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하방으로 압입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체결부재(468)의 걸림돌기(469) 역시 하방으로 밀리게 되면서 도 1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을 체결하고 있는 상기 걸림돌기(469)의 체결력이 해제되게 되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이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서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부재(468)의 체결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연동부재(462)가 더욱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15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동부재(462)의 일측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캠(465)과 탈리부재(472)와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사각기둥체 돌기부(473)가 양측의 가이드봉(474)을 타고 상승하면서 상기 체결부재(468)의 체결력이 해제된 웹 패드 시스템(700)을 밀어 올리므로서, 상기 웹 패드 거치대(420)에서 웹 패드 시스템(700)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 후, 상기 분리 손잡이(461)에 작용하였던 힘을 제거하게 되면, 인장력이 작용하였던 상기 연동부재(462)의 스프링(464)과 상기 압축력이 작용하였던 체결부재(468)의 스프링(470)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동부재(462)와 상기 체결부재(468)가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460)의 캠 작용을 통한 웹 패드 시스템(700)의 분리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도 16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스텐드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도 17 은 스텐드부의 구성요소 중 스텐드 힌지부와 원통 힌지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8 은 스텐드부의 구성요소 중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스텐드부(500)는 도 1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에 의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는 상부 커버(511)와 하부 케이스(512)로 이루어진 스텐드 케이스(510)와;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이 거치된 크래들부(410)의 무게에 의해 닥킹 스테이션(400)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512) 전면(全面)에 삽착 고정되는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와;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상단 소정위치에 아암부(600) 하단이 안착되어 상기 아암부(6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곡면 형태로 형성된 아암 안착부(521)와;
상기 아암 안착부(521)에 아암부(600) 하단이 안착 고정되어 상기 스텐드부(500)의 전후방향으로 아암부(6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아암 안착부(521) 일측의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소정위치와 상기 아암부(600) 하단 일측에 각각 나사로 고정되는 스텐드 힌지부(525)와;
상기 스텐드부(500)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아암부(600)의 회전력이 한쪽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텐드 힌지부(525)와 대향되는 상기 아암 안착부(521) 타측에 삽착 고정되는 원통 힌지부(530)와;
상기 원통 힌지부(530) 전방 소정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아암부(600)의 밀착시 상기 아암부(600)의 스위치 접촉홈(630)에 스위칭되어 스타일러스 팬(200)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화면으로 변환되게 하는 슬라이딩 스위치(535)와;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일측 상단에 장착되며, 레버(541) 회전력에 의한 다단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스텐드(500) 내에 삽착된 확장기기(CD-ROM, FDD Drive)(570)를 스텐드(500) 내에서 분리시키는 확장기기 분리장치(540)와;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상단 소정위치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스텐드부(500) 별도의 통신 및 입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신수단 및 입출력수단이 결합된 스텐드부 메인보드(560)로 구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523)은 아암 안착부 커버를 나타낸 것이고, (565)는 통신수단 및 입출력수단의 커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아암 안착부 커버(523)의 경우, 아암부(600) 회전시, 상기 아암부(600) 하단에 의해 상기 스텐드부(500)의 아암 안착부(521)가 스크레칭(긁힘현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아암 안착부(521)상단에 삽착되며, 상기 아암 안착부 커버는 표면 경도가 강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암 안착부 커버(523)는 상기 아암 안착부(521)에 삽착 고정되면서 상기 아암부(600) 하단이 회전할 수 있도록 내측은 오목하고, 외측은 볼록한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암 안착부 커버(523) 타측에는 상기 원통 힌지부(530)의 원주면에 형성된 결착돌기(531)가 삽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홈(5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아암 안착부 커버(523)가 상기 스텐드(500)의 아암 안착부(521)에 삽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아암부(600)가 스텐드부(500)를 회전할 경우, 상기 아암부(600) 하단에 의해 상기 아암 안착부(521)가 스크레칭 되면서 발생된 미세한 아연가루들이 상기 스텐드부(50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스텐드부(500) 내에 장착되어 있는 스텐드부 메인보드(560)나 확장기기 분리장치(540) 등에 나쁜 영향이 미치게 되면서 스텐드부(500)의 고장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텐드 케이스(510)의 상부 커버(511) 상단에는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기기(570)나 또는 스텐드부 메인보드(56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상부 커버(511)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휨 방지 플레이트(511a)가 부착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휨 방지 플레이트(511a)의 경우, 무게를 통해 상기 상부 커버(511)의 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아연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스텐드 케이스(510)의 하부 케이스(512)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CD-ROM이나 FDD Drive 등 컴퓨터 확장기기(570)를 삽착시킬 수 있는 확장기기 삽착홀(5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 양측면에는 상기 확장기기(570)가 상기 삽착홀(513) 내부로 원할히 삽착될 수 있도록 안내역할을 하는 가이드 레일부재(514)가 일정길이로 절개되어 소정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가이드 레일부재(514) 양측에는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에 내삽된 확장기기(570)를 통해 흐르는 과전류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그라운드 접지형태로 접지시키는 텐션 접지부재(515)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는 상기 크래들부(410)에 거치된 웹 패드 시스템(700)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하여 아연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하부 케이스(512) 전면(全面)에 삽착시,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부재(514) 및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 내에 형성된 삽입돌기(514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부재(514) 및 삽입돌기(514a)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 레일 삽입홀(522)과 삽입돌기 삽입홀(522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텐드 힌지부(525)는 상기 스텐드부(500) 상단 즉, 아암 안착부(521)에 아암부(600)를 결합시켜 상기 아암부(600)가 스텐드부(50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도 1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이면서 상기 아암부(600) 하단 일측에 나사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가 평면형태로 형성된 제 1 힌지부재(526)와, 상기 아암 안착부(521) 일측의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소정위치에 나사로 고정되며, 상기 제 1 힌지부재(526)에 삽착 고정된 제 2 힌지부재(527)로 이루어져 상기 아암 안착부(521)에 안착 결합된 아암부(600)가 상기 스텐드부(500)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1 힌지부재(526) 및 상기 제 2 힌지부재(527)의 원통부분에는 상기 아암 안착부(521)에 안착 결합된 아암부(600)가 상기 스텐드부(500)의 전후방향으로 소정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52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 힌지부(530)의 원주면에는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아암부(600)의 하단 타측 외주면 내에 삽착 고정될 수 있도록 결착돌기(5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일측 상단 즉,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 일측에는 분리레버(541)의 회전력에 따라 다단의 캠 운동을 통해 상기 스텐드(500) 내에 삽착된 확장기기(CD-ROM, FDD Drive)(570)를 스텐드(500)에서 분리시키는 확장기기 분리장치(540)가 설치 고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확장기기 분리장치(540)는, 도 16 및 도 1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확장기기(570)를 분리시키기 위한 다단의 캠 운동이 전개될 수 있게 레버 하단 반원부(542)의 회전력을 작용시키는 분리레버(541)와;
상기 분리레버(541)의 소정각도 회전을 통해 상기 레버(541) 하단 반원부(542)가 회전하면서 1차 캠부(545)를 연동시켜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이 1차적으로 해제되도록 연동되는 연동부재(544)와;
상기 분리레버(541)의 소정각도 회전에 따른 상기 연동부재(544)의 연동과 동시에, 상기 연동부재(544)의 타측에 형성된 2차 캠부(546)와 접촉된 경사캠(550)이 상기 2차 캠부(546)와의 캠 작용을 통해 연동되면서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을 해제시키는 확장기기 고정부재(549)와;
상기 분리레버(541)의 소정각도 이상 회전시, 상기 레버(541)의 반원부(542)가 완전히 회전하면서 상기 반원부(542)의 원주면에 의해 소정각도로 연동되어 체결력이 해소된 확장기기(570)를 상기 스텐드(500) 내에서 분리시키는 확장기기 탈리부재(551)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연동부재(544)에는 도 16 및 도 1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상단으로 돌출된 암나사 고정돌기부(516)에 삽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삽입홀(547)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삽입홀(547)의 경우, 상기 분리레버(541)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레버(541) 하단의 반원부(542)와 상기 연동부재(544)의 1차 캠부(545)와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 고정부재(549) 쪽으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소정길이의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확장기기 탈리부재(551) 역시, 도 16 및 도 1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520) 상단으로 돌출된 암나사 고정돌기부(516)에 삽착되어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 해제각도 이상의 상기 분리레버(541) 회전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 탈리부재(551)가 연동될 수 있도록 삽입홀(55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홀(552)의 경우,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 해제각도 이상의 분리레버(541) 회전에 의한 상기 반원부(542)의 회전력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 탈리부재(551)가 소정각도로 회전되면서 체결력이 해제된 확장기기(57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소정 곡률을 갖는 곡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확장기기 분리장치(540)의 캠작용을 통한 CD-ROM이나 FDD Drive 등의 확장기기(570) 분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9 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에 의해 확장기기가 스텐드 내에서 분리되는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9a 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9b 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확장기기를 체결하고 있는 확장기기 고정부재의 체결력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9c 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의 작동에 의해 체결력이 해제된 확장기기가 확장기기 탈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 내에 삽착된 확장기기(570)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도 19a 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기기 분리장치(540)의 분리레버(541)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19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541)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반원부(542)가 소정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반원부(542)와 면착되어 있는 연동부재(544)의 1차 캠부(545)를 연동시키게 되고, 상기와 같이 분리레버(541)의 소정각도 회전에 의해 연동된 상기 연동부재(544)는 경사캠(550)이 형성된 확장기기 고정부재(549)로 직선운동을 하여 상기 연동부재(544)의 타측에 형성된 2차 캠부(546)가 상기 확장기기 고정부재(549)의 경사캠(550)에 밀착되면서 캠 작용을 통해 상기 확장기기 고정부재(549)가 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상기 확장기기(570)를 고정하고 있는 상기 확장기기 고정부재(549)의 체결력이 해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확장기기(570)의 체결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기기(570)의 체결력을 해제시켰던 소정각도 이상으로 상기 분리레버(541)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19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541) 하단 반원부(542)가 완전히 회전하면서 상기 분리레버(541) 상단에 장착된 별도의 확장기기 탈리부재(551)를 소정각도로 연동시켜 상기 확장기기 탈리부재(551)에 의해 체결력이 해소된 확장기기(570)가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에서 분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확장기기 탈리부재(551)를 통해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513)에서 확장기기(570)가 완전히 분리되어 상기 분리레버(541)에 작용하였던 힘을 제거하게되면, 상기 분리레버(541) 및 연동부재(544), 확장기기 고정부재(549)에 설치된 스프링(543)(548)(55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확장기기 분리장치(540)의 캠 작용을 통한 CD-ROM이나 FDD Drive 등의 확장기기(570) 분리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도 20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아암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아암부(600)는 도 2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곡률을 갖는 전면 아암 플레이트(610)와, 후면 아암 플레이트(6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 및 후면 아암 플레이트(610)(620)의 상단은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450)의 아암 장착홈(459) 타측에 고정된 크래들 힌지부(457)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스텐드부(500)의 아암 안착부(521) 일측에 고정된 스텐드 힌지부(525)에 고정되어, 상기 각 힌지부(457)(525)에 고정된 아암부(600)의 상단 및 하단의 자유로운 회전에 의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이 거치된 크래들부(410)를 상기 스텐드부(500)에 지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아암부(600)의 상단 및 하단의 경우, 상기 각 힌지부(457)(525)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이 원할할 수 있도록 반원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부(600)의 하단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스텐드부(500)의 아암 안착부(521) 타측 즉, 상기 원통 힌지부(530) 전방(前方) 소정위치에 장착된 슬라이딩 스위치(535)를 스위칭할 수 있도록 스위치 접촉홈(6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600)의 하단 타측 외주면 내에는 상기 원통 힌지부(530)의 원주면에 형성된 결착돌기(531)가 삽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홈(6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아암부(600) 하단 타측 원주면에 형성된 스위치 접촉홈(630)에 의해 스위칭되는 슬라이딩 스위치(535)의 역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 은 스텐드부에 크래들부를 밀착시 아암부의 스위치 접촉홈에 의해 스텐드부의 슬라이딩 스위치가 스위칭되어 스타일러스 팬의 쓰기 기능이 인식되도록 웹 패드 시스템의 화면모드가 전환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1a 는 크래들부에 웹 패드 시스템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1b 는 아암부 회전을 통해 스위치 접촉홈과 슬라이딩 스위치가 스위칭되어 스타일러스 팬의 쓰기 기능이 인식되도록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화면으로 전환된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21a 와 같이 상기 닥킹 스테이션(400)의 크래들부(410)에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을 거치시키게 되면, 상기 웹 패드 시스템(700)은 일반 마우스를 클릭하는 형태와 같이 스타일러스 팬(200)이 화면상의 아이콘을 클릭하는 상태만 인식할 뿐, 상기 스타일러스 팬(200)의 쓰기 기능은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래들부(410) 하단이 스텐드부(500) 상단에 밀착되도록 상기 크래들부(410)를 잡아당길 경우, 상기 아암부(600) 타측 원주면에 형성된 스위치 접촉홈(630)에 의해 상기 스텐드부(500)의 아암 안착부(521) 타측에 장착된 슬라이딩 스위치(535)가 스위칭 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스위치 접촉홈(63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스위치(535)가 스위칭 되게 되면, 상기 크래들부(410)에 거치된 웹 패드 시스템(700)의 화면이 상기 스타일러스 팬(200)으로 쓰기 입력이 가능하도록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화면으로 변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스위치(535)의 역할을 제조회사의 특정화된 목적에 맞게 기능을 변경시켜 별도의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클래들부(410)에 거치된 웹 패드 시스템(700)에 입력하는 모드전환 즉, 스타일러스 팬(200)을 통한 입력모드에서 키보드(300)를 통한 입력모드로 변환되도록 하거나, 또는 여러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로 변환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본 발명의 닥킹 스테이션은,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를 거치시켜 데스크 탑 형태의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책상이나 탁자 등에서 데이터 등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복합형 컴퓨터를 거치한 상태에서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복합형 컴퓨터의 화면모드를 전환시키므로서, 사용자의 작업상태나 작업위치, 또는 특정장소에 관계없이 상기 복합형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웹 패드 시스템이 거치되는 크래들부와;
    무게 중심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이 거치된 크래들부의 무게를 지탱하는 스텐드부와;
    상기 크래들부 저면 및 상기 스텐드부 상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이 거치된 크래들부를 지지하는 아암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부는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이 안치되는 웹 패드 거치대와;
    상기 웹 패드 거치대의 배면에 고정되는 거치대 리어커버와;
    상기 웹 패드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의 소정위치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에 삽착 고정되며,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상기 웹 패드 거치대에 안착된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을 소정각도로 회전(원주방향)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 가이드 부재와;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 내측에 고정되며, 분리 손잡이에 작용된 외부 힘에 의해 이루어지는 다단 캠 운동을 통해 상기 웹 패드 거치대에 착설된 웹 패드 시스템을 탈리시켜 상호 분리되도록 하는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웹 패드 거치대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상판이 삽착될 수 있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이 면착되는 사각판상의 거치 플레이트와;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이 상기 거치 플레이트에 거치될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플레이트 외주변에 다수 형성된 거치 홀더부와;
    상기 웹 패드 시스템 저면에 삽착되며,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이 상기 거치 플레이트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돌기부와;
    상기 고정 돌기부 내측에 삽착 고정되며, 디스크 드라이브(확장기기)와 상기 웹 패드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상기 웹 패드 시스템 저면의 드라이브 소켓과 결합되는 드라이브 커넥터와;
    상기 웹 패드 거치대에 거치된 웹 패드 시스템이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해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거치 플레이트 배면의 관통홀 외주면에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각도 제한 돌기부와;
    상기 거치 플레이트 배면의 관통홀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의 화면모드를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시켜주는 오리엔테이션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웹 패드 거치대가 원할히 회전될 수 있도록 링 형태의 가이드 레일이 착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플레이트 배면의 관통홀 외주면 선단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한 상기 거치 플레이트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 내에 위치한 상기 커넥터 PCB 선들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홀에 착설된 링 형태의 가이드 레일이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길이가 절개된 곡면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부 내측에는 과전류에 의한 부품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을 접지시키는 접지부재가 내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돌기부 소정위치엔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이 상기 웹 패드 거치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함과 동시에, 상기 웹 패드 시스템 분리장치의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웹 패드 거치대에 거치된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을 분리시키는 상기 분리장치의 체결부재 및 탈리부재가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는 상기 웹 패드 거치대의 관통홀과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하판이 삽착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치 플레이트 배면에 나사로 고정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관통홀 일측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를 통한 상기 크래들부가 소정각도만큼 회전된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타격음을 발생시키는 타격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된 관통홀에는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가 원할히 회전될 수 있도록 링 형태의 가이드 레일이 착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는 상기 웹 패드 거치대의 관통홀에 삽착되어 상기 웹 패드 거치대의 회전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 가이드 상판과;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의 관통홀에 삽착되어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의 회전 가이드 역할을 하는 회전 가이드 하판과;
    상기 회전 가이드 상판과 상기 회전 가이드 하판 사이로 돌출된 상기 커넥터 PCB 선들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상호 맞닿은 원주면에 소정길이로 절개 형성된 절개홈과;
    상기 회전 가이드 상판 및 하판의 원주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크래들부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의 화면모드가 포트레이트 또는 랜드 스케이프 모드로 전환되도록 상기 웹 패드 거치대 배면에 고정된 오리엔테이션 스위치를스위칭하는 원주 돌기부와;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상기 거치 플레이트 배면의 각도 제한 돌기부에 걸려 상기 웹 패드 거치대에 거치된 웹 패드 시스템이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상기 원주 돌기부 일측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걸림 돌기부와;
    상기 크래들부의 소정각도 회전시 상기 거치대 리어커버 일측 상단에 장착된 타격부재의 타격작용을 통해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이 소정각도만큼 회전됨을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 원주면에 소정각도로 이격 형성된 타격홈과;
    상기 회전 가이드 하판 중앙에 일정길이로 절개 형성된 아암 장착홈 내부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이 거치된 크래들부가 상기 아암부의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아암부 상단 타측과 나사로 고정되는 크래들 힌지부와;
    상기 아암 장착홈을 통해 유출된 커넥터 PCB 선들을 지지함과 동시에, 아암부의 회전력이 한쪽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크래들 힌지부와 대향되는 상기 아암 장착홈 일측에 고정되는 원통 힌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드부는 나사에 의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는 상부 커버와 하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스텐드 케이스와;
    상기 웹 패드 시스템이 거치된 크래들부의 무게에 의해 닥킹 스테이션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 전면(全面)에 삽착 고정되는 무게 중심플레이트와;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 상단 소정위치에 아암부 하단이 안착되어 상기 아암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곡면 형태로 형성된 아암 안착부와;
    상기 아암 안착부에 아암부 하단이 안착 고정되어 상기 스텐드부의 전후방향으로 아암부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아암 안착부 일측의 무게 중심 플레이트 소정위치와 상기 아암부 하단 일측에 각각 나사로 고정되는 스텐드 힌지부와;
    상기 스텐드부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아암부의 회전력이 한쪽으로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텐드 힌지부와 대향되는 상기 아암 안착부 타측에 삽착 고정되는 원통 힌지부와;
    상기 원통 힌지부 전방 소정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아암부의 밀착시 상기 아암부의 스위치 접촉홈에 스위칭되어 스타일러스 팬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화면으로 변환되게 하는 슬라이딩 스위치와;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 일측 상단에 장착되며, 레버 회전력에 의한 다단 캠 작용을 통해 상기 스텐드 내에 삽착된 확장기기(CD-ROM, FDD Drive)를 스텐드 내에서 분리시키는 확장기기 분리장치와;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 상단 소정위치에 설치 고정되며, 상기 스텐드부 별도의 통신 및 입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신수단 및 입출력수단이 결합된 스텐드부 메인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CD-ROM이나FDD Drive 등 컴퓨터 확장기기를 삽착시킬 수 있는 확장기기 삽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 양측면에는 상기 확장기기가 상기 삽착홀 내부로 원할히 삽착될 수 있도록 안내역할을 하는 가이드 레일부재가 일정길이로 절개되어 소정깊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부재 양측에는 상기 삽착홀에 내삽된 확장기기를 통해 흐르는 과전류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그라운드 접지형태로 접지시키는 텐션 접지부재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는 상기 크래들부에 거치된 웹 패드 시스템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하여 아연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중심 플레이트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 전면(全面)에 삽착시,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부재 및 상기 확장기기 삽착홀 내에 형성된 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부재 및 삽입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 레일 삽입홀과 삽입돌기 삽입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는 소정곡률을 갖으며, 나사로 체결되어 상기 크래들부의 고정 돌기부 내에 삽착되는 드라이브 커넥터의 PCB 선들이 내부공간에 내장되도록 전면 아암 플레이트 및 후면 아암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의 상단 및 하단은 상기 회전 가이드 부재의 아암 장착홈 타측에 고정된 크래들 힌지부와, 상기 스텐드부의 아암 안착부 일측에 고정된 스텐드 힌지부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이 원할할 수 있도록 반원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의 하단 타측 외주면에는 상기 스텐드부의 아암 안착부 타측 즉, 상기 원통 힌지부 전방(前方) 소정위치에 장착된 슬라이딩 스위치를 스위칭할 수 있도록 스위치 접촉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의 하단 타측 외주면 내에는 상기 원통 힌지부의 원주면에 형성된 결착돌기가 삽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킹 스테이션.
KR1020020051611A 2002-08-29 2002-08-29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 KR100907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611A KR100907989B1 (ko) 2002-08-29 2002-08-29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
US10/375,118 US7052296B2 (en) 2002-08-29 2003-02-28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computer
EP03006227A EP1394659A1 (en) 2002-08-29 2003-03-20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computer
CNB031577571A CN100501633C (zh) 2002-08-29 2003-08-28 计算机系统的屏幕调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611A KR100907989B1 (ko) 2002-08-29 2002-08-29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153A true KR20040020153A (ko) 2004-03-09
KR100907989B1 KR100907989B1 (ko) 2009-07-16

Family

ID=31492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611A KR100907989B1 (ko) 2002-08-29 2002-08-29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52296B2 (ko)
EP (1) EP1394659A1 (ko)
KR (1) KR100907989B1 (ko)
CN (1) CN100501633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607B1 (ko) * 2002-10-29 2008-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닥킹 스테이션의 힌지구조
KR100858608B1 (ko) * 2002-10-29 2008-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닥킹 스테이션의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
KR100864275B1 (ko) * 2006-05-12 2008-10-17 오주환 컴퓨터의 도킹 시스템
KR100873261B1 (ko) * 2002-10-29 2008-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닥킹 스테이션의 휴대용 컴퓨터 고정구조
KR101068915B1 (ko) * 2008-07-03 2011-09-2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의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012B1 (ko) 2002-11-11 200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US7280348B2 (en) * 2003-02-14 2007-10-09 Intel Corporation Positioning mechanism for a pen-based computing system
US6780019B1 (en) * 2003-02-14 2004-08-24 Intel Corporation Pen-based computing system with a releasable socket connector for connecting a base unit to a tablet unit
US7274564B2 (en) * 2003-06-23 2007-09-25 Jaco, Inc. Locking cradle for tablet computers
US7567431B2 (en) * 2003-09-30 2009-07-28 Pitney Bowes Inc. Mailing machine with a repositionable user controller
KR100630956B1 (ko) * 2004-08-17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US7502225B2 (en) 2004-09-17 2009-03-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er docking station
US8531402B2 (en) * 2005-04-29 2013-09-10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with separate cover having user interface
US7352567B2 (en) * 2005-08-09 2008-04-01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ock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has a planar like configuration and that operates in multiple orientations
KR100816505B1 (ko) * 2005-09-09 2008-03-24 배석희 랩탑테이블
US20070222758A1 (en) * 2006-03-22 2007-09-27 Mulcahy Michael R Method, system, and computer peripheral for docking a handheld computer
US20080165492A1 (en) * 2007-01-05 2008-07-10 Oqo, Inc. Docking assembly for a computer and method
WO2009146042A2 (en) * 2008-03-31 2009-12-03 Terra Soft Solutions Of Colorado, Inc. Tablet computer
CN101569537B (zh) * 2008-04-29 2014-07-09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扩展坞与超声波诊断系统
CN101963828A (zh) * 2009-07-24 2011-02-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器
US8118274B2 (en) * 2009-07-29 2012-02-21 Apple Inc. Multiple position stand
US7911779B1 (en) 2009-09-30 2011-03-22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Computer docking station
WO2011060283A2 (en) * 2009-11-12 2011-05-19 Arun Sobti & Associates, Llc An end-user platform having an integral basin to operationally and physically receive a portable cellular-telephony transceiver
US8749963B2 (en) * 2010-03-15 2014-06-10 Over The Sun, Llc Housing for slate tablet computer
GB2479186A (en) * 2010-04-01 2011-10-05 Richard Scott Thompson Rotating docking station for use with portable media devices
US20120170194A1 (en) * 2011-01-05 2012-07-05 Charles Lord Mobile computer stand
US20120188700A1 (en) * 2011-01-25 2012-07-26 Compal Electronics, Inc. Docking sta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D706261S1 (en) 2012-01-24 2014-06-03 Intel Corporation Mobile computing device
KR102321769B1 (ko) 2012-01-24 2021-11-03 인텔 코포레이션 모바일 컴퓨팅 기기, 장치 및 시스템
US9424721B2 (en) 2012-04-18 2016-08-23 Square, Inc. Point-of-sale system
US9137913B2 (en) * 2012-05-10 2015-09-15 Compal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radle
US9179567B2 (en) * 2012-05-23 2015-11-03 Asustek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US20140021201A1 (en) * 2012-06-14 2014-01-23 RG Innov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modular and interchangable human interface solution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DE102012015484A1 (de) * 2012-08-07 2014-05-15 Esselte Leitz Gmbh & Co. Kg Haltevorrichtung
US9163433B2 (en) 2012-10-31 2015-10-20 Invue Security Products Inc. Display stand for a tablet computer
US9760116B2 (en) * 2012-12-05 2017-09-12 Mobile Tech, Inc. Docking station for tablet device
US10937013B2 (en) * 2013-01-13 2021-03-02 Retail Technologies Corporation Point of sale (POS) docking st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tablet gun system with mobile tablet device
USD765084S1 (en) * 2013-09-10 2016-08-30 Apple Inc. Input for an electronic device
US9324065B2 (en) 2014-06-11 2016-04-26 Square, Inc. Determining languages for a multilingual interface
US10496975B2 (en) 2014-07-23 2019-12-03 Square, Inc. Point of sale system with secure and unsecure modes
USD769833S1 (en) 2014-08-29 2016-10-25 Apple Inc. Component for electronic device
US11080674B1 (en) 2014-09-19 2021-08-03 Square, Inc. Point of sale system
US11080675B1 (en) 2015-09-08 2021-08-03 Square, Inc. Point-of-sale system having a secure touch mode
EP3272193A4 (en) 2015-09-30 2018-06-27 InVue Security Products, Inc. Gang charger, shroud, and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0517056B2 (en) 2015-12-03 2019-12-24 Mobile Tech, Inc. Electronically connected environment
US10728868B2 (en) 2015-12-03 2020-07-28 Mobile Tech, Inc.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ver wireless nodes in a wirelessly connected environment
US11109335B2 (en) 2015-12-03 2021-08-31 Mobile Tech, Inc. Wirelessly connected hybrid environment of different types of wireless nodes
US10251144B2 (en) 2015-12-03 2019-04-02 Mobile Tech, Inc. Location tracking of products and product display assemblies in a wirelessly connected environment
US10101770B2 (en) 2016-07-29 2018-10-16 Mobile Tech, Inc. Docking system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 in an enclosure
US10061354B2 (en) 2016-10-14 2018-08-28 Gamber-Johnson Llc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US12035422B2 (en) 2018-10-25 2024-07-09 Mobile Tech, Inc. Proxy nodes for expanding the functionality of nodes in a wirelessly connected environment
US10503207B1 (en) * 2018-12-12 2019-12-10 Dell Products, L.P. Dock for a multi-form fact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HS)
US10593443B1 (en) 2019-01-24 2020-03-17 Mobile Tech, Inc. Motion sensing cable for intelligent charging of devices
US10976777B2 (en) 2019-08-15 2021-04-13 Gamber-Johnson Llc Docking station
KR102209787B1 (ko) * 2020-04-08 2021-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2377A (en) 1982-12-27 1985-09-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otatable display work station
CA2071381C (en) 1991-07-19 1998-12-15 Youji Satou Electronic apparatus, card-type electronic component used with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electronic system with expanding apparatus for expanding function of electronic apparatus
US5335142A (en) * 1992-12-21 1994-08-02 Ast Research, Inc. Portable computer display tilt/swivel mechanism
US5844543A (en) 1993-05-14 1998-12-01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5436792A (en) 1993-09-10 1995-07-25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ivotable docking station for use with notepad computer systems
US5751548A (en) * 1996-05-13 1998-05-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cking station for a portable computer provid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mputer's viewable screen in three different planes
JP3222764B2 (ja) * 1996-05-17 2001-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100198740B1 (ko) * 1996-06-11 1999-06-15 유기범 휴대용 컴퓨터 도킹 스테이션
KR100303671B1 (ko) * 1997-02-28 2001-09-24 포만 제프리 엘 휴대가능한컴퓨터용도킹스테이션및차량의컴퓨터조립체
TW321414U (en) * 1997-05-07 1997-11-21 Amtran Technology Co Ltd Pivot-rotation device of flat-display panel
US6556435B1 (en) * 1997-10-31 2003-04-29 Hewlett-Packard Company Adjustable height docking station and computing device for use therewith
US6069790A (en) * 1998-01-27 2000-05-30 Dell Usa, L.P. Portable computer ejection mechanism for docking devices
US6151218A (en) * 1998-08-21 2000-11-21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hysical security system for portable computer/port replicator
US6108200A (en) * 1998-10-13 2000-08-22 Fullerton; Robert L. Handheld computer keyboard system
KR100284300B1 (ko) * 1998-10-16 2001-03-02 윤종용 휴대형 컴퓨터
US7025274B2 (en) 2002-05-31 2006-04-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ablet computer protective display cover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6788527B2 (en) * 2002-05-31 2004-09-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ablet computer keyboard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8446359B2 (en) 2002-05-31 2013-05-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strument-activated sub-surface computer buttons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7542052B2 (en) 2002-05-31 2009-06-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of switching viewing orientations of a display
US6856506B2 (en) 2002-06-19 2005-02-15 Motion Computing Tablet computing device with three-dimensional docking suppor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607B1 (ko) * 2002-10-29 2008-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닥킹 스테이션의 힌지구조
KR100858608B1 (ko) * 2002-10-29 2008-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닥킹 스테이션의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
KR100873261B1 (ko) * 2002-10-29 2008-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닥킹 스테이션의 휴대용 컴퓨터 고정구조
KR100864275B1 (ko) * 2006-05-12 2008-10-17 오주환 컴퓨터의 도킹 시스템
KR101068915B1 (ko) * 2008-07-03 2011-09-2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의료 장치
US8438979B2 (en) 2008-07-03 2013-05-14 Medison Co., Ltd. Medical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43650A1 (en) 2004-03-04
CN100501633C (zh) 2009-06-17
EP1394659A1 (en) 2004-03-03
US7052296B2 (en) 2006-05-30
CN1489015A (zh) 2004-04-14
KR100907989B1 (ko)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0153A (ko)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의 닥킹 스테이션
KR100488012B1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KR100872242B1 (ko) 휴대 가능한 복합형 컴퓨터
US8199476B2 (en) Notebook computer
US20060256516A1 (en) Portable computer with detachable display
CN103207680B (zh) 键盘及电子装置
US7490809B2 (en) Stand for retaining computer chassis
US20030024073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monitor
KR100873261B1 (ko) 닥킹 스테이션의 휴대용 컴퓨터 고정구조
US20060274492A1 (en) Portable computer having a keyboard coupled to a computer main body
KR100858608B1 (ko) 닥킹 스테이션의 휴대용 컴퓨터 분리장치
KR20040037504A (ko) 포터블 컴퓨터 닥킹 스테이션의 드라이브 커넥터 플렉시블구조
KR20040037506A (ko) 닥킹 스테이션의 크래들부 회전인식구조
CN112306150B (zh) 人机界面装置以及切换器系统
KR100858607B1 (ko) 닥킹 스테이션의 힌지구조
US20110222215A1 (en) Method and protecting apparatus for disassembling electronic device
CN103677280A (zh) 键盘组件和电子设备
KR20040034194A (ko) 컴퓨터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착탈장치
KR20040037508A (ko) 닥킹 스테이션의 스텐드 힌지부 마찰방지구조
KR20040033793A (ko) 닥킹 스테이션의 휨 방지용 스텐드 커버구조
KR20040034197A (ko) 휴대용 컴퓨터의 스타일러스 착탈장치
CN2468091Y (zh) 收藏开启装置
KR100668914B1 (ko) 닥킹 스테이션의 확장기기 분리장치
CN216288113U (zh) 键盘和电子设备
KR20040034199A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