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7313A - 가입자 정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입자 정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7313A
KR20040037313A KR1020020065762A KR20020065762A KR20040037313A KR 20040037313 A KR20040037313 A KR 20040037313A KR 1020020065762 A KR1020020065762 A KR 1020020065762A KR 20020065762 A KR20020065762 A KR 20020065762A KR 20040037313 A KR20040037313 A KR 20040037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sk
telephone
subscriber
function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5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7313A/ko
Publication of KR20040037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31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58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 H04Q3/62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main exchange and sub-exchange or satellite for connecting to private branch exchanges
    • H04Q3/625Arrangements in the private branch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034Codec; PCM compre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SK 방식으로 다기능을 수행하는 FSK 다기능 전화기, 하나의 보드로 FSK 송수신 방식을 이용하여 일반 전화기와 다기능 전화기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 보드로 구성된 것으로서, 기존의 일반 전화기 가입자 정합 보드에 저렴한 FSK 송수신부만을 추가하여 다기능 전화기 정합 보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다기능 전화기 정합 보드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입자 정합 시스템{System for Matching Subscriber}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 및 키폰 시스템에서 FSK(Frequency Shift Keying) 송수신 방식을 이용하여 일반 전화기와 다기능 전화기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교환기는 회사, 학교와 같은 일정한 구역내의 전화가입자간에 전화국을 통하지 않고 사설 교환기만을 통하여 통화할 수 있게 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포함한 다양한 사설 교환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디지털 가입자 보드를 구비하여 디지털 가입자에게 더욱 다양한 사설 교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설 교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사설교환기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이름 및 시간등을 착신자의 전화기에 표시해주는 CID(Caller ID) 서비스를 디지털 내선 전화 가입자에게 제공한다. 즉, 사설 교환기는 자체 내선 가입자, 공중전화망 가입자 또는 다른 사설 교환망의 가입자인 발신자의 전화번호, 이름 및 시간등을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를 자체 내선 가입자, 공중 전화망 또는 다른 사설 교환망으로부터 수신하고, 착신 가입자가 사설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 보드에 연결된 디지털 가입자인 경우에 사설 교환기는 데이터 채널을 통해 이러한 발신자 정보를 착신 디지털 가입자에게 전송하여 착신디지털 가입자의 디지털 전화기에 구비되어 있는 액정 표시 화면에 발신자 정보를 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사설 교환기와 가입자 전화기의 연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사설교환기와 가입자 전화기 및 외부 교환망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설교환기(100)는 공중 교환 전화망(PSTN)을 통해 국설 교환기(120)와 연결되고, 전용선을 통해 다른 사설 교환기(130)와 연결되어 있으면, 일반 전화기(140)와 디지털 다기능 전화기(150)와 연결되어 있다.
사설교환기(100)는 아날로그 가입자 보드를 구비하여 일반 아날로그 전화기(140)와 아날로그 가입자 회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사설 교환기(100)는 전용 프로토콜 및 신호 규격을 사용하는 접속 방식을 지원하는 디지널 가입자 보드를 구비하여 디지털 가입자 회선을 통해 디지털 다기능 전화기(150)에 연결되어 있고, 디지털 음성 통화 및 아날로그 전화기에 제공되는 서비스 이외의 다양한 서비스를 디지털 다기능 전화기(150)에 제공한다.
디지털 다기능 전화기(150)는 표시 화면 및 다양한 기능 버튼을 누르고 해당 기능에 대한 안내를 표시화면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아날로그 가입자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일반 전화기 및 디지털 다기능 전화기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반 전화기 및 디지털 다기능 전화기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은 교환기 제어부(200), 가입자 정합보드(210), 일반 전화기(240), 디지털 다기능 전화기(250)를 포함한다.
상기 교환기 제어부(200)는 음성 신호의 스위칭 및 교환기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가입자 정합 보드(210)는 SLC(Single Line Circuit)부(220)와 DSLC(Digital Single Line Circuit)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SLC부(220)는 일반 전화기 가입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SLIC(Single Line Interface Circuit)부(222), 코덱부(224), 프로세서(226)를 포함한다.
상기 SLIC부(222)는 일반 전화기(240)와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링신호 제어, 오프 훅 감지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부(224)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와 디지털 PCM(pulse code modulation)신호간의 변환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프로세서(226_는 보드와 교화기간의 연동 및 보드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상기 DSLC부(230)는 디지털 다기능 전화기(250)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선로 정합부(232), DASL부(234), 데이터 제어부(236), 프로세서(238)를 포함한다.
상기 선로 정합부(232)는 디지털 다기능 전화기(250)와 물리적으로 결합하는역할을 한다.
상기 DASL부(234)는 디지털 가입자 선로상에 실리는 음성 신호의 PCM 신호 변환 및 디지털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제어부(236)는 DASL부(234)의 데이터와 프로세서(238)간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프로세서(238)는 보드와 교환기간의 연동 및 보드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상기 일반 전화기(24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날로그 전화기이고, 상기 디지털 다기능 전화기(250)는 일반적인 전화기 기능에 번호 표시, 단축 다이얼링등의 각종 부가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전화기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 전화기 및 다기능 전화기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SLC부(2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SLIC부(222)는 일반 전화기(240)의 훅 오프를 감지한후, 상기 일반 전화기(240)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코덱부(224)에 전송한다. 상기 코덱부(240)는 상기 SLIC부(222)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PCM 신호로 변환하여 교환기의 제어부(200)에 전송하다. 그러면, 상기 교환기 제어부(200)는 상기 디지털 PCM 신호를 해당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다음으로 DSLC부(23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선로 정합부(232)는 디지털 다기능 전화기(250)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신호와 데이터를 DASL부(234)에 전송한다. 상기 DASL부(234)는 상기 전송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교환기 제어부(200)에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는 데이터 제어부(200)에 전송된다.
상기 교환기 제어부(200)는 상기 전송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해당 단말기에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제어부(236)는 상기 DASL부(234)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프로세서(238)에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238)는 상기 전송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교환기 제어부(236)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교환기 제어부(236)는 상기 제어 신호에 상응하는 다기능 제어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는 일반 전화기와 다기능 전화기 가입자간의 호환성이 없으므로, 교환기 설치시 각 가입자의 수를 미리 결정한 후, SLC부, DSLC부, 일반 전화기, 다기능 전화기의 수량을 결정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무실등에서 가입자의 자리가 변경될 경우에 전화기도 변경되어야 한다면 이미 설치된 선로 배선을 수정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지털 다기능 전화기의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은 DASL 등의 칩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일반 전화기에 비해 가용한 선로 길이가 짧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설 교환기 및 키폰 시스템에서 FSK 송수신 방식을 이용하여 일반 전화기와 다기능 전화기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설교환기와 가입자 전화기 및 외부 교환망의 연결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일반 전화기 및 디지털 다기능 전화기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전화기 및 다기능 전화기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30 : 사설 교환기 120 : 국설 교환기
140, 240, 320 : 일반 전화기 150, 250 : 디지털 다기능 전화기
200, 300 : 제어부 210, 310 : 가입자 정합 보드
220 : SLC부 230 : DSLC부
222, 312 : SLIC부 224, 314 : 코덱부
226, 238, 318 : 프로세서 232 : 선로 정합부
234 : DASL부 236 : 데이터 제어부
316 : FSK 송수신부 330 : FSK 다기능 전화기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FSK 방식으로 다기능을 수행하는 FSK 다기능 전화기, 하나의 보드로 FSK 송수신 방식을 이용하여 일반 전화기와 다기능 전화기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가입자 정합 보드는 교환기와의 연동 및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일반 전화기, FSK 다기능 전화기와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링신호 제어, 오프훅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SLIC부, 상기 SLIC부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코덱부, 디지털 신호에 FSK 톤의 삽입/추출을 수행하여 상기 FSK톤이 삽입/추출된 데이터와 상기 프로세서간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FSK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FSK 송수신부는 음성 신호의 대역을 제한하기 위한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FSK 다기능 전화기는 일반 전화기에 FSK 송수신부를 추가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전화기 및 다기능 전화기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 전화기와 다기능 전화기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은 교환기 제어부(300), 가입자 정합 보드(310), 일반 전화기(320), FSK 다기능 전화기(330)를 포함한다.
상기 교환기 제어부(300)는 음성 신호의 스위칭 및 교환기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가입자 정합 보드(310)는 일반 전화기(320) 또는 FSK 다기능 전화기 가입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SLIC부(312), 코덱부(314), FSK 송수신부(316), 프로세서(318)를 포함한다.
상기 SLIC부(312)는 일반 전화기(320) 및 FSK 다기능 전화기(330)와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링신호 제어, 오프 훅 감지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부(314)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와 디지털 PCM 신호간의 변환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FSK 송수신부(316)는 PCM 신호에 FSK 톤을 삽입 및 추출하여 상기 FSK톤이 삽입 또는 추출된 데이터와 프로세서(318)간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FSK 송수신부(316)는 FSK를 위한 두개의 주파수를 3800Hz, 3900Hz과 같이 음성 대역이면서 실제 음성 품질에는 영향없는 고대역 주파수를 선정해서 사용해야하며, 전송속도는 2-4kbps정도로 한다. 선로상에 음성과 FSK톤이 함께 실리게 되므로, FSK 송수신부내부에는 LPF(Low-pass Filter)를 포함해야한다. 이처럼, LPF를 사용하면, 음성 대역은 20-2700hz로 제한되지만, 음성 통화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이다.
상기 FSK 송수신부는 예를 들어, 상용칩, FPGA, DSP 등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318)는 가입자 정합 보드(310)와 교환기간의 연동 및 가입자 정합 보드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상기 FSK 다기능 전화기(330)는 일반적인 전화기 기능에 FSK 송수신부를 추가하여 번호 표시, 단축 다이얼링등의 종래의 디지털 다기능 전화기가 가지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 전화기와 다기능 전화기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 전화기(320)와 다기능 전화기(330)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은 FSK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사용되고 있고, 음성신호 대역의 두가지 주파수를 0과 1로 지정하여 정보를 아날로그 주파수로 만들어서 송수신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음성 신호는 기존의 일반 전화기처럼 아날로그 형태로 전송하고, 다기능을 위한 데이터는 FSK 방식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SLIC부(312)는 일반 전화기(320) 또는 FSK 다기능 전화기(330)의 훅 오프를 감지한후, 일반 전화기(320) 또는 FSK 다기능 전화기(330)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와 FSK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와 FSK 신호를 코덱부(314)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FSK 신호는 번호표시, 단축 다이얼등의 기능을 나타낸 신호이다.
상기 코덱부(314)는 상기 SLIC부(312)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FSK 신호와 함께 FSK 송수신부(316)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FSK 송수신부(316)는 상기 코덱부(314)에서 전송된 신호에서 FSK 신호를 추출하여 프로세서(318)에 전송하고,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300)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디지털 PCM 신호를 해당 상대방에게 전송하고, 상기 프로세서(318)는 상기 전송된 FSK 신호에 상응하는 다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30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일반 전화기 가입자 정합 보드에 저렴한 FSK 송수신부만을 추가하여 다기능 전화기 정합 보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다기능 전화기 정합 보드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전화기와 다기능 전화기를 모두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교환기 설치시 총 가입자수만을 결정하면되므로, 보드 및 전화기의 수량, 번호 계획 및 내부 배선계획등의 초기 설치 계획이 용이한 가입자 정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무실등에서 가입자의 자리가 변경되더라도 배선을 수정할 필요없이 자신의 전화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운용 비용 또한 절감되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FSK 방식으로 다기능을 수행하는 FSK 다기능 전화기;
    하나의 보드로 FSK 송수신 방식을 이용하여 일반 전화기와 다기능 전화기를 수용하는 가입자 정합 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합 보드는
    교환기와의 연동 및 전체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일반 전화기, FSK 다기능 전화기와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링신호 제어, 오프훅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SLIC부;
    상기 SLIC부로부터 전송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를 변환하는 코덱부;및
    디지털 신호에 FSK 톤의 삽입/추출을 수행하여 상기 FSK톤이 삽입/추출된 데이터와 상기 프로세서간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FSK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FSK 송수신부는 음성 신호의 대역을 제한하기 위한 저역 통과 필터를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SK 다기능 전화기는 일반 전화기에 FSK 송수신부를 추가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정합 시스템.
KR1020020065762A 2002-10-28 2002-10-28 가입자 정합 시스템 KR20040037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762A KR20040037313A (ko) 2002-10-28 2002-10-28 가입자 정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762A KR20040037313A (ko) 2002-10-28 2002-10-28 가입자 정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313A true KR20040037313A (ko) 2004-05-07

Family

ID=37335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762A KR20040037313A (ko) 2002-10-28 2002-10-28 가입자 정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73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31311A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시스템의 호처리 메시지 컨버터및 메시지 컨버팅 방법
CN1487717B (zh) 双ip电话和使用该电话进行通信的方法
KR20060018232A (ko) 기존 전화 시스템 전화를 지원하는 독립형 보이스 오버인터넷 프로토콜 방법 및 장치
US7415004B2 (en) Method for provid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call service
US20100034244A1 (en) Wireless fixed terminal
KR20000063952A (ko)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KR20000037675A (ko) 인터넷폰 스플리터
KR20040037313A (ko) 가입자 정합 시스템
KR100402677B1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아날로그가입자용 접속장치
KR100402676B1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아날로그 가입자용 정합 장치
KR100299566B1 (ko) 공중전화망 가입자용 이동전화 착신/발신 대행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9087Y1 (ko) 인터넷 및 공중전화망을 이용한 다기능전화기
KR100535272B1 (ko) 사설 교환기의 톤 및 디지트 제공 장치
JP2001024739A (ja) 電話機回路
KR20020089863A (ko) 인터넷폰 기능 부가용 전화기 어댑터 및 그 동작방법
KR100446246B1 (ko) 사설 교환기에서의 dtmf/호출음 송출 장치
KR100304047B1 (ko) 단일 전화선을 이용한 인터넷 및 전화 접속 시스템
KR100198218B1 (ko) 키폰시스템 접속 단말기의 국선 전용모드 절환방법 및 그 장치
KR100283759B1 (ko) 아날로그 팩시밀리 시스템의 전화/팩시밀리 공용 인터페이스
US2004022833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twork telephony
KR20000037646A (ko) 폰북을 이용한 인터넷폰 스플리터
KR960003029B1 (ko) 종합정보 통신망용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94141B1 (ko) 사설교환기의 전용선 착신호 처리방법
JP4280532B2 (ja) VoIP用ISDNアダプタおよびVoIP通話システム
JPH0795639A (ja) コーラid機能付インターカム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