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6549A -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과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과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6549A
KR20040036549A KR1020030069492A KR20030069492A KR20040036549A KR 20040036549 A KR20040036549 A KR 20040036549A KR 1020030069492 A KR1020030069492 A KR 1020030069492A KR 20030069492 A KR20030069492 A KR 20030069492A KR 20040036549 A KR20040036549 A KR 20040036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y
work
hydraulic pump
predetermined
exca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다에이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4003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54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32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one or more variable displacement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8Servomotor systems incorporating electrically operated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3Type of pump
    • F15B2211/20546Type of pump variable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굴삭작업중임을 확실히 검출하여 동력손실을 저감하는 작업차량의 유압펌프용량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해결수단은 다음과 같다.
실린더의 저부(bottom)압 검출기(45), 조작위치검출수단(31), 및 가변용량형 유압펌프(26)의 용량제어장치(41)를 컨트롤러(50)에 접속한다. 컨트롤러(50)는 저부압 검출기(45)로부터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실린더 저부압이 소정시간, 소정치 이하의 상태가 계속되다가, 그 후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하여 가변용량형 유압펌프(26)의 용량을 최대용량 이하의 소정용량으로 저감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조작위치검출수단(31)으로부터의 신호로 변속기가 중립 또는 후진이 됐을 때에는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여 펌프용량제어를 중지한다.

Description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과 제어장치{METHOD FOR CONTROLLING HYDRAULIC PUMP OF WORK MACHINE OF WORK VEHICLE AND CONTROL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작업차량, 특히 토목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용량제어방법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예컨대 토목작업차량인 휠로더의 작업기를 구동하는 유압장치에 있어서, 굴삭작업시등에서 유압은 필요하지만, 토출량은 소량이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고정용량형 유압펌프를 사용하면 다량의 압력유(壓力油)가 탱크로 환류되어 다대한 동력손실을 발생시킨다. 이 동력손실을 저감하기 위하여 유압펌프를 가변용량형으로 하여 굴삭작업시에는 펌프토출량을 저감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 일례로 특허문헌1(미국특허제6,073,442호 명세서)에 공개된 것이 있다. 이에 의하면, 1. 변속기는 전진 제1속도단위치에 있을 것, 2. 작업기가 굴삭위치에 있을 것, 3. 차량주행속도는 설정속도이하일 것, 이 중 적어도 1개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작업차량은 굴삭작업중으로 판단하여, 펌프용량을 최대용량이하의 소정 용량으로 저감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것 중에서, 작업기의 굴삭위치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도6은 굴삭위치에 있어서의 작업기(70) 측면도이다. 도6에 있어서, 차체(71)에는 리프트 암(72)의 기단부(基端部)가 암핀(73)에 의하여 요동 자유롭게 부착되며, 차체(71)와 리프트 암(72)은 리프트 실린더(7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리프트 실린더(74)를 신축하면 리프트 암(72)은 암핀(73)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리프트 암(72)의 선단부에는 버킷(75)이 버킷핀(76)에 의하여 요동 자유롭게 부착되며, 차체(71)와 버킷(75)은, 틸트 실린더(77) 및 링크장치(78)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틸트 실린더(77)를 신축하면 버킷(75)은 버킷핀(76)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작업기(70)의 굴삭위치는 암핀(73)과 버킷핀(76)을 잇는 선 Y-Y의 기준위치를 정하고, 리프트 암(72)이 그 이하에 위치할 경우를 굴삭위치에 있는 것으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변속기가 전진 제1속에 있는 경우, 펌프용량을 최대용량이하의 소정용량으로 저감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반드시 굴삭작업을 하고 있는 것만은 아니라, 작업기를 조작하면서 전진 제1속으로 소정의 장소에 접근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같은 경우에 작업기 속도가 느려져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토질에 따라서는 전진 제2속으로 작업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펌프용량은 저감되지않으므로 동력손실이 발생한다.
둘째로, 차량주행속도가 설정속도 이하인 경우에, 펌프용량을 최대용량 이하의 소정용량으로 저감되도록 하였으나, 굴삭작업을 하지않고 작업기를 조작하면서 목적지를 향하여 설정속도 이하로 이동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펌프용량은 저감되며, 작업기의 속도가 느려져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셋째로, 변속기가 전진 제1속으로, 작업기가 굴삭위치에서, 또한 차량주행속도가 설정속도이하인 경우에, 펌프용량을 최대용량 이하의 소정용량으로 저감하도록 하였다. 통상 굴삭시에, 대상물 직전까지는, 버킷이 접지(接地)하여 주행저항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버킷을 지상에서 약간 띄워두고, 대상물에 찔러넣기직전에 재빨리 버킷을 접지시킨다. 이 경우, 작업기의 응답속도가 느려져, 조작이 느려짐과 아울러, 작업자는 위화감을 느낀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작업차량이 굴삭작업상태에 있는 것을 확실하게 검출한 후에 펌프용량을 저감시켜서, 동력손실을 저감함과 아울러, 작업효율을 저하시키거나, 작업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는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과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를 가진 작업차량의 일례인 휠로더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휠로더의 작업기 측면도.
도 3은, 휠로더의 굴삭, 적하작업시의 각 공정에서 리프트 실린더의 저부(bottom)측에 발생하는 유압변화의 일례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장치 계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종래 작업차량의 작업기의 굴삭위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휠로더 전부(前部)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어장치계통도.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휠로더(wheel loader), 2…운전실, 4…후륜, 5…후부차체(後部車體), 6…전륜(前輪), 7…전부(前部) 프레임, 10…작업기, 11…리프트 암(lift arm), 12…버킷(bucket), 13…리프트 실린더(lift cylinder), 15…틸트 실린더(tiltcylinder), 20…동력장치, 21…엔진, 23…변속기, 26…가변용량형 유압펌프, 30…전후진 조작수단, 31…조작위치검출수단, 32…버킷높이 검출기, 40, 40A…제어장치, 41…용량제어장치, 43…틸트조작밸브, 44…리프트조작밸브, 45…저부(bottom)압 검출기, 50…컨트롤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제1발명은,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업차량은, 작업기를 작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소정의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갖추며, 상기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이 소정 값이하의 상태에서 소정시간이상을 경과하다가, 그 후에, 상기 실린더 저부측의 유압이 소정값을 넘었을 때에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하고, 다음으로 상기 유압펌프의 용량을 최대용량 이하의 소정용량으로 저감하기로 결정하고, 다음에 상기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방법으로 하고 있다.
제 1발명에 의하면,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이 소정시간, 소정의 값이하이다가, 그 후에, 소정 값을 상회했을 때에 작업차량은 굴삭작업개시인 것으로 판단하고, 유압펌프의 용량을 최대 용량이하의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방법으로 하고 있다.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은, 굴삭작업개시까지 반드시 필요한 소정시간, 소정압력이하의 상태가 있으며, 또한 유압은 굴삭작업중과 비굴삭작업중에서는 명백히 다르기 때문에 확실하게 굴삭작업중임을 판단할 수가 있고, 유효한 동력저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버킷이 대상물에 찔러넣어질 때까지 유압펌프용량은 저감되지 않기때문에 작업속도가 저하되어 작업자가 위화감을 느끼지 않는다.
제 2발명은, 제1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업차량은 전후진 조작수단을 갖추고, 상기 전후진 조작수단이, 전진에서 중립 또는 후진 조작위치로 변화했을 때에 굴삭작업종료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를 정지하는 방법으로 하고 있다.
제 2발명에 의하면, 작업자가 전후진 조작수단을 전진에서 중립 또는 후진위치로 했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여, 펌프용량저감제어를 정지시키는 제어방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굴삭작업종료의 판단이 확실하게 되어, 굴삭작업종료후에 작업기의 조작속도가 빨라져, 작업성이 저하될 염려가 없다.
제 3발명은, 제1 또는 제2발명에 있어서,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미리 정한 제 1설정시간이내에서 상기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이 소정값 이하가 됐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상기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를 정지하는 방법으로 하고 있다.
제 3발명에 의하면,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미리 정한 제 1설정시간이내에 실린더 저부측의 유압이 소정값 이하가 된 경우에는 굴삭작업은 계속되지않고,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펌프용량저감제어를 정지하는 제어방법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비굴삭작업시에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일은 없으며, 따라서 작업기속도가 저하되어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제 4발명은, 제 1 내지 제 3발명에 있어서,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상기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이 소정값 이하가 되고, 그 상태가 미리 정한 제 2설정시간을 넘었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상기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 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를 정지하는 방법으로 하고 있다.
제 4발명에 의하면, 굴삭개시로 판단한 후에,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이 소정값 이하가 되고, 그 상태가 미리 정한 제 2설정시간을 넘었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펌프용량저감제어를 정지하는 제어방법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오신호(誤信號)로 펌프용량저감제어를 개시하여도, 단시간에 오신호임을 판단할 수가 있어서,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를 정지할 수가 있어서, 작업능률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제 5발명은, 제 1 내지 제 4발명에 있어서,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작업기의 버킷높이가 소정 값이상이 됐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상기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으로 하고 있다.
제 5발명에 의하면, 굴삭개시로 판단한 후에, 버킷이 소정 높이 이상이 됐을때에, 펌프의 용량제어를 정지하도록 하였기때문에, 굴삭작업중에, 리프트 실린더를 조작하여, 버킷을 상승시켜, 대상물을 그러올려, 보다 많은 대상물을 버킷내로 퍼들이는 경우에, 버킷의 상승속도가 빨라져서, 작업성이 저하될 염려가 없다.
제 6발명은,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차량은 작업기를 작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소정의 압유를 공급하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를 갖추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을 검출하는 저부(bottom)압 검출기와, 상기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용량을 제어하는 용량제어장치와, 상기 저부압 검출기로부터의 검출치를 입력하고, 그 값이 소정값 이하의 상태에서 소정시간을 경과하다가, 그 후에, 상기 검출치가 소정 값을 상회했을 때에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하고, 상기 용량제어장치에 상기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용량을 최대용량 이하의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용량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6발명에 의하면, 실린더 저부측의 유압이 소정 값 이하의 상태에서 소정시간을 경과하다가, 그 후에, 소정 값을 상회했을 때에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킬 수가 있다. 즉 작업차량이 확실하게 굴삭작업중임을 검출하여 펌프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할 수 있으므로, 유효한 동략손실저감을 할 수가 있어서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작업차량을 얻을 수 있다.
제 7발명은, 제 6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업차량은, 전후진 조작수단과, 상기 전후진조작수단의 조작위치를 검출하는 조작위치검출수단과, 상기 조작위치검출수단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조작위치가 전진에서 중립 또는 후진위치로 변화했을 때에 상기 용량제어장치로 출력하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하는 컨트롤러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7발명에 의하면, 전후진조작수단의 조작위치가 중립 또는 후진위치에 있을 때에 용량제어장치에 출력하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용량을 저감시키는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굴삭작업종료시점을 확실히 검출할 수가 있어서 비굴삭작업시에 펌프용량이 저감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없는 작업차량을 얻을 수 있다.
제 8발명은, 제 6 또는 제 7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상기 저부압 검출기로부터의 검출치를 입력하여 미리 정한 제 1설정시간이내에서, 상기 검출치가 소정 값이하가 됐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상기 용량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하는 컨트롤러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8발명에 의하면, 저부압 검출기로부터의 검출치를 입력하여 그 값이 미리정한 제 1설정시간이내에서 소정 값이하가 됐을 때에 굴삭작업종료인 것으로 판단하고 유압펌프의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일시적으로 실린더 저부측 유압이 소정 값 이상이 됐다가, 단시간에 유압이 저하된 경우에는 유압펌프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는 정지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없는 작업차량을 얻을 수가 있다.
제 9발명은, 제 6 내지 제8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상기 저부압 검출기로부터의 검출치를 입력하여 그 값이 소정 값이하가 되고, 그 상태가 미리 정한 제 2설정시간을 넘었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하여 상기 용량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하는 컨트롤러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9발명에 의하면, 저부압 검출기로부터의 검출치를 입력하여 그 값이 소정 값이하가 되고 그 상태가 미리 정한 제 2설정시간을 상회한 경우에 굴삭작업종료인 것으로 판단하여, 유압펌프의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오신호(誤信號)로 펌프용량 저감제어를 개시하더라도 단시간에 오신호임을 판단할 수가 있어서 유압펌프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를 정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없는 작업차량을 얻을 수 있다.
제 10발명은, 제 6 내지 제 9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작업기의 버킷 높이를 검출하는 버킷높이 검출기와,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상기 버킷높이검출기로부터의 검출치를 입력하여 그 값이 소정 값이상이 됐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상기 용량제어장치로 출력하는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하는 컨트롤러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0발명에 의하면, 버킷높이검출기로부터의 검출치를 입력하여 그 값이 소정 값이상이 됐을 때에 굴삭작업종료인 것으로 판단하고 유압펌프의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할 수가 있다. 그로 인해, 굴삭작업중에 리프트 실린더를 조작하여 버킷을 상승시켜 대상물을 들어올려서 보다 많은 대상물을 버킷내에 퍼들이는 경우에 버킷이 소정의 높이 이상이 됐을 때에, 펌프의 용량제어를 정지하므로, 버킷의 상승속도가 빨라져 작업성이 저하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없는 작업차량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과 제어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며 상술한다.
도 1은 작업차량의 일례인 휠로더(1)의 측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작업차량(1)은 운전실(2), 엔진룸(3) 및 후륜(4), (4)을 가진 후부차체(5)와, 전륜(6), (6)을 가진 전부(前部)프레임(7)을 가지고 있다. 전부 프레임(7)에는 작업기(10)가 부착되어 있다. 즉 전부프레임(7)에 기단부(基端部)를 요동 자유롭게 부착된 리프트 암(lift arm)(11)의 선단부(先端部)에는 버킷(12)이 요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전부 프레임(7)과 리프트 암(11)은 한쌍의 리프트 실린더(13), (13)에 의하여 연결되며, 리프트 실린더(13), (13)를 신축함으로써 리프트 암(11)은 요동한다. 리프트 암(11)에는 틸트암(tilt arm)(14)의 대략 중앙부가 요동 자유롭게 지지되며 그 일단부(一端部)와 전부프레임(7)은 틸트 실린더(1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틸트 암(14)의 타단부(他端部)와 버킷(12)은 틸트로드(16)에 의하여 연결되며 틸트 실린더(15)를 신축하면 버킷(12)은 요동한다. 후부차체(5)에는 동력장치(20)가 탑재되어 있다. 동력장치(20)는 엔진(21), 토크컨버터(torque converter)(22), 전후진변환, 복수단(複數段)의 변속단 변환이 가능한 변속기(23), 분배기(24) 및 후륜(4) 및 전륜(6)을 구동하는 감속기(25), (2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엔진(21)은 리프트 실린더(13), 틸트 실린더(15)에 압유를 공급하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26)를 구동한다. 운전실(2)내에는 전후진 조작수단(30)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휠로더(1)의 굴삭, 적하작업 공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진공정: 운전자는 리프트 실린더(13) 및 틸트 실린더(15)를 조작하여 버킷(12)을 굴삭자세로 만들고, 전후진 조작수단(30)을 조작하여 차량을 굴삭, 적하대상물을 향하여 전진시킨다.
굴삭공정: 버킷(12)의 날끝을 대상물에 찔러넣고, 틸트 실린더(15)를 조작하여 버킷(12)을 틸트백시켜서 버킷(12)내로 대상물을 퍼담는다.
후진공정: 버킷(12)에 대상물을 퍼담은 후 차량을 후진시킨다.
전진, 붐 상승공정: 차량을 전진시키면서 리프트 실린더(13)를 신장시켜 리프트 암(11)을 상승시켜서 버킷(12)을 적하위치까지 상승시키면서 덤프트럭에 접근한다.
배토(排土)공정: 소정위치까지 버킷(12)을 내려뜨려 대상물을 덤프트럭의 짐칸에 적하한다.
후진, 붐 하강공정: 차량을 후진시키면서 리프트 암(11)을 내려 버킷(12)을 굴삭자세로 만든다.
상기 공정을 되풀이하여 굴삭, 적하를 행한다.
도 2에는 버킷(12)으로 굴삭하고 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차량을 화살표 A방향으로 전진시켜서 버킷(12)의 날끝을 대상물(Z)에 찔러넣고, 틸트백하면 버킷(12)에는 화살표 B, C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그러므로 리프트 실린더(13) 및 틸트 실린더(15)의 저부측에는 높은 유압이 발생한다. 또한 작업자세에 따라서는버킷(12)에는 화살표 D방향의 힘이 가해져 이 경우에는 틸트 실린더(15)의 헤드측에 높은 유압이 발생한다. 이들 유압은 굴삭작업시와 비굴삭작업시에서 명백하게 다르다. 따라서 리프트 실린더 저부(bottom)압의 기준치를 정해 굴삭작업중인지 아닌지 확실히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틸트 실린더(15)의 저부측에도 높은 유압이 발생하므로, 틸트 실린더 저부압의 기준치를 정해 굴삭작업중인지 아닌지 확실하게 판단할 수도 있다.
도 3은, 상술한, 휠로더(1)의 굴삭, 적하작업시의 각 공정에서 리프트 실린더(13)의 저부측에 발생하는 유압변화의 일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세로축은 리프트 실린더(13)의 저부측의 유압이며 가로축은 시간이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프트 실린더(13)의 저부압은 전진공정에서는 낮고 굴삭공정에서는 높게되며 굴삭종료하여 후진이 됨과 동시에 낮아진다. 현재 소정의 압력 P를 설정한 경우, 리프트 실린더(13)의 저부압은, 전진공정에서는 전구역에 걸쳐서 P보다 낮으며 굴삭공정에서는 전구역에 걸쳐서 P보다 대폭 높아 그 차이는 명확하다. 또, 후진공정, 전진, 붐상승공정, 배토공정의 전반(前半)에서는 P보다 높고, 그 후에는 P보다 낮게 되어 있다. 전진공정의 시간은 반드시 몇초간(예컨대 5초) 존재한다. 따라서 리프트 실린더(13)의 저부압이 소정 시간(예컨대 1초), 소정 압력 P보다 낮다가, 그 후에 P보다 높게 된 시점을 검출함으로써 확실히 굴삭작업 개시시점을 검지할 수가 있다. 전후진조작수단(30)을 후진으로 했을 때를 굴삭작업종료로 하고, 굴삭작업 개시점과 굴삭작업 종료점 사이의 굴삭공정에서 유압펌프의 용량저감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이하에 유압펌프의 제어방법과 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제어장치(40)의 일례를 나타낸 계통도이다. 도 4에 있어서, 가변용량형 유압펌프(26)에는 용량제어장치(41)가 접속되어 있다. 가변용량형 유압펌프(26)의 토출(吐出)회로(42) 위에는 틸트 실린더(15)에 접속하는 틸트조작밸브(43)와, 리프트 실린더(13)에 접속하는 리프트조작밸브(44)가 장치되어 있다. 리프트 실린더(13)의 저부측에는 저부압 검출기(45)가 설치되어 있다. 저부압 검출기(45)는 예컨대 압력스위치이다. 용량제어장치(41)와 저부압 검출기(45)는, 각각 컨트롤러(5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러(50)는, 전후진조작수단(30)의 조작위치를 검출하는 조작위치검출수단(31)과 접속하여 변속기(23)가 전진, 중립, 후진 의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제어방법에 대해서 도5의 순서도에 기초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개시후 스텝(101)에서 컨트롤러(50)는 저부압 검출기(45)로부터의 검출결과를 입력하여 리프트 실린더 저부압이 소정압력 P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101)에서 NO인 경우에는 스텝(101) 전으로 돌아간다. 스텝(101)에서 YES인 경우에는 스텝(102)로 진행하며 컨트롤러(50)는 시간계측을 시작한다.
스텝(103)에서 컨트롤러(50)는, 리프트 실린더 저부압이 소정압력 P이하의 상태가 소정시간(예컨대 1초)이상 지속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103)에서 NO인 경우에는 스텝(103) 전으로 되돌아간다.
스텝(103)에서 YES인 경우에는 스텝(104)로 진행하며 컨트롤러(50)는 리프트 실린더 저부압이 소정압력 P를 넘었는지 그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104)에서 NO인 경우에는 스텝(104) 전으로 되돌아간다.
스텝(104)에서 YES인 경우에는 스텝(105)로 진행하며 컨트롤러(50)는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다.
스텝(106)에서 컨트롤러(50)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26)의 최대용량 Qmax보다 저감된 소정용량 Q를 Q =* Qmax로 설정한다. 여기에서는, 예컨대 휠로더(1)가 작업할 경우의 주행구동력이나 유압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정해지는 계수여도, 휠로더(1)가 작업하는 현장의 토질등(흙, 암석등의 종류, 밀도, 점도)에 의하여 정해지는 계수여도 되며,는 통상 0.5∼0.9이다. 따라서 예컨대가 0.7이면 소정용량 Q는 최대용량 Qmax의 0.7배 용량으로 설정한다.
스텝(107)에서 컨트롤러(50)는 용량제어장치(41)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가변용량형 유압펌프(26)의 용량을 상기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킨다.
굴삭작업이 종료된 시점에서 운전자는 스텝(108)에서 전후진조작수단(30)을 조작하여 변속기(23)를 중립 또는 후진으로 변환시킨다.
스텝(109)에서 컨트롤러(50)는 조작위치검출수단(31)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변속기(23)가 중립 또는 후진위치에 있는지 그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109)에서 NO인 경우에는 스텝(108) 전으로 되돌아간다.
스텝(109)에서 YES인 경우에는 스텝(110)으로 진행하며 컨트롤러(50)는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스텝(111)으로 진행한다.
스텝(111)에서 컨트롤러(50)는 펌프용량제어를 중지하고 가변용량형 유압펌프(26)의 용량을 제어전으로 되돌린다.
스텝(105)에서 컨트롤러(50)는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 스텝(112)에서 시간계측을 시작한다.
스텝(113)에서 컨트롤러(50)는 리프트 실린더 저부압이 소정압력 P를 상회한 시간이 미리 정한 제 1설정시간(예컨대 1초)을 넘었는지 안넘었는지를 판정한다.
스텝(112, 113)은 상술한 스텝(106, 107)과 병렬적으로 진행된다.
스텝(113)에서 NO인 경우에는 컨트롤러(50)는, 굴삭작업은 계속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텝(110)으로 진행하여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한다.
스텝(113)에서 YES인 경우에는 컨트롤러(50)는 굴삭작업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텝(108)로 진행한다. 그 사이 유압펌프용량 저감제어는 행해진다.
스텝(105)에서 컨트롤러(50)는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스텝(114)에서 리프트 실린더 저부압이 소정압력 P보다 내려갔는지 그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114)에서 NO인 경우에는 스텝(114)전으로 되돌아간다.
스텝(114)에서 YES인 경우에는 컨트롤러(50)는 스텝(115)에서 시간계측을 시작한다.
스텝(116)에서 컨트롤러(50)는 리프트 실린더 저부압이 소정압력 P보다 내려간 시간이 미리 정한 제 2설정시간(예컨대 0.5초)이상 지속됐는지 그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114, 115, 116)은 스텝(106, 107)과 병렬적으로 진행된다.
스텝(116)에서 NO인 경우에는 스텝(116) 전으로 되돌아간다.
스텝(116)에서 YES인 경우에는 컨트롤러(50)는 굴삭작업중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스텝(110)으로 진행하여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량의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제어방법과 제어장치는, 상기와 같은 방법 및 구성으로 하였기때문에, 아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리프트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이 소정시간, 소정 값 이하에서, 그 후에, 소정 값을 상회했을 때에, 작업차량은 굴삭작업개시한 것으로 판단하고 펌프용량을 최대용량보다 적은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게 되어 있다. 리프트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은 굴삭작업전의 차량전진중과 굴삭작업중에서 명백한 차이가 있기때문에, 확실히 굴삭작업개시임을 판단할 수가 있다. 따라서 유효한 동력손실저감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버킷이 대상물에 찔러넣어질 때까지 유압펌프의 용량은 저감되지 않기때문에 작업속도가 저하되어 작업자가 위화감을 느끼는 일은 없다.
굴삭작업종료후에 작업자가 전후진조작수단을 중립 또는 후진 위치로 했을 때에 펌프의 용량제어를 정지하도록 했기때문에 굴삭작업 종료시점을 명확히 판단할 수 있다. 굴삭작업 종료후에는 작업기의 조작속도가 빨라져,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다.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미리 정한 제 1설정시간이내에 리프트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이 소정 값이하가 된 경우에는 굴삭작업은 계속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펌프용량 저감제어를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로 인해, 비굴삭작업중에도 불구하고 펌프용량을 저감시켜 작업효율을 저하시킬 우려는 없다.
굴삭개시로 판단한 후에 리프트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이 소정 값이하가 되고, 그 상태가 미리 정한 제 2설정시간을 상회했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펌프용량 저감제어를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로 인해, 예컨대 오신호로 펌프용량저감제어를 개시하여도, 단시간에 오신호임을 판단할 수가 있고,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를 정지할 수 있어 작업능률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리프트 실린더(13)의 저부측에 저부(bottom)압 검출기(45)를 설치하고, 리프트 실린더(13)의 저부측 유압이 소정 시간, 소정 값 이하에서, 그 후에 소정 값을 넘었을 때에, 작업차량은 굴삭작업개시한 것으로 판단하고, 펌프용량을 최대용량보다 적은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도록 하고 있는데, 틸트 실린더(15)의 저부측에 저부압 검출기를 설치하고, 틸트 실린더(15)의 저부측 유압이 소정시간, 소정 값 이하에서, 그 후, 소정 값을 넘었을 때에, 작업차량은 굴삭작업개시한 것으로 판단하고, 펌프용량을 최대용량보다 적은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도록 하여도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과 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도7~9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7은 휠로더(1)의 전부(前部)측면도로서, 도1에서 설명한 휠로더(1)에 버킷높이검출기(32)를 구비한 점이 다르며, 기타 부분은 동일하다. 또한 도8은 제어장치(40A)의 일례를 나타낸 계통도이다. 제어장치(40A)는 도4에서 설명한 제어장치(40)에 버킷높이검출기(32)를 구비한 점이 다르며 기타 부분은 동일하다. 도9는 본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인데, 도5의 순서도와는 스텝(118)이 추가된 점이 다르며 기타 부분은 동일하다. 따라서 도7~9의 설명에서는 도1~5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달아서 설명을 생략한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부(前部)프레임에는 리프트 암(11)의 기단부(基端部) 상면(上面)의 전부프레임(7)에 대한 위치를 검출하는 버킷높이검출기(32)가 구비되어 있다. 전부프레임(7)에 기단부를 요동 자유롭게 부착된 리프트 암(11)의 선단부에는, 버킷(12)이 버킷힌지핀(12P)에 의하여 요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고, 버킷힌지핀(12P)중심의 지표면(GL)로부터의 높이(H)가 소정의 높이, 예컨대 1.5m가 됐을 때에 버킷높이검출기(32)로부터 신호가 발신된다. 즉, 작업기(10)의 버킷(12) 높이가 소정 값이상일 때에 버킷높이검출기(32)가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있다. 버킷높이 검출기(32)는 예컨대 근접센서로서 리프트 암(11)의 기단부 상면이 근접센서에 소정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전기신호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킷높이검출기(32)는 컨트롤러(50)에 접속하고 있다. 컨트롤러(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킷높이검출기(32)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버킷(12)이 소정높이 이상이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삭공정에서, 버킷(12)의 날끝을 대상물에 찔러넣고, 틸트 실린더(15)를 조작하여 버킷(12)을 틸트백시켜 버킷(12)내에 대상물을 퍼담는 경우에, 리프트 실린더(13)를 조작하여 버킷(12)을 화살표 Y방향과 같이 상승시켜 대상물을 그러올려 보다 많은 대상물을 버킷(12)내로 퍼담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유압펌프의 용량제어를 행한 채로 있다면 유압펌프의 토출량이 적기때문에 리프트 실린더(13)의 신장속도가 느리고, 따라서 버킷(12)의 상승속도가 느려져, 작업효율이 저하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버킷(12)이 소정높이가 됐을 때에는, 유압펌프의 용량제어를 정지하여 버킷(12)의 상승속도를 빠르게 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9의 순서도에 기초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스텝(105)에서 컨트롤러(50)는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스텝(118)에서 컨트롤러(50)는 버킷높이검출기(32)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버킷(12)의 높이가 소정 값이상이 됐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118)은 상술한 스텝(106,107)과 병렬적으로 진행된다.
스텝(118)에서 YES인 경우에는 컨트롤러(50)는, 굴삭작업은 계속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텝(110)으로 진행하여 컨트롤러(50)는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스텝(111)로 진행한다.
스텝(118)에서 NO인 경우에는 컨트롤러(50)는 굴삭작업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스텝(108)으로 진행한다. 그 사이에 유압펌프용량 저감제어는 행해진다.
본 실시예의 작업차량의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제어방법과 제어장치는, 상기와 같은 방법 및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굴삭작업중에 리프트 실린더(13)를 조작하여 버킷(12)을 상승시켜 대상물을 그러올려 보다 많은 대상물을 버킷(12)내에 퍼담는 경우에 버킷(12)이 소정높이 이상이 됐을 때에 펌프의 용량제어를 정지하도록 했기때문에 버킷(12)의 상승속도가 빨라져,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없다.
버킷높이검출기(32)는 일례로서 근접스위치로 되어 있는데, 리프트 암(11)의 각도를 검출하여 버킷(12)의 버킷힌지핀(12P)의 높이를 검출하도록 해도 되고, 리프트 실린더(13)의 스트로크를 검출하여 버킷(12)의 버킷힌지핀(12P)의 높이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실린더의 저부(bottom)압 검출기(45), 조작위치검출수단(31), 및 가변용량형 유압펌프(26)의 용량제어장치(41)를 컨트롤러(50)에 접속한다. 컨트롤러(50)는 저부압 검출기(45)로부터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실린더 저부압이 소정시간, 소정치 이하의 상태가 계속되다가, 그 후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하여 가변용량형 유압펌프(26)의 용량을 최대용량 이하의 소정용량으로 저감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조작위치검출수단(31)으로부터의 신호로 변속기가 중립 또는 후진이 됐을 때에는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여 펌프용량제어를 중지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효과는 아래와 같다.
청구범위 제 1항에 의하면,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이 소정시간, 소정의 값이하이다가, 그 후에, 소정 값을 상회했을 때에 작업차량은 굴삭작업개시인 것으로 판단하고, 유압펌프의 용량을 최대 용량이하의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방법으로 하고 있다.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은, 굴삭작업개시까지 반드시 필요한 소정시간, 소정압력이하의 상태가 있으며, 또한 유압은 굴삭작업중과 비굴삭작업중에서는 명백히 다르기 때문에 확실하게 굴삭작업중임을 판단할 수가 있고, 유효한 동력저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버킷이 대상물에 찔러넣어질 때까지 유압펌프용량은 저감되지 않기때문에 작업속도가 저하되어 작업자가 위화감을 느끼지 않는다.
청구범위 제 2항에 의하면, 작업자가 전후진 조작수단을 전진에서 중립 또는 후진위치로 했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여, 펌프용량저감제어를 정지시키는 제어방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굴삭작업종료의 판단이 확실하게 되어, 굴삭작업종료후에 작업기의 조작속도가 빨라져, 작업성이 저하될 염려가 없다.
청구범위 제 3항에 의하면,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미리 정한 제 1설정시간이내에 실린더 저부측의 유압이 소정값 이하가 된 경우에는 굴삭작업은 계속되지않고,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펌프용량저감제어를 정지하는 제어방법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비굴삭작업시에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일은 없으며, 따라서 작업기속도가 저하되어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청구범위 제 4항에 의하면, 굴삭개시로 판단한 후에,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이 소정값 이하가 되고, 그 상태가 미리 정한 제 2설정시간을 넘었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펌프용량저감제어를 정지하는 제어방법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오신호(誤信號)로 펌프용량저감제어를 개시하여도, 단시간에 오신호임을 판단할 수가 있어서,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를 정지할 수가 있어서, 작업능률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 5항에 의하면, 굴삭개시로 판단한 후에, 버킷이 소정 높이 이상이 되었을 때에, 펌프의 용량제어를 정지하도록 하였기때문에, 굴삭작업중에, 리프트 실린더를 조작하여, 버킷을 상승시켜, 대상물을 그러올려, 보다 많은 대상물을버킷내로 퍼들이는 경우에, 버킷의 상승속도가 빨라져서, 작업성이 저하될 염려가 없다.
청구범위 제 6항에 의하면, 실린더 저부측의 유압이 소정 값 이하의 상태에서 소정시간을 경과하다가, 그 후에, 소정 값을 상회했을 때에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킬 수가 있다. 즉 작업차량이 확실하게 굴삭작업중임을 검출하여 펌프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할 수 있으므로, 유효한 동략손실저감을 할 수가 있어서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작업차량을 얻을 수 있다.
청구범위 제 7항에 의하면, 전후진조작수단의 조작위치가 중립 또는 후진위치에 있을 때에 용량제어장치에 출력하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의 용량을 저감시키는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굴삭작업종료시점을 확실히 검출할 수가 있어서 비굴삭작업시에 펌프용량이 저감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없는 작업차량을 얻을 수 있다.
청구범위 제 8항에 의하면, 저부압 검출기로부터의 검출치를 입력하여 그 값이 미리정한 제 1설정시간이내에서 소정 값이하가 됐을 때에 굴삭작업종료인 것으로 판단하고 유압펌프의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일시적으로 실린더 저부측 유압이 소정 값 이상이 됐다가, 단시간에 유압이 저하된 경우에는 유압펌프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는 정지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없는 작업차량을 얻을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 9항에 의하면, 저부압 검출기로부터의 검출치를 입력하여 그 값이 소정 값이하가 되고 그 상태가 미리 정한 제 2설정시간을 상회한 경우에 굴삭작업종료인 것으로 판단하여, 유압펌프의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오신호(誤信號)로 펌프용량 저감제어를 개시하더라도 단시간에 오신호임을 판단할 수가 있어서 유압펌프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를 정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없는 작업차량을 얻을 수 있다.
청구범위 제 10항에 의하면, 버킷높이검출기로부터의 검출치를 입력하여 그 값이 소정 값이상이 됐을 때에 굴삭작업종료인 것으로 판단하고 유압펌프의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할 수가 있다. 그로 인해, 굴삭작업중에 리프트 실린더를 조작하여 버킷을 상승시켜 대상물을 들어올려서 보다 많은 대상물을 버킷내에 퍼들이는 경우에 버킷이 소정의 높이 이상이 됐을 때에, 펌프의 용량제어를 정지하므로, 버킷의 상승속도가 빨라져 작업성이 저하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작업효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없는 작업차량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업차량은, 작업기(10)를 작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소정의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를 갖추며,
    상기 실린더의 저부(bottom)측의 유압이 소정 값이하의 상태에서 소정시간이상을 경과하고,
    그 후에 상기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이 소정 값을 넘었을 때에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하고,
    다음에 상기 유압펌프의 용량을 최대용량이하의 소정용량으로 저감하기로 정하고,
    다음에 상기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차량은, 전후진 조작수단(30)을 갖추며,
    상기 전후진 조작수단(30)이, 전진에서 중립 또는 후진 조작위치로 변화했을 때에 굴삭작업종료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미리 정한 제 1설정시간이내에서 상기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이 소정 값이하가 됐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상기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상기 실린더의 저부측의 유압이 소정 값이하가 되고, 그 상태가 미리 정한 제 2설정시간을 넘었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상기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
  5. 제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 작업기(10)의 버킷높이가 소정 값이상이 되었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상기 유압펌프의 용량을 소정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제어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
  6.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차량은, 작업기(10)를 작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소정의 압유를 공급하는 가변용량형 유압펌프(26)를 갖추며,
    상기 제어장치(40)는,
    상기 실린더의 저부측 유압을 검출하는 저부(bottom)압 검출기(45)와,
    상기 가변용량형 유압펌프(26)의 용량을 제어하는 용량제어장치(41)와,
    상기 저부압 검출기(45)로부터의 검출치를 입력하여, 그 값이 소정 값이하의 상태에서 소정시간을 경과하고, 그 후에 상기 검출치가 소정 값을 넘었을 때에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하고, 상기 용량제어장치(41)에 상기 가변용량형 유압펌프(26)의 용량을 최대용량 이하의 소정 용량으로 저감시키는 용량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5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차량은,
    전후진 조작수단(30)과,
    상기 전후진 조작수단(30)의 조작위치를 검출하는 조작위치검출수단(31)과,
    상기 조작위치검출수단(31)으로부터의 검출신호를 입력하고 조작위치가 전진에서 중립 또는 후진 위치로 변화했을 때에 상기 용량제어장치(41)에 출력하는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하는 컨트롤러(5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장치.
  8.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는,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상기 저부압 검출기(45)로부터의 검출치를 입력하고, 미리 정한 제 1설정시간이내에서, 상기 검출치가 소정 값이하가 됐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상기 용량제어장치(41)에 출력하는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하는 컨트롤러(5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장치.
  9. 제 6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는,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상기 저부압 검출기(45)로부터의 검출치를 입력하고, 그 값이 소정 값이하가 되고, 그 상태가 미리 정한 제 2설정시간을 넘었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상기 용량제어장치(41)에 출력하는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하는 컨트롤러(5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장치.
  10. 제 6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는,
    상기 작업기(10)의 버킷(12) 높이를 검출하는 버킷높이검출기(32)와,
    굴삭작업개시로 판단한 후에, 상기 버킷높이검출기(32)로부터의 검출치를 입력하고, 그 값이 소정 값이상이 됐을 때에 굴삭작업종료로 판단하고, 상기 용량제어장치(41)에 출력하는 용량제어신호의 발신을 정지하는 컨트롤러(5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장치.
KR1020030069492A 2002-10-23 2003-10-07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과 제어장치 KR200400365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07834 2002-10-23
JPJP-P-2002-00307834 2002-10-23
JP2003022319 2003-01-30
JPJP-P-2003-00022319 2003-0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549A true KR20040036549A (ko) 2004-04-30

Family

ID=37335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492A KR20040036549A (ko) 2002-10-23 2003-10-07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과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65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632B1 (ko) * 2004-04-30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3d 게임 방향 전환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632B1 (ko) * 2004-04-30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3d 게임 방향 전환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116B1 (ko) 엔진 출력 제어 장치
JP4223893B2 (ja) 作業車両の作業機用油圧ポンプの制御方法と制御装置
KR101414329B1 (ko) 작업 차량의 주행 제어 장치
EP2667059B1 (en) Wheel loa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wheel loader
JP5616579B2 (ja) 作業車両用エンジンのパワー出力の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JP2007321554A (ja) ローダーの電子的フロート特性制御システム
CN108678049B (zh) 挖掘机斗杆挖掘阻力优化控制方法及控制系统
US20200056354A1 (en) Work vehicle
CN111373228B (zh) 作业车辆、包括作业车辆的系统及作业车辆的装载重量计算方法
JP2008248523A (ja) 作業車両
WO2017061220A1 (ja) 建設機械
KR20040036549A (ko) 작업차량의 작업기용 유압펌프의 제어방법과 제어장치
JP3853208B2 (ja) 作業車両の作業機用油圧ポンプの制御方法と制御装置
JPH11210514A (ja) 建設機械の原動機制御装置
JP3922701B2 (ja) 作業車両の作業機用油圧ポンプの制御方法と制御装置
KR20200090804A (ko) 쇼벨
JP4183722B2 (ja) 作業車両の作業機用油圧ポンプの制御装置
JP4478538B2 (ja) 作業車両の作業機用油圧ポンプの容量制御方法及び容量制御装置
JP2010112019A (ja) 作業車両
EP3660223A1 (en) Construction machinery
JP4007593B2 (ja) 作業車両の作業機用油圧ポンプの制御装置
CN110418865B (zh) 作业车辆以及作业车辆的控制方法
CN110462140B (zh) 作业车辆以及作业车辆的控制方法
JP6692882B2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の制御方法、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及び作業機
JPH0689553B2 (ja) 積込機械の自動掘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