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518A - 관리 장치, 단말 장치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리 장치, 단말 장치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518A
KR20040034518A KR1020030072524A KR20030072524A KR20040034518A KR 20040034518 A KR20040034518 A KR 20040034518A KR 1020030072524 A KR1020030072524 A KR 1020030072524A KR 20030072524 A KR20030072524 A KR 20030072524A KR 20040034518 A KR20040034518 A KR 20040034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cessing
terminal
information
reque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마모토요시키
다케히데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51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2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 for e-comme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관리 시스템은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의 파일 정보의 취득을 요구하여 관리 장치(100)에 대하여 처리 의뢰를 위한 의뢰 신호를 발행하는 처리 의뢰 단말(110), 파일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의뢰처 단말(120) 및 처리 의뢰 단말(110)과 의뢰처 단말(120)간에 교환되는 파일 정보의 관리를 행하는 관리 장치(100)가 네트워크 버스(130)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관리 장치, 단말 장치 및 관리 시스템{MANAGEMENT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나 정보 단말 등으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 장치간에 처리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 및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수의 단말이 접속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피어 투 피어라고 하는 개인용 컴퓨터 등의 단말간의 유료 콘텐츠 파일이나 저작권 보호가 필요한 정보를 배송하는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이 단말간의 콘텐츠 파일 등의 데이터의 교환에서는, 종래의 서버 장치가 유일하게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여 처리를 요구하는 단말에 송신하는 형태가 아니라, 콘텐츠 홀더 등의 단말 장치와 처리를 요구하는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이러한 단말간끼리의 유료 정보 배송 서비스에서는, 구입 희망자에 대하여 콘텐츠를 유지하는 콘텐츠 홀더나 저작권 관리자가 인정한 정규 정보만을 배송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그리고, 단말간의 데이터 교환의 정당성을 관리하기 위해 네트워크 버스를 통해 관리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다. 도 20은 종래의 네트워크를 통한 관리 장치(2001) 및 단말간의 데이터 관리의 전체도를 도시한다.
도 20에서 처리 의뢰 단말(2003)은 배송을 희망하는 콘텐츠 파일이, 예컨대「music.mp3」인 것을 관리 장치(2001)에 송신한다. 관리 장치(2001)에서는 취득을 희망하는 파일의 의뢰처 단말(2002)을 기재한 리스트를 참조하여, 요구된 파일 정보「music.mp3」를 유지하고 있는 의뢰처 단말(2002)의 검색을 한다. 그리고, 관리 장치(2001)는 이 검색 결과를 네트워크 버스를 통해, 배송 요구하는 처리 의뢰 단말(2003)에 대하여 반송한다. 이에 따라, 처리 의뢰 단말(2003)에서는 파일「music.mp3」를 유지하는 의뢰처 단말(2002)과의 사이에서 교환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서버 장치를 통하지 않고 단말에서 단말에 대하여 정규 정보만을 배송 확인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전자 워터마크(watermark)라고 하는 방법도 있다. 이 전자 워터마크에 의하면, 처리되는 정보 본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정보의 정당성을 도시하는 정보를「워터마크」로서 적용한다.
또한, 단말 장치에서 등록되는 정보의 종류를 체크하여, 규정된 종류 이외의정보의 등록을 거부하는 방법도 있다(예컨대, 일본국 특개평07-105290호 공보 참조). 이 특허 문헌1에서는 설정된 장표 데이터의 종류와 다른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 그 등록을 거부하여 장표 데이터의 오입력을 정확하게 저지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콘텐츠 파일의 교환에서는, 인증 서버라고 하는 장치를 네트워크 상에 구비하고, 콘텐츠 파일을 유일하게 관리하여 서버 장치 측에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지의 여부를 사용자 단말마다 판단하여, 사용자가 취득을 희망하는 콘텐츠 파일을 서버 장치로부터 단말측에 송신하는 형태가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도 20의 관리 장치를 이용한 단말간의 데이터의 교환을 관리하는 방법에서는, 관리 장치는 배송원이 되는 단말을 특정할 뿐, 파일 실체의 교환은 단말간에 직접 행하여지기 때문에, 단말간에 저작권 침해가 되는 파일 정보나, 부정한 바이러스 파일이 배송처의 단말 장치에 송신되는 위험성이 있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간에 자유로운 데이터의 교환을 하였다고 해도 관리 장치에서는 부정 행위의 방지 등의 관리는 할 수 없다.
또한, 상술한 전자 워터마크를 이용한 방식으로는 「워터마크」를 인증할 때의 단말에서의 처리 부하가 크고, 처리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1에 나타내는 방법으로는 단말 자체가 등록되는 데이터의 정당성을 확인하므로, 단말 측에서 부정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더욱이, 단말 장치의 데이터 처리에서 인증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서버 장치에서 유일하게 데이터를 관리하여 배송하기 위해서, 인증이나 배송이라는 모든 처리를 서버 장치가 담당함으로써, 서버 장치로의 액세스 집중 등에 의한 처리 부담이 생긴다. 또한, 서버 장치에서 데이터의 배송처 단말이 인증되면, 예컨대 유료 콘텐츠 배송과 같이 회원제가 폐쇄된 네트워크에서는 어떠한 정보가 교환되었는지 관리할 수 없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간에 처리되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경우에는 단말간 및 관리 장치에서 큰 처리 부담을 주지 않고 데이터의 교환을 관리하고, 또한 단말간에서는 부정한 데이터 처리를 방지하여 안전성이 확인된 데이터의 교환을 할 수 있는 관리 장치 및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관리 장치는 청구항1 및 청구항2, 보다 바람직하게는 청구항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관리 장치에서는 처리를 개시하는 단말 장치로부터의 허가 의뢰 신호를 수신하고, 검증 수단에서 단말간에 교환되는 데이터의 정당성을 해당 데이터에 따라서 검증하며, 검증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에 허가 신호를 발행한다. 따라서, 관리 장치는 허가 신호에 따라서 단말 장치간의 데이터의 교환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 수단은 처리 대상의 데이터의 일부를 이용해 검증하기 때문에, 관리 장치 측에서는 모든 데이터를 기록, 관리할 필요 없이 검증 처리에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단말 장치는 청구항14 및 청구항15, 보다 바람직하게는 청구항17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관한 단말 장치에서는, 다른 단말 장치와의 데이터의 처리를 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처리 허가 신호를 생성하여 관리 장치에 송신한다. 또한, 단말 장치는 관리 장치로부터 데이터의 해당 정보의 답변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정보의 작성을 하여 관리 장치에 답변한다. 또한, 단말 장치에서는 관리 장치로부터의 처리의 허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단말 장치와의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부정한 데이터의 처리를 방지하고, 관리 장치에서 안전성이 확보된 데이터의 교환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관리 장치 및 단말 장치로서 실현될 뿐 아니라, 이 관리 장치와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관리 시스템, 이 관리 장치가 구비하는 수단을 스텝으로 하는 관리 방법, 해당 관리 방법을 컴퓨터 등에서 실현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실현하거나, 해당 프로그램을 DVD, CD-ROM 등의 기록 매체나 통신 네트워크 등의 전송 매체를 통해 유통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실시 형태1에 관한 단말간의 데이터 처리에서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2는 실시 형태1에 관한 관리 장치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1에 관한 처리 의뢰 단말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실시 형태1에 관한 의뢰처 단말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실시 형태1에 관한 관리 시스템 전체에서의 데이터의 흐름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1에 관한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장치와 처리 의뢰 단말과 의뢰처 단말과의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1에 관한 관리 장치가 처리 의뢰 단말로부터 배송의 허가 의뢰 신호를 수신한 후 배송 허가 신호를 처리 의뢰 단말에 송신하기까지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실시 형태1에 관한 처리 의뢰 단말에서 관리 장치에 허가 의뢰 신호가 송신된 후 배송 의뢰를 발행하기까지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실시 형태1에 관한 의뢰처 단말이 관리 장치로부터 데이터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처리 의뢰 단말에 대하여 파일 정보의 배포를 시작하기까지의 동작 순서에 관하여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1에 관한 관리 시스템에서 콘텐츠 홀더가 되는 의뢰처 단말에서 관리 장치에 작성한 파일 정보를 업로드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해당 정보 추출부를 구비한 관리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2는 허가 신호 발행부 및 데이터 확인부의 양쪽의 기능을 더불어 갖는 처리 단말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2에 관한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 장치, 처리 의뢰 단말 및 의뢰처 단말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실시 형태2에 관한 관리 장치의 허가 의뢰를 수신한 후 허가 정보를 발행하기까지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는 데이터 등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참고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3에 관한 관리 시스템의 전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실시 형태3에 관한 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의 흐름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3에 관한 처리 의뢰 단말이 의뢰처 단말에 대하여 발행하는 처리 허가 의뢰 신호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9는 실시 형태4에 관한 리모트 메인터넌스에 이용하는 관리 시스템의 전체도를 도시한다.
도 20은 종래의 네트워크를 통한 관리 장치 및 단말간에서의 데이터 관리의 전체도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관리 장치110: 처리 의뢰 단말
120: 의뢰처 단말130: 네트워크 버스
101,111,121: 통신부102: 허가 신호 수신부
103: 허가 신호 송신부104: 허가 신호 처리부
105,123: 데이터 확인부112,122: 허가 정보 수신부
113: 허가 신호 발행부114,124: 데이터 처리부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및 도면은 예시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기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단말 장치간의 음악 파일이나 동화상 파일의 콘텐츠파일의 배송에서의 처리에 관해 설명을 하지만, 단말간의 처리는 배송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파일 정보의 이동이나 소거 등에서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1)
도 1은 본 실시 형태1에 관한 단말간의 데이터 처리에서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의 일례이다. 본 실시 형태1에 관한 관리 시스템은 처리 의뢰 단말(110), 의뢰처 단말(120) 및 처리 의뢰 단말(110)과 의뢰처 단말(120) 사이에서 교환되는 파일 정보의 관리를 하는 관리 장치(100)가 네트워크 버스(130)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구성된다.
단말간에 교환되는 파일 정보의 관리를 하는 관리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처리 의뢰 단말(110) 및 의뢰처 단말(120)과 통신하는 통신부(101), 처리 의뢰 단말(110)로부터 송신되는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수신하는 허가 신호 수신부(102), 데이터 확인부(105)에서의 확인 내용에 따라서 처리 의뢰 단말(110) 및 의뢰처 단말(120)에 처리의 허가 신호, 혹은 불허가 신호를 송신하는 허가 정보 송신부(103), 허가 신호 수신부(102)에서 수신된 처리 허가 의뢰 신호의 내용을 처리하는 허가 신호 처리부(104) 및 단말간에 처리되는 데이터의 내용 및 정당성을 확인하는 데이터 확인부(105)를 구비한다.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의 파일 정보의 취득을 요구하여 관리 장치(100)에 대하여 처리 의뢰를 위한 의뢰 신호를 발행하는 처리 의뢰 단말(110)은 의뢰처 단말(120)이나 관리 장치(100)와 통신하는 통신부(111), 관리 장치(100)로부터 발행되는 허가/불허가 정보를 수신하는 허가 정보 수신부(112), 관리 장치(100)에 송신하는 배송의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발행하는 허가 신호 발행부(113) 및 관리 장치(100)로부터 허가된 내용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를 하는 데이터 처리부(114)를 구비한다.
파일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 의뢰처 단말(120)은 처리 의뢰 단말(110) 및 관리 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21), 관리 장치(100)로부터 발행된 허가/불허가 정보를 수신하는 허가 정보 수신부(122), 관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확인 신호를 처리하는 데이터 확인부(123) 및 관리 장치(100)로부터의 요구에 대하여 답변을 하는 데이터 처리부(124)를 구비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1에 관한 관리 장치(100)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이다.
데이터 확인부(105)는 허가 신호 처리부(104)로부터 송신된 처리 허가 의뢰 신호의 내용을 확인하는 해당 정보 확인부(105a), 해당 정보에 관해서 관리 장치(100)의 데이터 베이스가 유지하고 있는 정보를 독출하는 해당 정보 독출부(105b), 해당 정보를 갖는 의뢰처 단말(120)에 해당 정보의 답변을 요구하는 해당 정보 송신 요구부(105c), 송신 요구에 관해서 해당 정보를 갖는 의뢰처 단말(120)로부터의 회답을 수신하는 해당 정보 수신부(105d), 관리 장치(100) 측에서 유지하고 있는 해당 정보와 의뢰처 단말(120)로부터의 회답에 포함되는 해당 정보를 비교하는 해당 정보 비교부(105e)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본 실시 형태1에 관한 처리 의뢰 단말(110)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데이터 처리부(114)는 관리 장치(100)로부터 답변되는 허가 정보 내용으로부터 CPU 등의 처리 실행부에 적절한 처리 명령을 생성하는 처리 명령 생성부(114a), 키보드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처리에 관한 커맨드를 접수하는 처리 명령 접수부(114b)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커맨드의 내용을 확인하는 처리 명령 확인부(114c)를 구비한다. 이 처리 명령 접수부(114b)에서 접수되는 정보는 예컨대, 특정한 동화상 파일의 배송 요구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1에 관한 의뢰처 단말(120)의 상세한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데이터 처리부(124)는 관리 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처리 대상으로 되어있는 파일 정보로부터 해당 정보를 독출하는 해당 정보 독출부(124a), 관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처리 허가 정보에 따라서 처리 명령을 생성하는 처리 명령 생성부(124b)를 구비한다.
해당 정보 독출부(124a)는 데이터 확인부(123)로부터 처리 데이터를 수취하면 지정된 파일 및 지정 개소를 확인하여 메모리 등의 데이터 격납부에서 데이터를 독출한다.
처리 명령 생성부(124b)는 허가 정보 수신부(122)로부터 배송의 허가 신호를 수취하면 처리 의뢰 단말(110)과의 사이의 파일 정보의 배송을 처리 접수 개시 상태가 되도록 CPU 등의 처리 실행부로 송신한다. 또한, 처리 명령 생성부(124b)는 허가 정보 수신부(122)가 불허가 신호를 수취한 경우에는 처리 의뢰 단말(110)로부터의 처리를 접수하지 않는 것과 같은 명령을 생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1에 관한 관리 시스템의 동작 순서에 관하여 도 5부터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1에 관한 관리 시스템 전체에서의 데이터의 흐름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또한, 관리 장치(100)는 데이터 확인부(105)의 해당 정보 비교부(105e)에서 파일 정보의 정당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미리 단말간에 교환되는 파일 정보를 다운로드 등에 의해 취득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501)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1에 관한 관리 장치(100)는 단말 장치간에 교환되는 파일 정보의 전체를 등록하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기에 처리 의뢰 단말(110)은 의뢰처 단말(120)로부터 파일 정보의 취득을 요구할 때는, 허가 신호 발행부(113)는 관리 장치(100)에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송신한다(502).
다음에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수신한 관리 장치(100)는 교환되는 파일 정보의 정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해당 정보 송신 요구부(105c)부터 의뢰처 단말(120)에 대하여 해당 정보 답변 요구(503)의 송신을 한다. 이 해당 정보로서는 교환되는 파일 정보의 특정 위치의 값 등이다.
그리고, 관리 장치(100)로부터 해당 정보 답변 요구(503)를 수신한 의뢰처 단말(120)은 해당 정보 독출부(124a)에서 유지되는 파일 정보에서 해당 정보를 독출하여, 통신부(121)를 통해 관리 장치(100) 측에 해당 정보(504)의 답변을 한다.
그리고, 관리 장치(100)의 해당 정보 수신부(105d)에서 수신된 해당 정보는 해당 정보 비교부(105e)에서 동일성의 판단이 행해지고, 의뢰처 단말(120)이 갖고있는 파일 정보에 정당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관리 장치(100)에서 관리되고 있는 해당 정보와 의뢰처 단말에서 답변된 해당 정보가 일치하여 정당성이 인증된 경우에는 관리 장치(100)로부터 배송 허가 신호(505 및 506)가 처리 의뢰 단말(110) 및 의뢰처 단말(120)에 송신된다.
다음으로, 배송 허가 신호(505)를 수신한 처리 의뢰 단말(110)은 의뢰처 단말(120)에 직접 파일 정보의 배송 의뢰(507)를 하고, 배송 의뢰(507)를 수신한 의뢰처 단말(120)은 배송 허가 신호(506)에 기재되어 있는 처리에 근거하여 요구가 있는 파일 정보의 데이터 배송(508)을 처리 의뢰 단말(110)에 송신하여 일련의 배송 처리를 종료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1에 관한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 장치(100)와 처리 의뢰 단말(110)과 의뢰처 단말(120)과의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6(a)는 처리 의뢰 단말(110)의 허가 신호 발행부(113)에서 생성되어 관리 장치(100)에 송신되는 처리 허가 의뢰 신호(600)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처리 허가 의뢰 신호(600)는 송신처 및 송신원의 어드레스 정보를 기재하는 헤더부(601) 및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발행하는 처리 의뢰 단말(110)의 사용자ID(603), 의뢰처 단말(120)의 처리 상대 사용자ID(604), 처리 대상이 되는 파일명을 나타내는 처리 대상 파일 번호(605), 관리 장치(100)에 허가를 의뢰하는 처리의 종별을 나타내는 처리 종별 번호(606)를 포함하는 데이터부(602)로 구성된다. 또한, 처리 종별 번호(606)에 기재되는 처리의 종별이란, 예컨대 배송, 소거, 이동 등이다.
도 6(b)는 관리 장치(100)의 해당 정보 송신 요구부(105c)에서 생성되어 의뢰처 단말(120)에 송신되는 해당 정보 반송 요구(610)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해당 정보 반송 요구(610)에는 헤더부(611)에 어드레스 정보, 데이터부(612)에는 처리 대상 파일 번호(613) 및 답변을 요구하는 요구 정보(614)가 기술되어 있다. 의뢰처 단말(120)의 해당 정보 독출부(124a)에서는 이 요구 정보(614)에 따라서 교환되는 파일 정보의 해당 개소의 데이터를 숙독하고, 해당 정보를 포함한 반송 패킷(620)을 생성하여 관리 장치(100)에 송신한다.
도 6(c)는 의뢰처 단말(120)의 데이터 처리부(124)에서 생성되어 관리 장치(100)에 해당 정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패킷(620)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반송 패킷(620)은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부(621) 및 처리 대상 파일 번호(623)나 해당 정보(624)를 포함하는 데이터부(622)로 구성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1에 관한 관리 장치(100)가 처리 의뢰 단말(110)에서 배송의 허가 의뢰 신호를 수신한 후 배송 허가 신호를 처리 의뢰 단말(110)에 송신하기까지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초기에 관리 장치(100)에서 처리 허가 확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관리 장치(100)에서 허가 신호 수신부(102)는, 통신부(101) 경유로 처리 의뢰 단말(110)에서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수신하면(S701), 허가 신호 처리부(104)는 허가 의뢰 신호(600)에 기술되어 있는 사용자ID(603)를 이용하여 처리 의뢰 단말(110)의 확인을 한다(S702).
또한, 허가 신호 처리부(104)는 배송 요구가 있는 파일 정보를 유지하는 의뢰처 단말(120)을 처리 상대 사용자ID(604)에서 취득하여 확인을 하고(S703), 또한, 처리 대상 파일 번호(605) 및 처리 종별 번호(606)를 독출하여 처리 허가 의뢰 신호의 내용을 해석한다(S704 및 S705). 여기서, 예컨대, 처리 종별 번호(606)는 「배송」을 나타내는 「0」이다. 또한, 예컨대, 파일의 이동의 경우에는 처리 종별 번호(606)에서는 「이동」을 나타내는 「2」가 다중(多重)되고, 처리 의뢰 단말(110)이 의뢰처 단말(120)이 보존하고 있는 파일의 「소거」의 허가를 의뢰하는 경우에는 처리 종별 번호(606)에서는 소거를 나타내는 「1」이 다중된다.
그리고, 허가 신호 처리부(104)는 해당 파일 데이터의 독출을 하고(S706), 파일 정보의 단말간의 배송 허가를 부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데이터 확인부(105)에 처리를 의뢰한다. 데이터 확인부(105)에서는 허가 신호 처리부(104)에서 송신된 처리 허가 의뢰 신호의 내용을 해당 정보 확인부(105a)에서 확인한다.
다음으로, 해당 정보 확인부(105a)는 처리 허가 의뢰 신호에서 해당 파일을 갖고 있는 의뢰처 단말(120) 및 해당 파일을 확인하고, 해당 정보 독출부(105b)는 해당 정보 확인부(105a)에서 확인된 해당 파일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독출한다.
또한, 해당 정보 송신 요구부(105c)에서는 해당 파일을 갖고 있는 의뢰처 단말(120)에 파일의 정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의 답변 요구를 하기 위한 해당 정보 반송 요구(610)를 생성하여 의뢰처 단말(120)에 송신한다(S707).
다음으로, 해당 정보 수신부(105d)에서는 요구에 대하여 의뢰처 단말(120)로부터 답변된 해당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를 한다(S708). 그리고, 수신한 경우에는 해당 정보 비교부(105e)로 송신한다. 해당 정보 비교부(105e)에서는 의뢰처 단말(120)로부터 송신된 정보와 해당 정보 독출부(105b)에서 독출한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성이 확인된 정당한 데이터라고 판단하면(S708에서 Y), 인증을 위해 이 확인 처리를 몇 개소에 걸쳐 비교 처리를 N회 할지의 여부에 관하여 판정을 한다(S709). 또한, 이 해당 정보 비교부(105e)에서의 단말간의 파일 정보의 검증 처리의 일례로서는 파일의 지정 위치의 값을 답변, 파일의 헤더 등, 특정 포맷부를 송신시켜, 예컨대 암호화 플래그가 있는지 등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해당 정보 비교부(105e)는 N회의 판정 처리를 종료하면(S709에서 Y), 단말간의 데이터의 처리 허가를 나타내는 허가 정보를 허가 정보 송신부(103)에 송신한다. 한편, 해당 정보 비교부(105e)는 정당한 데이터가 아니라고 확인한 경우에는(S708에서 N), 단말간의 처리의 불허가를 나타내는 처리 불허가 정보를 허가 정보 송신부(103)로 송신한다.
허가 정보 송신부(103)에서는 허가 신호 처리부(104) 또는 데이터 확인부(105)에서 송신된 처리 허가 정보 혹은 처리 불허가 정보를 통신부(101)를 통해 처리 의뢰 단말(110) 및 의뢰처 단말(120)에 송신한다(S710 및 S711). 또한, 도 7에서는 S711의 처리 불허가 정보의 발행을 하였지만, 이것을 반드시 할 필요는 없고, 이 순서를 생략할 수 있다.
계속해서,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발행하는 처리 의뢰 단말(110)에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1에 관한 처리 의뢰 단말(110)로부터 관리장치(100)에 허가 의뢰 신호가 송신된 후 배송 의뢰를 발행하기까지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초기에 데이터 처리부(114)의 처리 명령 접수부(114b)로부터 키보드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배송을 요구하는 파일 정보나 처리 내용을 지정하고 허가 신호 발행부(113)에 대하여 허가 신호 발행의 입력을 하면(S801), 처리 명령 접수부(114b)는 입력된 정보를 접수하여 처리 명령 확인부(114c)로 송신한다.
다음으로 처리 명령 확인부(114c)에서는 접수된 정보 중, 관리 장치(100)에 허가를 요구할 필요가 있는 명령을 추출하여 허가를 의뢰하는 처리 내용을 허가 신호 발행부(113)로 송신한다.
다음으로, 허가 신호 발행부(113)는 관리 장치(100)로 송신하기 위한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발행하여(S802), 통신부(111)를 통해 관리 장치(100)로 송신한다.
다음으로 허가 신호 발행부(113)가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발행하여 관리 장치(100)에 송신한 경우에는, 허가 정보 수신부(112)는 관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허가 정보 혹은 불허가 정보의 수신 처리를 한다(S803).
그리고 관리 장치(100)에서의 교환되는 데이터의 정당성의 검증이 실행되고, 허가 정보 수신부(112)가 배송 허가 정보를 수취한 경우에는(S803에서 Y), 데이터 처리부(114)로 송신한다. 한편, 배송 허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S801에서의 재 배송 허가 의뢰 신호의 입력 처리를 한다(S803에서 N).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114)의 처리 명령 생성부(114a)는 허가 정보수신부(112)로부터 송신된 허가 정보를 해석한다(S804). 이 경우, 처리 명령 생성부(114a)는 불허가의 경우에는(S804에서 N), 배송 불허가 신호의 발행을 하고(S806), 허가의 경우에는(S804에서 Y), 허가 내용에 따른 배송 의뢰 신호를 생성하여(S805) 의뢰처 단말(120)에 송신하여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1에 관한 의뢰처 단말(120)이 관리 장치(100)로부터 데이터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처리 의뢰 단말(110)에 대하여 파일 정보의 배포를 개시하기까지의 동작 순서에 관해서 도 9에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데이터 처리부(124)의 해당 정보 독출부(124a)는 관리 장치(100)로부터 데이터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S901), 지시된 파일 정보의 지시된 위치의 값을 독출하여 해당 정보로서 반송 패킷(620)을 생성하여 관리 장치(100)에 반송한다(S902).
다음으로, 의뢰처 단말(120)의 허가 정보 수신부(122)는 관리 장치(100)로부터 배송 허가 정보의 수신 처리를 한다(S903). 이 수신 처리를 한 경우에는(S903에서 Y), 데이터 확인부(123)는 관리 장치(100)로부터 요구되는 파일 정보의 배송의 허가/불허가의 판정을 한다(S904). 또한, 허가 정보 수신부(122)는 수신 처리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S903에서 N), 다시 S901로부터의 데이터 확인 신호 수신 처리를 한다.
데이터 확인부(123)는 배송 허가라고 판정하는 경우에는(S904에서 Y), 처리 의뢰 단말(110)로부터의 배송 접수 상태로서 처리 의뢰 단말(110)로부터의 배송 접수를 개시하고(S905), 불허가인 경우에는(S904에서 N), 배송 불허가 신호를 생성하여 처리 의뢰 단말(110)로부터의 배송 요청을 접수하지 않는다(S906). 이상으로 일련의 의뢰처 단말(120)에서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1에 관한 관리 시스템에서 콘텐츠 홀더로 이루어지는 의뢰처 단말(120)에서 관리 장치(100)에 작성한 파일 정보를 업로드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초기에 콘텐츠의 작성 또는 취득하는 의뢰처 단말(120)은 관리 장치(100)에 대하여 파일 정보의 업로드를 한다(S1001). 이 파일 정보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의뢰처 단말(120)의 파일 작성부(1102)에서 작성되는, 이른바 음악 파일이나 동화상 파일이 된다. 또한, 파일 정보는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구입한 파일 정보라도 상관없다.
관리 장치(100)의 데이터 확인부(105)는 송신된 파일 정보의 내용을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한 파일 정보의 일부를 추출하고(S1002), 추출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격납한다(S1003). 이 정보의 추출 방법으로는, 예컨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리 장치(100)의 데이터 확인부(105)에 해당 정보 추출부(1101)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실시 형태1에 관한 관리 장치(100)는 단말간의 배송을 의뢰하는 처리 의뢰 단말(110)로부터 송신되는 처리 허가 신호를 수신하는 허가 신호 수신부(102), 의뢰처 단말(120)에 대하여 배송 요구가 있는 파일 정보의 특정 위치의 정보의 답변을 요구하는 해당 정보 송신 요구부(105c), 단말 장치간에 교환되는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하여 유지하는 해당 정보 추출부(1101), 추출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파일 정보와 의뢰처 단말(120)로부터 답변되는 답변 패킷에 포함되는 해당 정보의 비교를 하여 단말간에 교환되는 파일 정보의 정당성을 검토하는 해당 정보 비교부(105e)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1에 관한 처리 의뢰 단말(110)은 관리 장치(100)에 대하여 허가 의뢰 신호의 발행을 하는 허가 의뢰 발행부(113), 관리 장치(100)로부터 허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다른 단말 장치간의 처리 명령을 생성하는 처리 명령 생성부(114a)를 구비한다.
더욱이, 의뢰처 단말(120)은 관리 장치(100)로부터 배송 대상의 파일의 해당 정보의 독출하는 동시에, 반송 패킷(620)의 생성을 하는 해당 정보 독출부(124a), 관리 장치(100)로부터 배송 허가 신호를 수신하여 다른 단말 장치간의 처리 명령의 생성을 하는 처리 명령 생성부(124b)를 구비한다.
따라서, 단말간에 파일 정보 교환을 할 때는 처리 의뢰 단말(11O)은 우선 관리 장치(100)에 대하여 처리 의뢰 신호를 송신하고, 관리 장치(100)의 해당 정보 비교부(105e)에서 배송 대상의 파일 정보의 정당성을 확인하여, 관리 장치(100)가 배송 허가 정보를 처리 의뢰 단말(110) 및 의뢰처 단말(120)에 송신한 후에, 단말간의 정규 교환을 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간에 부정한 파일 정보의 배송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보증한 관리 시스템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관리 장치(100)에서 단말간에 교환되는 파일 정보의 관리에서는, 배송 대상의 파일을 모두 관리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여인증 처리를 하기 위해서, 관리 장치에서 처리 부하를 확실히 경감하고, 종래의 서버 장치와 같이 콘텐츠의 내용 모두를 기록, 관리하는 수고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100)는 교환되는 파일의 정당성을 항상 체크하기 때문에, 단말 장치에 특별한 파일 정보의 검증을 위한 영역을 설치할 필요 없이, 처리 의뢰 단말(110) 및 의뢰처 단말(120)의 리소스나 부하를 경감하면서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관리 장치(100)에서는 단말간의 파일 정보의 배송에서는, 파일 정보의 실체가 아니고, 허가 신호의 교환이 행해지는 것뿐이므로, 대용량의 콘텐츠 파일의 송수신이나 관리를 할 필요 없이, 관리 장치(100)에서의 처리를 크게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단말간에 안전한 파일 정보의 교환이 행해진다.
또한, 의뢰처 단말(120)이 관리 장치(100)에 파일 정보를 등록하는 것에 의해, 각자 안전성이 있는 파일 정보의 교환을 각자 네트워크를 통한 다른 단말 장치로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자유롭게 파일 정보가 복사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용자는 안심하고 파일 교환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처리 정보의 이름을 관리 장치 측의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여 정규로 등록된 파일 이외의 처리를 인정하지 않는 것에 의해, 단말간에 교환되는 네트워크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처리 정보의 내용을 관리 장치(100) 측의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여 처리 정보의 내용 확인에 이용하는 것에 의해, 처리 정보의 정당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리 단말(1200)은 허가 신호를 발행하는 허가 신호 발행부(113) 및 해당 정보 답변을 하는 데이터 확인부(123)의 양쪽의 기능을 더불어 갖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리 단말(1200)이 처리를 의뢰하는 구성과 처리를 의뢰 받는 구성의 양쪽을 탑재하는 것에 의해, 예컨대 처리 의뢰 단말로서 콘텐츠 홀더 등의 단말 장치로부터 파일 정보의 배송을 받은 처리 단말(1200)은, 관리 장치(100)의 허가원, 이번은 처리를 의뢰받는 측의 단말로서, 처리를 의뢰하는 측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이전에 수신한 파일 정보를 배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배송 처리를 할 때, 본 실시 형태1에서 배송 허가가 나면, 처리 의뢰 단말(110)로부터 의뢰처 단말(120)로 액세스했었지만, 관리 장치(100)로부터 의뢰처 단말(120)에 발행하는 허가 정보에 상대편 정보를 다중하고, 의뢰처 단말(120)로부터 파일 정보의 배송 작업을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관리 장치(100)는 콘텐츠 파일 등의 파일 정보를 유지하는 의뢰처 단말(120) 측에서 파일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배송 의뢰를 수신하고, 관리 장치(100)를 통해 다른 단말 장치에 정당성이 검증된 파일 정보를 배송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관한 관리 시스템은 콘텐츠 파일을 작성하는 측의 단말 장치가 작성한 콘텐츠 파일을 배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유효하다.
(실시 형태2)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2에 관한 설명을 한다.
본 실시 형태2에 관한 관리 장치(100)는 의뢰처 단말(120)에서 업로드되는 파일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기록하는 데이터 등록부(130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1에 관한 관리 장치(100), 처리 의뢰 단말(110) 및 의뢰처 단말(120)과 같은 구성에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2에 관한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리 장치(100), 처리 의뢰 단말(110) 및 의뢰처 단말(120)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2에서는 관리 장치(100)가 데이터 등록부(1301)를 구비한다.
데이터 등록부(1301)에는 의뢰처 단말(120)로부터 업로드 된 파일 정보의 내용의 일부가 기록되어 있다. 관리 장치(100)는 데이터 등록부(1301)에 기재되어 있는 한, 대상의 의뢰처 단말(120)에 대한 파일 정보의 확인 처리를 한다. 그리고, 데이터 등록부(1301)에는 파일 정보의 이름뿐 아니라 데이터 자체를 등록함으로써, 관리 장치(100)에서의 데이터의 확인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2에 관한 관리 장치(100)의 동작 순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2에 관한 관리 장치(100)의 허가 의뢰를 수신한 후 허가 정보를 발행하기까지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2에서는 관리 장치(100)가 배송 허가 의뢰 신호로부터 독출된 파일 정보가 데이터 등록부(1301)에 등록된 파일 정보로서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는 처리(S1407)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기에, 관리 장치(100)에 있어서 허가 신호 수신부(102)는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수신하면(S1401) 허가 신호 처리부(104)는 허가 의뢰 신호(600)에 기술되어 있는 사용자ID(603)를 이용하여 처리 의뢰 단말(110)을 확인하고(S1402), 배송 요구가 있는 파일 정보를 유지하는 의뢰처 단말(120)을 처리 상대 사용자ID(604)로부터 취득하여 확인을 하며(S1403), 또한 처리 대상 파일 번호(605) 및 처리 종별 번호(606)를 독출하여 처리 허가 의뢰 신호의 내용을 해석한다(S1404 및 S1405).
다음으로, 허가 신호 처리부(104)는 해당 파일 데이터의 독출을 하고(S1406), 본 실시 형태2에 관한 관리 장치(100)가 배송 허가 의뢰 신호로부터 독출된 파일명이 데이터 등록부(1301)에 등록된 파일 정보로서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처리(S1407)를 한다. 이 확인 처리에 의해, 데이터 등록부(1301)에 등록되어 있지 않는 파일인 경우에는(S1407에서 N), 허가 발행 불가가 되어 배송 불허가 신호가 의뢰처 단말(120)에 발행된다(S1412).
한편, 데이터 등록부(1301)에 등록되어 있는 파일 정보인 경우에는(S1407에서 Y), 해당 정보 확인부(105a)는 처리 허가 의뢰 신호로부터 해당 파일을 갖고 있는 의뢰처 단말(120) 및 해당 파일을 확인하고, 해당 정보 독출부(105b)는 해당 정보 확인부(105a)에서 확인된 해당 파일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 등록부(1301)에서 독출한다.
또한, 해당 정보 송신 요구부(105c)에서는 해당 파일을 갖고 있는 의뢰처 단말(120)에 데이터 확인을 위한 해당 정보 반송 요구(610)를 생성하여 의뢰처 단말(120)에 송신한다(S1408). 다음으로, 해당 정보 수신부(105d)에서는 요구에대하여 의뢰처 단말(120)로부터 답변된 해당 정보를 수신하는 처리를 한다(S1409). 그리고, 수신한 경우에는 해당 정보 비교부(105e)로 송신한다. 해당 정보 비교부(105e)에서는, 의뢰처 단말(120)로부터 송신된 해당 정보와 데이터 등록부(1301)로부터 해당 정보 독출부(105b)에서 독출한 해당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성이 확인되어 정당한 데이터라고 판단하면(S1409에서 Y), 인증를 위해 이 확인 처리를 몇 개소에 걸쳐 비교 처리를 N회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410).
그리고, 해당 정보 비교부(105e)는 N회 판정 처리를 종료하면(S1410에서 Y), 처리 허가 정보를 허가 정보 송신부(103)에 송신한다. 한편, 해당 정보 비교부(105e)는 정당한 데이터가 아니라고 확인한 경우에는(S1409에서 N), 처리 불허가 정보를 허가 정보 송신부(103)에 송신한다.
허가 정보 송신부(103)에서는 허가 신호 처리부(104) 또는 데이터 확인부(105)로부터 송신된 처리 허가 정보 혹은 처리 불허가 정보를 통신부(101)를 통해 처리 의뢰 단말(110) 및 의뢰처 단말(120)에 송신한다(S1411 및 S1412).
또한, 데이터 등록부(1301)에서 데이터와 함께 단말 정보도 등록하고, 도 14의 허가 발행 가능 스텝(S1407)에서 파일의 내용뿐 아니라, 단말마다 허가 불허가 조건을 붙이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데이터 등록부(1301)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참고도이다.
초기에 데이터 확인부(105)에서 단말간에 교환되는 데이터의 정당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의뢰처 단말(120)에 배송 대상의 파일의 어드레스를 지정하고, 의뢰처 단말(120)의 데이터 확인부(123)에 그 개소의 값을 답변하게 한다.
예컨대, 관리 장치(100)의 해당 정보 송신 요구부(105c)에서 어드레스「0x0000」의 위치의 값의 답변 요구가 의뢰처 단말(120)에 대하여 발행되면, 의뢰처 단말(120)의 해당 정보 독출부(124a)는 지정된 위치의 데이터를 독출하여 그 값을 되돌려준다.
해당 정보 비교부(105e)에서는 답변된 값을 「0010(1501로 기재)」라고 데이터 등록부(1301)에 기록되어 있는 값과 비교하여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다음에 파일 정보의 몇 개소의 어드레스「0x0004」, 어드레스「0x0116」, 어드레스 「0xAAFE」의 값의 답변을 요구하고, 각각 「1010(1502로 기재)」,「1110(1503으로 기재)」,「0111(1504로 기재)」와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단말간에 교환되는 데이터 파일이 정규적인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관리 장치(100)의 데이터 확인부(105)의 확인에서는 데이터 등록부(1301)에는 파일 전부를 등록할 필요 없이 데이터의 정당성 확인용에 적당한 어드레스와 거기에 본래 기록되어 있어야 할 값을 몇 세트로 유지하여 메모리 자원과 절약하면서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같은 파일이라도 단말마다나 액세스 할 때마다 지정하는 개소를 변경함으로써, 관리 장치(100)에서 보다 높은 파일 정보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정보 비교부(105e)에서의 배송 대상의 파일 정보의 정당성의 확인 방법으로서는 의뢰처 단말(120)에 대하여 지정된 데이터 패턴이 파일의 어떤 위치에 다중되어 있는지를 답변시키거나, 지정된 데이터 패턴이 파일 안에 몇 개소에다중되어 있는지를 답변시키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과거의 처리 이력을 관리 장치(100) 측에서 관리하여 과거의 처리 이력의 내용에 따라서 데이터의 확인 방법을 변경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 장치(100)에서, 과거 수십 회 연속으로 올바른 처리를 한 단말 장치에서 검증 처리를 경감하여 간소화하거나, 과거에 부정을 한 적이 있는 단말 장치의 검증 처리의 회수나 종류를 늘리는 것에 의해 단말간에 교환되는 파일 배송에서 처리 효율을 높이거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2에 관한 관리 시스템에서는, 관리 장치(100)가 단말간에 교환되는 파일 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데이터 등록부(1301)를 유지한다.
따라서, 관리 장치(100)가 관리하는 단말 장치간의 데이터의 교환은 데이터 등록부(1301)에 등록된 정보만 배송 허가가 가능하게 되고, 네트워크 상에서의 부정한 파일 정보의 배송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등록부(1301)에는 배송되는 파일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등록되기 때문에, 동화상 등의 대용량의 파일 정보 모두를 관리할 필요성은 없고, 관리 장치(100)에서 데이터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실시 형태2에서 데이터 등록부(1301)에 등록 가능한 데이터 포맷을 암호화 파일로 규정하여 파일이 올바르게 배포된 경우에 암호를 해제하는 키를 배포하는 것에 의해, 네트워크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암호화 파일인지의 확인 방법의 일례로서는 파일의 형식이 MPEG2 SYSTEMS 규격으로 규정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라면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헤더부에 다중되어 있는 transport_scrambling_control 비트(선두에서 25비트 번째 및 26비트 번째)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물론, 암호화 파일을 관리 장치(100)에 등록하여 파일의 내용을 체크하는 것에 의해서도 더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키의 배포는 관리 장치(100)가 실행되어도 되고, 또는 다른 예를 들면, 키 관리를 하는 키 서버가 실행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3)
다음으로 실시 형태3에 관해서 설명을 한다. 본 실시 형태3에 관한 관리 시스템은 처리 의뢰 단말(110)에서 관리 장치(100)에 배송 허가 의뢰를 하는 것이 아니고, 의뢰처 단말(120)에 직접 배송 의뢰를 하여, 관리 장치(100)와 의뢰처 단말(120)과의 사이에서 데이터 검증을 한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3에 관한 관리 시스템의 전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3에서 상술의 실시 형태1과 다른 점은 처리를 의뢰받는 의뢰처 단말(1600)이 허가 신호 발행을 위한 허가 신호 발행부(1601)를 구비하는 점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3에 관한 관리 시스템의 동작 순서에 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3에 관한 관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의 흐름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또한, 관리 장치(100)는 미리 파일 정보의 배송을 하는 의뢰처 단말(1600)로부터 파일 정보를 취득하고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 등록부(1301)에 등록(1701)하고 있다.
초기에 처리 의뢰 단말(110)의 허가 신호 발행부(113)는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발행하여, 의뢰처 단말(1600)에 통신부(111)를 통해 배송 의뢰(1702)를 한다.
그리고, 의뢰처 단말(1600)은 처리 의뢰 단말(110)로부터의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수취하면, 허가 신호 발행부(1601)는 처리 허가 의뢰 신호(1703)를 관리 장치(100)에 송신한다. 다만, 처리 허가 의뢰 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ID에는 의뢰처 단말(1600)의 식별 번호를 다중한다.
관리 장치(100)에서는 의뢰처 단말(1600)에 대하여 해당 정보 반송 요구(1704)를 하고, 해당 정보(1705)를 수신하여 허가 처리 의뢰 신호의 해석을 한다.
다만, 전술한 실시 형태1 및 2와 같이, 의뢰처 단말(1600)은 처리 허가 의뢰 신호에 다중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의뢰처 단말 확인의 처리는 생략된다.
그리고, 관리 장치(100)에서의 데이터 확인 처리 완료 후, 관리 장치(100)로부터 발행되는 허가 신호는 의뢰처 단말(1600)에만 송신(1706)된다. 의뢰처 단말(1600)은 허가 정보를 허가 정보 수신부(122)에서 수신하면, 통신부(121)를 통해 처리 의뢰 단말(110)에 허가 정보(1707)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처리 의뢰 단말(110)과 의뢰처 단말(1600)과의 사이에서 배송 등의 처리를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에 의뢰처 단말(1600)은 처리 의뢰 단말(110)에 대하여 요구된 파일 정보 등의 데이터 배송(1708)을 하고 본 실시 형태3에 관한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3에 관한 처리 의뢰 단말(110)이 의뢰처 단말(1600)에대하여 발행하는 처리 허가 의뢰 신호(1800)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다. 이 처리 허가 의뢰 신호(1800)는 헤더부(1801), 사용자ID(1803), 처리 대상 파일 번호(1804), 처리 종별 번호(1805)를 포함하는 데이터부(1802)로 구성되고, 상술의 실시 형태1에 관한 처리 허가 의뢰 신호(600)와 다른 점은 처리 의뢰처인 의뢰처 단말(1600)에 직접 송신하므로, 처리 상대 사용자ID(604)가 기술되어 있지 않은 점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실시 형태3에 관한 관리 시스템에서는 처리 의뢰 단말(110)로부터 의뢰처 단말(1600)에 직접 처리 허가 의뢰 신호의 송신이 행해지고, 또한 의뢰처 단말(1600)로부터 관리 장치(100)에 파일의 처리 의뢰 신호의 송신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관리 장치(100)에서 배송 허가가 되면 의뢰처 단말(1600)로부터 처리 의뢰 단말(110)에 대하여 허가 정보가 송신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3에 관한 관리 시스템에서는 여러 가지 통신 형태에 따른 관리 시스템으로서 단말간의 파일 정보의 교환의 정당성의 관리를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4)
이하, 실시 형태4에 관한 관리 시스템에 관해서 설명한다.
최근, 네트워크를 통해 가상 기기를 원격으로 진단하거나, DVD 등의 기기를 버전 업하는 리모트 메인터넌스(원격 정비)가 빈번히 행해져 왔다. 한편, 사용자 댁에서는 수신하는 리모트 메인터넌스 데이터의 정당성에 불안감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 형태4에서는 안정성이 높은 리모트 메인터넌스 데이터를 사용자 댁의 수리 대상의 기기에 송신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4에서는 처리를 의뢰하는 단말과 처리를 의뢰 받는 단말은 다른 기기이다. 그리고, 이들을 조합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가정 내의 가전 기기의 보수나 수리 등을 전기점(電器店) 등이 수행하는 가전 기기 등의 리모트 메인터넌스를 실시하는 경우의 예를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실시 형태4에 관한 리모트 메인터넌스에 이용하는 관리 시스템의 전체도를 도시한다.
서비스센터(1901)는 리모트 메인터넌스 정보의 정당성의 관리를 하고, 전기점(1902)은 사용자 댁(1903)의 가전 기기 등에 대하여 리모트 메인터넌스 데이터의 송신을 하며 사용자 댁(1903)은 GW(1904)를 이용하여 리모트 메인터넌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시에, 사용자 댁(1903) 내의 TV(1905), DVD(1906), PC(1907) 등의 기기의 메인터넌스 의뢰를 전기점(1902)에 대하여 실시한다.
사용자 댁(1903)으로부터 의뢰를 받아 고객 가정의 사용자 댁(1903)의 기기의 리모트 메인터넌스를 하는 전기점(1902)은 처음에 서비스센터(1901)에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발행한다. 서비스센터(1901)에서는 리모트 메인터넌스 데이터가 옳은지를 검증하고, 정당성이 검증되면 전기점(1902) 및 사용자 댁(1903)의 단말, 예컨대 네트워크 대응 TV 등으로의 리모트 메인터넌스 데이터의 송신을 허가하는 허가 정보의 송신을 한다.
또한, 악의의 제3자 단말(1908)로부터 서비스센터(1901)의 검증만 하여 별도의 바이러스 데이터 등의 송신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 댁(1903)의 GW(1904)로 다시 메인터넌스 데이터 확인 의뢰를 서비스센터(1901)에 송신하여, 확인이 된 경우에 메인터넌스 처리 실시하는 것으로, 보다 안정성이 높은 리모트 메인터넌스 시스템이 된다. 또한, 서비스센터(1901)의 공개 키 등을 이용하여 리모트 메인터넌스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의해, 본 실시 형태4에 관한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안전성의 보증되는 리모트 메인터넌스 데이터를 사용자 댁(1903)에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리모트 메인터넌스에서의 사용자 댁(1903)에서의 불안을 해소하고, 악의 있는 제3자로부터의 부정 메인터넌스 데이터의 송신 등의 「속임수」를 가장한 부정 액세스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100)에서는 데이터 등록부(1301)에 파일명이나 파일의 내용과 함께 파일이 격납되어 있는 단말을 격납한 파일의 등록처 리스트를 등록하도록 하여도 된다.
그리고, 관리 장치(100)에 단말 장치로부터의 콘텐츠 파일이 배송될 때마다 파일의 배송처를 등록처 리스트에 추가하고, 갱신함으로써 관리 장치(100)가 항상 단말간에 교환되는 파일 정보의 격납처를 인식할 수 있다.
관리 장치(100)는 등록처 리스트로부터 취득을 요구하는 콘텐츠 파일을 유지하고 있는 단말을 검색하고, 처리 의뢰 단말(110)로부터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수취하면, 등록처 리스트로부터 적절한 의뢰처 단말(120)을 선택하여 처리 의뢰 단말(110)에 전달한다.
처리 의뢰 단말(110)은 통신부(111)에서 의뢰처 단말(120)의 정보를 수취하면, 그 다음은 실시 형태3과 같이, 관리 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의뢰처 단말(120)에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발행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파일의 배송을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관리 장치(100)는 처리 의뢰 단말(110)로부터 처리 허가 의뢰 신호를 수취하면 등록처 리스트로부터 적절한 의뢰처 단말(120)을 선택하고, 다음은 실시 형태1과 같이 직접 콘텐츠 파일의 의뢰처 단말(120)에 데이터 확인 처리를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관리 장치(100)가 등록처 리스트에서 의뢰처 단말(120)을 검색하는 것에 의해, 처리 의뢰 단말(110)은 콘텐츠 홀더인 의뢰처 단말(120)에 관한 정보를 모르더라도 파일 정보가 안전한 교환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등록처 리스트에서 의뢰처 단말(120)을 검출하는 경우에는 처리 허가 의뢰 신호에 처리 상대 사용자ID(604)를 다중할 필요 없이, 처리 상대 사용자ID(604)를 공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100)가 단말간에 교환되는 파일 정보를 검증할 때, 처리를 의뢰 받는 의뢰처 단말(120)의 특정한 기억 영역에 기억된 정보만을 검증하는 것에 의해, 의뢰처 단말(120)에서는 검증의 처리 대상이 되는 정보는 상기 특정한 기억 영역에 기억된 정보만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 기술한 단말 장치에서 처리 대상이 되는 파일을 유지하는 특정한 기억 영역(도시 생략)은 기대하는 정보의 신뢰성에 맞춰, 일반적인 기억 장치, 혹은 액세스 제한 등의 시큐리티 기능이 구비된 기억 장치 중의 것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특정한 기억 영역은 사용자가 작성이나 지정을 해도 되고, 혹은 단말 장치의 프로그램 등으로 생성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관리 장치에서는 처리를 개시하는 단말 장치로부터의 허가 의뢰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단말간의 처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 중의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검증 처리를 하기 때문에, 관리 장치 측에서의 데이터 관리, 검증에서의 처리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장치에는 상기 검증에 의해 정당성이 인정된 경우에는 허가 신호를, 정당성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불허가 신호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기 때문에, 단말간의 데이터 처리에서의 유연한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처리를 의뢰하는 측의 단말 장치는 처리를 개시하는 경우에는 관리 장치에 배송 허가 의뢰 신호를 송신하는 처리만 하고, 실제의 데이터의 검증은 관리 장치 및 처리를 의뢰 받는 측의 단말 장치에서 실시한다. 따라서, 처리를 의뢰하는 측의 단말 장치에 큰 부하를 부여하지 않고 정당성이 검증된 데이터의 교환을 다른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단말 장치는 처리 대상의 데이터는 관리 장치에서 항상 검증되기 때문에, 단말 장치 내에 데이터의 검증을 위한 특별한 영역을 설치하지 않아도 부정 처리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단말 장치의 리소스나 처리 부하를 경감하면서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 장치간의 데이터 교환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간에 교환되는 처리 데이터의 이름이나 내용 중의 적어도 일부를 관리 장치의 데이터 등록부에 등록하고, 관리 장치 측에서 정규로 등록된 파일 이외의 처리를 인정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 장치간의 데이터 교환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더욱이, 관리 장치에서 데이터의 배송이나 이동 등의 허가/불허가의 검증을 하므로, 단말 장치 간의 데이터의 이력을 관리, 제어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한 단말 장치간의 데이터의 교환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32)

  1.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단말 장치간에 처리되는 데이터의 관리를 행하는 관리 장치로서,
    처리를 의뢰하는 측의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상기 데이터의 처리를 요구하는 의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의뢰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의 정당성을 검증하는 검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수단은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정당성의 검증을 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또한,
    상기 검증 수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의 정당성이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단말 장치에 허가 신호를 발행하고, 상기 데이터의 정당성이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처리를 의뢰하는 단말 장치와 처리를 의뢰 받는 단말 장치 중의 어느 하나 혹은 양쪽에 불허가 신호를 발행하는 발행 수단과,
    상기 허가 신호 또는 상기 불허가 신호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또한,
    단말 장치간에 처리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 수단과,
    상기 다운로드한 상기 데이터마다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 수단으로 추출되는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처리를 의뢰받는 측의 의뢰처 단말에 상기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제1 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답변 요구를 행하는 답변 요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증 수단은,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의뢰처 단말로부터 상기 답변 요구에 따라서 답변되는 제2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데이터의 정당성의 검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특정 위치의 값, 또는 플래그의 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특정 파일 패턴의 개소, 또는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헤더부, 또는 특정 위치의 포맷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암호화된 상기 데이터만이 기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에 등록이 된 데이터인지의 여부를 검증하고,
    상기 발행 수단은 이미 상기 기록 수단에 등록이 된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단말 장치에 상기 허가 신호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뢰 신호에는, 적어도 처리를 의뢰하는 측의 단말 장치, 처리를 의뢰받는 측인 의뢰처 단말, 상기 데이터의 식별 번호 및 상기 데이터의 처리 내용에 관한 정보 중의 어느 하나가 포함되고,
    상기 관리 장치는, 또한,
    상기 의뢰 신호의 내용을 처리하는 신호 처리 수단과,
    상기 의뢰 신호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처리를 의뢰받는 의뢰처 단말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수단은 처리되는 데이터의 등록처인 단말 장치를 기재하는 등록처 리스트를 유지하고,
    상기 특정 수단은 상기 등록처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의뢰처 단말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또한,
    상기 등록처 리스트를 갱신하는 리스트 갱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또한,
    과거의 처리 이력을 유지하는 이력 유지 수단과, 상기 처리 이력에 근거하여 상기 단말 장치간의 데이터 처리의 판단을 행하는 처리 판단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증 수단은 상기 처리 판단 수단에서의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의 정당성의 검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간의 상기 데이터의 처리의 내용은, 배송, 이동 또는 소거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장치.
  14. 통신되는 데이터의 처리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해당 관리 장치에서 관리되는 데이터의 처리를 다른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단말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의 요구 내용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는 의뢰 신호의 발행을 행하는 제2 발행 수단과,
    해당 의뢰 신호를 상기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또한,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수단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관한 정보의 답변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답변 요구의 해당하는 해당 정보를 상기 제2 기록 수단으로부터 독출하는 독출 수단과,
    상기 독출 수단으로 독출되는 상기 해당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답변하는 답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특정 위치의 값, 플래그의 유무, 상기 데이터의 특정 파일 패턴의 개소, 상기 데이터의 특정 파일 패턴의 개수, 상기 데이터의 헤더부, 또는 상기 데이터의 포맷부에 관한 정보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또한,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다른 단말 장치와의 처리의 허가를 나타내는 허가 신호 또는 다른 단말 장치와의 처리의 불허가를 나타내는 불허가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수단과,
    상기 허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처리를 의뢰받는 의뢰처 장치와의 처리를 개시한다고 판단하는 한편, 상기 불허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의뢰처 단말과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허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서,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허가된 내용에 따라서 다른 단말 장치와의 상기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또한,
    상기 허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처리의 허가를 나타내는 허가 정보를 작성하는 작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송신 수단은 처리를 의뢰하는 측의 단말 장치에 상기 허가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간에 처리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관리 장치에 업로드하는 업로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 수단은 다른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의뢰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발행 수단은 새로운 의뢰 신호를 발행하고, 상기 제2 송신 수단은 해당 의뢰 신호를 상기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단말 장치간에 처리 가능한 데이터를 유지하는 단말 장치는 다른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의 배송을 행하기 위한 배송 요구를 작성하고, 상기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배송 요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간의 상기 데이터의 처리의 내용은, 배송, 이동 또는 소거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3. 단말 장치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관리를 행하는 관리 장치와 다수의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리 장치는,
    처리를 의뢰하는 측의 의뢰 단말로부터 송신되고, 처리를 의뢰받는 측인 의뢰처 단말에서의 상기 데이터의 처리를 요구하는 의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의뢰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의 정당성을 검증하는 검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데이터의 처리의 요구 내용을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상기 데이터의 처리를 요구하는 의뢰 신호의 발행을 행하는 제2 발행 수단과,
    해당 의뢰 신호를 상기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2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 장치간에는 상기 검증 수단으로 검증된 데이터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또한,
    단말 장치간에 처리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 수단과,
    상기 다운로드한 상기 데이터마다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 수단과,
    상기 추출 수단으로 추출되는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처리를 의뢰받는 측의 의뢰처 단말에, 상기 기록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제1 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답변 요구를 하는 답변 요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또한,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제2 기록 수단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답변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답변 요구에 해당하는 제2 정보를 상기 제2 기록 수단으로부터 독출하는 독출 수단과,
    상기 독출 수단으로 독출된 상기 제2 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에 답변하는 답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증 수단은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답변 수단으로부터 답변되는 상기제2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데이터의 정당성의 검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특정 위치의 값, 플래그의 유무, 상기 데이터의 특정 파일 패턴의 개소, 상기 데이터의 특정 파일 패턴의 개수, 상기 데이터의 헤더부, 또는 상기 데이터의 포맷부에 관한 정보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시스템.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또한,
    상기 검증 수단에서 상기 데이터의 정당성이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단말 장치에 허가 신호를 발행하고, 상기 데이터의 정당성이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처리를 의뢰하는 단말 장치와 처리를 의뢰받는 단말 장치 중의 어느 하나 혹은 양쪽에 불허가 신호를 발행하는 발행 수단과,
    상기 허가 신호 또는 상기 불허가 신호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 장치는, 또한,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허가 신호 또는 상기 불허가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 수단과,
    상기 허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처리를 의뢰 받는 의뢰처 장치와의 처리를 개시한다고 판단하는 한편, 상기 불허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의뢰처 단말과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허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허가된 내용에 따라 다른 단말 장치와의 상기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시스템.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사용자 댁의 단말 기기의 수리를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하기 위한 리모트 메인터넌스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시스템.
  28.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 장치간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관리를 행하는 관리 방법으로서,
    처리를 의뢰하는 측의 단발 장치로부터 송신되고, 상기 데이터의 처리를 요구하는 의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의뢰 신호를 수신 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의 정당성을 검증하는 검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단계에서는, 상기 데이터 중의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이용하여 정당성의 검증을 행하고,
    상기 관리 방법은, 또한,
    상기 검증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의 정당성이 확인된 경우에는 상기 단말 장치에 허가 신호를 발행하고, 상기 데이터의 정당성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처리를 의뢰하는 단말 장치와 처리를 의뢰 받는 단말 장치 중의 어느 하나 혹은 양쪽에 불허가 신호를 발행하는 발행 단계와,
    상기 허가 신호 또는 상기 불허가 신호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단말 장치간에 처리되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드 단계와,
    상기 다운로드한 상기 데이터마다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유출하는 유출 단계와,
    상기 유출 단계에서 유출되는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단계와,
    상기 처리를 의뢰받는 측의 의뢰처 단말에 상기 기록 단계에서 기록되는 제1 정보에 관련되는 정보의 답변 요구를 행하는 답변 요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정보와 상기 의뢰처 단말로부터 상기 답변 요구에 따라서 답변되는 제2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데이터의 정당성의 검증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방법.
  31. 단말간의 데이터의 처리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의 기재의 관리 장치가 구비하는 모든 수단을 컴퓨터나 휴대 단말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32. 다른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 데이터의 처리를 행하는 단말 장치를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제14항 내지 제22항 중의 어느 한 항의 기재의 단말 장치가 구비하는 모든 수단을 컴퓨터나 휴대 단말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30072524A 2002-10-17 2003-10-17 관리 장치, 단말 장치 및 관리 시스템 KR200400345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02937 2002-10-17
JP2002302937 2002-10-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518A true KR20040034518A (ko) 2004-04-28

Family

ID=3298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524A KR20040034518A (ko) 2002-10-17 2003-10-17 관리 장치, 단말 장치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40186880A1 (ko)
KR (1) KR200400345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3820B2 (en) * 2001-07-17 2008-02-19 Networks In Mo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outing, mapping, and relative position information to users of a communication network
US7082365B2 (en) 2001-08-16 2006-07-25 Networks In Motion, Inc. Point of interest spatial rating search method and system
US7486958B2 (en) 2001-09-05 2009-02-03 Networks In Mo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n online point-of-interest directory
BR0308165A (pt) 2002-03-01 2005-06-28 Networks In Motion Inc Método e aparelho para envio, recuperação e planejamento de informação relevante de localização
US8918073B2 (en) 2002-03-28 2014-12-23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Wireless telecommunications location based services scheme selection
US8290505B2 (en) 2006-08-29 2012-10-16 Telecommunications Systems, Inc. Consequential location derived information
US7565155B2 (en) 2002-04-10 2009-07-21 Networks In Motio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estimation and predictive route generation
US7256711B2 (en) 2003-02-14 2007-08-14 Networks In Mo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saving and retrieving spatial related information
EP1661282A4 (en) 2003-08-08 2007-05-02 Networks In Mo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AND SYNCHRONIZING TELECOMMUNICATION CALL EVENTS AND FLOW-RELATED INFORMATION
US20080126535A1 (en) 2006-11-28 2008-05-29 Yinjun Zhu User plane location services over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EP1794546A4 (en) * 2004-10-01 2009-05-13 Networks In Mo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NG AN OFF-BOARD NAVIGATION SOLUTION
EP1864085A4 (en) 2005-03-07 2009-11-25 Networks In Mo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GEOGRAPHICAL BARRIERS (GEOFENCES)
AU2006321767B2 (en) * 2005-12-07 2010-11-25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a user input solution for a limited telecommunication device
US8208605B2 (en) 2006-05-04 2012-06-2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xtended efficient usage of emergency services keys
US8099238B2 (en) 2007-11-14 2012-01-17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tateful, double-buffered dynamic navigation voice prompting
DE102008027586A1 (de) * 2008-06-10 2009-12-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Erstellung, Vergabe und Überprüfung von Autorisierungs-Bewilligungen
US20120254804A1 (en) 2010-05-21 2012-10-04 Sheha Michael A Personal wireless navigation system
WO2012087353A1 (en) 2010-12-22 2012-06-28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Area event handling when current network does not cover target area
WO2012141762A1 (en) 2011-02-25 2012-10-18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Mobile internet protocol (ip) location
WO2013048551A1 (en) 2011-09-30 2013-04-04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Unique global identifier for minimizing prank 911 calls
EP2807454A4 (en) 2012-01-26 2015-08-19 Telecomm Systems Inc NAVIGATION GUIDANCE
US9307372B2 (en) 2012-03-26 2016-04-05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No responders online
US9544260B2 (en) 2012-03-26 2017-01-10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Rapid assignment dynamic ownership queue
US8930139B2 (en) 2012-06-21 2015-01-0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Dynamically varied map labeling
WO2014028712A1 (en) 2012-08-15 2014-02-20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Device independent caller data access for emergency calls
US9456301B2 (en) 2012-12-11 2016-09-27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fficient prisoner tracking
US8983047B2 (en) 2013-03-20 2015-03-17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Index of suspicion determination for communications request
US9408034B2 (en) 2013-09-09 2016-08-02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Extended area event for network based proximity discovery
US9516104B2 (en) 2013-09-11 2016-12-06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Intelligent load balancer enhanced routing
US9479897B2 (en) 2013-10-03 2016-10-25 Telecommunication Systems, Inc. SUPL-WiFi access point controller location based services for WiFi enabled mobile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86880A1 (en) 200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34518A (ko) 관리 장치, 단말 장치 및 관리 시스템
US7484246B2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ontent distribu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providing medium
US710377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providing medium
US7243238B2 (en) Person authentication system, person authentica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providing medium
US7059516B2 (en) Person authentication system, person authentica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providing medium
US7310732B2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uthenticating a user based on an identification certificate identified in a secure container
US7287158B2 (en) Person authentication system, person authentication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providing medium
US6990684B2 (en) Person authentication system, person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providing medium
US7096363B2 (en) Person identification certificate link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providing medium
JP5449905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7100044B2 (en) Public key certificate using system, public key certificate u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providing medium
JP4350549B2 (ja) デジタル著作権管理のための情報処理装置
US20020026427A1 (en) Person authentication application data processing system, person authentication application data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providing medium
US7500605B2 (en) Tamper resistant device and file generation method
US7185193B2 (en) Person authentication system, person authentication method, and program providing medium
JP2005275839A (ja) ソフトウェア利用許可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80019362A (ko) 대체 가능한 지역 도메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WO2021117406A1 (ja) 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に基づいた利用権情報処理装置、利用権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利用権情報処理方法
US20230412400A1 (en) Method for suspending protection of an object achieved by a protection device
JP2002117167A (ja) 著作権管理方法及び装置
JP2004157993A (ja) 管理装置、端末装置及び管理システム
KR100544795B1 (ko)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무인 증명서 발급 방법
WO2023145027A1 (ja) 検証支援方法、検証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5702458B2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497440B1 (ko) Did 기반의 사용자 정보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