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3350A -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3350A
KR20040033350A KR1020020062401A KR20020062401A KR20040033350A KR 20040033350 A KR20040033350 A KR 20040033350A KR 1020020062401 A KR1020020062401 A KR 1020020062401A KR 20020062401 A KR20020062401 A KR 20020062401A KR 20040033350 A KR20040033350 A KR 20040033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voice
us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 열 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텍
채 열 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텍, 채 열 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텍
Priority to KR1020020062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3350A/ko
Publication of KR20040033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350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 무자격자가 불법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컨텐츠 사업자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된 키와 스크램블된 데이터를 해독 알고리즘과 사용자의 고유 암호를 이용해 해독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동시에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면서도 무자격자가 불법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지 못하도록 컨텐츠 서비스를 보호할 수 있으므로, 정보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컨텐츠 서비스의 사용 요금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 {Portable Terminal for Contents Service Protect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 무자격자가 불법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은 휴대전화가 2.5세대와 3세대로 진보함에 따라 음성 통화 뿐만 아니라 다양한 데이터 전송,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수단으로도 점차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전화가 100Kbps 이상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지면서 고대역폭의 데이터 전송 채널을 이용하여 고음질의 오디오를 전송하거나 VOD(Video On Demand)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s)에 의한 고화질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서비스 제공업자의 경우에, 휴대전화의 고대역폭의 채널을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시 휴대전화의 사용자가 정보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회원인가를 확인하여야 하고, 정보제공에 가입되어 있는 회원 중에서도 요금을 납입한 회원에 한하여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업자는 컨텐츠 서비스 보호 측면에서 정보를 제공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타당성을 확인해야 하고, 타당한 사용자에게만 정보를 제공하고, 나머지 사용자들에게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런데, 휴대전화에는 컨텐츠 서비스 보호를 위한 구성이 아직 준비되지 않고 있어 컨텐츠 서비스는 1대N의 서비스 방식보다 필요한 가입자가 필요한 서버에 연결하여 과금 후 정보를 가져오는 1대1 서비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전화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가 1:1 서비스 형태로 제공됨으로 인해 무선 통신 채널 대역폭의 한계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서비스를 받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무선 통신 채널이 2Mbps라고 할 경우에, 컨텐츠 서비스를 위해 1인당 100Kbps를 사용하면 20명 이상 동시에 채널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전화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가 1대1 서비스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많은 사용자에게 동시에 서비스가 불가능해져 서비스 요금이 상승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데이터를 보호하면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전화용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요소인 컨텐츠 사업자의 내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의 일례로 암호와 암호 해독을 위해 사용하는 배타적 논리합 로직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의 특징은, 기지국으로 송수신되는 음성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로 송신하는 음성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수신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여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암호화된 키를 해독하여 스크램블된 데이터를 디스크램블하여 원래 데이터로 복구하는 컨텐츠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 처리부에서 복구된 원래 컨텐츠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를 통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시연하는 컨텐츠 시연부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변조하여 송출하고, 기저대역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무선주파수(RF) 통신부; 및 상기 무선주파수 통신부로 송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처리하는 기저대역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처리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여 해당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 압축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로 송신하는 음성 코덱부; 및 상기 음성 코덱부에서 복조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변환하여 이를 상기 음성 코덱부로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입출력부는, 마이크, 스피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수신되는 컨텐츠 데이터가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암호화된 키를 이용해 스크램블된 데이터일 경우에 암호 해독 및 디스크램블링 명령을 내려 원래 컨텐츠 데이터로 복구시키고 데이터 형태에 맞게 데이터 처리하는컨텐츠 수신부; 상기 컨텐츠 수신부의 암호 해독 명령에 따라 상기 암호화된 키를 해독하여 원래 키 값을 추출하여 이를 상기 컨텐츠 수신부로 전송하는 암호 해독부; 및 상기 컨텐츠 수신부의 디스크램블링 명령에 따라 상기 암호 해독부에서 추출한 원래 키 값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디스크램블링하여 원래 컨텐츠 데이터로 복구하여 이를 상기 컨텐츠 수신부로 전송하는 디스크램블부를 포함한다.
상기 암호 해독부는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암호화된 키와 함께 사용자가 정의한 고유암호 값을 사용하여 암호 해독한다.
상기 암호 해독부는, 상기 컨텐츠 사업자로부터 암호 해독을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램블부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규격 또는 배타적 논리합 로직을 사용하여 디스크램블링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 방법의 특징은, a) 기지국에서 음성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를 해당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처리된 신호 중에서 스크램블된 컨텐츠 데이터를 원래 데이터로 복구하기 위해 컨텐츠 사업자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된 키를 해독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해독된 키를 이용해 컨텐츠 데이터를 디스크램블하고, 상기 디스크램블된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시청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스크램블된 컨텐츠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 암호화된 키를 해독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암호화된 키와 사용자가 정의한 고유 암호 값을 사용하여 암호 해독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암호화된 키는 컨텐츠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동안 주기적으로 스크램블에 사용한 키 값이 변경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로 전송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암호화된 키는 사용자의 키 요청에 따라 컨텐츠 단위로 사용자가 지정한 고유 암호로 키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키를 사용자가 고유 암호로 해독한 후 해독된 키 값을 해당 컨텐츠 제공시간동안 계속해서 사용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스크램블된 컨텐츠 데이터와 암호화된 키를 해독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사용자의 요청과 무관하게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변경된 암호/해독 알고리즘을 업로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스크램블된 컨텐츠 데이터와 암호화된 키를 해독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 신규 암호/해독 알고리즘을 업로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전화용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휴대전화용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다수의 컨텐츠 사업자들(20), 다수의 기지국들(30), 통신 사업자 내부망(40)을 포함한다.
컨텐츠 사업자들(20)은 휴대전화(10)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이고, 기지국들(30)은 무선 통신 사업자가 사용자 휴대전화간의 무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말 시스템이다.
컨텐츠 사업자(20)와 기지국(30) 사이에 배치되는 통신사업자 내부망(40)은 휴대전화용 무선 서비스를 위해 통신사업자가 기지국(30)을 연결하여 관리하는 서비스 망이다.
따라서, 컨텐츠 사업자(20)는 이 통신사업자 내부망(40)을 통해 기지국(30)을 거쳐 사용자 휴대전화에 무선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컨텐츠 사업자(20)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과정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일부 구성요소인 컨텐츠 사업자의 내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컨텐츠 사업자의 내부 시스템은 스크램블(scrambling)부(21), 난수화기(random number generator)부(22), 컨텐츠 관리(content management)부(23), 수신자 관리부(24), 암호화(encryption)부(25)를 포함한다.
스크램블부(21)는 컨텐츠 데이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스크램블시킨다.이때, 스크램블은 디지털 방송에서 사용하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공통 스크램블링(common scrambling) 알고리즘 또는 배타적 논리합(Exclusive OR) 로직, 그 밖의 별개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난수화기부(22)는 스크램블부(21)가 컨텐츠를 스크램블하기 위한 키를 생성한다. 즉, 난수화기부(22)는 임의의 랜덤 값을 키로 생성하여 언제, 어떤 값이 생성되는지를 그 누구도 예측할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컨텐츠 데이터는 난수화기부(22)에서 생성된 키를 사용하여야만 스크램블된 데이터가 디스크램블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23)는 스크램블부(21)에서 스크램블된 데이터와 난수화기부()의 키를 전달받아 이들을 관리한다.
수신자 관리부(24)는 외부에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자로부터 해당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에 컨텐츠 관리부(23)에서 전송되는 스크램블된 데이터와 해당 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수신자 관리부(24)는 현재 스크램블된 데이터에 해당하는 키를 암호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수신자의 고유 암호를 저장하여 사용하고, 수신자가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한 내역을 기록하여 추후 과금하도록 한다.
암호화부(25)는 수신자 관리부(24)에서 제공되는 고유 암호를 사용하여 해당 키를 암호화시키고 이렇게 암호화된 키를 수신자 관리부(24)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컨텐츠 사업자들(20)은 컨텐츠의 서비스 요청을 한 사용자 외에는 자신의 컨텐츠가 외부에 공개되지 않도록 난수화기부(22)와 암호화부(25)를 이용해 컨텐츠를 스크램블하기 위한 키를 암호화한다.
따라서, 휴대전화의 사용자는 컨텐츠 사업자(20)로부터 통신망 사업자 내부망(40)을 이용하여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암호화된 키를 디스크램블할 수 있는 암호 해독 장치가 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시스템은 신호 처리부, 음성 처리부, 컨텐츠 처리부, 컨텐츠 시연부(180)를 포함하고 있다.
신호 처리부는 무선주파수(RF) 통신부(110)와 기저대역 처리부(120)로 구성되고, RF 통신부(110)는 기지국(30)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변조하여 송출하고, 기저대역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3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기저대역 처리부(120)는 RF 통신부(110)로 송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처리한다.
이때, RF 통신부(110)는 각 국의 통신 방식에 따라 CDMA/CDMA 2000 또는 GSM /W-CDMA 방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기저대역 처리부(120)는 GSM/W-CDMA, CDMA/CDMA 2000 서비스 방식에 따라 해당 규격으로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음성 처리부는 음성 코덱부(130)와 음성 입출력부(140)로 구성된다. 음성 코덱부(130)는 기저대역 처리부(120)에서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여 해당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 압축하여 기저대역 처리부(120)로 송신한다. 그리고, 음성 입출력부(140)는 음성 코덱부(130)에서 복조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변환하여 이를 음성 코덱부(130)로 출력한다.
위의 음성 입출력부(140)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 음성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 변환을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고 있다.
컨텐츠 처리부는 컨텐츠 수신부(150), 암호 해독부(160), 및 디스크램블부(170)를 포함한다.
먼저, 컨텐츠 수신부(150)는 기저대역 처리부(120)에서 수신되는 컨텐츠 데이터가 컨텐츠 사업자(20)가 제공하는 암호화된 키를 이용해 스크램블된 데이터일 경우에 암호 해독 및 디스크램블링 명령을 내려 원래 컨텐츠 데이터로 복구시키고 데이터 형태에 맞게 데이터 처리한다.
컨텐츠 수신부(150)는 컨텐츠 데이터가 정지 영상인 경우에 JPEG, JPEG2000, GIF, Wavelet 변환 등의 규격으로 컨텐츠 사업자 측에서 압축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풀어서 복원하도록 한다.
컨텐츠 데이터가 동영상인 경우에, MPEG1, 2, 4 또는 H.261, H.263, H.264 등으로 압축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해당 규격에 맞게 압축을 풀어 복원하도록 하고,
컨텐츠 데이터가 오디오인 경우에, MPEG1-계층1(Layer1)/계층2/계층3, MPEG 2 AAC(Advanced Audio Codec), MPEG4 AAC 등으로 압축 전송된 데이터를 해당 규격에 맞게 압축을 풀어 복원해야 한다.
이 외에도, 컨텐츠 데이터가 그래픽 애니메이션,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데이터와 여러 가지 텍스트 정보인 경우에, 컨텐츠 수신부(150)는 위의 데이터들을 수신하여 도시하거나 나타낸다.
암호 해독부(160)는 컨텐츠 수신부(150)의 암호 해독 명령에 따라 암호화된 키를 해독하여 원래 키 값을 추출하여 이를 컨텐츠 수신부(150)로 전송한다.
이때, 암호 해독부(160)는 컨텐츠 사업자(20)가 제공하는 암호화된 키와 함께 사용자가 정의한 고유암호 값을 사용하여 암호 해독할 수 있고, 컨텐츠 사업자(20)로부터 암호 해독을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메모리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위에서, 암호 해독부(160)로 전송되는 암호화된 키는 컨텐츠 사업자로부터 수신한 값이고, 고유암호는 사용자가 정의하여 사용하는 값이다.
또한, 암호 해독부(160)는 암호화된 키를 풀기 위해 암호 해독 알고리즘이 필요한데, 이 암호 해독 알고리즘은 회로적으로 구성되기도 하고,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그리고, 디스크램블부(170)는 컨텐츠 수신부(150)의 디스크램블링 명령에 따라 암호 해독부(160)에서 추출한 원래 키 값을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를 디스크램블링하여 원래 컨텐츠 데이터로 복구하여 이를 컨텐츠 수신부(150)로 전송한다.
이때, 디스크램블부(170)는 컨텐츠 제공시 컨텐츠 사업자가 컨텐츠를 스크램블한 알고리즘의 역 알고리즘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디스크램블한다.
따라서 스크램블 알고리즘과 디스크램블 알고리즘은 서로 쌍으로 존재하므로, 디스크램블부(170)는 유럽 디지털 방송 방식과 한국의 위성 디지털 방식에서 사용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규격을 사용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배타적 논리합 로직을 사용하여 디스크램블링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의 일례로 암호와 암호 해독을 위해 사용하는 배타적 논리합 로직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사업자 측의 암호화부(25)는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데이터 D(0:N-1)를 스크램블하기 위하여 N 비트의 D(0:N-1) 데이터와 KEY(0:N-1)를 배타적 논리합한다.
그러면, 암호화부(25)는 ENCD(0:N-1)의 데이터가 출력되는데, ENCD(0:N-1)=D(0:N-1) XOR KEY(0:N-1)(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의 암호 해독부(160)는 암호화된 컨텐츠 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해 배타적 논리합 로직을 구성하여 암호화부(25)로부터 전송되는 ENCD(0:N-1)을 해독한다.
즉, 암호 해독부(160)는 D(0:N-1)=ENCD(0:N-1) XOR KEY(0:N-1)(②)을 수행한다.
여기서, 컨텐츠 데이터가 스크램블을 거치고 디스크램블되기 위한 로직 식은②에 ①을 대입하여 아래 수학식 1과 같은 결과로 나타난다.
한편, 컨텐츠 시연부(180)는 컨텐츠 수신부(150)에서 전달되는 원래 컨텐츠 데이터를 비디오, 오디오, 음성, 텍스트, 애니메이션과 같은 데이터 처리를 통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시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방법은 휴대 단말기(10)가 기지국(30)에서 음성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RF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한다.(S1)
그러면, 기저대역 처리부(120)는 RF 통신부(110)에서 기저대역 변조된 신호를 전송받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여 이를 음성 코덱부(130) 또는 컨텐츠 수신부(150)로 전송한다.(S2)
만약, 기저대역 처리부(120)는 음성 신호를 데이터 처리한 경우에, 음성 신호를 음성 코덱부(130)로 전송하고, 음성 코덱부(130)는 음성 신호를 복원하여 이를 음성 데이터를 음성 입출력부(140)로 전송한다. 그리고, 음성 입출력부(140)는음성 코덱부(130)에서 전송되는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그런데, 기저대역 처리부(120)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한 경우에, 컨텐츠 수신부(150)는 스크램블된 컨텐츠 데이터와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암호화된 키를 수신한다.(S3)
그리고, 컨텐츠 수신부(150)는 컨텐츠 데이터를 원래 데이터로 복구하기 위해 암호 해독 명령을 암호 해독부(160)로 전송하고, 암호 해독부(160)는 사용자가 지정한 고유 암호화 암호 해독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된 키를 원래 키 값으로 복원하고 이를 컨텐츠 수신부(150)로 전송한다.(S4)
한편, 컨텐츠 수신부(150)는 디스크램블 명령을 디스크램블부(170)로 전송하고, 디스크램블부(170)는 디스크램블 명령에 따라 암호 해독부(160)에서 해독된 키를 이용해 스크램블된 컨텐츠 데이터를 스크램블되기 이전의 데이터로 복원한 후 이를 컨텐츠 수신부(150)로 전송한다.(S5)
컨텐츠 수신부(150)는 암호 해독부(160)에서 해독된 키 값이 전송되고, 디스크램블부(170)에서 원래 데이터로 복원된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되면, 이들을 컨텐츠 시연부(180)에 전송한다.
그러면, 컨텐츠 시연부(180)는 원래 데이터로 복구된 컨텐츠 데이터를 비디오, 오디오, 음성, 텍스트, 애니메이션 등의 데이터 처리를 통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한다.(S6)
위에서, 컨텐츠 사업자는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때 자신의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여러 방법을 사용한다.
먼저, 컨텐츠 사업자는 키 값을 시간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컨텐츠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동안 주기적으로 스크램블에 사용할 키 값을 변화시키고, 부가적으로 사용자의 고유암호로 암호화된 키를 동시에 무선 통신 채널로 해당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러면,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컨텐츠 사업자로부터 전송되는 키 값과 스크램블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암호화된 키를 해독하고 디스크램블 동작을 수행한다.
다음, 컨텐츠 사업자는 키 값을 컨텐츠 단위로 변화시키는데, 사용자가 컨텐츠 사업자에게 키 요청을 하면 컨텐츠 사업자는 사용자의 고유 암호로 키를 암호화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해 1회 전송한다.
이렇게 휴대 단말기로 한번 전송된 암호화된 키는 사용자의 고유 암호를 이용하여 해독되고, 해독된 원래의 키 값은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후 해당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간 동안 계속해서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컨텐츠 사업자는 암호/해독 알고리즘을 고정시켜 사용할 수도 이만 이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변경된 알고리즘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요청과 무관하게 휴대 단말기로 업로드한다.
사용자의 요청과 무관하게 알고리즘을 업로드하는 경우에, 컨텐츠 사업자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휴대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 후 변경된 암호/해독 알고리즘을 업로드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휴대 단말 시스템의 암호 해독부(160)는 암호 해독을 위한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될 수 있도록 메모리가 구비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롬(ROM) 타입의 메모리로서 EEPROM이나 플래쉬 메모리를 사용한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알고리즘을 업로드 하는 경우에, 컨텐츠 사업자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기저장되어 있는 암호/해독 알고리즘과 다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암호 해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컨텐츠 사업자는 해독 알고리즘을 암호 해독부(160)로 업로드하고, 이렇게 업로드된 해독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고유 암호와 컨텐츠 사업자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된 키를 해독하는 프로세서를 수행한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컨텐츠 사업자가 기지국을 통해 휴대 단말기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나, 휴대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의 음성, 텍스트 등의 신호 송신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상기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컨텐츠 사업자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된 키와 스크램블된 데이터를 해독 알고리즘과 사용자의 고유 암호를 이용해 해독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동시에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하면서도 무자격자가 불법으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지 못하도록 컨텐츠 서비스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정보의 효율성이 높아지고, 컨텐츠 서비스의 사용 요금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기지국으로 송수신되는 음성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로 송신하는 음성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수신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여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암호화된 키를 해독하여 스크램블된 데이터를 디스크램블하여 원래 데이터로 복구하는 컨텐츠 처리부; 및
    상기 컨텐츠 처리부에서 복구된 원래 컨텐츠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를 통해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시연하는 컨텐츠 시연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변조하여 송출하고, 기저대역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무선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무선주파수(RF) 통신부; 및
    상기 무선주파수 통신부로 송수신되는 모든 데이터를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처리하는 기저대역 처리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처리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수신한 음성 데이터를 복원하여 해당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음성 압축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로 송신하는 음성 코덱부; 및
    상기 음성 코덱부에서 복조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변환하여 이를 상기 음성 코덱부로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출력부는, 마이크, 스피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신호처리부에서 수신되는 컨텐츠 데이터가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암호화된 키를 이용해 스크램블된 데이터일 경우에 암호 해독 및 디스크램블링 명령을 내려 원래 컨텐츠 데이터로 복구시키고 데이터 형태에 맞게 데이터 처리하는 컨텐츠 수신부;
    상기 컨텐츠 수신부의 암호 해독 명령에 따라 상기 암호화된 키를 해독하여 원래 키 값을 추출하여 이를 상기 컨텐츠 수신부로 전송하는 암호 해독부; 및
    상기 컨텐츠 수신부의 디스크램블링 명령에 따라 상기 암호 해독부에서 추출한 원래 키 값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디스크램블링하여 원래 컨텐츠 데이터로 복구하여 이를 상기 컨텐츠 수신부로 전송하는 디스크램블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해독부는,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암호화된 키와 함께 사용자가 정의한 고유암호 값을 사용하여 암호 해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해독부는, 상기 컨텐츠 사업자로부터 암호 해독을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이이피롬(EEPROM)과 같은 롬(ROM)타입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단말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램블부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 규격 또는 배타적 논리합 로직을 사용하여 디스크램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10. a) 기지국에서 음성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를 해당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처리된 신호 중에서 스크램블된 컨텐츠 데이터를 원래 데이터로 복구하기 위해 컨텐츠 사업자로부터 전송되는 암호화된 키를 해독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해독된 키를 이용해 컨텐츠 데이터를 디스크램블하고, 상기 디스크램블된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가 시청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스크램블된 컨텐츠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 암호화된 키를 해독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암호화된 키와 사용자가 정의한 고유 암호 값을 사용하여 암호 해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컨텐츠 서비스 보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암호화된 키는 컨텐츠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동안 주기적으로 스크램블에 사용한 키 값이 변경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암호화된 키는 사용자의 키 요청에 따라 컨텐츠 단위로 사용자가 지정한 고유 암호로 키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키를 사용자가 고유 암호로 해독한 후 해독된 키 값을 해당 컨텐츠 제공시간동안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스크램블된 컨텐츠 데이터와 암호화된 키를 해독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사용자의 요청과 무관하게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변경된 암호/해독 알고리즘을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제공하는 스크램블된 컨텐츠 데이터와 암호화된 키를 해독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사업자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로 신규 암호/해독 알고리즘을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암호 해독을 위해 상기 컨텐츠 사업자로부터 암호 해독을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메모리를 추가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추가되는 메모리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이이피롬(EEPROM)과 같은 롬(ROM)타입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서비스 보호 방법.
KR1020020062401A 2002-10-14 2002-10-14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33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401A KR20040033350A (ko) 2002-10-14 2002-10-14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2401A KR20040033350A (ko) 2002-10-14 2002-10-14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350A true KR20040033350A (ko) 2004-04-28

Family

ID=3733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401A KR20040033350A (ko) 2002-10-14 2002-10-14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33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562A (ko) * 2002-11-27 2004-06-05 배종민 암호화된 무선 개인용 저장 셋톱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472A (ko) * 2000-03-29 2001-10-29 이진원 컨텐츠 파일 암호화 및 복호화 장치
JP2002033728A (ja) * 2000-07-14 2002-01-31 Pfu Ltd 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WO2002047356A2 (en) * 2000-12-07 2002-06-13 Thomson Licensing S.A. Method of secure transmission of digital data from a source to a receiver
KR20030091239A (ko) * 2002-05-25 200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간 컨텐츠 보호 방법 및 구성, 휴대 단말기의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472A (ko) * 2000-03-29 2001-10-29 이진원 컨텐츠 파일 암호화 및 복호화 장치
JP2002033728A (ja) * 2000-07-14 2002-01-31 Pfu Ltd 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WO2002047356A2 (en) * 2000-12-07 2002-06-13 Thomson Licensing S.A. Method of secure transmission of digital data from a source to a receiver
KR20030091239A (ko) * 2002-05-25 2003-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간 컨텐츠 보호 방법 및 구성, 휴대 단말기의동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562A (ko) * 2002-11-27 2004-06-05 배종민 암호화된 무선 개인용 저장 셋톱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026B1 (ko) 영상 신호 송수신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보안 모듈
CN101478544B (zh) 一种多媒体广播多重加解密的实现方法和装置
KR20030085094A (ko) 암호화 장치
KR20090002939A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 송수신 장치및 방법
AU2806001A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RU235617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в системе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KR100718452B1 (ko) 대역외 채널을 이용한 emm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CN1707993A (zh) 用于保密无线通信的通用传声器
CN100547955C (zh) 一种移动多媒体业务保护的方法、系统及设备
CN101146209B (zh) 一种移动多媒体广播业务中节目流密钥加密的方法及系统
US20110135089A1 (en) Image encrypting/decrypting system and method
JP5031305B2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復号プログラム
EP2579536A1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data card
CN103281572B (zh) 集成基本数据、正常数据解扰的dvb条件接收装置
CN101145932A (zh) 一种移动多媒体广播业务中节目流密钥的实现方法及系统
KR20040033350A (ko) 컨텐츠 서비스 보호용 휴대 단말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60119303A1 (en) Information security attachment device for voice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ecurity method for voic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JP4865463B2 (ja)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100519783B1 (ko) 정보보호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송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408516B1 (ko) 정보보호 기능을 갖는 cdma 무선통신시스템용 단말기, 암호화 전송 방법 및 해독화 수신 방법
CN100469132C (zh) 一种用于可视电话间保密通话的方法
Rekha et al. End-to-end security for GSM users [speech coding method]
KR100634495B1 (ko) 정보보호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송수신기 및 그 방법
KR100703538B1 (ko) 휴대단말기의 컨텐츠 보호/회수장치 및 방법
JP2006013723A (ja) 映像電話機間の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