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2173A -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회로 - Google Patents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2173A
KR20040032173A KR1020020059729A KR20020059729A KR20040032173A KR 20040032173 A KR20040032173 A KR 20040032173A KR 1020020059729 A KR1020020059729 A KR 1020020059729A KR 20020059729 A KR20020059729 A KR 20020059729A KR 20040032173 A KR20040032173 A KR 200400321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mission mode
delay circuit
frame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9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2173A/ko
Publication of KR20040032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17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9/00Networks using time-varying elements, e.g. N-path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의 비동기식 전송 모드 계층 처리기와 복수의 광 망 유니트 및 상기 광 망 유니트들과 연결되어 통신을 제어하는 광 선로종단장치를 구비한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 관한 것으로, 광 선로종단장치에서 전송하는 하향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에서 셀 동기와 프레임 동기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어진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 모드에서 레인징 타임의 기준으로 사용될 위치를 검출하는 프레임 정렬부와; 상기 프레임 정렬부에서 검출되어진 위치를 기준으로 송신 모드에서의 레인징 타임에 따른 지연 위치를 생성시키는 지연회로부; 및 상기 지연회로부에서 생성되어진 지연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광 선로종단장치에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광 망 유니트들 각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 회로를 제공하여 광 선로 종단장치(OLT)와 광 망 유니트(ONU)의 상향 접속에서 연결되어 있는 모든 광 망 유니트(ONU)의 지연시간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 회로{time delay circuit at passive optical network by synchronous transfer mode}
본 발명은 비동기식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를 이용하는 수동 광 가입자망(Passive Optical Network: PON)에서 광 선로 종단장치(OLT)와 광 망 유니트(ONU)의 상향 접속에서 연결되어 있는 모든 광 망 유니트(ONU)의 지연시간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 세계의 통신망은 크게 핵심 망, 가입자 망, 접속 망의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되어 발전해 왔다. 근래에 기업가입자의 통신수요 뿐만 아니라 개별 가정 가입자의 데이터통신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가입자 액세스 망에서 광대역이고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해 줄 수 있는 통신시스템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국간 핵심 망에 제한적으로 사용되던 광통신이 가입자 액세스 망까지 내려와 설치 및 포설되어 사용되고 있다. 가입자 액세스 망의 궁극적 목표는 가정까지 광 케이블(optical cable)을 공급하여 광 대역의 서비스를 지원해 주는 것이다. 하지만, 가입자 망에 있어서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작용하므로 저 가격의 시스템의 구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래서, 가입자 액세스 망에서는 능동 광 소자의 사용을 배제하고 유지보수와 설치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수동 광 소자들만으로 수동 광 가입자망을 구성하는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가입자 액세스 망은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낮은 전송률에서 높은 전송률까지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다양한 서비스의 질(Quality of Service : QoS)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비동기식 전달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 ATM) 기술이 수동 광 소자 망 기술과 연계되어 비동기식 전달 모드-수동 광 가입자망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상술한 비동기식 전달 모드-수동 광 가입자망 기술은 대체적으로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현되는데, 이는 광 선로 종단장치(Optical Line Termination : OLT)(11)와, 광 분기망(Optical Distribution Network : ODN)(12)및 광 망 유니트(Optical Network Unit : ONU)(13)로 구성된다. OLT(11)는 양방향 광 전송 선로(two-way optical fiber transmission paths)를 통하여 N개의 ONU들(N=최대64)(13)과 통신한다.
상기 OLT(11)는 분기된 망(shared fiber) 연결을 통하여 ODN(12)으로 정보를 전송하고, ODN(12)은 OLT(11)로부터의 정보를 N개의 광 선로(optical fiber) 링크를 통하여 N개의 ONU들(13)에 방송 형태로 전송한다. ONU들(13)은 상향으로(up stream direction)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정보를 OLT(11)에 전송한다.
도 2는 이러한 PON 구조에서 송수신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도 2의 (a)는 하향 프레임 구조이며, (b)는 상향 프레임 구조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프레임 구조는 하향 전송 속도에 따라 155.520 Mbps 및 622.08 Mbps등 2가지 프레임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하향 프레임 구조는 연속적인 타임 슬롯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타임 슬롯은53 옥텟의 ATM 셀 혹은 PLOAM(physical layer 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셀로 채워진다. 매 28 타임슬롯마다 PLOAM 셀이 삽입(inserted)되므로, 155.520 Mbps 하향 프레임인 경우에는 2 개의 PLOAM 셀 슬롯을 포함하며, 모두 56개의 타임 슬롯으로 구성된다. 622.08 Mbps 하향 프레임인 경우에는 8 개의 PLOAM 셀 슬롯을 포함하며, 216개의ATM 셀 슬롯과 함께 모두 224 타임 슬롯으로 구성된다.
상향 프레임은 56 바이트 길이로 구성된 총 53 개의 타임 슬롯으로 이루어지며, 각 타임 슬롯은 OLT의 제어에 의하여 PLOAM 셀, ATM 셀, 분할 슬롯(dividedslot) 중 하나로 할당된다. 각 타임 슬롯에는 guard time, preamble, delimiter등의 정보를 수록한 3바이트 길이의 오버헤드가 포함된다. OAM을 위한 다운 스트림(down stream) PLOAM 셀의 페이로드 정보 48 옥텟은 상향 타임 슬롯 허가 정보(grant)와 유지 보수 관리 정보를 수송하기 위한 메시지로 이루어지며, 업 스트림(up stream) PLOAM 셀은 메시지와 광 전력 제어 정보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비동기식 전달 모드-수동 광 가입자망 기술은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지원해 줄 수 있는 방안으로 국제표준화기구의 표준인 ITU-T/FSAN의 983.1과 983.2 등에서 표준화되고 있다.
수동 광가입자망은 링(ring), 스타(star) 그리고 트리(tree) 형태로 구성되어 질 수 있는 데, 트리 형태를 가질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광 분배 망에서 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화국측 광종단장치(OLT)가 각 광 가입자망 유닛(ONU)의 거리를 측정하여 등화 지연을 할당함으로써 광 가입자망 유닛이 가상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을 수 있게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이 거리측정 과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리측정을 하는 동안 기존에 통신하고 있는 광 가입자망 유닛이 일시적으로 통신을 하지 못하도록 전화국측 광종단장치가 모든 광 가입자망 유닛에게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 통신이 정지되는 시간을 창이라고 한다. 이 창의 크기는 광 가입자망 유닛과 전화국측 광종단장치 사이의 거리에 대한 모호성에 의해 발생되며, 표준에서는 광 가입자망 유닛이 약 20km 내의 임의의 위치에 있을 수 있으므로 위치의 모호성이 20km가 되고, 한 번의 지연측정 당 73셀 (약 21msec)이상의 통신정지시간을 가지게 된다.
이는 서비스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표준안 ITU-T G .983.1에서는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인징(Ranging)의 개념만 소개를 하고 있을 뿐 다른 어떠한 사항에 대해서도 정의하고 있지 못하며 기존의 거리 측정 방식이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레이징 창(Ranging window)의 길이가 길어 소비자의 신뢰성이 저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동기식 전송 모드를 이용하는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 선 할당 등화 지연 측정을 위한 거리측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준화에서 제안된 거리측정의 방법에 있어서 발생하는 창의 개설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존의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방식에서 탈피하여 하드웨어적으로 구현함으로써 거리측정에 따른 통신정지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레인징 처리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ATM-PON 블록도,
도 2는 PON 프레임의 구조도
도 3은 권고 규정안에서 언급하고 있는 레이징 개념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 회로의 블록 구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 회로를 통해 레인징 처리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 예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외부의 비동기식 전송 모드 계층 처리기와 복수의 광 망 유니트 및 상기 광 망 유니트들과 연결되어 통신을 제어하는 광 선로종단장치를 구비한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 있어서: 상기 광 망 유니트들 각각에 대하여, 광 선로종단장치에서 전송하는 하향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에서 셀 동기와 프레임 동기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어진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 모드에서 레인징 타임의 기준으로 사용될 위치를 검출하는 프레임 정렬부와; 상기 프레임 정렬부에서 검출되어진 위치를 기준으로 송신 모드에서의 레인징 타임에 따른 지연 위치를 생성시키는 지연회로부; 및 상기 지연회로부에서 생성되어진 지연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광 선로종단장치에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프레임 정렬부에서 검출하는 위치 정보는, 일반적으로 하향 데이터의 속도가 622㎒이므로 셀당 53바이트, PLOAM 셀당 28셀, 한 프레임당 8개의 PLOAM 셀이 내려가는 이러한 하향 데이터 프레임의 총 8개인 PLOAM 셀 중 두 번째 PLOAM 셀이 종료되는 위치로 설정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 회로의 블록 구성 예시도로서, ITU-T G.983.1의 규정안에 따른 하향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에서 셀 동기와 프레임 동기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수신부(101)와, 상기 수신부(101)를 통해 수신되어진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 모드에서 레인징 타임의 기준으로 사용될 위치를 검출하는 프레임 정렬부(102)와, 상기 프레임 정렬부(102)에서 검출되어진 위치를 기준으로 송신 모드에서의 레인징 타임에따른 지연 위치를 생성시키는 지연회로부(104) 및 상기 지연회로부(104)에서 생성되어진 지연 위치를 기준으로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106)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 중 미 설명 참조번호 103과 105는 하향 데이터를 처리하는 수신 데이터 처리부와 원천 소스신호를 상향 데이터로 변환 생성시키는 송신 데이터 처리부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 정렬부(102)에서 검출하는 위치 정보는 일반적으로 하향 데이터의 속도가 622㎒이므로 셀(cell)당 53바이트, PLOAM 셀당 28셀, 한 프레임당 8개의 PLOAM 셀이 내려가는 이러한 하향 데이터 프레임의 총 8개인 PLOAM 셀 중 두 번째 PLOAM 셀이 종료되는 위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 회로의 동작을 첨부한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 회로를 통해 레인징 처리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 예시도이다.
초기에는 지연시간이 제로이므로 송신부(106)의 상향 타임 슬롯의 시작점은 지연회로(104)의 동작이 없는 관계로 프레임 정렬부(102)에서 알려준 위치 정보와 같다.
즉, 상기 프레임 정렬부(102)에서 검출하는 위치 정보는 수신부(101)를 통해 수신되는 ITU-T G.983.1의 규정안에 따른 하향 데이터인 프레임의 구성중 8개의 PLOAM 셀 중 두 번째 PLOAM 셀이 종료되는 위치이다.
그 후, 광 선로 종단장치(OLT)에서 레인징 절차 후에 PLOAM 셀의 메시지중 레인징 타임 메시지를 통해 수신된 지연 카운터 값만큼 지연된 위치를 송신부(106)에 알려줌에 따라 상향 타임슬롯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광 선로 종단장치(OLT)에서는 모든 광 망 유니트(ONU)의 셀이 충돌없이 순서대로 수신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 회로를 제공하면, 종전에 표준안 ITU-T G .983.1에 개념적으로만 언급되어 있는 레인징(Ranging)에 대해 하드웨어적인 신뢰성 있는 회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광 선로 종단장치(OLT)와 광 망 유니트(ONU)의 상향 접속에서 연결되어 있는 모든 광 망 유니트(ONU)의 지연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광 망 유니트(ONU)의 타임 슬롯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상향 대역폭 할당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2)

  1. 외부의 비동기식 전송 모드 계층 처리기와 복수의 광 망 유니트 및 상기 광 망 유니트들과 연결되어 통신을 제어하는 광 선로종단장치를 구비한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 있어서:
    광 선로종단장치에서 전송하는 하향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에서 셀 동기와 프레임 동기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어진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 모드에서 레인징 타임의 기준으로 사용될 위치를 검출하는 프레임 정렬부와;
    상기 프레임 정렬부에서 검출되어진 위치를 기준으로 송신 모드에서의 레인징 타임에 따른 지연 위치를 생성시키는 지연회로부; 및
    상기 지연회로부에서 생성되어진 지연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광 선로종단장치에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상기 광 망 유니트들 각각에 대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정렬부에서 검출하는 위치 정보는 일반적으로 하향 데이터의 속도가 622㎒이므로 셀당 53바이트, PLOAM 셀당 28셀, 한 프레임당 8개의 PLOAM 셀이 내려가는 이러한 하향 데이터 프레임의 총 8개인 PLOAM 셀 중 두 번째 PLOAM 셀이 종료되는 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 회로.
KR1020020059729A 2002-10-01 2002-10-01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회로 KR200400321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729A KR20040032173A (ko) 2002-10-01 2002-10-01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729A KR20040032173A (ko) 2002-10-01 2002-10-01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173A true KR20040032173A (ko) 2004-04-17

Family

ID=3733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729A KR20040032173A (ko) 2002-10-01 2002-10-01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21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5789A1 (zh) * 2008-10-23 2010-04-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带宽分配方法和光线路终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5789A1 (zh) * 2008-10-23 2010-04-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带宽分配方法和光线路终端
CN101383767B (zh) * 2008-10-23 2012-02-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上行带宽分配方法和光线路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718B1 (ko) 비동기전송모드-광통신망에서의 광선로 종단장치
US9154221B2 (en) Method, system, and relay apparatus for realizing passive optical network reach extension
US7606490B2 (en) Adaptive preamble adjustment for burst-mode optical systems
US20210266090A1 (en) Data Communications System, Optical Line Terminal, and Baseband Unit
EP2230785A2 (en) Optical line terminal, passive optical network system, and bandwidth assignment method
US8837510B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llocating upstream bandwidth of a shared upstream channel of an optical network
CN100571081C (zh) 一种无源光网络级联系统及其光线路终端
US10841674B2 (en) Timeslot management method, a related network terminator, a related line terminator and an upstream signal frame structure for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JP2004528784A (ja) 可変長パケット及び可変長上り方向の時間スロットを利用するポイントツーマルチポイント受動光ネットワーク
US20020163695A1 (en) Time slot scheduling for shared-medium communications networks
KR100786527B1 (ko) 수동광분기망에서 맥을 위한 승인 요청 방법
US6801547B1 (en) Ranging cell detection in a noisy environment
KR100630377B1 (ko) 수동광 분기망의 레인징 방법
KR100775690B1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레인징처리 회로
KR20040032173A (ko) 비동기식 전송 모드의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시간 지연회로
KR100369933B1 (ko) 에이티엠-폰 광 선로 종단장치의 데이터 전송장치
KR100704111B1 (ko) 수동광분기망에서 전송수렴계층 기능을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amer The problem of upstream traffic synchronization in Passive Optical Networks
Neri et al. Passive Optical Networks
Glade et al. BISDN in the subscriber loop using a passive optical network
Kwong et al. WDM PONs: Next step for the first mile
KR20010063842A (ko) 수동형 광가입자망 마스터 정합 장치
Pikrammenos et al. THE DESIGN OF PASSIVE OPTICAL NETWORKS ACCORDING TO FSAN
CA2049780A1 (en) Passive optical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40060277A (ko) 에이티엠-폰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