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0277A - 에이티엠-폰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 - Google Patents

에이티엠-폰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0277A
KR20040060277A KR1020020086830A KR20020086830A KR20040060277A KR 20040060277 A KR20040060277 A KR 20040060277A KR 1020020086830 A KR1020020086830 A KR 1020020086830A KR 20020086830 A KR20020086830 A KR 20020086830A KR 20040060277 A KR20040060277 A KR 20040060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multiplexer
framer
atm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재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0277A/ko
Publication of KR20040060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27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04Q11/0067Provisions for optical access or distribution networks, e.g. Gigabit Ethernet Passive Optical Network (GE-PON), ATM-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A-PON), PON-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62Network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28Local loop
    • H04J2203/0039Topology
    • H04J2203/0041Star, e.g. cross-connect, concentrator, subscriber group equipment, remote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46User Network Interface
    • H04J2203/0048Network termination, e.g. NT1, NT2, PB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PON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STM 신호를 처리하는 STM 신호 처리부와; 상기 STM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어 OLT 송신 데이터를 프레이밍하는 OLT 송신 프레이머와; 상기 OLT 송신 프레이머와 연결되어 가입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ATM-PON에서 ITU-T G.983.1 규격을 준수하는 OLT의 송신 프레이머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이티엠-폰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r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본 발명은 ATM-PON(Asynchronous Transfer Mode based Passive Optical Network, 비동기 전송 방식 기반 수동 광 통신망)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ATM-PON에서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Telecommunication sector,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 표준화부문) G.983.1 규격을 준수하는 OLT(Optical Line Termination)의 송신 프레이머를 구현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ATM-PON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비동기 전송 방식)은 디지털 데이터를 53 바이트의 셀 또는 패킷으로 나누어, 디지털 신호 기술을 사용한 매체를 통하여 전송하는 전용접속(dedicated-connection) 스위칭 기술이다. 하나의 셀은 개별적으로 다른 셀 들과 관련하여 비동기적으로 처리되고 회선공유를 위한 멀티플렉싱을 하기 위해 큐(queue)에 들어가게 된다.
또한 PON(Passive Optical Network, 수동 광 통신망)은 광케이블 망을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PON이 어느 위치에서 종말 처리되느냐에 따라, FTTC(Fiber To The Curb, 장외 광 선로), FTTB(Fiber-To-The-Building, 빌딩 광 선로) 또는 FTTH(Fiber To The Home, 주거지 광 선로) 등으로 나뉘어진다.
PON은 통신회사에 설치되어 있는 한 대의 OLT(Optical Line Termination)와 가입자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ONU(Optical Network Unit, 광 통신망 장비)로 구성되는데, 대개 최대 32개의 ONU가 한 대의 OLT에 연결될 수 있다. PON에서 passive 즉 "수동"이란 일단 신호가 네트워크를 통해 지나가기 시작하면 광전송을 위해 전력 에너지 또는 활성 전자부품이 더 이상 필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PON은 하나의 단독형 시스템에서, 하향으로 622 Mbps, 상향으로 155 Mbps의 대역폭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 대역폭은 다수의 PON 사용자들에게 할당될 수 있다. PON은 또한 케이블TV 시스템과 같은 대규모 시스템과 인근의 빌딩 또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하는 가정용 이더넷 네트워크 사이에서 트렁크로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ATM-PON을 위한 OLT 송신 프레이머는 구체적으로 구현된 바 없다.
다만 이와 유사한 구조가 BAF 시스템으로 있다.
도 1은 종래 BAF 셀의 프레임 구조를 보인 구조도이다.
이는 다음의 참조문헌 [U. Killat, Access to B-ISDN via PONs: ATM Communication in Practice, Wiley, P.125.1996]에서 언급된 바 있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PON의 프레임 구조를 보인 구조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서의 BAF 셀에 대한 다운스트림과 업스트림의 프레임 구조는 도 2에서의 ATM-PON 셀에 대한 다운스트림과 업스트림의 프레임 구조와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AF 시스템에 의거한 프레이머를 ATM-PON에 의거한 프레이머에 적용시킬 수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ATM-PON에서 ITU-T G.983.1 규격을 준수하는 OLT의 송신 프레이머를 구현할 수 있는 ATM-PON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ATM-PON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는,
STM 신호를 처리하는 STM 신호 처리부와; 상기 STM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어 OLT 송신 데이터를 프레이밍하는 OLT 송신 프레이머와; 상기 OLT 송신 프레이머와 연결되어 가입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 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BAF 셀의 프레임 구조를 보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PON의 프레임 구조를 보인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PON의 망 계층 구조를 보인 표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ATM-PON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OLT 송신 프레이머의 상세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STM 신호 처리부 200 : OLT 송신 프레이머
210 : 인터페이스부 211 : 휴지 셀 처리부
212 : 셀 카운트 213 : 2 셀 FIFO
214 : 셀 버퍼 215 : 제어 시그널 생성부
220 : 다중화부 230 : HEC
240 : BIP 250 : 스크램블러
260 : 라인 드라이버 270 : 클럭 생성부
300 : 광 전송부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ATM-PON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ATM-PON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STM(Synchronous Transfer Mode, 동기 전송 방식) 신호를 처리하는 STM 신호 처리부(100)와; 상기 STM 신호 처리부(100)와 연결되어 OLT 송신 데이터를 프레이밍하는 OLT 송신 프레이머(200)와; 상기 OLT 송신 프레이머(200)와 연결되어 가입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 전송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도 4에서 OLT 송신 프레이머의 상세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데이터와 시그널을 입력받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21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210)에서 인터페이스된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220)와; 상기 다중화부(220)의 출력에 대해 HEC(Header Error Control, 헤더 오류 제어)를 수행하는 HEC(230)와; 상기 HEC(230)의 출력에 대해 프레임 길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한 BIP(Bit Interleaved Parity, 비트 교직 홀짝수)를 계산하여 다음에 등장하는 PLOAM(Physical Layer Operation And Maintenance) 셀의 마지막 옥텟(Octet)에 그 결과를 삽입하는 BIP(240)와; 상기 BIP(240)의 출력에 대해 셀 기반 혼화(Cell scrambling)를 수행하는 스크램블러(Scrambler)(250)와; 상기 스크램블러(250)의 출력에 대해 라인 드라이빙(Line Driving)을 수행하는 라인 드라이버(260)와; 클럭을 생성하여 상기 HEC(230)에 제공하는 클럭생성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인터페이스부(210)는, 입력된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셀 승인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FIFO(First In First Out, 선입선출)에 셀이 없을 경우 휴지 셀을 상기 다중화부(220)로 전달하는 휴지 셀 처리부(211)와; 입력된 데이터에서 셀을 카운트하여 상기 다중화부(220)로 알리는 셀 카운트(Cell Count)(212)와; 입력된 데이터에서 PLOAM 셀을 다중화하는 동안에 ATM 셀이 내려오는 것을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다중화부(220)로 전송하는 2 셀 FIFO(213)와; PLOAM 셀을 저장하여 상기 다중화부(220)로 전송하는 셀 버퍼(214)와; 제어 시그널을 생성하여 상기 다중화부(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시그널 생성부(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다중화부(220)는, 프레임 및 PLOAM 셀 동기 신호에 따라 ATM 셀과휴지 셀(Idle Cell)과 PLOAM 셀을 다중화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ATM-PON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ATM-PON에서 ITU-T G.983.1 규격을 준수하는 OLT의 송신 프레이머를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PON의 프레임 구조를 보인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PON의 망 계층 구조를 보인 표이다.
그래서 ATM-PON의 프레임 구조는 도 2에서와 같이 ITU-T G.983.1에 정의되어 있다.
155.52Mbps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대칭형 구조에서 하향 프레임은 53바이트의 크기를 가지는 56개의 셀로 구성된다.
첫 번째 셀과 29번째 셀의 위치에 주기적으로 PLOAM 셀이 나타난다.
그 외의 경우에는 ATM 셀 혹은 휴지 셀이 전달된다.
상향 프레임은 56 바이트 크기의 53개 셀로 구성된다.
승인(Grant)을 받은 각 ONU는 승인의 종류에 따라 PLOAM 셀, 배치 셀(Ranging Cell), 미니 슬롯(Mini Slot), 혹은 데이터 셀을 전송할 수 있고, 데이터 셀 승인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FIFO에 셀이 없을 경우에는 휴지 셀(Idle Cell)을 전달한다.
ATM-PON의 TC 계층의 기능은 ITU-T G.983.1에 명시되어 있으며, 계층 구조와 그 기능은 도 3과 같이 주어져 있다.
전송매체 계층은 크게 물리매체 계층과 전송수렴 계층으로 나누어진다.
물리매체 계층은 광전 및 전광의 정합기능, 광선로 연결기능, 광신호 송수신 시에 파장분할을 적용하는 기능을 보유한다. 이러한 기능은 광 트랜시버 모듈(Optical Transceiver Module)에서 담당한다.
전송매체 계층은 다시 ATM 계층과의 정합부와 PON 전송부로 분할된다.
전자인 정합부는 ATM 계층과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며, I.732에 기술되어 있다.
후자인 PON 전송부는 ATM-PON 기술에 고유한 기능을 보유하는 곳이다.
이러한 PON 전송부는 기본적인 기능으로써 비트 동기, 버스트 동기(즉, 상향 셀 동기), 프레임 정렬(프레임 동기), 배치(Ranging), 보안, 그리고 매체 액세스 제어로 셀 할당 기능 등이 있다.
도 4 및 도 5는 이러한 ITU-T의 기본 요구사항에 맞게 본 발명에 의해 ATM-PON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를 구현한 것을 보인 것이다.
도 5에서 Tframe은 프레임 시간이고, MCLK+/-는 19.44MHz의 클럭이며, TxParity는 보내는 셀의 패리티 체크 값이고, TwEnb는 인에이블(Enable) 신호이다.
또한 TxCLK는 보내는 데이터 클럭이고, TxA는 2 셀 FIFO(213)가 수신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신호이며, TxSOC는 보내기 시작함을 알려주는 신호이며, TxD[0:7]은 STM 신호 처리부(100)에서 보내주는 데이터 셀이다.
또한 TXC+/-는 광 모듈인 광 전송부(300)로 보내는 클럭이며, TXD+/-는 광모듈인 광 전송부(300)로 보내는 데이터 신호이다.
그래서 인터페이스부(210) 내의 2 셀 FIFO(213)는 현재 PLOAM 셀을 다중화하는 동안에 ATM 셀이 내려오는 것을 임시로 저장한다.
TxA는 OLT 송신 프레이머(200)가 현재 셀을 받는 것이 가능한지를 알려주기 위해 사용한다.
만약 2 셀 FIFO(213)가 셀을 받을 수 있다면, 즉 셀 카운트(212)가 FIFO에 셀을 보낼 수 있다면, TwEnb 신호를 보낸 후 셀의 시작 신호인 TxSOC와 실제 데이터인 TXD[7:0], 패리티 검사를 위한 TxParity를 보낸다.
다중화부(220)는 프레임 및 PLOAM 셀 동기 신호에 따라 ATM 셀, 휴지 셀, PLOAM 셀을 다중화한다. 다중화부(220)는 제어 시그널 생성부(215)로부터의 셀을 보내기 위한 제어 시그널을 이용하여 각각의 셀들을 다중화한다.
이들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클럭을 이용하여 프레임의 주기를 나타내는 프레임 클럭, PLOAM 셀 주기의 클럭, 바이트 클럭, 비트 클럭에 동기를 맞추어 동작한다.
HEC(230)는 다중화한 셀의 헤더 에러 체크를 수행한다.
BIP(240)는 프레임 길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한 BIP(Bit Interleaved Parity)를 계산하여 다음에 등장하는 PLOAM 셀의 마지막 옥텟에 그 결과를 삽입한다.
스크램블러(250)에서는 데이터의 혼화를 수행한다. ATM-PON의 하향(Tx) 프레임은 셀 기반의 혼화(Scramble) 기법인 DSS(Distributed Sample Scrambling, 분산표본 혼화)가 적용되며, 이것은 I.432에서 정의하는 알고리즘을 따른다.
이에 의하면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동기식 디지털 계위) 기반과 달리 셀의 헤더 4바이트도 혼화의 대상이 된다. 수신측의 동기를 위하여 헤더의 마지막 바이트는 혼화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헤더의 마지막 바이트의 8과 7번째 비트는 혼화의 동기 정보를 전달한다.
여기까지의 동작은 모두 병렬로 처리된다.
그리고 혼화된 데이터는 직렬 데이터로 변환되어 라인 드라이버(260)로 입력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ATM-PON에서 ITU-T G.983.1 규격을 준수하는 OLT의 송신 프레이머를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ATM-PON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는 ATM-PON에서 ITU-T G.983.1 규격을 준수하는 OLT의 송신 프레이머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STM 신호를 처리하는 STM 신호 처리부와;
    상기 STM 신호 처리부와 연결되어 OLT 송신 데이터를 프레이밍하는 OLT 송신 프레이머와;
    상기 OLT 송신 프레이머와 연결되어 가입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PON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LT 송신 프레이머는,
    송신 데이터와 시그널을 입력받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인터페이스된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다중화부와;
    상기 다중화부의 출력에 대해 HEC를 수행하는 HEC와;
    상기 HEC의 출력에 대해 프레임 길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대한 BIP를 계산하여 다음에 등장하는 PLOAM 셀의 마지막 옥텟에 그 결과를 삽입하는 BIP와;
    상기 BIP의 출력에 대해 셀 기반 혼화를 수행하는 스크램블러와;
    상기 스크램블러의 출력에 대해 라인 드라이빙을 수행하는 라인 드라이버와;
    클럭을 생성하여 상기 HEC에 제공하는 클럭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PON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입력된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 셀 승인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FIFO에 셀이 없을 경우 휴지 셀을 상기 다중화부로 전달하는 휴지 셀 처리부와;
    입력된 데이터에서 셀을 카운트하여 상기 다중화부로 알리는 셀 카운트와;
    입력된 데이터에서 PLOAM 셀을 다중화하는 동안에 ATM 셀이 내려오는 것을 임시로 저장하여 상기 다중화부로 전송하는 2 셀 FIFO와;
    PLOAM 셀을 저장하여 상기 다중화부로 전송하는 셀 버퍼와;
    제어 시그널을 생성하여 상기 다중화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시그널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PON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부는,
    프레임 및 PLOAM 셀 동기 신호에 따라 ATM 셀과 휴지 셀과 PLOAM 셀을 다중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PON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
KR1020020086830A 2002-12-30 2002-12-30 에이티엠-폰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 KR20040060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830A KR20040060277A (ko) 2002-12-30 2002-12-30 에이티엠-폰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830A KR20040060277A (ko) 2002-12-30 2002-12-30 에이티엠-폰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277A true KR20040060277A (ko) 2004-07-06

Family

ID=3735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830A KR20040060277A (ko) 2002-12-30 2002-12-30 에이티엠-폰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02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718B1 (ko) 비동기전송모드-광통신망에서의 광선로 종단장치
US5754941A (en) Point-to-multipoint broadband services drop with multiple time slot return channel for customer premises equipment served by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STS-based transmission format containing asynchronous transfer mode cells
US73859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on PONs
EP14177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telecom-related clocks in ethernet-based passive optical access network
US80274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data protection in PONs
US8718087B1 (en) Processing architecture for passive optical network
US20080260385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igabit passive optical network
KR100982016B1 (ko) 기가 비트 수동형 광 가입장망의 가입자 종단장치와 그 장치에서의 상향 프레임 처리 방법
US8837510B1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llocating upstream bandwidth of a shared upstream channel of an optical network
US10841674B2 (en) Timeslot management method, a related network terminator, a related line terminator and an upstream signal frame structure for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KR100786527B1 (ko) 수동광분기망에서 맥을 위한 승인 요청 방법
JP4413797B2 (ja) 受動型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6700903B1 (en) Upstream scrambler seeding system and method in a passive optical network
EP2068504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dh frame transmission over optical networks
KR100281402B1 (ko) 비동기 전송 모드-폰 시스템의 광 선로 종단장치에서의 하향메시지 할당 방법
KR100704111B1 (ko) 수동광분기망에서 전송수렴계층 기능을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60277A (ko) 에이티엠-폰의 송신 프레이머 장치
KR100283378B1 (ko) 광선로 종단 시스템의 제어 장치
KR100369933B1 (ko) 에이티엠-폰 광 선로 종단장치의 데이터 전송장치
KR100367086B1 (ko) 음성 및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광종단 장치
KR100243689B1 (ko) 광종단 장치의 비동기 전달 모드 수동 광통신망 정합기
KR100789383B1 (ko) 고속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광선로 종단장치에서의 프레임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0243690B1 (ko) 엑세스 노드의 비동기 전달 모드 수동 광통신망정합 장치
KR100362174B1 (ko) 전주형 광가입자망 유닛용 수동형 광가입자망 정합 및비동기 전송 모드 기반 가입자 서비스 다중화 장치
KR20010063842A (ko) 수동형 광가입자망 마스터 정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