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1343A - 클럭간 동기 회로 - Google Patents

클럭간 동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1343A
KR20040031343A KR1020020060740A KR20020060740A KR20040031343A KR 20040031343 A KR20040031343 A KR 20040031343A KR 1020020060740 A KR1020020060740 A KR 1020020060740A KR 20020060740 A KR20020060740 A KR 20020060740A KR 20040031343 A KR20040031343 A KR 20040031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clock signal
signal
receiv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0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1343A/ko
Publication of KR2004003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34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12Synchronisation of different clock signals provided by a plurality of clock gener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03K19/21EXCLUSIVE-OR circuits, i.e. giving output if input signal exists at only one input; COINCIDENCE circuits, i.e. giving output only if all input signals are identic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럭간 동기회로에 관한 것으로, 제 1 클럭신호를 수신하고 에지를 검출하여 제 1 클럭신호의 2 배인 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2×클럭 발생회로, 제 1 클럭신호와 제 1 클럭신호보다 낮은 주파수를 갖는 제 2 클럭신호를 수신하고 이들 클럭간의 스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위상 검출회로, 및 제 2 클럭신호와 2×클럭 발생회로의 출력신호와 위상 검출회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동기가 이루어진 2 개의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동기 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럭간 동기 회로에 의하면,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시간지연과 스큐를 제거하여 동기된 클럭을 출력할 수 있으며 반도체 칩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작다.

Description

클럭간 동기 회로{SYNCHRONIZATION CIRCUIT BETWEEN CLOCKS}
본 발명은 클럭간 동기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성으로 클럭간의 스큐(skew)를 제거할 수 있는 클럭간 동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고속동작을 위한 클럭처리 방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두 클럭간의 동기를 맞추는 방법에는 지연버퍼를 사용하여 틀어진 시간지연을 보상하는 방법과 DLL(Delay-Locked-Loop)을 사용하여 시간지연을 루프로 피드백시켜 맞추는 방법 등이 있다. 지연버퍼를 사용하는 방법은 사용할 수 있는 버퍼의 수에 한계가 있으며, 일치시켜 놓은 시간지연이 공정 또는 환경에 의해 틀어질 수 있다. DLL을 사용하는 방법은 가장 확실하게 시간지연 및 스큐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반도체 칩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크고 전력소모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클럭간 동기 회로는 입력되는 두 클럭 중 높은 주파수를 갖는 클럭으로부터 속도가 2배인 클럭을 발생시키는 2×클럭 발생회로와 두 클럭간의 스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위상 검출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시간지연과 스큐가 제거된 클럭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시간지연과 스큐를 제거하여 동기된 클럭을 출력할 수 있는 클럭간 동기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럭간 동기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회로의 각 부분의 파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2×클럭 발생회로 12 : 지연회로
20 : 위상 검출회로 30 : 동기 검출회로
본 발명에 따른 클럭간 동기 회로는 제 1 클럭신호를 수신하고 에지를 검출하여 상기 제 1 클럭신호의 2 배인 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2×클럭 발생회로, 상기 제 1 클럭신호와 상기 제 1 클럭신호보다 낮은 주파수를 갖는 제 2 클럭신호를 수신하고 이들 클럭간의 스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위상 검출회로, 및 상기 제 2 클럭신호와 상기 2×클럭 발생회로의 출력신호와 상기 위상 검출회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동기가 이루어진 2 개의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동기 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클럭 발생회로는 상기 제 1 클럭신호를 수신하여 지연시키는 지연회로, 및 상기 제 1 클럭신호와 지연된 제 1 클럭신호를 수신하고 배타적 논리합을 행하는 XOR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상 검출회로는 상기 제 1 클럭신호를 수신하여 반전시키는 인버터,
상기 제 1 클럭신호를 수신하는 D 입력단자와 상기 제 2 클럭신호를 수신하는 클럭 입력단자를 갖고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D-FF, 및 상기 제 1 클럭신호와 상기 인버터에 의해 반전된 제 1 클럭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신호의 제어하에 두 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기 검출회로는 상기 제 2 클럭신호를 수신하는 D 입력단자와 상기 2×클럭 발생회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클럭 입력단자를 갖고 상기 제 2 클럭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제 1 D-FF, 및 상기 위상 검출회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D 입력단자와 상기 2×클럭 발생회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클럭 입력단자를 갖고 상기 위상 검출회로의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제 2 D-FF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럭간 동기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럭간 동기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회로의 각 부분의 파형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1의 클럭간 동기 회로는 제 1 클럭신호(GCLK)를 수신하고 에지(edge)를 검출하고 제 1 클럭신호(GCLK)의 2 배의 주파수를 갖는 2×클럭 발생회로(10), 제 1 클럭신호(GCLK)와 제 2 클럭신호(HCLK)를 수신하고 이들 클럭간의 스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위상 검출회로(20), 및 제 2 클럭신호(HCLK)와 2×클럭 발생회로(10)의 출력신호(CGO)와 위상 검출회로(20)의 출력신호(PDO)를 수신하고 동기가 이루어진 두 출력신호(HCLKO 및 GCLKO)를 발생시키는 동기 검출회로(30)를 구비한다.
2×클럭 발생회로(10)는 제 1 클럭신호(GCLK)를 수신하여 지연시키는 지연회로(12), 및 제 1 클럭신호(GCLK)와 지연된 제 1 클럭신호(DGCLK)를 수신하고 배타적 논리합을 행하는 XOR(exclusive OR) 회로(14)를 구비한다.
위상 검출회로(20)는 제 1 클럭신호(GCLK)를 수신하여 반전시키는 인버터(22), 제 1 클럭신호(GCLK)를 수신하는 D 입력단자와 제 2 클럭신호(HCLK)를 수신하는 클럭 입력단자를 갖고 선택신호(SEL)를 발생시키는 D-FF(D-type Flip-Flop)(24), 및 제 1 클럭신호(GCLK)와 반전된 제 1 클럭신호(IGCLK)를 수신하고 선택신호(SEL)의 제어하에 두 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26)를 구비한다.
동기 검출회로(30)는 제 2 클럭신호(HCLK)를 수신하는 D 입력단자와 2×클럭 발생회로(10)의 출력신호(CGO)를 수신하는 클럭 입력단자를 갖고 제 2 클럭신호(HCLK)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D-FF(32), D-FF(32)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동기가 이루어진 제 2 클럭 출력신호(HCLKO)를 발생시키는 제 1 출력 드라이버(34), 위상 검출회로(20)의 출력신호(PDO)를 수신하는 D 입력단자와 2×클럭 발생회로(10)의 출력신호(CGO)를 수신하는 클럭 입력단자를 갖고 위상 검출회로(20)의 출력신호(PDO)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D-FF(36), 및 D-FF(36)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동기가 이루어진 제 1 클럭 출력신호(GCLKO)를 발생시키는 제 2 출력 드라이버(38)를 구비한다.
이하,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럭간 동기 회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입력되는 2 개의 클럭신호 중에 더 높은 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가 제 1 클럭신호(GCLK)이고 더 낮은 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가 제 2 클럭신호(HCLK)이다. 2×클럭 발생회로(10)는 제 1 클럭신호(GCLK)와 지연된 제 1 클럭신호(DGCLK)를 수신하고 배타적 논리합을 행하여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클럭신호(GCLK)의 2 배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CGO)를 출력한다. 이 클럭신호(CGO)는 동기 검출회로(30)를 구성하는 D-FF들(32, 36)의 클럭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위상 검출회로(20) 내에 있는 멀티플렉서(26)는 선택신호(SEL)의 제어하에 제 1 클럭신호(GCLK)와 반전된 제 1 클럭신호(IGCLK) 중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선택신호(SEL)는 D-FF에서 D 입력단자로 제 1 클럭신호(GCLK)를 수신하고 클럭 입력단자로 주파수가 보다 낮은 제 2 클럭신호(HCLK)를 수신하여 발생한다.
동기 검출회로(30) 내에 있는 D-FF(32)은 D 입력단자로 제 2 클럭신호(HCLK)를 수신하고 클럭 입력단자로 2×클럭 발생회로(10)의 출력신호(CGO)를 수신하여 동기가 이루어진 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는 출력 드라이버(34)에 의해 제 2 클럭 출력신호(HCLKO)로 된다.
동기 검출회로(30) 내에 있는 D-FF(36)은 D 입력단자로 위상 검출회로(20)의 출력신호(PDO)를 수신하고 클럭 입력단자로 2×클럭 발생회로(10)의 출력신호(CGO)를 수신하여 동기가 이루어진 신호를 출력하며, 이 신호는 출력 드라이버(38)에 의해 제 1 클럭 출력신호(GCLKO)로 된다.
도 2(b)에는 제 2 클럭신호(HCLK)의 상승 에지가 제 1 클럭신호(GCLK)의 상승 에지보다 늦게 나오는 경우에, 그리고 도 2(c)에는 제 2 클럭신호(HCLK)의 상승에지가 제 1 클럭신호(GCLK)의 상승 에지보다 일찍 나오는 경우에 대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클럭간 동기 회로의 각 부분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2(b)의 타이밍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클럭신호(HCLK)의 상승 에지가 제 1 클럭신호(GCLK)의 상승 에지보다 늦게 나오는 경우에는 제 2 클럭신호(HCLK)가 "하이" 상태로 되고 난 후에 선택신호(SEL)가 "하이" 상태로 되며, 제 2 클럭 출력신호(HCLKO)와 제 1 클럭 출력신호(GCLKO)는 서로 위상의 동기가 잘 이루어져 있다. 도 2(c)의 타이밍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2 클럭신호(HCLK)의 상승 에지가 제 1 클럭신호(GCLK)의 상승 에지보다 일찍 나오는 경우에는 제 2 클럭신호(HCLK)가 "하이" 상태로 되고 난 후에 선택신호(SEL)가 "로우" 상태로 되며, 제 2 클럭 출력신호(HCLKO)와 제 1 클럭 출력신호(GCLKO)는 서로 위상의 동기가 잘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럭간 동기 회로에 의하면,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시간지연과 스큐를 제거하여 동기된 클럭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럭간 동기 회로는 반도체 칩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작고 전력소모가 적다.

Claims (4)

  1. 제 1 클럭신호를 수신하고 에지를 검출하여 상기 제 1 클럭신호의 2 배인 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2×클럭 발생회로;
    상기 제 1 클럭신호와 상기 제 1 클럭신호보다 낮은 주파수를 갖는 제 2 클럭신호를 수신하고 이들 클럭간의 스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위상 검출회로; 및
    상기 제 2 클럭신호와 상기 2×클럭 발생회로의 출력신호와 상기 위상 검출회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고 동기가 이루어진 2 개의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동기 검출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간 동기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클럭 발생회로는
    상기 제 1 클럭신호를 수신하여 지연시키는 지연회로; 및
    상기 제 1 클럭신호와 지연된 제 1 클럭신호를 수신하고 배타적 논리합을 행하는 XOR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간 동기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검출회로는
    상기 제 1 클럭신호를 수신하여 반전시키는 인버터;
    상기 제 1 클럭신호를 수신하는 D 입력단자와 상기 제 2 클럭신호를 수신하는 클럭 입력단자를 갖고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D-FF; 및
    상기 제 1 클럭신호와 상기 인버터에 의해 반전된 제 1 클럭신호를 수신하고상기 선택신호의 제어하에 두 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간 동기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검출회로는
    상기 제 2 클럭신호를 수신하는 D 입력단자와 상기 2×클럭 발생회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클럭 입력단자를 갖고 상기 제 2 클럭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제 1 D-FF; 및
    상기 위상 검출회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D 입력단자와 상기 2×클럭 발생회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클럭 입력단자를 갖고 상기 위상 검출회로의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제 2 D-FF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럭간 동기 회로.
KR1020020060740A 2002-10-04 2002-10-04 클럭간 동기 회로 KR20040031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740A KR20040031343A (ko) 2002-10-04 2002-10-04 클럭간 동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740A KR20040031343A (ko) 2002-10-04 2002-10-04 클럭간 동기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343A true KR20040031343A (ko) 2004-04-13

Family

ID=3733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740A KR20040031343A (ko) 2002-10-04 2002-10-04 클럭간 동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13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1088B2 (en) 2007-02-27 2011-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ck skew controller and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the same
KR20110132569A (ko) * 2009-03-31 2011-12-08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사출 성형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마스터배치 및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1088B2 (en) 2007-02-27 2011-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ck skew controller and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the same
KR20110132569A (ko) * 2009-03-31 2011-12-08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사출 성형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마스터배치 및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3693A (en) Multiplexed synchronization circuits for switching frequency synthesized signals
US8350600B2 (en) Glitchless clock multiplexer controlled by an asynchronous select signal
US8301932B2 (en) Synchronising between clock domains
US6563349B2 (en) Multiplexor generating a glitch free output when selecting from multiple clock signals
JP2001320280A (ja) 並列−直列変換回路
JP2001298362A (ja) Dll回路、それを使用する半導体装置及び遅延制御方法
US20070223638A1 (en) Isophase Multiphase Clock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Serial Digital Data Receiving Circuit Using the Same
JP2007122804A (ja) 同期型半導体装置
JP4192228B2 (ja) データ発生装置
US6646480B2 (en) Glitchless clock output circuit and the method for the same
US7212055B2 (en) Open-loop digital duty cycle correction circuit without DLL
US64729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sampling
JP2007086960A (ja) クロック切り替え回路
US20020174374A1 (en) High speed phase selector
US7003683B2 (en) Glitchless clock selection circuit
KR20040031343A (ko) 클럭간 동기 회로
Kim et al. 100MHz-to–1GHz open-loop ADDLL with fast lock-time for mobile applications
US8461884B2 (en) Programmable delay circuit providing for a wide span of delays
CN113206663B (zh) 一种时钟产生电路以及芯片
JP3001544B1 (ja) パルス同期化回路
KR100294343B1 (ko) 디디알싱크로너스디램의데이터입력버퍼
US6617904B1 (en) Electronic circuit with clock generating circuit
US20020196710A1 (en) Switchable clock source
EP1104105A2 (en) Electronic circuit with clock generating circuit
KR20040031532A (ko) 전력절약모드를 갖고 글리치가 없는 비동기 디지털멀티플렉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