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0180A - 릴 전환용 접착 테잎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릴 전환용 접착 테잎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0180A
KR20040030180A KR1020030002339A KR20030002339A KR20040030180A KR 20040030180 A KR20040030180 A KR 20040030180A KR 1020030002339 A KR1020030002339 A KR 1020030002339A KR 20030002339 A KR20030002339 A KR 20030002339A KR 20040030180 A KR20040030180 A KR 20040030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paper
self
adhesive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하르트 게베켄
크리스토프 나겔
Original Assignee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테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40030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18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02Preparing the leading end of the replacement web before splicing operation; Adhesive arrangements on leading end of replacement web; Tabs and adhesive tapes for spl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06Preparing leading edge for splicing
    • B65H2301/4607Preparing leading edge for splicing by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06Preparing leading edge for splicing
    • B65H2301/46078Preparing leading edge for splicing the adhesive tab or tab having a cleavable or delaminating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42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flying splice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릴에 감겨지는 플랫 웹 재료의 정적 수동 릴 전환을 위해, 주 캐리어(2), 앞면에 자가 접착 조성물(3) 및 뒷면에 하나 이상의 접착제 분할가능한 시스템이 구비된 자가 접착 테잎이 사용되며, 자가 접착 조성물(3)은 1kg의 부하 하에 55% 상대 습도 및 23℃에서 측정하여, 코팅 베이스지(coating basepaper) 상에서 1000분 이상, 그라비어지(gravure paper) 상에서 2000분 이상의 전단력을 갖는다.

Description

릴 전환용 접착 테잎 및 이의 용도 {ADHESIVE TAPE FOR REEL CHANGEOVER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주 캐리어(main carrier), 앞면에 자가 접착 조성물 및 뒷면에 하나 이상의 접착제 분할가능한 시스템이 구비된, 릴에 감기는 플랫 웹 재료의 릴 전환용 접착 테잎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류의 접착 테잎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플랫 웹 재료가 릴에 감기는 연속 처리를 위해, 예를 들어, 제지소 등에서는 여러가지 공정이 사용된다.
실질적으로 중단되지 않고 작동되는 대규모 생산 공장에 있어서, 릴 전환은 황급하게 수행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종이 공급은 작동중인 릴 상에서 감지된다. 종이 공급이 끝나게 되자 마자, 새로운 릴이 가동하여, 새로운 릴의 웹 개시는 이전 릴의 웹 종결시에서와 같은 양이 된다. 웹 말단은 접착 테잎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고, 이전 릴의 웹 종결부와 새로운 릴의 웹 개시부 둘 모두는 접착 테잎의 앞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새로운 릴의 개시부를 하부 와인딩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웹의 의도되지 않은 풀림을 방지 하기 위해, 접착제 결합이 형성된 다음에 릴의 개시부가 정해진 탈착 조건 하에서 풀리도록 보장하기 위해, 뒷면에 분할가능한 양면 접착 테잎을 구비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리와인더(rewinder), 릴 컷터(reel cutter) 및 크로스 컷터(cross cutter)와 같은 덜 복잡한 장치의 경우에, 예를 들어 수동 릴 전환은 정적으로(statically) 수행된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2개의 종이 드럼은 예를 들어 릴을 목적하는 길이로 잘라낼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한 드럼이 되감기되고, 새로운 개시부가 접착되어, 종이의 결점부를 제거한다. 정적 수동 릴 전환의 경우에, 종이 드럼은 중단되고, 어느 한 드럼의 말단부은 다른 것의 개시부와 결합되고, 이후, 웹 이동이 재개된다. 이것은 스플라이싱 테잎으로 불리우는 양면 접착 테잎 또는 단면 접착 테잎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접착 테잎은 종이 캐리어 외에 한면 또는 양면에 수용성 자가 접착 조성물을 갖는다. 이러한 접착 테잎은 수동으로 결합되어 종이의 이전 릴의 말단을 새로운 릴의 개시부와 연결시킨다.
양면 접착 테잎을 사용하는 경우, 노출되어 있는 접착제를 갖는 접착 테잎은 웹의 최상부 종이 플라이(ply)에 정면으로 결합되고, 박리지가 제거된 후, 다른 드럼의 종이 플라이가 노출되게 되는 접착제에 결합된다. 튀어나온 종이 잔여물은 절단 또는 절취하여 제거된다.
한면 접착 테잎을 사용하는 경우, 접착 테잎은 어느 한 드럼의 최상부 종이 플라이 아래 중간 정도 결합되고, 결합되어야 하는 릴의 다른 말단은 노출되게 되는 접착제에 고정된다. 이러한 접착 테잎은 유리하게는 중앙에 분할된 박리지를 가져서, 각각의 경우에 노출된 접착제만이 그 위에 박리지가 결합된다. 이러한 스플라이싱 기술은 특히, 매우 오랫동안 종이의 릴에 남아있는 스플라이스의 경우에 사용된다. 얇은 두께 때문에, 압박점 및 접착물의 압착 유출 경우의 위험이 특히 낮다.
정적 수동 릴 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접착 테잎은 예를 들어, 비균일 개시 조작 및 요망될 수 있는 높은 와인딩 장력으로 인해 릴의 개시 동안에 상당한 인장 응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전단 내성(shear-resistant)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인장 응력에 따라, 높은 전단 강도를 갖는 접착제로 코팅되지 않은 접착 테잎은 끊어질 수 있다.
공지의 접착 테잎의 수동 적용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필요하다. 더우기, 일반적으로 불필요한 점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릴로부터 종이 웹을 유지시키거나, 균일한 컷팅 및 결합을 보장하는 기계적 보조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작업을 적절히 수행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두명의 요원을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과제는 정적 수동 릴 전환을 단순화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두에서 언급된 유형의 접착 테잎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적 수동 릴 전환 시의 높은 전단계 힘을 흡수하기 위해, 자가 접착 조성물이 각각의 경우에 1kg의 부하 하에 55% 상대 습도 및 23℃에서 측정하여, 코팅 베이스지(coating basepaper) 상에서 1000분 이상 및 그라비어지(gravure paper) 상에서 2000분 이상의 전단력을 갖는다.
상기 과제는 또한 주 캐리어, 앞면에 자가 접착 조성물 및 뒷면에 하나 이상의 분할가능한 시스템으로 형성된 접착 테잎을 이용하여 해결되며, 릴에 감기는 플랫 웹 재료의 정적 수동 릴 전환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의 경우에 1kg의 부하 하에 55% 상대 습도 및 23℃에서 측정하여 코팅 베이스지 상에서 1000분 이상 및 그라비어지 상에서 2000분 이상의 전단력을 갖는 자가 접착 조성물을 도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착 테잎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이의 릴에 부착되어 수동의 정적 릴 전환이 준비완료된, 도 1에서와 같은 접착 테잎의 측면도이다.
도 3은 플라잉 스플라이스(flying splice)가 발생된 후의 도 2에서와 같은 입면도이다.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자가 접착 테잎 2: 주 캐리어
3: 자가 접착 조성물 6: 분할가능한 시스템
본 발명의 접착 테잎은 플라잉 릴 전환(플라잉 스플라이스)에 의도되는 접착 테잎과 유사하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적 수동 릴 전환을 동반하면서 높은 인장력을 흡수할 수 있는 자가 접착 조성물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러한 류의 접착 테잎은 본 발명에 따라 정적 수동 릴 전환을 위해 사용된다.
본원에서는, 자가 접착 조성물의 동일 면적이 이전 릴의 말단부 및 새로운 릴의 개시부에 대해 존재하는 경우, 다시 말해, 접착 테잎이 이전 릴과 새로운 릴에 대해 운반 방향으로 대칭 디자인이 되는 경우가 적합하다. 자가 접착 조성물이, 이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즉, 접착 테잎의 길이 방향으로) 구멍 또는 슬릿이 그 자체에 구비되어 있는 커버링에 제공되는 경우, 구멍 또는 슬릿은 적절하게 중앙에 위치한다. 추가로, 이러한 중앙에 대해 대칭으로 하나 이상의 분할가능한 접착 시스템이 배열된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 있어서, 사용되는 자가 접착 조성물은 아크릴계 감압(pressure sensitive) 접착제(PSA)이다. 수용성 아크릴레이트 및 비수용성 아크릴레이트 둘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천연 고무 및 합성 고무 조성물 및 상기 기재된 화합물의 분산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론상, 진보성 기준에 부합하는 어떠한 기본 타입의 PSA라도 사용할 수 있음이 참조될 수 있다.
전단력은 다음과 같이 측정된다:
접착제의 전단력을 측정하기 위해, 접착제가 표준 캐리어(폴리에스테르 필름; 두께: 25㎛) 상에 코팅된다. 유리하게는, 각 경우에 25g/m2의 동일한 도포량이 선택된다.
접착제의 건조, 및 적합한 경우, 가교 후에, 폭 13mm, 길이 20mm 이상의 스트립을 잘라 내고, 정해진 종이(예를 들어, 네오프레스(Neopress) T 54와 같은 그라비어지 54g/m2, 예를 들어, 메디아프린(Mediaprint) 135g/m2) 위에 붙인다. 결합 면적은 13mm x 20mm이다. 결합 동안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시편을 롤러(중량: 2kg)를 사용하여 서서히 2회 오버롤링(overrolling)시킨다. 이에 따라 제조된 시편은 결합면과 평행하게 1kg의 중량으로 부하되고, 접착제 스트립이 종이에 남아 있는 동안의 시간을 기록한다.
개개의 접착제를 보다 잘 구별하기 위해, 상기 시험을 다른 온도(예를 들어, 40℃ 및 70℃)에서 상응하게 수행한다.
무에러(error-free)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접착제는 23℃ 및 55% 상대 습도에서 코팅 베이스지 상에서 1000분 초과 동안 및 그라비어지 상에서 2000분 초과 동안 1kg의 중량을 견디어야 한다.
자가 접착 조성물로서, 예를 들어 하기 조성의 아크릴계 자가 접착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40 내지 90중량%의 아크릴산, 60 내지 10중량%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40 내지 90중량%의 아크릴산, 30 내지 5중량%의 부틸 아크릴레이트, 30 내지 5중량%의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가소제 첨가: 바람직하게는 C16 내지 C18,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개의 에톡시 단위를 함유하는 에톡실화된 알킬아민.
가소제와 중합체의 블렌딩은 55 내지 75중량%의 가소제와 25 내지 45중량%의 중합체 간에 이루어진다.
중합화는 조절제로서 에탄올을 사용하는 극성 용매 중에서 유리 라디칼에 의해 일어난다. 부분 가교는 알루미늄 킬레이트(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3 내지 1.2중량%)에 의해 일어난다.
자가 접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g/m2, 매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g/m2의 도포량으로 도포된다.
분할가능한 시스템은 인장력을 흡수해야 하는 종이 캐리어보다 훨씬 낮은 분할 내성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분할가능한 시스템(들)은 바람직하게는 사이징된 고도로 압축된 종이, 종이와 필름의 복합체 상에 또는 두개의 필름의 복합체를 기재로 하여, 복합체가 정해진 점별 및/또는 선형 방식으로 연결된 필름 및/또는 종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기의 종이, 종이 복합 시스템 또는 필름이 특히 적합한 예이다:
- 용이하게 분할가능한 종이 시스템
- 듀플렉스지(duplex papers)
(정해진 방식으로 서로 적층된 종이; 분할 공정은 매우 균일하여, 예를 들어 불균일 압축의 결과로서 장력에서의 피크가 전혀 없다. 이러한 종이는 벽 커버링 및 필터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 정해진 방식으로 서로 아교로 접착되고 매우 압축된 종이(높은 분할 내성을 처리한 종이)
아교 접착은 예를 들어, 전분, 전분 함유 유도체, 메틸셀룰로오스 기재 벽지페이스트(테사®페이스트(tesa®paste), tesa AG, Hamburg; 메틸란®(Methylan®), Henkel KgaA, Duesseldorf) 또는 그 밖의 폴리비닐 알코올 유도체를 기재로 하는 것들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EP 0 757 657 A1에 개시되어 있다.
- 분할력이 결합 위치의 크기에 의해 정해지는 분할가능한 시스템. 이러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DE 198 41 609 A1에 개시되어 있다.
- 압출 필름.
분할가능한 시스템(들)은 유리하게는 주 캐리어와 동일한 폭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유리한 일 구체예에서, 주 캐리어가 분할가능한 시스템보다 폭이 넓은 경우가 유리하다. 또한, 주 캐리어가 75mm 이하만큼 돌출 엣지(긴 엣지(14)) 영역내의 분할가능한 시스템을 지나 돌출하는 경우가 유리하다.
특정 구체예에의 경우에, 돌출부는 에를 들어 0.5 내지 15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mm, 매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mm로 보다 작을 수 있다.
두개 이상의 분할가능한 시스템이 접착 테잎에 사용되는 경우, 분할가능한 시스템간의 거리는 유리하게는 3 내지 50mm이다. 25 내지 45mm, 매우 특히 30 내지 40mm의 거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 캐리어로서 높은 인장 강도의 종이 또는 필름 배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캐리어 재료의 예로는 약간의 잔주름이 있는 종이, 기계 마무리된 베이스지, 한면 코팅된 광택 베이스지, 양면 코팅되고, 압축된 인쇄가능한 장식지,한면에 2회 코팅된 고광택 화학섬유 크라프트지를 포함하나, 이러한 실시예를 제시하므로써 캐리어 재료의 선택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2개 이상의 분할가능한 시스템이 접착 테잎 상에 존재하는 경우, 이들 시스템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된 분할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여 상이한 분할력을 보유하게 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지만,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일한 분할력을 가질 수 있다.
분할 시스템의 분할 내성이 5 내지 70cN/cm인 경우, 특히 12 내지 60cN/cm인 경우가 특히 유리하다. 분할 내성을 측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DE 199 02 179 A1을 참조한다.
스플라이싱 공정에서, 접착 테잎은 최상부 웹 아래에 분할 시스템을 두고 종이의 릴에 직선으로 결합하고, 중앙에 분할된 박리지의 일부가 제거되고, 최상부 종이 플라이는 접착제에 결합하여 노출하게 되며, 돌출된 종이는 찢어져 접착 테잎의 부분을 자유롭게 하면서, 접착 테잎의 밑면은 하부 웹에 결합하여 최상부 웹을 고정시킨다. 개시를 위해, 자가 접착 조성물 상에 존재할 수 있는 커버링의 한 부분만 제거되어 스플라이싱 공정에 요구되는 자가 접착 조성물의 일부는 여전히 커버링과 함께 늘어 서, 이러한 상태에서 릴은 자유로운 부착 표면이 전혀 없게 된다. 이후, 스플라이싱 공정의 최종 제조를 위해, 잔류하는 커버링이 제거되고, 여전히 결합되어 있는 커버링의 말단이 접착제로 접착되어, 노출되므로써, 돌출하는 종이는 찢겨져 제거되고, 종이의 릴은 다시 가속되고, 분할 캐리어는 분할되어, 이것의 잔류물과 함께 그 위에 코팅되는 두개의 자가 접착 조성물 위에 비접착 커버링을 제공한다. 이후 과정 중에, 스플라이싱이 일어난 후, 이러한 방식으로 접착식으로 연결된 결합 부위는 웹과 함께 리와인더, 롤 컷터, 또는 예를 들어 크로스 컷터를 통과한다.
따라서, 종이 웹이 가속된 후, 접착 테잎의 분할가능한 시스템은 분할되어 새로운 롤의 최상부 종이 플라이가 풀려, 더 이상 노출된 점성 잔류물을 존재하지 않게 된다.
기계 장치에서 높은 웹 장력과 마무리된 릴에서의 압력을 견디기 위해, 본 발명의 접착 테잎, 즉, 종이 웹과 분할 시스템을 연결시키기 위해 특히 높은 전단력의 접착제를 보유한 접착 테잎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플라이싱 공정은 유리하게는 이동 웹에 대해 직각으로 또는 횡으로 예각으로 접착 테잎을 직선으로 결합시키므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내용의 의도는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고자 하는 것이나, 이로써 본 발명을 불필요하게 제한하는 것은 바라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수용성 자가 접착 조성물(3)로 한면이 코팅된 약간 주름진 종이 주 캐리어(2)를 포함하는 접착 테잎(1)을 도시한 것이다. 자가 접착 조성물(3)과 함께 주 캐리어(2)의 총 두께는 0.080mm, 폭은 150mm이고, 독일의 바이어스도르프 아게(Beiersdorf AG)사에 의해 테사크렙(tesakrepp) 51445로 시판된다.
자가 접착 조성물(3)은 슬릿(5)이 있는 좌측 엣지로부터 75mm의 거리로 구비된 실리콘화 박리지(4)와 함께 늘어서 있어, 박리지(4)의 좌측부(4a)는 무엇보다도먼저 제거될 수 있고, 이후 우측부(4b)가 제거된다. 좌측부(4a) 및 우측부(4b)는 크기가 동일하다.
접착 테잎(1) 중앙부 아래에 결합되어 있는 양면 접착 테잎(6)의 스트립은, 양면이 각각 수용성 자가 접착 조성물(8) 및 (9)로 코팅된 분할가능한 종이로 제조된 캐리어(7)로 이루어진다. 접착 테잎은 폭이 9mm이다.
도 2는 박리지(4)의 좌측부(4a)가 상기 테잎의 첫부분으로부터 제거된 후, 종이의 릴의 종이 웹(11) 아래에 접착 테잎(1)이 어떻게 접착되지는 지를 도시한 것이다. 미리, 접착 테잎은 노출된 자가 접착 조성물(9)에 의해 종이 웹(11) 아래에 있는 종이 릴의 종이 웹(12)에 결합된다. 박리지(4)의 우측부(4b) 또한 제거되면, 이에 따라 구비된 종이의 릴은 릴에 직각으로 이동하는 접탁 테잎(1)의 결합에 의해, 정적 수동 릴을 전환시킬 준비를 완료한다.
이제, 자가 접착 조성물(3)은 노출되어, 정적 수동 전환을 위해 여전히 결합되어야 하는 종이 웹으로 접촉 영역을 구성한다. 접촉 영역은 폭이 75mm이고, 종이 필의 전체 폭에 대해 연장된다.
이에 따라 구비된 종이 릴은 추가의 릴의 종이 단부와 접촉하게 되고, 종이 단부는 노출된 접착제에 접착되고, 돌출부는 찢겨 나간다. 결합 후, 종이 릴은 가속되고, 즉각 일어나는 가속화로, 분할가능한 종이 캐리어(7)가 한 부분(7a)이 접착 테잎(1)에 잔류하는 방식으로 분할되고, 이때 자가 접착 조성물(8)을 피복하고, 반면에 나머지 부분(7b)은 자가 접착 조성물(9)에 잔류하여 종이 웹(12)에 접착한다. 따라서, 말하자면, 효력이 없어진 자가 접착 조성물(8) 및 (9)는 더이상 접착제가 아니며, 따라서 종이 처리 기계 장치에서의 후속 공정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접착 테잎은 놀랍게도 수동 정적 릴 전환 공정을 단순화시킨다. 혼자서도 용이하게 5m 이상의 웹 폭에 걸쳐 적용한다. 복잡한 보조장치 또는 메카니즘이 필요하지 않다.
자가 접착 조성물의 도포량은 매우 낮게 유지될 수 있어, 기술자들의 입장으로부터 예상밖으로, 예를 들어 20 내지 60g/m2, 특히 35g/m2(통상적인 오차 허용의 틀내)의 도포량에서도, 자가 접착 조성물의 전단력 및 결합이 우수하고, 접착 테잎이 정적 수동 릴 전환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낮은 도포량으로 인해, 접착 테잎의 두께는 또한 얇고, 그 결과 접착 테잎은 두드러지게 오랜 기간 동안에도 감겨진 릴 내에서 압력 스트레스를 견딘다.

Claims (12)

  1. 주 캐리어(2), 앞면에 자가 접착 조성물(3) 및 뒷면에 하나 이상의 접착제 분할가능한 시스템(6)을 포함하는, 릴(reel)에 감겨지는 플랫 웹(flat web) 재료의 릴 전환을 위한 접착 테잎으로서,
    정적 수동 릴 전환에서의 높은 전단계 힘을 흡수하기 위해, 자가 접착 조성물(3)이 1kg의 부하 하에 55% 상대 습도 및 23℃에서 측정하여, 코팅 베이스지(coating basepaper) 상에서 1000분 이상, 그라비어지(gravure paper) 상에서 2000분 이상의 전단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테잎.
  2. 제 1 항에 있어서, 자가 접착 조성물(3,8,9)의 도포량이 15 내지 60g/m2, 특히 20 내지 50g/m2임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자가 접착 조성물(3,8,9)이 아크릴레이트를 기재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할가능한 시스템이 분할가능한 종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할가능한 시스템(6)이 사아징된 매우 압축된 종이의 복합체, 종이와 필름의 복합체 또는 두개의 필름의 복합체를 기재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할가능한 시스템(6)이 주 캐리어(2)와 폭이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캐리어(2)가 높은 인장 강도의 종이 캐리어 또는 필름 캐리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가 접착 조성물(3)이 커버링(4)이 구비되며, 이 커버링(4)에는 적합하게는 종방향으로 구멍 또는 슬릿(5)이 제공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할가능한 시스템(6)의 분할 내성이 5 내지 70cN/cm, 특히 12 내지 60cN/cm임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면에 대해 종방향으로 대칭인 디자인임을 특징으로 하는 테잎.
  11. 1kg의 부하 하에 55% 상대 습도 및 23℃에서 측정하여, 코팅 베이스지 상에서 1000분 이상, 그라비어지 상에서 2000분 이상의 전단력을 갖는 자가 접착 조성물(3)을 도포하여, 릴에 감겨지는 플랫 웹 재료의 정적 수동 릴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주 캐리어(2), 앞면에 자가 접착 조성물(3) 및 뒷면에 하나 이상의 분할가능한 시스템(6)으로 형성된 접착 테잎의 용도.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릴에 감겨지는 플랫 웹 재료의 정적 수동 릴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용도.
KR1020030002339A 2002-01-15 2003-01-14 릴 전환용 접착 테잎 및 이의 용도 KR200400301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4.3 2002-01-15
DE10201404A DE10201404A1 (de) 2002-01-15 2002-01-15 Klebeband für den Rollenwechsel und Verwendung eines Klebeban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180A true KR20040030180A (ko) 2004-04-09

Family

ID=771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2339A KR20040030180A (ko) 2002-01-15 2003-01-14 릴 전환용 접착 테잎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134111A1 (ko)
EP (1) EP1327672A1 (ko)
KR (1) KR20040030180A (ko)
CA (1) CA2413908A1 (ko)
DE (1) DE102014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3652A1 (de) * 2003-03-26 2004-10-07 Tesa Ag Klebemasse
DE102004048880A1 (de) * 2004-10-06 2006-04-13 Tesa Ag Klebeband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bei einem statischen Rollenwechse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05894C2 (de) 1981-02-18 1982-12-23 Beiersdorf Ag, 2000 Hamburg Wasserlösliche, druckempfindliche Selbstklebemasse (Haftklebemasse) und damit hergestellte Haftklebeartikel
US4413982A (en) 1981-09-11 1983-11-08 Dayco Corporation Belt tensioner, part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4413080A (en) * 1982-06-21 1983-11-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Water-dispersi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tape made therewith
US4482675A (en) * 1982-12-13 1984-11-13 Colgate-Palmolive Company Water-solu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NL9300707A (nl) * 1993-04-26 1994-11-16 Knp Papier Bv Werkwijze voor het lassen van een papierbaan en een kleefstrook ten gebruike bij deze werkwijze.
DE19601668A1 (de) * 1996-01-18 1997-07-24 Dieter Scheich Folienwickelmaschine zum Umwickeln beladener Paletten
WO2000043432A1 (en) * 1999-01-20 2000-07-27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Moisture curable polyurethane compositions
DE10029298A1 (de) 2000-06-14 2002-01-03 Beiersdorf Ag Befestigungsetikett
EP1436220B1 (de) * 2001-09-03 2006-04-19 tesa AG Klebeband für das endloskleben am kala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13908A1 (en) 2003-07-15
DE10201404A1 (de) 2003-10-09
EP1327672A1 (de) 2003-07-16
US20030134111A1 (en) 200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2241B1 (en) Splicing tape, splicing method and assembly comprising the splicing tape
US7152825B2 (en) Adhesive tape for flying splice
US20070128432A1 (en) Adhesive tape for automatic replacement of rolls
EP1062173B1 (en) Splicing tape, splicing method and assembly comprising the splicing tape
JP5196619B2 (ja) 接着テープ
US9034451B2 (en) Splicing adhesive tape comprising splittable connector elements
KR20040080428A (ko) 기계적으로 탐지 가능한 접착 테이프
CA2663450A1 (en) Adhesive tape and its use
JP2009270114A (ja) 固定補助体の使用
US8545653B2 (en) Adhesive tape for producing a joint during a static reel change
JP5210483B2 (ja) カレンダー掛け装置上で連続的に接着を行うための接着片
JP6122465B2 (ja) 互いに並行して配置されているラミネート剤ストリップを備えたスプライステープの使用、スプライステープ、該スプライステープを用いたスプライシング方法、及び該スプライステープを含む巻きロール
KR20040030180A (ko) 릴 전환용 접착 테잎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