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567A - 피어싱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어싱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567A
KR20040029567A KR1020020059871A KR20020059871A KR20040029567A KR 20040029567 A KR20040029567 A KR 20040029567A KR 1020020059871 A KR1020020059871 A KR 1020020059871A KR 20020059871 A KR20020059871 A KR 20020059871A KR 20040029567 A KR20040029567 A KR 20040029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ans
piercing
fixed
decorativ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해
Original Assignee
김종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해 filed Critical 김종해
Priority to KR1020020059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9567A/ko
Publication of KR20040029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56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5Piercing type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 피어싱(body Piercing)이라고 하여 신체의 일부분, 예컨대 배꼽이나 눈썹부위에 착용하여 악세사리로 사용되는 피어싱 악세사리(Piercing Accessory)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장식물에 결합되어 신체의 일부분에 고정되는 고정핀 상에서 상기 장식수단이 자유롭게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고정핀과 장식물의 결합이 다양한 힌지형태의 결합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피어싱 악세사리의 착용 도중에 고정핀에 고정된 장식물이 신체에 닿음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쾌감 등을 개선한 피어싱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어싱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A Piercing Accessor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하여 악세사리로 사용되는 피어싱 악세사리(Piercing Accessory)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장식물에 결합되어 신체의 일부분에 고정되는 고정핀 상에서 상기 장식물이 자유롭게 유동하도록 하여, 장식물이 신체에 닿음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쾌감 등을 개선한 피어싱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악세사리로서 대표적인 것은 귀걸이와 반지 등이 있는데, 이는 과거로부터 여성들이 화장과 함께 귀걸이와 반지와 같은 장신구로 자신의 몸을 치장하여 더욱 더 아름답게 표현할려고 하는 욕구에서 비롯되었다 할 것이다.
그런데, 근래 들어 외국에서 특히 신세대를 중심으로 하여 자신의 몸을 치장하기 위해 귀걸이나 반지와 같은 장신구 이외에도, 자신만의 개성을 표출하기 위해 바디 피어싱(body piercing)이라고 하여, 배꼽이나 눈썹부위 심지어는 혓바닥 등과 같은 신체의 일부분에 다양한 장신구를 착용하는 문화가 점점 일반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바디 피어싱은 개성이 강한 우리의 일부 젊은 세대들도 점점 따라 하게 되면서, 비록 일부이지만 이를 귀걸이나 반지와 같은 악세사리의일종으로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바디 피어싱을 위한 장신구를 피어싱 악세사리라고 하는데, 보통은 고정핀(20)과 상기 고정핀(20)에 결합된 장식물(40)로 구성되어, 귀걸이를 착용할 때 귓바퀴에 구멍을 뚫은 후 상기 귀걸이를 관통시켜 고정하듯이, 인체의 살갗 일부분을 뚫어서 피어싱 악세사리의 고정핀(20)을 관통시킨 후 장식물(40)과 함께 고정하는 방법으로 상기 피어싱 악세사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피어싱 악세사리는 신체의 어느 부위에 착용하는 가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되며, 그 중에서 배꼽부위에 착용하는 피어싱 악세사리의 예를 들자면, 이는 특히 더운 여름철에 여성들이 배꼽을 드러내는 티(일명 배꼽티)를 입을 때, 보기 싫은 배꼽을 감추기 위해 상기 배꼽을 장식물로 가릴려는 목적으로 피어싱 악세사리를 착용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러한 피어싱 악세사리의 착용예를 보면, 배꼽(10) 부위 바로 위쪽의 살갗 일부를 뚫은 후, 곡선으로 이루어진 고정핀(20)을 관통된 살갗으로 삽입 고정시키면, 상기 고정핀(20)의 타단에 장착된 장식물(40)이 배꼽(10)을 가리게 된다. 여기서, 고정핀(20)의 일단에 장착된 볼(11)은 고정핀(20)과 나사결합 방식으로 하여, 일단은 볼(11)을 분해한 상태에서 고정핀(20)을 살갗으로 관통시킨 후, 상기 볼(11)을 고정핀(20)에 다시 결합하여 피어싱 악세사리를 고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배꼽부위에 착용하는 피어싱 악세사리는 고정핀에 결합된 장식물이 고정된 상태로 있기 때문에, 피어싱 악세사리를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를 숙이게 되면 장식물이 자꾸 살갗에 눌리면서 불쾌감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장식물의 모서리 부분이 살갗을 찌르기도 하여 착용자가 상처를 입게되는 일마저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피어싱 악세사리를 착용하는 이유중의 하나가, 예컨대 귀걸이와 같이 장식물이 잘 드러나도록 하여, 상기 피어싱 악세사리를 몸을 치장하는 장신구의 개념으로 사용하려는데 목적이 있으나, 배꼽부위에 착용하는 종래의 피어싱 악세사리는 고정핀에 결합된 장식물이 항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허리를 숙이게 되면 장식물이 배의 안쪽으로 감춰져 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피어싱 악세사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피어싱 악세사리 착용자의 살갗에 고정된 고정핀에 결합되어 있는 장식물이 상기 고정핀 상에서 유동하도록, 힌지형태로 고정핀과 장식물을 서로 결합시킨 피어싱 악세사리와, 상기 피어싱 악세사리에서 힌지형태로 결합되는 고정핀과 장식물의 다양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피어싱 악세사리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악세사리의 정면도와 후면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악세사리의 후면 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악세사리의 후면 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악세사리의 후면 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악세사리의 후면 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11...관통부, 2,21,22,23,24...고정수단(고정핀),
3,31,32...연결핀, 4,41,42,43,44...장식수단(장식물),
5,51,52,53,54...피어싱 악세사리, 6,61...∨자형 홈,
7,71...∧자형 돌기, 8...⊂ 형태의 홈,
9,91,92,93,94...연결부재, 10...캐스팅부재.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어싱 악세사리의 고정핀의 일단에 결합되는 장식물이 상기 고정핀 상에서 자유롭게 유동되도록, 힌지형태로 상기 고정핀과 장식물을 결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힌지형태의 결합은 특별히 제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장식물이 고정핀 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태의 힌지결합이 적용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 악세사리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작한 일단부의 측면 중앙부에 관통부(1)가 형성된 고정핀(2)과, 상기 고정핀(2)의 관통부(1)와 대응하는 연결핀(3)이 ∪자형인 일단부의 안 쪽을 가로질러 형성된 연결부재(9)가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장식물(4)을 서로 결합하되, 고정핀(2)의 관통부(1) 속으로 장식물(4)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부재(9)의 연결핀(3)이 삽입되는 형태로 피어싱 악세사리(5)의 상기 고정핀(2)과 장식물(4)을 서로 결합하면, 장식물(4)의 연결핀(3)이 고정핀(2)에 걸려있는 형태가 되어 상기 장식물(4)이 고정핀(2) 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피어싱 악세사리(5)가 되게 된다.
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부의 측면 양쪽에 ∨자형 홈(6)이 형성된 고정핀(21)과, 상기 고정핀(21)의 ∨자형 홈(6)과 대응하는 ∧자형 돌기(7)가 ∪자형인 일단부의 안 쪽 양 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재(91)가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장식물(41)을 서로 결합시키되, 상기 고정핀(21)의 ∨자형 홈(6)과 상기 장식물(41)에 고정된 연결부재(91)의 ∧자형 돌기(7)를 서로 결합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장식물(41)이 고정핀(21) 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피어싱 악세사리(51)가 되게 된다.
또, 상기한 결합방식과 유사하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대로 고정핀(22)에는 ∧자형 돌기(71)를 형성시키고, 장식물(42)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부재(92)에는 ∨자형 홈(61)을 형성시켜, 상기한 결합방식으로 고정핀(22)과 장식물(42)을 결합하면, 이 또한 상기 장식물(42)이 고정핀(22) 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피어싱 악세사리(52)가 되게 된다.
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작한 일단부의 측면을 가로질러 양 끝이 둥그렇게 처리되어 있는 연결핀(31)이 형성된 고정핀(23)과, 상기 고정핀(23)의 연결핀(31) 양 끝과 대응하는 ⊂ 형태의 홈(8)이 일단부 안 쪽의 양 측면에 형성된 연결부재(9)가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장식물(43)을 서로 결합하되, 상기 고정핀(23)의 연결핀(31) 양 끝과 상기 장식물(43)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부재(93)의 ⊂ 형태의 홈(8)을 서로 결합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장식물(43)이 고정핀 (23) 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피어싱 악세사리(53)가 되게 된다.
그런데, 연결부재에 고정핀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핀의 일단에 홈이나 돌기 등을 직접 가공하여야 하나, 이와 같이 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결부재에 고정핀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핀의 일단에 캐스팅부재가 별도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작한 하단부의 측면 중앙부에 관통부(11)가 형성된 캐스팅부재(10)를 고정핀(24)의 일단부에 고정시키되, 고정핀(24)을 인서트(Insert)로 하여 캐스팅부재(10)를 캐스팅(Casting)하는 인서트 캐스팅(Insert Casting) 방법으로 상기 고정핀(24)의 일단부에 캐스팅부재(1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캐스팅부재(10)의 관통부(11)와 대응하는 연결핀(32)이 ∪자형인 일단부의 안 쪽을 가로질러 형성된 연결부재(94)가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장식물(44)을 서로 결합하되, 상기 캐스팅부재(10)의 관통부(11) 속으로 장식물(44)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부재(94)의 연결핀(32)이 삽입되는 형태로 피어싱악세사리(54)의 상기 고정핀(24)과 장식물(44)을 서로 결합하면, 장식물(44)의 연결핀(32)이 고정핀(24)에 고정된 캐스팅부재(10)에 걸려있는 형태가 되어 상기 장식물(44)이 고정핀(24) 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피어싱 악세사리(54)가 되게 된다.
상기한 피어싱 악세사리의 고정핀과 장식물의 힌지형태 결합방식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형되어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피어싱 악세사리에 의하면, 종래의 피어싱 악세사리에서와 같이 고정핀에 고정되어 결합된 장식물이 살갗에 눌림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쾌감 등을 개선함과 동시에, 장식물이 항상 피부면 상에 있으므로 그만큼 상기 장식물이 잘 드러나게 되며, 또한 종래의 피어싱 악세사리에 비해 제조공정이 단순해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하여 악세사리로 사용되는 피어싱 악세사리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악세사리를 이루고 있는 고정수단에 결합된 장식수단이 상기 고정수단 상에서 유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악세사리.
  2.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의 측면 중앙부에 관통부(1)가 형성된 고정수단(2)과, 상기 고정수단(2)의 관통부(1)와 대응하는 연결핀(3)이 일단부의 안 쪽을 가로질러 형성된 연결부재(9)가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장식수단(4)을 서로 결합하되, 고정수단(2)의 관통부(1)에 상기 장식수단(4)에 고정된 연결부재(9)의 연결핀(3)이 삽입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악세사리.
  3. 제2항에 있어서,
    고정수단(24)의 일단부에 고정된 캐스팅부재(10)의 하단부 측면 중앙부에 관통부(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악세사리.
  4.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의 측면에 홈(6)이 형성된 고정수단(21)과, 상기 고정수단(21)의 홈(6)과 대응하는 돌기(7)가 일단부의 안 쪽에 형성된 연결부재(91)가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장식수단(41)을 서로 결합하되, 상기 고정수단(21)의 홈(6)과 상기 장식수단(41)에 고정된 연결부재(91)의 돌기(7)가 서로 결합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악세사리.
  5.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의 측면에 돌기(71)가 형성된 고정수단(22)과, 상기 고정수단(22)의 돌기(71)와 대응하는 홈(61)이 일단부의 안 쪽에 형성된 연결부재(92)가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장식수단(42)을 서로 결합하되, 상기 고정수단(22)의 돌기(71)와 상기 장식수단(42)에 고정된 연결부재(92)의 홈(61)이 서로 결합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악세사리.
  6.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의 측면에 연결핀(31)이 형성된 고정수단(23)과, 상기 고정수단(23)의 연결핀(31)과 대응하는 홈(8)이 일단부의 안 쪽에 형성된 연결부재(93)가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장식수단(43)을 서로 결합하되, 상기 고정수단(23)의 연결핀(31) 양 끝과 상기 장식수단(43)에 고정된 연결부재(93)의 홈(8)이 서로 결합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악세사리.
  7. 피어싱 악세사리를 이루고 있는 고정수단과 장식수단을 서로 힌지형태로 결합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악세사리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고정수단(2)의 일단부의 측면 중앙부에 관통부(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수단(2)의 관통부(1)와 대응하도록 ∪자형 일단부의 안 쪽을 가로질러 연결핀(3)이 형성된 연결부재(9)를 장식수단(4)의 일측에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수단(2)의 관통부(1)에 장식수단(4)에 고정된 연결부재(9)의 연결핀(3)을 삽입시켜, 힌지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악세사리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고정수단(24)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캐스팅부재(10)가 상기 고정수단(24)을 인서트로 하는 인서트 캐스팅 방법으로 캐스팅 되게 하되, 상기 캐스팅부재(10)의 하단부 측면 중앙부에 관통부(11)가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악세사리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고정수단(21)의 일단부의 측면 양쪽에 ∨자형 홈(6)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수단(21)의 ∨자형 홈(6)과 대응하도록 ∪자형 일단부의 안 쪽 양 측면에 ∧자형 돌기(7)가 형성된 연결부재(91)를 장식수단(41)의 일측에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수단(21)의 ∨자형 홈(6)과 상기 장식수단(41)에 고정된 연결부재(91)의 ∧자형 돌기(7)를 서로 결합하여, 힌지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악세사리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고정수단(22)의 일단부의 측면 양쪽에 ∧자형 돌기(7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수단(22)의 ∧자형 돌기(71)와 대응하도록 ∪자형 일단부의 안 쪽 양 측면에 ∨자형 홈(61)이 형성된 연결부재(92)를 장식수단(42)의 일측에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수단(22)의 ∧자형 돌기(71)와 상기 장식수단(42)에 고정된 연결부재(92)의 ∨자형 홈(61)을 서로 결합하여, 힌지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악세사리의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고정수단(23)의 일단부를 가로질러 양 끝이 둥그렇게 처리되어 있는 연결핀(31)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수단(23)의 연결핀(31)과 대응하도록 ∪자형 일단부 안 쪽의 양 측면에 ⊂ 형태의 홈(8)이 형성된 연결부재(93)를 상기 장식수단(43)의 일측에 고정시킨 후, 상기 고정수단(23)의 연결핀(31) 양 끝과 상기 장식수단(43)에 고정된 연결부재(93)의 ⊂ 형태의 홈(8)을 서로 결합하여, 힌지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악세사리의 제조방법.
KR1020020059871A 2002-10-01 2002-10-01 피어싱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295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871A KR20040029567A (ko) 2002-10-01 2002-10-01 피어싱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871A KR20040029567A (ko) 2002-10-01 2002-10-01 피어싱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388U Division KR200301326Y1 (ko) 2002-10-01 2002-10-01 피어싱 악세사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567A true KR20040029567A (ko) 2004-04-08

Family

ID=3733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871A KR20040029567A (ko) 2002-10-01 2002-10-01 피어싱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95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424B1 (ko) * 2006-05-22 2007-01-25 박병권 클립형 배꼽 피어싱
KR101698806B1 (ko) 2015-12-15 2017-02-01 주식회사 하얀보석 피어싱 액세서리의 장식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424B1 (ko) * 2006-05-22 2007-01-25 박병권 클립형 배꼽 피어싱
KR101698806B1 (ko) 2015-12-15 2017-02-01 주식회사 하얀보석 피어싱 액세서리의 장식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8184A1 (en) Brassiere string assembly
KR200301326Y1 (ko) 피어싱 악세사리
KR20040029567A (ko) 피어싱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KR102022634B1 (ko) 활용성이 개선된 지압 귀걸이
US20020112506A1 (en) Combination earrings and nape chain and method therefor
KR20030039941A (ko) 다용도 장신구
CN214963103U (zh) 一种耳环
KR100362990B1 (ko) 몸 치장용 장신구
CN218390052U (zh) 一种具有便捷弹力开合结构的手镯
CN220713093U (zh) 一种组合式具有多种佩戴功能的黄金饰品
KR200168567Y1 (ko) 장신구
KR200320392Y1 (ko) 귀걸이 장신구
KR100760470B1 (ko) 팔찌, 등찌 및 반지가 일체화된 장신구
CN214904295U (zh) 一种耳环
KR200206087Y1 (ko) 장식구조를 갖는 머리핀
CN209883238U (zh) 一种多功能穿戴饰品
KR200407580Y1 (ko) 장신구 체결구조
KR20220037301A (ko) 장식부가 구비된 귀걸이 뒷장식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33862Y1 (ko) 장신구
KR20110013770A (ko) 건강팔찌
KR20190137277A (ko) 목걸이, 반지, 귀걸이로 나뉠 수 있는 목걸이
KR200234576Y1 (ko) 형태변화가 자유로운 장신구
KR200186228Y1 (ko) 팔찌
JP2005501633A (ja) 両面装身具
JP3069000U (ja) ブラジャ―装飾チ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