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220A -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220A
KR20040028220A KR1020020059356A KR20020059356A KR20040028220A KR 20040028220 A KR20040028220 A KR 20040028220A KR 1020020059356 A KR1020020059356 A KR 1020020059356A KR 20020059356 A KR20020059356 A KR 20020059356A KR 20040028220 A KR20040028220 A KR 20040028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pda
cover
rechargeable batter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근
Original Assignee
(주)네이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이스텍 filed Critical (주)네이스텍
Priority to KR102002005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8220A/ko
Publication of KR20040028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22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A를 편리하게 휴대하면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PDA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PDA 케이스(300)는, 다이어리처럼 절첩이 가능한 2개의 덮개(310, 320)와, 2개의 덮개 중 어느 한 쪽 덮개의 내측에 설치되어 PDA(400)를 고정하는 PDA 고정부(321)를 구비하고, 덮개에 내장되어 PD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충전식 배터리팩(350)과,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어 충전식 배터리팩에 외부전원을 인가하여 충전시키는 배터리팩 충전수단(360)과,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어 충전식 배터리팩의 전원을 PDA에 공급하는 전원출력 커넥터(370) 및,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어 충전식 배터리팩에 접속되어 충전식 배터리팩의 충전정도를 표시하는 충전잔량 표시수단(38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PDA 케이스는 휴대가 편리하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하고 이러한 배터리팩과 PDA를 연결하는 연결커넥터를 구비하여 PDA에 또다른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PDA를 보다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Personal Digital Assistant Case with Battery Pack}
본 발명은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개인휴대정보단말기를 편리하게 휴대하면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의 정보나 일정을 기재하고 보관하기 위해 휴대가 편리한 다이어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이어리를 가방에 넣고 다니거나 손으로 들고 다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이어리는 정보나 일정을 기록하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록된 자료들을 찾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급속적으로 발전하여 보급되는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하 "PDA"라 칭함)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정보를 검색하여 활용할 뿐만 아니라 여가를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PDA는 개인의 각종 정보를 입력하여 가지고 다니면서 언제든지 검색할 수 있는 최첨단 기기로서, 개인의 일정, 연락처, 작업 등의 개인의 일상생활과 관련된정보를 관리하는 PIMS(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oftware)의 기능 외에도, 각종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이동정보 단말기로의 역할을 한다.
이렇게 PDA는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보호기능을 갖도록 구성하거나, 별도의 케이스에 보관 휴대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로는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2002-64502호 및 특허공개공보 제2002-35022호 등이 있다.
상기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2002-64502호에는 자체 보호기능을 갖는 PDA에 관해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2002-64502호에 기술된 수첩식 케이스를 구비한 PDA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수첩식 케이스(100)의 내측 중앙에 요철형 고정대(110)를 고정하고, 이 요철형 고정대(110)에 대응하는 일측 단부를 갖는 PDA(120)를 고정대(110)에 힌지결합하여 수첩식 케이스를 구비한 PDA를 구현하였다.
그리고, 국내 특허공개공보 제2002-35022호에는 PDA를 보호하는 케이스에 관해 공지되어 있다. 도 2는 특허공개공보 제2002-35022호에 기술된 PDA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스(200)는 PDA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210)를 구비하며, 이런 고정부(210)에 의해 고정되는 PDA가 이탈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220)를 구비한다. 또한, 종래의 케이스(200)에는 다이어리처럼 접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부(23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들을 포함하여 종래에는 휴대가 편리하면서도 보호기능을 갖도록 PDA를 구현하거나, PDA 케이스를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PDA는 휴대하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그 사용시간은 배터리의 사용용량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 즉, PDA 사용자는 배터리의 사용용량에 따라 그 활동범위에 크게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제약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PDA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충전장치를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충전장치는 부피가 크고 또한 무게가 무거워 휴대에 어려움이 있다. 만약, 이러한 충전장치를 휴대하더라도 충전을 위해서는 전력이 필요하고, 또한 충전을 위한 일정시간을 필요로 하는 등 사용상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하고 이러한 배터리팩과 PDA를 연결하는 연결커넥터를 구비하여 PDA에 또다른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PDA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키는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첩식 케이스를 구비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스에 개인휴대정보단말기를 삽입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개인휴대정보단말기가 삽입된 케이스를 펼친 상태에서 일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내측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개인휴대정보단말기가 삽입된 케이스를 펼친 상태에서 일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외측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PDA 케이스 310, 320 : 덮개
321 : PDA 고정수단 330 : 잠금수단
331 : 고정밴드 332, 333 : 스냅단추
340 : 휴대수단 341 : 구멍
342 : 손잡이끈 350 : 배터리팩
360 : 배터리팩 충전수단 361 : 전원입력 커넥터
370 : 전원출력 커넥터 380 : 충전잔량 표시수단
381 : 충전잔량 표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는, 다이어리처럼 절첩이 가능한 2개의 덮개와, 상기 2개의 덮개 중 어느 한 쪽 덮개의 내측에 설치되어 개인휴대정보단말기를 고정하는 PDA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에 내장되어 상기 PD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충전식 배터리팩과, 상기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식 배터리팩에 외부전원을 인가하여 충전시키는 배터리팩 충전수단 및, 상기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식 배터리팩의 전원을 상기 PDA에 공급하는 전원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식 배터리팩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식 배터리팩의 충전정도를 표시하는 충전잔량 표시수단이 더 설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팩 충전수단은 상기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전원 공급단자와 접속하는 전원입력 커넥터와, 상기 덮개에 내장되어 상기 충전식 배터리팩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제어 회로부로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출력 커넥터가 상기 2개 덮개의 경계면 내측에 설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 덮개의 경계면 상하단에는 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구멍들 중 어느 하나에는 손잡이끈이 연결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덮개 중 어느 한 쪽의 덮개 일측에는 고정밴드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밴드의 내측과 다른 덮개의 외측에는 서로 대응하는 스냅단추가 각각 설치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스에 개인휴대정보단말기를 삽입하는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개인휴대정보단말기가 삽입된 케이스를 펼친 상태에서 일부분을 절취하여 각각 도시한 내측 및 외측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PDA 케이스(300)는 제1, 제2덮개(310, 320)와, 상기 제2 덮개(320)의 내측에 PDA(400)를 고정하는 PDA 고정부(321)와, 상기 제1, 제2 덮개(320)의 외측에 각각 형성되어 일반적인 다이어리처럼 접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수단(330) 및, 상기 제1, 제2 덮개(320)의 경계상에 결합되어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휴대수단(34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현재 유통되는 PDA 케이스와 동일 유사한 구성관계를 갖는 것으로, 이것들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 제2 덮개(310, 320)는 일반 다이어리처럼의 형태를 유지하고 그 내부에 내장될 충전식 배터리팩을 고정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다소 딱딱한 판 등으로 구성된 내부소재와, 이 내부소재의 내외측을 감싸며 다소 부드러운 가죽소재 등으로 구성된 내외피소재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제1, 제2 덮개(310, 320)는 PDA(400)의 두께를 고려하여 중앙부근에서 각각 접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PDA 고정부(321)는 상기 제2 덮개(320)의 내측 둘레를 따라 고정되어 PDA(400)가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이 때, PDA 고정부(321)는 각 회사의 모델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 PDA가 존재하므로, 각각의 PDA의 모양과 크기를 고려하여 각각 제작한 후, 밸크로 파스너 등과 같은 접착식 밴드로 제2 덮개(320)의 내측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DA 고정부(321)는 PDA(400)를 삽입한 채로 이용할 수 있도록 화면과 스피커, 전원스위치 및 이어폰 등과 같은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PDA 고정부(321)중에서 PDA(400)가 삽입되는 부분에는 삽입된 PDA(400)가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잠금수단(330)은 제1 덮개(31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밴드(331)와, 이 고정밴드(331)의 내측와 제2 덮개(320)의 외측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스냅단추(332, 333)로 구성된다. 이런 잠금수단(330)은 제1, 제2 덮개(320)를 접은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면 어떤 형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휴대수단(340)은 상기 제1, 제2 덮개(320)의 경계상에 위치하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구멍(341)과, 상기 2개의 구멍(341)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손잡이끈(342)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멍(341)을 상하단에 각각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손잡이끈(342)을 상단 또는 하단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다.
상기와 같이 구성요소들을 갖는 본 발명의 PDA 케이스(320)에는 PDA(4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식 배터리팩(350)이 적어도 1개 이상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충전식 배터리팩(350)은 1개 내지 4개를 PDA 케이스(320) 내에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충전식 배터리팩(350)은 제1, 제2 덮개(310, 320)의 내부소재와 내피소재의 사이에 봉합되어 내장된다. 즉, 배터리팩(350)은 소요자의 요청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을 제1, 제2 덮개(310, 320)의 내부소재와 내피소재의 사이에 봉합하여 내장한다. 그리고, 배터리팩(350)을 2개 이상 내장할 경우에는 배터리팩(350)을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하면 된다. 이 때, 배터리팩(350)을 1개 또는 2개 내장할 경우에는 PDA(400)가 삽입되지 않는 제1 덮개(310)에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상 내장할 경우에는 제1, 제2 덮개(310, 320)에 모두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덮개(310)에는 배터리팩(350)을 충전하는 배터리팩 충전수단(360)이 설치된다. 이러한 배터리팩 충전수단(360)은 충전식 배터리팩(350)을 충전하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공급단자와 접속하는 전원입력 커넥터(361)와, 이 전원입력 커넥터(361)와 첫 번째 배터리팩(350)의 사이에 설치되어 충전식 배터리팩(350)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제어 회로부(도시안됨)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원입력 커넥터(361)는 제1 덮개(310)의 일측 외부에 설치되고, 충전제어 회로부는 제1 덮개(310)의 내부소재와 내측소재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 때, 전원입력 커넥터(361)는 제1 덮개(3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 제2 덮개(310, 320)의 경계면 내측에는 병렬로 연결된 최종 충전식 배터리팩(350)과 접속되어 PDA(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출력 커넥터(370)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원출력 커넥터(370)는 케이블(도시안됨)을 통해 PDA(40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제1 덮개(310)의 일측에는 병렬로 연결된 충전식 배터리팩(350)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배터리팩(350)의 충전정도를 표시하는 충전잔량 표시수단(380)이 설치된다. 이러한 충전잔량 표시수단(380)은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팩(350)의 충전잔량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전압을 측정하여 배터리의 방전정도를 제어하는 충전잔량 제어회로부(도시안됨)와, 이 충전잔량 제어회로부에 연결되어 배터리팩(350)의 충전정도를 4가지 레벨로 표시하는 충전잔량 표시부(381)로 구성된다.
이러한 충전잔량 표시수단(380)은 공지된 통상적인 기술로서, 배터리팩(350)의 충전정도를 LED 등을 통해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러한 충전잔량 표시수단(380) 중에서 충전잔량 표시부(381)는 제1 덮개(3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충전잔량 제어회로부는 제1 덮개(310)의 내부소재와 내측소재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 때, 충전잔량 표시부(381)는 제1 덮개(3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설치하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제1 덮개(310)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입력 커넥터(361)에 전원공급단자를 접속하여 PDA 케이스(300)에 내장된 각각의 충전식 배터리팩(350)을 충전한다. 그러면, 충전잔류 표시부(381)에 배터리팩(350)의 충전정도가 나타난다.
이렇게 하여 충전된 배터리팩(350)이 내장된 PDA 케이스(300)의 PDA 고정부(321)에 PDA(400)를 삽입 고정하여 휴대하면서 사용하다가, PDA(400)의 전원이 모두 소진되면, 케이블을 통해 전원출력 커넥터(370)와 PDA(400)의 전원입력 커넥터를 서로 연결한다. 그러면, PDA(400)는 PDA 케이스(300)에 내장된 충전식 배터리팩(350)의 전원에 의해 작동한다. 이렇게 PDA(400)가 충전식 배터리팩(350)의 전원을 이용하면, 충전잔량 표시부(381)에 배터리팩(350)의 충전잔량이 표시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PDA 케이스(300)는 PDA(400) 자체 배터리의 전원이 모두 소진되면, 그 내부에 내장된 충전식 배터리팩(350)의 전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보다 오랜시간동안 PDA(40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DA케이스(300)는 PDA 자체 배터리 용량의 약 2.5배에 해당하는 충전식 배터리팩(350)을 1개 내지 4개까지 내장함으로, PDA(400)의 사용시간을 PDA 자체 배터리만을 이용할 경우에 비해 최대 10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PDA 케이스(300)가 PDA(400)에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휴대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본 발명의 PDA 케이스(300)가 사용되는 모바일 기기의 종류가 달라질 경우에는 병렬로 연결된 충전식 배터리팩(350)에 접속되는 전원출력 커넥터(361)를 해당 기기에 맞는 커넥터로 교체하여 사용하면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는, 휴대가 편리하도록 구성함과 더불어, 충전이 가능하도록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하고 이러한 배터리팩과 PDA를 연결하는 연결커넥터를 구비하여 PDA에 또다른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PDA를 보다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는 자체적으로 충전기능을 갖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6)

  1. 다이어리처럼 절첩이 가능한 2개의 덮개와, 상기 2개의 덮개 중 어느 한 쪽 덮개의 내측에 설치되어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고정하는 PDA 고정부를 포함하는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 내장되어 상기 PD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충전식 배터리팩과,
    상기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식 배터리팩에 외부전원을 인가하여 충전시키는 배터리팩 충전수단 및,
    상기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식 배터리팩의 전원을 상기 PDA에 공급하는 전원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식 배터리팩에 접속되어 상기 충전식 배터리팩의 충전정도를 표시하는 충전잔량 표시수단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충전수단은 상기 덮개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전원 공급단자와 접속하는 전원입력 커넥터와, 상기 덮개에 내장되어 상기 충전식 배터리팩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제어 회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출력 커넥터는 상기 2개 덮개의 경계면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개 덮개의 경계면 상하단에는 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구멍들 중 어느 하나에는 손잡이끈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덮개 중 어느 한 쪽의 덮개 일측에는 고정밴드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밴드의 내측과 다른 덮개의 외측에는 서로 대응하는 스냅단추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KR1020020059356A 2002-09-30 2002-09-30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KR200400282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356A KR20040028220A (ko) 2002-09-30 2002-09-30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356A KR20040028220A (ko) 2002-09-30 2002-09-30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220U Division KR200303166Y1 (ko) 2002-09-30 2002-09-30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220A true KR20040028220A (ko) 2004-04-03

Family

ID=37330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356A KR20040028220A (ko) 2002-09-30 2002-09-30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8220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9298A1 (en) * 1994-06-21 1995-12-27 Plessey Semiconductors Limited Portable radio package
JP2000175720A (ja) * 1998-12-17 2000-06-27 Toshiba Corp 携帯無線端末用ケース
KR20010067501A (ko) * 2001-01-26 2001-07-13 최영근 가방틀에 보조밧데리장치가 장착된 가방
KR20010099001A (ko) * 2001-04-24 2001-11-09 박정훈 입력장치 및 확장팩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6317313B1 (en) * 1999-11-09 2001-11-13 Interlogix, Inc. Case and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030031250A (ko) * 2001-10-12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기기 수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세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9298A1 (en) * 1994-06-21 1995-12-27 Plessey Semiconductors Limited Portable radio package
JP2000175720A (ja) * 1998-12-17 2000-06-27 Toshiba Corp 携帯無線端末用ケース
US6317313B1 (en) * 1999-11-09 2001-11-13 Interlogix, Inc. Case and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010067501A (ko) * 2001-01-26 2001-07-13 최영근 가방틀에 보조밧데리장치가 장착된 가방
KR20010099001A (ko) * 2001-04-24 2001-11-09 박정훈 입력장치 및 확장팩이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030031250A (ko) * 2001-10-12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기기 수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기기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72969A1 (en) Cell phone/personal digital assistant built into handbag
US20140091766A1 (en) Power bracelet
JP2000175720A (ja) 携帯無線端末用ケース
US20090015192A1 (en) Portable-electric-appliance protector/power supplier
US20060003709A1 (en) Protective enclosure for a mobile terminal
US7090076B2 (en) Cell phone/personal digital assistant built into handbag
CA2454221A1 (en) Solar bag
JP2002281139A (ja) 携帯電話機
US20060202702A1 (en) Headset charging system with interchargeable charge devices
DE60137458D1 (de) Zeuge und elektronische geräte
US6215985B1 (en) Mobile communicator
US7016712B2 (en) Hingeless mobile station
JP2003306819A (ja) バッテリ内蔵ベルト
US20150097517A1 (en) Battery strap for electronic device
US10224728B1 (en) Universal totable battery backup
KR200303166Y1 (ko)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KR20040028220A (ko) 충전식 배터리팩을 내장한 개인휴대정보단말기 케이스
KR102036659B1 (ko) 무선충전용 보조배터리를 구비하는 다이어리
KR100553003B1 (ko)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CN214473972U (zh) 一种基层民警用行动轨迹定位装置
RU2790152C9 (ru) Защита для экрана, обеспечивающая электропитание
US20050190542A1 (en) Case for handheld device
CN211833186U (zh) 多功能手包
KR101341368B1 (ko) 태블릿 컴퓨터용 케이스
KR100436005B1 (ko) 개인 휴대 단말기의 확장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