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009A - 비터비와 연계한 격자구조 채널 등화기 - Google Patents

비터비와 연계한 격자구조 채널 등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009A
KR20040025009A KR1020020056793A KR20020056793A KR20040025009A KR 20040025009 A KR20040025009 A KR 20040025009A KR 1020020056793 A KR1020020056793 A KR 1020020056793A KR 20020056793 A KR20020056793 A KR 20020056793A KR 20040025009 A KR20040025009 A KR 20040025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alizer
decision feedback
error
feedback channe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진
오영호
박성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Priority to KR102002005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5009A/ko
Publication of KR20040025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0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H04L25/03248Arrangements for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other apparatus
    • H04L25/03254Operation with other circuitry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267Operation with other circuitry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with decision feedback equal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433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characterised by equaliser structure
    • H04L2025/03439Fixed structures
    • H04L2025/03445Time domain
    • H04L2025/03458Latt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025/03592Adaptation methods
    • H04L2025/03598Algorithms
    • H04L2025/03611Iterative algorithms
    • H04L2025/03636Algorithms using least mean square [L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1/00Algorithms used for the adjustment of time-domain equalizers
    • H04L2201/06Algorithms used for the adjustment of time-domain equalizers using the output of a maximum likelihood decoder (Viterbi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TV 수신기에 있어서 수신기의 채널 등화기(channel equalize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 LMS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 비터비 디코더부, 세그먼트 싱크를 이용한 에러측정기 및 등화기 출력 선택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LMS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와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는 우선 외부로부터 입력신호 및 결정된 신호를 받아들여 필터링하고, 세그먼트 싱크를 이용한 에러측정기는 ATSC 방식에서 832개 심볼마다 존재하는 세그먼트 싱크를 이용하여 상기 LMS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와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의 출력 에러를 측정한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등화기 출력 선택기가 에러가 작은 등화기를 선택하도록 한다. 비터비 디코더부는 블라인드 모드에서 전송 과정의 에러를 정정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채널 등화기의 블라인드 모드에서의 성능을 비터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향상시키고, 수렴속도가 빠른 격자 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와 결정 에러에 덜 민감한 LMS 알고리즘을 연계하여 각각의 장점만을 이용함으로서 북미 및 국내에서 채택한 디지털 TV 방송방식 표준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방식의 실내, 휴대 및 이동수신의 성능을 향상시키었다.

Description

비터비와 연계한 격자구조 채널 등화기{Lattice-Viterbi Joint Channel Estimation Equalizer}
본 발명은 실내, 휴대 및 이동 수신의 다중경로(multipath)환경에서 수신부에서의 성능개선을 위하여 사용하는 등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북미 및 국내에서 채택한 디지털 TV 방송방식 표준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방식에 있어서 전송신호는 가변채널 및다중경로(multipath)현상으로 인해 실내, 휴대 및 이동 채널환경에서 왜곡되게 되고, 이로 인해 수신부에서의 수신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는 제한된 대역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기 때문에 심볼의 펄스 에너지를 인접하고 있는 심볼 펄스로 분산시키려는 시간 분산 효과(time dispersion effect)로 인해 인접 심볼에 간섭을 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송신된 데이터는 여러 가지 채널 왜곡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채널 왜곡에는 다중경로 현상, 주파수 오프셋, 위상 지터 등과 같은 것이 있으며, 이러한 것들은 디지털 통신시스템에서 송신 심볼들이 인접한 심볼에 영향을 주는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ISI)을 발생시켜 수신기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얻는데 커다란 장애요소가 된다. 또한 대부분의 통신채널은 상기 언급한 왜곡 요소들이 가변적이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 적응적으로 탭 계수를 갱신하는 적응 등화기(adaptive equalizer)가 필요하다.
도1은 일반적인 VSB 신호 수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튜너(10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RF 신호를 국부 발진 신호에 동조시켜 IF 신호로 변환시킨다. NTSC 제거 필터(200)는 NTSC에 의한 HDTV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NTSC 성분을 제거하고 등화기(300)는 전송채널을 통과하면서 발생한 멀티패스 왜곡을 제거한다. 위상추적기(400), 트렐리스 디코더(500)는 등화된 신호의 위상잡음을 제거하며, 위상추적기의 출력을 트렐리스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디인터리버(600)는 인터리빙된 데이터를 역 인터리버시킨다. RS 디코더(700)는 오류를 정정한 바이트 스트림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리드 솔로몬 디코딩을 수행한다. 역난수화기는 수신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에 재생된 데이터를 공급한다.
ATSC VSB 방식에서의 등화기는 제 2도에서 보는 것처럼 구성되어 있다. 이 결정 궤환 등화기(decision feedback equalizer)는 LMS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도2에서 전방필터부(301)와 후방필터부(302)는 수신된 신호에서 왜곡을 발생시키는 심볼간의 간섭성분을 제거하며, 블라인드 모드의 경우에 비터비 디코더부(303)는 필터에서 나오는 신호를 비터비 디코딩을 하여 에러를 정정한 데이터를 산출한다. 훈련열 저장부(304)는 송신기에서 알고 있는 훈련 데이열을 저장한다. 그 훈련열은 트레이닝 모드시에 읽혀 들여져 후방필터부 및 에러신호 계산부(306)로 출력되어 등화된 신호와의 에러를 계산하는데 사용한다. 또한 블라인드 모드시에는 비터비 디코더부의 출력 및 등화된 신호가 보내져서 에러를 계산하는데 사용한다. 스위치부(305)는 각 모드에 따라 비터비 디코더부의 출력과 훈련열을 구분하여 보내준다. 계산된 에러는 탭 계수 갱신부(307)로 출력된다. 탭 계수 갱신부는 에러신호를 받아들여 LMS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계수를 갱신하는데 그 방법은 [수학식1]과 같다
여기서은 필터의 계수,은 수신신호,는 비터비 디코더부의 출력,은 에러신호 계산부에서 계산된 에러신호,는 스텝 크기(step size),은 전방 필터 탭 개수,는 후방 필터 탭 개수이다.
그러나 LMS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블라인드 모드의 경우 비터비 디코더부에서 에러가 정정된 경판정된 신호를 후방필터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기존의 결정 궤환 등화기는 실내, 휴대 및 이동 수신같이 왜곡이 심하거나 급격한 가변 환경에서 채널간의 간섭으로 인해 나타나는 수신신호 왜곡을 보상할 만큼 빠른 수렴속도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왜곡이 심한 환경하에서도 빠른 수렴속도를 가지고, 훈련열이 없는 데이터 구간에서도 왜곡에 강한 새로운 등화기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등화기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터비 디코더를 채널 등화기와 연계하여 블라인드 모드에서의 채널 등화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와 LMS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를 연계하고 출력 에러가 작은 등화기를 자동적으로 선택하게 함으로서 실내, 휴대 및 이동 수신같이 왜곡이 심하거나 급격한 가변 환경에서 수신 신호의 왜곡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등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VSB 신호 수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2는 등화기 탭 계수 갱신 알고리즘으로 LMS를 사용하는 결정 궤환 등화기 구성도이다.
도3은 채널 등화를 위하여 격자구조를 사용하는 결정 궤환 등화기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정 궤환 최소평균자승 등화기를 연동시킨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 구성도이다.
도5는 ATSC 신호 형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등화기는 등화기 탭 계수 갱신으로 LMS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LMS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321);
채널 등화를 위하여 격자구조를 사용하는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등화기(322);
상기 LMS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와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의 각각 출력 에러를 ATSC 방식의 세그먼트 싱크를 이용하여 각 등화기 출력의 에러를 측정하는 세그먼트 싱크를 이용한 에러측정기(323);
상기 세그먼트 싱크를 이용한 에러측정기의 결과를 바탕으로 에러가 작은 등화기의 출력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등화기 출력 선택기(324);
블라인드 모드에서 전송 과정의 에러를 정정하는 비터비 디코더부(325)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등화기는 2가지 모드에 대하여 동작한다. 2가지 모드는 트레이닝(training mode)와 블라인드 모드(blind mode)이다. 상기 트레이닝 모드에서는 채널 등화를 하기 위하여 송신측에서 일정 기간 동안 수신기가 미리 알고 있는 훈련열(training symbol)을 전송한다. 수신부의 등화기는 채널을 거치면서 왜곡된 신호의 파형과 이미 알고 있는 훈련열을 비교하여 채널의 특성을 파악한다. 반면에 상기 블라인드 모드는 송신측 신호열의 확률 분포와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 신호만으로 등화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블라인드 모드 때는 트레이닝 모드 때에 비해 심볼간의 간섭으로 인한 왜곡을 잡아 내기 쉽지 않다. 본 발명의 등화기는 블라인드 모드에서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경판정 대신에 비터비 디코더부를 사용하였다.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는 LMS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채널 등화기에 비해 수렴 속도가 매우 빠른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ATSC 방식에 적용할 경우 정적채널에 대해서 LMS 등화기에 비교하여 TOV 단점을 보여준다. ATSC 방식에서 TOV(Threshold of visibility)를 만족하는 등화기 출력 심볼 에러율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TOV 근방에서 결정 에러에 덜 민감한 LMS 결정 궤환 등화기가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에 비하여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등화기는 상기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탭 계수 갱신으로 LMS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상기 LMS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321)와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322)의 두가지 등화기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등화기는 상기 LMS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321)의 출력과 상기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322)의 출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ATSC 방식 신호중에서 세그먼트 싱크를 이용한다. 도 5는 ATSC 방식의 신호 형식을 보여준다. 도 5에서 보여주듯이 상기 세그먼트 싱크는 832심볼마다 일정하게 존재하는 신호임으로 이를 이용하여 상기 LMS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와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의 출력 에러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에러 값을 바탕으로 자동적으로 상기 등화기 출력 선택기(324)에서 에러가 작은 등화기를 선택한다.
각 알고리즘의 구체적인 예는 F.Ling 와 J.G.Proakis의한 Adaptive lattice decision-feedback equalizers- Their performance and application to time-variant multipath channels란 명칭의 IEEE Trans. Commun., vol. COM-33, no.4,Apr. 의 1985년 발표된 논문에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 알고리즘을 소개하였으며, 비터비 알고리즘은 A.J. Viterbi에 의해 1967년 Error Bounds for ConvolutionalCodes and an Asymptotically Optimum Decoding Algorithm, IEEETrans. Inform. Theory, vol. IT-13, pp.260-269, April. 에서 소개되었다.
도 3의 도면을 참조하여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 알고리즘을 F.Ling 와 J.G.Proakis의 논문을 바탕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호 및 필터 계수, 기타 변수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 데이터 벡터(N+K 차원 벡터)
N : 총 Lattice stage 개수
K : 이차 채널 lattice stage 개수
초기화는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일차원 격자구조에 대한 연산을 [수학식3]와 같다.
Scalar Lattice Stages(0<m<N-K unless otherwise specified)
Transitional Lattice Stage(M=N-K)
이차원 격자구조에 대한 연산을 [수학식 4]와 같다.
Two-Dimensional Lattice Stages (N-K<m<N unless otherwiae specified)
본 발명에서는 북미 및 국내에서 채택한 디지털 TV 방송방식 표준인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방식의 실내, 휴대 및 이동수신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결정 궤환 최소자승 등화기를 연동시킨 격자구조 결정 궤환 등화기를 발명하고 사용함으로써 수신기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Claims (3)

  1. 등화기 탭 계수 갱신으로 LMS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LMS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
    채널 등화를 위하여 격자구조를 사용하는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
    상기 LMS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와 상기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의 출력에러를 ATSC 방식의 세그먼트 싱크를 이용하여 상기 각 등화기 출력의 에러를 측정하는 세그먼트 싱크를 이용한 에러측정기;
    상기 세그먼트 싱크를 이용한 에러측정기의 결과를 바탕으로 에러가 작은 등화기의 출력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등화기 출력 선택기;
    블라인트 모드에서 전송 과정의 에러를 정정 비터비 디코더부를 포함하는 결정 궤환 최소자승 등화기를 연동시킨 격자구조 결정 궤환 등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채널 등화에 격자구조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싱크를 이용한 에러 측정기는,
    ATSC 세그먼트 싱크를 이용하여 상기 격자구조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와 상기 LMS 결정 궤환 채널 등화기의 출력 에러를 측정한다.
KR1020020056793A 2002-09-18 2002-09-18 비터비와 연계한 격자구조 채널 등화기 KR20040025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793A KR20040025009A (ko) 2002-09-18 2002-09-18 비터비와 연계한 격자구조 채널 등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793A KR20040025009A (ko) 2002-09-18 2002-09-18 비터비와 연계한 격자구조 채널 등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009A true KR20040025009A (ko) 2004-03-24

Family

ID=3732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793A KR20040025009A (ko) 2002-09-18 2002-09-18 비터비와 연계한 격자구조 채널 등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5009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3934A (ja) * 1996-12-03 1998-06-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装置
KR20000034467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의 잔류측파방식 복조기
US6285412B1 (en) * 1997-07-23 2001-09-04 Harris Corporation Adaptive pre-equalization apparatus for correcting linear distortion of a non-ideal data transmission system
KR20030014725A (ko) * 2001-04-23 2003-02-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결정 피드백 등화기에서 에러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한결정 피드백 시퀀스 추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30097192A (ko) * 2002-06-20 2003-12-31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결정 궤환 최소평균자승 등화기를 연동시킨 결정 궤환 패스트 회귀최소자승 등화기
KR20040005250A (ko) * 2002-07-09 2004-0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치 등화 장치, 이를 이용한 vsb 전송 시스템 및 그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3934A (ja) * 1996-12-03 1998-06-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装置
US6285412B1 (en) * 1997-07-23 2001-09-04 Harris Corporation Adaptive pre-equalization apparatus for correcting linear distortion of a non-ideal data transmission system
KR20000034467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의 잔류측파방식 복조기
KR20030014725A (ko) * 2001-04-23 2003-02-1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결정 피드백 등화기에서 에러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한결정 피드백 시퀀스 추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30097192A (ko) * 2002-06-20 2003-12-31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결정 궤환 최소평균자승 등화기를 연동시킨 결정 궤환 패스트 회귀최소자승 등화기
KR20040005250A (ko) * 2002-07-09 2004-01-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치 등화 장치, 이를 이용한 vsb 전송 시스템 및 그전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486B1 (ko) 결정 피드백 등화기에서 표준 자동 스위칭 모드와 소프트 자동 스위칭 모드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기 장치 및 방법
US7616685B2 (en) Method for channel tracking in an LMS adaptive equalizer for 8VSB
US7555080B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ing system and equalizing method thereof
KR100627154B1 (ko) 칼만 비터비 채널 등화기
KR20040025516A (ko) 단일반송파수신기의 채널등화기 및 그의 등화방법
US838539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ep size for an LMS adaptive equalizer for 8VSB
KR100451750B1 (ko)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채널 등화 장치
KR20000069033A (ko) 동일채널간섭을 받는 디지털 텔레비젼 신호용 수신기의 채널등화기 동작방법
EP1397880B1 (en) Joint timing recovery and equalization for an n-antennae system
KR20040025009A (ko) 비터비와 연계한 격자구조 채널 등화기
US867572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 vestigial sideband signal using a sectionalizing adaptive equalizer
JP4425520B2 (ja) 高精細度テレビジョン信号用のブラインド等化装置
KR100668789B1 (ko) 이중 후방 필터 구조의 채널 결정 궤환 등화기
KR100913080B1 (ko) 디지털 송수신 시스템의 채널 응답 추정 및 등화기 계수초기화 방법
KR20030097192A (ko) 결정 궤환 최소평균자승 등화기를 연동시킨 결정 궤환 패스트 회귀최소자승 등화기
KR100281390B1 (ko) 8-vsb 적응 채널등화기 및 계수 갱신방법
US20040042546A1 (en) Single carrier receiver with an equalizer for improving equalization quality and equalization method thereof
KR100289583B1 (ko) 디지털 지상방송 및 케이블방송 수신기의 복조회로
KR100474911B1 (ko) 수신 시스템
KR20020084719A (ko) 잔류측파대역 방식 고선명 텔레비젼 수신기의 채널등화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61839A (ko) 디지털 티브이의 ntsc 인접 채널 간섭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