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4611A - 기하학적 패턴을 갖는 장식용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하학적 패턴을 갖는 장식용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4611A
KR20040024611A KR10-2004-7001787A KR20047001787A KR20040024611A KR 20040024611 A KR20040024611 A KR 20040024611A KR 20047001787 A KR20047001787 A KR 20047001787A KR 20040024611 A KR20040024611 A KR 20040024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material
geometric pattern
geometric
thermosetting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리 디. 올손
윌리엄 피. 파플햄
롤프 티. 웨버그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40024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461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7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having different colours
    • B29C48/175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having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 multi-coloured single component, e.g. striated, marbled or wood-like patter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3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reinforcement
    • B29K2301/10Thermosetting res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dornment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된 3차원 기하학적 패턴을 갖는 장식용 열경화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기하학적 패턴을 갖는 장식용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Decorative Materials Having Geometric Patter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고체 표면 재료는 실질적으로, 유기 중합체 매트릭스에 분산된 미분 무기 충전제의 비다공성 복합물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전제는 예를 들어, 알루미나 삼수화물, 탄산칼슘, 실리카 및 알루미나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열경화 중합체 재료는 예를 들어,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멜라민, 우레탄, 아크릴로-우레탄, 에폭시 수지 및 그의 조합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고체 표면 재료는, 시트 주조, 셀 주조, 사출 성형 또는 벌크 성형과 같은 열경화 공정으로 제조된다. 상기 제품의 장식성 품질은 안료 및 유색 입자를 혼입함으로써 현저하게 증진되어, 복합물은 천연석과 유사해진다. 시판되고 있는 패턴의 범위는, 상기 물질의 제조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중간체 및 공정에 제한을 받는다.
고체 표면 재료는 그의 다양한 용도에 있어서 기능적이며 장식적인 목적을 모두 수행한다. 여러 가지의 매력적이고(거나) 독특한 장식 패턴을 도입하면 그 효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패턴은 고유의 유용한 성질을 구성하고 한제품을 다른 제품과 차별화시킨다. 목재 또는 석재와 같은 천연 재료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되어, 예를 들면 가구 제작에 있어서 목재 또는 석재의 용도는 특정의 천연 패턴, 예를 들어 조직, 색상 변화, 결, 층, 내포물 및 기타 다른 것에 의해 향상된다. 상업적으로 제조된 고체 표면 재료에는, 종종 화강암 또는 대리석의 천연 패턴을 모방하고 그와 유사하게 하기 위해 장식 패턴을 도입한다. 그러나, 가능성 및(또는) 실용성의 한계 때문에, 종래에는 특정 장식 패턴 및(또는) 카테고리의 장식 패턴은 고체 표면 재료에 도입되지 않았었다.
과거에 장식 패턴은, 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방법에 의한 통상적인 열경화 제조로 달성되었다:
(i) 이미 존재하는 고체 표면 제품의 단색 또는 다색 조각을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불규칙적 형상의 유색 입자를 제조한 다음, 신규한 열경화 제제 내의 다른 성분들과 조합한다. 주조 또는 성형 동안 반응 배합물을 경화하여, 불규칙적 형상 및 크기의 유색 내포물이 각각 다른 색의 연속적인 매트릭스에 둘러싸이고 매립된 고체 표면 재료를 제조한다.
(ii) 열경화 반응 배합물의 주조 동안, 두 물질이 단지 제한된 정도로만 서로 혼합되도록 각각 다른 색의 2차 반응 배합물을 첨가한다. 결과 고체 표면 재료에서, 각각 다른 색상의 도메인은 매끄러운 형상을 갖고 연속적인 색상 변화를 갖는 영역에 의해 분리된다.
(iii) 각각 다른 색상의 고체 표면 제품은 다양한 형상으로 절단되거나 기계 처리된 다음, 접착제로 접합되어 다색 상감 패턴 또는 무늬가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열경화법을 사용하면, 특정 카테고리의 장식 패턴을 만들 수 없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그 표면 상에 둘 이상의 대조적인 열경화성 조성물로 형성된 기하학적 패턴을 갖는 장식 재료에 관한 것이다:
(a) 여기서, 기하학적 패턴은 3차원이며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고,
(b) 기하학적 패턴의 시각적 외관은 재료의 표면 상에 노출된 기하학적 형상의 각각 다른 단면 때문에 변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둘 이상의 유동성 대조적 열경화성 성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ii) 개별적인 성형 조성물이 식별 가능하고 3차원의 기하학적 형상을 만드는 제어된 방식으로 열경화성 성형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
(iii) 배합된 성형 조성물을 기하학적 형상의 단면이 드러나는 방식으로 개별적인 분리된 부분으로 분할하는 단계,
(iv) 기하학적 형상의 단면을 포함하는 개별적인 분리된 부분들을 조합하는 단계, 및
(v) 개별적인 분리된 부분의 인접 표면을 융합하여 기하학적 패턴을 갖는 장식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장식 재료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독특한 장식 패턴을 갖는 고체 표면 재료와 같은 장식 재료로 제조되는 열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열경화성 재료는, 분리된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성형 조건하에서 유동성이며, 고체 표면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받지 않는다. 유용한 열경화성 재료는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로-우레탄, 멜라민 및 그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열경화성 재료는 아크릴이고, 다양한 종류의 통상적인 아크릴기 단량체, 아크릴기 부분 중합체, 아크릴기 단량체 이외의 공중합 반응을 위한 비닐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아크릴기 단량체로서, (메트)아크릴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크릴"을 의미한다. 특히 우수하고 특히 바람직한 단량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인 반면, 특히 우수하고 특히 바람직한 중합체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이다.
중합성 구성 성분으로서 유용한 기타 단량체는, 알킬기가 1-18 탄소 원자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4 탄소 원자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이다. 적절한 아크릴 단량체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 및 i-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2-부틸, i-부틸 및 t-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오메가-히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N,N-디알킬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N-[t-부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이다.
기타 불포화 단량체는 스티렌; 비스-[베타-클로로에틸] 비닐포스포네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α-메틸렌부티로락톤 (MBL);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아크릴 및 메타크릴산; 2-비닐- 및 4-비닐 피리딘;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및 말레산의 에스테르; 아크릴 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이타콘산, 이타콘산 무수물 및 이타콘산의 에스테르,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가교 목적을 위한 다관능성 단량체: 알킬렌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N-히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드 및 N-히드록시메틸메타크릴-아미드; N,N'-메틸렌 디아크릴아미드 및 디메타크릴아미드;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 프탈레이트; 디비닐벤젠; 디비닐톨루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및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알릴 시트레이트 및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오 같은 화합물을 포함한다.
반사율, 간섭 패턴 또는 선택적 색 흡수를 위해 불투명도, 밀도 및 반사율이 다른 재료들, 예를 들어 운모, 알루미나, 실리카, 유리, 세라믹, 금속, 중합체, 또는 다양한 재료 (광물, 염료 등)로 코팅된 기타 천연 또는 합성 기질이 성형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중합체, 천연 (나무, 면 등), 세라믹, 유리일 수 있는 섬유, 또는 금속은 또한 관찰각에 따라 각각 다른 외관을 나타낸다.
성형 조성물은 입상 또는 섬유상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충전제는 순수 중합체 또는 순수 중합체들의 조합에 비해 최종 제품의 경도, 강성 또는 강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충전제는 최종 제품에 다른 특성들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충전제는 난연성과 같은 기타 기능적 성질을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장식적 목적을 수행할 수 있으며 미관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부 대표적인 충전제는 알루미나, 알루미나 삼수화물 (ATH), 알루미나 일수화물, 수산화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 황산 알루미늄, 인산 알루미늄, 규산 알루미늄, 바이엘 수화물, 붕규산염, 황산칼슘, 규산칼슘, 인산칼슘,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산화칼슘, 인회석, 유리 버블, 유리 미립구, 유리 섬유, 유리 비드, 유리 조각, 유리 분말, 유리구, 탄산바륨, 수산화바륨, 산화바륨, 황산바륨, 인산바륨, 규산바륨, 황산 마그네슘, 규산 마그네슘, 인산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카올린, 몬트모릴로나이트, 벤토나이트, 납석, 운모, 석고, 실리카 (모래를 포함), 세라믹 미립구, 세라믹 입자, 세라믹 위스커, 분말 탈크, 이산화티타늄, 규조토, 목분, 붕사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충전제는 임의로 사이징제, 예를 들어 OSI 스페셜티즈 (프렌들리 (Friendly), VN)에서 실란 8 메타크릴레이트 A-174 (Silane 8 Methacrylate A-174)로 시판하고 있는 실란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코팅될 수 있다. 충전제는 약 5-500 미크론 범위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작은 입자의 형태로 존재하고, 65 중량% 이하의 양의 성형 조성물로 존재할 수 있다.
충전제 입자의 성질, 특히 굴절률은 최종 제품의 미관에 현저한 영향을 미친다. 충전제의 굴절률이 중합체 성분의 굴절률에 근접하게 맞추어지면, 결과적인 최종 제품은 반투명 외관을 갖게 된다. 굴절률이 중합체 성분의 굴절률과 편차가 생기면, 결과적인 외관은 더 불투명하게 된다. ATH의 굴절률은 PMMA의 굴절률에가깝기 때문에, ATH는 흔히 PMMA계에 대한 바람직한 충전제이다. 특히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10 미크론 내지 100 미크론의 입자 크기를 갖는 충전제이다. 알루미나 (Al2O3)는 흠집에 대한 내구성을 증진시킨다. 섬유 (예를 들어, 유리, 나일론, 아라미드 및 탄소 섬유)는 기계적 성질을 증진시킨다. 기능성 충전제의 일부 예는, 항산화제 (예를 들어, 3원 또는 방향족 아민,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 코포레이션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이 공급하는 이르가녹스 (Irganox, 옥타데실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및 차인산나트륨), 난연제 (예를 들어, 할로겐화 탄화수소, 무기 탄산염, 수화 광물 및 산화 안티몬), UV 안정제 (예를 들어, 시바 가이기 (Ciba Geigy)가 공급하는 티누빈 (Tinuvin)), 내변형제,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예를 들어, 듀폰 (DuPont)의 테플론 (Teflon)), 스테아르산, 및 스테아르산 아연, 또는 그의 조합이다.
조성물은 임의로 장식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장식 충전제는 물리적 성질에 대해 작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주로 미적 이유를 위해 존재한다. 적절한 장식용 충전제는 예를 들어, 안료 및 기타 수불용성 색소, 반사 조각, 금속 입자, 암석, 유색 유리, 다양한 크기의 유색 모래, 목재 제품, 예를 들어 섬유, 펠렛 및 분말 등을 포함한다. 입자 크기는 장식 충전제의 성질에 따라 변화할 것이고, 미크론 미만 만큼 작거나 수 센티미터 만큼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충전제, 색소 및 장식 충전제와 같은 고체는 열경화성 성분들을 첨가하기 전에 예비혼합될 수 있다. 결과 혼합물이 농축되고 예시적으로 선택된 성형 조건하에서 유동성인 열경화성 성형 조성물을 형성하는 도우가 되었을 때, 혼합을 종결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출발 재료는 웨버그 (Weberg) 등의 미국 특허 6,203,911, B1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된 성형 조성물에 대한 다수 실시태양일 수 있다.
다수의 성형 조성물은 불완전하게 혼합되고 개별적인 조성물이 기하학적 형상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배합된다. "기하학적"은 그의 전형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구조에 있어서 직선 또는 단순 곡선 모티프 또는 윤곽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기하학적 형상은 3차원이다. 기하학적 형상으로부터 야기된 표면 외관은 예를 들어, 시각적으로 대조적인 성형 조성물 때문에 줄무늬 또는 소용돌이 형태이다. 기하학적 형상으로 조성물을 배합하는 방법의 일부 예는, 압출된 또는 캘린더링된 다양한 조성물 리본의 적층 및 여러 가지의 블렌딩 방법을 포함한다.
둘 이상의 성형 조성물이 사용되는 단순 선형 압출은,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다. 그러한 경우, 최종 장식 재료는 줄무늬형 외관을 가질 것이다. 그러나, 기하학적 형상이 3차원이기 때문에 최종 장식 재료의 표면 상에는 각각 다른 배향의 줄무늬가 존재할 것이다.
또한, 기하학적 형상이 줄무늬형 표면 외관을 갖지 않는 것도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다. 따라서, 기하학적 형상의 표면 외관은 개별적인 열경화성 성형 조성물의 배합 방법으로 결정되는 기하학적 형상을 갖는 소용돌이 또는 관련 곡선 모티프 형태일 수 있다.
예시를 위해, 개별적인 열경화성 성형 조성물은 비선형 방식으로 압출되어 곡선, 3차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별법으로, 개별적인 열경화성 성형 조성물이 불완전 혼합으로 배합될 수 있다. 배합 단계는 배합된 성형 조성물의 일부분은 기하학적 형상을 형성하는 반면, 일부분은 그렇지 않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 후,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하는 배합된 성형 조성물이 개별적인 분리된 부분으로 분할되어, 변화하는 표면 외관을 갖는 기하학적 형상의 단면이 된다. "단면"이라는 용어는, 부분 단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배합된 성형 조성물을 분할하는 방법은, 불규칙적인 방식 (분쇄와 같은) 또는 균일한 방식 (절단과 같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불규칙적인 분할은 기하학적 형상 외관의 적어도 일부는 유지하는 반면 다른 부분은 그렇지 않은, 일부의 개별적인 분리된 부분을 야기한다. 하지만, 최종 장식 재료에 존재하는 기하학적 패턴은 기하학적 형상의 단면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배합된 성형 조성물의 분할은 바람직하게는 기하학적 외관을 갖는 개별적인 부분들의 실질적인 부분을 형성한다.
분할 단계는 절단, 세단, 파열, 압출 또는 분쇄와 같은 다수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분할 방법에 따라, 각각 다른 표면 외관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개별적인 분리된 부분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최대 치수의 개별적인 분리된 부분은 2 mm 내지 100 cm의 범위일 수 있다.
적어도 일부의 기하학적 구조를 유지하는 개별적인 분리된 부분을 형성한 후, 융합 단계 전에 상기 개별적인 분리된 부분들을 배합한다. 예시적으로, 앞서 분리된 상기 부분들의 융합은 금형 내와 같이 압력 및 승온하에서 일어나고, 여기서 열경화성 조성물은 열경화된다. 융합 단계에서, 인접 표면들은 서로 접촉하여 단면의 기하학적 형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개별적인 분리된 부분은 통상적으로 불규칙적인 방식으로 배합되며, 상기 부분들의 3차원적 성질으로 인하여 융합시에 변화하는 표면 외관을 제공한다.
융합 단계의 조건은 사용되는 열경화성 조성물에 좌우되고, 다양한 범위에 걸쳐, 예를 들어 승온 및 승압과 결합되어 변화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융합 단계는 또한 열경화성을 최종 장식 열경화성 재료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최종 장식 재료의 표면은 반복되는 기하학적 표면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장식 재료는 3차원 기하학적 형상의 단면으로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표면 패턴은 각각 다른 단면으로 인해 외관이 다를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기하학적 패턴은 내부를 포함하는 장식 재료의 전체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로 연장된다.
또한, 기하학적 패턴의 크기 및 형상이 다를 수 있는 것, 뿐만 아니라 그의 농도가 다를 수 있는 것도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다. 열경화성 조성물의 개별적인 분리된 부분의 배합 단계에 있어서, 추가의 비-기하학적 (또는 기타의 기하학적) 융합성 부분들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만일 첨가된 부분이 충분히 작다면, 상기 첨가된 부분들은 융합성일 필요가 없다. 또한, 하나 이상의 기하학적 형상이 사용되어 최종 제품에 각각 다른 기하학적 패턴을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한다. 각각 다른 표면 외관을 가능케 하는 색 또한 중요한 특징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완전히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부및 백분율은 중량에 의하며, 다르게 나타내지 않으면 섭씨 온도이다.
실시예 1
둘 이상의 색의 층상 블렌드의 제조 방법이다. 색 간의 경계면은 블렌딩되지 않아 선명했다. 제1 색 (흑금)을 위해 하기 성분들을 칭량했다.
알칸 (Alcan)의 ATH 1120 그램
파라로이드 (Paraloid)라텍스 K120ND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틸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입자 경화제 401 그램 (롬 & 하스 캄파니 (Rohm & Haas Company))
스테아르산 아연 6 그램
아플레어 (Afflair)305 솔라 골드 운모 40 그램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362 그램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EGDMA) 58 그램
아토피나 (Atofina)의 루페록스 (Luperox)575 (t-아밀 퍼옥시-2-에틸 헥사노에이트) 열 개시제 6.94 그램
듀폰의 바조 (Vazo)67 [2,2'-아조비스(메틸부티로니트릴) 열 개시제] 1.14 그램
젤렉 (Zelec)MO 1.68 그램
카본블랙 안료 분산액 2.86 그램
MMA, EGDMA 및 젤렉 MO를 작은 용기에 첨가했다.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공기 모터로 구동하는 임펠러로 2분 동안 혼합했다. 루페록스 575를 첨가한 다음, 바조 67을 첨가했다. 완전히 혼합되도록 10분 동안 혼합하여, 바조67을 완전히 용해하였다. 첫번째의 3가지 성분 (ATH, 파라로이드및 스테아르산 아연)들을 혼합기에 (고점성 혼합 블레이드가 장착된 로스 이중 행성식 혼합기 (Ross Double Planetary Mixer, DPM) LDM-2) 건식 블렌딩했다. 건조 성분들을 혼합하기 위해 5분 동안 블렌딩했다. 운모를 건조 성분에 첨가했다. 카본 블랙 안료 분산액을 DPM 내의 건조 성분에 첨가했다. 예비혼합 단계로부터의 액체 성분을 첨가했다. 성분들이 응집성 화합물로 응집되는 지점을 지날 때까지 혼합물을 6분 동안 블렌딩했다. 그 다음, 응집성 화합물을 혼합기로부터 제거하여, MMA 불투과성 용기에 밀봉했다.
제2 조성물
제2 색 (금색)을 위해 하기 수준의 성분들로 상기 방법을 반복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안료 분산액을 첨가하지 않았다.
ATH (알칸) 1120 그램
파라로이드라텍스 K120ND 401 그램 (롬 & 하스 캄파니)
스테아르산 아연 6 그램
아플레어305 솔라 골드 운모 40 그램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365 그램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EGDMA) 58.4 그램
루페록스575 6.98 그램
바조67 1.14 그램
젤렉MO 1.68 그램
금형 장입물을 제조하기 위해, 이전 단계로부터의 성형 화합물을 최소한 1시간 동안 휴지시켜 MMA가 라텍스 입자에 추가로 흡수되도록 했다. 소정 비율의 각 색을 칭량했다. 1:1의 경우에 있어, 2000 그램의 각 색을 칭량했다. 캘린더링 롤을 사용하여 각 색의 편평 디스크 또는 리본을 제조했다. 두 색의 층을 만들었다. 캘린더링 롤을 통과시켜 두께를 감소시켰다. 재료를 접어서 두께를 2배로 하고 층을 더 만들었다. 압연 및 접힘 단계를 반복하여, 소정의 수의 층을 만들었다. 상기 시료에서 층의 수는 8 및 16이었다. 이제 성형을 위해 재료를 장입 단편 (약 2 센티미터 치수의 입방체)으로 절단할 수 있었다. 단편을 성형 준비가 될 때까지 MMA 불투과성 용기에 밀봉했다.
별법으로, 화합물을 DPM에 넣을 수 있다. 2의 혼합기 속도에서 혼합했다. 블레이드가 성형 화합물을 조각내기 시작했다. 본 실시예에 대해서는, 단편의 직경이 모두 1.5 cm 이하가 될 때까지 혼합을 지속했다. 단편을 성형 준비가 될 때까지 MMA 불투과성 용기에 밀봉했다.
이전 단계로부터의 단편 900 그램을 칭량했다. 8”x 8” (20.32 x 20.32 cm) 플라크 금형을 122℃로 예열했다. 사전 칭량한 재료를 뜨거운 금형에 붓고,장입물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분산시켰다. 금형을 밀폐하고 1480 psig (102 bar)의 압력을 8분 동안 가하여 부품을 경화시켰다. 금형으로부터 제거했다. 성형된 부품은 운모가 부품 표면에 평행하게 고도로 배향된 매우 얇은 표면층을 가졌다. 개별적인 조성물은 식별 가능한 기하학적 패턴으로 존재했다. 이는 매력적이고 그렇게 사용될 수 있지만, 고체 표면 산업의 통상적인 기술로는 수리할 수 없다. 벌크 재료의 대표적인 표면을 드러내기 위해, 약간 사포질이 필요했다.
실시예 2
램 압출기를 사용하여 둘 이상의 색의 패턴화된 블렌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실시예 1과 유사한 두 가지, 흑색 한 가지 및 백색 한 가지의 성형 조성물을 제조했다. 상기 조성물을 원형 다이가 장착된 램 압출기의 공급구로 주입했다. 첫 번째 시험에서, 흑색 및 백색 조성물이 교대되는 약 1-인치 (2.54 cm) 길이, 1.5-인치 (3.81 cm) 직경의 디스크를 램에 공급하여 프로파일을 생성했다. 압출물의 단면은 고도로 연장된 포물선 속도 프로파일을 나타냈다.
두 번째 시험에서, 약 0.13”(0.33 cm) 직경의 흑색 및 백색 조성물의 압출된 누들 혼합물을 램 압출기에 공급했다. 압출물은 불규칙적인 혼합 패턴의 포물선 만곡을 갖고 있었다. 상기 프로파일된 재료를 각각 다른 크기의 장입 단편으로 세단하고 성형을 위해 보존했다.
장입 단편을 가열된 8”x 8”(20.32 x 20.32 cm) 강철 금형 내에서 900 psig (62.05 bar)의 압력에서 120℃에서 6분 동안 성형했다. 첫 번째 시험의 결과, 성형 플라크는 두 가지 색의 조성물의 주요 도메인을 나타냈다. 두 번째 시험의 성형 플라크는 뚜렷한 점과 선 패턴을 나타냈다.
실시예 3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둘 이상의 색의 패턴화된 블렌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다. 실시예 1과 유사한 두 가지, 흑색 한 가지 및 백색 한 가지의 성형 조성물을 제조했다. 상기 조성물을 하기 기술하는 방법과 같이 처리하고, 원형 다이가 장착된 단축 스크류 압출기에 주입했다.
먼저 1.5”직경, 3”(3.81 x 7.62 cm) 길이의 조각으로 압출했다. 상기 조각들은 후속하는 블렌딩 실험을 위한 공급 원료였다. 조각들을 1:1 비율로 회전-블렌딩하고, 1.5”(3.81 cm) 직경의 원형 다이가 장착된 단축 스크류 압출기에 장입했다. 결과 압출된 프로파일 재료는 종방향으로 규칙적인 소용돌이 시나몬 롤 패턴을 갖고 있었다. 압출물을 종방향으로 절단하고 실시예 2와 같이 성형하여, 최종 성형 플라크에서 나뭇결과 유사한 패턴을 얻었다.
또한, 압출물을 작은 디스크로 십자형으로 절단하여 금형 공동 내에 수동으로 배열하고, 실시예 2와 같이 성형하여 최종 성형 플라크에서 규칙적인 소용돌이 도메인을 갖는 패턴을 얻었다.
세단된 압출물의 혼합물을 불규칙적으로 금형에 주입하고, 실시예 2와 같이 성형했다. 결과 성형 플라크는, 최종 성형 플라크에서 매듭이 많은 나뭇결 외관을 가졌다.

Claims (11)

  1. (a) 기하학적 패턴이 3차원이며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고,
    (b) 기하학적 패턴의 시각적 외관이 재료의 표면 상에 노출된 기하학적 형상의 각각 다른 단면 때문에 변화하는,
    표면 상에 둘 이상의 대조적인 열경화성 조성물로 형성된 기하학적 패턴을 갖는 장식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패턴이 장식 재료의 내부로 연장된 장식 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패턴이 줄무늬를 포함하는 장식 재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패턴이 줄무늬 이외의 형태인 장식 재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패턴이 소용돌이를 포함하는 장식 재료.
  6. 제1항에 있어서, 기하학적 패턴에 존재하지 않는 추가의 열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장식 재료.
  7.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성형 조성물이 아크릴을 포함하는 장식 재료.
  8. 제1항에 있어서, 난연성을 제공하는 충전제를 포함하는 장식 재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가 알루미나 삼수화물을 포함하는 장식 재료.
  10. (i) 둘 이상의 유동성 대조적인 열경화성 성형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ii) 개별적인 성형 조성물이 식별 가능하고 3차원의 기하학적 형상을 만드는 제어된 방식으로 열경화성 성형 조성물을 배합하는 단계,
    (iii) 배합된 성형 조성물을 기하학적 형상의 단면이 드러나는 방식으로 개별적인 분리된 부분으로 분할하는 단계,
    (iv) 기하학적 형상의 단면을 포함하는 개별적인 분리된 부분들을 조합하는 단계, 및
    (v) 개별적인 분리된 부분의 인접 표면을 융합하여 기하학적 패턴을 갖는 장식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a) 기하학적 패턴이 3차원이며 재료의 표면으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고,
    (b) 기하학적 패턴의 시각적 외관이 재료의 표면 상에 노출된 기하학적 형상의 각각 다른 단면 때문에 변화하는,
    표면 상에 둘 이상의 대조적인 열경화성 조성물로 형성된 기하학적 패턴을갖는 장식 재료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인접 표면들을 융합하는 상기 단계 (v)가 형상화된 장식 재료를 제공하는 열 및 압력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04-7001787A 2001-08-07 2002-08-06 기하학적 패턴을 갖는 장식용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0246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23,697 2001-08-07
US09/923,697 US20030031832A1 (en) 2001-08-07 2001-08-07 Decorative materials having geometric patter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PCT/US2002/024798 WO2003013878A2 (en) 2001-08-07 2002-08-06 Decorative materials having geometric patter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4611A true KR20040024611A (ko) 2004-03-20

Family

ID=2544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787A KR20040024611A (ko) 2001-08-07 2002-08-06 기하학적 패턴을 갖는 장식용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20030031832A1 (ko)
EP (1) EP1414652B1 (ko)
JP (1) JP3996898B2 (ko)
KR (1) KR20040024611A (ko)
AT (1) ATE362848T1 (ko)
AU (1) AU2002324612B2 (ko)
BR (1) BR0211860A (ko)
CA (1) CA2454247A1 (ko)
DE (1) DE60220280T2 (ko)
MX (1) MXPA04001124A (ko)
NZ (1) NZ530326A (ko)
WO (1) WO200301387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8194A1 (en) * 2000-11-28 2004-01-29 Francisco Joseph A. Recombinant anti-CD30 antibodies and uses thereof
US7645405B2 (en) * 2005-02-02 2010-01-12 Sult Darrell B Composite sheet with visible filler and manufacturing method
CA2674884C (en) * 2007-02-02 2015-01-27 Gregory F. Jacobs Multilayer article with variegated appearance
US8051886B2 (en) * 2009-12-14 2011-11-08 Unilin Flooring Nc Llc Distress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applying such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3493A (en) * 1969-12-29 1972-05-16 Monsanto Co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arbleized reinforced polyacrylic compositions
US4278483A (en) * 1979-08-31 1981-07-14 Congoleum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covering
DE3043245C2 (de) * 1980-11-15 1983-04-14 Dynamit Nobel Ag, 5210 Troisdorf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emusterten Platte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GB8411824D0 (en) * 1984-05-09 1984-06-13 Ici Plc Producing shaped articles
US4794020A (en) * 1985-10-07 1988-12-27 Tarkett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inlaid types of sheet materials
US5073587A (en) * 1990-01-16 1991-12-17 Edwards Bill R Polymeric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5166230A (en) * 1991-09-16 1992-11-24 Stecker William M Method for producing a synthetic shaped article simulating marble, granite or the like
US5820799A (en) * 1996-02-05 1998-10-13 Barnett; Stephen Methods for making cast marble objects having superior depth characteristics and color separation
SE504549C2 (sv) * 1996-02-28 1997-03-03 Perstorp Ab Förfarande för ytstrukturering av ett dekorativt härdplastlaminat
US6203911B1 (en) * 1998-06-17 2001-03-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oset volatile monomer molding compositions
US6150009A (en) * 1998-08-07 2000-11-21 Surface Technologies, Inc. Decorative structural panel
US6187415B1 (en) * 1998-09-26 2001-02-13 Premark Rwp Holdings, Inc. Solid surfacing dimensional laminat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211860A (pt) 2004-09-21
NZ530326A (en) 2005-07-29
AU2002324612B2 (en) 2007-07-26
JP2004537445A (ja) 2004-12-16
EP1414652A2 (en) 2004-05-06
US20030031832A1 (en) 2003-02-13
CA2454247A1 (en) 2003-02-20
DE60220280T2 (de) 2008-01-17
MXPA04001124A (es) 2004-05-20
DE60220280D1 (de) 2007-07-05
EP1414652B1 (en) 2007-05-23
JP3996898B2 (ja) 2007-10-24
WO2003013878A3 (en) 2003-12-18
US20050238849A1 (en) 2005-10-27
ATE362848T1 (de) 2007-06-15
WO2003013878A2 (en) 200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4186B1 (ko) 장식 패턴을 갖는 화장용 표면 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AU2002322760A1 (en) Decorative surface materials having a decorative patter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U2012203256A1 (en) Process for forming decorative patterns by orienting magnetic particles
US20050238849A1 (en) Decorative materials having geometric patter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20070252300A1 (en) Novel aesthetics in surfaces
US20070254106A1 (en) Novel aesthetics in surfaces employing deformation and magnetic means
JPH04224922A (ja) 押出成形による人工大理石の製造方法
JPH1171494A (ja) アクリル系複合材料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アクリル系複合材料成形体の製造方法
JPH04147820A (ja) 押出成形による人工大理石の製造方法
JPH0238351A (ja) 御影石調の熱可朔性樹脂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