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885A -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885A
KR20040023885A KR1020020055324A KR20020055324A KR20040023885A KR 20040023885 A KR20040023885 A KR 20040023885A KR 1020020055324 A KR1020020055324 A KR 1020020055324A KR 20020055324 A KR20020055324 A KR 20020055324A KR 20040023885 A KR20040023885 A KR 20040023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losing door
air conditione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6494B1 (ko
Inventor
김종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5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494B1/ko
Priority to CNB021524130A priority patent/CN1231728C/zh
Publication of KR20040023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4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폐도어의 수평이동을 단순한 구성에 의해서 실현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는, 개폐도어의 상단 및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은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의 이동을 경사지게 안내함으로써 상기 개폐도어의 전후진 이동을 구현하도록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제2 경사부 및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의 상하이동을 주도하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전체 외관이 차지하는 체적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안정된 미감을 획득할 수 있는 개폐도어의 수평전/후진 및 수직상/하강 운동을 간단한 구조로 구현해 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A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outlet of Air conditoner}
본 발명은 토출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가 일부구간에서 수평 전진 및 후진 운동을 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공기조화기는 토출구로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할 때 토출구를 개방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토출구를 폐쇄하는 토출구 개폐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토출구 개폐장치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가 지속되어져 왔고, 본 출원인의 선 출원으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1-0069435호는 이러한 토출구 개폐장치에 대한 보다 단순한 구성을 제시하여 주고 있다. 이에 대해 도1 및 도2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이루는 전면패널(101)에 형성된 토출구(102)를 개폐할 수 있도록 토출구(102)와 대응하는 개폐도어(103)와, 상기 개폐도어(103)의 승강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상측 가이드레일(104a)과 하측 가이드레일( 104b)이 상기 전면패널(101)의 후방에 위치하는 지지패널(105)의 양 측 내면에 상하로 긴 레일홈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상측 가이드레일(104a)은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경사지게 구성되고,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104b)은 전체적으로 수직하게 구성되지만 상측에서는 전방으로 경사지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103)가상측 가이드레일(104a)의 안내를 받기 위하여 상기 개폐도어(103)의 양측 상단으로는 레일돌기(110)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지지패널(105)의 상측은 상기 토출구(102)와 대응하는 개구(105a)와 하측은 상기 토출구(102) 개방시 상기 개폐도어(103)를 수용할 수 있는 도어수용부(105b)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103)를 승강시키는 승강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수단으로서, 일 측에 랙기어부(106a)가 형성된 승강부재(106)와, 이 승강부재(106)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랙기어부(106a)와 치합되는 피니언(107a)을 구비한 승강모터(107)를 포함한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승강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승강동력을 상기 개폐도어(103)에 전달하는 힌지부재(108)가 마련되는데, 이 힌지부재(108)는 상기 하측 가이드레일(104b)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가로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힌지부재(108)는 개폐도어(103)의 하측 양단과 결합되는 도어측편(108a)과 승강부재 측과 결합되는 승강부재측편(108b)으로 나뉘어 상호 절곡되어 있는데, 상기 도어측편(108a)의 상단 양 측에는 상기 개폐도어(103)의 하단 양 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힌지돌기(112)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게 상기 개폐도어(103)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힌지돌기(112)와 힌지 결합되기 위한 힌지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으로, 상기 승강부재측편(108b)의 양 측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04b)에 삽입되기 위한 돌기부(109)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부(109)는 상기 승강부재측편(108b)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제1돌기(109a) 및 제2돌기(109b)를 구비한다. 한편으로 상기 승강부재측편(108b)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승강부재(106)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결합축(111)이 횡방향으로 마련되고, 이와 대응되게 상기 승강부재(106)에는 축수용홈(106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토출구 개폐장치(100)에 대한 토출구 개폐 동작은 상기 개폐도어(103)에 형성된 레일돌기(110) 및 상기 힌지부재(108)에 형성되는 돌기부(109)가 각각 상기 상측 가이드레일(104a) 및 하측 가이드레일(104b)의 안내를 받아 승강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토출구(102) 개폐 시에 상기 개폐도어(103)의 상단은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전방을 향한 경사이동을 하게 되고 하단은 수직이동 후에 전방을 향한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토출구(102)의 개방 시에는 전술한 동작과 역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2는 이러한 구성을 가진 토출구 개폐장치(100)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현재 토출구(102)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케이싱(201)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패널(101)이 구비되고, 이 전면패널(101)의 하측에는 실내공기를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202)가 형성되며 상측에는 조화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201)의 내부에는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팬(203)과 순환되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204)가 설치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 토출구(102) 내측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수평 및 수직 풍향날개(205, 206)가 설치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구성에 토출구(102)를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 토출구 개폐장치(100)가 상기 전면패널(101)의 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토출구 개폐장치(100)는, 개폐도어(103)의 하단 측만 수평 후진 및 수직 하강 운동 또는 수직 상승 및 수평 전진 운동을 하게 되어 있어 도3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외관 디자인 구성이 제한된다는 점(항상 외관에 라운드-Round 형상이 있어야 함), 개폐도어(103)가 도어수용부(105b)에 항상 경사되게 수용됨으로 인하여 상기 도어수용부(105b)의 폭이 넓어야 한다는 점 및 미관상 경사진 이동으로 인하여 불안한 심미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승강부재(106)와 힌지부재(108)의 결합을 이루는 결합축(111)과 축수용홈(106b)의 연결이 불안정하여 상기 결합축(111)이 상기 축수용홈(106b)에서 이탈될 수 있는 충분한 개연성이 있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의 수직 상/하강 이동에 연계하여 수평 전/후진 운동을 안정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가지고자 한다.
도1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발명인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채용한 공기조화기의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인 토출구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의 가이드레일에 대한 구성을 상세히 표현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5는 도3의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를 상세히 표현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6은 도3의 토출구 개폐장치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7은 도3의 토출구 개폐장치를 채용한 공기조화기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3: 개폐도어304: 가이드레일
304a: 제1 경사부304b: 제2 경사부
304c: 상하이동부305: 지지패널
307: 도어수용부308: 승강부재
308b, 308c: 축수용홈310: 상측 힌지부재
311: 하측 힌지부재505: 결합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패널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 상기 개폐도어에 승강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으로부터 받은 승강동력을 상기 개폐도어에 전달하는 연결수단 및 이 연결수단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개폐도어의 상단 및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의 이동을 경사지게 안내함으로써 상기 개폐도어의 전후진 이동을 구현하도록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제2 경사부 및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의 상하이동을 주도하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서 가급적 압축하거나 생략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례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3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공기조화기 전면 외관을 이루는 전면패널(301)의 상측에 조화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토출구(30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30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이에 대응되게 개폐도어(303)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개폐도어(303)의 승강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304)이 상기 전면패널(301)의 후방에 위치하며 소정의 폭(A)을 가지는 지지패널(305)의 양 측 폭(A)의 내면에 대체로 상하로 긴 레일홈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가이드레일(304)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4에 상세히 표현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가이드레일(304)의 상단과 중단에는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편의상 각각 제1 경사부(304a) 및 제2 경사부(304b)라 칭하고, 수직하게 상하로 형성된 레일홈 부분을 상하이동부(304c)라 칭하겠다. 물론 이러한 제1 경사부(304a) 및 제2 경사부(304b)는 곡선형의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한데, 이러한 경우 후술할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의 이동이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한편으로 상기 가이드레일(304)을 상부(401)와 하부(402)로 나누면 상부(401) 측의 레일홈은 폭이 좁고깊게 형성되며 하부(402) 측의 레일홈은 폭이 넓고 얕게 형성된다. 다시 도3으로 돌아오면, 상기 지지패널(305)은 상측에 상기 전면패널(301)에 형성되는 토출구(302)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개구(306)와 하측에 상기 개폐도어(303)를 수용할 수 있는 도어수용부(307)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개폐도어(303)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수단은, 일 측에 랙기어부(308a)가 형성된 승강부재(308)와 이 승강부재(308)를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랙기어부(308a)와 치합되는 피니언(309a)을 구비한 승강모터(309)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개폐도어(303)와 승강수단과의 관계는 승강수단으로부터 받은 승강동력을 상기 개폐도어(303)에 전달하는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에 의해서 명확해진다. 이러한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는 도5에서 보다 확대하여 상세히 표현되어져 있는데 그 구성과 형상이 상호 동일하므로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에 대한 부호를 제외하고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표기하도록 하여 중복되는 부호의 표기 및 설명을 피하도록 한다. 도5를 살펴보면,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는 상기 지지패널(305)의 폭(A) 내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04)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개폐도어(303)의 길이와 거의 동일할 정도로 가로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는 상기 개폐도어(303)의 하측 양단과 결합되는 도어측편(501)과 상기 승강수단 측과 결합되는 승강수단측편, 즉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승강부재(308) 측과 결합되는 승강부재측편(502)으로 나뉘어 상호 절곡되어 있는데,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의 도어측편(501)의 상단 양 측에는 상기 개폐도어(303)와 힌지결합 되기 위한 힌지돌기(50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재측편(502)의 양 측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304)에 삽입되기 위한 돌기부(504)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도3을 잠시 보면, 상기 도어측편(501)의 힌지돌기(503)와 힌지결합 되는 힌지공(303a)이 상기 개폐도어(303)의 양 측 상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5에서 이러한 돌기부(504)는 상기 승강부재측편(502) 양 측단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제1돌기(504a) 및 제2돌기(504b)를 구비한다. 한편으로, 상기 승강부재측편(502)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승강부재(308)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결합축(505)이 횡방향으로 마련된다. 다시 도3으로 돌아와 보면,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의 하단 중앙에 마련된 결합축(505)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308)의 상단 및 중단에는 각각 축수용홈(308b, 308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합축(505)이 상기 축수용홈(308b, 308c)에서 이탈되는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탈방지홀더(312)를 나사로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토출구 개폐장치(300)에 대한 토출구(302) 개폐 동작에 대하여 보면, 우선 토출구(302) 폐쇄 시에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에 형성되는 돌기부(504)가 상기 가이드레일(304)의 상하이동부(304c)의 안내를 받기 때문에 일정한 수직 상승 운동을 하면서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와 이에 연결된 개폐도어(303)를 수직 상승시킨다. 이 때, 상기 돌기부(504)의 상단에 형성된 제1돌기(504a)가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304a, 304b)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는 더 이상 수직상승 운동을 하지 않게되고 회전운동을 하면서 상기 개폐도어(303)를 전면으로 밀어냄으로 하여 상기 개폐도어(303)의 입장에서는 전진운동을 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마찬가지로 토출구(302)를 개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동작의 역동작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개폐도어(303)의 전/후진 운동 즉, 수평이동 운동에 관하여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6의 ①②③④는 토출구(302)의 개방 시의 동작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순서에 따라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6의 ① 상태는 현재 개폐도어(303)가 토출구(302)를 닫고 있는 상태에 있으며, 이때,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의 제1돌기(504a) 및 제2돌기(504b)는 각각 모두 가이드레일(304)의 제1경사부(304a) 및 제2경사부(304b)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6의 ①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는 승강부재측편(502)의 제1돌기(504a)와 제2돌기(504b)를 잇는 축선을 기준으로 일점 쇄선 모양으로 비스듬히 누워 있으며, 개폐도어와 힌지결합 되는 x점은 B선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 도6의 ②상태는 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308)가 하 방향으로 소정 간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의 제2돌기(404b)가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304a, 304b)를 벗어나 상하이동부(304c)로 들어서 있게 된다. 이 때, 도6의 ①에서 비스듬히 누워 있던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는 소정각도의 회전을 하면서 서게 되는데 이 때에도 개폐도어(303)와 힌지결합 되는 x점은 B선에 위치하고 있다. 즉 개폐도어(303)의 입장에서 보면 수직이동이 없이 수평운동(후진)만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6의 ③상태는 지속적인 토출구(302)의 개방동작에 의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의 제1돌기(404a)가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304a, 304b)를 벗어나기 직전을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는 소정 각도의 회전을 하면서 완전히 바로 서게 되는데, 물론 이 때에도 개폐도어(303)와 힌지결합 되는 x점은 B선에 위치하고 있다. 즉, 개폐도어(303)는 계속해서 수직이동이 없이 수평운동(후진)만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6의 ④를 보면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의 돌기부(504)가 완전히 상기 가이드 레일(304)의 상하이동부(304c)에 위치되어져 더 이상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의 회전 운동이 일어나지 않고 하강 운동만 있게 되어 이와 함께 상기 개폐도어(303)도 수평운동을 하지 않고 수직 하강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보게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토출구(302) 개방 시에는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 개방 동작의 역동작 순의 과정을 반복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가 상기 가이드레일(304)의 제1, 2경사부(304a, 304b)를 이동하며 회전함으로서 도어의 수평이동을 원활하게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은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310 311)의 도어측편(501)과 승강부재측편(502)이 소정정도 절곡되어진 구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개폐도어(303)를 기준으로 보면, 토출구(302)가 개방되기 시작하는 순간에는 수평 후진 운동을 하다가 일정정도의 후진이 이루어지면 수직 하강 운동을 하게 되고, 반대로 토출구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수직 상승운동에 이은 수평 전진 운동에 의해 토출구를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례로서 구성된 토출구 개폐장치(300)를 채용한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측단면도를 도7이 보여주고 있다. 도7은 현재 토출구(302)가 개방되어진 상태로 개폐도어(303)가 하강되어 도어수용부(307)에 수용되어진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7에서 미설명부호 701은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 702는 실내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를 냉방 또는 난방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열교환 장치, 703은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송풍장치, 704는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로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수평날개, 705는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로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수직날개를 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와 동일 범주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 개폐장치를 채용한 공기조화기는 도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한 구성에 의해 개폐도어의 수평 이동을 구현시킬 수 있고, 공기조화기 상측의 외관을 필요적으로 라운드로 구성시킬 필요도 없으며, 또한 개폐도어가 수직으로 곧추 선 상태에서 도어수용부에 수용되어지므로 도어수용부의 폭(C)을 좁게 하여도 충분하므로 전체적으로 에어컨의 폭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으로 이탈방지홀더에 의하여 승강부재와 힌지부재가 서로 이탈되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전면패널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 상기 개폐도어에 승강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으로부터 받은 승강동력을 상기 개폐도어에 전달하는 연결수단 및 이 연결수단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개폐도어의 상측 및 하측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의 이동을 경사지게 안내함으로써 상기 개폐도어의 전후진 이동을 구현하도록 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제2 경사부 및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의 상하이동을 주도하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전면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토출구와 대응하는 개구가 형성된 지지패널의 양측에 레일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는, 상기 양측 레일홈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가로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는, 상기 개폐도어 측과 연결되는 도어측편과 상기 승강수단 측과 연결되는 승강수단측편이 상호 소정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편의 양 측단에는, 상기 개폐도어의 양 측단과 힌지결합 되기 위한 힌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도어의 양 측단에는 상기 힌지돌기가 힌지결합 되도록 힌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측편의 양 측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안내를 받기 위해 상기 레일홈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를 이동할 때 상기 도어의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의 상하로 소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제1돌기 및 제2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패널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 및 중단이 각각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직 방향으로 마련되는 랙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힌지부재에는 상기 승강부재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축이 횡방향으로 각각 마련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 및 중단에는 상기 결합축이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축수용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이 상기 축수용홈에서 이탈 방지되도록 하는 이탈방지홀더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11. 전면패널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 상기 개폐도어에 승강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랙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승강수단, 상기 승강수단으로부터 받은 승강동력을 상기 개폐도어에 전달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하는 연결수단 및 상기 힌지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에는 상기 승강부재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결합축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결합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축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축과 상기 축수용홈이 상호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홀더를 마련한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2002-0055324A 2002-09-12 2002-09-12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446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324A KR100446494B1 (ko) 2002-09-12 2002-09-12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CNB021524130A CN1231728C (zh) 2002-09-12 2002-11-22 空调器排风口的控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324A KR100446494B1 (ko) 2002-09-12 2002-09-12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885A true KR20040023885A (ko) 2004-03-20
KR100446494B1 KR100446494B1 (ko) 2004-09-01

Family

ID=3419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324A KR100446494B1 (ko) 2002-09-12 2002-09-12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46494B1 (ko)
CN (1) CN1231728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732B1 (ko) * 2010-04-19 2011-05-17 김진무 다기능 조립식 집수정용 거푸집
IT202100025694A1 (it) * 2021-10-07 2023-04-07 Cordivari S R L Ventilconvetto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892B1 (ko) * 2005-01-2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101253233B1 (ko) * 2005-10-24 2013-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1220974B (zh) * 2007-01-10 2010-04-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带有排气口滑动门的柜式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045B1 (ko) * 1996-03-21 1999-08-16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215048B1 (ko) * 1996-03-21 1999-08-16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200159709Y1 (ko) * 1997-03-27 1999-11-01 전주범 공기조화기의 실내토출구 개폐장치
KR200148720Y1 (ko) * 1997-03-27 1999-06-15 전주범 공기조화기의 실내토출구 개폐장치
KR100416915B1 (ko) * 2001-03-28 2004-02-05 캐리어 주식회사 에어컨디셔너의 셔터 개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732B1 (ko) * 2010-04-19 2011-05-17 김진무 다기능 조립식 집수정용 거푸집
IT202100025694A1 (it) * 2021-10-07 2023-04-07 Cordivari S R L Ventilconvettore
EP4163555A1 (en) * 2021-10-07 2023-04-12 Cordivari S.r.l. Fan coil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82410A (zh) 2004-03-17
CN1231728C (zh) 2005-12-14
KR100446494B1 (ko) 200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5622B2 (en) Air outlet opening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s
US5782688A (en) Apparatus for closing an air outlet door of an air conditioner
KR100371353B1 (ko)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CN101256010B (zh) 四面出风空调机
KR100419198B1 (ko) 공기조화기
CN110686293A (zh) 吸油烟机
KR100446494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0168254B1 (ko) 자동흡입그릴의 열림각 조절장치
CN214791478U (zh) 空调室内机
KR100474050B1 (ko) 공기조화기
KR100441024B1 (ko) 공기조화기
KR100473819B1 (ko) 공기조화기
KR0136186Y1 (ko) 공기조화기용 토출구의 개폐장치
KR100585320B1 (ko) 공기조화기
KR100554285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0371355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KR20040005338A (ko) 공기조화기
CN219698251U (zh) 一种可调节风向的通风设备
KR100197719B1 (ko) 공기조화기
WO2022252735A1 (zh) 空调室内机
KR100187242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및 흡입구 개폐장치
KR0133037Y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0136187Y1 (ko) 공기조화기용 토출구의 개폐장치
KR20100012304A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01906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및 토출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