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3817A - 석회소성로 순환가스 선회실의 누적 더스트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석회소성로 순환가스 선회실의 누적 더스트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3817A
KR20040023817A KR1020020055233A KR20020055233A KR20040023817A KR 20040023817 A KR20040023817 A KR 20040023817A KR 1020020055233 A KR1020020055233 A KR 1020020055233A KR 20020055233 A KR20020055233 A KR 20020055233A KR 20040023817 A KR20040023817 A KR 20040023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kiln
chamber
dust discharg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5311B1 (ko
Inventor
방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55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311B1/ko
Publication of KR20040023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3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Lime, magnesia or dolomite
    • C04B2/10Preheating, burning calcining or cooling
    • C04B2/12Preheating, burning calcining or cooling in shaft or vertical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8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using fluids or gases, e.g. blowers, suction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Lime, magnesia or dolomite
    • C04B2/02Lime

Abstract

본 발명은 석회석을 가열 열분해하여 생석회를 제조하는 석회소성로에 관한 것으로, 석회소성로의 하부버너가 설치되고 순환가스가 순환되는 부분인 선회실의 하단면과 제품불출피더의 인접상측인 디스차징챔버를 연통되게 연결시키는 더스트배출관과; 상기 더스트배출관의 길이 중앙부에 형성된 서지호퍼를 중심으로 그 상측인 선회실을 향한 길이 일부에 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된 상부전동댐퍼와; 상기 서지호퍼를 기점으로 상기 상부전동댐퍼와 대향되는 위치의 더스트배출관상에는 상기 상부전동댐퍼와 반대작동되게 설치된 하부전동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회실에 더스트의 누적이 없어져 순환가스의 순환작용이 원활하게 유지됨으로써 연소효율의 향상은 물론 로내 부압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로황관리가 유리하고 고품위 소성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석회소성로 순환가스 선회실의 누적 더스트 배출장치{DEVICE FOR EXTRACTING ACCUMULATED DUST OF GAS ROTATING ROOM IN KILN}
본 발명은 석회석을 가열 열분해하여 생석회를 제조하는 석회소성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성조업시 발생되는 더스트에 의해 순환가스가 선회실로 흡입되지 못하여 순환가스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됨으로써 하부버너의 연소공기부족, 연소불량, 조로관리의 불안정 등을 유도하여 제품의 품위를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석회소성로 순환가스 선회실의 누적 더스트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베켄베치 타입의 석회소성로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장입호퍼(1)에서 운전 설정된 생산량에 따라 원석불출피더(2)에 의해 석회석(33)이 베켄베치 킬른에 장입 되는데 30~40 mmH2O 정도의 부압으로 운전되기 때문에 장입호퍼(1)는 2중으로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간헐적으로 장입된다.
베켄베치 킬른에 장입된 석회석(33)은 예열대(52)에서 배가스와의 접촉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져 탄산칼슘의 분해온도까지 예열되어진다. 하강한 석회석(33)은 소성대(53)에서 연료인 C.O.G의 연소 즉, 상부버너(21)와 하부버너(8)에 의해 열을 얻어 탈탄산이 행해지고, 산화칼슘이 되어 냉각대(54)에 들어간다.
냉각대(54)에서는 생석회가 밑에서 넣어진 냉각공기와 열교환하고 고온의 생석회는 100℃까지 냉각되며, 생산된 생석회는 테이블디스챠지(11)에 의해 테이블디스챠지 하단으로 불출되고, 제품불출피더(16)에 의해 제품공정으로 불출된다.
소성중 베켄베치 킬른에서 발생된 레큐배가스와 킬른배가스는 총배가스로 합해진 후 사이클론(13)으로 집진되며, 팬(12)에 의해 배기되고 벤츄리스크루버(18)에서 집진수에 의해 수세식으로 집진된 후에 슬러지는 집진수폰드(17)로 보내짐과 동시에 집진된 총배가스(15)는 굴뚝(26)으로 배기되게 된다.
그런데, 로 본체의 내부에는 강제냉각방식의 중통(2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로의 축방향에 구성된 소성대(53)의 범위는 넓은 반면 원석이 통과되는 폭은 좁은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로 외부에는 레큐피레이터(4)를 설치하여 연소공기블로어(5)에 의해 공급되는 각 버너의 인젝터(7) 작동공기를 예열하고 중통냉각공기 블로워(24)에 의해 중통(25)을 강제냉각시킨 중통냉각공기(27)는 2차공기 링튜브(23)에 모아지며 각 버너의 2차공기로서 사용되고 남는 것은 2차공기 방산조절변(28)에 의해 방산2차공기(29)로서 대기로 방산된다.
베켄베치 킬른 정지시에도 중통냉각공기 블로워(24)는 중통(25)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속 가동되는데, 이때는 중통(25)을 강제냉각시킨 후 2차공기 링튜브(23)에 모아지고 난 후 전량 2차공기 방산조절변(28)에 의해 대기로 방산된다.
중통냉각공기 블로워(24)는 베켄베치킬른 정지시 뿐만 아니라 정전 등의 경우에도 계속 가동되어야 하므로 전원 인입의 2중화와 더불어 비상발전기를 갖추어 상시 가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석회소성로 내부를 순환하는 순환가스(34)는 냉각대(54)에서 생석회를 냉각하고 상승하는 냉각공기와 하부버너연소실(9)에서의 연소가스 일부가 드라이빙공기(37)의 흡입에 의해 발생되므로 분생석회를 다량 포함하게 된다.
그런데, 소성조업이 진행될 수록 순환가스(34)에 함유된 분생석회가 선회실(22)에 쌓이면서 더스트화되고, 누적더스트의 양이 많아지면서 순환가스(34)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어 순환가스(34)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하부버너(8)의 연소공기 부족현상, 이에 따른 연소불량, 조로관리의 불안정에 기인한 생석회의 품질하락, 부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여 유발되는 역화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 등 상당한 문제들을 파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인 바, 순환가스에 함유된 더스트가 선회실에 쌓이지 못하도록 주기적으로 이를 제거처리하여 가스의 순환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품위 향상은 물론 연료의 과다 소비를 막고 생산량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석회소성로 순환가스 선회실의 누적 더스트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베켄베치 킬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소성로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2....선회실 80....더스트배출관
82....서지호퍼 84....상부전동댐퍼
86....하부전동댐퍼 90....제품불출피더
92....디스차징챔버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석회소성로의 하부버너가 설치되고 순환가스가 순환되는 부분인 선회실의 하단면과 제품불출피더의 인접상측인 디스차징챔버를 연통되게 연결시키는 더스트배출관과; 상기 더스트배출관의 길이 중앙부에 형성된 서지호퍼를 중심으로 그 상측인 선회실을 향한 길이 일부에 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된 상부전동댐퍼와; 상기 서지호퍼를 기점으로 상기 상부전동댐퍼와 대향되는 위치의 더스트배출관상에는 상기 상부전동댐퍼와 반대작동되게 설치된 하부전동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소성로 순환가스 선회실의 누적 더스트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따르면, 선회실(22)의 하단면에는 더스트배출관(80)의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더스트배출관(80)의 하단은 제품불출피더(90)의 인접 상측공간인 디스차징챔버(92)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더스트배출관(80)의 하단을 별도의 더스트포집용기와 같은 것과 연결시켜 곧바로 포집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더스트배출관(80)의 길이 일부에는 서지호퍼(29)가 설치되고, 상기 서지호퍼(29)를 기준으로 하여 그 상측인 상기 선회실(22) 측을 향한 더스트배출관(80)의 일부에는 상부전동댐퍼(84)가 설치되고, 상기 서지호퍼(29)를 기준으로 그 하측인 상기 제품불출피더(90)측 길이 일부에는 하부전동댐퍼(86)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전동댐퍼(84,86)들은 전원의 통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면서 상기 더스트배출관(80)의 일부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통상 전자석을 응용한 댐퍼구조를 취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소성로의 내부 부압 유지를 위해 상기 상하부전동댐퍼(84,86)는 동시에 개방될 수 없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즉,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반드시 폐쇄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중에서 서술했던 석회소성로의 가스 흐름관계에 의해 순환하던 더스트를 함유한 순환가스가 선회실(22)로 유입되면서 선회실(22)의 바닥면에 더스트가 떨어지게 된다.
떨어진 더스트는 자중이나 혹은 순환가스 및 작동공기 등의 압력변화에 의해 선회실(22)의 하단면에 연결설치된 더스트배출관(80)을 통해 낙하되게 된다.
낙하된 더스트는 상부전동댐퍼(84)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부위에 누적되게 되고 이 지점은 선회실(22)보다 훨씬 하방향에 위치되게 된다.
주기적인 신호나 혹은 운전자의 작업신호에 의해 상부전동댐퍼(84)가 개방되게 되면 누적되어 있던 더스트는 서지호퍼(82)측으로 완전 배출되게 된다.
그 전에, 소성로의 부압 유지를 위해 하부전동댐퍼(86)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서지호퍼(82)를 통해 원활한 흐름성을 갖게 된 더스트는 다시 하강하여 하부전동댐퍼(86)의 상측에 머무르게 되고, 이때 상부전동댐퍼(84)가 폐쇄되게 된다.
상부전동댐퍼(84)의 폐쇄에 따른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그와 동시에 하부전동댐퍼(86)가 개방되면서 그 상측에 머무르고 있던 더스트들을 하측으로 완전 배출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소성로의 부압에는 변동을 주지않으면서 선회실(22)에 누적되던 더스트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회실에 더스트의 누적이 없어져 순환가스의 순환작용이 원활하게 유지됨으로써 연소효율의 향상은 물론 로내 부압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로황관리가 유리하고 고품위 소성제품을 생산할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석회소성로의 하부버너(8)가 설치되고 순환가스(34)가 순환되는 부분인 선회실(22)의 하단면과 제품불출피더(90)의 인접상측인 디스차징챔버(92)를 연통되게 연결시키는 더스트배출관(80)과;
    상기 더스트배출관(80)의 길이 중앙부에 형성된 서지호퍼(82)를 중심으로 그 상측인 선회실(22)을 향한 길이 일부에 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된 상부전동댐퍼(84)와;
    상기 서지호퍼(82)를 기점으로 상기 상부전동댐퍼(84)와 대향되는 위치의 더스트배출관(80)상에는 상기 상부전동댐퍼(84)와 반대작동되게 설치된 하부전동댐퍼(8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회소성로 순환가스 선회실의 누적 더스트 배출장치.
KR1020020055233A 2002-09-12 2002-09-12 석회소성로 순환가스 선회실의 누적 더스트 배출장치 KR100865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233A KR100865311B1 (ko) 2002-09-12 2002-09-12 석회소성로 순환가스 선회실의 누적 더스트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233A KR100865311B1 (ko) 2002-09-12 2002-09-12 석회소성로 순환가스 선회실의 누적 더스트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817A true KR20040023817A (ko) 2004-03-20
KR100865311B1 KR100865311B1 (ko) 2008-10-27

Family

ID=37327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233A KR100865311B1 (ko) 2002-09-12 2002-09-12 석회소성로 순환가스 선회실의 누적 더스트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32533A (zh) * 2023-05-30 2023-06-27 山西富渊通科技有限公司 对烧式套筒石灰窑及其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631U (ko) * 1997-11-29 1999-06-25 이구택 회전식 석회소성로의 더스트분리장치
KR100833065B1 (ko) * 2002-05-28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샤프트 석회소성로의 더스트 피복층 형성방지장치
KR100860316B1 (ko) * 2002-07-25 2008-09-26 주식회사 포스코 베켄베치 킬른 가스 순환로의 부착물 형성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32533A (zh) * 2023-05-30 2023-06-27 山西富渊通科技有限公司 对烧式套筒石灰窑及其操作方法
CN116332533B (zh) * 2023-05-30 2023-08-01 山西富渊通科技有限公司 对烧式套筒石灰窑及其操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311B1 (ko) 2008-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92578B (zh) 一种全回收co2的石灰窑装置
CN103641345B (zh) 一种分料式白水泥熟料冷却工艺
CN102607267A (zh) 蓄热式高温空气燃烧节能环保型梭式窑炉
CN103058536A (zh) 蓄热式间壁加热回转窑装置
CN101921073B (zh) 一种生产石灰的方法和机械
CN108895458A (zh) 一种生活垃圾热解气化炉的出渣装置
CN104833203A (zh) 一种蓄热式水泥煅烧装置
CN205119793U (zh) 金属熔炼炉
CN104119007B (zh) 一种带有发电装置的套筒式竖窑
CN105948048B (zh) 节能环保型二硫化碳气化反应炉
CN105271841A (zh) 一种恒温间接煅烧石灰石的回转窑装置和方法
CN108954324A (zh) 一种垃圾热解气化炉的翻转炉排装置
KR100865311B1 (ko) 석회소성로 순환가스 선회실의 누적 더스트 배출장치
CN200968776Y (zh) 一种多功能工业炉
CN103482889B (zh) 蓄热式物料煅烧装置
CN103335514A (zh) 一种带有能量回收设备的回转窑装置
CN104119003B (zh) 蓄热式间壁加热的工业炉窑
CN216404224U (zh) 双膛窑通道通风装置
CN1710364A (zh) 一种蓄热式金属镁还原炉
CN204625480U (zh) 一种恒温间接煅烧石灰石的回转窑装置
CN201463514U (zh) 用于氧化铝生产的烧结设备
CN204058259U (zh) 一种以煤粉为燃料的煅烧装置
KR100860316B1 (ko) 베켄베치 킬른 가스 순환로의 부착물 형성 방지장치
CN104119008B (zh) 利用烟气煅烧生产石灰的装置
CN208804680U (zh) 一种垃圾热解气化炉外接气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