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8Y1 -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의 냉각유로 구조 - Google Patents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의 냉각유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8Y1
KR200400208Y1 KR20-2005-0016594U KR20050016594U KR200400208Y1 KR 200400208 Y1 KR200400208 Y1 KR 200400208Y1 KR 20050016594 U KR20050016594 U KR 20050016594U KR 200400208 Y1 KR200400208 Y1 KR 200400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cooling
turbine blade
inlet
cool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희
이동호
홍성국
정지원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로스트왁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로스트왁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5-0016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08Cooling; Heating; Heat-insulation
    • F01D25/1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02Blade-carrying members, e.g.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02Blade-carrying members, e.g. rotors
    • F01D5/08Heating, heat-insulating or coo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80Platforms for stationary or moving blades
    • F05D2240/81Cooled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 하단면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두 개 이상의 유입구; 플랫폼의 일측 단면에 구비되어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하나 이상의 유출구; 및 상기 플랫폼 내부에 위치하며 그 일측이 상기 유입구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유입구에 연결설치된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이 상기 유출구에 연결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냉각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의 냉각유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의 냉각유로 구조{Cooling Passage Structure of Turbine Blade Platform}
본 고안은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터빈엔진의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을 냉각하기 위하여 플랫폼 내벽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유입구를 포함하는 냉각유로를 연결설치하여 플랫폼에 대한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고 온도분포의 균일성을 높이기 위한 가스터빈엔진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스터빈엔진은 통상적으로 고온에서 높은 효율을 갖는다. 따라서, 가스터빈엔진에 이용되는 터빈 블레이드는 일반적으로 허용 온도를 초과하는 고온의 연소가스에 노출되게 됨에 따라 터빈 블레이드 외주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다양한 냉각방법 및 이를 위한 다양한 터빈 블레이드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터빈 블레이드를 나타낸 것으로서, 터빈 블레이드의 상단에 위치하며 고온고압의 연소가스와 충돌하는 에어포일(4), 터빈 블레이드의 하단에 위치하는 도브테일(6) 및 에어포일과 도브테일을 연결하는 플랫폼(2)으로 구성된다. 상기 터빈 블레이드는 고온의 연소가스에 직접 접촉되어 큰 열부하를 받기 때문에 터빈 블레이드를 보호하기 위해 냉각유체가 사용된다.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의 냉각유로는 냉각유체가 플랫폼 하단면(14)으로부터 수직으로 유입되는 하나의 유입구(8)와 플랫폼 일측 옆면에 구비되어 유입된 냉각유체가 배출되는 유출구(10),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연결하여 플랫폼 내부에서 냉각유체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는 냉각유로(12)로 구성된다.
상기 기술한 플랫폼의 냉각유로는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블레이드의 압력면 영역(a)과 흡입면 영역(b)에 각각 설치된다. 일반적인 가스터빈엔진에 있어서, 압축기에서 연소실로 유입되는 저온공기의 일부는 우회로를 통해 터빈블레이드에 유입된다. 이 때, 블레이드의 냉각을 위해 유입되는 냉각유체 중 소량은 터빈플랫폼의 냉각유로를 통과하며 플랫폼을 대류 냉각시킨다.
대류 냉각방법은 저온의 냉각유체를 고온의 연소가스와 접촉하게 되는 터빈 플랫폼의 냉각유로를 따라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냉각유체가 터빈 블레이드 내부면의 온도를 감소시켜 터빈 블레이드의 요소를 보호하는 냉각 방법이다.
이러한 대류 냉각 방법은 냉각유체가 터빈플랫폼 내부에 설치된 냉각유로를 지나면서 터빈블레이드가 받게 되는 열을 제거한 뒤, 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랫폼을 냉각함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인 단일 유입구와 연결된 냉각유로를 이용한 구조는 냉각성능에 한계가 있다. 유입구 영역은 저온의 냉각유체의 유입으로 높은 냉각성능이 기대되지만 이후 냉각유체가 플랫폼 내부의 냉각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냉각유체의 냉각성능이 감소되어 플랫폼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효과가 감소되어 플랫폼에 불균일한 온도분포가 형성된다. 즉, 냉각유체가 특정 영역에만 집중되어 이를 제외한 다른 영역은 냉각유체의 영향을 받지 못하여 전체적인 플랫폼 시스템의 냉각성능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특정 영역에만 냉각성능이 높은 냉각유체가 집중되어서 유입구 영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분포가 형성되지만 이동경로를 따라 가면서 상대적으로 냉각성능이 저하되고, 플랫폼 유출구로 가면서 온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특히, 냉각유체의 유입구가 설치된 플랫폼 영역과 냉각유체의 유출구가 설치된 플랫폼 영역간의 온도분포 차이가 증가하여 플랫폼 전체에 불균일한 온도 구배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온도 구배는 결국 고온의 열부하 환경에 놓여있는 플랫폼의 손상을 초래하여 전체적인 터빈 블레이드의 손상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플랫폼 전 영역에서 냉각성능이 감소하고, 불균일한 냉각으로 인하여 열응력이 발생하는 등 플랫폼의 내구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플랫폼 내부의 전 영역에 냉각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냉각유로를 구비함으로써, 고온의 연소 가스와 직접 접촉하는 플랫폼을 보호하고, 추가적인 냉각유체의 공급없이 균일한 열전달 분포를 갖고, 전체적인 냉각성능이 향상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은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 하단면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두 개 이상의 유입구; 플랫폼의 일측 단면에 구비되어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하나 이상의 유출구; 및 상기 플랫폼 내부에 위치하며 그 일측이 상기 유입구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유입구에 연결설치된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이 상기 유출구에 연결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냉각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플랫폼의 냉각유로 구조는 저온의 유체가 플랫폼 내부의 전 영역에 유동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냉각유로 구조라도 상기 냉각유로 구조에 해당 될 것이지만, 바람직하게는 플랫폼의 냉각유로 구조를 의미하며, 보다 특정적으로는 플랫폼 내벽의 냉각을 위해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두 개 이상의 유입구와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하나 이상의 유출구,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냉각유로 구조가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유입구는 플랫폼 하단면에 일측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어 고열로 가열된 플랫폼의 내부를 냉각유체로 대류냉각 시키기 위해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장소로 제공되며, 그 직경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냉각유체 유입구의 직경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형이 좋다.
본 고안에 따른 유출구는 플랫폼의 일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플랫폼 내부의 온도와 열교환하여 가열된 냉각유체를 플랫폼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장소로 제공되며, 그 직경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냉각유체 유입구의 직경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형이 좋다.
이때 상기 유출구는 플랫폼 상단영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플랫폼 상단면 일측에 냉각유체가 유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추천하기로는 플랫폼 내부의 냉각유로가 플랫폼의 상단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의 설명은 오로지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 설명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의 다른 플랫폼 평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또 다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에 따른 플랫폼의 상단부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본 고안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에 따른 플랫폼의 측면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도, 도 10은 종래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과 본 고안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에 따른 플랫폼 상단부의 평균 온도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종래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과 본 고안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에 따른 플랫폼의 상단부에서의 온도분포 변화를 나타내는 도, 도 12는 종래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에 따른 플랫폼의 상단부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종래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에 따른 플랫폼 측면의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2)의 냉각유로(12) 구조는 플랫폼 하단면(14)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두 개 이상의 유입구(8), 플랫폼(2)의 일측 단면에 구비되어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하나 이상의 유출구(10) 및 상기 플랫폼(2) 내부에 위치하며 그 일측이 상기 유입구(8)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유입구(8)에 연결설치된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이 상기 유출구(10)에 연결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냉각유로(12)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플랫폼(2)의 냉각유로(12) 구조는 저온의 냉각유체가 플랫폼(2) 내부의 전 영역에 유동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냉각유로(12) 구조라도 상기 냉각유로(12) 구조에 해당 될 것이지만, 바람직하게는 가스터빈엔진의 냉각유로(12) 구조를 의미하며, 보다 특정적으로는 플랫폼(2) 내벽의 냉각을 위해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두 개 이상의 유입구(8)와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하나 이상의 유출구(10), 상기 유입구(8) 및 상기 유출구(10)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냉각유로(12) 구조가 좋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8)는 플랫폼 하단면(14) 일측에 적어도 두 개 이상 설치되어 고열로 가열된 플랫폼(2)의 내부를 냉각유체로 대류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유체가 플랫폼(14) 내부로 유입되는 장소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원형인 것이 좋다.
또한, 유출구(10)는 플랫폼(2)의 일측 외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플랫폼(2) 내부의 온도와 열교환하여 가열된 냉각유체를 플랫폼(2)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장소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유입구(8)와 동일한 구조가 좋다.
특정 양태로서, 본 고안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2) 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하단면(14)의 경사면에 유입구(22)가 구비되고, 상기 플랫폼 하단면(14)의 경사면을 제외한 플랫폼 하단면(14)에 유입구(8)가 구비되며, 냉각유로(12)가 플랫폼의 하단면(14)의 경사면에 구비된 유입구(22)와 연결되어 플랫폼 전연면(18)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다가 플랫폼 전연면(18)을 따라 형성되고, 플랫폼의 하단면(14)의 경사면을 제외한 플랫폼의 하단면(14)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유입구(8)와 연결되어 설치되며, 냉각에 사용된 냉각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플랫폼 후연면(16)에 유출구(10)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8, 22) 및 상기 유출구(10)가 전부 연결된 냉각유로(12)가 플랫폼(2) 내부에 연결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플랫폼 후연면(16)이란 냉각유로와 연결되는 유출구가 구비되어 플랫폼(2)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접촉되는 일 측면을 나타내고 플랫폼 전연면(18)이란 플랫폼 후연면(16)에 대향되는 맞은편 플랫폼(2)의 일 측면을 나타낸다
상기 플랫폼(2) 냉각유로(12) 구조보다 플랫폼(2) 상단영역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플랫폼(2) 냉각유로(12) 구조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하단면(14)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두 개 이상의 유입구(8,22), 플랫폼 상단면(20) 일측에 구비되어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하나 이상의 유출구(10) 및 상기 플랫폼(2) 내부에 위치하며 그 일측이 상기 유입구(8,22)에 연결설치되고 유입구(8)에 연결설치된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이 유출구(10)에 연결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냉각유로(12)로 구성된다.
플랫폼(2) 상단면에 유출구(10)가 구비된 냉각유로(12) 구조는 두 개 이상의 유입구(8)와 연결되는 냉각유로(12)를 통하여 냉각유체가 균일하게 분배되어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고 플랫폼(2)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하며, 플랫폼 상단면은 막냉각 방법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막냉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출구(10)의 중심선과 플랫폼의 상단면(14)이 이루는 각을 플랫폼의 후연면(16)에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예각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플랫폼(2) 내부에 냉각유로(12)와 연결설치된 다수의 유입구(8)를 설치하는 것은 플랫폼(2) 전체에 냉각유체를 균일하게 분배하게 되어 대류 냉각의 영향이 낮은 영역을 감소 및/또는 제거함으로써 높고 균일한 냉각성능을 얻게 되며, 플랫폼(2) 내부의 전 영역에서 전열면적이 증가되어 냉각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유입구(8)들의 입구면적을 포함한 총 유입구(8) 면적은 단일 유입구(8) 면적과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서 플랫폼(2) 냉각에 사용되는 냉각유체양를 추가로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냉각유체를 추가로 공급하지 않고 냉각유체의 적절한 분배를 통해 냉각성능의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의 내부 온도분포를 관찰하기 위하여 냉각유로가 연결설치되게 플랫폼을 모델링하여 수치계산을 수행하였다. 모사한 플랫폼의 길이, 높이, 폭은 각각 120mm× 42mm× 22mm에 해당된다. 플랫폼의 내부유로를 모사하기 위하여 플랫폼 하단 일측에 냉각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직경 4mm의 첫 번째 유입구와 직경 2.8mm의 두 번째 유입구를 각각 적용하였다. 여기서, 상기 첫 번째의 유입구와 두 번째의 유입구는 25mm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플랫폼 하단에 위치하였다.
그 다음 700K의 냉각유체가 플랫폼 하단면 일측의 두 개의 유입구로 유입되며 플랫폼 상단면에는 1400K의 고온 연소가스 조건을 적용하여 상용해석코드[Fluent, Fluent Inc, 미국]를 사용하여 플랫폼 내부의 온도분포를 얻었다.
그 결과를 도 8및 도 9에 나타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상단면에 구비된 첫 번째 유입구의 냉각 영역은 다소 작게 형성되었지만, 두 개 이상인 냉각유로의 설치로 인해 또 하나의 높은 냉각 영역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플랫폼 상단면의 온도가 균일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때 도 8 및 도 9의 색은 진할수록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고, 도 8 및 도 9의 작용 조건은 동일하므로 온도분포가 낮을수록 및 도면의 등선도의 색이 진할수록 냉각성능이 뛰어난 것을 의미한다.
<비교실시예>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의 형상조건에서 수치해석을 실시하되, 실시예 1의 두 개의 유입구 대신 동일한 면적에 해당되는 직경 4.8mm 한 개의 유입구만 포함하는 냉각유로를 적용하여 냉각유체가 한 개의 유입구로만 유입되도록 하였다. 냉각유체와 고온 연소가스의 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하여 계산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 , 도 11, 도 12 및 도 13으로 나타냈다.
도 10은 플랫폼 상단면의 평균 온도를 나타낸 것으로 단일 유입구에 비해 두 개 이상의 유입구를 갖는 냉각유로를 이용한 경우 온도가 약 20℃ 정도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냉각유로들의 설치가 균일한 온도분포를 발생시키고 동시에 냉각성능의 향상도 발생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도 11은 종래의 냉각유로와 상기의 냉각유로의 플랫폼 길이에 따른 상단부에서의 온도 변화를 관찰한 것으로서, 가로축 변위는 플랫폼의 길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최초 값과 최종 값은 각각 플랫폼의 전연면과 후연면을 의미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유입구를 구비한 냉각유로가 종래의 냉각유로보다 온도분포의 균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도 12는 단일 유입구가 적용된 냉각유로를 사용한 기존의 플랫폼 상단면에서의 온도를 나타내는 도로서, 흰색 점선은 플랫폼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각유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냉각유로의 중심(B-B)을 통과하는 단면의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때, 짙은 색일수록 낮은 온도분포를 나타내며 이는 냉각유체에 의해 플랫폼이 냉각이 잘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가스터빈 엔진의 터빈 플랫폼에 두 개 이상의 유입구 및 하나 이상의 유출구와 연결된 냉각유로를 연결설치함으로써, 고온의 연소 가스와 직접 접하는 플랫폼을 보호하고, 추가적인 냉각유체를 공급하지 않아도 플랫폼에 균일한 열전달 분포를 얻게 되고, 플랫폼의 전체적인 냉각성능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스터빈엔진의 가스터빈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의 측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 평면을 나타내는 또 다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의 다른 플랫폼 평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는 또 다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에 따른 플랫폼의 상단부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도,
도 9는 본 고안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에 따른 플랫폼의 측면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도,
도 10은 종래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과 본 고안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에 따른 플랫폼 상단부의 평균 온도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종래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과 본 고안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에 따른 플랫폼의 상단부에서의 온도분포 변화를 나타내는 도,
도 12는 종래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에 따른 플랫폼의 상단부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종래의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에 따른 플랫폼 측면의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플랫폼 4 : 에어포일
6 : 도브테일 8,22 : 유입구
10 : 유출구 12 : 냉각유로
14 : 플랫폼 하단면 16 : 플랫폼 후연면
18 : 플랫폼 전연면 20 : 플랫폼 상단면

Claims (3)

  1. 가스터빈엔진의 터빈 블레이드에 대한 냉각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 구조에 있어서,
    플랫폼 하단면(14)의 일측에 구비되어 냉각유체가 유입되는 두 개 이상의 유입구(8); 플랫폼(2) 일측 단면에 구비되어 냉각유체가 유출되는 하나 이상의 유출구(10); 및 상기 플랫폼(2) 내부에 위치하며 그 일측이 상기 유입구(8)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유입구(8)에 연결설치된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이 상기 유출구(10)에 연결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냉각유로(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출구(10)가 플랫폼의 상단면(20) 일측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2)의 냉각유로(12)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플랫폼 하단면(14)의 경사면에 유입구(22)가 구비되고, 상기 플랫폼 하단면(14)의 경사면을 제외한 플랫폼 하단면(14)에 유입구(8)가 구비되며, 냉각유로(12)가 플랫폼의 하단면(14)의 경사면에 구비된 유입구(22)와 연결되어 플랫폼 전연면(18)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다가 플랫폼 전연면(18)을 따라 형성되고, 플랫폼의 하단면(14)의 경사면을 제외한 플랫폼의 하단면(14)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유입구(8)와 유출구(10)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블레이드의 플랫폼 구조.
KR20-2005-0016594U 2005-06-10 2005-06-10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의 냉각유로 구조 KR200400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594U KR200400208Y1 (ko) 2005-06-10 2005-06-10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의 냉각유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594U KR200400208Y1 (ko) 2005-06-10 2005-06-10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의 냉각유로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593A Division KR100733383B1 (ko) 2005-06-10 2005-06-10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의 냉각유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8Y1 true KR200400208Y1 (ko) 2005-11-03

Family

ID=43701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594U KR200400208Y1 (ko) 2005-06-10 2005-06-10 터빈 블레이드 플랫폼의 냉각유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86191B2 (ja) 冷却流体を二重に供給するプラットフォームキャビティを有するタービン・ベーン
RU2294438C2 (ru) Лопатка турбины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с окнами выпуска охлаждающего воздуха, формовоч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лопатки, турбина и сопловой аппарат турбомашины
US7887294B1 (en) Turbine airfoil with continuous curved diffusion film holes
US6887033B1 (en) Cooling system for nozzle segment platform edges
JP4553285B2 (ja) 高圧及び低圧タービン複合式シュラウドのエンドレール冷却法
US7163376B2 (en) Controlled leakage pin and vibration damper for active cooling and purge of bucket slash faces
US7303376B2 (en) Turbine airfoil with outer wall cooling system and inner mid-chord hot gas receiving cavity
US6089822A (en) Gas turbine stationary blade
JP5947519B2 (ja) タービンロータブレードのプラットフォーム領域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100284800A1 (en) Turbine nozzle with sidewall cooling plenum
US10174622B2 (en) Wrapped serpentine passages for turbine blade cooling
CA2830925C (en) Hot gas segment arrangement
JP2016503850A (ja) サーペンタイン冷却回路及びアキシアル方向先端部冷却回路が組み込まれたタービンブレード
KR19990063132A (ko) 터빈 블레이드
JP2012102726A (ja) タービンロータブレードのプラットフォーム領域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7514888A (ja) 冷却タービンベーンプラットフォーム
JP2012077744A (ja) タービンロータブレードのプラットフォーム領域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070006875A (ko) 가스 터빈용 블레이드
KR102005546B1 (ko) 가스 터빈용 터빈 블레이드 내부 냉각채널 유로
KR20150110367A (ko) 냉각된 필릿을 갖는 터빈 베인
JP2014047786A (ja) タービンローターブレードのプラットホーム領域のための冷却構成
US20170037733A1 (en) Turbomachine turbine blade comprising a cooling circuit with improved homogeneity
JP5965633B2 (ja) タービンロータブレードのプラットフォーム領域を冷却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06125402A (ja) ガスタービンロータブレード
US8002521B2 (en) Flow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