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653A - 의류건조기의 롤러 샤프트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의 롤러 샤프트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653A
KR20040020653A KR1020020052310A KR20020052310A KR20040020653A KR 20040020653 A KR20040020653 A KR 20040020653A KR 1020020052310 A KR1020020052310 A KR 1020020052310A KR 20020052310 A KR20020052310 A KR 20020052310A KR 20040020653 A KR20040020653 A KR 20040020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aft
roller
rear supporter
insertion hole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2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0653A/ko
Publication of KR2004002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65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리어 서포터에 장착되는 롤러 샤프트의 조립 구조를 개선하여 너트 체결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캐비닛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1)와, 전면을 이루는 프론트 캐비닛(2)과,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캐비닛(3)과, 뒷면을 이루는 백커버(4)와, 상기 백커버(4) 내측에 조립되는 리어 서포터(7)와, 상기 리어 서포터(7) 일측에 장착되어 건조드럼을 지지하는 롤러(10)를 포함하여서 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롤러(10) 장착을 위해 리어 서포터(7) 일측에 형성되는 롤러 샤프트 삽입홀(700)에 면취부(700a)를 두고, 상기 롤러(10)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롤러 샤프트 삽입홀(700)로 삽입되는 롤러 샤프트(104)의 나사산부(104a)에도 면취부(104b)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류건조기의 롤러 샤프트 조립구조{fastening structure of roller shaft in clothes dryer}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건조기의 리어 서포터에 장착되는 롤러 샤프트의 조립 구조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건조대상물(예컨대 의류)을 자동으로 건조시켜 주는 기기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의류건조기의 구조예 및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기존 의류건조기의 외관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의류건조기의 열풍유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종래 기술의 요부를 나타낸 도 2의 A부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로서, 롤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리어 서포터 요부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기존 의류건조기의 일반적인 구성 및 작용을 차례대로 설명한다.
먼저, 그 구성을 살펴보면, 의류건조기는 캐비닛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1)와, 전면을 이루는 프론트 캐비닛(2)과,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캐비닛(3)과, 뒷면을 이루는 백커버(4)와, 상기 프론트 캐비닛(2)과 사이드 캐비닛(3) 상부에 설치되는 톱커버(5)와, 상기 톱커버(5)에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캐비닛(2) 상에는 의류등 건조대상물의 투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 내에서 건조드럼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캐비닛(2)상에는 상기 투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도어(D)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백커버(4) 내측에는 건조드럼 후방을 지지함과 더불어 에어덕트 어셈블리(6)의 인렛 그릴(600)을 통해 유동한 열풍이 건조드럼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통공(70)이 형성된 리어 서포터(7)(rear support)가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서포터(7)(rear support)에는 롤러(10)가 설치되는데, 상기 롤러(10)는 골격을 이루는 롤러 프레임(101)과, 상기 롤러 프레임(101) 중심부에 설치되는 오일리스 베어링(102)과, 상기 롤러 프레임(101) 외측에 인서트 사출되는 외륜부(103)와, 오일리스 베어링(102)을 관통하도록 조립되는 롤러 샤프트(104)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롤러(10)는 오일리스 베어링(102)을 관통하도록 조립되는 롤러 샤프트(104)가 리어 서포터(7)의 롤러 샤프트 삽입홀(700)을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N)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서포터(7)상에 고정된다.
또한, 건조드럼에는 열풍공급유로 및 열풍배출유로가 연결되며, 상기 열풍공급유로 상에는 건조기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는히터(500)가 설치되고, 열풍배출유로 상에는 히터(50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드럼 내부로 강제 유입시킴과 더불어 건조 완료후의 공기를 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송풍력을 발생하는 송풍기(11)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열풍공급유로는 히터박스(50) 및 이에 연결된 에어덕트 어셈블리(6)등 히터(50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건조드럼 내부로 들어가기 전까지 가열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모든 유로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며, 열풍배출유로 또한 린트필터(8)와 린트덕트 어셈블리(9) 및 이에 연결되는 송풍기(11)와 배출덕트(13)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며, 이 개념은 본 발명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상기 송풍기(11)는 하우징(11a)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건조드럼 구동용 모터(도시는 생략함)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송풍팬(1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음으로, 기존 의류건조기의 열풍유동 경로 및 건조과정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백커버(4) 일측 영역에 형성된 미늘살 모양의 흡입루버(420a)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히터박스(50) 내부에 설치된 히터(500)를 지나면서 가열된 후, 에어덕트 어셈블리(6)의 유로를 통과하여 리어 서포터(7)(rear support)의 통공(70)에 위치하는 상기 에어덕트 어셈블리(6)의 인렛 그릴(600)을 통해 건조드럼 내부로 유입되어 건조작용을 행하게 된다.
그 후, 상기 건조드럼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송풍팬(11b)의 흡입력에 의해 린트필터(8) 및 린트덕트 어셈블리(9)를 지나 송풍기(11) 측으로 흡입된 후, 이에연결된 배출덕트(13)를 통해 유동하여 백커버(4)에 형성된 배출구(420e)를 통해 캐비닛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열풍배출유로 상에 설치되는 송풍기(11)의 출구측에는 건조드럼으로부터 송풍기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여 검출값에 따라 히터(5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써미스터(17)(thermistor) 및 항온 유지를 위한 써모스탯(19)(thermostat)이 설치된다.
참고적으로, 써미스터란 열에 민감한 저항체라는 의미로 온도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극단적으로 크게 변하는 감온(感溫) 반도체로서, 사용온도범위가 -50~500℃로 일상적인 온도조절을 필요로 하는 모든 범위에 응용된다. 또한 소형으로 값이 저렴하고 고감도이므로 가전기기나 산업기기의 온도센서 및 온도보상용으로 대량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에는 롤러 조립구조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롤러 샤프트(104)의 나사산부(104a)가 원형축 형태를 이루고 있고, 리어 서포터(7)의 롤러 샤프트 삽입홀(700) 또한 원형이어서, 상기 롤러 샤프트 삽입홀(700)로 롤러 샤프트(104)가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N)를 상기 나사산부(104a)에 체결시 상기 너트(N)와 롤러 샤프트(104)가 함께 회전하게 됨으로 인해 너트 체결이 용이하지 않앗다.
따라서, 완전 체결을 위해서는 나사산부(104a) 반대쪽에서 롤러 샤프트(104)를 지그 등으로 잡아 고정시켜 헛돌게 하지 않은 상태에서 너트(N)를 체결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의류건조기의 리어 서포터에 장착되는 롤러 샤프트의 조립 구조를 개선하여 너트 체결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기존 의류건조기의 외관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의류건조기의 열풍유동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요부를 나타낸 도 2의 A부 확대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로서, 롤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리어 서포터 요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C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로서, 롤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리어 서포터 요부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베이스2:프론트 캐비닛
3:사이드 캐비닛4:백커버
5:톱커버7:리어 서포터
700:롤러 샤프트 삽입홀700a:면취부
10:롤러101:프레임
102:오일리스 베어링103:외륜부
104:롤러 샤프트104a:나사산부
104b:면취부N:너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캐비닛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와, 전면을 이루는 프론트 캐비닛과,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캐비닛과, 뒷면을 이루는 백커버와, 상기 백커버 내측에 조립되는 리어 서포터와, 상기 리어 서포터 일측에 장착되어 건조드럼을 지지하는 롤러를 포함하여서 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롤러 장착을 위해 리어 서포터 일측에 형성되는 롤러 샤프트 삽입홀에 면취부를 두고, 상기 롤러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롤러 샤프트 삽입홀로 삽입되는 롤러 샤프트의 나사산부에도 면취부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종래 기술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로서, 롤러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리어 서포터 요부 정면도로서, 본 발명은 캐비닛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1)와, 전면을 이루는 프론트 캐비닛(2)과,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캐비닛(3)과, 뒷면을 이루는 백커버(4)와, 상기 백커버(4) 내측에 조립되는 리어 서포터(7)와, 상기 리어 서포터(7) 일측에 장착되어 건조드럼을 지지하는 롤러(10)를 포함하여서 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롤러(10) 장착을 위해 리어 서포터(7) 일측에 형성되는 롤러 샤프트 삽입홀(700)에 면취부(700a)를 두고, 상기 롤러(10)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롤러 샤프트 삽입홀(700)로 삽입되는 롤러 샤프트(104)의 나사산부(104a)에도 면취부(104b)를 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롤러 샤프트(104)의 나사산부(104a)와 리어 서포터(7)의 롤러 샤프트 삽입홀(700)의 면취부(104b)(700a)는 D-컷(cut) 형태를 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과정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롤러(10)는 골격을 이루는 롤러 프레임(101)과, 상기 롤러 프레임(101) 중심부에 설치되는 오일리스 베어링(102)과, 상기 롤러 프레임(101) 외측에 인서트 사출되는 외륜부(103)와, 상기 롤러(10) 중심의 오일리스 베어링(102)을 관통하도록 조립되는 롤러 샤프트(104)로 이루어지며, 이는 종래와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은 롤러 샤프트(104)의 나사산부(104a)에 D-컷(cut) 면취부(104b)가 형성된 점이 다르며, 이에 맞추어 상기 롤러(10)가 설치되는 리어 서포터(7)의 롤러 샤프트 삽입홀(700)에도 D-컷(cut) 형태의 면취부(700a)(도 6 참조)가 형성된 점이 다르다.
따라서, 조립시에는 롤러(10)를 파지하여 상기 롤러 샤프트(104)의 나사산부(104a)가 리어 서포터(7)의 롤러 샤프트 삽입홀(700)을 관통하도록 삽입함에 있어, 상기 롤러 샤프트(104)의 나사산부(104a) 및 리어 서포터(7)의 롤러 샤프트 삽입홀(700)에 형성된 면취부(104b)(700a)가 일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하여, 롤러 샤프트(104)의 나사산부(104a)가 리어 서포터(7)의 롤러 샤프트 삽입홀(700)을 관통하도록 한 후에는, 리어 서포터(7)의 이면에서 너트(N)를 상기 롤러 샤프트(104)의 나사산부(104a)에 체결한다.
이 때, 본 발명은 종래와는 달리 롤러 샤프트(104)의 나사산부(104a)와 리어 서포터(7)의 롤러 샤프트 삽입홀(700)에 각각 면취부(104b)(700a)가 형합되어 있어, 롤러 샤프트(104)의 회전이 방지됨으로 인해 너트(N) 체결시 롤러 샤프트가 헛도는 현상이 해소되므로 인해 너트 체결 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에는 별도의 지그를 이용하여 롤러 샤프트(104)의 나사산부(104a) 반대쪽을 잡지 않고 단순히 너트(N)만 체결하면 되므로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롤러 샤프트(104)의 나사산부(104a)와 리어 서포터(7)의 롤러 샤프트 삽입홀(700)의 면취부(104b)(700a)는 D-컷(cut) 형태를 취함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의 리어 서포터에 장착되는 롤러 샤프트의 조립 구조를 개선함에 따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리어 서포터에 롤러 장착시 너트 체결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캐비닛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와, 전면을 이루는 프론트 캐비닛과, 측면을 이루는 사이드 캐비닛과, 뒷면을 이루는 백커버와, 상기 백커버 내측에 조립되는 리어 서포터와, 상기 리어 서포터 일측에 장착되어 건조드럼을 지지하는 롤러를 포함하여서 된 의류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롤러 장착을 위해 리어 서포터 일측에 형성되는 롤러 샤프트 삽입홀에 면취부를 두고, 상기 롤러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조립되어 상기 롤러 샤프트 삽입홀로 삽입되는 롤러 샤프트의 나사산부에도 면취부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롤러 샤프트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샤프트의 나사산부와 리어 서포터의 롤러 샤프트 삽입홀에 구비되는 면취부는 D-컷(cut) 형태를 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롤러 샤프트 조립구조.
KR1020020052310A 2002-08-31 2002-08-31 의류건조기의 롤러 샤프트 조립구조 KR20040020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310A KR20040020653A (ko) 2002-08-31 2002-08-31 의류건조기의 롤러 샤프트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310A KR20040020653A (ko) 2002-08-31 2002-08-31 의류건조기의 롤러 샤프트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653A true KR20040020653A (ko) 2004-03-09

Family

ID=3732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310A KR20040020653A (ko) 2002-08-31 2002-08-31 의류건조기의 롤러 샤프트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06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529B1 (ko) * 2008-06-30 2010-10-20 (주)진양오일씰 가이드 롤러 조립 자동화 시스템
CN109667125A (zh) * 2017-10-13 2019-04-23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用于在受冲击时保护以防损坏的防护装置的烘干机及其运行的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529B1 (ko) * 2008-06-30 2010-10-20 (주)진양오일씰 가이드 롤러 조립 자동화 시스템
CN109667125A (zh) * 2017-10-13 2019-04-23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用于在受冲击时保护以防损坏的防护装置的烘干机及其运行的方法
CN109667125B (zh) * 2017-10-13 2022-09-23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用于在受冲击时保护以防损坏的防护装置的烘干机及其运行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4497C (en) Blower wheel attachment for clothes dryer
US8875416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with planar window element and projection
US20070068036A1 (en) Laundry clean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005618B2 (en) Clothes dryer apparatus and method
AU2015327371B2 (en) Laundry dryer
NZ270886A (en) Clothes dryer: detection of drying
KR101014717B1 (ko) 의류건조기의 백커버 구조
EP2843114A1 (en) Rotary-drum laundry dryer
CN105492683A (zh) 旋转滚筒式衣物干燥机
KR20040020653A (ko) 의류건조기의 롤러 샤프트 조립구조
US9869053B2 (en) Heater assembly for an appliance
KR100641418B1 (ko) 의류 건조기의 온도 센서 장착 구조
AU2014314500B2 (en) Rotary-drum laundry dryer
JPH0739691A (ja) 衣類乾燥機
KR100893858B1 (ko) 건조기의 리어 서포터와 백커버 간의 조립구조
CN105492684A (zh) 旋转滚筒式衣物干燥机
JP2004350980A (ja) 衣類乾燥機
US11053632B2 (en) Dryer appliance and impeller housing
JP2005124768A (ja) 検出電極装置
KR20060104631A (ko) 의류 건조기의 모터 장착 구조
KR100599040B1 (ko) 의류건조기
KR101095553B1 (ko) 의류건조기
KR20040013277A (ko) 빨래건조기의 열풍 아웃렛측 써미스터 및 써모스탯으로의물유입 방지구조
KR20040012001A (ko) 빨래건조기의 인렛측 온도검출장치 및 그 설치 구조
JPS5855913Y2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