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0566A -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0566A
KR20040020566A KR1020020052187A KR20020052187A KR20040020566A KR 20040020566 A KR20040020566 A KR 20040020566A KR 1020020052187 A KR1020020052187 A KR 1020020052187A KR 20020052187 A KR20020052187 A KR 20020052187A KR 20040020566 A KR20040020566 A KR 20040020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toothbrushes
handle
teeth
thim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방열
Original Assignee
박방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방열 filed Critical 박방열
Priority to KR1020020052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0566A/ko
Publication of KR2004002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05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haped as gloves or finger-stalls or other special holding ways, e.g. by the tongue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 손잡이가 있는 하나의 치솔을 "손잡이가 없는 두 개의 치솔 " 개발 목적으로 발명한 것이다.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발명의 특징을 상술하면, " 두개의 골무 " 형태의 끝에 요철면(110)과 치솔모(120)를 두어 치솔 고유의 기능성을 높였다. 다섯 손가락(왼손이나 오른손) 중 두개의 손가락 즉 엄지와 집게에 고정한 다음, 손가락 끝으로 치아와 잇몸의 아래 위, 좌 우, 바깥측과 안측의 상태를 몸으로 느끼면서 치아와 잇몸을 닦거나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기대효과로는 국민치아 건강에 획기적인 기여가 가능하며, 치솔 손잡이와 치약사용의 절약 등 자원 절약의 효과도 크다.

Description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Two Toothbrush Without Grip}
본 발명은 "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칫솔"에 관한 것으로 칫솔을 손가락 끝에 고정한 다음, 손가락 끝으로 직접 이를 닦는 것이다.
종래 치아를 닦는 기술에 관련된 특성을 대별하여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 5는 손잡이가 있는 칫솔의 모양(디자인, 재질, 색상, 미끄림 방지등)에 관한 것. 사용시에 만 길어지고 사용치 않을 땐 접는 형태에 관한 것 등.
둘째, 칫솔의 모의 형상과(뽀족형,둥근형, 삼각형, 타원형 , 기타 복합형 등), 굵기(슬림형, 보통형, 슬림형+보통형) 등), 재료(실리콘,나일론, 특수재질(PTP) 등) 그리고 모양( 보통모,이중모, 단단한 모, 부드러운 모 등)에 관한 것
셋째, 치약의 성분에 관한 개발
넷째, 치아를 닦는 방법, 즉 수동(왕복 운동)과 전동(회전운동)에 관한 것, 초음파를 이용한 것 그리고 닦지 않고 껌이나 알갱이를 씸음으로서 치아를 깨끗하는 것.
다섯째, 사용의 편의를 위해 치약과 칫솔을 일체화 하거나, 자동으로 치약이 칫솔로 공급되는 장치에 관한 것.
이 밖에 유아용, 청소년용, 치아 고정용, 노약자(의치 등)용 등이 개발되어 있으며, 기타 애완견이나 고양이의 치아를 위한 각종 칫솔도 개발되어 있다. 물론 애완견과 고양이의 치아의 크기나, 형상, 구조에 알맞게 기능적으로 치약과 칫솔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각 분야에서 이러한 노력 덕택에 국민들의 치아관리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손잡이가 있는 수동형 칫솔은 지금까지 많은 신제품이 나왔으나, 칫솔의 손잡이가 고정(딱딱함)되어 있기 때문에 치아의 안쪽 부분까지 깨끗히 불순물을 제거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특히 잇몸과 치아의 접합면에 쌓여있는음식물을 제거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우리 나라 성인의 80%가 이가 시리고 잇몸이 붓고 피가난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아직도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첫째, 상기의 여러가지 종류의 칫솔 중 " 손잡이가 있는 칫솔" 의 문제점 즉 칫솔의 손잡이가 딱딱하기 때문에 특히 치아의 안쪽 부분까지 깨끗히 불순물을 제거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둘째, 치아를 닦을 때 잇몸의 손상을 입는다.
셋째, 치아의 앞면을 먼저 닦고 뒷면을 닦거나 아니면 뒷면을 먼저 닦고 앞면을 닦거나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러한 치아관리 방법은 치근에 미세한 편심 하중 및 진동이 전달되므로 이러한 상태가 오래동안 계속되면 치아가 흔들거리게 되고 종국에는 발치를 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기존의 칫솔을 사용할 때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칫솔의 형상을 어떻게 할 것"이며, 또한 " 입안 어디에도 자유자제로 이동이 가능한 칫솔"의 개발이 중요한 기술적 과제다.
또한 발명될 칫솔은 기능별 즉 잇몸 마사지용와 음식물 및 플러그 제거가 그리고 치아광택이 가능한 복합기능이 있게 고려한다.
이렇게 새로운 개념으로 접근하여 개발한 발명은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칫솔 "이다. 이러한 칫솔의 고정은 사용자의 다섯 손가락(왼손이나 오른손)중 엄지와집게손가락에 한 다음, 치아와 잇몸을 동시에 감싸고 아래 위, 좌우, 바깥측과 안측의 상태를 몸으로 느끼면서 치아와 잇몸의 구석 구석을 닦거나 마사지도 가능하게 된다.
기대효과로는 국민치아 건강에 기여하며, 칫솔 손잡이와 치약사용의 절약 등 자원절약의 효과도 크다.
도 1 은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칫솔 좌 측면도
도 2 는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칫솔 우 측면도
도 3 은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칫솔 정면도
도 4는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칫솔의 요철면과 칫솔모의 배열 방법에 따른 종류(6 가지)
도 5 은 손잡이가 있는 일반용 칫솔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칫솔 110: 요철면 140: 칫솔모
12: 손잡이 11, 120: 칫솔모 130: O형 형상 150: 손가락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칫솔 발명의 특징을 상술하면, 칫솔의 형상과 칫솔을 손가락 끝에 고정시키는 방법에 있다. 칫솔의 형상은 요철면과 칫솔모의 배치와 배열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6가지(도 4)로 분류하였다.
" 골무 "형태의 끝에 요철면과 칫솔모를 붙여 기능성을 높였다.
손가락이 쉽게 칫솔로 들어가게 하기 위하여 둥글게(130) 하였으며 재질은 실리콘을 사용하였다. 두개의 칫솔에 연결고리(끈)를 두어 관리를 쉽게, 또한 색상을 다양하게 하여 식별이 쉽게 할 수 도 있다.
칫솔의 두께는 최대한 얇게(0.4mm - 1mm)하여 손가락에 칫솔을 끼웠을 때 손가락과 칫솔의 일체화를 고려한다. 도 3에서 손 끝 부분에는 요철면(110)이 있고 칫솔모(120)도 있다. 칫솔 모근의 굵기는 0.08mm-0.4mm범위에, 길이는 가능한 짧게(1mm - 4mm정도)하였다. 그리고 모의 방향은 손가락 굴곡면에서 90°, 75°, 45°방향으로 두었다.
칫솔을 손가락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칫솔을 끼는 방법, 붙이는 방법이 있으나 끼는 방법을 적용한다.
칫솔 크기는 손가락 한 마디 정도다. 경우에 따라서는 두 마디까지 연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칫솔을 왼손이나 오른손의 다섯 손가락(엄지, 집게, 중지, 검지, 약지 손가락) 중 주로(개인적인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엄지와 집게에 고정한 다음 사용한다. 기존의 손잡이가 있는 칫솔은 손잡이(12)가 딱딱하기 때문에 특히 치아의 안쪽 부분까지 깨끗히 불순물을 제거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으나, 그러나 새로이 발명된 손잡이가 없는 두 개의 칫솔을 이용하면, 유연한 손가락에 고정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자유 자재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며, 그 다음 두 손가락으로 잇몸과 치아를 부더럽게 (적당한 힘으로) 감싸않으면서 좌에서 우로, 우에서 좌로, 그리고 밑에서 위로 이동시키면서 효과적인 치아관리를 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또한 이를 닦는 중에는 치근에는 어떻한 미세한 힘도 전달되지 않는다. 즉 편심이 걸리지도 않는다.
기대효과로는 국민치아 건강에 획기적인 기여를 하며, 칫솔 손잡이가 없어지고, 치약도 적게 사용됨으로 자원의 절약도 유도된다.
① 국민치아 건강에 획기적인 기여
② 칫솔 손잡이가 없어지고, 치약도 적게 사용됨으로 자원의 절약도 유도
③ 저렴한 가격으로 칫솔을 공급함으로서 기존에 판매하고 있는 칫솔의 한개의 값으로 잇몸 마사지, 플러거 제거, 음식물찌꺼기 제거 그리고 치아광택 등과 같은 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가능게 하는 기능성 칫솔의 구입이 가능함.

Claims (1)

  1. 골무형태(100)의 칫솔 상단부에 요철면(110)과 칫솔모(12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없는 두 개의 기능성 칫솔.
KR1020020052187A 2002-08-30 2002-08-30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KR20040020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187A KR20040020566A (ko) 2002-08-30 2002-08-30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187A KR20040020566A (ko) 2002-08-30 2002-08-30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0566A true KR20040020566A (ko) 2004-03-09

Family

ID=37325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187A KR20040020566A (ko) 2002-08-30 2002-08-30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0566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7964U (ko) * 1976-09-25 1978-04-22
JPS6375233U (ko) * 1986-11-06 1988-05-19
JPH02109627U (ko) * 1989-02-17 1990-09-03
KR940013416A (ko) * 1992-12-10 1994-07-15 현준수 치솔
US5765252A (en) * 1996-07-16 1998-06-16 Carr; Clairice M. Finger or hand mounted brush
KR20030050933A (ko) * 2001-12-19 2003-06-25 박방열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7964U (ko) * 1976-09-25 1978-04-22
JPS6375233U (ko) * 1986-11-06 1988-05-19
JPH02109627U (ko) * 1989-02-17 1990-09-03
KR940013416A (ko) * 1992-12-10 1994-07-15 현준수 치솔
US5765252A (en) * 1996-07-16 1998-06-16 Carr; Clairice M. Finger or hand mounted brush
KR20030050933A (ko) * 2001-12-19 2003-06-25 박방열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62528A (en) Toothbrush having soft tissue cleaning elements
KR101857103B1 (ko) 치은열구 칫솔
CN205321613U9 (zh) 牙套式3d牙刷
CN102669928A (zh) 新型口腔按摩牙刷
WO2019144747A1 (zh) 一种口腔清洗装置
KR200303534Y1 (ko) 손잡이가 없는 두 개의 칫솔
JP2007130117A (ja) 噛む歯ブラシ
KR20040020566A (ko)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CN2385588Y (zh) 保健牙刷
KR200317601Y1 (ko) 잇몸마사지기가 내설된 칫솔
CN212308087U (zh) 新型牙缝刷
CN214047908U (zh) 一种小苏打牙刷
CN101401678A (zh) 双面牙刷
CN202014768U (zh) 牙刷
CN201438973U (zh) 一种持牙线的施用装置
CN2281694Y (zh) 里外一次净牙刷
KR20030050933A (ko)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KR20230155667A (ko) 설태 제거부를 갖는 칫솔
CN2657603Y (zh) 一次性洁牙套
KR20030043552A (ko) 손잡이가 없는 치솔
RU168514U1 (ru) Салфетка для сухой чистки зубов
KR200444941Y1 (ko) 의치 세척용 칫솔
KR910001272Y1 (ko) 치아의 운동으로 양치질하는 개량칫솔
KR20090126053A (ko) 안쪽 치아 전용 골무칫솔
JP3086757U (ja) 口内洗浄用スポンジ及び歯ぐき治療薬塗布用スポ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