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0933A -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0933A
KR20030050933A KR1020010081473A KR20010081473A KR20030050933A KR 20030050933 A KR20030050933 A KR 20030050933A KR 1020010081473 A KR1020010081473 A KR 1020010081473A KR 20010081473 A KR20010081473 A KR 20010081473A KR 20030050933 A KR20030050933 A KR 20030050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toothbrushes
fingers
teeth
bru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방열
Original Assignee
박방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방열 filed Critical 박방열
Priority to KR1020010081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0933A/ko
Publication of KR20030050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093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haped as gloves or finger-stalls or other special holding ways, e.g. by the tongue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 손잡이가 있는 하나의 치솔(수동 및 전동)"을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 개발을 목적으로 발명한 것이다.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발명의 특징은 마치 두 개의 " 골무 "형태의 끝에 각각 치솔을 붙인 것과 비슷하다. 이러한 치솔을 오른손이나 왼손의 엄지와 나머지 네 손가락 중 하나(주로 집게손가락)에 고정한 다음, 두 손가락을 이용 각각의 손가락 끝에 부착이 된 치솔로 치은(잇몸)과 치아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동시에 치은과 치아를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사용자가 자기의 치은이나 치아의 상태를 몸으로 느끼면서 두 치솔에 동일한 압력을 주어 치은과 치아의 구석 구석을 맛사지 하고 닦음으로써 치은의 퇴축(잇몸과 치아와의 틈새 크짐)에 대한 치료와 예방이 가능하며, 치아의 심한 마모없이 치태(플라크)도 제거가 가능하다. 효과로는 충치와 풍치 예방을 통한 국민치아 건강에 획기적인 기여를 하며, 치솔손잡이가 없어 자원 절약의 효과도 크다.

Description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Two Toothbrush Without Grip}
본 발명은 "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에 관한 것으로 두 손가락 끝에 각각 별도의 기능성 치솔을 고정(끼거나 붙인다)한 다음, 두 손가락 끝으로 동시에 직접 잇몸과 치아를 관리하는 것이다.
종래의 치아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련된 특성을 대별하여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 5와 같이 손잡이가 있고, 하나의 치솔이 있는 일반용 치솔에 대한 기술을 대별하면 모양(디자인,재질,색상, 미끄림 방지,치솔모근의 종류 형태, 길이, 배열구성 등)에 관한 것. 손잡이 부분에 대한 개선 즉, 사용시에 만 길어지고 사용치 않을 땐 접는 형태에 관한 것 등.
둘째, 치솔의 형상(뽀족형,둥근형, 삼각형, 타원형 , 기타 복합형 등)과 모양( 보통모, 이중모, 단단한 모, 부드러운 모 등)에 관한 것
셋째, 치약의 성분에 관한 개발
넷째, 치아를 딱는 방법, 즉 수동(왕복 운동)과 도 6과 같이 손잡이가 있고, 하나의 치솔이 있는 전동식 치솔(회전운동)에 관한 것. 닦지 않고 껌을 씸음으로서 치아를 깨끗하는 것. 화학적 치태제거 방법으로 특수한 음료(항균제, 항생제, 불소세제, 효소 등)를 이용하는 것 등
다섯째, 사용의 편의를 위해 치약과 치솔을 일체화 하거나, 자동으로 치약이치솔로 공급되는 장치에 관한 것.
이 밖에 유아용, 청소년용, 치아 고정용, 노약자(의치 등)용 등이 개발되어 있으며, 기타 애완견이나 고양이의 치아를 위한 각종 치솔도 개발되어 있다. 물론 애완견과 고양이의 치아의 크기나, 형상, 구조에 알맞게 기능적으로 치약과 치솔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각 분야에서 이러한 노력 덕택에 총론적으로 인간과 동물들의 치아관리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각론으로 들어가서 보면 치술은 치태가 잘 제거되어야 한다는 점과 치은이나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아야 한다는 양면성을 충족시켜 주기 위해 고안되어야 하나, 일부 그렇지 못한 점도 많았다. 예를들면 기존의 손잡이가 있는 하나의 치솔이 있는 치솔(전동형, 수동형 공히)의 단점들을 보완한 새로운 개념의 기능성 신제품들이 지금까지 많이 나왔으나, 이 역시 치솔의 손잡이가 딱딱하고 길어 치솔을 원하는 위치로 자유 자재로 움직일 수 없어 치아의 안쪽 치태(겔라틴 모양의 퇴적물임, 일명 플라크)를 제거하기에는 아직까지 어려움이 많다. 뿐만아니라 도 7과 같이 치아를 관리하는 방식이 치아의 안쪽이나 바같쪽을 번갈아 가면서 치은이나 치아에 힘을 주어관리(수동은 좌우이동, 전동은 돌려줌)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때 치근의 미세한 흔들림 현상이 반복적으로 일어나 결국 치아를 발치해야 만 하는 사례와 이와 동시에 치은의 퇴축(잇몸과 치아의 틈새가 늘어남)과 치아의 심한 마모가 수반되는 현상도 빈번히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아직도 필요하게 된다.
치솔은 치은의 맛사지, 구강내의 불쾌감 제거, 심리적 심미적 효과, 구취제거, 국소적인 혈액공급의 증가, 치은 상피의 각화 증가, 치은의 생리적 형태의 수복과 유지, 세포의 대사율 증진, 치은 세포의 성숙 촉진등의 다양한 부수적인 기능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여러가지 종류의 치솔 중 " 손잡이가 있는 하나의 치솔"의 문제점 즉
첫째, 치솔의 손잡이가 딱딱하고 길어 치솔을 원하는 위치로 자유 자재로 움직일 수 없어 치아의 안쪽 치태를 제거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는 점,
둘째, 치아를 관리하는 방식이 치아의 안쪽이나 바같쪽을 번갈아 가면서 치은이나 치아에 힘을 주어 관리 (수동은 좌우이동, 전동은 돌려줌)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때 치근의 미세한 흔들림 현상이 반복적으로 일어나 결국 치아를 발치해야 만 하는 점
셋째, 치아를 닦음으로써 발생되고 있는 치은의 퇴축(잇몸과 치아의 틈새가 크짐)과 치아의 심한 마모가 수반되고 있다는 점 등을 개선하고자 새로이 세계 최초로 창안된 것으로 "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 발명의 특징을 상술하면, " 몇개의 기능성 치솔을 이용할 것인가 ", "치솔의 형상을 어떻게 할 것"이며, 또한 "치솔을 어떤 방법으로 손가락에 고정할 것"인가가 중요한 기술적 과제다.
이렇게 발명된 치솔은 기능별 즉 ①잇몸 마사지용,②플라크 제거용,
③음식물찌꺼기 제거용, ④치아 광택용, ⑤일반용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은 각각 치솔 두개가 한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5섯종류X2개=총 10개임).
도 8은 사용시에는 치솔들 중 하나의 치솔 종류 세트(두개)를 선택하여 사용자의 왼손이나 오른손의 엄지손가락과 나머지 넷 손각락 중 하나의 손가락(대부분 집게손가락)에 치솔을 고정한 다음, 두 손가락을 이용 각각의 손가락 끝에 부착이 된 치솔로 치은(잇몸)과 치아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동시에 치은과 치아를 효율적으로 관리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사용자가 자기의 위 아래 치은이나 치아의 상태를 몸으로 느끼면서 두 치솔에 동일한 압력을 주어 치은과 치아의 위 아래와 입안과바같을 동시에 마사지를 하거나 닦음으로써 치근의 미세한 흔들림 방지와 치은의 퇴축(잇몸과 치아와의 틈새가 크짐)에 대한 치료와 예방이 가능하며, 치아의 심한 마모없이 치태(플라크)도 제거가 가능하다.
효과로는 충치와 풍치예방을 통한 국민치아 건강에 획기적인 기여를 하며, 치솔 손잡이가 없어 자원절약의 효과도 크다.
도 1 은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의 좌 측면도
도 2 는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의 우 측면도
도 3 은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의 정면도
도 4 는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의 배면도
도 5 는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을 손가락에 착용한 모양 정면도
도 6은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을 손가락에 착용한 모양 배면도
도 7 은 손잡이가 있고, 하나의 치솔이 있는 일반적인 치솔의 치은과 치아 관리 방법
도 8 은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을 이용한 치은과 치아 관리 방법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발명의 특징을 상술하면, 치솔의 형상과 치솔을 손가락 끝에 고정시키는 방법에 있다. 치솔의 형상은 도 1과 같다.
마치 두개의 " 골무 "형태의 끝에 특수한 두개의 치솔을 붙인것과 비슷하다. 그리고 두개의 치솔을 잡아주는 끈이 있다. 도 1의 ① 손가락이 쉽게 치솔로 들어가게 하기 위하여 둥글게(○형) 하였으며, 도 1의 ② 치솔이 붙어 있는 헤드의 두께는 최대한 얇게하여 손가락 끝과 치솔의 일체화를 고려한다. 도 1의 ③손 끝 부분에도 치솔이 있다. 도 1의 ④ 치솔 모근 의 길이는 가능한 짧게(0.1mm - 0.8mm정도)한다. 물론 잇몸 마사지용, 플러거제거용, 음식물찌꺼기 제거용, 치아 광택용, 일반용 등과 같이 용도에 따른 모근의 종류(실리콘, 나일론 등)가 선택되며, 형상도 달라진다. 도 1의 ⑤치솔을 손가락에 고정시키는 방법 중의 하나다. 여기에는 손가락에 치솔을 끼는 방법, 붙이는 방법이 있다. 도 1의 ⑥ 치솔의 크기는 손가락 한마디정도다. 도 1의⑦ 두 손으로 치아관리 중 입속의 내용물(침,치약 등)이 손으로 흘러내릴 때 이를 받아주기 위한 창치다. 이와 같은 치솔을 왼손이나 오른손의 엄지와 나머지 넷 손가락 중( 대부분 집게손가락을 사용함) 하나에 고정한 다음 사용한다.
① 국민치아 건강에 획기적인 기여
② 치솔 손잡이가 없어져 자원의 절약도 유도

Claims (1)

  1. 두개 치솔(도 1)을 엄지와 다른 한 손가락 끝에 고정시켜 두 손가락 끝으로 치아와 잇몸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없는 두개 치솔에 관한 것.
KR1020010081473A 2001-12-19 2001-12-19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KR200300509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473A KR20030050933A (ko) 2001-12-19 2001-12-19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473A KR20030050933A (ko) 2001-12-19 2001-12-19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933A true KR20030050933A (ko) 2003-06-25

Family

ID=2957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473A KR20030050933A (ko) 2001-12-19 2001-12-19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09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566A (ko) * 2002-08-30 2004-03-09 박방열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566A (ko) * 2002-08-30 2004-03-09 박방열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uah et al. A review on toothbrushes and tooth brushing methods
US6895629B1 (en) Double sided toothbrush
GB2210552A (en) Toothbrush
US7954196B1 (en) Mini multitask brush
US4776055A (en) Dental instrument
Van der Weijden et al. Mechanical supragingival plaque control
KR101857103B1 (ko) 치은열구 칫솔
US6510576B1 (en) Vestibule cleaner and plaque remover
KR20030050933A (ko) 손잡이가 없는 두개의 치솔
CN209751268U (zh) 兼具牙签、牙间刷及牙线棒结构的三合一洁牙棒
US20230210644A1 (en) Double-ended oral car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snap-on flossers and disposable implements
KR200303534Y1 (ko) 손잡이가 없는 두 개의 칫솔
CN201438973U (zh) 一种持牙线的施用装置
CN211704903U (zh) 一种旋转牙线刷
CN217722914U (zh) 一种新型多功能孕产妇牙刷
CN206659405U (zh) 一种新型硬币式齿间刷
Emslie A history of oral hygiene measures.
CN212415948U (zh) 一种口腔清洁牙线棒
KR200268162Y1 (ko) 손잡이가 없는 기능성 치솔
CN201541991U (zh) 一种牙刷
CN207912786U (zh) 一种可更换式手持牙线棒
KR20030043552A (ko) 손잡이가 없는 치솔
KR200317601Y1 (ko) 잇몸마사지기가 내설된 칫솔
Rohra Why Fret when you have the Dental Jet: A Review on the Oral Irrigators
Maftei et al. BIOFILM DISRUPTION MECHANICAL METHODS INTEGRATED FOR COMPREHENSIVE ORAL HEALTHCARE.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