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582A - 콘크리트 블록 벽체용 연결철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블록 벽체용 연결철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582A
KR20040019582A KR1020020051171A KR20020051171A KR20040019582A KR 20040019582 A KR20040019582 A KR 20040019582A KR 1020020051171 A KR1020020051171 A KR 1020020051171A KR 20020051171 A KR20020051171 A KR 20020051171A KR 20040019582 A KR20040019582 A KR 20040019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plate
bent
comb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3099B1 (ko
Inventor
한삼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한 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한 씨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한 씨원
Priority to KR10-2002-005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099B1/ko
Publication of KR20040019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 벽체용 연결철물의 발명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단부에 철선연결부를 형성한 통상의 벽체용 연결철물에 있어서,
평철판을 직각으로 절곡하고 상판(20)의 가운데 절개부(20a)를 형성한 후 그 절개된 부분을 상판(20)과 수평이 되도록 역방향으로 절곡하여 그 단부에 상향 절곡된 걸림턱(22b)을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다수의 철선고정편(22a)이 형성된 철선연결부(22)를 형성하며, 철선연결부(22)의 형성을 위해 상판(20)에 형성된 절개부(20a)의 양측에는 소정 크기로 절개부(20b)를 형성한 후 절개된 부분을 하향으로 직각 절곡하여 된 걸림판(26)을 형성하여 그 걸림판(26)과 상판(20)에서 직각을 이루는 끼움판(24) 사이에 블록결합부(28)를 형성하며, 상판(20)의 전방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장공(29)을 형성한 본체(10)와; 평철판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종단부에 이탈방지부(32a)가 형성된 결합편(32)을 본체(10)의 결합장공(29)에 끼워 결합할 수 있게하며, 횡단부에는 상향 절곡된 걸림턱(30a)을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다수의 철선고정편(30b)을 형성한 결합체(30)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블록으로 된 내벽체에 견고하게 고정되기때문에, 단열재의 시공 과정이나 기타 요인으로 인해 연결철물의 설치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벽체의 정확한 조적시공을 가능케 할 뿐 만 아니라, 전체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단일 제품으로서의 사용범위가 매우 넓기때문에 실용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블록 벽체용 연결철물{Joint hardware for concrete block wall}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으로 된 건축물의 내벽체 외측에 벽돌로 외벽체를 조적할때, 내벽체와 외벽체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벽체간의 상호결속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기위한 콘크리트 블록 벽체용 연결철물의 발명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철물을 콘크리트 블록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블록결합부를 형성하여 연결철물의 정확하고 견고한 설치가 가능케 함과 동시에, 연결철물의 전체길이를 조절 가능케하여 그 활용범위를 확대시키고, 아울러 제품생산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벽체용 연결철물이란, 주로 건축물의 벽체를 조적할 때, 건축물의 주벽이 되는 내벽체의 외측에 치장용 벽돌을 이용해 외벽체를 조적함에 있어서, 내벽체와 외벽체간의 정확한 간격유지를 위해 철선을 연결하기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될 뿐 만 아니라, 벽체의 구성후에 내벽체와 외벽체의 정확한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건축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벽체용 연결철물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길게 형성된 철판의 양단부에 철선을 고정할 수 있는 철선고정부를 형성하여 내벽체를 조적할때 연결철물의 일단부를 내벽체를 구성하는 벽돌이나 블록 사이에 끼워넣어서 몰타르로 고정하고, 내벽체의 조적이 완료되면 내벽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철물의 타단부에 철선을 연결한 후 외벽체를 조적할때 이 철선을 중심선으로 활용하여 외벽체를 조적하면서 외벽체를 구성하는 벽돌간에 연결철물의 타단부가 끼우고 몰타르로 고정시키므서, 내벽체와 외벽체간의 정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연결철물은 내벽체를 조적하는 과정에서 내벽체를 구성하는 벽돌이나 콘크리트 블록 사이에 끼워넣어서 몰타르를 이용해 고정할때, 연결철물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는데, 특히 가운데에 중공부를 형성한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에는 연결철물이 얹혀지는 면적이 좁기때문에, 연결철물을 블록위에 얹어놓기조차 힘들어서 작업시 상당한 곤란을 겪게되며 이로 인해 작업능률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 만 아니라, 종래의 연결철물은 그 길이가 일정하기때문에, 내벽체와 외벽체간의 간격이 조금씩 달라지는 경우에는 또 다른 규격의 연결철물을 이용해야 하므로서, 다양한 규격의 제품 생산이 불가피하여 제품 생산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결철물을 본체와 결합체로 구분하되, 본체에 콘크리트 블록의 주벽을 끼워서 결합할 수 있는 블록결합부와, 결합체를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결합공을 형성하고, 본체와 결합체에 각각 철선연결부를 형성하므로서 연결철물의 보다 견고하고 정확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함과 동시에 연결철물의 전체길이 조절을 가능케하여 단일 제품으로서 그 활용범위를 극대화시켜 생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20 : 상판
20a, 20b : 절개부22 : 철선연결부
22a : 철선고정편22b : 걸림턱
24 : 끼움판26 : 걸림판
28 : 블록결합부29 : 결합장공
30 : 결합체30a : 걸림턱
30b : 철선고정편32 : 결합편
32a : 이탈방지부40 : 콘크리트블록
40a : 주벽40b : 중공부
50 : 외벽체
양단부에 철선연결부를 형성한 통상의 벽체용 연결철물에 있어서,
평철판을 직각으로 절곡하고 상판(20)의 가운데 절개부(20a)를 형성한 후 그 절개된 부분을 상판(20)과 수평이 되도록 역방향으로 절곡하여 그 단부에 상향 절곡된 걸림턱(22b)을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다수의 철선고정편(22a)이 형성된 철선연결부(22)를 형성하며,
철선연결부(22)의 형성을 위해 상판(20)에 형성된 절개부(20a)의 양측에는 소정 크기로 절개부(20b)를 형성한 후 절개된 부분을 하향으로 직각 절곡하여 된 걸림판(26)을 형성하여 그 걸림판(26)과 상판(20)에서 직각을 이루는 끼움판(24) 사이에 블록결합부(28)를 형성하며,
상판(20)의 전방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장공(29)을 형성한본체(10)와;
평철판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종단부에 이탈방지부(32a)가 형성된 결합편(32)을 본체(10)의 결합장공(29)에 끼워 결합할 수 있게하며, 횡단부에는 상향 절곡된 걸림턱(30a)을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다수의 철선고정편(30b)을 형성한 결합체(3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본체(10)에 형성된 블록결합부(28)를 이용해 본체(10)를 콘크리트블록(40)의 주벽(40a)에 끼워서 고정하므로서 연결철물을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을뿐 만 아니라, 본체(10)의 상판(20)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결합장공(29)에 결합체(30)를 끼워서 결합할때, 그 결합하는 위치를 적절히 조절하므로서 연결철물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10)와 결합체(30)는 각각 한 장의 평철판을 절곡하여 각 주요부를 형성하게된다.
즉, 본체(10)는 평철판을 직각으로 절곡하고 상판(20)의 가운데 일부를 절개한 후 그 절개부(20a)를 상판(20)과 수평이 되도록 180°절곡하여 철선연결부(22)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철선연결부(22)의 단부는 상향으로 절곡하여 걸림턱(22b)을 형성하게되며, 그 내측으로는 다수의 철선고정편(22a)이 형성되는데, 이 철선고정편(22a) 역시 철선연결부(22)에 절개부를 형성한 후 그 절개부를 적절한 각도로 일으켜세워서 형성하되, 한 쌍씩의 철선고정편(22a)가 적당한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철선(60)을 두 개의 철선고정편(22a) 사이에 끼워서 고정시키게된다.
또한, 상기에서 철선연결부(22)를 절곡하기 위하여 절개했던 상판(20)의 가운데 절개부(20a) 양측에도 소정 크기의 절개부(20b)를 형성한 후 이 절개된 부분을 하향으로 직각 절곡하여 걸림판(26)을 형성하므로서, 상판(20)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끼움판(24)과 걸림판(26) 사이에는 블록결합부(28)가 형성되어 연결철물의 본체(10)를 콘크리트 블록(40)에 설치할때, 블록결합부(28)가 콘크리트 블록(40)의 주벽(40a)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가 이루어지게된다.
아울러, 본체(10)의 상판(20) 전방에는 결합체(30)를 결합하는 결합장공(29)을 형성하게되는데, 결합장공(29)은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를 형성하므로서 결합장공(29)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체(30)의 결합 위치에 따라서 연결철물의 전체길이가 조절되게된다.
한편, 본체(10)와 마찬가지로 평철판을 직각으로 절곡하여서 된 결합체(30)는 절곡된 결합편(32)의 단부를 전방으로 다시 절곡하여 이탈방지부(32a)를 형성하므로서 본체(10)의 결합장공(29)에 끼워진 결합체(30)의 결합편(32)이 결합장공(29)에서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결합체(30)의 전방에는 본체(10)의 철선연결부(22)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철선고정편(22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철선고정편(22a)에 외벽체의 조적 기준이 되는 철선을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되며, 본체(10)의 철선연결부(20)에 형성된 걸림턱(22b)와 마찬가지로 결합체(30)의 선단부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걸림턱(32a)은 외벽체(50)를 구성하는 벽돌 사이에 끼워져 몰타르에 의해 고정된 후에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중공부(40b)가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40)을 조적하여 내벽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연결철물을 콘크리트 블록의 상면에 끼워서 설치하게되는데,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7과 같이 콘크리트 블록의 주벽(40a)에 연결철물의 본체(10) 하부에 형성된 블록결합부(28)가 끼워지도록하여 하므로서 본체(10)가 내벽체에 설치된 후에 본체(10)가 콘크리트 블록(40)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거나 바깥쪽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때문에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되는데, 이는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내벽체의 조적이 완료된 후에 내벽체의 외면에 단열재(70)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연결철물의 본체(10)가 내벽체 안으로 밀려들어 가는것을 방지할 수 있기때문에, 연결철물의 견고한 위치고정과, 단열재(70)의 용이한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체(10)의 상판(20)과 일체로 형성된 철선연결부(22)에는 다수의 철선고정편(22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철선고정편(22a)에 철선(60)을 끼워서 연결하므로서 콘크리트 블록을 조적하여 내벽체를 구성할때, 콘크리트 볼록의 조적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콘크리트 블록(40)을 이용한 내벽체의 조적이 완료되고 그 내벽체의 외면에 단열재(70)의 시공이 끝난 후에는 외벽체(50)를 조적하게 되는데, 일단 단열재의 시공이 완료되면 단열재의 외부에는 연결철물의 본체(10) 일단부가 단열재(7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때, 노출된 본체(10)의 상판(20)에는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결합장공(29)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결합장공(29)에 결합체(30)의 결합편(32)을 끼워서 결합한 후 그 결합체(30)의 전방에 형성된 철선고정편(30b)에 철선(60')을 연결하여 외벽체를 조적하므로서 외벽체(50)의 정확한 조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내벽체와 외벽체간에 형성되는 공간부의 간격이 달라지더라도 다른 길이의 연결철물로 대체할 필요없이 결합장공(29)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체(30)의 결합위치만을 조절하므로서 연결철물의 전체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기때문에,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서 단열재의 시공 과정이나 기타 요인으로 인해 연결철물의 설치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벽체의 정확한 조적시공을 가능케 할 뿐 만 아니라, 전체 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고, 단일 제품으로서의 사용범위가 매우 넓기때문에 실용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양단부에 철선연결부를 형성한 통상의 벽체용 연결철물에 있어서,
    평철판을 직각으로 절곡하고 상판(20)의 가운데 절개부(20a)를 형성한 후 그 절개된 부분을 상판(20)과 수평이 되도록 역방향으로 절곡하여 그 단부에 상향 절곡된 걸림턱(22b)을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다수의 철선고정편(22a)이 형성된 철선연결부(22)를 형성하며,
    철선연결부(22)의 형성을 위해 상판(20)에 형성된 절개부(20a)의 양측에는 소정 크기로 절개부(20b)를 형성한 후 절개된 부분을 하향으로 직각 절곡하여 된 걸림판(26)을 형성하여 그 걸림판(26)과 상판(20)에서 직각을 이루는 끼움판(24) 사이에 블록결합부(28)를 형성하며,
    상판(20)의 전방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결합장공(29)을 형성한 본체(10)와;
    평철판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종단부에 이탈방지부(32a)가 형성된 결합편(32)을 본체(10)의 결합장공(29)에 끼워 결합할 수 있게하며, 횡단부에는 상향 절곡된 걸림턱(30a)을 형성하고 그 내측으로 다수의 철선고정편(30b)을 형성한 결합체(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벽체용 연결철물.
KR10-2002-0051171A 2002-08-28 2002-08-28 콘크리트 블록 벽체용 연결철물 KR100463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171A KR100463099B1 (ko) 2002-08-28 2002-08-28 콘크리트 블록 벽체용 연결철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171A KR100463099B1 (ko) 2002-08-28 2002-08-28 콘크리트 블록 벽체용 연결철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651U Division KR200296989Y1 (ko) 2002-08-28 2002-08-28 콘크리트 블록 벽체용 연결철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582A true KR20040019582A (ko) 2004-03-06
KR100463099B1 KR100463099B1 (ko) 2004-12-23

Family

ID=3732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171A KR100463099B1 (ko) 2002-08-28 2002-08-28 콘크리트 블록 벽체용 연결철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0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388B1 (ko) * 2007-01-29 2007-11-12 구경회 평철 무모르타르 블럭을 이용한 외벽 리모델링 방법
KR101412414B1 (ko) * 2012-05-21 2014-06-2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KR20150024458A (ko) * 2013-08-26 2015-03-09 유세환 벽돌 조적용 연결구
KR20200054504A (ko) * 2018-11-12 2020-05-20 김태명 조립식 벽돌 세트
KR20220139744A (ko) * 2021-04-08 2022-10-17 류지춘 단열재가 구성된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388B1 (ko) * 2007-01-29 2007-11-12 구경회 평철 무모르타르 블럭을 이용한 외벽 리모델링 방법
KR101412414B1 (ko) * 2012-05-21 2014-06-27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KR20150024458A (ko) * 2013-08-26 2015-03-09 유세환 벽돌 조적용 연결구
KR20200054504A (ko) * 2018-11-12 2020-05-20 김태명 조립식 벽돌 세트
CN112996967A (zh) * 2018-11-12 2021-06-18 金太明 组装式砖套
US11566420B2 (en) 2018-11-12 2023-01-31 Tai-Myong Kim Assembly-type brick set
KR20220139744A (ko) * 2021-04-08 2022-10-17 류지춘 단열재가 구성된 콘크리트 벽체의 시공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3099B1 (ko)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872B1 (ko) 유리블럭패널과그구성방법및이에사용되는연결구
US20180135309A1 (en) Panel veneer systems
US8869479B2 (en) Web structure for knockdown insulating concrete block
US3421269A (en) Adjustable arch structures
CA2498002A1 (en) Insulating concrete form and welded wire form tie
US10683665B2 (en) Metal framing components for wall panels
KR20080037627A (ko) 파지 피쳐를 구비한 구조 부재 및 이의 연결 장치
US2160161A (en) Furring system
KR100463099B1 (ko) 콘크리트 블록 벽체용 연결철물
EP0225869A1 (en) Tile
KR200296989Y1 (ko) 콘크리트 블록 벽체용 연결철물
US10145123B2 (en) Outer-wall heat-insulating finishing material
ITUD20000125A1 (it) Mattone senza malta
TWI402401B (zh) 支持元件總成
KR200213267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
KR200282443Y1 (ko) 벽체 연결용 연결철물
KR200296988Y1 (ko) 철골지주 벽체용 연결철물
KR200375106Y1 (ko) 건축용 거푸집 판넬 체결부재
JPH0242811Y2 (ko)
CN214575314U (zh) 锁扣式铝合金挂件系统
UA87967C2 (en) Insulating concrete form
KR200298613Y1 (ko) 목조 판넬의 조립구조
KR200487053Y1 (ko) 천정보드 고정용 찬넬
IES59843B2 (en) An improved building system
KR20020072363A (ko)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