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379A - 서버, 이동 통신 시스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무선기지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방법및 이동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이동 통신 시스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무선기지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방법및 이동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379A
KR20040019379A KR10-2004-7001737A KR20047001737A KR20040019379A KR 20040019379 A KR20040019379 A KR 20040019379A KR 20047001737 A KR20047001737 A KR 20047001737A KR 20040019379 A KR20040019379 A KR 20040019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call
reception
mobile
destina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5351B1 (ko
Inventor
모테기마사유키
가야마히데토시
우메다나루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40019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시간과 함께 변화하는 이동국의 상태에 따라서 이동국의 위치 정보 관리를 원활하게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동국에서 패킷 송수신이 없는 채로 슬립 상태 판단 타이머가 타임 아웃함으로써 통지되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슬립 상태로의 천이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이 슬립 상태로 천이하였다고 판단되어, 링크 레이어에서 제어 처리가 실행된다(S12)(이동국이 셀을 이행하는 경우도 링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처리). 그 후, 이동국에서 패킷 송수신이 없는 채로 아이들 상태 판단 타이머가 타임 아웃함으로써 통지되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아이들 상태로의 천이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국이 아이들 상태로 천이하였다고 판단되어, 네트워크 레이어에서 제어 처리가 실행된다(S14)(이동국이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하는 경우도 네트워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처리). 이와 같이, 이동국에서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이동국의 상태에 기초하는 제어 처리가 실행된다.

Description

서버, 이동 통신 시스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무선 기지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방법 및 이동 통신 방법{Serve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ositional information managing method, radio base station, mobile station, method for call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웹 브라우징과 같은 패킷 통신 모델을 상정한 경우, 상기 패킷 통신 모델에는 이동국이 패킷을 연속적으로 다운로드하는 기간과, 다운로드 후에 이동국이 페이지를 열람하는 기간(페이지 열람 기간) 2개의 기간이 있다. 이 특징에 착안하여, 페이지 열람 기간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제어 신호를 이동국에서 간헐적으로 수신시킴으로써 배터리를 절약하는 기술이 「IN2001-198 멀티미디어 무선 패킷 통신에 있어서의 적응 배터리 절약 제어 방식(전자 정보 통신 학회 및 정보 네트워크 연구회, 2002년 3월 발행)」에서 제안되고 있다. 이 기술에서는, 페이지 열람 기간 중에 이동국이 배터리를 절약하는 상태를 「배터리 절약 모드」로서 신규로 정의하고 있다.
한편, 패킷 통신의 통신 형태에 따라서, 상기 패킷이 허용할 수 있는 지연 시간이 규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규정된 허용 지연 시간에 따라서, 이동국이 배터리 절약 모드로 이행하는 타이밍 및 이동국이 제어 신호를 간헐 수신하는 주기가 설정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크게 나누어 배터리 절약 모드와 아이들(idle) 모드 2개의 대기 상태가 존재한다. 이것들을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이 탑재할 경우,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는 크게 나누어 통신 상태와 대기 상태 2개의 상태 밖에 없고, 대기 상태도 1종류 밖에 없기 때문에, 위치 정보 관리 서버는 통신 상태와 대기 상태 중 어느 한쪽 상태에서의 이동국의 위치 정보 관리(이동 관리) 밖에 할 수 없었다.
또한,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동일 레이어에 있어서 복수의 다른 대기 상태인 이동국의 위치 정보 관리를 하기 위한 구성을 탑재할 수 있었다고 해도, 위치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대기 상태에 대응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2중으로 관리할 필요가 생겨, 위치 정보 관리 서버의 부담이 과대해져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시간과 함께 변화하는 이동국의 복수 상태에 있어서 이동국의 위치 정보 관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서버, 이동 통신 시스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무선 기지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방법 및 이동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버, 이동 통신 시스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무선 기지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방법 및 이동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부의 실시예가 상정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a는 제 1부의 실시예가 상정하는 무선 기지국이 간헐 송신하는 호출 주기 중 호출 주기(A)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제 1부의 실시예가 상정하는 무선 기지국이 간헐 송신하는 호출 주기 중 호출 주기(B)를 도시하는 도면.
도 2c는 제 1부의 실시예가 상정하는 무선 기지국이 간헐 송신하는 호출 주기 중 호출 주기(C)를 도시하는 도면.
도 2d는 제 1부의 실시예가 상정하는 무선 기지국이 간헐 송신하는 호출 주기 중 호출 주기(D)를 도시하는 도면.
도 2e는 제 1부의 실시예가 상정하는 무선 기지국이 간헐 송신하는 호출 주기 중 호출 주기(E)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호출 에어리어(A)와 호출 주기(A)와의 대응을 도시하는 도면.
도 3b는 호출 에어리어(B)와 호출 주기(B)와의 대응을 도시하는 도면.
도 3c는 호출 에어리어(C)와 호출 주기(C)와의 대응을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제 1 호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4b는 제 1 호출 방법에 있어서의 호출 주기(A)와 3개의 수신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
도 4c는 제 1 호출 방법에 있어서의 호출 주기(B)와 3개의 수신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
도 4d는 제 1 호출 방법에 있어서의 호출 주기(C)와 3개의 수신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제 2 호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5b는 제 2 호출 방법에 있어서의 호출 주기(C)와 3개의 수신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
도 5c는 제 2 호출 방법에 있어서의 호출 주기(B)와 3개의 수신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
도 5d는 제 2 호출 방법에 있어서의 호출 주기(A)와 3개의 수신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제 2 호출 방법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무선 기지국의 제 1 처리 동작에 관한 플로 차트.
도 8은 무선 기지국의 제 2 처리 동작에 관한 플로 차트.
도 9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의 제 1 처리 동작에 관한 플로 차트.
도 10은 위치 정보 관리 서버의 제 2 처리 동작에 관한 플로 차트.
도 11은 위치 정보 관리 서버의 제 3 처리 동작에 관한 플로 차트.
도 12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의 제 4 처리 동작에 관한 플로 차트.
도 13은 이동국의 처리 동작에 관한 플로 차트.
도 14a는 무선 기지국이 제 1 처리 동작에 있어서 자국 배하의 셀에 존재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을 인식하기 위한 테이블.
도 14b는 무선 기지국이 제 1 처리 동작에 있어서 개개의 호출 주기에 대해서 자국 배하의 셀 내에서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 대응하는 이동국의 수 및 상기 수신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사용하는 테이블.
도 15a는 무선 기지국이 제 2 처리 동작에 있어서 자국 배하의 셀에 존재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을 인식하기 위한 테이블.
도 15b는 무선 기지국이 제 2 처리 동작에 있어서 리얼 타임 클래스에 있어서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
도 15c는 무선 기지국이 제 2 처리 동작에 있어서 비리얼 타임 클래스에 있어서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
도 16a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제 1 처리 동작에 있어서 관리 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을 인식하기 위한 테이블.
도 16b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제 1 처리 동작에 있어서 호출 주기마다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함과 동시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 대응하는 이동국의 수 및 상기 수신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사용하는 테이블.
도 17a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제 2 처리 동작에 있어서 관리 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을 인식하기 위한 테이블.
도 17b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제 2 처리 동작에 있어서 리얼 타임 클래스에 있어서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
도 17c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제 2 처리 동작에 있어서 비리얼 타임 클래스에 있어서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
도 18a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제 3 처리 동작에 있어서 관리 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을 인식하기 위한 테이블.
도 18b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제 3 처리 동작에 있어서 개개의 호출 에어리어에 대해서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함과 동시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 대응하는 이동국의 수 및 상기 수신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사용하는 테이블.
도 19a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제 4 처리 동작에 있어서 관리 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을 인식하기 위한 테이블.
도 19b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제 4 처리 동작에 있어서 리얼 타임 클래스에 있어서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
도 19c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제 4 처리 동작에 있어서 비리얼 타임 클래스에 있어서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
도 20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관한 기능 블록도.
도 21a는 제 2부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1b는 도 21a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A)의 착신군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c는 도 21a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착신군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a는 제 2부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위치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b는 제 2부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착신군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c는 제 2부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측정 결과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제 2부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4는 제 2부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이동국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5a는 제 2부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되는 위치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b는 제 2부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되는 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c는 제 2부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되는 논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제 2부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되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7a는 종래의 이동 통신 방법에 있어서의 제어 채널의 제 1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b는 종래의 이동 통신 방법에 있어서의 제어 채널의 제 2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제 3부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이동국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9는 제 3부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이동국에 대한 제어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0은 제 3부에 관한 서버·기지국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서버는 복수의 이동국과, 망에 접속된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함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망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 상기 이동국의 상태로서, 슬립(sleep)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 중에서, 상기 셀 내에서 상기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간에서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으로 얻어진 상태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의 호출 주기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간헐 수신의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을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이동국과, 망에 접속된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망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상기 서버가 상기 이동국의 상태로서, 슬립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 중에서, 상기 셀 내에서 상기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간에서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으로 얻어진 상태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의 호출 주기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간헐 수신의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을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은 복수의 이동국과, 망에 접속된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함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망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으로, 상기 이동국의 상태로서, 슬립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 중에서, 상기 셀 내에서 상기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간에서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으로 얻어진 상태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의 호출 주기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간헐 수신의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을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발명에 의하면, 서버는 이동국의 상태로서, 슬립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 중에서, 상기 셀 내에서 상기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간에서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으로 얻어진 상태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의 호출 주기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간헐 수신의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을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설정하기 때문에, 시간과 함께 변화하는 이동국의 복수의 상태에 따라서, 이동국의 위치 정보 관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상태로 이행한 이동국의 수와,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치를 보유하는 측정보유 수단을 부가로 구비하고, 설정 수단은 판단 수단에 의해 이동국의 상태가 슬립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보유된 측정치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의 호출 주기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간헐 수신의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을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서버는 이동국이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하는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과, 상기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국이 상기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이동국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마다 나누어진 복수의 착신군 중에서,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착신군을 선택하여, 선택된 착신군을 상기 이동국에 할당하는 착신군 할당 제어 수단을 부가로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서버는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버(90)는 상기 판단 수단(91)과 설정 수단(9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판단 수단(91)이 이동국의 상태로서, 슬립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 중에서, 셀 내에서 상기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간에서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상태를 판단하여, 설정 수단(92)이 상기 판단으로 얻어진 상태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의 호출 주기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간헐 수신의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을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설정한다.
이 때, 서버(90)는 더욱이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태로 이행한 이동국의 수와,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치를 보유하는 측정보유 수단(93)을 부가로 구비하고, 설정 수단(92)이 이동국의 상태가 슬립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 측정 보유 수단(91)에 의해 보유된 측정치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의 호출 주기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간헐 수신의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을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설정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90)는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94)과 착신군 할당 제어 수단(95)을 부가로 구비하고,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94)에 의해 이동국이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이 검출되면, 착신군 할당 제어 수단(95)이 이동국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마다 나누어진 복수의 착신군 중에서,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착신군을 선택하여, 선택된 착신군을 상기 이동국에 할당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서버(90)와 동일한 구성을 기지국(80)에 구비하여도 되고(단, 기지국(80)의 에어리어는 단지 하나이기 때문에, 기지국(80)은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94)에 상당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링크 레이어에서의 제어를 기지국(80)이 네트워크 레이어에서의 제어를 서버(90)가 각각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동국의 상태가 슬립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의 제어에 관하여, 이하와 같은 발명을 들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호출 방법은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 내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패킷 송수신을 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이동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국이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방법으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여,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소정의 경우에, 상기 셀 내에 존재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호출 채널의 호출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여, 상기 이동국은 상기 변경 지시에 근거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호출 방법에 관련되는 발명은 이하와 같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련되는 발명으로서도 기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 내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패킷 송수신을 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이동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국이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의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여,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셀 내에 존재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호출 채널의 호출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치를 보유하는 측정 보유 수단과, 소정의 경우에, 상기 보유된 측정치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지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변경 지시에 근거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하는 간헐 수신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경우는, 상기 이동국이 신규로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새롭게 상기 셀 내로 이동하여 온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상기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상기 무선 기지국이 결정한 임의의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무선 기지국은 복수의 이동국과 함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임과 동시에,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 내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패킷 송수신을 하여,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의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으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여,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셀 내에 존재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호출 채널의 호출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치를 보유하는 측정 보유 수단과, 상기 이동국이 신규로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새롭게 상기 셀 내로 이동하여 온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상기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상기 무선 기지국이 결정한 임의의 경우에, 상기 보유된 측정치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지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는, 대기 상태인 이동국이 대단히 많은 환경에서는, 호출 채널로써 송신해야 할 호출 트래픽이 증가하여버려, 호출 채널이 압박받아, 호의 손실(call loss)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이동국이 간헐 수신해야 할 수신 타이밍은 호출 트래픽과는 아무런 관계 없이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트래픽이 특정 수신 타이밍에 집중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PHS에 관한 기술에서는, 이동국이대기를 하는 군 번호는 전화번호에 의해 미리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한 셀 내에 있어서, 특정한 군만 트래픽이 붐비는 것이 상정되어, 이러한 경우, 호출이 호의 손실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하는 주기는 트래픽에 의하지 않고 모든 군에 있어서 일률적이기 때문에, 효과적인 배터리 절약을 행할 수 없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불루투스(Bluetooth)에 관한 기술에서는, 매스터는 파크 모드(Park Mode)에서 잠재적으로 접속된 슬래이브에 대하여, 동기 유지를 위해 1주기당 NB개의 패킷을 연속하여 송신하기 때문에, 채널 효율의 저하가 문제가 될 우려가 있었다. 즉, 기본 주기는 최저라도 NB×△B(△B는 각 패킷의 송신 시간 간격) 이상의 시간 간격을 두고 설정하여야만 하여, 극히 짧은 기본 주기를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파크 모드(Park Mode)에 있어서는, 장시간 매스터와 접속 상태에 없는 슬래이브는 매스터로부터 송신되는 비컨 채널(Beacon channel)로부터의 제어 패킷을 솎아내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효과적인 배터리 절약을 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셀라 시스템과 같이 대기 상태가 긴 이동국이 대단히 많이 존재하는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이동국에 대한 기본 주기가 긴 주기에 집중되어버리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기지국이 소정의 경우에, 셀 내에 존재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호출 채널의 호출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에 따라서,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변경 지시에 근거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하기 때문에, 특정한 수신 타이밍에 착신 트래픽이 집중된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평활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채널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수신 타이밍 변경과 동시에, 호출 주기 변경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비하여 효과적으로 배터리 절약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종래는 이동국이 통신을 하지 않은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긴 호출 주기에 많은 이동국이 집중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호출 주기에 따른 트래픽도 고려하기 위해 특정한 호출 주기에 이동국이 집중된다는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복수의 호출 주기끼리도 트래픽을 평활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호출 방법은 복수의 이동국과, 망에 접속된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망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국이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의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방법으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기간에 따른 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여,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가 복수 준비되고, 각 호출 주기에 대응지어진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서버는 소정의 경우에,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호출 채널의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여, 상기 이동국은 상기 변경 지시에 근거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의 호출 방법에 관련되는 발명은 이하와 같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련되는 발명으로서도 기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이동국과, 망에 접속된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망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국이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의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여,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가 복수 준비되어, 각 호출 주기에 대응지어진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치를 보유하는 측정 보유 수단과, 소정의 경우에, 상기 보유된 측정치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지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변경 지시에 근거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하는 간헐 수신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경우는, 상기 이동국이 신규로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상기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경우 또는 상기 서버가 결정한 임의의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서버는 복수의 이동국과, 망에 접속된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함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망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임과 동시에,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 내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패킷 송수신을 하여,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의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여,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가 복수 준비되어, 각 호출 주기에 대응지어진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치를 보유하는 측정 보유 수단과, 상기 이동국이 신규로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상기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경우 또는 상기 서버가 결정한 임의의 경우에, 상기 보유된 측정치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지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는, 서버가 소정의 경우에,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슬립 모드의 이동국의 수와,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에 따라서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변경 지시에 근거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하기 때문에,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특정한 수신 타이밍에 착신 트래픽이 집중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평활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신 타이밍 변경과 동시에, 호출 주기 변경을 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배터리 절약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종래는 이동국이 통신을 하지 않은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긴 호출 주기에 많은 이동국이 집중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호출 주기에 따른 트래픽도 고려하기 위해 특정한 호출 주기에 이동국이 집중된다는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복수의 호출 주기끼리도 트래픽을 평활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호출 에어리어마다 서버를 설치하여, 상기 복수의 서버간에 소정의 규칙에 근거하는 계층 관계를 갖게 할 수 있어, 이러한 구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호출 방법에서는,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각 호출 에어리어마다 서버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서버간에 소정의 규칙에 근거하는 계층 관계가 설치되어, 각 계층마다의 서버는 대응하는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호출 에어리어마다 서버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서버간에 소정의 규칙에 근거하는 계층 관계가 설치되어, 각 계층마다의 서버가 구비한 상기 변경 지시 수단은 대응하는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1개의 서버에 집중하고 있는 처리를 각 계층의 서버로 분산하기 때문에, 처리 부하를 분산하여 1개의 서버에 관련되는 처리 부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고장 시에 모든 시스템이 정지한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이동국에 서비스 클래스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여 서비스 클래스도 고려한 제어를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호출 방법에서는, 상기 무선 기지국 또는 상기 서버가 상기 이동국의 서비스 클래스를 인식하고, 더욱이 상기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무선 기지국 또는상기 서버가 상기 이동국의 서비스 클래스를 인식하여 상기 서비스 클래스 정보를 보유하는 인식 보유 수단을 부가로 구비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 또는 상기 서버가 구비한 상기 변경 지시 수단이 더욱이 상기 인식된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의 서비스 클래스를 인식하여 상기 서비스 클래스 정보를 보유하는 인식 보유 수단을 부가로 구비하고, 상기 변경 지시 수단은 더욱이 상기 인식된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서버는 상기 이동국의 서비스 클래스를 인식하여 상기 서비스 클래스 정보를 보유하는 인식 보유 수단을 부가로 구비하고, 상기 변경 지시 수단은 더욱이 상기 인식된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이동국의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국에 의해 상기 서비스 클래스에 따른 적절한 간헐 수신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클래스로서는, 리얼 타임 클래스와 비리얼 타임 클래스를 이동국에 설정할 수 있어, 비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에 대해서는, 호출 주기를길게 하여 효과적인 배터리 절약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에 대해서는, 호출 주기를 짧게 설정하여, 호출 지연을 극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국은 무선 기지국과 함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여,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 내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패킷 송수신을 하는 것이 가능해져,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이동국임과 동시에,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의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동국으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여,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이동국이 신규로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새롭게 상기 셀 내에 이동하여 온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상기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상기 무선 기지국이 결정한 임의의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셀 내에 존재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호출 채널의 호출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의 측정치에 따른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 지시를 수신하는 변경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변경 지시에 근거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하는 간헐 수신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국은 망에 접속된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망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호출 에어리어 및 존재하는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와 함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 내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패킷 송수신을 하는 것이 가능해져,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이동국임과 동시에,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의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동국으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여,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가 복수 준비되어, 각 호출 주기에 대응지어진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이동국이 신규로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새롭게 상기 셀 내에 이동하여 온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상기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상기 무선 기지국이 결정한 임의의 경우에,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의 측정치에 따른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 지시를 수신하는 변경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변경 지시에 근거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하는 간헐 수신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이동국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의 제어에 관하여, 이하와 같은 발명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서버는 이동국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마다 나누어진 복수의 그룹(이하 「착신군」이라 한다) 중에서,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착신군을 검출하는 착신군 검출 수단과, 이동국이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하는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에 의해, 이동국이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한 경우, 착신군 검출 수단은 검출한 착신군(이하 「지정 착신군」이라 한다)을 이동국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서버에 의하면, 착신군 검출 수단이 이동국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마다 나누어진 복수의 착신군 중에서,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착신군을 검출한다. 또한,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이 이동국이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에 의해, 이동국이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한 경우,착신군 검출 수단이 검출한 지정 착신군을 이동국에 할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국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마다 나누어진 복수의 착신군 중에서,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착신군을 검출하는 착신군 검출 수단과, 이동국이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하는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에 의해, 이동국이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한 경우, 착신군 검출 수단은 검출한 착신군(지정 착신군)을 이동국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착신군 검출 수단이 이동국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마다 나누어진 복수의 착신군 중에서,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착신군을 검출한다. 또한,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이 이동국이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에 의해, 이동국이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한 경우, 착신군 검출 수단이 검출한 지정 착신군을 이동국에 할당한다.
종래의 PHS에 관한 기술에서는, 수신 타이밍이 정해진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가 각 이동국의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미리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등록 에어리어에 있어서, 각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의 수가 불균형해지면, 각 착신군의 착신 트래픽 부하에 불균형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때문에, 무선 기지국의 버퍼가 오버플로하여, 호출 신호가 이동국에 송신되지 않아, 무선 기지국에 도착한 착신 호가 호 손실이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그 호 손실을 막기 위해, 호출 신호 송신에 사용하는 제어 채널의 용량을 어느 정도 여유를 갖게 하여 설계하여야만 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더욱이, 종래 기술 1의 방법에서는, 이동국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QoS(Quality Of Service) 제어를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각 착신군에 할당되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타이밍을 프레임마다 변화시키는 종래 기술이 있다. 이 기술에서는, 변화시킨 수신 타이밍을 도 27a에 도시하는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이 이동국에 통지한다(일본 특개평 5-114883호 공보 참조). 제어 채널은 1단위가 1개의 통지 타임 슬롯(101)과, 6개의 타임 슬롯(102 내지 107)의 합계 7타임 슬롯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제어 채널의 부하를 경감하기 위해, 어느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이라도 통지 타임 슬롯(101)을 수신한다. 무선 기지국은 이 통지 타임 슬롯(101)에 있어서, 통지 타임 슬롯에 계속되는 타임 슬롯(102 내지 107)에 있어서의 각 착신군의 호출 신호의 수신 타이밍, 즉, 타임 슬롯의 위치를 통지한다. 통지 타임 슬롯(101)은 착신군 번호를 통지하기 위한 슬롯(108 내지 1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동국은 도 27b에 도시하는 제어 채널을 수신한 경우, 각 착신군 번호가 도시된 슬롯(121 내지 126)을 포함하는 통지 타임 슬롯(114)으로부터 각 착신군의 호출 신호의 수신 타이밍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이동국은 통지 타임 슬롯(114) 이후의 타임 슬롯(115 내지 120)에 있어서, 통지 타임 슬롯(114)으로부터 파악한 수신 타이밍으로 호출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타임 슬롯(115)에 있어서는, 슬롯(121)에 착신군 번호가 도시되어 있던 착신군 번호 「2」인 착신군에 속하는이동국이 호출 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이 방법에서는, 모든 이동국에 대해서, 프레임마다 이동국이 속하는 착신군에 대응하는 수신 타이밍이 변화한다.
이와 같이, 프레임마다 모든 이동국에 대해서, 각 이동국이 속하는 착신군에 대응하는 수신 타이밍이 변화하는 기술에서는, 무선 기지국은 프레임마다 모든 이동국에 대하여 통지 타임 슬롯을 송신하여야만 하여, 이동국은 프레임마다 통지 타임 슬롯을 수신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채널의 이용 효율이 대단히 나빠진다는 문제점이나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의 착신 제어 부하가 커진다는 문제점, 이동국이 수신해야 할 타임 슬롯이 늘어나, 배터리 절약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프레임마다 이동국이 속하는 착신군에 대응하는 수신 타이밍이 변화하기 때문에, 이동국은 반드시 간헐 수신을 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어, 효과적인 배터리 절약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착신 호가 무선 기지국에 도착한 순서로, 각 착신군의 수신 타이밍이 할당되고, 호출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동일 프레임 내에서 동일한 착신군의 이동국으로의 호출 신호를 2회 이상 송신하여버리는 일이 있었다. 그 때문에, 더욱 채널의 이용 효율을 악화시켜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서버에 관련되는 발명 및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련되는 발명에 의하면, 착신군 검출 수단은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이 이동국이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만 지정 착신군을 할당하면 된다. 그 때문에, 서버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채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착신군 검출 수단의 착신 제어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서버에 관련되는 발명 및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련되는 발명에 있어서,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은 이동국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을 검출하였을 때, 이동국에 할당되고 있는 착신군(이하 「변경 전 착신군」이라 한다)을 취득하는 착신군 취득 수단을 가지고, 착신군 검출 수단은 착신군 취득 수단이 취득한 변경 전 착신군과, 검출한 지정 착신군이 동일한지 다른지를 판단하여, 다른 경우에만 검출한 지정 착신군을 이동국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변경 전 착신군과 지정 착신군이 달라, 착신군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만 착신군 검출 수단이 검출한 지정 착신군을 이동국에 할당하여, 변경 전 착신군과 지정 착신군이 동일하고, 착신군에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검출한 지정 착신군의 이동국으로의 할당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시스템은 보다 한층 더 채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의 작용으로서, 쓸데 없는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항상 중복 정보 신호를 수신하지 않아도 된다는 작용이 있다. 그 결과, 이동국은 수신 시간의 효율화에 의한 배터리 절약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서버 또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트래픽량 측정 수단이나,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각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의 수를 측정하는 이동국수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착신군 검출 수단은 트래픽량 측정 수단이나 이동국수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하나의 착신군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착신 트래픽량이란 착신 호의 수를 말한다. 이로써,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이나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각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수에 근거하여, 지정 착신군의 할당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서버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특정한 착신군의 타이밍에 착신 트래픽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각 착신군의 착신 트래픽 부하의 평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동일 프레임 내에서, 동일 착신군의 이동국으로의 호출 신호를 2회 이상 송신하여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채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 등에 있어서, 착신군의 착신 트래픽량이 적은 경우나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수가 적은 경우라도, 하나의 착신 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량이나 하나의 이동국이 수신하는 데이터량이 많아, 그 착신군에 착신 트래픽 부하가 집중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서버 또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량을 측정하는 데이터량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착신군 검출 수단은 그 데이터량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하나의 착신군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실제 데이터량에 근거하여, 지정 착신군의 할당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착신 트래픽 부하가 집중하는 것을 트래픽량 측정 수단이나 이동국수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하나의 착신군을 검출하는 경우보다도 방지할 수 있어, 각 착신군의 착신 트래픽 부하의 평활화를 보다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에 관련되는 발명 및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련되는 발명에 있어서, 착신군 검출 수단은 이동국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취득하는 품질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품질 취득 수단이 취득한 서비스 품질에 근거하여, 하나의 착신군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서버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국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고려하여 지정 착신군을 검출할 수 있어, QoS 제어를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국은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와 다른 위치 등록 에어리어로 이동한 경우, 그것을 검출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 요구를 하는 요구 수단과,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정보 신호를 수신한 경우, 통지받은 정보에 따라서, 착신군 설정을 변경하는 설정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요구 수단에 의해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 요구를 하였을 때,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받은 정보 중에 착신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설정 변경 수단은 착신군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이동국에 의하면, 요구 수단이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와 다른 위치 등록 에어리어로 이동하여, 그것을 검출하고,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 요구를 한다. 또한, 설정 변경 수단이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정보 신호를 수신한 경우, 통지받은 정보에 따라서, 착신군 설정을 변경한다. 그리고, 요구 수단에 의해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 요구를 하였을 때,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받은 정보 중에 착신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설정 변경 수단이 착신군 설정을 변경한다.
따라서, 이동국은 쓸데 없는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복 정보 신호를 수신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이동국은 수신 시간의 효율화에 의한 배터리 절약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설정 변경 수단은 착신군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하기 전에 속해 있던 착신군을 계속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이동국은 착신군에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착신군 설정 변경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착신 제어 부하를 더욱 경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예로서, (제 1부) 이동국이 슬립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의 링크 레이어에서의 제어에 관련되는 구성과 처리, (제 2부) 이동국이 아이들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의 네트워크 레이어에서의 제어에 관련되는 구성과 처리를 순서대로 설명하고, 그 후, (제 3부) 이동국의 상태에 따른 제어 처리를 설명한다.
[(제 1부) 이동국이 슬립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의 링크 레이어에서의 제어에 관련되는 구성과 처리]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호출 방법 및 이동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1에는 제 1부의 실시예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이동국(1)은 무선 기지국(2)이 형성하는 셀(3)에 존재하여, 셀의 집합이 형성하는 호출 에어리어(6)에 대응하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에 위치 등록을 한다. 이동국(1)의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태(슬립 모드, 절단 상태 등)에 관한 정보는 망(4)에 접속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제 1부에서는, 호출 에어리어(6)와, 호출 에어리어(6)에 대응하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가 동일한 예로 설명한다. 그 때문에,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호출 에어리어(6)에 대응하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에 위치 등록한다」를 「호출 에어리어(6)에 위치 등록한다」라 표기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이것들은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위치 정보 관리 서버(5)가 이들 대응 관계를 파악하여 양자를 관리하고 있으면 상관 없다.
도 20에는 본 실시예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관한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20에서는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 이동국(1), 무선 기지국(2)을 각각 1개씩 기재하였지만, 실제로는 동일한 구성의 이동국(1), 무선 기지국(2)이 복수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이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1)은 무선 기지국(2)이나 다른 이동국(1)과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패킷 통신 등을 하는 무선 통신부(1B)와, 통신 상태에 있어서 일정 기간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에 무선 기지국(2)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주기적으로 간헐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거나 상기 주기 변경 등을 하는 간헐 수신 제어부(1C)와, 상기 각 부의 동작을 감시·제어하는 제어부(1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무선 기지국(2)은 망(4)을 통해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와 통신하는 망 통신부(2B)와, 자국 배하의 셀 내에 존재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호출 채널의 호출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치를 보유하는 측정 보유부(2C)와, 이동국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새롭게 셀 내로 이동하여 온 경우 또는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무선 기지국이 결정한 임의의 경우에, 보유된 측정치에 따라서,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지시부(2D)와, 이동국의 서비스 클래스를 인식하여 상기 서비스 클래스 정보를 보유하는 인식 보유부(2E)와, 이동국(1)이나 다른 무선 기지국(2)과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패킷 통신 등을 하는 무선 통신부(2F)와, 타이머를 내장하여 상기 각 부의 동작을 감시·제어하는 제어부(2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망(4)을 통해 무선 기지국(2)과 통신하는 망 통신부(5B)와,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치를 보유하는 측정 보유부(5C)와, 이동국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하여 온 경우 또는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결정한 임의의 경우에, 보유된 측정치에 따라서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지시부(5D)와, 이동국의 서비스 클래스를 인식하여 상기 서비스 클래스 정보를 보유하는 인식 보유부(5E)와, 상기 각 부의 동작을 감시·제어하는 제어부(5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수신 타이밍, 호출 주기 및 호출 에어리어에 대해서]
다음으로, 도 2a 내지 도 2e, 도 3a 내지 도 3c를 사용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신 타이밍, 호출 주기 및 호출 에어리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의 무선 기지국(2)은 슬립 모드 중의 이동국에 대하여, 도 2a 내지 도 2e의 호출 주기(A 내지 E) 중 어느 한 호출 주기로써 호출 신호를 간헐 송신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호출 주기(A)에 대응하는 주기를 T로 하면, 호출 주기(B)의 주기는 2T, 호출 주기(C)의 주기는 3T, 호출 주기(D)의 주기는 4T, 호출 주기(E)의 주기는 5T로 각각 표현된다.
또한, 각 호출 주기에는 각 이동국이 수신해야 할 수신 타이밍이 규정되어 있고, 예를 들면, 호출 주기(A)에서는 수신 타이밍으로서 A1, A2, A3 3개가 있다. 마찬가지로, 호출 주기(B)에서는 수신 타이밍으로서 B1, B2, B3 3개가 있고, 호출 주기(C)에서는 수신 타이밍으로서 C1, C2, C3 3개가 있다. 또한, 호출 주기(D)에서는 수신 타이밍으로서 D1, D2, D3 3개가 있고, 호출 주기(E)에서는 수신 타이밍으로서 E1, E2, E3의 3개가 있다.
더욱이,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호출 주기는 호출 에어리어와 대응되어 있다. 즉, 호출 에어리어(A)는 호출 주기(A)에 대응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호출 에어리어(B)는 호출 주기(B)에 대응하고 있고, 호출 에어리어(C)는 호출 주기(C)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우선, 본 발명의 주요부를 이루는 제 1 호출 방법과 제 2 호출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고, 그 후, 도 7 내지 도 13에 근거하여 무선 기지국, 위치 정보 관리 서버 및 이동국 각각에 있어서의 상세한 처리 동작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제 1 호출 방법]
처음에, 도 4a 내지 도 4d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1 호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호출 방법에 있어서는, 셀만을 생각하고 있다. 여기서, 호출 주기에는 도 4b 내지 도 4d에 도시하는 3종류(호출 주기(A 내지 C))가 있으며, 이동국이 수신해야 할 수신 타이밍은 각 호출 주기에 대해서 3종류 있는 것으로 한다. 즉, 호출 주기(A)에서는 수신 타이밍(A1, A2, A3)이 대응하고, 호출 주기(B)에서는 수신 타이밍(B1, B2, B3)이 대응하고, 호출 주기(C)에서는 수신 타이밍(C1, C2, C3)이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하, ① 이동국이 새롭게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②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셀을 변경하는 경우, ③ 이동국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④ 무선 기지국이 임의의 시점에서 수신 타이밍을 변경하는 경우 4개 경우의 동작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① 이동국이 새롭게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지금, 이동국(1)이 셀(3A) 내에서, 무선 기지국(2)과 패킷 교환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동국(1)은 패킷의 교환 종료 후, 슬립 모드 이행을 판단하기 위한 타이머를 기동시킨다. 이 타이머가 만료하면, 이동국(1)은 무선 기지국(2)에 대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를 통지한다.
슬립 모드로 이행하려 하고 있는 이동국(1)은 우선 호출 주기(A)에서 대기를 하기 때문에, 통지를 받은 무선 기지국(2)은 자국 배하의 셀(3A) 내에서, 호출 주기(A)에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 및 각 수신 타이밍(A1 내지 A3)에걸려 있는 트래픽을 자국(무선 기지국(2))이 가지는 테이블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각각 비교함으로써, 트래픽량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여기서의 트래픽량의 평가로서는, 셀(3A) 내에서 호출 주기(A)의 각 수신 타이밍(A1 내지 A3)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실제의 이동국수와, 대응하는 수신 타이밍에 속해 있는 이동국수의 평균을 비교함과 동시에, 각 수신 타이밍(A1 내지 A3)에서의 트래픽과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평가 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외의 방법으로 행하여도 된다.
지금, 상기 셀(3A) 내에서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이 많아 수신 타이밍(A2)에서의 트래픽이 적은 것으로 하면, 무선 기지국(2)은 이동국(1)에 대하여, 수신 타이밍(A2)으로 대기를 하도록 지시한다. 수신 타이밍(A2)으로 간헐 수신을 하도록 지시를 받은 이동국(1)은 호출 주기(A)에서 또한 수신 타이밍(A2)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
또한, 수신 타이밍(A1 내지 A3) 모든 수신 타이밍에 있어서 트래픽이 붐비고 있는 경우에는, 무선 기지국(2)은 이동국(1)을 슬립 모드로 이행시키지 않거나 또는 호출 주기(B)에 있어서 트래픽이 비어 있는 수신 타이밍(B1 내지 B3) 중 어느 하를 할당한다. 예를 들면,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2)으로 간헐 수신을 하도록 지시된 이동국(1)은 상기 타이밍에 있어서 간헐 수신을 행한다.
②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셀을 변경하는 경우
지금, 이동국(1)이 이미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어, 최초, 셀(3B)에 존재하고, 그 후, 셀(3A)에 이동하여 온 것으로 한다. 여기서, 셀(3B)에서는, 호출주기(B)에서 수신 타이밍(B1)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동국(1)은 교환하는 무선 기지국의 ID가 변화한 것을 인식하여, 이동처의 셀(3A)의 무선 기지국(2)에 대하여, 자국은 슬립 모드로, 호출 주기(B)에서 수신 타이밍(B1)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취지를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무선 기지국(2)은 상기 호출 주기(B)에 있어서의 수신 타이밍(B1 내지 B3)의 착신 트래픽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자국 배하의 셀(3A) 내에서, 호출 주기(B)에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 및 각 수신 타이밍(B1 내지 B3)에 걸려 있는 트래픽을 자국(무선 기지국(2))이 가지는 테이블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각각 비교함으로써 트래픽량을 평가한다. 여기서의 트래픽량의 평가로서는, 셀(3A) 내에서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B1 내지 B3)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실제의 이동국수와, 대응하는 수신 타이밍에 속해 있는 이동국수의 평균을 비교함과 동시에, 각 수신 타이밍(B1 내지 B3)에서의 트래픽과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평가 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외의 방법으로 행하여도 된다.
지금, 수신 타이밍(B1)의 트래픽이 비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국(1)에 대하여, 수신 타이밍(B1)으로 간헐 수신을 하도록 통지한다. 이동국(1)은 그대로 호출 주기(B)에서 수신 타이밍(B1)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 한편, 수신 타이밍(B1)이 붐비고 있는 경우에는, 수신 타이밍(B2, B3)의 트래픽을 평가하여, 수신 타이밍(B3)이 비어 있으면, 수신 타이밍(B3)으로 간헐 수신을 하도록 이동국(1)에 통지한다. 지시를 받은 이동국(1)은 호출 주기(B)에서 수신 타이밍(B3)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
또한, 수신 타이밍(B1 내지 B3) 모든 타이밍이 붐비고 있는 경우에는, 호출 주기(A) 및 호출 주기(C)에 대응하는 트래픽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호출 주기(A)에 있어서의 수신 타이밍(A2)이 비어 있다고 하면, 상기 수신 타이밍(A2)으로 간헐 수신을 하도록 지시한다. 지시를 받은 이동국(1)은 호출 주기(A)로 변경하여, 수신 타이밍(A2)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
③ 이동국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지금, 이동국(1)이 이미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고, 호출 주기(A)에서 수신 타이밍(A2)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이동국(1)이 슬립 모드로 이행한 후, 슬립 모드 변경을 위한 타이머를 기동시켜, 그 타이머가 만료하여, 슬립 상태를 변경하려 하고 있다. 즉, 호출 주기(A)로부터 호출 주기(B)로 변경하려 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동국(1)은 무선 기지국(2)에 대하여, 상기 타이머가 만료하여, 호출 주기(B)로 이행하는 취지를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무선 기지국(2)은 상기 호출 주기(B)에 있어서의 수신 타이밍(B1 내지 B3)의 착신 트래픽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자국 배하의 셀(3A) 내에서, 호출 주기(B)에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 및 각 수신 타이밍(B1 내지 B3)에 걸려 있는 트래픽을 자국(무선 기지국(2))이 가지는 테이블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각각 비교함으로써, 트래픽량을 평가한다. 여기서의 트래픽량의 평가로서는, 셀(3A) 내에서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B1 내지 B3)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실제의 이동국수와, 대응하는수신 타이밍에 속해 있는 이동국수의 평균을 비교함과 동시에, 각 수신 타이밍(B1 내지 B3)에서의 트래픽과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평가 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외의 방법으로 행하여도 된다.
그 결과, 수신 타이밍(B3)이 비어 있다고 하면, 무선 기지국(2)은 이동국(1)에 대하여, 수신 타이밍(B3)으로 간헐 수신을 하도록 지시한다. 지시를 받은 이동국(1)은 호출 주기(B)로 변경하여, 수신 타이밍(B3)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 또한, 상기에서 트래픽을 평가한 결과, 호출 주기(B)에 빔이 없는(수신 타이밍(B1 내지 B3) 모두에 빔이 없는) 경우에는, 이동국(1)을 이행시키지 않거나 또는 호출 주기(C)의 수신 타이밍(C1 내지 C3)에서의 트래픽을 평가하여,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 빔이 있으면, 그곳으로 이행시킨다.
지금, 호출 주기(B, C)에도 빔이 없는 경우에는, 호출 주기(A)대로 이행시키지 않는 취지를 지시한다. 지시를 받은 이동국(1)은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한다.
④ 무선 기지국이 임의의 시점에서 수신 타이밍을 변경하는 경우
지금, 호출 주기(B)에서 수신 타이밍(B2)에 대한 착신 트래픽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무선 기지국(2)은 호출 채널의 압박을 회피하기 위해,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2)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이동국(1)에 대하여, 비어 있는 수신 타이밍(B3)을 통지하여, 지시를 받은 이동국(1)은 수신 타이밍(B3)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
[제 2 호출 방법]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5d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제 2 호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호출 방법에 있어서는, 셀을 복수 정리한 호출 에어리어 구성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호출 주기에는 도 5b 내지 도 5d에 도시하는 3종류(호출 주기(A 내지 C))가 있고, 이동국이 수신해야 할 수신 타이밍은 각 호출 주기에 대해서 3종류 있는 것으로 한다. 즉, 호출 주기(A)에서는 수신 타이밍(A1, A2, A3)이 대응하고, 호출 주기(B)에서는 수신 타이밍(B1, B2, B3)이 대응하고, 호출 주기(C)에서는 수신 타이밍(C1, C2, C3)이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하, ①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호출 에어리어를 변경하는 경우, ② 이동국이 새롭게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③ 이동국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④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임의의 시점에서 수신 타이밍을 변경하는 경우 4개 경우의 동작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①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호출 에어리어를 변경하는 경우
이동국(1)은 이미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고, 호출 에어리어(A)에 대응하는 에어리어에 위치 등록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수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동국(1)은 이동하여, 호출 에어리어 ID가 그때까지의 호출 에어리어 ID와 다른 것을 인식하면, 위치 등록을 한다. 이동국(1)은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에 대하여, 자국(이동국(1))이 슬립 모드에 있고, 직전의 호출 에어리어(A)에 있어서 수신 타이밍(A1)으로 수신을 하고 있던 것을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이동처의 호출 에어리어(B) 내의 트래픽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호출 에어리어(B) 내에서, 호출 주기(B)에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 및 각 수신 타이밍(B1 내지 B3)에 걸려 있는 트래픽을 자국(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이 가지는 테이블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각각 비교함으로써, 트래픽량을 평가한다. 여기서의 트래픽량의 평가로서는, 호출 에어리어(B) 내에서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B1 내지 B3)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실제의 이동국수와, 대응하는 수신 타이밍에 속해 있는 이동국수의 평균을 비교함과 동시에, 각 수신 타이밍(B1 내지 B3)에서의 트래픽과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평가 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외의 방법으로 행하여도 된다.
평가한 결과, 이동처의 호출 에어리어(B)에 있어서도, 수신 타이밍(B1)이 비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국(1)에 대하여 수신 타이밍(B1)으로 간헐 수신을 하도록 지시한다. 지시를 받은 이동국(1)은 그대로 수신 타이밍(B1)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
한편, 예를 들면 수신 타이밍(B1)이 붐비고 있고, 수신 타이밍(B3)이 비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국(1)에 대하여, 수신 타이밍을 수신 타이밍(B3)으로 변경하도록 변경 지시를 한다. 이 변경 지시를 받은 이동국(1)은 수신 타이밍(B3)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
또한, 수신 타이밍(B1 내지 B3) 모두에 있어서 트래픽이 붐비고 있는 경우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호출 에어리어를 호출 에어리어(B) 이외로 변경하도록 변경 지시를 한다. 변경 지시를 받은 이동국(1)은 상기 호출 에어리어에 위치 등록을 한다.
② 이동국이 새롭게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지금, 이동국(1)이 무선 기지국(2)과 패킷 교환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동국(1)은 패킷 교환 종료 후, 슬립 모드 이행을 판단하기 위한 타이머를 기동시킨다. 그 후, 미리 정해진 기간, 패킷 송수가 없이 타이머가 만료하면, 이동국(1)은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동국(1)은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를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에 통지한다. 이 통지를 받은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상기 이동국(1)이 간헐 수신을 하는 호출 주기(A)에 대응하는 호출 에어리어(A) 내의 트래픽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호출 에어리어(A) 내에서, 호출 주기(A)에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 및 각 수신 타이밍(A1 내지 A3)에 걸려 있는 트래픽을 자국(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이 가지는 테이블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각각 비교함으로써, 트래픽량을 평가한다. 여기서의 트래픽량의 평가로서는, 호출 에어리어(A) 내에서 호출 주기(A)의 각 수신 타이밍(A1 내지 A3)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실제의 이동국수와, 대응하는 수신 타이밍에 속해 있는 이동국수의 평균을 비교함과 동시에, 각 수신 타이밍(A1 내지 A3)에서의 트래픽과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평가 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외의 방법으로 행하여도 된다.
여기서, 호출 에어리어(A) 내에서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이 비어 있다고 하면,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이동국(1)에 대하여, 수신 타이밍(A1)으로 간헐 수신을 하도록 지시한다. 지시를 받은 이동국(1)은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간헐 수신을 하여, 호출 에어리어(A)에 대응하는 상기 호출 에어리어에 위치 등록을 한다.
③ 이동국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이동국(1)은 이미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동국(1)은 호출 주기(A)에서 간헐 수신을 시작함과 동시에, 슬립 모드 변경을 위한 타이머를 기동시켜 그 타이머가 만료한 것으로 한다.
이동국(1)은 상기 타이머가 만료하여, 호출 주기(A)에서 호출 주기(B)로 이행하는 취지를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에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호출 주기(B)에 대응하는 호출 에어리어 내의 착신 트래픽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호출 에어리어(B) 내에서, 호출 주기(B)에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 및 각 수신 타이밍(B1 내지 B3)에 걸려 있는 트래픽을 자국(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이 가지는 테이블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와 각각 비교함으로써, 트래픽량을 평가한다. 여기서의 트래픽량의 평가로서는, 호출 에어리어(B) 내에서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B1 내지 B3)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실제의 이동국수와, 대응하는 수신 타이밍에 속해 있는 이동국수의 평균을 비교함과 동시에, 각 수신 타이밍(B1 내지 B3)에서의 트래픽과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평가 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외의 방법으로 행하여도 된다.
그 결과, 상기 호출 에어리어(B)에 있어서 수신 타이밍(B1)이 비어 있는 경우에는, 이동국(1)에 대하여,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1)으로 간헐 수신을 하도록 지시한다. 이동국(1)은 지시된 수신 타이밍(B1)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
또한,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1 내지 B3) 모두에 대해서 트래픽이 붐비고 있는 경우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그대로의 호출 주기(A)에서 간헐 수신을 하거나 또는 호출 주기(C)에서 간헐 수신을 하도록 지시한다. 이 지시를 받은 이동국(1)은 상기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
④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임의의 시점에서 수신 타이밍을 변경하는 경우
지금, 호출 에어리어(B)에 있어서, 이동국(1)이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2)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을 때에, 상기 수신 타이밍(B2)에서의 착신 트래픽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한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호출 채널의 압박을 회피하기 위해, 이동국(1)에 대하여, 비어 있는 수신 타이밍(B3)을 통지하여, 이 지시를 받은 이동국(1)은 수신 타이밍(B3)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 호출 방법의 변형예로서, 도 6의 양태가 있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Z, 5Y, 5X)는 호출 에어리어(C)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Z)를 정점으로 하여, 호출 에어리어의 크기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계층화되어 있다. 각각의 계층에 있어서,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수 및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타이밍을 인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슬립 모드에 있어서, 각 계층마다 상술한 제 2 호출 방법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계층 구조로 한 후에 제 2 호출 방법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1개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집중하고 있는 처리를 각 계층으로 분산할 수 있어, 1개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부하 분산 구성이라고 하면, 고장 시에 모든 시스템이 다운되어버린다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1) 무선 기지국의 제 1 처리 동작
도 7을 따라 무선 기지국(2)의 제 1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무선 기지국(2)은 이동국(1)으로부터 새롭게 슬립 모드로 이행하거나 또는 슬립 상태를 변경하거나 또는 새롭게 셀에 이동한 취지의 통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701). 여기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일정 시간 걸러 자체 셀 내에서 이동국(1)이 간헐 수신하고 있는 호출 주기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현 상태의 트래픽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이동국(1)이 상기 시점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간헐 수신하고 있다고 하면, 무선 기지국(2)은 자국 배하의 셀(3A) 내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을 평가한다(710). 예를 들면, 여기서의 트래픽량의 평가로서는, 셀(3A) 내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실제의 이동국수와, 수신 타이밍(A1 내지 A3)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이동국수의 평균치를 비교함과 동시에,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과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평가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외의 방법으로 행하여도 된다.
상기 710에서 무선 기지국(2)은 예를 들면 도 14a, 도 14b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이동국수의 평균치나 착신 트래픽량을 구하여, 트래픽 평가를 하여도 된다. 도 14a, 도 14b에는 무선 기지국(2)이 가지는 테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무선 기지국(2)은 자국 배하의 셀에 존재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을 인식하기 위한 테이블(14A)을 가지고, 이 테이블(14A)에서는, 이동국의 식별 번호(MT1, MT2 등)와,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호출 주기가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2)은 개개의 호출 주기에 대해서 자국 배하의 셀 내에서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 대응하는 이동국의 수 및 상기 수신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사용하는 테이블(14B)을 가지고, 이 테이블(14B)에서는, 각 호출 주기마다 상기 호출 주기로 간헐 수신을 하는 이동국의 식별 번호와 그 수신 타이밍이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다.
710에서 트래픽이 비어 있는 경우는, 무선 기지국(2)은 아무 것도 행하지 않는다. 한편, 트래픽이 붐비고 있는 경우는, 상기 호출 주기(A)의 다른 수신 타이밍(A2, A3) 및 다른 호출 주기(B, C)에 있어서의 트래픽을 측정한다(711). 그리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7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7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7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 또는 이들 양자를 이동국(1)에통지한다(7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706).
그런데, 701에서 이동국(1)으로부터 통지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702). 상기 통지가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이면, 호출 주기(A)의 어느 1개의 수신 타이밍(예를 들면 수신 타이밍; A1)에서의 트래픽을 측정하여(703), 상기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7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7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704의 판단으로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비어 있는 수신 타이밍(A1)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705). 한편, 704의 판단으로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호출 주기(A)의 다른 수신 타이밍(A2, A3) 및 그 밖의 호출 주기(B, C)에 있어서의 트래픽을 측정한다(711). 그리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7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7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7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 또는 이들 양자를 이동국(1)에 통지한다(7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706).
또한, 702에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이동국(1)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707).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이면, 상기 이동국(1)이 지정한 호출 주기에 있어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708). 여기서는, 예를 들면, 상기 이동국(1)이 호출 주기(A)에서 호출 주기(B)로 변경하려 하고 있어, 변경처로서 호출 주기(B)를 지정한 것으로 한다. 따라서, 708에서는, 지정된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1 내지 B3) 각각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
그리고, 704에서 상기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7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7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7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705). 한편, 7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도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호출 주기(나머지 후보인 호출 주기(C))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을 측정하여(711),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7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7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7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7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706).
또한, 707에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셀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709). 여기서,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셀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701로 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셀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이면, 상기 통지와 함께 이동국(1)에 의해 통지되는 호출 주기(즉, 이동국(1)이 셀의 이동처에 간헐 수신하고 있는 호출 주기)에 있어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708). 예를 들면, 호출 주기(B)가 이동국(1)으로부터 통지받은 경우는,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1 내지 B3) 각각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
그리고, 704에서 상기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7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7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7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705). 한편, 7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도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호출 주기(나머지 후보인 호출 주기; C)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을 측정하여(711),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7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7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7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7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706).
상기에서는, 무선 기지국이 이동국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새롭게 셀 내에 이동하여 온 경우 또는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무선 기지국이 결정한 임의의 경우에, 셀 내에 존재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호출 채널의 호출 트래픽의 양쪽 또는 한쪽에 따라서,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변경 지시에 근거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하기 때문에, 특정한 수신 타이밍에 착신 트래픽이 집중된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평활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없는 경우라도, 상기 이동국(1)이 간헐 수신하고 있는 호출 주기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현 상태의 트래픽을 평가하여, 혹시 붐비고 있으면 무선 기지국(2)이 판단하면, 다른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를 찾아, 상기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 또는 이들 양자를 이동국(1)에 통지하여 간헐 수신시키기 때문에, 간헐 수신중인 수신 타이밍에서의착신 트래픽이 급격히 증가하여도 상기 폭주 상태를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다.
(2) 무선 기지국의 제 2 처리 동작
도 8을 따라 무선 기지국(2)의 제 2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무선 기지국(2)은 이동국(1)으로부터 새롭게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또는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또는 새로운 셀에 이동한 취지의 통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801). 여기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일정 시간 걸러 자체 셀 내에서 이동국(1)이 간헐 수신하고 있는 호출 주기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현 상태의 트래픽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이동국(1)이 상기 시점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간헐 수신하고 있다고 하면, 무선 기지국(2)은 자국 배하의 셀(3A) 내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을 평가한다(810). 예를 들면, 여기서의 트래픽량의 평가로서는, 셀(3A) 내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실제의 이동국수와, 수신 타이밍(A1 내지 A3)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이동국수의 평균치를 비교함과 동시에,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과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평가 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외의 방법으로 행하여도 된다.
상기 810에서 무선 기지국(2)은 예를 들면 도 15a, 도 15b, 도 15c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이동국수의 평균치나 착신 트래픽량을 구하여, 트래픽 평가를 하여도 된다. 도 15a, 도 15b, 도 15c에는 무선 기지국(2)이 가지는 테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무선 기지국(2)은 자국 배하의 셀에 존재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을 인식하기 위한 테이블(15A)을 가지고, 이 테이블(15A)에서는, 이동국의 식별 번호(MT1, MT2 등)와,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호출 주기와, 이동국이 속하는 서비스 클래스가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2)은 각 서비스 클래스에 있어서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15B, 15C)을 갖는다. 테이블(15B)에서는, 각 호출 주기마다 상기 호출 주기로 간헐 수신을 하는 이동국의 식별 번호와 그 수신 타이밍이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고, 테이블(15C)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서비스 클래스로서, 처리의 신속성이 강하게 요구되는 리얼 타임 클래스 및 처리의 신속성은 요구되지 않고 절전 등이 요구되는 비리얼 타임 클래스가 존재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그 이외에도 클래스 분류가 가능한 것에는 적용 가능하다.
810에서 트래픽이 비어 있는 경우는, 무선 기지국(2)은 아무 것도 행하지 않는다. 한편, 트래픽이 붐비고 있는 경우는, 상기 호출 주기(A)의 다른 수신 타이밍(A2, A3) 및 다른 호출 주기(B, C)에 있어서의 트래픽을 측정한다(811). 그리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8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8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8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 또는 이들 양자를 이동국(1)에 통지한다(8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806).
그런데, 801에서 이동국(1)으로부터 통지가 있던 경우에는,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802). 상기 통지가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이면,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국(1)이 간헐 수신을 하는 상기 서비스 클래스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A)의 트래픽을 측정하여(803), 상기 호출 주기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8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8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8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비어 있는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805). 예를 들면, 리얼 타임 클래스인 경우에는, 호 손실이 생기지 않도록 가능한 한 비어 있는 수신 타이밍을 할당한다. 한편, 8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도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호출 주기(A)의 다른 수신 타이밍(A2, A3) 및 다른 호출 주기(B, C)에 있어서의 트래픽을 측정한다(811). 그리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8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8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8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 또는 이들 양자를 이동국(1)에 통지한다(8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806).
또한, 802에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이동국(1)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807).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이면, 상기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국(1)이 지정한 호출 주기에 있어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808). 여기서는, 예를 들면, 상기 이동국(1)이 호출 주기(A)에서 호출 주기(B)로 변경하려 하고 있고, 변경처로서 호출 주기(B)를 지정한 것으로 한다. 따라서, 808에서는, 지정된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1 내지 B3) 각각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
그리고, 804에서 상기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8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8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8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805). 한편, 8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도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호출 주기(나머지 후보인 호출 주기; C)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을 측정하여(811),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8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8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8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할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8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806).
또한, 807에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셀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809). 여기서,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셀에 이동한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801로 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셀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이면, 상기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를 확인하여, 상기 통지와 함께 이동국(1)에 의해 통지되는 호출 주기(즉, 이동국(1)이 셀의 이동 전에 간헐 수신하고 있는 호출 주기)에 있어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808). 예를 들면, 호출 주기(B)가 이동국(1)으로부터 통지받은 경우는,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1 내지 B3) 각각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
그리고, 804에서 상기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8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8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8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805). 한편, 8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도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호출 주기(나머지 후보인 호출 주기; C)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을 측정하여(811),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8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8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8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할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8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806).
상기에서는, 이동국의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국에 의해 상기 서비스 클래스에 따른 적절한 간헐 수신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클래스로서는, 리얼 타임 클래스와 비리얼 타임 클래스를 이동국에 설정할 수 있어, 비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에 대해서는, 호출 주기를 길게 하여 효과적인 배터리 절약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에 대해서는, 호출 주기를 짧게 설정하여, 호출 지연을 극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위치 정보 관리 서버의 제 1 처리 동작
도 9를 따라,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제 1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이동국(1)으로부터 새롭게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또는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또는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901). 여기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일정 시간 걸러 배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이동국(1)이 간헐 수신하고 있는 호출 주기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현 상태의 트래픽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이동국(1)이 상기 시점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간헐 수신하고 있다고 하면, 무선 기지국(2)은 배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을 평가한다(910). 예를 들면, 여기서의 트래픽량의 평가로서는, 배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실제의 이동국수와, 수신 타이밍(A1 내지 A3)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이동국수의 평균치를 비교함과 동시에,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과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평가 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외의 방법으로 행하여도 된다.
상기 910에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예를 들면 도 16a, 도 16b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이동국수의 평균치나 착신 트래픽량을 구하여, 트래픽 평가를 하여도 된다. 도 16a, 도 16b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가 갖는 테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관리 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을 인식하기 위한 테이블(16A)을 가지고, 이 테이블(16A)에서는, 이동국의 식별 번호(MT1, MT2 등)와,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호출 주기와, 위치 등록을 하고 있는 호출 에어리어가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다. 또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호출 주기마다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함과 동시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 대응하는 이동국의 수 및 상기 수신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을 관리하는 데 있어서 사용하는 테이블(16B)을 가지고, 이 테이블(16B)에서는, 호출 에어리어 클래스마다 및 호출 에어리어마다 상기 호출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로 간헐 수신을 하는 이동국의 식별 번호와 그 수신타이밍이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다.
910에서 트래픽이 비어 있는 경우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아무 것도 행하지 않는다. 한편, 트래픽이 붐비고 있는 경우는, 상기 호출 주기(A)의 다른 수신 타이밍(A2, A3) 및 다른 호출 주기(B, C)에 있어서의 트래픽을 측정한다(911). 그리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9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9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9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 또는 이들 양자를 이동국(1)에 통지한다(9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906).
그런데, 901에서 이동국(1)으로부터 통지가 있은 경우에는,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902). 상기 통지가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이면, 호출 주기(A)의 어느 1개의 수신 타이밍(예를 들면 수신 타이밍; A1)에서의 트래픽을 측정하여(903), 상기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9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9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904의 판단으로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비어 있는 수신 타이밍(A1)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905). 한편, 904의 판단으로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호출 주기(A)의 다른 수신 타이밍(A2, A3) 및 다른 호출 주기(B, C)에 있어서의 트래픽을 측정한다(911). 그리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9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9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9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 또는 이들 양자를 이동국(1)에 통지한다(9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906).
또한, 902에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이동국(1)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907).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이면, 상기 이동국(1)이 지정한 호출 주기에 있어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908). 여기서는, 예를 들면, 상기 이동국(1)이 호출 주기(A)로부터 호출 주기(B)로 변경하려 하고 있어, 변경처로서 호출 주기(B)를 지정한 것으로 한다. 따라서, 908에서는, 지정된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1 내지 B3) 각각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
그리고, 904에서 상기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 트래픽에 여유가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9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9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9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905). 한편, 9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도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호출 주기(나머지 후보인 호출 주기; C)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을 측정하여(911),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9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9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9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9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906).
또한, 907에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909). 여기서,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901로 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이면, 상기 통지와 함께 이동국(1)에 의해 통지되는 호출 주기(즉, 이동국(1)이 호출 에어리어의 이동 전에 간헐 수신하고 있던 호출 주기)에 있어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908).예를 들면, 호출 주기(B)가 이동국(1)으로부터 통지받은 경우는,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1 내지 B3) 각각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
그리고, 904에서 상기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9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9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9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905). 한편, 9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도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호출 주기(나머지 후보인 호출 주기; C)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을 측정하여(911),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9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9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9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9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906).
상기에서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이동국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경우 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결정한 임의의 경우에,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슬립 모드의 이동국수와,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 양쪽 또는 한쪽에 따라서, 이동국에 대하여,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여, 상기 이동국이 상기 변경 지시에 근거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하기 때문에,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특정한 수신 타이밍에 착신 트래픽이 집중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평활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없는 경우라도, 상기 이동국(1)이 간헐 수신하고 있는 호출 주기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현 상태의 트래픽을 평가하여, 혹시 붐비고 있다고 위치 정보 관리 서버(5)가 판단하면, 다른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를 찾아, 상기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 또는 이들 양자를 이동국(1)에 통지하여 간헐 수신시키기 때문에, 간헐 수신중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이 급격히 증가하더라도 상기 폭주 상태를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다.
(4) 위치 정보 관리 서버의 제 2 처리 동작
도 10을 따라,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제 2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이동국(1)으로부터 새롭게 슬립 모드로 이행하거나 또는 슬립 상태를 변경하거나 또는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001). 여기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일정 시간 걸러 배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이동국(1)이 간헐 수신하고있는 호출 주기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현 상태의 트래픽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이동국(1)이 상기 시점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간헐 수신하고 있다고 하면, 무선 기지국(2)은 배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을 평가한다(1010). 예를 들면, 여기서의 트래픽량의 평가로서는, 배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실제의 이동국수와, 수신 타이밍(A1 내지 A3)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이동국수의 평균치를 비교함과 동시에,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과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평가 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외의 방법으로 행하여도 된다.
상기 1010에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예를 들면 도 17a, 도 17b, 도 17c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이동국수의 평균치나 착신 트래픽량을 구하고, 트래픽 평가를 하여도 된다. 도 17a, 도 17b, 도 17c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가 갖는 테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관리 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을 인식하기 위한 테이블(17A)을 가지고, 이 테이블(17A)에서는, 이동국의 식별 번호(MT1, MT2 등)와,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호출 주기와, 위치 등록을 하고 있는 호출 에어리어와, 이동국이 속하는 서비스 클래스가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다. 또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각 서비스 클래스에 있어서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17B, 17C)을 갖는다. 테이블(17B)에서는, 호출 에어리어(C)마다 및 호출 에어리어마다 상기 호출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로 간헐 수신을 하는 이동국의 식별 번호와 그 수신 타이밍이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고, 테이블(17C)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서비스 클래스로서, 처리의 신속성이 강하게 요구되는 리얼 타임 클래스 및 처리의 신속성은 요구되지 않고 절전 등이 요구되는 비리얼 타임 클래스가 존재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그 이외에도 클래스 분류가 가능한 것에는 적용 가능하다.
1010에서 트래픽이 비어 있는 경우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아무 것도 행하지 않는다. 한편, 트래픽이 붐비고 있는 경우는, 상기 호출 주기(A)의 다른 수신 타이밍(A2, A3) 및 다른 호출 주기(B, C)에 있어서의 트래픽을 측정한다(1011). 그리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0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0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0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 또는 이들 양자를 이동국(1)에 통지한다(10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1006).
그런데, 1001에서 이동국(1)으로부터 통지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002). 상기 통지가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이면,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국(1)이 간헐 수신을 하는 상기 서비스 클래스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A)의 트래픽을 측정하여(1003), 상기 호출 주기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0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0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004의 판단으로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비어 있는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1005). 예를 들면, 리얼 타임 클래스인 경우에는, 호 손실이 생기지 않도록 가능한 한 비어 있는 수신 타이밍을 할당한다. 한편, 1004의 판단으로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호출 주기(A)의 다른 수신 타이밍(A2, A3) 및 다른 호출 주기(B, C)에 있어서의 트래픽을 측정한다(1011). 그리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0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0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0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 또는 이들 양자를 이동국(1)에 통지한다(10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1006).
또한, 1002에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이동국(1)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007).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이면, 상기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국(1)이 지정한 호출 주기에 있어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1008). 여기서는, 예를 들면, 상기 이동국(1)이 호출 주기(A)로부터 호출 주기(B)로 변경하려 하고 있어, 변경처로서 호출 주기(B)를 지정한 것으로 한다. 따라서, 1008에서는, 지정된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1 내지 B3) 각각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
그리고, 1004에서 상기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0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0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0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1005). 한편, 10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도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호출 주기(나머지 후보인 호출 주기; C)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을 측정하여(1011),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0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0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0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할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10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1006).
또한, 1007에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009). 여기서,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1001로 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이면, 상기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를 확인하여, 상기 통지와 함께 이동국(1)에 의해 통지되는 호출 주기(즉, 이동국(1)이 호출 에어리어 이동 전에 간헐 수신하고 있는 호출 주기)에 있어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1008). 예를 들면, 호출 주기(B)가 이동국(1)으로부터 통지받은 경우는,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1 내지 B3) 각각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
그리고, 1004에서 상기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0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0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0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1005). 한편, 10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도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다른 호출 주기(나머지 후보인 호출 주기; C)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을 측정하여(1011),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0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0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0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할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10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1006).
상기에서는, 이동국의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국에 의해 상기 서비스 클래스에 따른 적절한 간헐 수신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클래스로서는, 리얼 타임 클래스와 비리얼 타임 클래스를 이동국에 설정할 수 있어, 비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에 대해서는, 호출 주기를 길게 하여 효과적인 배터리 절약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에 대해서는, 호출 주기를 짧게 설정하여, 호출 지연을 극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5) 위치 정보 관리 서버의 제 3 처리 동작
도 11을 따라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제 3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이동국(1)으로부터 새롭게 슬립 모드로 이행하거나 또는 슬립 상태를 변경하거나 또는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101). 여기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일정 시간 걸러 배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이동국(1)이 간헐 수신하고 있는 호출 주기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현 상태의 트래픽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이동국(1)이 상기 시점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간헐 수신하고 있다고 하면, 무선 기지국(2)은 배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을 평가한다(1110). 예를 들면, 여기서의 트래픽량 평가로서는, 배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실제의 이동국수와, 수신 타이밍(A1 내지 A3)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이동국수의 평균치를 비교함과 동시에,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과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평가 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외의 방법으로 행하여도 된다.
상기 1110에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예를 들면 도 18a, 도 18b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이동국수의 평균치나 착신 트래픽량을 구하여, 트래픽 평가를 하여도 된다. 도 18a, 도 18b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가 갖는 테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관리 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을 인식하기 위한 테이블(18A)을 가지고, 이 테이블(18A)에서는, 이동국의 식별 번호(MT1, MT2 등)와, 위치 등록을 하고 있는 호출 에어리어가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다. 또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개개의 호출 에어리어에 대해서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함과 동시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 대응하는 이동국의 수 및 상기 수신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을 관리하는 가운데 사용하는 테이블(18B)을 가지고, 이 테이블(18B)에서는, 호출 에어리어마다 상기 호출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이동국의 식별 번호와 그 수신 타이밍이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다.
1110에서 트래픽이 비어 있는 경우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아무 것도행하지 않는다. 한편, 트래픽이 붐비고 있는 경우는, 자체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보다 상위 또는 하위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호출 주기(A)의 다른 수신 타이밍(A2, A3) 및 다른 호출 주기(B, C)에 있어서의 트래픽을 측정한다(1111). 그리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1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1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1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 또는 이들 양자를 이동국(1)에 통지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국을 추가한다(11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1106).
그런데, 1101에서 이동국(1)으로부터 통지가 있던 경우에는,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102). 상기 통지가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이면, 호출 주기(A)가 있는 1개의 수신 타이밍(예를 들면 수신 타이밍; A1)에서의 트래픽을 측정하여(1103), 상기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1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1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104의 판단으로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비어 있는 수신 타이밍(A1)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1105). 한편, 1104의 판단으로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자체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보다 상위 또는 하위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호출 주기(A)의 다른 수신 타이밍(A2, A3) 및 다른 호출 주기(B, C)에 있어서의 트래픽을 측정한다(1111). 그리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1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1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1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 또는 이들 양자를 이동국(1)에 통지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국을 추가한다(11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1106).
또한, 1102에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이동국(1)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107).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이면, 상기 이동국(1)이 지정한 호출 주기에 있어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1108). 여기서는, 예를 들면, 상기 이동국(1)이 호출 주기(A)로부터 호출 주기(B)로 변경하려 하고 있어, 변경처로서 호출 주기(B)를 지정한 것으로 한다. 따라서, 1108에서는, 지정된 호출 주기(B)의수신 타이밍(B1 내지 B3) 각각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
그리고, 1104에서 상기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1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1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1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1105). 한편, 11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도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자체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보다 상위 또는 하위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를 검색하여, 다른 호출 주기(나머지 후보인 호출 주기; C)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을 측정하여(1111),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1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1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1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국을 추가한다(11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1106).
또한, 1107에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109). 여기서,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1101로 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이면, 상기 통지와 함께 이동국(1)에 의해 통지되는 호출 주기(즉, 이동국(1)이 호출 에어리어 이동 전에 간헐 수신하고 있는 호출 주기)에 있어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1108). 예를 들면, 호출 주기(B)가 이동국(1)으로부터 통지받은 경우는,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1 내지 B3) 각각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
그리고, 1104에서 상기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1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1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1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1105). 한편, 11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도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자체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보다 상위 또는 하위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를 검색하여, 다른 호출 주기(나머지 후보인 호출 주기; C)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을 측정하여(1111),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1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1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1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국을 추가한다(11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통지한다(1106).
상기에서는, 1개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집중하고 있는 처리를 각 계층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로 분산하기 위해, 처리 부하를 분산하여 1개의 서버에 걸리는 처리 부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고장 시에 모든 시스템이 정지한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6) 위치 정보 관리 서버의 제 4 처리 동작
도 12를 따라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제 4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이동국(1)으로부터 새롭게 슬립 모드로 이행하거나 또는 슬립 상태를 변경하거나 또는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201). 여기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없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일정 시간 걸러 배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이동국(1)이 간헐 수신하고 있는 호출 주기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현 상태의 트래픽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이동국(1)이 상기 시점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간헐 수신하고 있다고 하면, 무선 기지국(2)은 배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을 평가한다(1210). 예를 들면, 여기서의 트래픽량 평가로서는, 배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호출 주기(A)의 수신 타이밍(A1)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실제의 이동국수와, 수신 타이밍(A1 내지 A3)으로 간헐 수신을 하고 있는 이동국수의 평균치를 비교함과 동시에,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과 소정의 트래픽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행한다. 또한, 평가 방법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외의 방법으로 행하여도 된다.
상기 1210에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예를 들면 도 19a, 도 19b, 도 19c의 테이블을 이용하여 이동국수의 평균치나 착신 트래픽량을 구하여, 트래픽 평가를 하여도 된다. 도 19a, 도 19b, 도 19c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가 갖는 테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관리 하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 위치하여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을 인식하기 위한 테이블(19A)을 가지고, 이 테이블(19A)에서는, 이동국의 식별 번호(MT1, MT2 등)와, 위치 등록을 하고 있는 호출 에어리어와, 이동국이 속하는 서비스 클래스가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다. 또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각 서비스 클래스에 있어서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19B, 19C)을 갖는다. 테이블(19B)에서는, 호출 에어리어마다 상기 호출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로 간헐 수신을 하는 이동국의 식별 번호와 그 수신 타이밍이 대응지어져 기억되어 있고, 테이블(19C)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서비스 클래스로서, 처리의 신속성이 강하게 요구되는 리얼 타임 클래스 및 처리의 신속성은 요구되지 않고 절전 등이 요구되는 비리얼 타임 클래스가 존재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그 이외에도 클래스 분류가 가능한 것에는 적용 가능하다.
1210에서 트래픽이 비어 있는 경우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아무 것도 행하지 않는다. 한편, 트래픽이 붐비고 있는 경우는, 자체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보다 상위 또는 하위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호출 주기(A)의 다른 수신 타이밍(A2, A3) 및 다른 호출 주기(B, C)에 있어서의 트래픽을 측정한다(1211). 그리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2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2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2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 또는 이들 양자를 이동국(1)에 통지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국을 추가한다(12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1206).
그런데, 1201에서 이동국(1)으로부터 통지가 있은 경우에는,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202). 상기 통지가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이면,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국(1)이 간헐 수신을 하는 상기 서비스 클래스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A)의 트래픽을 측정하여(1203), 상기 호출 주기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2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2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204의 판단으로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비어 있는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1205). 예를 들면, 리얼 타임 클래스인 경우에는, 호 손실이 생기지 않도록 가능한 한 비어 있는 수신 타이밍을 할당한다. 한편, 1204의 판단으로 수신 타이밍(A1)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자체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보다 상위 또는 하위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호출 주기(A)의 다른 수신 타이밍(A2, A3) 및 다른 호출 주기(B, C)에 있어서의 트래픽을 측정한다(1211). 그리고,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2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2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2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 또는 이들 양자를 이동국(1)에 통지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국을 추가한다(12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 또는 호출 주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1206).
또한, 1202에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이동국(1)이 신규로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207).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이면, 상기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국(1)이 지정한 호출 주기에 있어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1208). 여기서는, 예를 들면, 상기 이동국(1)이 호출 주기(A)로부터 호출 주기(B)로 변경하려 하고 있어, 변경처로서 호출 주기(B)를 지정한 것으로 한다. 따라서, 1208에서는, 지정된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1 내지 B3) 각각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
그리고, 1204에서 상기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2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2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2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1205). 한편, 12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도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자체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보다 상위 또는 하위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를 검색하여, 다른 호출 주기(나머지 후보인 호출 주기; C)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을 측정하여(1211),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2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2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2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할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국을 추가한다(12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1206).
또한, 1207에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209). 여기서,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가 아니면, 1201로 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상기 통지가 이동국(1)이 슬립 모드이고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취지의 통지이면, 상기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를 확인하여, 상기 통지와 함께 이동국(1)에 의해 통지되는 호출 주기(즉, 이동국(1)이 호출 에어리어 이동 전에 간헐 수신하고 있는 호출 주기)에 있어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1208). 예를 들면, 호출 주기(B)가 이동국(1)으로부터 통지받은 경우는, 호출 주기(B)의 수신 타이밍(B1 내지 B3) 각각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측정한다.
그리고, 1204에서 상기 호출 주기(B)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204). 여기서의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2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2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1205). 한편, 1204의 판단으로 어느 한 수신 타이밍에서도 트래픽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자체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보다 상위 또는 하위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를 검색하여, 다른 호출 주기(나머지 후보인 호출 주기; C)의 각 수신 타이밍에서의 트래픽을 측정하여(1211), 그 측정 결과로부터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212). 여기서의 각 수신 타이밍에 대한 여유 유무 판단에서는, 상기 1210에서의 트래픽 평가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212에서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할 경우에는,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서 상기 수신 타이밍을 이동국(1)에 통지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상기 이동국을 추가한다(1213). 한편, 트래픽에 여유가 있는 수신 타이밍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현상 유지를 이동국(1)에 대하여 통지한다(1206).
상기에서는, 이동국에 의해 상기 서비스 클래스에 따른 적절한 간헐 수신을 실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1개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집중하고 있는 처리를 각 계층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로 분산하기 때문에, 처리 부하를 분산하여 1개의 서버에 걸리는 처리 부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고장 시에 모든 시스템이 정지한다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7) 이동국의 처리 동작
도 13을 따라 이동국(1)의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이동국(1)은 자국 내의 소정의 타이머(슬립 모드 이행 판단용 타이머)가 만료하여 새롭게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이행 요구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301).
여기서, 새롭게 슬립 모드로의 이행 요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는, 무선 기지국(2) 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로부터 수신 타이밍만을 통지받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304). 수신 타이밍만 통지받은 경우에는, 이동국(1)은 수신 타이밍을 상기 통지받은 번호(지정 번호)로 변경하여(1306), 미리 정한 디폴트의 호출 주기(예를 들면 호출 주기; A)로 상기 변경 후의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1308). 한편, 1304에서 수신 타이밍 뿐만 아니라 호출 주기에 관해서도 통지받은 경우에는, 이동국(1)은 수신 타이밍 및 호출 주기를 각각 상기 통지받은 수신 타이밍 및 호출 주기로 변경하여(1305), 상기 변경 후의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1308).
1301에서 새롭게 슬립 모드로의 이행 요구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이미 슬립 모드로 이행 완료로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변경 요구가 발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302).
여기서, 슬립 모드의 변경 요구가 발생하고 있는 경우는, 무선 기지국(2) 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로부터 수신 타이밍만을 통지받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304). 수신 타이밍만 통지받은 경우에는, 이동국(1)은 수신 타이밍을 상기 통지받은 번호(지정 번호)로 변경하여(1306), 미리 정한 디폴트의 호출 주기(예를 들면 호출 주기 ;A)로 상기 변경 후의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1308). 한편, 1304에서 수신 타이밍 뿐만 아니라 호출 주기에 관해서도 통지받은 경우에는, 이동국(1)은 수신 타이밍 및 호출 주기를 각각 상기 통지받은 수신 타이밍 및 호출 주기로 변경하여(1305), 상기 변경 후의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1308).
1302에서 슬립 모드의 변경 요구가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자국(이동국; 1)이 신규인 셀 내 또는 신규 호출 에어리어 내로 이동하여 왔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303). 또한, 상술한 도 6과 같이 복수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5Z, 5Y, 5X)가 호출 에어리어(C)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Z)를 정점으로 하여, 호출 에어리어의 크기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계층화된 시스템 구성인 경우는, 자국(이동국; 1)이 신규인 위치 정보 관리 서버 배하로 이동하여 온 경우도 1303에서는 긍정 판단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신규의 셀 내 또는 신규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 배하로 이동하여 온경우는, 무선 기지국(2) 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로부터 수신 타이밍만을 통지받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304). 수신 타이밍만 통지받은 경우에는, 이동국(1)은 수신 타이밍을 상기 통지받은 번호(지정 번호)로 변경하여(1306), 미리 정한 디폴트의 호출 주기(예를 들면 호출 주기; A)로 상기 변경 후의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1308). 한편, 1304에서 수신 타이밍 뿐만 아니라 호출 주기에 관해서도 통지받은 경우에는, 이동국(1)은 수신 타이밍 및 호출 주기를 각각 상기 통지받은 수신 타이밍 및 호출 주기로 변경하여(1305), 상기 변경 후의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1308).
또한, 1301, 1302, 1303 모두 부정 판단된 경우는, 그때까지의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을 보유하여(1307), 상기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을 한다(1308).
상기 이동국의 동작에 의해, 무선 기지국 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의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에 관한 변경 지시에 근거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에 의한 간헐 수신 또는 상기 이동국의 서비스 클래스에 따른 적절한 간헐 수신이 실현되게 된다.
[(제 2부) 이동국이 아이들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의 네트워크 레이어에서의 제어에 관련되는 구성과 처리]
[제 1 실시예]
이하, 제 2부의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각 장치의 구성)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에 도시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은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와, 통신망(4)과, 복수의 이동국(1)과, 복수의 무선 기지국(2)으로 구성된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통신망(4)에 접속되어, 이동국(1)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나 이동국(1)에 할당되어 있는 착신군에 관한 착신군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각 이동국(1)에 호출 신호를 수신해야 하는 타이밍의 지정 착신군 할당이나 이동국(1)에의 지정 착신군 통지 등을 행한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통신망(4) 및 무선 기지국(2)을 통해 이동국(1)과 신호 송수신을 한다. 또한, 「착신군」이란 제 1부에 있어서의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의 조합에 상당한다. 단, 이하의 제 2부에서는 호출 주기가 일정한 경우 에 대해서 설명하기 때문에, 「착신군」은 수신 타이밍에 상당하게 된다.
통신망(4)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 복수의 무선 기지국(2)이 접속되어, 통신망(4)은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와 무선 기지국(2)간의 통신이나 무선 기지국(2)끼리의 통신을 중계한다. 무선 기지국(2)은 셀(3)이라 불리는 무선 에어리어를 형성하고, 셀(3) 내에 존재하는 이동국(1)과 무선 회선을 설정하여, 통신을 행한다. 무선 기지국(2)은 자국이 커버하는 셀(3)에 존재하는 복수의 대기 상태인 이동국(1)에 착신군마다 정해진 타이밍으로 주기적으로 호출 신호를 송신한다. 셀(3)은 복수 집합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6)를 형성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2)은 자국이 속해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정기적으로 이동국(1)에 송신하고 있다. 이로써, 이동국(1)이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더구나,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란 위치 등록 에어리어(6)를 식별하기 위한 각 위치 등록 에어리어(6)에 고유 문자나 기호, 숫자이다. 또한, 무선 기지국(2)은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가 아니라, 기지국 ID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이동국(1)은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2)은 통신망(4)과 접속되어, 셀(3) 내에 존재하는 이동국(1)으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에의 신호나 다른 이동국(1)에의 신호를 중계한다. 또한, 무선 기지국(2)은 통신망(4)을 통해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와의 사이에서 신호 송수신을 한다.
이동국(1)은 자국이 존재하는 셀(3)이 속하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6)에 위치 등록을 하여, 무선 기지국(2)을 통해 통신을 한다. 이동국(1)은 할당된 착신군에 속하여, 대기 상태 시에 그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호출 신호를 간헐적으로 수신하는 간헐 수신을 한다.
다음으로, 도 21a 내지 도 21c를 사용하여 위치 정보 관리 서버(5) 및 이동국(1)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1a에 있어서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A), 위치 등록 에어리어(B)라는 2개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더구나,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위치 등록 에어리어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A), 위치 등록 에어리어(B)뿐만 아니라, 위치 등록 에어리어(C), 위치 등록 에어리어(D)라는 식으로 다수 존재한다. 또한, 이동국(1)은 처음에 위치 등록 에어리어(A)에 위치 등록되어 있고, 위치 등록 에어리어(A)에 포함되는 셀을 커버하는 무선 기지국(2a)과 무선 회선을 설정하여 통신을 하고 있다. 여기서, 이동국(1)이위치 등록 에어리어(A)로부터 위치 등록 에어리어(B) 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포함되는 셀을 커버하는 무선 기지국(2b)과의 사이의 무선 회선으로 바꾸어 통신을 한다고 한다. 더구나, 도 21a에서는, 각 위치 등록 에어리어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기지국(2a, 2b)은 1개씩 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복수 존재한다. 또한, 도 21a에 있어서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A)의 착신군은 도 21b에 도시하는 착신군(8a)이고,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착신군은 도 21c에 도시하는 착신군(8b)이다. 각 착신군에는 착신군을 식별하기 위한 각 착신군에 고유 번호인 착신군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21a의 경우, 이동국(1)은 변경 전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A)에 있어서, 도 21b에 도시하는 착신군 번호가 1인 착신군(9a)에 속해 있다.
우선,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에 대해서 설명한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망 인터페이스(21)와, 측정부(22)와, 제어부(23)와, 데이터베이스(24)로 구성된다. 망 인터페이스(21)는 통신망(4), 측정부(22), 제어부(23)와 접속되어 있다. 망 인터페이스(21)는 이동국(1)이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하는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이다. 또한, 망 인터페이스(21)는 이동국(1)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을 검출하였을 때, 그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는 변경 전 착신군을 취득하는 착신군 취득 수단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망 인터페이스(21)는 이동국(1)으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무선 기지국(2b), 통신망(4)을 통해 수신한다. 이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에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이동국(1)을 위치 등록하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 요구와, 이동국(1)이 변경하기 전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인 위치 등록 에어리어(A)에 있어서 속해 있던 변경 전 착신군인 착신군(9a)의 착신군 번호 「1」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망 인터페이스(21)는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수신함으로써, 이동국(1)이 위치 등록되어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이 발생한 것이나 변경 전 착신군을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망 인터페이스(21)는 제어부(23)에 수신한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전송한다.
또한, 망 인터페이스(21)는 제어부(23)가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을 하는 이동국(1)에 할당한 지정 착신군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망 인터페이스(21)는 제어부(23)의 제어에 근거하여, 지정 착신군의 통지를 행한다. 망 인터페이스(21)는 이동국(1)에 할당한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를 취득한다. 망 인터페이스(21)는 통신망(4), 무선 기지국(2b)을 통해 이동국(1)에 정보 신호(11)를 송신하여, 제어부(23)가 할당한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서 속해야 하는 지정 착신군을 이동국(1)에 통지한다.
데이터베이스(24)는 이동국(1)에 관한 위치 정보나 이동국(1)에 관한 착신군 정보를 보유하는 보유 수단이다. 데이터베이스(24)는 위치 관리 테이블(24a)과, 착신군 관리 테이블(24b)과, 측정 결과 테이블(24c)로 구성된다. 도 22a 내지 도 22c에 데이터베이스(24)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22a에 도시하는 위치 관리 테이블(24a)은 각 이동국(1)의 이동국 ID와, 각 이동국(1)이 위치 등록을 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도시하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의 정보를 대응지어 보유하고 있다.
또한, 도 22b에 도시하는 착신군 관리 테이블(24b)은 위치 등록 에어리어마다의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착신군 관리 테이블(24b)은 위치 등록 에어리어마다 그 위치 등록 에어리어에 위치 등록을 하고 있는 이동국(1)의 이동국 ID와, 그 이동국(1)에 할당되어 있는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대응지어 보유하고 있다. 더욱이, 착신군 관리 테이블(24b)은 측정부(22)가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1)의 수나 각 착신군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이나 데이터량을 인식하여 관리한다. 도 22c에 도시하는 측정 결과 테이블(24c)은 측정부(22)에 의한 측정 결과를 보존한다. 측정 결과 테이블(24c)은 착신군 번호와, 그 착신군 번호의 착신군에 관한 측정 결과를 대응지어 보존하고 있다. 더구나, 도 22c에서는, 측정 결과의 일례로서, 각 착신군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측정 결과 테이블(24c)은 그 밖에도 측정 결과로서,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1)의 수나 각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량 등을 보유한다.
측정부(22)는 각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트래픽량 측정 수단이다. 또한, 측정부(22)는 각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각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1)의 수를 측정하는 이동국수 측정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측정부(22)는 각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량을 측정하는 데이터량 측정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측정부(22)는 망 인터페이스(21), 제어부(23), 데이터베이스(24)와 접속하고 있다. 이하에,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있어서의 트래픽 측정 처리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측정부(22)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위치 등록을 하고 있는복수의 이동국(1)에 붙여진 착신 호의 수를 감시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을 측정한다. 예를 들면, 측정부(22)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포함되는 셀(3)을 커버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2b)에 대해서, 각 무선 기지국(2b)에 일정 기간에 도착한 착신 호의 수나, 그 때 각 무선 기지국(2b)의 버퍼에 고여 있는 착신 호의 수 등을 착신 호의 수신처의 이동국(1)마다 상시 또는 정기적으로 측정한다. 이로써, 측정부(22)는 이동국(1)마다의 착신 호의 수를 파악한다. 다음으로, 측정부(22)는 착신군 관리 테이블(24b)을 참조하여, 각 이동국(1)이 속하는 착신군을 파악한다. 그리고, 측정부(22)는 수신한 이동국(1)마다의 착신 호의 수와, 각 이동국(1)이 속하는 착신군으로부터 각 착신군의 착신 호의 수를 구한다. 이로써, 측정부(22)는 착신 호의 수를 착신군마다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22)는 다른 방법에 의해, 각 착신군의 착신 트래픽량을 측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측정부(22)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서 대기를 하고 있는 복수의 이동국(1)의 수를 착신군마다 상시 또는 정기적으로 감시함으로써,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1)의 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22)는 착신군 관리 테이블(24b)을 참조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마다, 착신군마다, 이동국(1)의 수를 셈으로써,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속하는 이동국(1)의 수를 착신군마다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22)는 다른 방법에 의해, 각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1)의 수를 측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측정부(22)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위치 등록을 하고 있는 복수의이동국(1)으로 보내진 착신 호의 데이터량을 착신군마다 상시 혹은 정기적으로 감시함으로써,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량을 측정한다. 더구나, 착신 호의 데이터량은 착신 호에 포함되는 패킷수 등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측정부(22)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포함되는 셀(3)을 커버하는 복수의 무선 기지국(2b)에 대해서, 각 무선 기지국(2b)에 일정 기간에 도착한 착신 호의 패킷수 등의 데이터량이나 그 때 각 무선 기지국(2b)의 버퍼에 고여 있는 착신 호의 패킷수의 데이터량 등을 착신 호의 수신처의 이동국(1)마다 측정한다. 이로써, 측정부(22)는 이동국(1)마다의 착신 호의 데이터량을 파악한다. 다음으로, 측정부(22)는 착신군 관리 테이블(24b)을 참조하여, 각 이동국(1)이 속하는 착신군을 파악한다. 그리고, 측정부(22)는 수신한 이동국(1)마다의 착신 호의 패킷수 등의 데이터량과, 각 이동국(1)이 속하는 착신군으로부터 각 착신군의 착신 호의 패킷수 등의 데이터량을 구한다. 이로써, 측정부(22)는 착신 호의 데이터량을 착신군마다 감시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22)는 다른 방법에 의해, 각 착신군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량을 측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측정부(22)는 측정한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있어서의 각 착신군의 착신 트래픽량, 이동국(1)의 수, 이동국(1) 앞으로의 착신 호의 데이터량 등의 측정 결과와, 착신군 번호를 제어부(23)에 통지한다. 또한, 측정부(22)는 측정한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있어서의 각 착신군의 트래픽량, 이동국(1)의 수, 이동국(1) 앞으로의 착신 호의 데이터량 등의 측정 결과와, 착신군 번호를 측정 결과 테이블(24c)에 기록한다. 측정부(22)는 정기적으로 측정을 행할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측정 결과 테이블(24c)의 트래픽량, 이동국(1)의 수, 이동국(1) 앞으로의 착신 호의 데이터량을 갱신한다. 또한, 제어부(23)가 착신군의 할당을 할 때에 측정부(22)가 측정을 하는 경우에는, 측정 결과 테이블(24c)은 다음 측정까지 측정 결과를 보유하고 있어도 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파기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어부(23)는 망 인터페이스(21), 측정부(22), 데이터베이스(24)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3)는 복수의 착신군 중에서,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지정 착신군을 검출하는 착신군 검출 수단이다. 망 인터페이스(21)에 의해, 이동국(1)이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한 경우, 제어부(23)는 검출한 지정 착신군을 이동국(1)에 할당한다. 즉, 제어부(23)는 이동국(1)이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하였을 때에, 그 이동국(1)에 대하여 지정 착신군 할당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망 인터페이스(21)가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수신하고, 제어부(23)에 전송하여, 제어부(23)가 그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망 인터페이스(21)가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 발생을 검출한다. 이 때, 제어부(23)는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로부터 위치 정보를 변경하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와, 이동국(1)의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취득한다.
제어부(23)는 측정부(22)로부터 측정 결과 통지를 받아, 그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있어서의 지정 착신군을 검출한다. 이 경우, 제어부(23)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에 근거하여, 지정 착신군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3)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착신군 중에서, 착신 트래픽량이 적은 착신군을 선택하여, 상기 착신군을 지정착신군으로서 검출한다. 또한, 제어부(23)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1)의 수에 근거하여, 지정 착신군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3)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착신군 중에서, 속해 있는 이동국수가 적고, 더욱이, 대기를 하고 있는 이동국수가 적은 착신군을 선택하여, 상기 착신군을 지정 착신군으로서 검출한다. 또한, 제어부(23)는 변경처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량에 근거하여, 지정 착신군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3)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착신군 중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량이 적은 착신군을 선택하여, 상기 착신군을 지정 착신군으로서 검출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23)는 착신 트래픽량, 이동국(1)의 수, 각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량 중 어느 하나에 근거하여, 착신군을 선택하여도 되고, 착신 트래픽량, 이동국(1)의 수, 각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량 중 어느 2개 또는 모두에 근거하여, 착신군을 선택하여, 상기 착신군을 지정 착신군으로서 검출하여도 된다.
도 21a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국(1)은 변경 전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A)에 있어서, 착신군 번호가 「1」인 착신군(9a)(도 21b 참조)에 속해 있다. 여기서,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서는, 착신군 번호가 「1」인 착신군의 착신 트래픽량이 크고, 착신군 번호가 「2」인 착신군의 착신 트래픽량이 작은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23)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있어서의 지정 착신군으로서, 착신군 번호 「2」인 착신군을 선택하여, 상기 착신군을 지정 착신군으로서 검출한다.
더구나, 제어부(23)는 측정부(22)로부터 정기적으로 각 위치 등록 에어리어에 대한 측정 결과 통지를 받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제어부(23)는 착신군이 할당을 할 때에, 각 위치 등록 에어리어에 대해서, 착신 트래픽량, 이동국(1)의 수, 이동국(1) 앞으로의 착신 호의 데이터량 등을 측정하도록 측정부(22)에 지시를 하여, 측정 결과 통지를 받도록 하여도 된다. 더구나, 이 경우에는, 제어부(23)는 측정부(22)에 측정시키는 항목의 종류를 지정하여 지시를 한다. 즉, 제어부(23)는 착신 트래픽량, 이동국(1)의 수, 이동국(1) 앞으로의 착신 호의 데이터량 중 어느 1개 또는 2개 이상 혹은 모두를 측정하도록 지정하여 지시를 한다.
또한, 제어부(23)는 망 인터페이스(21) 제어도 행한다. 제어부(23)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있어서의 지정 착신군을 검출하면, 그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와, 망 인터페이스(21)로부터 전송된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에 포함되어 있던 변경 전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가 동일한지 다른지를 판단한다. 제어부(23)는 변경 전 착신군과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가 달라, 착신군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검출한 지정 착신군을 이동국(1)에 할당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이동국(1)의 이동국 ID와 대응지어, 할당한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를 앙 인터페이스(21)에 전송하여, 이동국(1)에 위치 등록 완료 통지와 함께 착신군 변경을 지시한다. 한편, 제어부(23)는 변경 전 착신군과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가 동일하고, 착신군에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검출한 지정 착신군을 이동국(1)에 할당하지 않고, 망 인터페이스(21)에 대하여 아무 것도 지시는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망 인터페이스(21)는 이동국(1)에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 통지를 하지 않고, 이동국(1)으로 위치 등록 완료 통지만 행한다.
도 21a의 경우, 변경 전 착신군인 착신군이 착신군 번호 「1」이고, 지정 착신군인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 「2」와는 다르다고 판단하여, 착신군에 변경이 있다고 판단한다. 그 때문에, 제어부(23)는 검출한 지정 착신군을 이동국(1)에 할당하여, 할당한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 「2」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를 망 인터페이스(21)에 전송하여, 이동국(1)에 위치 등록 완료 통지와 함께 착신군 변경을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23)는 이동국(1)에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있어서의 지정 착신군을 할당하면,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착신군 관리 테이블(24b)에 추가하여 기록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3)는 착신군 관리 테이블(24b)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영역에 지정 착신군을 할당한 이동국(1)의 이동국 ID와 대응지어, 지정 착신군인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 「2」를 기록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부(23)는 이동국(1)의 이동국 ID와, 그 이동국(1)이 속해 있는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와의 관계를 등록하여, 착신군 관리 테이블(24b)을 자동적으로 작성한다.
또한, 제어부(23)는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취득하면, 그 신호에 포함되는 변경처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를 위치 관리 테이블(24a)에 기록하여, 위치 등록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3)는 위치 관리 테이블(24a)에 위치 등록 요구를 하여 온 이동국(1)의 이동국 ID와 대응지어,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를 기록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부(23)는 이동국(1)의 이동국 ID와, 그 이동국(1)이 속해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와의 관계를 등록하고, 위치 관리 테이블(24a)을 작성하여, 이동국(1)의 위치 정보를 관리한다.
다음으로, 이동국(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1)은 무선부(41)와 제어부(42)로 구성되고, 무선부(41)와 제어부(42)는 접속되어 있다. 무선부(41)는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와 다른 위치 등록 에어리어로 이동한 경우, 그것을 검출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 요구를 하는 요구 수단이다. 또한, 무선부(41)는 무선 기지국(2a, 2b)으로부터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통지받은 정보 중에서, 새로운 위치 등록 에어리어로 호출 신호를 수신해야 하는 타이밍의 착신군을 취득하는 취득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국(1)은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이 발생하였을 때에,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로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송신하고, 위치 정보 관리 서버(5)가 변경처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서 호출 신호를 수신해야 하는 타이밍의 착신군으로서 할당한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를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로부터 통신망(4), 무선 기지국(2b)을 통해 수신한다. 무선부(41)는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를 수신한 경우만 제어부(42)에 정보 신호(11)를 전송한다.
또한, 무선부(41)는 제어부(42)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무선 기지국(2a, 2b)으로부터 송신되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무선부(41)는 지정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호출 신호의 간헐 수신을 한다. 또한, 무선부(41)는 항상 무선 기지국(2a, 2b)으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를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제어 신호를 제어부(42)에 전송한다.
또한, 무선부(41)는 제어부(42)에 의한 제어에 근거하여,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무선부(41)는 무선 기지국(2a, 2b), 통신망(4)을 통해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에 송신한다.
제어부(42)는 무선부(4)가 무선 기지국(2a, 2b)으로부터 정보 신호를 수신한 경우, 통지받은 정보에 따라서, 착신군 설정을 변경하는 설정 변경 수단이다. 제어부(42)는 무선부(41)에 의해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 요구를 하였을 때, 무선 기지국(2a, 2b)으로부터 통지받은 정보 중에 착신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착신군 설정을 변경한다. 우선, 제어부(42)는 무선 기지국(2a, 2b)으로부터 통지받은 정보 중에 착신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제어부(42)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로부터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 통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2)는 무선부(41)로부터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 전송이 있으면, 착신군 번호 통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 전송이 없으면, 착신군 번호 통지가 없다고 판단한다.
제어부(42)는 착신군 번호 통지가 있다고 판단하여, 통지받은 정보 중에 착신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로부터,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취득한다. 제어부(42)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을 취득한 지정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다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42)는그 다시 설정한 착신군 번호의 지정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호출 신호를 수신하도록 무선부(41)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42)는 착신군 번호 통지가 없다고 판단하여, 통지받은 정보 중에 착신군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던 경우에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 설정 변경은 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42)는 변경처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있어서도,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하기 전에 속해 있던 위치 등록 에어리어(A)에서 속해 있던 변경 전 착신군을 계속하여 사용하여, 변경 전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호출 신호를 수신하도록 무선부(41)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2)는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생성하여, 무선부(41)를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2)는 무선부(41)로부터 무선부(41)가 수신한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취득한다. 제어부(42)는 그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가 변경한 것을 인식하면, 위치 등록 에어리어가 변경하였다고 판단하여,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생성한다. 제어부(42)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변경 요구와,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 전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에서 속해 있는 변경 전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42)는 생성한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무선부(41)로 전송하여,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에 송신하도록 지시를 하여 제어한다.
도 21a의 경우, 무선부(41)는 처음에 위치 등록 에어리어(A)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있다. 그리고, 이동국(1)이 위치 등록 에어리어(A)로부터 위치 등록 에어리어(B)를 향하여 이동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A)와 위치 등록 에어리어(B)와의 경계에 당도하면, 무선부(41)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제어부(42)는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가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로 변경한 것을 인식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가 변경하였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42)는 변경처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와, 위치 등록 에어리어(A)에서 속해 있던 변경 전 착신군인 착신군(9a)(도 21b 참조)의 착신군 번호 「1」을 포함하는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생성하여, 무선부(41)에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에 송신시킨다.
그리고, 무선 기지국(2b)으로부터 무선부(41)는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를 수신하기 때문에, 제어부(42)는 지정 착신군인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 「2」를 취득한다. 제어부(42)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을 착신군 번호 「1」인 착신군의 타이밍으로부터, 취득한 착신군 번호 「2」인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다시 설정한다. 이로써,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있어서는, 무선부(41)는 착신군 번호 「2」인 착신군(9b; 도 21c 참조)의 타이밍으로 호출 신호를 간헐 수신한다.
(이동 통신 방법)
다음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행하는 이동 통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3은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이동국(1)으로부터 위치 등록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S101). 구체적으로는, 망 인터페이스(21)가 이동국(1)으로부터 수신하여 제어부(23)에 전송하는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제어부(23)가 취득하였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단한다.
스텝(S101)에 있어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서의 위치 등록 요구가 있는 경우,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이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1)의 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도착하는 데이터량 등을 측정한다(S102). 구체적으로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제어부(23)가 측정부(22)에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대해서 착신군마다의 착신 트래픽량이나 이동국(1)의 수, 각 착신군의 타이밍에서 도착하는 데이터량을 측정하도록 지시하여 측정부(22)가 측정을 한다. 한편, 스텝(S101)에 있어서, 위치 등록 요구가 없던 경우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위치 등록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의 감시를 계속한다.
다음으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스텝(S102)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있어서의 지정 착신군을 선택하여, 상기 착신군을 지정 착신군으로서 검출한다(S103). 구체적으로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제어부(23)가 측정부(22)로부터 측정 결과 통지를 받아, 그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착신군 중에서 착신 트래픽량이 적은 착신군을 선택하거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착신군 중에서, 속해 있는 이동국(1)의 수가 적어 대기를 하고 있는 이동국(1)의 수가 적은 착신군을 선택하거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착신군 중에서, 송신해야 할 데이터량이 적은 착신군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검출한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와, 변경 전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가 동일한지 다른지를 판단한다(S104). 구체적으로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제어부(23)가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와, 망 인터페이스(21)로부터 전송된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에 포함되어 있는 변경 전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가 동일한지 다른지를 판단한다.
스텝(S104)에 있어서, 변경 전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와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가 다른 경우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이동국(1)에 지정 착신군을 할당하여, 할당한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이동국(1)에 통지한다(S105). 한편, 스텝(S104)에 있어서, 양 착신군 번호가 동일한 경우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이동국(1)에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 통지를 하지 않고, 스텝(S106)으로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착신군 관리 테이블(24b)에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추가하여 기록한다(S106). 구체적으로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제어부(23)가 착신군 관리 테이블(24b)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영역에 지정 착신군을 할당한 이동국(1)의 이동국 ID와 대응지어,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기록한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이 스텝(S101 내지 S106)의 동작을 반복한다.
다음으로, 이동국(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4는 이동국(1)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이동국(1)은 위치 등록 에어리어(A)로부터 위치 등록 에어리어(B)로 변경한 경우에는, 위치 등록 요구를 한다(S201). 구체적으로는, 이동국(1)의 제어부(42)가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생성하여, 무선부(41)가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에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송신한다.
이동국(1)은 스텝(S201)에 있어서, 위치 등록 요구를 한 경우, 일정 시간 기다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로부터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 통지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2). 구체적으로는, 이동국(1)의 제어부(42)는 무선부(41)로부터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 전송이 있으면, 착신군 번호 통지가 있다고 판단하여,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의 전송이 없으면, 착신군 번호 통지가 없다고 판단한다.
스텝(S202)에 있어서, 이동국(1)은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 통지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을 통지받은 착신군 번호의 지정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다시 설정한다(S203). 구체적으로는, 이동국(1)의 제어부(42)가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로부터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취득하여, 그 착신군 번호의 지정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다시 설정한다.
한편, 스텝(S202)에 있어서, 이동국(1)은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 통지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이동국(1)의 제어부(42)는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 설정 변경은 행하지 않고,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하기 전에 속해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A)에서 속해 있던 변경 전 착신군의 타이밍대로 설정해 두고, 변경 전 착신군을 계속하여 사용한다(S204).
그리고, 이동국(1)은 설정된 착신군의 타이밍에서 대기를 하여, 호출 신호를 간헐 수신한다(S205). 구체적으로는, 이동국(1)의 제어부(42)가 설정한 타이밍으로 대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무선부(41)를 제어하여, 무선부(41)가 제어부(42)의 제어에 따라서 그 타이밍으로 간헐 수신한다. 이동국(1)은 스텝(S201 내지 S205)의 동작을 반복한다.
(제 1 실시예의 효과)
이러한 제 1 실시예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 이동국(1), 이동 통신 방법에 의하면, 망 인터페이스(21)가 이동국(1)이 이동하여,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를 수신함으로써 검출한다. 또한, 제어부(23)가 복수의 착신군 중에서, 소정의 정보에 근거하여 지정 착신군을 검출한다. 그리고, 망 인터페이스(21)에 의해, 이동국(1)이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한 경우, 제어부(23)가 검출한 지정 착신군을 이동국(1)에 할당한다. 마지막으로, 망 인터페이스(21)가 제어부(23)가 할당한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를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을 하는 이동국(1)에 통지한다.
따라서, 제어부(23)는 이동국(1)이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망 인터페이스(21)가 검출한 경우에만 지정 착신군을 할당하면 되고, 망 인터페이스(21)도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이 발생하였을 때만, 그 변경을 하는 이동국(1)에 대해서만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 송신을 하면 된다. 그 때문에, 이동 통신 시스템은 채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제어부(23)의 착신 제어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더욱이, 망 인터페이스(21)는 이동국(1)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을 검출하였을 때, 변경 전 착신군을 취득하는 착신군 취득 수단을 가지고, 제어부(23)는 망 인터페이스(21)가 취득한 변경 전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취득하여, 취득한 변경 전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와,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가 동일한지 다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다른 경우에만 검출한 지정 착신군을 이동국(1)에 할당한다. 또한, 망 인터페이스(21)도 변경 전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와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가 달라, 착신군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만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를 이동국(1)에 송신하여, 변경 전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와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가 동일하고, 착신군에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이동국(1)에의 통지를 생략한다. 따라서, 이동 통신 시스템은 보다 한층 더 채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1)의 작용으로서, 쓸데 없는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복 정보 신호를 수신하지 않아도 된다는 작용이 있다. 그 결과, 이동국(1)은 수신 시간의 효율화에 의한 배터리 절약을 확대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23)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마다 각 착신군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이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1)의수에 근거하여, 착신군 할당을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동 통신 시스템은 특정한 착신군의 타이밍에서 착신 트래픽 부하가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각 착신군의 착신 트래픽 부하의 평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프레임 내에서, 동일한 착신군의 이동국(1)에의 호출 신호를 2회 이상 송신하여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채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마다 각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량에 근거하여, 착신군 할당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데이터 통신 등에 있어서, 착신군의 착신 트래픽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또한,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착신 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량이나 하나의 이동국이 수신하는 데이터량이 많아져버린 경우라도, 특정한 착신군의 타이밍에 착신 트래픽 부하가 집중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각 착신군의 착신 트래픽 부하의 한층 더한 평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동국(1)에 의하면, 무선부(41)가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와 다른 위치 등록 에어리어로 이동하고, 그것을 검출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 요구를 한다. 또한, 무선부(41)가 무선 기지국(2b)으로부터 정보 신호(11)를 수신한 경우, 제어부(42)가 통지받은 정보에 따라서 착신군 설정을 변경한다. 그리고, 무선부(41)에 의해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 요구를 하였을 때, 무선 기지국(2b)으로부터 통지받은 정보 중에 착신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42)가 정보 신호(11)에 포함되는 착신군 번호의 지정 착신군으로 착신군 설정을 변경한다. 그리고, 무선부(41)가 그 지정 착신군에서 호출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이동국(1)은 쓸데 없는 정보를 취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중복 정보 신호를 수신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이동국(1)은 수신 시간의 효율화에 의한 배터리 절약을 확대할 수 있다.
더욱이, 무선부(41)가 착신군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 신호(11)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즉, 무선 기지국(2b)으로부터 통지받은 정보 중에 착신군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23)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있어서, 변경 전 착신군을 계속하여 사용하여, 변경 전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호출 신호를 수신하도록 무선부(41)를 제어한다. 그 때문에, 이동국(1)은 착신군에 변경이 없는 경우에는, 착신군 설정 변경을 하지 않아도 되고,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 변경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착신 제어 부하를 더욱 경감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제 2부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각 장치의 구성)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 22a 내지 도 22c에 도시되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데이터베이스(24)를 도 25a 내지 도 25c에 도시하는 데이터베이스(224)로 치환하여, 그에 따라,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측정부(22), 제어부(23)의 동작 일부가 다른 것 이외에는 도 21a에 도시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같다. 그 때문에, 실질적으로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한 기재를 생략한다.
데이터베이스(224)는 도 25a에 도시하는 위치 관리 테이블(224a)과, 도 25b에 도시하는 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b)과, 도 25c에 도시하는 논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c)로 구성된다.
이동국(1)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에는 도 25a에 있어서는, 리얼 타임 클래스와 논리얼 타임 클래스라는 2개의 서비스 클래스가 있다. 리얼 타임 클래스는 리얼 타임성이 요구되어, 허용 지연 시간이 대단히 짧다는 서비스 품질로, 예를 들면, 동화상 통신이나 음성 통신 등을 하는 이동국(1)에 요구된다. 또한, 논리얼 타임 클래스는 리얼 타임성이 요구되지 않고, 허용 지연 시간도 비교적으로 길다는 서비스 품질로, 예를 들면, 데이터 통신을 하는 이동국(1)에 요구된다. 따라서,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에 따라서, 이동국(1)의 종별을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25a에서는, 서비스 품질로서, 리얼 타임 클래스, 논리얼 타임 클래스를 사용하고 있지만, 서비스 품질의 내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호 손실률의 정도를 서비스 품질로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호 손실률을 임계치 이하로 억제할 경우에, 그 호 손실률을 파라미터로 하여,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다른 복수의 서비스 클래스를 준비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착신 호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긴급도 등을 서비스 품질로서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서비스 품질은 클래스 분류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제어 상 바람직하다.
데이터베이스(224)에서는, 서비스 품질별로 착신군 관리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5b의 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b)과, 도25c의 논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c)이 설치되어 있다. 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b)은 리얼 타임 클래스의 서비스 품질을 요구하는 이동국(1)의 착신군에 관한 정보가 보유되고, 논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c)은 논리얼 타임 클래스의 서비스 품질을 요구하는 이동국(1)의 착신군에 관한 정보가 보유된다.
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b), 논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c)은 각각 위치 등록 에어리어마다의 영역으로 분리되고 있다. 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b), 논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c)은 각각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영역마다 그 위치 등록 에어리어에 위치 등록을 하고 있는 이동국(1)의 이동국 ID와, 그 이동국(1)에 할당되어 이동국(1)이 대기를 하고 있는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대응지어 보유하고 있다. 이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서의 처리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부(22)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1)의 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량을 서비스 품질별로 측정한다. 더구나, 이 점 이외에는 측정부(22)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예를 들면, 측정부(22)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위치 등록을 하고 있는 복수의 이동국(1)으로 보내진 착신 호의 수를 착신군마다 서비스 클래스별로 감시한다. 우선, 측정부(22)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이동국(1)마다의 착신호의 수를 파악한다. 다음으로, 측정부(22)는 도 25b에 도시하는 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b)을 참조하여, 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b)에 등록되어 있는 각 이동국(1)이 속하는 착신군을 파악한다. 그리고, 측정부(22)는 수신한 이동국(1)마다의 착신 호의 수와 각 이동국(1)이 속하는 착신군으로부터 각 착신군의 착신 호의 수를 구함으로써, 리얼 타임 클래스에 대해서, 착신 호의 수를 착신군마다 감시한다. 논리얼 타임 클래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하여, 도 25c에 도시하는 논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c)을 참조함으로써, 논리얼 타임 클래스에 대해서, 착신 호의 수를 착신군마다 감시한다. 측정부(22)는 이렇게 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을 서비스 품질별로 측정한다.
또한, 측정부(22)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서 대기를 하고 있는 복수의 이동국(1)의 수를 착신군마다 서비스 클래스별로 감시한다. 예를 들면, 측정부(22)는 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b)을 참조하여, 착신군마다 이동국(1)의 수를 셈으로써, 리얼 타임 클래스에 대해서,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속하는 이동국(1)의 수를 착신군마다 감시한다. 논리얼 타임 클래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하여, 논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c)을 참조함으로써, 논리얼 타임 클래스에 대해서, 착신 호의 수를 착신군마다 감시할 수 있다. 측정부(22)는 이렇게 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1)의 수를 서비스 품질별로 측정한다.
또한, 측정부(22)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위치 등록을 하고 있는 복수의이동국(1)으로 보내진 착신 호의 데이터량을 착신군마다 서비스 클래스별로 감시한다. 예를 들면, 측정부(22)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이동국(1)마다의 착신 호의 데이터량을 파악한다. 다음으로, 측정부(22)는 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b)을 참조하여, 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b)에 등록되어 있는 각 이동국(1)이 속하는 착신군을 파악한다. 그리고, 측정부(22)는 수신한 이동국(1)마다의 착신 호의 패킷수 등의 데이터량과, 각 이동국(1)이 속하는 착신군으로부터 각 착신군의 착신 호의 데이터량을 구함으로써, 리얼 타임 클래스에 대해서, 착신 호의 데이터량을 착신군마다 감시한다. 논리얼 타임 클래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하여, 논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c)을 참조함으로써, 논리얼 타임 클래스에 대해서, 착신 호의 데이터량을 착신군마다 감시한다. 측정부(22)는 이렇게 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량을 서비스 품질별로 측정한다.
측정부(22)는 측정한 착신 트래픽량, 이동국(1)의 수, 착신 호의 데이터량 등을 서비스 품질의 종류인 서비스 클래스 및 착신군 번호와 대응지어 제어부(23)에 통지한다. 또한, 측정부(22)는 측정한 트래픽량, 이동국(1)의 수, 착신 호의 데이터량 등을 착신군 번호 및 서비스 클래스와 대응지어 보유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3)는 이동국(1)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취득하는 품질 취득 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취득한 서비스 품질에 근거하여, 지정 착신군을 검출한다. 더구나, 이 점 이외에는 제어부(23)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우선, 제어부(23)는 어느 이동국(1)의 지정 착신군을 선택할 때에, 위치 관리 테이블(224a)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국(1)의 이동국 ID로부터 상기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3)는 측정부(22)로부터 서비스 클래스별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이나 서비스 클래스별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1)의 수, 서비스 클래스별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송신해야 할 데이터량을 취득한다. 그리고, 제어부(23)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각 서비스 클래스의 착신 트래픽량이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에 있어서, 많은지 적은지를 판단하여, 적다고 판단한 착신군을 선택한다. 또한, 제어부(23)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에 속하는 각 서비스 클래스의 이동국(1)의 수가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에 있어서, 많은지 적은지를 판단하여, 적다고 판단한 착신군을 선택하여도 된다. 또한, 제어부(23)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량이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에 있어서, 많은지 적은지를 판단하여, 적다고 판단한 착신군을 선택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23)는 어느 착신군의 리얼 타임 클래스의 착신 트래픽량이 많은 경우, 그 착신군은 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1)에 있어서는, 리얼 타임 클래스의 착신 트래픽량이 많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23)는 동일한 착신군에 대해서, 다소 리얼 타임 클래스의 착신 트래픽량이 많더라도 리얼 타임 클래스와 논리얼 타임 클래스의 착신 트래픽량을 합계한 착신 트래픽량이 그다지 많지 않으면, 논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1)에 있어서는, 그착신군을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3)는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다른 복수의 서비스 클래스를 준비한 경우도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3)는 어느 착신군의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높은 클래스의 착신 트래픽량이 많은 경우, 그 착신군은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높은 클래스의 이동국(1)에 있어서는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높은 클래스의 착신 트래픽량이 많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23)는 같은 착신군에 대해서, 다소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높은 클래스의 착신 트래픽량이 많더라도,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높은 클래스와 낮은 클래스의 착신 트래픽량을 합계한 착신 트래픽량이 그다지 많지 않으면,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낮은 클래스의 이동국(1)에 있어서는 그 착신군을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3)는 리얼 타임 클래스의 착신 트래픽량이 적은 착신군이나,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높은 클래스의 착신 트래픽량이 적은 착신군을 우선하여, 리얼 타임 클래스나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높은 클래스의 이동국(1)에 할당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제어부(23)는 어느 착신군에 속하는 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1)의 수가 많은 경우, 그 착신군은 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1)에 있어서는, 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1)의 수가 많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23)는 동일한 착신군에 대해서, 다소 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1)의 수가 많더라도, 리얼 타임 클래스와 논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1)을 합계한 이동국(1)의 수가 그다지 많지 않으면, 논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1)에 있어서는 그 착신군을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더구나, 제어부(23)는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다른 복수의 서비스 클래스를 준비한 경우도,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속해 있는 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1)의 수가 적은 착신군이나, 속해 있는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높은 클래스의 이동국(1)의 수가 적은 착신군을 우선하여, 리얼 타임 클래스나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높은 클래스의 이동국(1)에 할당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어느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리얼 타임 클래스의 데이터량이 많은 경우, 제어부(23)는 그 착신군은 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1)에 있어서는, 리얼 타임 클래스의 데이터량이 많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23)는 동일한 착신군에 대해서, 다소 리얼 타임 클래스의 데이터량이 많더라도 리얼 타임 클래스와 논리얼 타임 클래스의 데이터량을 합계한 데이터량이 그다지 많지 않으면, 논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1)에 있어서는 그 착신군을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더구나, 제어부(23)는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다른 복수의 서비스 클래스를 준비한 경우도,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송신해야 할 리얼 타임 클래스의 데이터량이 적은 착신군이나, 송신해야 할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높은 클래스의 데이터량이 적은 착신군을 우선하여, 리얼 타임 클래스나 호 손실률의 임계치가 높은 클래스의 이동국(1)에 할당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여, 제어부(23)는 취득한 서비스 품질에 근거하여, 지정 착신군을 선택하여 검출한다.
(이동 통신 방법)
다음으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있어서의 처리예를 도시한다. 도 26은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스텝(S301)은 스텝(S101)과 같다. 스텝(S301)에 있어서, 이동국(1)으로부터의 위치 등록 요구가 있는 경우,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이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1)의 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에서 도착하는 데이터량 등을 서비스 품질별로 측정한다(S302). 구체적으로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제어부(23)가 리얼 타임 클래스와 논리얼 타임 클래스마다 측정을 한다.
다음으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이동국(1)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취득하여, 그 서비스 품질과, 스텝(S302)에 있어서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B)에 있어서의 지정 착신군을 선택하여, 상기 착신군을 지정 착신군으로서 검출한다(S303). 구체적으로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제어부(23)가 위치 관리 테이블(224a)을 참조하여, 그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를 취득하여, 측정부(22)로부터 서비스 클래스별 착신 트래픽량이나 이동국(1)의 수, 데이터량을 취득하여 지정 착신군을 선택한다.
스텝(S304, S305)은 스텝(S104, S105)과 같다. 마지막으로, 위치 정보 관리서버(5)는 서비스 클래스별로 설치된 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b)과, 논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c) 중 어느 하나에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추가하여 기록한다(S306). 예를 들면,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가 리얼 타임 클래스인 경우, 위치 정보 관리 서버(5)의 제어부(23)가 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b)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영역에 지정 착신군을 할당한 이동국(1)의 이동국 ID와 대응지어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기록한다.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이 스텝(S301 내지 S306)의 동작을 반복한다.
(제 2 실시예의 효과)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관련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 위치 정보 관리 서버(5), 이동 통신 방법에 의하면, 위치 관리 테이블(224a)이 각 이동국(1)을 식별하는 이동국 ID와, 각 이동국(1)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도시하는 서비스 클래스를 대응지어 보유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4)는 서비스 품질별로 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b)과, 논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c)과 같은 착신군 관리 테이블이 설치되어, 각각이 리얼 타임 클래스의 서비스 품질을 요구하는 이동국(1)의 착신군 정보나 논리얼 타임 클래스의 서비스 품질을 요구하는 이동국(1)의 착신군 정보를 보유한다.
더욱이, 측정부(22)가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착신 트래픽량이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에 속하는 이동국(1)의 수, 위치 등록 에어리어(B)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량 등을서비스 품질별로 측정한다.
그 때문에, 제어부(23)는 위치 관리 테이블(224a)을 참조하여, 이동국(1)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취득하여, 측정부(22)로부터 서비스 품질별 착신 트래픽량이나 이동국(1)의 수, 데이터량을 취득함으로써, 이동국(1)의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품질별 착신 트래픽량이나 이동국(1)의 수, 데이터량을 사용하여, 지정 착신군 검출을 할 수 있다. 또한, 지정 착신군을 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b), 논리얼 타임 클래스 착신군 관리 테이블(224c)에 기록함으로써, 서비스 품질별로 착신군에 관한 정보 관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동국(1)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고려하여 지정 착신군 검출을 하여, 그 관리를 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리얼 타임 클래스의 이동국(1)으로 보내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착신 호가 무선 기지국(2)의 버퍼에 있어서 오버플로하여버리지 않도록 지정 착신군을 할당하는 것 등이 가능하며, 이동 통신 시스템은 허용 지연 시간 등을 고려한 QoS 제어를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호 손실률을 파라미터로 하여 서비스 품질을 정한 경우에는, 호 손실률이 각 서비스 클래스의 임계치를 넘지 않도록 지정 착신군을 할당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이동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가 지불하는 요금에 따라서, 호 손실률을 임계치 이하로 억제한다는 QoS 제어를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변경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5)는 전체 이동국(1)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과, 각 위치 등록 에어리어에서의 착신군 정보를 모두 관리하는 기능 양쪽을 갖고 있지만, 각 위치 등록 에어리어에 위치 정보 관리 서버를 설치하여, 위치 등록 에어리어마다의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과, 착신군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하여도 된다.
또한, 제어부(23)는 변경 전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이동국(1)이 송신해 줘,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로부터 취득하고 있지만, 위치 등록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지정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추가하기 전의 착신군 관리 테이블(24b)로부터 변경 전 착신군의 착신군 번호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이동국(1)의 서비스 클래스를 위치 관리 테이블(224a)에서 보유하지 않고, 이동국(1)이 위치 등록 요구 신호(10)에 포함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도 22a 내지 도 22c, 도 25a 내지 도 25c에 도시한 데이터베이스(24, 224)에서는, 이동국 ID가 키로 되어 있고, 이동국 ID에 착신군 번호나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가 대응지어져 있지만, 착신군 번호나 위치 등록 에어리어 ID를 키로 하여, 그것들에 이동국 ID를 대응짓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도 22a 내지 도 22c에 도시한 데이터베이스(24)와 동일하게 하여, 데이터베이스(224)에도 측정부(22)에 의한 측정 결과를 보유하는 측정 결과 테이블을 설치하여, 측정부(22)는 측정 결과를 그 측정 결과 테이블에 기록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 3부) 이동국의 상태에 따른 제어 처리]
이하에서는, 이동국으로부터의 상태 통지와 연휴한 위치 정보 관리 서버 및 기지국에서의 제어 처리를 설명한다. 도 28에는 이동국의 동작 순서를 도 29에는 위치 정보 관리 서버 및 기지국에 의한 이동국의 상태에 따른 제어 처리를 각각 도시한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국에서는, 패킷 송수신 후, 자국이 슬립 상태로 천이하였다고 판단하기 위한 타이머(이하 「제 1 타이머」라 한다)를 기동한다(S1). 그 후, 제 1 타이머가 타임 아웃하기 전에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 패킷 송수신이 있는 경우는, 제 1 타이머를 재기동한다(S1로 돌아간다). 한편, 패킷 송수신이 없는 채로 제 1 타이머가 타임 아웃한 경우는, S3에서 긍정 판단이 되어, 자국이 슬립 상태로 천이한 것을 기지국에 통지함과 동시에, 자국이 그 후 아이들 상태로 천이한 것이라고 판단하기 위한 타이머(이하 「제 2 타이머」라 한다)를 기동한다(S4).
기지국에서는, 이동국으로부터 상태 천이 통지를 수신하였을 때에, 도 29의 처리가 인터럽트 실행된다. 상기 S4에서 이동국으로부터 슬립 상태로의 천이가 통지된 것을 받아, 기지국은 상기 통지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국이 슬립 상태로 천이하였다고 판단하여(도 29의 S11에서 긍정 판단하여), 제 1부에서 설명한 링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처리를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실행한다(S12). 이 중에서, 상기 이동국이 셀을 이행하는 경우도 링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처리가 실행된다.
이동국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링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처리를 받게 된다(도 28의 S5). 그 후, 제 2 타이머가 타임 아웃하기 전에 상기 이동국에서 패킷 송수신이 있는 경우는, 이동국의 슬립 상태가 해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타이머를 재기동한다(S1로 돌아간다). 한편, 패킷 송수신이 없는 채로 제 2 타이머가 타임 아웃한 경우는, S7에서 긍정 판단이 되어, 자국이 더욱 아이들 상태로 천이한 것을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 통지한다(S8).
위치 정보 관리 서버에서도, 이동국으로부터 상태 천이 통지를 수신하였을 때에, 도 29의 처리가 인터럽트 실행된다. 상기 S8에서 이동국으로부터 아이들 상태로의 천이가 통지된 것을 받아, 위치 정보 관리 서버는 상기 통지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국이 아이들 상태로 천이하였다고 판단하여(도 29의 S13에서 긍정 판단하여), 제 2부에서 설명한 네트워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처리를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실행한다(S14). 이 중에서, 상기 이동국이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하는 경우도 네트워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처리가 실행된다.
이동국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처리를 받게 된다(도 28의 S9). 그 후, 패킷 송수신이 있기까지, 네트워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처리(S9)가 계속 실행된다. 패킷 송수신이 있으면, 이동국의 아이들 상태가 해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S1로 돌아가 제 1 타이머를 재기동한다.
이렇게 하여, 이동국에 있어서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라서, 이동국의 상태(슬립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가 정확하게 판단되어, 각 상태에 따른 링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처리(제 1부에서 서술한 제어 처리) 또는 네트워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처리(제 2부에서 서술한 제어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시간과함께 변화하는 이동국의 복수의 상태에 따라서, 이동국의 위치 정보 관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기지국이 갖는 링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기능도 구비하고, 도 29의 제어 처리 전체를 위치 정보 관리 서버가 실행하는 형태를 채용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제 3부와 같이 링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처리와 네트워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처리를 조합한 실시예 뿐만 아니라, 상술한 링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것 만으로, 특정한 수신 타이밍의 착신 트래픽의 집중을 회피하여,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을 평활화할 수 있다는 효과, 채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배터리 절약을 할 수 있다는 효과 및 특정한 호출 주기에의 이동국 집중을 회피하여, 복수의 호출 주기끼리도 트래픽을 평활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술한 네트워크 레이어에서의 제어 처리를 실행하는 것 만으로, 채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착신군 검출에 관련되는 착신 제어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는 이동국의 상태로서, 슬립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 중에서, 상기 셀 내에서 상기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간에서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으로 얻어진 상태에 따라서, 상기 이동국의 호출 주기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간헐 수신의 수신 타이밍의 양쪽 또는 한쪽을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설정하기 때문에, 시간과 함께 변화하는 이동국의 복수의 상태에 따라서, 이동국의 위치 정보 관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26)

  1. 복수의 이동국과, 망에 접속된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함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망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상기 이동국의 상태로서, 슬립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 중에서, 상기 셀 내에서 상기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간에서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으로 얻어진 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국의 호출 주기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간헐 수신의 수신 타이밍 양쪽 또는 한쪽을 상기 이동국에 대해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상태로 이행한 이동국의 수와,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 양쪽 또는 한쪽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치를 보유하는 측정 보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이동국 상태가 슬립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보유된 측정치에 따라, 상기 이동국의 호출 주기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간헐 수신의수신 타이밍 양쪽 또는 한쪽을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국이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하는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과,
    상기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국이 상기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이동국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마다 나누어진 복수의 착신군 중에서,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착신군을 선택하고, 선택된 착신군을 상기 이동국에 할당하는 착신군 할당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는, 서버.
  4. 복수의 이동국과, 망에 접속된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망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이동국의 상태로서, 슬립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 중에서, 상기 셀 내에서 상기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간에서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으로 얻어진 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국의 호출 주기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간헐 수신의 수신 타이밍 양쪽 또는 한쪽을 상기 이동국에 대해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 복수의 이동국과, 망에 접속된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함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망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서의 위치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상태로서, 슬립 상태 또는 아이들 상태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태 중에서, 상기 셀 내에서 상기 이동국과 무선 기지국간에서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으로 얻어진 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국의 호출 주기와 상기 이동국에 의한 간헐 수신의 수신 타이밍 양쪽 또는 한쪽을 상기 이동국에 대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관리 방법.
  6. 복수의 이동국과, 망에 접속된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함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망에 접속되어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 내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패킷 송수신을 하여,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의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서버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고,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가 복수 준비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호출 주기에 대응지어진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고,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 양쪽 또는 한쪽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치를 보유하는 측정 보유 수단과,
    상기 이동국이 신규로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상기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새로운 호출 에어리어로 이동한 경우 또는 상기 서버가 결정한 임의의 경우, 상기 보유된 측정치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대해,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지시 수단을 포함하는,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호출 에어리어마다 서버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서버간에 소정의 규칙에 기초하는 계층 관계가 설치되고,
    각 계층마다의 서버가 구비한 상기 변경 지시 수단은 대응하는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 양쪽 또는 한쪽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대해,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서비스 클래스를 인식하고 상기 서비스 클래스 정보를 보유하는 인식 보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변경 지시 수단은, 더욱이 상기 인식된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대해,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9. 복수의 이동국과 함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 내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패킷 송수신을 행하고,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의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행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고,
    상기 셀 내에 존재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호출 채널의 호출 트래픽 양쪽 또는 한쪽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치를 보유하는 측정 보유 수단과,
    상기 이동국이 신규로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새롭게 상기 셀 내로 이동하여 온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상기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상기 무선 기지국이 결정한 임의의 경우, 상기 보유된 측정치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대해,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지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의 서비스 클래스를 인식하고 상기 서비스 클래스 정보를 보유하는 인식 보유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변경 지시 수단은 더욱이 상기 인식된 서비스 클래스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대해,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11. 무선 기지국과 함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 내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패킷 송수신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이동국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의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행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고,
    상기 이동국이 신규로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새롭게 상기 셀 내로 이동하여 온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상기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또는 상기 무선 기지국이 결정한 임의의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셀 내에 존재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호출 채널의 호출 트래픽 양쪽 또는 한쪽의 측정치에 따른,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 지시를 수신하는 변경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변경 지시에 기초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에서 간헐 수신을 하는 간헐 수신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국.
  12. 망에 접속된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망에 접속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호출 에어리어 및 존재하는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와 함께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 내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패킷 송수신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이동국으로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의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고,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가 복수 준비되고,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호출 주기에 대응지어진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행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고,
    상기 이동국이 신규로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새롭게 상기 셀 내로 이동하여 온 경우,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미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이 상기 슬립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상기 무선 기지국이 결정한 임의의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 양쪽 또는 한쪽의 측정치에 따른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 지시를 수신하는 변경 지시 수신 수단과,
    상기 변경 지시에 기초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에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간헐 수신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국.
  13.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 내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패킷 송수신을 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이동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국이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의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행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셀 내에 존재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호출 채널의 호출 트래픽 양쪽 또는 한쪽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치를 보유하는 측정 보유 수단과,
    소정의 경우에, 상기 보유된 측정치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대해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지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변경 지시에 기초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에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간헐 수신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4. 복수의 이동국과, 망에 접속된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망에 접속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국이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의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고,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가 복수 준비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호출 주기에 대응지어진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행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 양쪽 또는 한쪽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치를 보유하는 측정 보유 수단과,
    소정의 경우에, 상기 보유된 측정치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대해,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는 변경 지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변경 지시에 기초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에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간헐 수신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5.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 내에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패킷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이동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국이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의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행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은 소정의 경우, 상기 셀 내에 존재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호출 채널의 호출 트래픽 양쪽 또는 한쪽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대해,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변경 지시에 기초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에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호출 방법.
  16. 복수의 이동국과, 망에 접속된 복수의 무선 기지국과, 상기 망에 접속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형성하는 셀의 집합에 의해 형성되는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국이 패킷 송수신이 미리 정해진 기간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을 지정하여 패킷 도착을 통지하는 것 또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 앞으로의 착신 패킷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호출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호출 채널을 소정의 주기로 간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에는 상기 패킷 송수신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에 따른 복수의 슬립 상태가 존재하고, 각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호출 주기가 복수 준비되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각 호출 주기에 대응지어진 호출 에어리어 및 상기 이동국이 간헐 수신을 행하는 수신 타이밍이 설정 가능하고,
    상기 서버는 소정의 경우,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에 존재하고 있는 상기 슬립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이동국의 수와, 상기 각각의 호출 에어리어 내에서 상기 호출 채널 각각의 수신 타이밍에서의 착신 트래픽 양쪽 또는 한쪽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 대해, 호출 주기와 수신 타이밍 양쪽 또는 한쪽의 변경을 지시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변경 지시에 기초하는 호출 주기 및 수신 타이밍에서 간헐 수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호출 방법.
  17. 이동국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마다 나누어진 복수의 착신군 중에서,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착신군을 검출하는 착신군 검출 수단과,
    상기 이동국이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하는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국이 상기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경우, 상기 착신군 검출 수단은 상기 검출한 착신군을 상기 이동국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은, 상기 이동국의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을 검출하였을 때, 상기 이동국에 할당되어 있는 변경 전 착신군을 취득하는 착신군 취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착신군 검출 수단은, 상기 착신군 취득 수단이 취득한 변경 전 착신군과, 상기 검출한 착신군이 동일한지 상이한지를 판단하고, 상이한 경우에만 상기 검출한 착신군을 상기 이동국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에서 착신 트래픽량을 측정하는 트래픽량 측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착신군 검출 수단은, 상기 트래픽량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착신군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0.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각 착신군에 속하는 상기 이동국의 수를 측정하는 이동국 수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착신군 검출 수단은, 상기 이동국 수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착신군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1.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 에어리어의 각 착신군의 타이밍에서 송신하는 데이터량을 측정하는 데이터량 측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착신군 검출 수단은, 상기 데이터량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착신군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2.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군 검출 수단은 상기 이동국이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취득하는 품질 취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품질 취득 수단이 취득한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의 착신군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3.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와 다른 위치 등록 에어리어로 이동한 경우, 그것을 검출하고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 요구를 행하는 요구 수단과,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정보 신호를 수신한 경우, 통지받은 정보에 따라, 착신군 설정을 변경하는 설정 변경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요구 수단에 의해 위치 등록 에어리어 변경 요구를 행하였을 때, 상기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받은 정보 중에 착신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설정 변경 수단은 상기 착신군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변경 수단은, 상기 착신군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하기 전에 속해 있던 착신군을 계속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25. 이동국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마다 나누어진 복수의 착신군 중에서,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착신군을 검출하는 착신군 검출 수단과,
    상기 이동국이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하는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리어 변경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이동국이 상기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착신군 검출 수단은 상기 검출한 착신군을 상기 이동국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6. 이동국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타이밍마다 나누어진 복수의 착신군 중에서, 소정의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착신군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이 위치 등록하고 있는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이 상기 위치 등록 에어리어를 변경한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검출한 착신군을 상기 이동국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방법.
KR1020047001737A 2002-06-05 2003-06-05 서버, 이동 통신 시스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무선기지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방법및 이동 통신 방법 KR100615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64816 2002-06-05
JP2002164816 2002-06-05
JPJP-P-2002-00171977 2002-06-12
JP2002171977 2002-06-12
PCT/JP2003/007141 WO2003105519A1 (ja) 2002-06-05 2003-06-05 サーバ、移動通信システム、位置情報管理方法、無線基地局、移動局、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呼び出し方法及び移動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379A true KR20040019379A (ko) 2004-03-05
KR100615351B1 KR100615351B1 (ko) 2006-08-25

Family

ID=2973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737A KR100615351B1 (ko) 2002-06-05 2003-06-05 서버, 이동 통신 시스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무선기지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방법및 이동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11342A4 (ko)
JP (2) JPWO2003105519A1 (ko)
KR (1) KR100615351B1 (ko)
CN (1) CN1323567C (ko)
WO (1) WO20031055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450B1 (ko) * 2005-12-07 2007-04-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유휴 상태 단말의 위치 정보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US20210400578A1 (en) * 2020-06-17 2021-12-23 Qualcomm Incorporated Ue power saving for pag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6795B2 (ja) * 2001-12-10 2007-02-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移動端末及び通信基地局
KR100678145B1 (ko) * 2004-03-04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매체 접속 제어 계층의동작 모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080556B1 (ko) * 2004-06-25 2011-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호출정보 할당방법
CA2569497C (en) 2004-06-25 2013-05-2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idle mode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1042163B1 (ko) * 2004-07-30 2011-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주기 할당방법
US8060119B2 (en) 2005-08-15 2011-11-15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wake-up period of roaming wireless terminals
JP4664772B2 (ja) * 2005-08-18 2011-04-06 三菱電機株式会社 間欠送受信システム及び間欠送受信管理方法
CN1937614B (zh) * 2005-09-19 2010-05-05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终端进入空闲模式的方法、设备和系统
US7965665B2 (en) 2005-09-30 2011-06-21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of signaling traffic mode transi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949377B2 (en) 2005-12-14 2011-05-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directed radio resource control in a UMTS network
GB0600401D0 (en) * 2006-01-10 2006-02-15 Vodafone Plc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8644829B2 (en) 2006-05-17 2014-02-0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release cause indication in a UMTS network
CN101507339A (zh) 2006-09-28 2009-08-12 高通股份有限公司 移动端接的信令上数据消息的处理
KR101340177B1 (ko) 2007-10-19 2014-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모드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ES2385415T3 (es) 2007-11-13 2012-07-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étodo y aparato para la transición de estado/modo
KR101390344B1 (ko) * 2007-12-14 201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공통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JP2009159352A (ja) * 2007-12-27 2009-07-16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移動体通信ネットワーク
ES2896335T3 (es) 2008-11-10 2022-02-24 Blackberry Ltd Método y aparato de transición a un estado de batería eficiente o configuración indicando fin de transmisión de datos
JP5276461B2 (ja) * 2009-02-02 2013-08-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0193197A (ja) 2009-02-18 2010-09-02 Ntt Docomo Inc 移動通信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450981B1 (ko) 2009-11-23 2014-10-15 블랙베리 리미티드 상태/모드 전이 방법 및 장치
KR20120099083A (ko) 2009-11-23 2012-09-06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상태/모드 전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HUE049498T2 (hu) 2009-11-23 2020-09-28 Blackberry Ltd Jelzéskapcsolat-bontás jelzõ, SCRI, üzenet átvitelen alapuló állapot vagy üzemmód átváltás kiváltása
US8983532B2 (en) 2009-12-30 2015-03-17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adopt varied functionalities based on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by specific protocol messages
WO2011085536A1 (zh) * 2010-01-12 2011-07-21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处于超低功耗时的业务处理方法及装置
CN101815265B (zh) * 2010-02-10 2012-09-05 播思通讯技术(北京)有限公司 微技信息传输方法及系统
WO2014002196A1 (ja) * 2012-06-26 2014-01-03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システム
WO2014182204A1 (en) * 2013-05-07 2014-11-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Location management of a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2973A (ja) * 1990-11-26 1994-03-31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ページ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3044140B2 (ja) * 1992-10-23 2000-05-22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移動通信装置
FI103454B1 (fi) * 1996-04-01 1999-06-3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atkaviestimen toimintatilojen ohjaus pakettiradiojärjestelmässä
US6463307B1 (en) * 1998-08-14 2002-10-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saving in a mobile terminal with established connections
US6480476B1 (en) * 1998-10-15 2002-1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ariable sleep mode for mobile sta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s
DE59912837D1 (de) * 1998-11-13 2005-12-29 Bosch Gmbh Robert Verfahren für einen stromsparenden betrieb von kommunikationsendgeräten in einem insbesondere drahtlosen kommunikationssystem
JP4160341B2 (ja) * 2001-09-10 2008-10-0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登録方法、呼出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通信制御方法、移動局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3886795B2 (ja) * 2001-12-10 2007-02-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移動端末及び通信基地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5450B1 (ko) * 2005-12-07 2007-04-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유휴 상태 단말의 위치 정보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US20210400578A1 (en) * 2020-06-17 2021-12-23 Qualcomm Incorporated Ue power saving for paging
US11758477B2 (en) * 2020-06-17 2023-09-12 Qualcomm Incorporated UE power saving for p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5351B1 (ko) 2006-08-25
CN1323567C (zh) 2007-06-27
JP2007166676A (ja) 2007-06-28
JPWO2003105519A1 (ja) 2005-10-13
EP1511342A4 (en) 2009-05-13
WO2003105519A1 (ja) 2003-12-18
CN1552168A (zh) 2004-12-01
EP1511342A1 (en) 200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5351B1 (ko) 서버, 이동 통신 시스템, 위치 정보 관리 방법, 무선기지국, 이동국,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호출 방법및 이동 통신 방법
US20040254980A1 (en) Serve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ositional information managing method, radio base station, mobile station method for call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CN101299860B (zh) 一种测量控制方法、用户终端、网络侧设备及系统
US8583118B2 (en) Mobility management control technique an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WO202022639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handling power saving signals to improve power saving performance of ue
US6311065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edicting a transfer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CN100481989C (zh) 移动通信系统中基站侧信令链路动态分配的方法
US20050221825A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executing handover and relocation involving plural radio network controllers (RNC) without using lur interface
CN101296459B (zh) 一种测量控制方法、用户终端、网络侧设备及系统
JP2002530029A (ja) 無線通信に関する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11275623A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回線状況に応じたゾーン選択方法
CN102083136A (zh) 无线网络的控制方法及无线控制器
KR20010073482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부가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US8396500B2 (en) Connection destination base station determination device
CN114189943A (zh) 一种铁路数字列车无线调度通信方法、系统和可读存储介质
CN104902584B (zh) 多模终端无线连接的控制方法和装置
CN100450203C (zh) 一种防止iu接口信令连接吊死的方法
WO2020151474A1 (zh) 调度终端确定方法、终端和网络侧设备
CN117076117A (zh) 一种基于新通信架构的媒体会场智能调度方法及系统
CN109714223B (zh) Nfv架构下实现网络业务接入动态负载分担功能的系统及其方法
CN101473690B (zh) 移动通信系统中的分组调度方法、基站以及移动台
CN108337702B (zh) 一种基于切换历史信息统计的无线切换接纳控制方法
KR20040036863A (ko) 비동기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측정보고 메시지전송을 위한 방법
US20040111236A1 (en) Method of gathering statistics of channel resource occupancy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CN100542162C (zh) 一种VoIP业务的调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