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807A - 데크 패널 - Google Patents

데크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807A
KR20040018807A KR1020020050808A KR20020050808A KR20040018807A KR 20040018807 A KR20040018807 A KR 20040018807A KR 1020020050808 A KR1020020050808 A KR 1020020050808A KR 20020050808 A KR20020050808 A KR 20020050808A KR 20040018807 A KR20040018807 A KR 20040018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deck
truss girder
pan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찬진
Original Assignee
전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찬진 filed Critical 전찬진
Priority to KR1020020050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8807A/ko
Publication of KR2004001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80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86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 E04C2003/0491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the truss elements being located in one single surface or in several paralle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데크 플레이트에 트러스 거더를 용접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고정 설치하여 데크 패널의 부식과 녹을 방지하면서, 운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데크 패널을 제공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자체중량 및 시공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와, 이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트러스 거더로 이루어진 데크 패널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상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러스 거더는 데크 플레이트에 형성된 고정부에 끼움 겹합되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는 데크 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걸림턱으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데크 패널{DECK PANEL}
본 발명은 데크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크 플레이트에 트러스 거더를 용접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고정 설치하여 데크 패널의 부식과 녹을 방지하면서, 운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데크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압축재인 콘크리트와 인장재인 철근을 함께 사용하는 복합구조로서, 통상적인 건축구조물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를 축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콘크리트의 외면을 형성해줄 거푸집과 이 거푸집을 지지하는 동바리(지주)를 가설하고, 거푸집 상에 철근을 배근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정기간 동안 양생과정을 거쳐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거푸집 및 동바리를 제거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법은 거푸집과 동바리의 가설 및 해체에 따른 많은 작업, 별도의 철근 배근작업, 구조물의 표면불량으로 인한 마감작업의 필요 등에 의해 상당한 공기를 소요하게 되고, 또한 상기 거푸집에 의한 폐자재 발생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나빠지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과 동바리의 사용에 따른 문제의 개선방향으로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고 거푸집을 제거하지 않는 방법, 즉 콘크리트의 외면 형성에 사용했던 구조물을 그대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로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도 5 및 도 6은 상기와 같은 거푸집을 제거하지 않고,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는 공법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데크 패널(deck panel)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데크 패널은 콘크리트의 자체중량 및 시공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의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52)와, 이 데크 플레이트(52)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트러스 거더(truss girder)(54)로 이루어진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52)는 강판표면에 아연을 도금하여 부식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의 돌기(56)가 형성되고, 이 돌기(56)에 트러스 거더(54)를 스폿 용접하는 방식으로 고정하여, 데크 플레이트(52)에 트러스 거더(54)가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트러스 거더(54)는 하부를 수평방향으로 절곡하여 다리모양을 갖도록 형성된 푸트(58)와, 이 푸트(58)에서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파형 모양으로 절곡되는 지지부(60)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 형성되는 래티스(62)와, 상기 래티스(62)를 대향되는 자세로 배치하여 도 6에서와 같이 끝면에서 보아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하면서, 래티스(62)들 사이의 상부 내측에 고정되는 상부철근(64a) 및 상기 지지부(60)의 하부 외측에 고정되는 하부철근(64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래티스(62)는 상부철근(64a)과 하부철근(64b)을 연결하는 간격재의 역할과 함께, 별도의 스페이서(spacer)없이 균일한 하부피복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트러스 거더(54)는 실질적으로 래티스(62)에 형성된 푸트(58)를 데크 플레이트(52)에 형성된 돌기(56)에 스폿 용접하는 방식으로 고정하여 완성된 데크 패널의 구조를 갖게 되며, 완성된 데크 패널은 차량 등으로 수송하여 구조물이 형성될 장소에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52)와 트러스 거더(54)로 이루어진 데크 패널을 빔과 빔 사이에 설치하면, 그 자체가 콘크리트의 자체중량 및 시공하중을 지지하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동바리 없이도 콘크리트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데크 패널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기간의 양생과정을 거치면 슬래브가 구축되는데, 트러스 거더(54)를 구성하는 상부철근(64a)과 하부철근(64b)은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주철근이 되어 슬래브의 전체적인 강도를 유지하게 되고, 데크 플레이트(52)는 시공 중에 거푸집 역할을 주로 하고, 슬래브 구조물의 표면이 된다.
최근에는 데크 패널을 구성하는 트러스 거더를 끝면에서 보아 직각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제작하여, 수직방향이나 측면방향으로 작용하는 좌굴, 진동과 같은 외력에 대한 안정적인 구조를 갖도록 하면서, 주철근을 이루는 하부철근을 하나만 사용하여 철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데크 패널은, 철강표면을 아연으로 도금하여 부식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데크 플레이트(52)에 트러스 거더(54)를 스폿용접으로 접합하여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용접 부분이 쉽게 부식되거나 녹(rust)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데크 플레이트(52)는 슬래브 구조물의 표면이 되는 부분으로서, 여기에 부식이나 녹이 생기면 미관을 해치게 됨은 물론이고, 구조물의 표면이 약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데크 패널을 제작하거나 설치한 후에는 용접부분에 도장을 하게되며, 이에 따라 도장으로 인한 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므로, 데크 패널의 제작비용이 그만큼 높아지고 작업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트러스 거더(54)는 데크 플레이트(52)에 형성된 돌기(52)에 스폿용접으로 고정된 구조이므로, 테크 패널을 설치할 때 또는 설치된 테크 패널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외력에 의하여 용접부분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데크 패널을 구성하는 데크 플레이트(52)와 트러스 거더(54)는 공장에서 일체형으로 조립된 상태로 제작하여 설치장소로 운반하게되므로 운반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크 플레이트에 트러스 거더를 용접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고정 설치하여 데크 플레이트 및 트러스 거더의 부식과 녹을 방지하면서, 운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데크 패널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패널의 테크 플레이트에 트러스 거더의 간격을 다르게 배치하여 고정한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패널의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테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제작한 데크 패널의 측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본 발명이 제안하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은,
콘크리트의 자체중량 및 시공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와, 이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트러스 거더로 이루어진 데크 패널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상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러스 거더는 데크 플레이트에 형성된 고정부에 끼움 겹합되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는 데크 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걸림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 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로서,본 발명에 의한 데크 패널의 일실시예는, 건물의 슬래브가 설치되는 곳의 슬래브의 자체중량 및 시공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의 데크 플레이트(2)와, 이 데크 플레이트(2)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트러스 거더(4)를 포함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2)는 건축물의 층과 층 사이의 바닥에 해당되는 부분에 설치되며, 이 데크 플레이트(2)가 슬래브 거푸집 역할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슬래브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2)는 건물 시공시 슬래브 콘크리트의 자체중량 및 시공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와 두께를 갖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는 아연이 도금되어 부식이나 녹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데크 플레이트(2)의 양쪽 끝부분 길이방향으로는 다른 데크 플레이트를 연결할 수 있도록 서로 정합 되는 구조의 이음부(6)가 형성되는데, 이 이음부(8)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탄성력을 갖도록 절곡되어 다른 데크 플레이트와 겹침 이음으로 맞물리도록 끼워 조립하면 콘크리트 타설시 하중 지지력이 커지고 수분이 데크 플레이트(2) 하부로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2)의 상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추며 서로 이웃하는 것과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고정부(8)가 형성되는데, 이 고정부(8)를 통하여 트러스 거더(4)가 데크 플레이트(2)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고정부(8)는 데크 플레이트(2)를 제작할 때, 이 데크 플레이트(2)와 일체형으로 성형하여 데크 플레이트(2)와 고정부(8)는 단일체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추며, 이러한 고정부(8)에 트러스 거더(4)가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부(8)는 평면형의 데크 플레이트(2) 일부분을 상부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돌출시켜, 이 돌출부 양측으로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예각의 걸림턱(10)으로 이루어지며, 이 걸림턱(10)에 트러스 거더(4)가 끼움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걸림턱(10) 사이의 데크 플레이트(2) 하부에는 양측면이 둔각으로 이루어진 홈(11)이 형성되며, 슬래브의 하부에 천장이나 기타 시설물을 설치할 때 이 홈(11)에 끼움 조립되는 고정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8)들 사이의 간격은 대략 50mm~200m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상기 트러스 거더(4)는 평면으로 이루어진 데크 플레이트(2)와 동일한 방향을 유지하며 다리모양으로 절곡된 푸트(12a)와, 이 푸트(12a)에서 대략 직각방향을 유지하며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파형 모양으로 절곡되는 지지부(14a)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 형성되는 제1래티스(16a)와, 상기 푸트(12a)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향되는 상태로 절곡되는 푸트(12b)와, 이 푸트(12b)에서 일정한 경사각을 갖고 파형 모양으로 절곡되는 지지부(14b)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 형성되는 제2래티스(16b)를 갖는다.
상기 제1래티스(16a)와 제2래티스(16b)는, 상기 고정부(10)들 사이에 푸트(12a)(12b)를 대향되는 자세로 배치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직각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하면서, 이들 제1래티스(16a)와 제2래티스(16b)들 사이의 상단부 내측에는 상부철근(18a)이 고정되고, 상기 제1래티스(16a)의 하부에는 하부철근(18b)이 고정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제1,제2래티스(16a)(16b)는 상부철근(18a)과 하부철근(18b)을 연결하는 간격재의 역할과 함께, 별도의 스페이서 없이 균일한 하부피복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트러스 거더(4)는 각각의 푸트(12a)(12b)를 갖는 제1,제2래티스 (16a)(16b)와, 이들 제1,제2 래티스(16a)(16b)에 고정 설치되는 상,하부철근(18a) (18b)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트러스 거더(4)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직각삼각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트(12a)(12b)들 사이의 거리는 데크 플레이트(2)에 형성된 고정부(8)들 사이의 간격보다 약간 길게 제작되어 테크 플레이트(2)에 트러스 거더(4)가 튼튼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러스 거더(4)가 수직방향이나 측면방향으로 작용하는 시공하중이나 좌굴, 진동과 같은 외력에 대한 강도가 우수하여 안정된 구조를 갖도록, 측면에서 보아 직각삼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이등변삼각형이나 사다리꼴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트러스 거더(4)를 데크 플레이트(2)에 고정 설치하려면, 제작된 데크 플레이트(2) 및 트러스 거더(4)를 분리된 상태로 차량 등으로 수송하여 시공현장으로 운반한 다음, 데크 플레이트(2)를 기준선에 맞추어 빔 등에 스폿 용접 또는 못으로 고정하고, 이음부(6)를 이용하여 다른 데크 플레이트를 순차적으로 연결한다.
그 다음 데크 플레이트(2)에 형성된 고정부(8)의 걸림턱(10)에 트러스 거더(4)의 푸트(12a)(12b)를 각각 끼우면 트러스 거더(4)가 데크 플레이트(2)에 고정 지지되어 데크 패널이 설치된다.
따라서 데크 플레이트(2)에 트러스 거더(4)를 용접하지 않고서도 고정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데크 플레이트(2)에 트러스 거더(4)가 지지 및 고정되어 하나의 단일화된 데크 패널의 구조를 갖게된다.
상기에서 트러스 거더(4)의 설치간격은 일반적으로 150mm~200mm 정도를 유지하면 되지만, 구조물이 요구하는 강도 또는 트러스 거더(4)에 제공되는 상,하부철근(18a)(18b)의 굵기에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그 이상이나 이하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조절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데크 패널이 설치되면, 트러스 거더(4)에 배력근이나 보강근 또는 부속자재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시간의 양생과정을 거치면 슬래브가 구축된다.
이러한 슬래브 구축시 데크 플레이트(2)는, 시공 중에는 거푸집 역할을 주로 하고, 시공 후에는 슬래브 구조물의 표면이 되며, 트러스 거더(4)를 구성하는 상부철근(18a)과 하부철근(18b)은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주철근이 되어 슬래브의 전체적인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콘크리트 슬래브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테크 플레이트(2)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하고 그 사이에 강선 또는 강판으로 이루어진 트러스 형태의 보강부재(20)를 개재하여 고정부(8)에 고정시키면 양면이 철판으로 이루어진 판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판넬은 예를 들어 각종 가구를 제작하기 위한 보드(MDF) 대체용, 사무실 내부칸막이, 건축구조용 내부 칸막이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데크 패널은, 데크 플레이트에 트러스 거더를 용접하지 않고 데크 플레이트에 형성된 고정부를 통하여 트러스 거더를 고정 설치하므로, 용접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데크 패널의 부식과 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폿용접으로 트러스 거더를 데크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것에 비하여, 고정부가 트러스 거더의 푸트 전체를 밀착시키며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트러스 거더가 데크 플레이트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력에 대한 안정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데크 플레이트와 트러스 거더를 분리된 상태로 운반하여 시공 현장에서 조립하게 되므로, 이들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운반할 때보다 운반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콘크리트의 자체중량 및 시공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와, 이 데크 플레이트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트러스 거더로 이루어진 데크 패널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는 상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트러스 거더는 데크 플레이트에 형성된 고정부에 끼움 겹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데크 플레이트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패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패널.
KR1020020050808A 2002-08-27 2002-08-27 데크 패널 KR200400188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808A KR20040018807A (ko) 2002-08-27 2002-08-27 데크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808A KR20040018807A (ko) 2002-08-27 2002-08-27 데크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807A true KR20040018807A (ko) 2004-03-04

Family

ID=3732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808A KR20040018807A (ko) 2002-08-27 2002-08-27 데크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88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827B1 (ko) * 2008-02-04 2009-08-12 김성기 건축용 판넬 고정장치
CN102966238A (zh) * 2011-09-01 2013-03-13 北京多维联合集团香河建材有限公司 一种钢筋桁架楼承板底模及具有该底模的钢筋桁架楼承板
KR102461466B1 (ko) * 2021-07-27 2022-10-31 김미숙 삼각 스터드 골조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230077966A (ko) * 2021-11-26 2023-06-02 에이치엘디앤아이한라 주식회사 물끊기 홈을 적용한 누수차단용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268B1 (ko) * 1996-12-13 2000-02-15 김무수 트러스가 부착된 데크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25054A (ko) * 1998-10-08 2000-05-06 하진규 와이어 메쉬를 이용한 합성데크플레이트 및 그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268B1 (ko) * 1996-12-13 2000-02-15 김무수 트러스가 부착된 데크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25054A (ko) * 1998-10-08 2000-05-06 하진규 와이어 메쉬를 이용한 합성데크플레이트 및 그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827B1 (ko) * 2008-02-04 2009-08-12 김성기 건축용 판넬 고정장치
CN102966238A (zh) * 2011-09-01 2013-03-13 北京多维联合集团香河建材有限公司 一种钢筋桁架楼承板底模及具有该底模的钢筋桁架楼承板
CN102966238B (zh) * 2011-09-01 2016-03-30 北京多维联合集团香河建材有限公司 一种钢筋桁架楼承板底模及具有该底模的钢筋桁架楼承板
KR102461466B1 (ko) * 2021-07-27 2022-10-31 김미숙 삼각 스터드 골조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230077966A (ko) * 2021-11-26 2023-06-02 에이치엘디앤아이한라 주식회사 물끊기 홈을 적용한 누수차단용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401B2 (en) Open web composite shear connector construction
US4646495A (en) Composite load-bearing system for modular buildings
EP1007799B1 (en) Building panel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CA2023198C (en) Composite gird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100646363B1 (ko) 장스팬용 보강데크식 바닥 구조물 및 그 축조 방법
KR200343678Y1 (ko) 조립식 데크패널의 조립구조
KR100593664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100634344B1 (ko) 합성바닥판 및 그 연결구조
KR20040018807A (ko) 데크 패널
KR200383489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200234547Y1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
KR101825580B1 (ko) 철골-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보
KR200231044Y1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패널의 처짐 방지장치
KR102107666B1 (ko) 장스팬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장스팬 구조 시공 방법
KR102033052B1 (ko)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KR20040074818A (ko) 조립식 데크패널
KR200200417Y1 (ko)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거더
KR100452976B1 (ko) 슬림플로어 공법을 위한 스틸플레이트 보강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KR200332938Y1 (ko) 조립식 데크패널의 체결구조
KR200305991Y1 (ko) 건축 슬래브용 트러스 데크패널
EP0393091B1 (en) A load-bearing horizontal structural system for a building
KR200296951Y1 (ko) 철근콘크리트 슬라브를 위한 데크패널
KR100424321B1 (ko) 철선을 구비한 건축용 슬래브의 데크 패널
KR0178690B1 (ko)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거어더 및 데크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