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579A -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579A
KR20040017579A KR1020020049716A KR20020049716A KR20040017579A KR 20040017579 A KR20040017579 A KR 20040017579A KR 1020020049716 A KR1020020049716 A KR 1020020049716A KR 20020049716 A KR20020049716 A KR 20020049716A KR 20040017579 A KR20040017579 A KR 20040017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tor
top box
patient
digital se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호동
박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휴웰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휴웰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휴웰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20049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7579A/ko
Publication of KR20040017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57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텔레비전의 부화면 또는 메인 화면을 통해 환자와 의사간의 원격진료가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의사가 부재중일 경우 환자의 화상메시지 및 병상데이타를 포함한 건강상태를 기록하여 전송함으로써 추후에 의사가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에 연결된 텔레비전의 초기화면상의 카테고리에서 원격진료 서비스가 선택된 후 의사가 지정되면 상기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가 그 지정된 의사 정보를 시스템 운영장치를 통해 서비스 제공장치에게로 전송하는 제 1과정;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의사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의사 디지털 셋탑 박스에게로 원격진료 수신신호를 전송하는 제 2과정; 상기 의사의 원격진료 승인이 있으면 상기 환자 및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에 연결된 텔레비전의 부화면 또는 메인 화면을 통해 상기 환자에 대한 원격진료를 행하고, 상기 의사가 부재중이면 상기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에게로 의사의 부재중을 알리는 제 3과정; 상기 의사의 부재중을 파악한 환자가 소정의 화상메시지의 기록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환자의 화상메시지를 기록하고 그 기록된 화상메시지를 상기 시스템 운영장치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게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제 4과정;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소정의 화상메시지를 상기 시스템 운영장치를 통해 해당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에게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제 5과정; 상기 의사가 댁외에서 컴퓨터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접속한 후 열람을 요구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기저장된 해당 의사에 대한 환자의 화상메시지를 상기 인터넷을 통해 해당 의사의 컴퓨터에게로 전송하는 제 6과정; 및 상기 의사가 집에 돌아와서 상기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를 통해 자신에게 온 화상메시지의 존재여부를 파악한 후에 확인해 보는 제 7과정을 구비하여, 기존의 전화망을 이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최대 다운 25Mbps, 쌍방향 동시 12Mbps가 가능한 디지털 셋탑 박스와 시스템 운영장치를 이용하여 VDSL전송방식을 행함으로써 일반전화 사용에 아무런 지장없이 실시간으로 고화질의 화상에 의한 원격진료가 가능하며 PIP창 또는 메인 화면을 선택적으로 이동하면서 원격진료를 진행할 수 있게 되고, 의사가 외부에 있을 경우 언제 어디서든 서비스 제공장치의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부재중에 기록된 화상메시지를 열람해 볼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Remote medical treatment service method using a digital set-top box}
본 발명은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셋탑 박스에 연결된 텔레비전의 부화면(PIP) 또는 메인 화면을 통한 원격진료 뿐만 아니라 환자의 화상메시지의 기록전송 및 그 화상메시지의 저장이 가능하도록 한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민 건강을 위한 의료 시스템에 있어서 아직까지는 환자가 의사로부터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병원을 직접 방문하여야 하고, 의사가 처방해 준 처방전에 따라 병원에 부속된 약국 또는 일반 약국에서 약품을 조제 및 수령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해서 의사가 직접 환자를 방문하여 진료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환자에게 가중한 의료비가 청구될 뿐만 아니라 의사의 시간적 손실이 크기 때문에 의사의 직접 방문을 통해 진료를 받는 경우는 드물다 하겠다.
이와 같이, 환자와 의사가 직접 대면하여 진료하는 이른 바, 직접 진료(Face to face) 시스템은 환자가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직접 병원까지 방문하여야만 하고, 더구나 병원을 방문하였다 하더라도 진료까지는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등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종합의료기관이 없는 외곽의 농,어촌에서는 전문의(專門醫)자격을 가진 의사에게 진료를 받을 수 없어 일반의에게 진료를 받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며, 이로 인해 질병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어렵고, 따라서 조기에 질병치료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인터넷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현실에 맞게 온-라인(On-line) 상에서의 의료상담 및 진료가 이루어지려는 움직임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텔레비전의 부화면 또는 메인 화면을 통해 환자와 의사간의 원격진료가 가능하도록 한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사가 부재중일 경우 환자의 화상메시지를 기록하여 전송함으로써 추후에 의사가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셋탑 박스의 내부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서비스 제공장치200 : 인터넷
300 : 시스템 운영장치 400 : 디지털 셋탑 박스
500 : 리모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은,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 컨텐츠를 VDSL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텔레비전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키고, 다수의 음성/영상 입력소오스와 연결되며, 마이크가 내장된 리모콘으로부터 음성신호를 무선수신하는 사용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 소정의 지역단위별로 설치되고, 임의의 디지털 셋탑 박스와의 쌍방향 데이터 통신에 의해 해당 디지털 셋탑 박스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중계해 주는 시스템 운영장치; 및 인터넷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시스템 운영장치로부터의 서비스 컨텐츠 요구에 따라 해당하는 서비스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해당 시스템 운영장치에게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에 연결된 텔레비전의 초기화면상의 카테고리에서 원격진료 서비스가 선택된 후 의사가 지정되면 상기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가 그 지정된 의사 정보를 상기 시스템 운영장치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게로 전송하는 제 1과정;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의사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의사 디지털 셋탑 박스에게로 원격진료 수신신호를 전송하는 제 2과정; 상기 의사의 원격진료 승인이 있으면 상기 환자 및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에 연결된 텔레비전의 부화면 또는 메인 화면을 통해 상기 환자에 대한 원격진료를 행하고, 상기 의사가 부재중이면 상기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에게로 의사의 부재중을 알리는 제 3과정; 상기 의사의 부재중을 파악한 환자가 소정의 화상메시지의 기록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환자의 화상메시지를 기록하고 그 기록된 화상메시지를 상기 시스템 운영장치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게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제 4과정;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소정의 화상메시지를 상기 시스템 운영장치를 통해 해당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에게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제 5과정; 상기 의사가 댁외에서 컴퓨터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접속한 후 열람을 요구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기저장된 해당 의사에 대한 환자의 화상메시지를 상기 인터넷을 통해 해당 의사의 컴퓨터에게로 전송하는 제 6과정; 및 상기 의사가 집에 돌아와서 상기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를 통해 자신에게 온 화상메시지의 존재여부를 파악한 후에 확인해 보는 제 7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 컨텐츠를 VDSL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텔레비전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키고, 다수의 음성/영상 입력소오스와 연결되며, 마이크가 내장된 리모콘(500)으로부터 음성신호를 무선수신하는 사용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 소정의 지역단위별로 설치되고, 해당 지역내의 상기 다수의 사용자의 디지털 셋탑박스(400)와 VDSL의 전화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임의의 디지털 셋탑박스와의 쌍방향 데이터 통신에 의해 해당 디지털 셋탑박스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운영장치(300); 및 컨텐츠 제공장치(도시 생략)로부터 다양한 서비스 컨텐츠를 제공받아 저장하고서, 인터넷(200)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시스템 운영장치(300)로부터의 서비스 컨텐츠 요구에 따라 해당하는 서비스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해당 시스템 운영장치(300)에게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구비한다.
여기서, 그 컨텐츠 제공장치는 컨텐츠 제공자가 관리하는 장치이고, 그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하는 장치이며, 그 시스템 운영장치(300)는 시스템 운영자(즉, 영업권을 부여받은 가상점포 운영자라고 할 수 있음)가 관리하는 장치이다.
도 1에서는 그 시스템 운영장치(300)를 두 개만 도시하였으나 그 이상이어도 무방하며, 그 한 개의 시스템 운영장치(300)는 150개 정도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와의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물론, 그 한 개의 시스템 운영장치(300)가 150개 이상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와 쌍방향 통신하도록 하여도 무방할 뿐만 아니라 증설가능하다.
그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각종 서비스에 관련된 컨텐츠가 저장되는 제 1저장부; 그 제 1저장부에 저장된 서비스 컨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그 시스템 운영장치(300)에게로 전송해 주고, 입력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그 제 1저장부에게로 입력하는 스트리밍 서버; 그 제 1저장부와 스트리밍 서버 사이에 설치되어 그 제 1저장부와 스트리밍 서버간의 서비스 컨텐츠 이동을 스위칭해주는 샌(SAN; Storage Area Network) 스위칭부; 인터넷을 통해 그 컨텐츠 제공장치(도시 생략)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 컨텐츠를 그 스트리밍 서버에게로 전달하는 웹/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제 1저장부에 저장된 서비스 컨텐츠의 부가정보(예컨대, 각 서비스 컨텐츠가 있는 위치 및 일련번호, 각각의 서비스 운영장치의 접속정보, 컨텐츠 제공장치의 접속정보, 기타 서비스 제공장치의 운영에 필요한 정보 등)가 저장되는 제 2저장부; 및 그 웹/데이터베이스 서버에 DML 명령을 통하여 그 제 2저장부에 저장된 부가정보에 대한 검색, 삽입, 삭제, 갱신 및 재구성을 행하는 매니저 피시(Manager PC)를 구비한다.
그리고, 그 웹/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연결된 인터넷에 의해 서비스제공장치(100)와 컨텐츠 제공장치(도시 생략)가 상호 연결되고, 그 스트리밍 서버와 연결된 인터넷(200)을 통해 서비스 제공장치(100)와 시스템 운영장치(300)가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그 제 1저장부는, 대규모 용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증설이 가능하며 샌 스위칭부의 도움으로 마치 하나의 저장공간을 이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사용된다. 즉, 그 제 1저장부는 물리적으로는 다수개로 독립되어 있지만 논리적으로는 하나의 저장공간이다.
그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컨텐츠 제공장치(도시 생략)로부터 영화 또는 부가가치가 있는 데이터들을 공급받아 그 제 1저장부에 저장하게 되는데, 그 저장되는 컨텐츠가 적게는 10메가에서 수 기가 바이트가 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샌 스위칭부와 다수의 저장부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그 서비스 제공장치(100)의 제 1저장부에는 지역별로 수집된 해당 지역의 공지사항 및 각종 정보 자료 등이 저장되기도 한다.
또한, 그 서비스 제공장치(100)내의 스트리밍 서버는 인터넷상에서 음성이나 영상, 애니메이션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동시에 여러 곳의 시스템 운영장치(300)에게 서비스 컨텐츠를 공급해 줄 뿐 아니라 지역별 공지사항 및 각종 정보 자료 등을 여러 곳의 시스템 운영장치(300)에게로 공급해 준다.
한편, 그 시스템 운영장치(300)는, 그 서비스 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부; 케이블 또는 광케이블에 의해 인터넷에 접속되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컨텐츠를 수신하여 그 저장부에 일시저장하고 출력하는 미디어 서버; 그 미디어 서버에서 출력되는 서비스 컨텐츠에 대하여 다수의 전송경로를 설정하여 출력하는 다점 분배 유니트(Multi-point Distribution Unit); 및 그 다점 분배 유니트로부터의 서비스 컨텐츠를 전화선을 통해 해당하는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게로 전송하는 사설 구내 교환기를 구비한다.
그 미디어 서버는 케이블 또는 광 케이블로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00)의 스트리밍 서버에 접속되어 서비스 컨텐츠 뿐만 아니라 지역별 공지사항 및 각종 정보 자료 등을 수신하고 그 수신한 서비스 컨텐츠와 지역별 공지사항 및 각종 정보 자료 등을 저장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그 디지털 셋탑 박스(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음성/영상 입력소오스(예컨대, 텔레비전 튜너, 무비 카메라, VTR, 케이블 방송, 위성방송, CCD카메라, 마이크 등)로부터의 음성/영상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변환시키는 다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 그 다수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수 채널의 음성/영상신호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채널의 음성/영상신호를 저장신호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고, 그 다수 채널의 음성/영상신호 및 엠펙(MPEG) 디코딩되어 입력된 음성/영상신호를 음성/영상신호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영상 절환부; 그 음성/영상 절환부의 저장신호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엠펙(MPEG) 엔코딩하는 엠펙 엔코더; 그 엠펙 엔코더에 의해 엠펙 엔코딩된 음성/영상신호가 저장되고, VDSL 라인 또는 LAN 라인을통해 입력되는 엠펙 컨텐츠가 저장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형태의 저장부; 그 엠펙 엔코더로부터의 출력 데이터 및 상기 VDSL 라인 또는 LAN 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엠펙 컨텐츠를 그 저장부에게로 저장시키고, 그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부 제어부; 그 저장부로의 데이터 저장 및 출력에 필요한 제어 명령을 상기 부 제어부에게로 제공하고, 리모콘 수신부에 수신된 리모콘(도시 생략)으로부터의 원격신호에 근거하여 그에 상응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주 제어부; 그 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엠펙 디코딩하여 그 음성/영상 절환부에게로 전송하는 엠펙 디코더; 그 음성/영상 절환부로부터의 다수 채널의 영상신호중에서 어느 한 채널의 영상신호를 메인 화면으로 하고 다른 채널들의 영상신호를 부화면으로 하는 화면 생성부; RGB 8:8:8의 24비트 오버레이(overay) 메모리(도시 생략)의 내용을 특정 컬러 키값(color key value)(즉, 출력될 화면들에 필요한 OSD문자(또는 그림)에 상응하는 컬러 키값)과 비교하여 상기 화면 생성부로부터의 화면위에 적절한 그래픽 OSD를 구현하는 OSD합성부; 그 OSD합성부로부터의 영상화면을 텔레비전 모니터(도시 생략)에 디스플레이시키는 영상 출력부; 그 음성/영상 절환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메인 화면으로 액티브된 채널의 음성신호를 아날로그변환시키는 음성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그 음성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의 음성을 텔레비전의 스피커(도시 생략)를 통해 외부에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디지털 셋탑 박스에 필요한 운영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램(RAM); 및 디지털 셋탑 박스의 구동 및 제어 등에 관련된 모든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롬(ROM)을 구비한다.
여기서, 그 음성/영상 절환부와 부 제어부 및 OSD합성부는, 프로그램이 가능한 로직칩의 한 형태인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이다.
그리고, 그 주 제어부와 부 제어부는 로컬 버스를 통해 상호간의 통신을 행한다. 그 롬에는 해당 디지털 셋탑 박스를 사용하는 자의 개인정보(예컨대, 성명, 주소, 신용카드 정보, ID카드 정보 등)가 추가로 저장된다.
또한, 도 2에서 그 화면 생성부, OSD합성부, 영상 출력부, 음성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및 음성 출력부를 통칭하여, 상기 음성/영상 절환부에서 출력되는 다수 채널의 음성 및 영상을 상기 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조건에 따라 출력하는 음성/영상 출력수단이라 한다.
그리고, 그 엠펙 엔코더는 선입선출(FIFO)방식의 버퍼(도시 생략)를 내장하고 있고, 그 부 제어부에서 그 엠펙 엔코더의 버퍼를 직접 엑세스하며, 주 제어부는 제어 명령만을 처리한다. 그 주 제어부는 그 저장부에 대한 제어 명령 및 주소 인덱스만을 처리하고, 나머지 대용량의 버스트 전송에 관한 부담은 부 제어부가 담당한다.
또한, 도 2에서 VDSL 라인은 전화선으로서, 그 VDSL라인을 통하여 VOD를 실현하고, 랜(LAN) 라인은 인터넷 라인으로서 2개의 인터넷 라인으로 구성된다. 그 VDSL 라인 및 2개의 랜 라인과 로컬 버스 사이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가 설치된다. 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디지털 셋탑 박스와 네트워크가 상시 접속되도록 해 준다. 그 2개의 인터넷 라인과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에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기능이 부여되어 가정용 게이트웨이 기기로 사용된다. 즉, 사용자의 입장에서는VDSL환경이 아닐 경우에는 인터넷 라인(즉, 랜 라인)에 바로 접속하여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하면 된다.
그리고, 도 2의 롬에는 디지털 셋탑 박스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VOIP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그 VOIP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로컬 버스에 슬릭(SLIC - SUBSCRIBER LINE INTERFACE CIRCUITS)의 일 출력단이 연결되고, 그 SLIC의 다른 출력단은 음성/영상 절환부에 연결된다.
그 SLIC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하여 출력하는 것으로서, 그 SLIC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는 음성/영상 절환부에게로 입력됨과 더불어 로컬 버스를 통해 주 제어부에게로도 입력된다.
그 주 제어부에서는 디지털 셋탑 박스의 전원이 온되면 그 롬에 저장되어 있는 VOIP 소프트웨어를 램에 저장시킨 후에 그 VOIP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VOIP 기능을 제어한다. 따라서, 도 2의 디지털 셋탑 박스는 VOIP폰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즉, 도 2의 디지털 셋탑 박스에는 IP를 이용하여 음성과 영상을 전송하는 VOIP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도 2에서, 그 음성/영상 입력소오스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영상신호(즉,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RCA입력과 슈퍼 비디오(S-video)로 이루어지고, 그 네개의 입력 소오스중에서 하나의 입력 소오스의 음성/영상신호만이 주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엠펙 엔코더 및 부 제어부를 거쳐 저장부에 저장된다. 그리고, 그 네 개의 입력 소오스는 실시간으로 화면 생성부에게로 전송되어 있으므로,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에 최대 3개의 채널 조합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도 2의 디지털 셋탑 박스는 최대 초당 25메가, 쌍방향으로는 초당 12메가의 초고속 통신이 가능한 VDSL 전화환경 또는 랜 환경에서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 네트워크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서버(도시 생략)를 통해 최신 컨텐츠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또한, 멀티 테스킹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그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시간적인 버퍼링을 위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인 저장부에 저장된 후에 그 저장부에서 독출되어 엠펙 디코더 및 음성/영상 절환부를 통해 화면 생성부에게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 2의 디지털 셋탑 박스에 의하면, 통상의 PVR기능뿐만 아니라 VDSL라인 또는 랜 라인을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희망하는 대로 제공받을 수 있고, 출력도 가능하다.
한편, 도 1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서,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는 환자의 온도, 맥박, 혈압, 호흡수 등을 체크할 수 있는 기구(도시 생략)가 연결되고, 그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는 의사와 연결되어 원격진료를 받을 때 해당 환자의 환부에 대한 화상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환자의 온도, 맥박, 혈압, 호흡수 등의 정보를 보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서비스는 병원의 병실수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으며 비록 중한 환자라도 병원보다는 자택에서 심신을 안정하면서 가족들의 간호를 받으며 치료를지속할 수 있고 비상시에 온도, 맥박, 혈압, 호흡수등의 임계치를 설정하여 의사와 간호사에게 자동으로 알리고 앰블란스등을 미리 대기시킬 수 있어, 자택에서도 병원 못지 않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생존 임계 수준의 데이터 등급을 설정하고, 환자의 온도, 맥박, 혈압, 호흡수등 수치에 따른 임계 데이터 등급에 따라서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는 화면에 긴급 메시지 및 상징을 디스플레이 시키고, 음향을 통하여 알람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리모콘(500)은,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 대한 동작명령 및 마이크사용모드를 키입력하는 키입력부; 부호화된 음성신호를 해독하기 위한 표준 데이터 및 그 키입력부에 의해 키입력된 동작명령 신호를 해독하기 위한 표준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사용자의 음성을 채집하는 마이크; 그 마이크에 의해 채집된 음성을 신호처리하여 소정의 부호화된 음성신호로 출력하는 음성처리수단; 그 키입력부에 의해 마이크사용모드가 설정되면 그 음성처리수단으로부터의 부호화된 음성신호를 메모리에 기저장된 표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해독한 후 그에 상응하는 적외선신호 발생을 제어하는 제어부; 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적외선 신호를 발생하는 적외선신호 발생부; 및 그 적외선신호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적외선신호를 상기 디지털 셋탑 박스에게로 원격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그 키입력부는 그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을 온/오프시키는 음성입력 온/오프 버튼을 구비한다. 물론, 그 키입력부는 그 디지털 셋탑 박스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 버튼, 그 디지털 셋탑 박스의 출력음성의 볼륨을 업/다운시키는 볼륨 업/다운 버튼, 텐키 및 특수문자 버튼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그 제어부는 상술한 마이크사용모드에서의 적외선신호 발생 제어뿐만 아니라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 대한 동작제어도 행한다. 그 음성처리수단은, 그 마이크를 통해 채집된 사용자의 음성신호 파형을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잘라내어 시간적으로 불연속한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펄스열을 생성해 내는 표본화부; 그 표본화부에서 출력되는 PAM펄스 신호에서 부호화된 디지털펄스를 만들어 내기 위해 시간과 함께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그 PAM펄스 신호의 진폭을 불연속한 수치로 양자화하는 양자화부; 및 그 양자화부에서 양자화된 불연속 PAM펄스열을 미리 정해놓은 수치에 대응하는 부호 펄스로 변환하여 그 제어부에게로 전송하는 부호화부로 구성된다.
그 표본화부는 샘플링/홀드회로로 구성되고, 그 양자화부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로 구성된다.
한편, 그 마이크는 해당 리모콘(500)의 전면 상부에 내장되는데, 그 내장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어 그 마이크는 리모콘(500)의 전면 하부 또는 그 적외선 송신부와 정반대되는 위치에 내장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그 키입력부(10)의 음성입력 온/오프 버튼은 리모콘(50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된다. 그 음성입력 온/오프 버튼의 위치 역시 필요에 따라 리모콘(500)의 전면 상부 등에 설치가능하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동작에 대하여 도 3 및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격진료를 원하는 환자가 자신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를 온(on)시킨 후에 그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 연결된 텔레비전(도시 생략)의 초기화면상의 카테고리에서 원격진료 서비스를 선택한다(단계 S10).
그 원격진료 서비스가 선택됨에 따라, 그 디지털 셋탑 박스(400)는 그 텔레비전의 모니터상에 주소록을 검색할 수 있는 화면 또는 연결할 의사의 ID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킨다. 그 의사의 ID는 지역별로 소정 개수로 있다.
그 환자가 리모콘(500)을 조작하여 주소록을 검색하여 의사를 지정하거나 연결할 의사의 ID를 입력하게 되면(단계 S12) 그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는 그 지정된 의사 정보(즉, 어떤 의사가 지정되었는지를 알려주는 정보)를 시스템 운영장치(300)를 통해 서비스 제공장치(100)에게로 전송한다(단계 S14). 그에 따라, 그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상기 의사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게로 원격진료 수신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16).
그리고 나서, 상기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가 온(on)된 상태(단계 S18에서 "Yes")에서 해당 의사의 원격진료 승인이 있으면 즉,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로부터의 원격진료 승인신호가 서비스 제공장치(100)에게로 전송되면 그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그 환자와 의사간의 원격진료를 제어한다. 즉, 그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의해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 연결된 텔레비전의 부화면(PIP) 또는 메인 화면과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 연결된 텔레비전의 부화면(PIP) 또는 메인 화면이 서로 연결되므로, 의사는 자신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 연결된 텔레비전의 부화면(PIP) 또는 메인 화면을 통해 환자에 대한원격진료를 하게 된다(단계 S22). 이때, 의사 및 환자간의 문답 내용은 서로에게 있는 리모콘(500)의 마이크(14)에서 채집되어 음성처리수단(40)에 의해 음성처리된 후에 당사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게로 무선전송되는데, 그 당사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는 해당 음성신호를 시스템 운영장치(300)를 통해 서비스 제공장치(100)에게로 보내며, 그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그 음성신호를 시스템 운영장치(300)를 통해 상대방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게로 보내어 해당 상대방의 텔레비전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한다. 그리고, 그 부화면(PIP) 또는 메인 화면에 의한 원격진료시 환자의 환부에 대한 화상 정보 뿐만 아니라 생체적 특징 정보(예컨대, 맥박, 혈압, 호흡수 등)를 실시간으로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게로 전송된다.
한편,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가 오프(off)된 경우(단계 S18에서 "No") 의사가 부재중이므로 그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시스템 운영장치(300)를 통해 해당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게로 현재 의사가 부재중임을 알린다(단계 S24).
그에 따라,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서는 환자의 화상메시지 기록여부를 선택하라는 메시지를 텔레비전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고, 그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를 보고서 환자가 화상메시지 기록을 선택하면(단계 S26에서 "Yes") 그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는 음성/영상 입력소오스로부터 입력되는 환자의 환부에 대한 화상 및 음성 뿐만 아니라 환자의 생체적 특징 정보를 기록한 후에 그 기록된 화상메시지를 상기 시스템 운영장치(300)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00)에게로 전송한다(단계 S28).
그리고, 그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상기 시스템 운영장치(300)를 통해 입력된 환자의 화상메시지(즉, 환자의 환부에 대한 화상 및 음성 뿐만 아니라 환자의 생체적 특징 정보(예컨대, 혈압, 맥박, 호흡수 등))를 내부의 제 1저장부에 기록/저장해 둔다(단계 S30). 그리고, 그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그 저장된 환자의 화상메시지를 해당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게로 전송하고(단계 S32), 그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는 그 환자의 화상메시지를 내부의 메모리에 기록/저장해 둔다(단계 S34).
이후, 그 의사가 돌아와서 자신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를 통해 자신의 부재중에 기록되어 있는 환자의 화상메시지(즉, 환자의 환부에 대한 화상 및 음성 뿐만 아니라 환자의 생체적 특징 정보(예컨대, 혈압, 맥박, 호흡수 등)의 존재여부를 파악한 후에 확인해 볼 수 있다(단계 S36에서 "Yes", 단계 S38). 물론, 그 환자의 화상메시지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면 그 환자의 화상메시지만으로 진료가 가능하면 그 환자의 화상메시지만으로 진료하여 그에 대한 처방을 환자의 컴퓨터 또는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게로 전송하고, 그 저장된 환자의 화상메시지으로는 진료가 불가능할 때에는 의사가 전화를 통해 해당 환자를 호출한 후에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하여 원격진료하거나 직접 그 디지털 셋탑 박스를 통해 해당 환자를 호출하여 원격진료를 할 수도 있다.
한편, 의사가 자신의 디지털 셋탑 박스(400)를 직접 확인해 보지 않고서도 댁외에서 직접 열람이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상기 의사가 댁외에서 컴퓨터(도시생략)를 사용하여 인터넷(200)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100)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열람을 요구하면(단계 S40에서 "Yes"), 그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기저장된 해당 의사에 대한 환자의 화상메시지를 상기 인터넷(200)을 통해 해당 의사의 컴퓨터(도시 생략)에게로 전송해 줌으로써, 열람이 가능하게 한다(단계 S42).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환자가 원격진료를 받기 위해 텔레비전의 PIP창 또는 메인 화면을 띄우고 주소록에 넣어둔 의사의 ID를 찾아 원격진료를 요구하게 되면 해당 의사의 텔레비전의 PIP창 또는 메인 화면에 원격진료 요청이 뜨므로 의사는 텔레비전의 PIP창 또는 메인 화면을 통해 환자에 대한 원격진료를 하게 된다. 그리고, 혹시 의사 자리에 없더라도 부재중 화상메시지로 저장이 되어 쉽게는 디지털 셋탑 박스(400)에 의해 확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장치(100)의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확인을 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전화망을 이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최대 다운 25Mbps, 쌍방향 동시 12Mbps가 가능한 디지털 셋탑 박스와 시스템 운영장치를 이용하여 VDSL전송방식을 행함으로써, 일반전화 사용에 아무런 지장없이 실시간으로 고화질의 화상에 의한 원격진료가 가능하며, PIP창 또는 메인 화면을 선택적으로 이동하면서 원격진료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의사가 외부에 있을 경우 언제 어디서든 서비스 제공장치의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부재중에 기록된 화상메시지를 열람해 볼 수 있다.
한편, 온도, 맥박, 혈압, 호흡수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병원의 병실수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으며 또한 병원보다는 자택에서 심신을 안정하면서 가족들의 간호를 받으며 치료를 지속할 수 있고 비상시에 온도, 맥박, 혈압, 호흡수등의 임계치를 설정하여 의사와 간호사에게 자동으로 알리고 앰블란스등을 미리 대기시킬 수 있어, 자택에서도 병원 못지 않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4)

  1.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 컨텐츠를 VDSL의 전화선을 이용하여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텔레비전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키고, 다수의 음성/영상 입력소오스와 연결되며, 마이크가 내장된 리모콘으로부터 음성신호를 무선수신하는 사용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 소정의 지역단위별로 설치되고, 임의의 디지털 셋탑 박스와의 쌍방향 데이터 통신에 의해 해당 디지털 셋탑 박스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중계해 주는 시스템 운영장치; 및 인터넷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시스템 운영장치로부터의 서비스 컨텐츠 요구에 따라 해당하는 서비스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해당 시스템 운영장치에게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에 연결된 텔레비전의 초기화면상의 카테고리에서 원격진료 서비스가 선택된 후 의사가 지정되면 상기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가 그 지정된 의사 정보를 상기 시스템 운영장치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게로 전송하는 제 1과정;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의사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의사 디지털 셋탑 박스에게로 원격진료 수신신호를 전송하는 제 2과정;
    상기 의사의 원격진료 승인이 있으면 상기 환자 및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에 연결된 텔레비전의 부화면 또는 메인 화면을 통해 상기 환자에 대한 원격진료를 행하고, 상기 의사가 부재중이면 상기 환자의 디지털 셋탑 박스에게로 의사의 부재중을 알리는 제 3과정;
    상기 의사의 부재중을 파악한 환자가 소정의 화상메시지의 기록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환자의 화상메시지를 기록하고 그 기록된 화상메시지를 상기 시스템 운영장치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게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제 4과정;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소정의 화상메시지를 상기 시스템 운영장치를 통해 해당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에게로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제 5과정;
    상기 의사가 댁외에서 컴퓨터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에 접속한 후 열람을 요구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기저장된 해당 의사에 대한 환자의 화상메시지를 상기 인터넷을 통해 해당 의사의 컴퓨터에게로 전송하는 제 6과정; 및
    상기 의사가 집에 돌아와서 상기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를 통해 자신에게 온 화상메시지의 존재여부를 파악한 후에 확인해 보는 제 7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에서의 의사 지정은 주소록 검색 또는 의사의 ID입력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화상메시지는 해당 환자의 환부에 대한 화상/음성정보 및 해당 환자의 온도, 맥박, 혈압, 호흡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생존 임계 수준의 데이터 등급을 설정하고, 환자의 온도, 맥박, 혈압, 호흡수등 수치에 따른 임계 데이터 등급에 따라서 의사의 디지털 셋탑 박스는 화면에 긴급 메시지 및 상징을 디스플레이 시키고, 음향을 통하여 알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진료 서비스방법.
KR1020020049716A 2002-08-22 2002-08-22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 KR20040017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716A KR20040017579A (ko) 2002-08-22 2002-08-22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716A KR20040017579A (ko) 2002-08-22 2002-08-22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579A true KR20040017579A (ko) 2004-02-27

Family

ID=3732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716A KR20040017579A (ko) 2002-08-22 2002-08-22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757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050A (ko) * 2000-05-12 2001-11-24 권오홍 인터넷 가상 종합병원 시스템
KR20010111598A (ko) * 2000-09-08 2001-12-19 김종대 셋톱박스를 이용한 종합서비스 시스템
KR20020059065A (ko) * 2000-12-30 2002-07-12 한봉수 케이블 티브이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82258A (ko) * 2001-04-20 2002-10-31 이메디피아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의료 화상 상담과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050A (ko) * 2000-05-12 2001-11-24 권오홍 인터넷 가상 종합병원 시스템
KR20010111598A (ko) * 2000-09-08 2001-12-19 김종대 셋톱박스를 이용한 종합서비스 시스템
KR20020059065A (ko) * 2000-12-30 2002-07-12 한봉수 케이블 티브이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82258A (ko) * 2001-04-20 2002-10-31 이메디피아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 의료 화상 상담과 진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79826B (zh) Usb使能的音视频开关
US8924234B2 (en) Streaming video network system
RU2493599C2 (ru) Медицинские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видеосвязи
US202303866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d selecting sources in a room on a network
RU2530709C2 (ru) Управление больнич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отображения телевизора/монитора с управлением иерархическим доступом
US11157842B2 (en) System, equipment and method for performing and documenting in real-time a remotely assisted professional procedure
US20060122482A1 (en) Medical image acquisition system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medical images instantaneous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10267418A1 (en) Telemedicine system
JP2007505676A (ja) 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CN111462923A (zh) 一种远程智慧医疗与智慧教育系统
JP2004240553A (ja) カスタマイズ医療情報提供装置、カスタマイズ医療情報提供方法、カスタマイズ医療情報提供プログラム及びカスタマイズ医療情報提供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40017579A (ko)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방법
KR100529241B1 (ko)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화상통화 서비스방법
KR20020058189A (ko) 인터넷기반의 수술 컨퍼런스 방법 및 장치
JPH09282400A (ja) 患者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EP1903525A1 (en) Remote monitoring and care
JP2013125464A (ja) 病院用情報システム
KR100529222B1 (ko)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원격감시 방법
JPH09282399A (ja) 患者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JPH11275560A (ja) 監視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データ処理装置
JP2021052310A (ja) オンライン診療対応装置およびオンライン診療システム
KR101581933B1 (ko) 보안 영상 및 의료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Zorkun et al. Essentials of telemedicine: a literature review
KR20040017580A (ko)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한 지역포털 서비스방법
Batton et al. Telemedicine Program Delivers Healthcare Services Far and W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