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819A - 통신 잭 부조립체 - Google Patents

통신 잭 부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819A
KR20040016819A KR10-2003-7006302A KR20037006302A KR20040016819A KR 20040016819 A KR20040016819 A KR 20040016819A KR 20037006302 A KR20037006302 A KR 20037006302A KR 20040016819 A KR20040016819 A KR 20040016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port
jacks
spring
ii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슨데이비드제이
Original Assignee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이디씨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1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81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3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elastic extensions of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91Terminal block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lugs or socke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유전성 삽입 몸체와 이 삽입 몸체에 고정된 복수의 잭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들 잭 각각은: ⅰ) 제 2 포트가 대체로 제 1 포트와 제 3 포트 사이에 있도록 위치되는 제 1, 제 2 및 제 3 포트가 형성된 잭 몸체와, ⅱ) 제 1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1 스프링 접점 세트와, ⅲ) 제 2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스프링 접점 세트, 및 ⅳ) 제 3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3 스프링 접점 세트를 포함한다. 이들 잭 각각은 단일 패스너에 의해서 삽입 몸체에 고정된다. 단일 패스너는 이들 잭 각각의 제 2 포트와 제 3 포트 사이에 위치된다.

Description

통신 잭 부조립체{TELECOMMUNICATIONS JACK SUBASSEMBLY}
디지털 크로스-커넥트 시스템(DSX)은 두 개의 디지털 전송 경로를 상호 연결하는 지점을 제공한다. DSX용 장치는 보통 전화의 센트럴 오피스(central office)에 있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 또는 베이(bay)에 위치된다. DSX 장치는 전송 경로로의 잭의 액세스(jack access)를 또한 제공한다.
DSX 잭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ADC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에 양도된 미국 특허 제6,116,961호; 제5,393,249호; 제5,145,416호; 및 제4,840,568호를 참조하라). 전형적인 잭은 팁과 링 플러그(tip-and-ring plug)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복수의 보어(즉, 포트)를 포함한다. 팁과 링 플러그에 접촉하도록 보어에 인접하게 스프링 접점(spring contact)이 제공된다.사용시에, DSX 잭은 전형적으로 디지털 전송 라인에 전기 연결되며, 잭을 크로스-커넥트하는데 사용되는 복수의 와이어 종단 부재에도 또한 전기 연결된다. 잭의 보어 내에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잭을 통해서 전송되는 신호는 차단되거나 모니터된다.
본 출원은 2001년 10월 30일자로 미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를 지정국으로 하여 ADC 텔레커뮤니케이션스, 인코포레이티드(ADC Telecommunications, Inc.)라는 미국 국적의 법인을 출원인으로 PCT 국제 특허 출원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크로스-커넥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크로스-커넥트 시스템(digital cross-connect system: DSX)용 잭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되어 탑재된 DSX 섀시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섀시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섀시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섀시의 측면도.
도 5는 수직 횡단면 절단 평면을 따라 취해진 도 1의 섀시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잭 삽입 부조립체(jack insert subassembly)의 정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잭 삽입 부조립체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잭 삽입 부조립체의 정면도.
도 9는 도 6의 잭 삽입 부조립체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단면선 '10-10'을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
도 11은 도 1의 섀시의 잭들 중 하나의 잭에 대한 예시적인 배선 개략도.
도 12는 명료함을 위해서 LED 스프링 접점이 분해된 상태로, 잭 삽입 부조립체의 일부를 예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잭을 예시하는 도면.
도 14는 플러그가 모니터 포트 내에 삽입되고 잭의 램프 스위치가 폐쇄 위치로 배향되어 있는, 도 13의 잭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제 2의 잭을 예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제 3의 잭을 예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제 4의 잭을 예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제 5의 잭을 예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제 6의 잭을 예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제 7의 잭을 예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유전성 삽입 몸체(dielectric insert body)와 이 삽입 몸체에 고정된 복수의 잭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들 잭 각각은: ⅰ) 제 2 포트가 대체로 제 1 포트와 제 3 포트 사이에 있도록 위치되는 제 1, 제 2 및 제 3 포트가 형성된 잭 몸체와, ⅱ) 제 1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1 스프링 접점 세트와, ⅲ) 제 2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스프링 접점 세트, 및 ⅳ) 제 3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3 스프링 접점 세트를 포함한다. 이들 잭은 각각 단일 패스너에 의해서 삽입 몸체에 고정된다. 단일 패스너는 이들 잭 각각의 제 2 포트와 제 3 포트 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잭 장착부와 LED 장착부를 갖는 유전성 삽입 몸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잭 장착부와 LED 장착부는 단일 요소(single piece part)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통신 장치는 잭 장착부에서 삽입 몸체에 고정된 복수의 잭을 또한 포함한다. 이들 잭 각각은: ⅰ) 제 2 포트가 대체로 제 1 포트와 제 3 포트 사이에 있도록 위치되는 제 1, 제 2 및 제 3 포트가 형성된 잭 몸체와, ⅱ) 제 1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1 스프링 접점 세트와, ⅲ) 제 2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스프링 접점 세트, 및 ⅳ) 제 3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3 스프링 접점 세트를 포함한다. 본 통신 장치는 삽입 몸체의 LED 장착부에 장착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이점들 중 일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고, 일부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하거나,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습득될 수 있다. 전술한 총괄적인 설명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예시적이며 설명을 위한 것일 뿐 권리가 청구되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통합되어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양태를 예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가 구체적으로 참고될 것이다. 가능하다면, 동일한 요소 또는 유사한 요소를 지칭하는 데에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될 것이다.
Ⅰ. DSX 섀시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DSX 섀시(20)(즉, 박스, 모듈 또는 하우징)가 예시되어 있다. 섀시(20)는 후측부(rear side)(24)(도 2에 도시됨)의 반대편에 위치된 전측부(front side)(22)(도 1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팁과 링 플러그(26)를 수용하기 위한 포트가 섀시의 전측부(22)에 제공된다. 이들 포트는 상부 배열(27)과 하부 배열(29)로 배치된다. 배열(27과 29) 각각은 IN 포트(28)의 수평열(horizontal row)과, OUT 포트(30)의 수평열 및 MONITOR 포트(32)의 수평열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LED 포트(34)의 수평열이 상부 배열(27)과 하부 배열(29) 각각의 위에 제공된다. LED 포트(34)는 발광 다이오드(36)(도 6에 도시됨)와 같은 광원(light source)/램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섀시(20)는 통신 랙(rack) 또는 프레임의 베이에 섀시를 장착하기 위한 전방 플랜지(front flange)(37)를 또한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시(20)는 X-CONN 패널(38)(즉, 크로스-커넥트 패널)과 IN/OUT 패널(40)을 더 포함한다. X-CONN 패널(38)과 IN/OUT 패널(40)은 섀시(20)의 후측부(24)에 위치되며, 서로 교호(交互)식으로 배치되거나 오프셋 되어 있다. X-CONN 패널(38)은 복수의 크로스-커넥트 지점의 배열을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크로스-커넥트 지점은 섀시(20)의 후측부(24)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와이어 종단 부재(wire termination member){즉, 와이어 랩 핀(39)}에 의해서 제공된다. 하지만, 다른 유형의 접점 또는 커넥터에 의해서도 연결 지점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X-CONN 패널(38)에 제공된 연결 지점은 트레이서 램프(tracer lamp)(TL) 연결 지점과, 팁 노멀-아웃(tip normal-out)(TN-OUT) 연결 지점과, 링 노멀-아웃(ring normal-out)((RN-OUT) 연결 지점과, 팁노멀-인(tip normal-in)(TN-IN) 연결 지점, 및 링 노멀-인(RN-IN) 연결 지점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된 바와 같이, "패널"이라는 용어는 연결 지점이 제공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전히 도 3을 참조하면, IN/OUT 패널(40)은 복수의 IN/OUT 연결 지점의 배열을 포함한다. 알려진 임의의 유형의 전기 커넥터에 의해 연결 지점이 제공할 수 있지만, 와이어 랩 핀(39) 형태의 와이어 종단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연결 지점이 도시되어 있다. IN/OUT 패널(40)에 제공된 IN/OUT 연결 지점의 배열은 팁-아웃(tip-out)(T-OUT) 연결 지점과, 링-아웃(ring-out)(R-OUT) 연결 지점과, 팁-인(T-IN) 연결 지점, 및 링-인(ring-in)(R-IN) 연결 지점을 포함한다. 섀시(20)의 후측부(24)에는 전력/전압 연결 지점(42)과, 섀시 그라운드 연결 지점(44)과, 배터리 그라운드 연결 지점(46), 및 쉴드 그라운드(shield ground) 연결 지점(48)이 또한 제공된다.
Ⅱ. 잭 삽입 부조립체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포트의 상부 배열(27)과 하부 배열(29) 각각은 섀시(20)에 장착된 세 개의 개별적인 잭 삽입 부조립체(50)에 의해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잭 삽입 부조립체(50)는 패스너(fastener)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서 섀시(20)에 연결된다. 도 1에서, 패스너는 직사각형의 띠(fascia)에 의해 덮여있다. 도 6 내지 도 10에는 섀시로부터 분리된 하나의 잭 삽입 부조립체(5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잭 삽입 부조립체(50)는 공통 잭 삽입 몸체(54)에 고정된 14개의 개별적인 DSX 잭(5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잭 삽입 몸체(54)는 플라스틱과 같은 유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ⅰ. 대표적인 잭 구조
도 10은 도 6 내지 9에 도시된 잭 삽입 부조립체(50)의 잭(52) 중 하나를 관통하여 취해진 횡단면도이다. 잭(52)은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재료(예를 들면, 다이캐스팅 아연과 같은 금속)로 만들어진 프레임(56)을 포함한다. 프레임(56)은 전방면(forward face)(58)과 후방으로 돌출한 스프링 장착부(60)를 포함한다. 전방면(58)은 MONITOR 포트(32)가 형성된 모니터 슬리브(32')와, OUT 포트(30)가 형성된 아웃 슬리브(out sleeve)(30'), 및 IN 포트(28)가 형성된 인 슬리브(in sleeve)(28')를 포함한다. 접점 스프링 적층이 두 개의 패스너(62)(예를 들면, 볼트, 핀 또는 스크루)에 의해서 프레임(56)의 스프링 장착부(60)에 고정된다.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적층된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유전체 스페이서(dielectric spacer)(64)에 의해서 분리된다. 패스너(62)를 스프링으로부터 격리시키기 위해서 유전체 스페이서(66과 68)가 또한 제공된다. 패스너(62)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패스너(62)가 스프링 장착부(60)를 관통하는 영역에서} 프레임(56)과 전기 접촉 상태가 된다. 프레임(56)을 섀시(20)의 쉴드 그라운드(48)에 그라운드시키기 위한 연결 지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접지 스프링(70)이 패스너(62)에 전기 연결된다.
접점 스프링 적층은 IN 포트(28)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1 스프링 세트와, OUT 포트(30)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스프링 세트, 및 MONITOR 포트(32)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3 스프링 세트를 포함한다. 제 1 스프링 세트는 인 링 스프링((inring spring)(72)과, 대응되는 인 링 노멀 스프링(in ring normal spring)(74)과, 인 팁 스프링(in tip spring)(76), 및 대응되는 인 팁 노멀 스프링(in tip normal spring)(78)을 포함한다. 제 2 스프링 접점 세트는 아웃 링 스프링(out ring spring)(80)과, 대응되는 아웃 링 노멀 스프링(out ring normal spring(82)과, 아웃 팁 스프링(out tip spring)(84), 및 대응되는 아웃 팁 노멀 스프링(out tip normal spring)(86)을 포함한다. 제 3 스프링 접점 세트는 모니터 링 스프링(88)과 모니터 팁 스프링(90)을 포함한다. 섀시(20)의 크로스-커넥트 패널(38) 또는 IN/OUT 패널(40)에서 스프링이 대응되는 연결 지점에 연결될 수 있도록 스프링 각각은 후방의 와이어 랩부(wire wrap portion)(91)를 갖는다.
제 2 스프링 접점 세트와 제 3 스프링 접점 세트 사이에 램프 스위치(92)가 위치된다{즉, 램프 스위치(92)는 OUT 포트(30)에 대응되는 스프링 접점(80 내지 84)과 MONITOR 포트(32)에 대응되는 스프링 접점(88, 90) 사이에 위치된다}. 섀시(20)에 결선(結線)이 이루어질 때, 램프 스위치(92)는 바람직하게는 램프 스위치(92)가 폐쇄될 때 LED(36)가 작동하도록(즉, 발광하거나 명멸하도록) LED(36)에 전기 연결된다.
램프 스위치(92)는 바람직하게는 MONITOR 포트(92) 내에 플러그가 삽입될 때 폐쇄된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램프 스위치(92)는 제 1 및 제 2 접점 스프링(94와 96)을 포함한다. 제 2 접점 스프링(96)은 바람직하게는 구부러지거나 아니면 본질적으로 제 2 접점 스프링(96)을 폐쇄 위치로 가압하는 편향력(bias)이 제공된다{스프링(96)의 굽힘부가 보여지는 도 14를 참고하라). 도 10과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접점 스프링(96)은 모니터 팁 스프링(90)에 장착된 유전체 스페이서(98)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니터 팁 스프링(90)은 제 2 접점 스프링(96)의 편향력을 평형/상쇄시키며, 제 2 접점 스프링(96)이 제 1 접점 스프링(94)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가 모니터 포트(32) 내에 삽입될 때, 모니터 팁 스프링(90)은 플러그에 의해 위쪽으로 힘을 받게되어 유전체 스페이서(98)를 제 2 접점 스프링(96)으로부터 이동시킨다. 유전체 스페이서(98)가 이동됨에 따라, 제 2 접점 스프링(96)의 고유 편향력은 제 2 접점 스프링(96)을 제 1 접점 스프링(94)과 접촉 상태가 되게 이동시켜 램프 스위치(92)를 폐쇄하고 LED(36)를 발광시킨다.
미국특허 제5,145,416호에 개시된 잭과 같은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잭에서는, 램프 스위치가 모니터 팁과 링 스프링의 위에 제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램프 스위치(92)는 OUT 포트(30)에 대응되는 스프링(80 내지 86)과 모니터 스프링(88과 90) 사이의 지점에서 모니터 스프링(88과 90)의 아래에 위치된다. 램프 스위치(92)를 이러한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잭(52)의 높이 또는 프로파일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높이의 감소는 섀시(20)의 회로 조밀도의 증대에 도움을 준다.
ⅱ. 잭 삽입 몸체의 구조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잭 삽입 부조립체(50)의 잭 삽입 몸체(54)는 잭 장착부(100)와 LED 장착부(102)를 포함한다. 잭 장착부(100)와 LED 장착부(102)는 바람직하게는 단일의 일체형 요소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잭 장착부(100)와 LED 장착부(102)는 단일 요소의 플라스틱 부품으로 성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잭 삽입 몸체(54)를 섀시에 연결하기 위한 패스너가 두 장착부(100과 102) 사이의 영역에는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두 장착부(100과 102) 사이에 어떠한 틈새나 간격도 제공되지 않는다.
잭 장착부(100)는 잭(52)의 인 슬리브(28')와, 아웃 슬리브(30'), 및 모니터 슬리브(32')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opening)의 배열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잭 장착부(100)는 인 슬리브(28')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04)의 제 1 수평열과, 아웃 슬리브(30')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06)의 제 2 수평열, 및 모니터 슬리브(32')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08)의 제 3 수평열을 포함한다. LED 장착부(102)에는 발광 다이오드(36)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LED 포트(34)의 수평열이 형성된다. 잭 장착부(100)와 LED 장착부(102)를 단일의 일체형 요소로 제작함으로써, 구조물의 전체 높이가 감소될 수 있고 그래서 섀시(20)의 회로 조밀도를 극대화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도 6,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각각의 잭(52)은 단일 패스너(110)(예를 들면, 스크루 또는 볼트)에 의해서 잭 삽입 몸체(54)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패스너(110)는 전기 전도성 재료(예를 들면, 아연 도금 강과 같은 금속)로 만들어진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너(110)는 잭 삽입부(54)에 형성된 개구(112)를 관통하며 잭(52)의 프레임(56)과 연결된다{예를 들면, 패스너가 프레임(56)에 나사 체결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패스너(110)는 MONITOR 포트(32)와 OUT 포트(3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잭(52)의 중앙 지점에 위치된 단일 패스너를 사용함으로써, 잭의 상단과 하단에 인접한 패스너를 갖는 종래 기술의 잭 삽입 부조립체와 비교하여 잭 삽입 부조립체(50)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패스너(110)의 헤드와 잭 삽입부(54) 사이에 보강 부재(114)가 위치된다. 보강 부재(114)는 본질적으로 와셔 유형의 구조물의 기능을 한다. 보강 부재(114)가 전기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면, 잭 삽입 부조립체(50)의 보강 부재(114) 전체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서 전도성 링크 부재(116)(도 6과 8에 가장 잘 도시됨)가 사용될 수 있다. 보강 부재(114)를 서로 전기 연결시킴으로써, 14개의 잭의 그라운드 스프링 중에서 단 하나의 그라운드 스프링을 통해서 잭 삽입 몸체(54) 상에 장착된 잭 프레임(56) 전체가 섀시 쉴드 그라운드에 공통으로 그라운드될 수 있다. 또한, 링크 부재(116)는 보강 부재(114) 전체가 동시에 잭 삽입 몸체(54)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잭 삽입 부조립체(5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ⅲ. LED 장착 구조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LED(36)는 렌즈(120)가 장착되는 본체(118)를 포함한다. 유전체 스페이서/확장부(122)가 본체(118)의 후방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전기선(electrical lead)도 또한 본체(118)의 후측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전기선(124)은 서로 떨어져 있으며 스페이서(122)에 의해 전기 절연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122)는 LED(36)의 본체(118)의 직경보다 훨씬 작은 간격을 전기선(124)들 사이에 제공한다. 전기선(124)들 사이 간격의 이러한 감소는잭 삽입부(54)의 LED 장착부(102)의 높이를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7,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잭 삽입 몸체(54)의 LED 장착부(102)에는 상부 스프링 장착 슬롯(126)과 하부 스프링 장착 슬롯(128)이 형성된다. 상부 전도체(130)가 상부 슬롯(126) 내에 장착되어, LED(126)의 상부 전기선(124)과 전기 연결된다. 하부 전도체(132)는 하부 슬롯(128) 내에 장착되어, LED(36)의 하부 전기선(124)과 전기 접촉된다. 전도체(130과 132)가 슬롯(126과 128)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도체(130과 132)는 잭 삽입 몸체(54)의 LED 장착부(102)를 형성하는 재료 내에 박힌 바브(barb) 또는 탭(tab)(134)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도체(130과 132)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병합된 미국 특허 제4,870,753호의 가르침에 따른 방식으로 슬롯(126과 128)에 장착된다.
상부 전도체(130)는 상부 슬롯(126)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 베이스부(136)와, 베이스부(136)에 연결된 베이스 단부를 갖는 스프링부(138)를 포함한다. 스프링부(138)는 그 베이스 단부로부터 LED 장착부(102) 내에서 전방으로 뻗어있다. 스프링부(138)의 자유단은 LED(36)의 상부 전기선(124)과 접촉 상태가 되도록 편향된다.
하부 전도체(132)는 하부 슬롯(128) 내에 견고하게 고정된 베이스부(139)를 포함한다. 하부 전도체(132)는, 베이스부(139)로부터 후방으로 뻗어있으며 LED(36)의 하부 전기선(124)과 접촉 상태가 되도록 편향되는 스프링부(140)를 또한 포함한다. 그래서, 상부 전도체(130)의 스프링부(138)는 하부 전도체(132)의 스프링부(140)와 비교하여 반대 방향으로 뻗어있다.
하부 전도체(132)는 또한 퀵-커넥트 스타일의 전기 커넥터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연결 부재(142)를 또한 포함한다. 연결 부재(142)는 베이스부(139)로부터 수직으로 외측으로 돌출한 오프셋부(143)와, 오프셋부(143)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한 접촉부(145)를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45)는 대체로 베이스부(139)에 평행하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142) 각각은 스프링부(140)들 중 대응되는 스프링부와 정렬상태로 위치된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전도체(132)가 삽입 몸체(54) 내에 장착될 때, 연결 부재(142)는 잭 삽입 몸체(54)의 LED 장착부(102)에 형성된 수직 틈새(144) 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부 전도체(13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strip)을 형성하도록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사용시에, 하부 전도체(132)는 바람직하게는 공통 전원/전압원에 연결된다. 융기된 연결 부재(142)는 전기적으로 결합된 전도체(132)에 와이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지점을 제공함으로써 하부 스프링(132)을 전원에 연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면, 여러 연결 부재(142)들 중 하나의 연결 부재의 위로 퀵 커넥터를 삽입함으로써, 하부 전도체(132)의 전체 스트립이 전원에 신속하게 결선될 수 있다. 또한, 융기된 연결 부재(142)는 여러 잭 삽입 부조립체(50)의 하부 전도체(132)가 {예를 들면, 인접한 잭 삽입 부조립체(50) 사이의 단일 점퍼(jumper)에 의해서} 수월하게 서로 전기 연결될 수 있게 한다. 연결 부재(142)의 위로 퀵 커넥터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틈새(clearance)가 제공되도록 LED 장착부(102)의 일부가 절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조립체의 두 번째 잭과 열세 번째 잭에 대응되는 두 번째연결 부재(142)에 인접하게 LED 장착부(102)의 일부가 절취될 수 있다.
하부 전도체(132)와 달리, 상부 전도체(130)는 바람직하게는 서로간에 상호 전기 연결되지 않는다. 사용시에, 각각의 스프링(130)은 상부 전도체(130) 각각이 그 대응되는 램프 스위치(92)에 전기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랩 부재(wire wrap member)(152)를 포함한다. 램프 스위치(92)가 폐쇄될 때, 대응되는 상부 전도체(130)는 그라운드되게 전기 연결됨으로써 LED(36)가 점등되도록 LED(36)에 전력이 공급되게 한다.
Ⅲ. 섀시의 예시적인 배선 구조
도 11은 섀시(20) 내의 잭(52)들 중 하나의 잭에 대한 예시적인 배선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 스프링 접점(72와 76)은 IN/OUT 패널(40)의 T-IN 및 R-IN 연결 지점에 결선되며, 인 노멀 스프링 접점(74와 78)은 X-CONN 패널(38)의 TN-IN 및 RN-IN 연결지점에 결선된다. 유사하게, 아웃 스프링 접점(80과 84)은 IN/OUT 패널의 T-OUT 및 R-OUT 연결 지점에 결선되며, 아웃 노멀 스프링(82와 86)은 X-CONN 패널(38)의 TN-OUT 및 RN-OUT 연결 지점에 결선된다. 또한, 모니터 링 스프링(88)은 아웃 링 스프링(80)에 전기 연결되며, 모니터 팁 스프링(90)은 아웃 팁 스프링(84)에 전기 연결된다. 게다가, 램프 스위치(92)의 제 1 접점 스프링(94)은 배터리 그라운드에 전기 연결되며, 램프 스위치(92)의 제 2 접점 스프링(96)은 크로스-커넥트 패널(38)의 트레이서 램프(tracer lamp) 연결 지점(TL)과, 전원에 연결된 LED(36)에 전기 연결된다. 또한, 접지 스프링(70)이 섀시(20)의 쉴드 그라운드(shield ground)(48)에 전기 연결된다.
사용시에, 다른 잭으로부터의 신호의 크로스-커넥션은 X-CONN 패널(38)의 연결 지점 TN-IN 및 RN-IN 을 통해서 IN 신호로 섀시(20)에 입력된다. IN 포트(28) 내에 플러그가 삽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IN 신호는 IN/OUT 패널(40)의 T-IN 및 R-IN 연결 지점에서 섀시(20)로부터 출력된다.
IN 포트(28) 내에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크로스-커넥트된 잭으로부터의 IN 신호가 차단될 수 있으며, 삽입된 플러그로부터의 신호가 IN/OUT 패널(40)의 T-IN 및 R-IN 지점에서 출력될 수 있다. 유사하게, OUT 포트(30) 내에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IN/OUT 패널(40)의 T-OUT 및 R-OUT 접점 지점으로부터의 OUT 신호가 OUT 포트(30) 내에 삽입된 플러그의 팁과 링 접점으로 출력될 수 있다.
종종, OUT 신호를 차단시키지 않고 IN/OUT 패널(40)의 T-OUT 및 R-OUT 접점을 통해 도달하는 OUT 신호를 모니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플러그가 MONITOR 포트(32)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경우에, 플러그는 아웃 스프링(80 내지 86)을 통해서 전송되는 OUT 신호에 연결된다. 또한, 플러그가 MONITOR 포트(32) 안으로 삽입될 때, 램프 스위치(92)의 제 2 접점 스프링(96)은 램프 스위치(92)를 폐쇄시키도록 위쪽으로 구부러지게 된다. 램프 스위치(92)가 폐쇄됨에 따라, LED(36)로 전력이 공급된다.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LED(36)는 LED(36)의 명멸(flashing)을 제어하기 위한 집적회로 칩(IC chip)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LED(36)를 작동시키는 것 이외에, 램프 스위치(92)의 폐쇄는 또한 본 발명의 잭이 크로스-커넥트된 잭의 LED를 발광시키는 트레이서 램프 라인(TL)을 그라운드시킨다.
Ⅳ. 대안적인 잭 구조
도 15에는 모니터 팁 스프링(90)에 고정된 유전체 스페이서(98)가 램프 스위치(92)의 제 1 접점 스프링(94)에 형성된 개구(103)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잭(52)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 2의 잭(152)이 예시되어 있다. 잭(52)과 유사하게, 램프 스위치(92)는 통상적으로 폐쇄 상태가 된다. "통상적으로 폐쇄 상태가 된다(normally closed)" 라는 문구는 스위치를 밀거나 또는 고정시켜 개방상태가 되게 하는데 부가적인 구조물{예를 들면, 스페이서(98)}이 이용되지 않는 한 스위치는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MONITOR 포트(32) 내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을 때, 스페이서(98)는 제 2 접점 스프링(96)이 제 1 접점 스프링(94)에 맞물리는 것을 방지한다. 반대로, MONITOR 포트(32) 내에 플러그가 삽입될 때, 모니터 팁 스프링(90)은 위쪽으로 변위되어 유전체 스페이서(98)도 또한 위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유전체 스페이서(98)가 위쪽으로 변위됨에 따라, 제 2 접점 스프링(96)의 자체-편향력(self-bias)은 제 2 접점 스프링(96)이 제 1 접점 스프링(94)과 접촉 상태가 되도록 하여 램프 스위치(92)를 폐쇄시킨다.
도 16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제 3의 잭(252)을 예시한다. 잭(252)은 유전체 스페이서(98)가 모니터 팁 스프링(90)이 아니라 제 2 접점 스프링(96) 상에 장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잭(52)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도 17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제 4의 잭(352)을 예시한다. 잭(352)은 유전체 스페이서(98)의 길이가 짧아지고 램프 스위치(92)의 제 2 접점스프링(96)의 일 단부(97)가 제 2 접점 스프링(96)과 스페이서(98) 사이의 거리를 가로지르도록 변경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잭(52)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단부(97)는 램프 스위치(92)의 상부 스프링(94)을 지나서 위쪽으로 뻗어있는 상향 연장부(99)와, 스페이서(98)를 지지하기 위한 플랫폼(101)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 2 접점 스프링(96)은 통상적으로 폐쇄 위치로 편향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제 5의 잭(452)을 예시한다. 잭(452)은 램프 스위치(92)가 통상적으로 개방 상태의 스위치(즉, 스위치가 폐쇄 상태가 되게 힘을 가하는데 부가적인 구조물이 이용되지 않는 한 스위치는 개방 상태로 유지됨)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잭(52)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대신에, 본 실시예에서는 모니터 팁 스프링(90)과 제 2 접점 스프링(96)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는 링크(99)를 이용함으로써 모니터 팁 스프링(90)은 제 2 접점 스프링(96)을 확실하게 이동시킨다. MONITOR 포트(30) 내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을 때, 램프 스위치(92)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가 된다. 반대로, MONITOR 포트(32) 내에 플러그가 삽입될 때, 모니터 팁 스프링(90)은 플러그에 의해 위쪽으로 힘을 받게 되어 링크(99)로 하여금 제 2 접점 스프링(96)을 제 1 접점 스프링(94)과 접촉 상태가 되게 끌어당기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MONITOR 포트(32) 내에 플러그가 삽입될 때 램프 스위치(92)는 확실하게 폐쇄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제 6의 잭(552)이다. 잭(552)은 램프 스위치(92)가 통상적으로 개방 상태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잭(52)과 유사한 구조를갖는다. 또한, 잭(552)은 제 1 접점 스프링(94)으로부터 모니터 팁 스프링(90)의 접촉 영역의 바로 아래 지점까지 전방으로 돌출한 유전체 경사부(ramp)(105)를 포함한다. MONITOR 포트(32) 내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을 때, 램프 스위치(92)는 개방 상태가 된다. 반대로, MONITOR 포트(32) 내에 플러그가 삽입될 때, 플러그는 경사 부재(105)에 맞물려져 경사 부재(105)를 아래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 1 접점 스프링(94)을 접점 스프링(96)과 접촉 상태가 되게 아래방향으로 확실하게 가압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제 7의 잭(652)을 예시한다. 잭(652)은 램프 스위치(92)가 통상적으로 개방 상태의 스위치라는 것을 제외하고는 잭(52)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도 19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잭(652)은 램프 스위치(92)의 제 1 접점 스프링(94)에 연결된 유전체 경사부(ramp)(107)를 포함한다. 경사부(107)는 모니터 팁 스프링(90)의 접촉 영역 바로 아래에 위치된 사면(斜面)을 갖는다. MONITOR 포트(32) 내에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을 때, 램프 스위치(92)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가 된다. 반대로, MONITOR 포트(32) 내에 플러그가 삽입될 때, 플러그는 경사부(107)의 사면과 맞물려져 제 1 접점 스프링(94)이 제 2 접점 스프링(96)과 접촉 상태가 되게 아래방향으로 가압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와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개시된 개념에 대한 동등물 또는 변형을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변형과 동등물 역시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로스-커넥트 조립체,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크로스-커넥트 시스템용 잭 조립체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통신 장치에 있어서,
    A. 유전성 삽입 몸체와,
    B. 상기 삽입 몸체에 고정된 복수의 잭으로서, 상기 잭 각각은:
    ⅰ) 제 2 포트가 대체로 제 1 포트와 제 3 포트의 사이에 있도록 위치되는 제 1, 제 2 및 제 3 포트가 형성된 잭 몸체와,
    ⅱ) 상기 제 1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1 스프링 접점 세트와,
    ⅲ) 상기 제 2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스프링 접점 세트와,
    ⅳ) 상기 제 3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3 스프링 접점 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잭을
    포함하며,
    C. 상기 잭 각각은 단일 패스너에 의해서 상기 삽입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단일 패스너는 상기 잭 각각의 상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의 사이에 위치되는,
    통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패스너는 상기 잭 몸체에 나사 체결되는, 통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트는 IN 포트이고, 상기 제 2 포트는 OUT 포트이며, 상기 제 3 포트는 MONITOR 포트인,
    통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일 패스너는 그 대응하는 잭 몸체에 전기 연결되며,
    상기 삽입 몸체와 상기 단일 패스너의 유지부 사이에 전기 전도성 보강 부재가 위치되며,
    상기 잭 몸체 전체가 공통으로 그라운드되도록 상기 전기 전도성 보강 부재는 서로 전기 연결되는,
    통신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패스너는 스크루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 패스너의 상기 유지부는 스크루 헤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6. 통신 장치에 있어서,
    A. 대향되게 위치된 제 1 측부와 제 2 측부를 갖는 섀시와,
    B. 상기 섀시의 상기 제 1 측부에 위치된 복수의 신호 램프와,
    C. 상기 섀시의 상기 제 2 측부에 위치된 IN 및 OUT 연결 지점의 배열을 포함하는 IN/OUT 패널과,
    D. 상기 섀시의 상기 제 2 측부에 위치된 크로스-커넥트 연결 지점의 배열을 포함하는 크로스-커넥트 패널과,
    E. 상기 섀시의 상기 제 1 측부에 연결된 삽입 몸체와,
    F. 상기 삽입 몸체에 고정된 복수의 잭으로서, 상기 잭 각각은:
    ⅰ) IN 포트와, OUT 포트 및 MONITOR 포트가 형성된 잭 몸체와,
    ⅱ) 상기 IN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1 스프링 접점 세트와,
    ⅲ) 상기 OUT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스프링 접점 세트와,
    ⅳ) 상기 MONITOR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3 스프링 접점 세트와,
    ⅴ) 상기 MONITOR 포트에 플러그가 삽입될 때 상기 신호 램프 중 대응하는 신호 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램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잭을
    포함하며,
    G. 상기 제 1 스프링 접점 세트들은 상기 크로스-커넥트 패널과 상기 IN/OUT 패널에 전기 연결되며,
    H. 상기 제 2 스프링 접점 세트들은 상기 크로스-커넥트 패널과 상기 IN/OUT 패널에 전기 연결되며,
    I. 상기 제 3 스프링 접점 세트들은 상기 MONITOR 포트 내에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 2 스프링 접점 세트들을 통해서 전송되는 신호가 모니터될 수 있도록 제 2 스프링 접점 세트들 중 대응되는 스프링 접점 세트에 전기 연결되며,
    J. 상기 잭 각각은 단일 패스너에 의해서 상기 삽입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단일 패스너는 상기 잭 각각의 상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 사이에 위치되는,
    통신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패스너는 상기 잭 몸체에 나사 체결되는, 통신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일 패스너는 그 대응하는 잭 몸체에 전기 연결되며,
    상기 삽입 몸체와 상기 단일 패스너의 유지부 사이에 전기 전도성 보강 부재가 위치되며,
    상기 잭 몸체 전체가 공통으로 그라운드되도록 상기 전기 전도성 보강 부재는 서로 전기 연결되는,
    통신 잭.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패스너는 스크루를 포함하며,
    상기 단일 패스너의 상기 유지부는 스크류 헤드를 포함하는,
    통신 잭.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몸체는 단일 요소로서 램프 장착부와 일체로 형성된 잭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잭은 상기 잭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신호 램프는 상기 램프 장착부에 장착되는,
    통신 장치.
  11. A. 잭 장착부와 램프 장착부를 갖는 유전성 삽입 몸체로서, 상기 잭 장착부와 상기 램프 장착부는 단일 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유전성 삽입 몸체와,
    B. 상기 잭 장착부에서 상기 삽입 몸체에 고정되는 복수의 잭으로서, 상기 잭 각각은:
    ⅰ) 제 2 포트가 대체로 제 1 포트와 제 3 포트의 사이에 있도록 위치되는 제 1, 제 2 및 제 3 포트가 형성된 잭 몸체와,
    ⅱ) 상기 제 1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1 스프링 접점 세트와,
    ⅲ) 상기 제 2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스프링 접점 세트와,
    ⅳ) 상기 제 3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3 스프링 접점 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잭과,
    C. 상기 삽입 몸체의 상기 램프 장착부에 장착된 복수의 신호 램프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2. A. 잭 장착부와 램프 장착부를 갖는 유전성 삽입 몸체로서, 상기 잭 장착부와 상기 램프 장착부 사이에 갭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램프 장착부는 상기 잭 장착부에 직접 연결되는, 유전성 삽입 몸체와,
    B. 상기 잭 장착부에서 상기 삽입 몸체에 고정되는 복수의 잭으로서, 상기 잭 각각은:
    ⅰ) 제 2 포트가 대체로 제 1 포트와 제 3 포트의 사이에 있도록 위치되는 제 1, 제 2 및 제 3 포트가 형성된 잭 몸체와,
    ⅱ) 상기 제 1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1 스프링 접점 세트와,
    ⅲ) 상기 제 2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스프링 접점 세트와,
    ⅳ) 상기 제 3 포트에 인접하게 위치된 제 3 스프링 접점 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잭과,
    C. 상기 삽입 몸체의 상기 램프 장착부에 장착된 복수의 신호 램프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KR10-2003-7006302A 2000-11-10 2001-10-30 통신 잭 부조립체 KR200400168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10,088 2000-11-10
US09/710,088 US6503105B1 (en) 2000-11-10 2000-11-10 Telecommunications jack subassembly
PCT/US2001/046092 WO2002039549A2 (en) 2000-11-10 2001-10-30 Telecommunications jack sub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819A true KR20040016819A (ko) 2004-02-25

Family

ID=2485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302A KR20040016819A (ko) 2000-11-10 2001-10-30 통신 잭 부조립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03105B1 (ko)
EP (1) EP1338062A2 (ko)
KR (1) KR20040016819A (ko)
CN (1) CN100365874C (ko)
AU (1) AU2002220157A1 (ko)
BR (1) BR0115256A (ko)
CA (1) CA2428412C (ko)
TW (1) TW554597B (ko)
WO (1) WO200203954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253B1 (ko) * 2008-09-19 2011-01-04 (주)포트텍 화재감지튜브 부착형 자동소화장치
KR101011709B1 (ko) * 2007-08-10 2011-01-28 임두만 콘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64009U (en) * 2000-05-11 2001-11-11 Asustek Comp Inc System status lighting device embedded in the connecting port
US6875060B2 (en) * 2002-10-21 2005-04-05 Adc Telecommunications, Inc. High density patching system
US6752665B2 (en) * 2002-11-18 2004-06-22 Trompeter Electronics, Inc. Modular cross-connect with removable switch assembly
US20050026506A1 (en) * 2002-11-18 2005-02-03 Trompeter Electronics, Inc. Modular cross-connect with hot-swappable modules
US6861584B2 (en) * 2003-04-04 2005-03-01 Stockdale Communications Incorporated Flush-to-grade vault with wall-mounted cross-connect panels
US7182502B2 (en) * 2004-06-21 2007-02-27 Adc Telecommunications, Inc. Press-in place LED for a digital switching cross-connect module
US7393249B2 (en) * 2006-04-21 2008-07-01 Trompeter Electronics, Inc. Interconnection and monitoring module
WO2008027562A2 (en) * 2006-09-01 2008-03-06 Adc Gmbh Active signal cross-connect system
US7540787B2 (en) * 2007-04-12 2009-06-02 Adc Telecommunications, Inc. Flex-X module with board mounted baluns
CN102522655A (zh) * 2011-12-08 2012-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器、接口系统、连接器组及电缆插头
AU2011384323A1 (en) * 2011-12-23 2014-07-17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High density terminal block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2703A (en) * 1973-01-05 1974-12-03 Porta Syst Modular jack strip assembly
US4870753A (en) 1985-08-12 1989-10-03 Adc Telecommunication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light socket
US4753609A (en) 1985-08-12 1988-06-28 Adc Telecommunications, Inc. Lamp receiving apparatus
US4770639A (en) 1987-03-02 1988-09-13 Switchcraft, Inc. Channelized jackfield
US4840568A (en) 1987-03-31 1989-06-20 Adc Telecommunications, Inc. Jack assembly
US4975087A (en) 1989-12-18 1990-12-04 Telect, Inc. Telecommunication bantam jack module
US5145416A (en) 1989-12-19 1992-09-08 Adc Telecommunications, Inc. Jack assembly
US5170327A (en) 1990-11-05 1992-12-08 Adc Telecommunications, Inc. Distal distribution frame module
US5199878A (en) 1990-11-15 1993-04-06 Adc Telecommunications, Inc. Plug-in jack card for normally closed contacts
KR100250677B1 (ko) 1992-04-02 2000-04-01 피셔 데이비드 에프. 소형 동축 잭 모듈
WO1994008429A1 (en) 1992-10-05 1994-04-14 Adc Telecommunications, Inc. Jack module assembly
US5393249A (en) 1993-06-30 1995-02-28 Adc Telecommunications, Inc. Rear cross connect DSX system
US5439395A (en) 1993-08-30 1995-08-08 At&T Corp. DSX jack
US5348491A (en) * 1993-10-29 1994-09-20 Adc Telecommunications, Inc. Jack module
AU2764695A (en) 1995-05-31 1996-12-18 Telect, Inc. Telecommunication jack module with interchangeable back plan e
US5685741A (en) 1996-06-27 1997-11-11 Adc Telecommunications, Inc. On demand plug-in jack card and monitor frame
US5879197A (en) 1997-11-17 1999-03-09 Adc Telecommunications, Inc. Jack module
US6116961A (en) 1998-11-12 2000-09-12 Adc Telecommunications, Inc. Jack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709B1 (ko) * 2007-08-10 2011-01-28 임두만 콘센트
KR101005253B1 (ko) * 2008-09-19 2011-01-04 (주)포트텍 화재감지튜브 부착형 자동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28412A1 (en) 2002-05-16
AU2002220157A1 (en) 2002-05-21
EP1338062A2 (en) 2003-08-27
TW554597B (en) 2003-09-21
CN100365874C (zh) 2008-01-30
CA2428412C (en) 2008-12-23
CN1481599A (zh) 2004-03-10
BR0115256A (pt) 2003-08-12
WO2002039549A2 (en) 2002-05-16
WO2002039549A3 (en) 2003-01-23
US6503105B1 (en) 200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564B1 (ko) 램프 스위치를 구비한 저 프로파일 통신 잭
US7234974B2 (en) Jack assembly
US6632106B2 (en) Jack; jack assembly; and methods
US6752665B2 (en) Modular cross-connect with removable switch assembly
KR20040016819A (ko) 통신 잭 부조립체
US6994593B2 (en) Rear access DSX system
US20050026506A1 (en) Modular cross-connect with hot-swappable modules
US6830487B2 (en) Pin jack for a digital switching cross-connect module
US7150656B1 (en) Digital switching cross-connect module
KR960002830B1 (ko) 잭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