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217A -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217A
KR20040016217A KR1020020048484A KR20020048484A KR20040016217A KR 20040016217 A KR20040016217 A KR 20040016217A KR 1020020048484 A KR1020020048484 A KR 1020020048484A KR 20020048484 A KR20020048484 A KR 20020048484A KR 20040016217 A KR20040016217 A KR 20040016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karaoke
video
sound sourc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얼타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얼타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얼타임테크
Priority to KR1020020048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6217A/ko
Publication of KR2004001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21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방 서비스를 위한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MP3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막 및 동영상과 동기화시킨 후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재생해 줄 수 있도록 한 MP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로컬 사용자 측면에서 노래방에 맞는 컨텐츠를 신속, 정확하게 생성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사운드와 동영상의 동기화를 제공하지 못했으며, 해당되는 사운드 재생과 더불어 디스플레이되는 가사의 경우에도 텍스트 위주의 구성으로 인해 체계적으로 구성화된 자막 생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MP3 데이터를 자동 생성하고, 이를 시간 및 내용 기반으로 자막 및 동영상과 동기화시킴으로써 노래방에 적합한 다양한 MP3 컨텐츠를 신속, 정확하게 저작하여 노래방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노래방용 MP3 컨텐츠를 사용자들이 온라인으로 공유하게 함으로써 오프라인 중심의 노래방 서비스에서 벗어나 온/오프라인을 통합한 많은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등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System And Service Method For Multimedia Karaoke Over MP3}
본 발명은 MP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래방 서비스를 위한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MP3 데이터를 생성하여 자막 및 동영상과 동기화시킨 후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재생해 줄 수 있도록 한 MP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방이라 함은 일정 사용료를 지불하고 다수의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한 반주기 형태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영업 장소를 말하는데, 이러한 노래방 시스템은 다수의 반주용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재생하며, 해당 사운드 데이터 재생과 더불어 가사와 동영상(뮤직 비디오 등)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해 준다.
그런데, 전술한 노래방 시스템의 경우 최신곡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는 사운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시켜야 하므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최신곡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부응하지 못했으며,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의 경우 재생되는 사운드 데이터와는 무관하게 반복적으로 재생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전술한 오프라인 기반의 노래방 시스템을 인터넷과 접목한 온라인 기반의 노래방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는데, 이는 인터넷 상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최신곡의 사운드 데이터와, 이와 관련된 동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는 방식으로, 노래방을 운영하는 사업자 입장에서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사운드 데이터, 동영상 등)를 그대로 이용할 수 밖에 없었으며, 컨텐츠의 질 또한 오프라인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술적인 측면에서 최신곡에 대한 컨텐츠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을 수는 있지만, 기존의 하드웨어 중심의 노래방 시스템에서 제공해 주는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즉, 종래의 온라인 기반의 노래방 시스템에서는 로컬 사용자 측면에서 노래방에 맞는 컨텐츠를 신속, 정확하게 생성할 수 없었고,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는 사운드와 동영상의 시간 및 내용 기반의 동기화를 제공하지 못했으며, 해당되는 사운드 재생과 더불어 디스플레이되는 가사의 경우에도 텍스트 위주의 구성으로 인해 체계적으로 구성화된 자막 생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로컬 사용자에 한정된 서비스만을 제공함에 따라 컨텐츠를 공유하고 재구성하려는 많은 다른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MP3 데이터를 자동 생성하고, 이를 시간 및 내용 기반으로 자막 및 동영상과 동기화시킴으로써, 노래방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MP3 컨텐츠를 신속, 정확하게 저작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간 및 내용 기반으로 자막 및 동영상과 동기화된 노래방용 MP3 컨텐츠를 사용자들이 온라인으로 공유하게 함으로써, 많은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P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의 기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P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P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의 서비스 동작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도 3에 있어, MP3 데이터와 자막을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는 동작 순서도.
도 5는 도 3에 있어, MP3 데이터와 동영상을 내용 및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는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MP3 생성부 22 : 자막 동기화부
23 : 동영상/음원 동기화부 24 : 노래방 서비스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노래방용 MP3 데이터 생성 기능과, 상기 노래방용 MP3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 기반의 자막 동기화 기능과 시간 및 내용 기반의 동영상 동기화 기능을 수행하여 노래방 컨텐츠를 제공하는 MP3 서버와; 상기 MP3 서버로부터 노래방 컨텐츠를 제공받아 MP3 피치 및 템포를 조절하면서 MP3 데이터를 재생시켜 사용자에게 VOD/라이브 형태의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래방 재생기를 포함하는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사운드 입력장치나 네트웍을 통해 입력받은 사운드 데이터를 MP3 포맷으로 자동 변환하여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생성하는 MP3 생성부와; 상기 MP3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MP3 데이터의 음원을 기준으로 해당되는 자막 데이터를 시간 기반으로 입력/편집/수정하여 MP3 음원과 자막과의 동기화를 지원하는 자막 동기화부와; 상기 MP3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MP3 데이터의 음원을 기준으로 동영상에 대한 자동 장면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내용 기반의 동기화 및 동영상의 시간 정보를 이용한 시간 기반의 동기화를 지원하여 해당되는 동영상 정보를 재조합하는 동영상/음원 동기화부와; 상기 자막 동기화부 및 동영상/음원 동기화부에의해 자막 및 동영상과 동기화된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VOD/라이브 형태로 재생하는 노래방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상기 노래방 서비스부는, 노래방용 MP3 데이터 재생시의 피치 및 템포 조절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사운드 데이터의 음원을 분석한 후에 음원 합성 또는 제거를 수행하고, 노래방 이펙트를 적용하여 소정의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노래방용 MP3 데이터의 음원과 자막을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고, 해당되는 동영상을 내용 및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시간 및 내용 기반으로 자막 및 동영상과 동기화된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피치 및 템포를 조절하면서 VOD/라이브 형태로 재생해 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때, 상기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MP3 필터링 및 이퀄라이저 절차를 수행하여 음원 합성 또는 제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노래방용 MP3 데이터와 자막을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는 과정은, 노래방용 MP3 데이터의 음원에 대한 음별 타임 라인을 분석하는 단계와; 네트웍을 통해 수집하거나 자체 제작한 자막 데이터를 분석 및 자동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분석한 노래방용 MP3 데이터의 음원에 대한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막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입력/편집/수정하여 노래방용 MP3 데이터의 음원과 자막을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래방용 MP3 데이터와 동영상을 내용 및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는 과정은, 노래방용 MP3 데이터의 음원과 동영상 데이터의 타임 라인을 분석하여 동기화 구간을 지정하고 멀티 동영상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내용을 기반으로 자동 장면 검출을 수행한 후에 상기 노래방용 MP3 데이터의 음원과 동영상 장면의 타임 라인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장면별로 동기화를 수행하여 해당되는 노래방용 MP3 데이터와 동영상을 내용 및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MP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은 첨부한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을 중심으로 노래방 컨텐츠를 제공하는 MP3 서버가 위치하는 로컬 영역과, MP3 서버로부터 노래방 컨텐츠를 제공받아 실제 사용자에게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래방 재생기가 위치하는 네트웍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로컬 영역에서는 동영상 데이터의 포맷 변환 및 동영상 자르기나 붙히기를 수행하여 소정의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영상 편집 및 인코딩 기능과,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MP3 데이터 생성 기능 및 시간 기반의 자막 동기화 기능과 시간 및 내용 기반의 동영상 동기화 기능을 제공하며, 네트웍 영역에서는 노래방 VOD/라이브 서비스와 MP3 피치 및 템포 조절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MP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은 첨부한 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MP3 생성부(21)와 자막 동기화부(22) 및 동영상/음원 동기화부(23)로 구현되는 MP3 서버와, 노래방 서비스부(24)로 구현되는 노래방 재생기로 이루어진다.
MP3 생성부(21)는 사운드 입력장치나 네트웍을 통해 입력받은 사운드 데이터를 노래방 시스템에 적합한 MP3 포맷으로 자동 변환하여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생성한다.
자막 동기화부(22)는 MP3 생성부(21)에 의해 생성된 MP3 데이터의 음원을 기준으로 해당되는 자막 데이터를 시간 기반으로 입력/편집/수정하여 MP3 음원과 자막과의 동기화를 지원한다.
동영상/음원 동기화부(23)는 MP3 생성부(21)에 의해 생성된 MP3 데이터의 음원을 기준으로 동영상에 대한 자동 장면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내용 기반의 동기화 및 동영상의 시간 정보를 이용한 시간 기반의 동기화를 지원하여 해당되는 동영상 정보를 재조합한다.
노래방 서비스부(24)는 자막 동기화부(22) 및 동영상/음원 동기화부(23)에 의해 자막 및 동영상과 동기화된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VOD/라이브 형태로 재생하되, 해당되는 노래방용 MP3 데이터 재생시의 피치 및 템포 조절을 지원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MP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의 서비스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MP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노래방 시스템에 적합한 MP3 데이터를 생성해야 하는데, 이때 MP3 데이터를 생성하는 MP3 생성부(21)는 사운드 입력 장치나 네트웍을 통해 소정 형식('WAV, PCM, MIDI, MP3 등)의 원시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게 되면(스텝 S31), 해당되는 사운드 데이터의 음원을 분석한 후(스텝 S32), MP3 필터링 및 이퀄라이저(equalizer) 절차를 수행하여 음원 합성 또는 제거를 수행하고(스텝 S33), 노래방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노래방 이펙트(effect)를 적용함으로써 소정의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스텝 S34).
그리고,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는 해당되는 MP3 데이터와 자막 및 동영상을 동기화시키게 되는데, 이때 MP3 데이터와 자막은 자막 동기화부(22)에 의해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게 되며, MP3 데이터와 동영상은 동영상/음원 동기화부(23)에 의해 내용 및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게 된다(스텝 S35).
이러한 자막 및 동영상 동기화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자막 동기화부(22)는 MP3 생성부(21)로부터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전달받게 되면(스텝 S41), 해당되는 MP3 데이터의 음원에 대한 음별 타임 라인을 분석하고(스텝 S42), 한편으로 네트웍을 통해 수집하거나 자체 제작한 자막 데이터를 분석 및 자동 변환한 후(스텝 S43), 앞에서 분석한 MP3 데이터의 음원에 대한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자막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입력/편집/수정하여 MP3 데이터의 음원과 자막을 동기화시키게 된다(스텝 S44).
그리고, 동영상/음원 동기화부(23)는 MP3 생성부(21)로부터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전달받게 되면(스텝 S51), 해당되는 MP3 데이터의 음원과 네트웍을 통해 수집하거나 자체 제작한 소정 형식(AVI, MPEG, MOV, WMF 등)의 동영상 데이터의 타임라인을 분석하여(스텝 S52), 동기화 구간을 지정함과 동시에 멀티 동영상을 선택하고(스텝 S53), 한편으로 앞에서 수집 또는 제작한 동영상 데이터의 내용을 기반으로 자동 장면 검출을 수행하고(스텝 S54), 해당되는 MP3 데이터의 음원과 검출한 동영상 장면의 타임 라인을 분석한 후(스텝 S55), 동영상 장면별로 MP3 데이터와 동기화를 수행하여 재조합함으로써(스텝 S56), MP3 데이터와 동영상을 내용 및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게 된다(스텝 S57).
여기서, 자동 장면 검출이라 함은 동영상에서 화면의 전환이나 디졸브, 페이딩 등이 이루어지기 전까지의 연속된 다수의 프레임 집합에 대한 화소값이나 히스토그램의 차이 또는 차분 영상의 히스토그램 분산값을 이용하여 정확성이 높은 샷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술한 동작에 따라 시간 및 내용 기반으로 자막 및 동영상과 동기화된 노래방용 MP3 데이터는 노래방 서비스부(24)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재생해 주게 되는데, 이때 기존 하드웨어 방식의 노래방 시스템에서와 같이 MP3 데이터의 피치 및 템포를 조절하면서 VOD/라이브 형태로 재생해 주게 된다(스텝 S36).
이를 위해 노래방 서비스부(24)는 서버 연결 관리수단(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통해 MP3 서버로부터 노래방 컨텐츠인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제공받게 되며, MP3 데이터의 관리, MP3 서버 연결 관리, 사용자 관리 및 서비스 대역폭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MP3 데이터를 자동 생성하고, 이를 시간 및 내용 기반으로 자막 및 동영상과 동기화시킴으로써, 노래방에 적합한 다양한 MP3 컨텐츠를 신속, 정확하게 저작하여 노래방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간 및 내용 기반으로 자막 및 동영상과 동기화된 노래방용 MP3 컨텐츠를 사용자들이 온라인으로 공유하게 함으로써, 오프라인 중심의 노래방 서비스에서 벗어나 온/오프라인을 통합한 많은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등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노래방용 MP3 데이터 생성 기능과, 상기 노래방용 MP3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 기반의 자막 동기화 기능과 시간 및 내용 기반의 동영상 동기화 기능을 수행하여 노래방 컨텐츠를 제공하는 MP3 서버와;
    상기 MP3 서버로부터 노래방 컨텐츠를 제공받아 MP3 피치 및 템포를 조절하면서 MP3 데이터를 재생시켜 사용자에게 VOD/라이브 형태의 노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래방 재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
  2. 사운드 입력장치나 네트웍을 통해 입력받은 사운드 데이터를 MP3 포맷으로 자동 변환하여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생성하는 MP3 생성부와;
    상기 MP3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MP3 데이터의 음원을 기준으로 해당되는 자막 데이터를 시간 기반으로 입력/편집/수정하여 MP3 음원과 자막과의 동기화를 지원하는 자막 동기화부와;
    상기 MP3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MP3 데이터의 음원을 기준으로 동영상에 대한 자동 장면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내용 기반의 동기화 및 동영상의 시간 정보를 이용한 시간 기반의 동기화를 지원하여 해당되는 동영상 정보를 재조합하는 동영상/음원 동기화부와;
    상기 자막 동기화부 및 동영상/음원 동기화부에 의해 자막 및 동영상과 동기화된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VOD/라이브 형태로 재생하는 노래방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 서비스부는, 노래방용 MP3 데이터 재생시의 피치 및 템포 조절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
  4. 사운드 데이터의 음원을 분석한 후에 음원 합성 또는 제거를 수행하고, 노래방 이펙트를 적용하여 소정의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노래방용 MP3 데이터의 음원과 자막을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고, 해당되는 동영상을 내용 및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는 과정과;
    상기 시간 및 내용 기반으로 자막 및 동영상과 동기화된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피치 및 템포를 조절하면서 VOD/라이브 형태로 재생해 주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서비스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용 MP3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은, MP3 필터링 및 이퀄라이저 절차를 수행하여 음원 합성 또는 제거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서비스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용 MP3 데이터와 자막을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는 과정은, 노래방용 MP3 데이터의 음원에 대한 음별 타임 라인을 분석하는 단계와;
    네트웍을 통해 수집하거나 자체 제작한 자막 데이터를 분석 및 자동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분석한 노래방용 MP3 데이터의 음원에 대한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자막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입력/편집/수정하여 노래방용 MP3 데이터의 음원과 자막을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서비스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용 MP3 데이터와 동영상을 내용 및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는 과정은, 노래방용 MP3 데이터의 음원과 동영상 데이터의 타임 라인을 분석하여 동기화 구간을 지정하고 멀티 동영상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내용을 기반으로 자동 장면 검출을 수행한 후에 상기 노래방용 MP3 데이터의 음원과 동영상 장면의 타임 라인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장면별로 동기화를 수행하여 해당되는 노래방용 MP3 데이터와 동영상을 내용 및 시간 기반으로 동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서비스 방법.
KR1020020048484A 2002-08-16 2002-08-16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KR200400162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484A KR20040016217A (ko) 2002-08-16 2002-08-16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484A KR20040016217A (ko) 2002-08-16 2002-08-16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217A true KR20040016217A (ko) 2004-02-21

Family

ID=37322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484A KR20040016217A (ko) 2002-08-16 2002-08-16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62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79276C (zh) * 2004-08-24 2008-04-02 三星电子株式会社 图像提供系统及其方法
CN107948722A (zh) * 2011-12-30 2018-04-20 搜诺思公司 用于联网音乐回放的系统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402A (ko) * 1999-05-10 2000-12-05 윤재환 엠펙 데이터 재생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그 재생방법
KR20010002804A (ko) * 1999-06-17 2001-01-15 윤재환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를 구비하는 노래반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010036962A (ko) * 1999-10-12 2001-05-07 왕영국 노래방시스템의 자동영상선택/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22313A (ko) * 2000-09-19 2002-03-27 김양수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402A (ko) * 1999-05-10 2000-12-05 윤재환 엠펙 데이터 재생기능을 갖는 노래반주장치 및 그 재생방법
KR20010002804A (ko) * 1999-06-17 2001-01-15 윤재환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를 구비하는 노래반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010036962A (ko) * 1999-10-12 2001-05-07 왕영국 노래방시스템의 자동영상선택/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22313A (ko) * 2000-09-19 2002-03-27 김양수 네트워크를 이용한 노래방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79276C (zh) * 2004-08-24 2008-04-02 三星电子株式会社 图像提供系统及其方法
CN107948722A (zh) * 2011-12-30 2018-04-20 搜诺思公司 用于联网音乐回放的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850B1 (ko) 여러 개 비디오 클립을 인터커팅하여 새로운 비디오 제작 생성기
KR102533544B1 (ko) 향상된 컨텐츠 트래킹 시스템 및 방법
JP4695392B2 (ja) 画像と自動同期させるサウンド置換に使用する方法及び装置
US8339458B2 (en) Technique for allowing the modification of the audio characteristics of items appearing in an interactive video using RFID tags
US6744974B2 (en) Dynamic variation of output media signal in response to input media signal
US84374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editing, searching, and delivering multi-media content
US20130011111A1 (en) Modifying audio in an interactive video using rfid tags
US8782176B2 (en) Synchronized video system
JP2008022519A (ja) ユーザが提供する画像データの既存音楽ビデオへのインターカットによる新規音楽ビデオの作製
US10460712B1 (en) Synchronizing playback of a digital musical score with an audio recording
KR20040016217A (ko) 엠피3 기반의 멀티미디어 노래방 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JP6215866B2 (ja) インターネット動画再生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9049456A (ja) コンテンツ管理サーバ、コンテンツ提示装置、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提示プログラム
Alexandraki et al. Enabling virtual music performance communities
Cremer et al. Machine-assisted editing of user-generated content
JP6367882B2 (ja) クライアント端末及びそれを備えたインターネット動画再生システム
JP6913874B1 (ja) 映像ステージパフォーマンスシステムおよび映像ステージパフォーマンスの提供方法
KR102524870B1 (ko) 미디 음악 기반의 안무 영상 콘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과, 이를 기록한 컴퓨팅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amnjanovic et al. A real-time framework for video time and pitch scale modification
JP7051923B2 (ja) 動画生成装置、動画生成方法、動画生成プログラム、再生装置、動画配信装置、及び動画システム
JP2003271158A (ja) 画像変更機能を持つカラオ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201806A (ja) 音声付動画データの作成方法
US20210110803A1 (en) Synchronizing playback of a digital musical score with an audio recording
JP4927464B2 (ja) 広告配信システム、広告制作装置、コンテンツ制作エンジン制作装置、台本制作装置、視聴装置、及び広告配信プログラム
KR20000049304A (ko) 노래 반주기를 이용한 뮤직 비디오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